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아 (톨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아는 J. R. R.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영적 존재로, 창조주인 일루바타르에 의해 창조된 아이누 중 발라보다 낮은 존재를 지칭한다. 마이아는 발라를 도와 세상을 만들고 다스리는 역할을 하며, 요정이나 인간의 모습을 취할 수 있다. 타락한 마이아는 우마이아르라고 불리며, 사우론, 발로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스타리(마법사)로 알려진 간달프, 사루만, 라다가스트 등도 마이아이며, 멜리안과 같은 강력한 마이아는 요정과 결혼하여 후손을 남기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아 (톨킨) | |
|---|---|
| 개요 | |
| 유형 | 아이누르 |
| 성별 | 남녀 모두 |
| 기원 | 에루 일루바타르의 생각에서 비롯됨 |
| 창조 시기 | 아이누린달레 이전 |
| 거주지 | 발리노르 (주로), 아르다 |
| 특징 | |
| 능력 | 자연의 힘을 다룸 형태 변환 불멸 |
| 설명 | 에루 일루바타르가 창조한 아이누르 중 하위 계층 발라들을 보좌하고 그들의 뜻을 실행하는 존재 인간이나 엘프의 형상으로 나타나기도 함 강력한 힘을 지녔으나 발라보다는 약함 |
| 주요 마이아 | |
| 남성 | 에온웨 (만웨의 전령) 일마레 (바르다의 시녀) 오쎄 (울모의 신하) 우이넨 (울모의 신하) 살마이 (울모의 신하) 쿠르모 (사루만) 올로린 (간달프) 아이웬딜 (라다가스트) 알라타르 (모리네타르) 팔란도 (로메스타르) 사우론 (멜코르의 부하, 타락함) 고스모그 (멜코르의 부하, 타락함) |
| 여성 | 멜리안 (싱골의 아내) |
| 기타 | |
| 관련 작품 | 반지의 제왕 실마릴리온 |
2. 기원 및 정의
마이아는 일루바타르에 의해 창조된 영적 존재 아이누 가운데, 가장 강한 14명의 발라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누를 일컫는다. 톨킨은 "마이아는 발라의 일족을, 특히 9명의 위대한 통치자보다 힘이 약한 자들을 가리키는 이름"이라고 언급했다.[1]
발라퀜타에서는 마이아를 "세계 이전에 존재를 시작했으며, 발라와 같은 종류지만 그보다 낮은 존재"로 묘사한다. 이들은 발라의 신하, 하인, 조언자로서 세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0] 많은 마이아가 특정 발라와 관계를 맺었는데, 예를 들어 살마르는 주군 울모를 위해 거대한 소라 껍데기로 바다의 음악(울룸우리, Ulumúri)을 만들었고,[2] 쿠루모와, 후에 멜코르에게 타락하여 사우론이 된 마이론은 본래 대장장이 아울레를 섬겼다.[3] 반면 올로린이나 멜리안처럼 여러 발라를 섬긴 마이아도 있었다. 오세와 우이넨 역시 울모를 섬겼다.
마이아는 신성한 기원을 지녔으며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어, 세상에서 눈에 띄지 않게 활동하거나 요정 등 다른 존재의 모습을 취할 수 있었다. 이 '베일' 또는 육신(퀘냐어: 파나르(fanar))은 파괴될 수 있지만, 그들의 본질적인 존재는 불멸이다. 발리노르 외부에서 실체를 취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이스타리는 인간의 형체를, 멜리안은 요정의 형체를 취한 예외적인 경우이다. 멜리안은 싱골과의 사이에서 루시엔을 낳았다. 마이아는 요정과 인간에게 모습을 거의 드러내지 않았기에, 그들의 언어로 이름이 알려진 마이아는 소수이며 요정들조차 마이아의 총 수를 알지 못한다.[3]
일반적으로 발라보다 힘이 약하다고 여겨지지만, 요정이나 인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힘을 지녔다. 이들은 천지 창조에 참여하고, 날씨를 조종하며, 대규모로 지형을 바꾸는 등의 능력을 보였다. 마이아가 참전한 분노의 전쟁에서는 대륙 크기의 땅이 파괴되어 바다에 잠기기도 했다.
