싱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골은 J.R.R. 톨킨의 작품에 등장하는 신다르 요정의 대왕으로, 텔레리의 지도자이자 멜리안과의 사이에서 루시엔을 낳았다. 발라의 초대를 받아 잉궤, 핀웨와 함께 발리노르로 향하던 중 멜리안을 만나 도리아스 왕국을 건설하고, 멜리안의 장막으로 모르고스의 위협으로부터 백성을 보호했다. 놀도르의 동족 살해에 분노하여 퀘냐 사용을 금지하고 신다린을 사용하게 했으며, 베렌과 루시엔의 결혼을 허락하고 실마릴을 얻게 되지만, 결국 실마릴을 탐낸 난쟁이에게 살해당하며 도리아스는 멸망의 길을 걷게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창조된 가공인물 - 다스 베이더
다스 베이더는 스타워즈 시리즈의 악당이자 제국의 핵심 인물로, 타락한 제다이 기사 아나킨 스카이워커의 모습이며, 강렬한 외모, 압도적인 포스, 비극적인 삶, 그리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력을 가진 상징적인 존재이다. - 1977년 창조된 가공인물 - 한 솔로
한 솔로는 스타워즈 시리즈의 핵심 등장인물로, 험프리 보가트를 참고하여 조지 루카스가 구상했으며, 밀레니엄 팔콘의 조종사로서 반란 연합에 기여하며 냉소적인 외톨이에서 공동의 선을 위해 돕는 인물로 변화한다. - 실마릴리온의 등장인물 - 사우론
사우론은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절대악으로, 중간계 지배를 꿈꾸며 몰고스에게 타락한 마이아이자 다양한 이름으로 활동했고, 힘의 반지와 절대반지를 제작하여 세력을 확장하려 했으나 몰락 후 대중 매체에서도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 실마릴리온의 등장인물 - 레골라스
레골라스 그린리프는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싱달 출신의 엘프 왕자로, 반지 원정대에서 궁술과 예민한 감각으로 활약하며 드워프 김리와의 우정, 그리고 발리노르로 떠난 이야기가 전해진다.
싱골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싱골 |
원어 이름 | Thingol |
다른 이름 | 엘웨(Elwë) |
종족 | 신다르 요정 |
성별 | 남자 |
직업 | 도리아스의 왕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멜리안 |
자녀 | 루시엔 |
작품 정보 | |
등장 작품 | 실마릴리온 후린의 아이들 벨레리안드의 노래들 베렌 & 루시엔 |
기타 | |
거주지 | 메네그로스 |
별칭 | 엘웨 싱골로(Elwë Singollo), 엘루 싱골(Elu Thingol), 회색 망토 왕(King Greymantle) |
로마자 표기 (퀜야) | Elwë |
로마자 표기 (신다린) | Elu Thingol |
![]() |
2. 생애
싱골의 본명은 엘웨(Elwë, 별의 사람)이다. 그는 텔레리의 첫 요정인 에넬과 에넬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동생으로 올웨와 엘모가 있었다.[1] 발리노르에 사절로 초대되어 영생목의 빛을 본 후, 요정들을 설득해 텔레리들을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으나, 멜리안과 사랑에 빠져 가운데땅에 정착했다. 이후 요정왕국 도리아스를 세우고 벨레리안드에서 강력한 요정왕으로 군림했다.[2]
쿠이비에넨 (깨어남의 호수)에서 깨어난 최초의 엘프 중 한 명인 그는, 오로메에게 발견되어 발라르가 기다리는 서방의 땅 아만으로 초대를 받았다. 그러나 발라르를 두려워한 엘프들이 응하지 않자, 오로메는 잉궤, 핀웨, 엘웨 세 사람을 사절로 선택하여 발리노르로 보냈다.