마이아의 지도자로는 만웨의 전령이자 기수인 에온웨와 바르다의 시녀인 일마레가 있다.
일부 마이아는 멜코르의 유혹에 넘어가 타락하기도 했는데, 이들을 부정형 접두사 'Ú-'를 붙여 '''우마이아르'''(Úmaiar)라고 부른다.[21][22] 대표적인 예로 불의 채찍을 휘두르는 발로그와 멜코르의 오른팔이 된 사우론이 있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이스타리인 간달프, 사루만, 라다가스트와 싱골의 아내 멜리안 등이 잘 알려진 마이아이다.
2. 1. 어원
마이아(Maia)는 퀘냐로 아름다움(the Beautiful)을 의미한다.[19]3. 능력 및 특징
마이아는 아이누 중 가장 강한 14명의 발라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누를 일컫는다.[1] 발라퀜타에서는 "세계 이전에 존재를 시작했으며, 발라와 같은 종류지만 그보다 낮은 존재"로 묘사된다.[3] 발라의 신하, 하인, 조언자로서 세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20] 일반적으로 발라보다 힘이 약하지만[1] 요정이나 인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대한 힘을 지녔다. 그 힘으로 천지 창조에 참여하고, 날씨를 조종하거나 재앙을 일으키며, 대규모 지형 변화를 일으킬 수 있었다.[20] 마이아가 참전한 분노의 전쟁에서는 대륙 크기의 땅이 파괴되어 바다에 잠기기도 했다.
신성한 기원을 가진 영적 존재로서[3] 기본적으로 불멸하지만, 세상에서 활동하기 위해 물리적인 형체를 취할 수 있다. 이 형체는 퀘냐어로 fanar|파나르qya라 불리며 파괴될 수 있으나, 그들의 진정한 본질(영)은 파괴되지 않는다.[3] 마이아는 발리노르 외부에서는 실체를 잘 드러내지 않지만,[3] 예외적으로 이스타리는 노인의 모습으로, 멜리안은 요정의 모습으로 가운데땅에 나타났다. 멜리안은 싱골과의 사이에서 루시엔을 낳기도 했다. 요정이나 인간에게 물리적인 형체를 거의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요정들은 마이아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그 이름이 무엇인지 거의 알지 못한다.[3] 참고로 퀘냐에서 Maia|마이아qya는 ''''아름다움''''(the Beautiful)을 의미한다.[19]
마이아의 수장은 만웨의 전령이자 깃발 담당인 에온웨와, 바르다의 시녀인 일마레이다.[3] 많은 마이아는 특정 발라와 관계를 맺고 섬겼는데, 예를 들어 살마르는 주군인 울모를 위해 울룸우리(Ulumúri)라는 거대한 소라 껍데기를 만들었고,[2] 오세와 우이넨 역시 울모를 섬겼다. 쿠루모(훗날 사루만)와 마이론(훗날 사우론)은 아울레를 섬겼다.[3] 사우론은 이후에도 대장장이 기술과의 연관성을 이어가 에레기온의 요정-대장장이들과 교류하며 자신의 절대반지를 만들었다.[16] 반면 올로린(훗날 간달프)이나 멜리안처럼 여러 발라 군주 및 여왕과 관계를 맺은 마이아도 있다.[3]
일부 마이아는 멜코르의 유혹에 넘어가 타락하여 악한 존재가 되었다. 이들은 부정형 접두사 '''Ú'''를 붙여 '''우마이아르'''(Úmaiar|우마이아르qya)라고 불리며,[21][22] 대표적으로 불의 채찍을 휘두르는 악마 발로그와 멜코르의 오른팔이 된 사우론이 있다.[3][21]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이스타리(간달프, 사루만, 라다가스트)와 싱골의 아내 멜리안 등이 잘 알려진 마이아이다.