태양의 제1시대에 모르고스의 위협을 느낀 싱골은 멜리안과 자신의 허락 없이는 누구도 들어올 수 없는 마법 장벽인 '멜리안의 장막'을 도리아스에 둘렀다. 이 장막 덕분에 도리아스는 다른 요정왕국들보다 안전했고, 마이아인 멜리안의 지혜와 예지 능력으로 크게 번성했다.[6]
놀도르가 망명해 오자, 싱골은 모르고스의 위협이 그들 때문이라고 짐작하고 불편해했다. 알쿠알론데의 동족살해를 알게 된 후에는 분노하여 놀도르의 언어인 퀘냐 사용을 금지하고 신다린을 쓰도록 명령했다. 핀웨의 막내 피나르핀 가문 사람만 도리아스에 들어오는 것을 허락했고, 다른 망명 놀도르에게는 벨레리안드 변방의 땅을 차지하도록 했다.[7]
2. 1. 요정들의 대여정과 도리아스의 건국
발리노르에 사절로 초대되어 영생목의 빛을 목도한 엘웨는 넬랴르를 설득해 서쪽을 향한 대여정을 시작한다. 넬랴르는 노래를 잘하는 분파였기에 린다르로 불리게 되었고, 나중에 발리노르에 가장 늦게 도착하였기에 텔레리로 불리게 되며, 긴 여정을 거치며 분파가 갈라지게 됐다.[3]
어느 날, 엘웨는 친구 핀웨를 만나기 위해 난 엘모스 숲을 지나던 중에 멜리안의 노랫소리를 듣고 이끌려 그녀를 만난다. 엘웨가 그녀의 손을 잡았을 때 그는 마법에 빠져 수백 년간 서로를 말없이 응시하고만 있었다. 결국 친동생인 올웨는 기다림에 지쳐 발리노르로 향하길 원하는 텔레리들과 함께 먼저 떠났다.[4]
시간이 지난 후 엘웨는 멜리안과 함께 백성에게 돌아왔고, 흩어져 있던 백성들을 모아 요정왕국 도리아스를 세웠다. 엘웨를 기다리며 가운데땅에 남은 텔레리들은 신다르라고 불렸으며, 엘웨는 회색망토라는 뜻의 싱골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엘웨 싱골로라는 이름을 신다린으로 읽으면 엘루 싱골(Elu Thingol)이 되어, 이후로는 주로 싱골로 불린다.[5][6]
2. 2. 베렌과 루시엔
루시엔은 싱골과 멜리안 사이에서 태어난 외동딸이다. 루시엔은 일루바타르의 자손 중 가장 아름다웠으며, 마이아의 혈통을 직접 가지고 태어난 유일한 인물이었기에 가장 고귀한 혈통을 가졌다. 싱골은 소중한 외동딸을 애지중지하며 키웠다.어느 날, 루시엔이 자신이 천하게 여기던 인간과 사랑에 빠졌다는 것을 알게 된 싱골은 그 인간을 잡아오라고 명령한다. 루시엔은 이를 눈치채고 인간을 환영하며 막았고, 싱골은 인간을 비하한다. 이에 인간은 자신이 바라히르의 아들 베렌이라 밝히며 루시엔과의 결혼을 허락해 달라고 요청한다. 싱골은 베렌에게 모르고스의 철왕관에 박힌 실마릴을 가져오라는 명령을 내리고, 베렌은 이를 호기롭게 받아들이며 떠난다.[7]
이후 베렌이 돌아오자 싱골은 실마릴을 요구했고, 베렌은 거대 늑대 카르카로스에게 잘린 손목을 보여주며 험난했던 여정을 이야기한다. 이를 본 싱골은 분노가 누그러져 루시엔과의 결혼을 허락한다.
하지만 카르카로스가 도리아스를 침략한다. 카르카로스는 이미 거대한 운명의 일부가 된 상태였기 때문에 멜리안의 장막으로도 막을 수 없었다. 카르카로스가 싱골을 습격하려 하자 베렌이 이를 막으려다 치명상을 입었고, 카르카로스 또한 후안과 싸우다 죽는다. 카르카로스의 배를 가르자 실마릴을 쥐고 있던 베렌의 손이 있었고, 싱골은 실마릴의 아름다움에 매료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베렌이 죽자, 슬픔에 빠진 루시엔 또한 죽음을 맞이한다. 싱골은 크게 상심하여 급격히 노쇠해졌으나, 이후 루시엔이 돌아와 그의 노쇠함을 치유해주었다.