4. 주요 마이아
마이아는 일루바타르가 창조한 영적 존재 아이누 중에서, 가장 강력한 14명의 발라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누를 일컫는다. 이들은 발라의 신하이자 하인, 조언자로서 아르다 세계를 형성하는 데 참여했으며,[20] 일반적으로 발라보다는 힘이 약하지만 요정이나 인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존재들이다.
마이아는 보통 발리노르 외부에서는 눈에 보이는 형체를 취하지 않지만, 가운데땅의 역사에서는 이스타리처럼 노인의 모습으로 나타나거나 멜리안처럼 요정의 모습으로 나타난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 마이아의 정확한 수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그 이름이 알려진 이들도 소수에 불과하다.[3] 퀘냐로 '마이아'는 '아름다움'(the Beautiful)을 의미한다.[19]
이름이 알려진 주요 마이아로는 발라의 전령인 에온웨, 별의 여왕 바르다의 시녀인 일마레, 바다를 다스리는 옷세와 우이넨, 태양과 달을 인도하는 아리엔과 틸리온, 요정 왕 싱골의 아내가 된 멜리안 등이 있다.[4][5][10] 또한, 가운데땅에 파견된 이스타리(마법사들) 역시 마이아에 속한다.
반면, 일부 마이아는 악한 발라 멜코르의 유혹에 넘어가 타락하기도 했는데, 이들을 부정형 접두사 'Ú-'를 붙여 '우마이아르'(Úmaiar)라고 부른다.[21][22] 가장 대표적인 우마이아르로는 멜코르의 가장 강력한 하수인이 된 사우론과 불의 악마들인 발로그가 있다.[6]
이 외에도 톰 봄바딜, 거대 거미 웅골리안트, 늑대인간 드라우글루인, 박쥐 수링웨실 등이 마이아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그 정체는 명확하지 않다.
4. 1. 선한 마이아
마이아는 발라와 같은 아이누이지만, 그들보다 낮은 계급의 존재들이다.[1] 마이아는 발라의 신하이자 하인, 조언자로서 세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0] 그들은 신성한 기원을 가지고 막대한 힘을 지녔으며, 요정이나 인간 등 다른 존재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세상에 나타날 수 있었다. 하지만 마이아는 요정이나 인간에게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이 알려진 경우는 드물며 총 몇 명의 마이아가 존재하는지도 알려지지 않았다.[3]이름이 알려진 선한 마이아들은 다음과 같다.
- 에온웨: 마이아의 수장이자 발라의 왕 만웨의 전령이며 깃발을 담당한다. 가장 강력한 마이아 중 하나로 여겨지며,[4] 분노의 전쟁 당시 서쪽의 군대를 이끌었다.[8]
- 일마레: 별의 여왕 바르다의 시녀이다. 에온웨와 함께 마이아 중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4]
- 옷세와 우이넨: 바다의 군주 울모를 섬기는 부부 마이아이다. 옷세는 가운데땅 연안의 바다를 다스리며, 그의 아내인 우이넨은 '바다의 여왕'으로 불린다. 이들은 자유의 백성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마이아이다.[4]
- 아리엔: 태양의 운행을 인도하는 마이아이다. 멜코르에게 타락하지 않은 불의 정령이며, 달을 인도하는 틸리온보다 강력하다고 전해진다.[5]
- 틸리온: 달의 배를 인도하는 마이아이다. 발라 오로메의 사냥꾼이자 종자였다.[5]
- 살마르: 울모의 종자로, 울모를 위해 바다의 음악을 내는 거대한 소라 껍데기인 ''울룸우리''(''Ulumúri'')를 만들었다.[2]
- 멜리안: 제1시대 이전에 가운데땅으로 와서 요정 왕 엘루 싱골과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도리아스 왕국을 함께 다스렸다. 그녀는 자신의 마법적인 힘으로 '멜리안의 띠'(''List Melian'')라는 장막을 쳐서 왕국을 보호했다.[10] 멜리안은 싱골과의 사이에서 딸 루시엔을 낳았으며, 루시엔을 통해 엘윙, 엘론드, 아르웬 등 여러 후손에게 마이아의 혈통을 이어주었다.[11]
올로린과 같이 가장 현명한 마이아로 알려진 존재도 있으나, 올로린을 포함한 몇몇 마이아는 이스타리로서 가운데땅에 파견되었다.