2. 3. 실마릴과 몰락
베렌과 루시엔의 결혼 후, 싱골은 투린을 거두어 보살폈다. 어느 날 모르고스에게서 풀려난 후린이 나우글라미르를 싱골에게 주었고, 싱골은 그 목걸이를 실마릴과 결합하고자 하는 욕망에 빠졌다.[10]그는 노그로드의 난쟁이에게 실마릴 세공 작업을 맡겼으나, 난쟁이들 또한 실마릴을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에 빠졌다. 실마릴이 박힌 나우글라미르는 몹시 아름다워서 싱골이 이를 걸치려고 했을 때 난쟁이들은 갑자기 나우글라미르의 소유권을 주장한다. 싱골은 이에 난쟁이들을 비난했다. 결국 싱골은 분노한 난쟁이에게 살해당한다.[10]
멜리안 또한 싱골의 죽음에 상심하여 루시엔을 호출하고 도리아스를 마블룽에게 맡긴 뒤 발리노르로 떠났다. 멜리안이 떠나자 멜리안의 장막을 비롯해서 그녀가 걸어둔 마법이 사라졌고, 도리아스는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10]
3. 텔레리의 지도자
본명은 '''엘웨'''(넬랴르)이다. 텔레리의 첫 요정인 에넬과 에넬예 사이에서 태어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요정의 아들로, 동생으로 올웨와 엘모가 있다.
발리노르에 사절로 초대되어 영생목의 빛을 목도한 뒤 요정무리들을 설득해 텔레리들을 이끄는 리더가 되었으나, 멜리안과 사랑에 빠져 가운데땅에 정착해 요정왕국 도리아스를 세운 뒤 강력한 요정왕으로서 벨레리안드에서 군림했다. 신다르 요정의 대왕이며 동시에 텔레리를 이끄는 올웨의 친형이며 갈라드리엘의 남편 켈레보른의 부친 엘모의 친형이기도 하다. 싱골이라는 이명은 자신을 따르는 신다르와 함께 가운데땅에 남은 후 본명보다 주로 사용되었다. 2시대 인간 왕국 누메노르 왕족의 시조이기도 하다.
그는 쿠이비에넨 (깨어남의 호수)에서 깨어난 최초의 엘프 중 한 명이다. 오로메는 그들을 발견하고, 발라르가 기다리는 서방의 땅 아만으로 부르려 했지만, 발라르를 두려워한 엘프들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그래서 오로메는 잉궤, 핀웨, 엘웨 세 사람을 사절로 선택하여 발리노르로 보냈다. 그곳에서 발라르와 두 개의 나무의 빛을 본 그들은 쿠이비에넨으로 돌아와 동족들에게 서방으로의 이주를 권했다. 엘웨의 백성은 수가 많았기 때문에, 그와 그의 동생 올웨 두 명의 왕을 옹립했다. 그들 대부분이 그를 따라 아만으로 향했다. 그들은 여행의 마지막 진영이었고, 텔레리(Teleri, "마지막으로 오는 자"라는 뜻)라고 불렸다.
4. 분석
톨킨의 인공어에서 싱골(Thingol)은 '회색 망토'를 뜻하는 신다린어이며, 퀘냐어 형태인 싱골로(Singollo)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11] 중세학자이자 톨킨 연구자인 벌린 플리거는 엘웨('별'이라는 뜻)라는 이름이 빛을 나타내는 반면, 이 빛은 등장인물의 두 번째 이름으로 인해 희미해진다고 설명한다. 이는 빛이 '덮이거나 가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플리거는 '싱골로'가 '싱골'로 부드러워진 것은 '빛이 스며든 퀘냐가 황혼의 신다린으로 변환되면서 발생하는 음운 변화'를 반영한다고 언급한다.
플리거는 싱골의 행동이 주제적으로는 정당화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의 정치적, 왕조적 필요를 고려하면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녀는 싱골을 빛을 향해 끊임없이 이끌리는 인간인 베렌과 대비시킨다. 놀도르가 중간계로 귀환하면서 그의 왕국이 위협받을 수 있었기에 싱골의 분위기는 어두워진다. 놀도르가 알쿠알론데에서 텔레리를 상대로 저지른 친족 살해를 알게 된 후, 싱골(본래 텔레리)은 그의 땅에서 그들의 언어인 퀘냐의 사용을 금지하고, 신다린어는 중간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엘프 언어가 된다. 그는 점점 더 어두운 행동을 취하며 빛에서 멀어져 가고, 심지어 베렌으로부터 실마릴을 받았을 때조차 그것을 어떻게 감상해야 하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조차 알지 못한다.[12]
Mythlore에 글을 기고한 로블리 에반스는 싱골과 페아노르 사이의 유사점을 지적한다. 페아노르처럼 그는 빛에서 돌아서서 시간과 변화를 멈출 수 있는 멜리안과 함께 중간계에 남기로 결정한다.[13] 에반스는 싱골과 멜리안의 결혼이 처음에는 '다양한 창조된 존재들의 모범적인 결합을 약속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다. 그는 싱골이 결국 페아노르의 맹세에 대한 그 자신의 버전으로 파멸된다는 점에서 톨킨의 구조적 대위법에서 '페아노르의 상반된 보완'이라고 언급한다. 베렌이 되찾은 실마릴을 차지하는 행위는 그의 왕국을 만도스의 운명 아래에 둔다. 이는 엘프들이 발라에 대한 반란을 계속하면 해를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13]
톨킨 학자 톰 시피는 싱골이 '실마릴리온'의 촘촘하게 짜여진 플롯의 일부를 형성하며, 각 부분은 궁극적으로 비극으로 이어진다고 쓴다. 싱골과 그의 친족이 세운 도리아스를 포함한 세 개의 숨겨진 엘프 왕국이 있으며, 각각 배신당하고 파괴된다. 왕국은 각각 인간(도리아스의 경우 베렌)에 의해 침투당하며, 시피가 '미래의 재앙'으로 풀이하는 운명의 감각이 이야기 전체에 무겁게 드리워져 있다.
숨겨진 왕국 | 엘프 왕 (모두 친족) | 왕국을 침투하는 인간 | 결과 |
---|---|---|---|
나르고스론드 | 핀로드 | 투린 | 도시 파괴 |
도리아스 | 싱골 | 베렌 | 도시 파괴 |
곤돌린 | 투르곤 | 투오르 | 도시 파괴 |
중세학자 마조리 번스는 싱골이 멜리안과의 결혼을 통해 '위대한 힘'을 얻는다고 말하며, 그녀가 1887년 소설 ''그녀: 모험의 역사''에서 라이더 해거드가 묘사한 무한히 매력적인 아서 왕 전설의 뮤즈인 아예샤를 닮았다고 썼다.[14]
종교 학자 리사 코트라스는 멜라니 롤스의 싱골과 멜리안에 대한 묘사를 리사 홉킨스의 투오르와 이드릴에 대한 분석과 비교한다. 롤스는 싱골을 엄청난 선견지명과 지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조언을 거의 듣지 않는 자부심 강한 왕으로 묘사하며, 이는 그의 왕국의 몰락을 초래하는 데 일조한다. 홉킨스는 아내 이드릴의 말을 듣고 더욱 현명해지는 영웅 투오르에 대해 논한다.[15][16][17]
5. 가계도
색상 | 설명 |
---|---|
scope="row" | | 요정 |
scope="row" | | 인간 |
scope="row" | | 마이아 |
scope="row" | | 혼혈 요정 |
scope="row" | | 요정의 운명을 선택한 혼혈 요정 |
scope="row" | | 인간의 운명을 선택한 혼혈 요정 |
참조
[1]
서적
[2]
백과사전
Thingol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논문
Tolkien's World Creation: Degenerative Recurrence
https://dc.swosu.edu[...]
[14]
서적
Perilous Realms: Celtic and Norse in Tolkien's Middle-earth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5]
서적
Tolkien's Theology of Beauty: Majesty, Splendor, and Transcendence in Middle-earth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Springer
[16]
논문
The Feminine Principle in Tolkien
https://dc.swosu.edu[...]
[17]
논문
Female Authority Figures in the Works of Tolkien, C.S. Lewis and Charles Williams
https://dc.swosu.edu[...]
[18]
문서
エルモは[[ニムロス]]と[[ケレボルン]]の先祖とさ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