4. 1. 1. 이스타리
이스타리는 발라들이 사우론의 악에 대항하기 위해 가운데땅으로 보낸 다섯 명의 마이아이다. 이들은 대략 제3시대 1100년경에 파견되었다. 겉모습은 노인과 같은 인간의 형상을 하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활력이 넘쳤으며 손과 정신에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12] 이들의 임무는 힘으로 가운데땅의 존재들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신뢰를 바탕으로 요정과 인간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고 지식을 전파하는 것이었다. 이스타리는 '마법사'라고도 불린다.이스타리는 다음 다섯 명으로 구성된다.
| 이름 (마이아 시절) | 이스타리로서의 이름 | 소속 발라 | 비고 |
|---|---|---|---|
| 쿠루모 | 사루만 백색 | 아울레 | 이스타리의 수장이었으나 후에 타락하여 여러 색깔의 사루만을 자칭함. |
| 올로린 | 간달프 회색 (미스란디르) | 만웨와 바르다 | 후에 사루만을 대신하여 백색의 간달프가 됨. |
| 아이웬딜 | 라다가스트 갈색 | 야반나 | |
| 알라타르 | 푸른 마법사 | 오로메 | 모리네타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짐.[13] 바다처럼 푸른 로브를 입었다고 전해짐. |
| 팔란도 | 푸른 마법사 | 오로메 | 로메스타모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짐.[13] 바다처럼 푸른 로브를 입었다고 전해짐. |
알라타르와 팔란도, 두 명의 푸른 마법사는 톨킨의 설정 해설에는 언급되지만 주요 이야기에는 직접 등장하지 않는다.[13] 일부 기록(이고)에서는 이들의 이름이 각각 모리네타르와 로메스타모이며, 어떤 발라를 섬겼는지 불명확하다고도 한다.
4. 2. 악한 마이아
악한 발라인 멜코르(신다린어로 모르고스)는 많은 마이아들을 타락시켜 자신의 하인으로 삼았다. 모르고스의 가장 위험한 하인들은 퀘냐어로 '''우마이아르'''라고 불린다.[6]대표적인 악한 마이아는 다음과 같다.
- 사우론: 본명은 마이론으로, 원래 대장장이 발라인 아울레의 마이아였으나 멜코르에게 타락하여 그의 가장 강력하고 위험한 하수인이 되었다.[3][6] 아울레의 종복이었던 시절 얻은 지식으로 제2시대에 에레기온의 요정-대장장이들과 교류하며 힘의 반지 제작에 관여했고, 자신의 절대반지를 만들어 다른 반지를 지배하려 했다.[16] 그는 후에 반지의 제왕의 주요 적대자가 된다.
- 발로그: 불꽃과 그림자로 이루어진 거대한 악마적 존재들이다. 불꽃 채찍을 무기로 사용하며,[6] 드래곤보다 더 강력하다고 전해진다.[7]
- 고스모그: 발로그들의 군주이자 모르고스의 요새 앙그반드의 총사령관이었다.[6]
모르고스는 분노의 전쟁에서 에온웨가 이끄는 서방의 군대에 의해 패배하고 몰락했다.[8] 이 전쟁에서 대부분의 발로그는 죽음을 맞이했지만, 적어도 한 명의 발로그는 안개 산맥 깊은 곳에 숨어 제3시대까지 살아남았다.[9]
이 외에도 늑대인간의 시조인 드라우글루인이나 사우론의 박쥐 사자였던 수링웨실 등도 마이아로 추측된다.
5. 그 외
6. 멜리안과 그 후손
마이아인 멜리안은 발라인 에스테와 바나의 시종으로, 위대한 힘과 지혜를 지녔다.[23] 그녀는 제1시대 이전에 가운데땅으로 건너가 요정 왕 싱골과 사랑에 빠졌고, 그와 함께 도리아스 왕국을 다스렸다. 모르고스와의 전쟁이 도리아스에 이르자, 멜리안은 자신의 힘으로 '멜리안의 띠'(List Melian|리스트 멜리안sjn)라는 마법 장벽을 쳐서 왕국을 보호하고 방어했다.[10] 멜리안은 싱골과의 사이에서 딸 루시엔을 낳았는데, 루시엔은 에루 일루바타르의 모든 자녀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존재로 여겨진다. 루시엔을 통해 엘윙, 엘론드, 아르웬, 엘렌딜, 아라곤 등 많은 주요 인물들이 멜리안의 후손이 되었다.[11]
7. 신화적 해석
신학자 랠프 C. 우드는 발라와 마이아를 기독교인들이 "천사"라고 부르는 존재로 보았다. 즉, ''실마릴리온''에서 에루 일루바타르로 불리는 창조주와 창조된 우주 사이를 잇는 중개자와 같다는 것이다. 천사처럼 마이아 역시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어 창조주에게 반역할 수도 있다.[14]
Mythlore에 기고한 그랜트 C. 스털링은 마이아가 발라처럼 불멸의 존재이지만, 인간과 같은 육신을 완전히 취할 경우 죽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설명한다. 간달프나 발로그가 죽음을 맞이한 것이 그 예이다. 다만, 사우론이 패배 후 다시 육신을 얻지 못한 것은 그의 힘 대부분을 절대반지에 쏟아부었기 때문일 수 있으며, 죽은 마이아의 최종 운명은 명확하지 않다고 덧붙였다.[15]
조나단 에반스는 ''J.R.R. 톨킨 백과사전''에서 마이아를 반신적인 영적 존재로 정의하며, 각각의 마이아가 특정 발라와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마이아가 "우주 질서에서 영원히 중요"하며, ''실마릴리온''에서 묘사된 것처럼 그들의 기쁨은 "그들이 모든 날에 숨쉬는 공기처럼, 그들의 생각은 높이에서 심연으로 거침없이 흘러간다"는 점에 주목했다.[16][17] 에반스는 또한 아리엔과 틸리온이 톨킨의 해와 달 신화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지적했다.[16]
참조
[1]
서적
"Words, Phrases and Passages"
[2]
서적
Quenta Silmarillion
[3]
서적
Valaquenta
[4]
서적
Valaquenta
[5]
서적
Quenta Silmarillion
[6]
서적
[7]
서적
Turambar and the Foalókë
[8]
서적
Quenta Silmarillion
[9]
서적
Appendix A (III)
[10]
백과사전
Melian
Routledge
[11]
웹사이트
Exploring the People of Middle-earth: Melian, Divine Enchantress and Deathless Queen
https://www.tor.com/[...]
2020-03-05
[12]
서적
"The Istari"
[13]
백과사전
Wizards
Routledge
[14]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Tolkien
https://archive.org/[...]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5]
간행물
The Gift of Death
https://dc.swosu.edu[...]
1997
[16]
백과사전
Maiar
Routledge
[17]
서적
[18]
문서
女性単数形は'''マイエ'''({{ラテン翻字|qya|Maie}})、複数形は'''マイエア'''({{ラテン翻字|qya|Maier}})。
[19]
서적
The History of Middle-earth, vol.10 Morgoth's Ring
Harper Collins
[20]
서적
新版 シルマリルの物語
評論社
[21]
서적
The History of Middle-earth, vol.10 Morgoth's Ring
Harper Collins
[22]
문서
初期の設定ではMaiar、ÚmaiarはそれぞれVanimor、Úvanimor とされていた。
[23]
서적
新版 シルマリルの物語
評論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