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테미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테미아는 약 550만 년 전 지중해 지역에서 분화된 것으로 보이는 7~9종의 그룹으로 구성된 갑각류의 일종이다. 25‰에서 250‰까지의 넓은 염분 농도에서 생존 가능하며, 엽각을 이용해 헤엄치고, 난태생 또는 내구란을 통해 번식한다. 어류 및 갑각류 유생의 먹이로 널리 사용되며, 독성 검정, 우주 방사선 실험 등에도 활용된다. 또한, 씨몽키라는 이름으로 애완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각강 - 긴꼬리투구새우
    긴꼬리투구새우는 최대 75mm까지 자라는 긴 꼬리와 두흉부가 없는 갑각을 가진 담수 갑각류로, 다양한 생식 전략을 보이며 잡식성이고 일시적 수역에 서식하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 새각강 - 물벼룩
    물벼룩은 갑각류의 일종으로, 다양한 수생 서식지에 살면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먹이 역할을 하며, 최초로 게놈이 해독된 갑각류로서 유전자 연구와 생태 독성 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애완동물 - 인공수정
    인공수정은 정자를 인위적으로 자궁에 주입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난임 치료에 사용되며 윤리적, 사회적 문제 및 법적 제한과 관련이 있고, 동물 인공수정은 가축 개량 등에 활용된다.
  • 애완동물 - 요크셔 테리어
    요크셔 테리어는 19세기 영국 요크셔에서 탄생한 소형견으로, 쥐잡이 개에서 빅토리아 시대 인기를 얻어 켄넬클럽에 인정받았으며, 긴 털과 애정 어린 성격을 지녔지만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평균 수명은 12~14년이다.
아르테미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르테미아 살리나 짝짓기 쌍 - 왼쪽 암컷, 오른쪽 수컷
아르테미아 살리나 짝짓기 쌍 - 왼쪽 암컷, 오른쪽 수컷
학명Artemia Leach, 1819
어원그리스어 artemes (아르테메스, 여신 이름에서 유래)
고대 그리스어 artemia (고기 써는 사람)
영어 이름Brine shrimp (브라인 쉬림프)
Sea monkey (씨몽키)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아문갑각아문
새각강
아강살소스트라카아강
무갑목 (호우넨에비목)
호우넨에비모도키과
하위 분류
Artemia franciscana (아르테미아 프란시스코나)
Artemia monica (아르테미아 모니카)
Artemia persimilis (아르테미아 페르시밀리스)
Artemia salina (아르테미아 살리나)
Artemia sinica (아르테미아 시니카)
Artemia tibetiana (아르테미아 티베티아나)
Artemia urmiana (아르테미아 우르미아나)
Artemia amati (아르테미아 아마티)
Artemia sorgeloosi (아르테미아 소르겔로오시)
단성생식 개체군 (Artemia parthenogenetica (아르테미아 파르테노게네티카)라고도 함, 논쟁 중)
생태 및 용도
서식지염수호, 바닷물
용도양식용 먹이, 애완동물 먹이, 실험용
역사
기록기원후 10세기 초 우르미아 호에서 아르테미아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있음

2. 특징

''아르테미아''(Artemia)는 약 550만 년 전, 메시니안 염분 위기 즈음에 지중해 지역에서 살았던 조상 종으로부터 분화된 것으로 보이는 7~9종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6]

겐트 대학교 수산 및 아르테미아 참조 센터는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1,700개 이상의 ''아르테미아'' 개체군 표본을 포함하는 낭포 은행인 가장 큰 ''아르테미아'' 낭포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7]

''아르테미아''는 넓은 잎 모양의 부속지가 부착된 분절된 몸체를 가진 전형적인 원시적인 절지동물이다. 몸은 보통 19개의 분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 11개에는 한 쌍의 부속지가 있고, 다음 두 개는 종종 융합되어 생식 기관을 운반하며, 마지막 분절은 꼬리로 이어진다.[8] 전체 길이는 보통 성체 수컷의 경우 약 8-10mm, 암컷의 경우 10-12mm이며, 다리를 포함한 양성체의 너비는 약 4mm이다.

==== 신체 구조 ====

아르테미아의 몸은 머리, 가슴, 복부로 나뉜다.[9] 몸 전체는 얇고 유연한 키틴질의 외골격으로 덮여 있으며, 내부에 근육이 부착되어 있고 주기적으로 벗겨진다.[9] 암컷 아르테미아의 경우, 모든 배란 전에 탈피가 일어난다.[9]

머리에는 한 쌍의 겹눈과 노플리우스 눈이 있다.[9] 유연한 자루에 장착된 두 개의 넓게 분리된 겹눈은 성체의 주요 시각 감각 기관이다.[9] 중앙 눈, 즉 노플리우스 눈은 머리 중앙 앞쪽에 위치하며 유생(노플리)에서 유일하게 기능하는 시각 감각 기관이며, 성체 단계까지 기능한다.[9] 제1 촉각은 실 모양으로 뻗어 있다. 제2 촉각은 암컷에서는 작고, 수컷에서는 암컷을 파악하기 위해 발달되어 사슴벌레의 큰 턱을 가슴 위에 접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흉부는 10개 이상의 체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마디에 한 쌍의 엽각이 있다. 엽각은 앞쪽의 것이 가장 길고 뒤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암컷은 엽각의 마지막 부분에 알이 들어가는 보육낭을 가지고 있다. 복부는 가늘고, 마지막에 한 쌍의 미모가 있다. 헤엄치기, 소화, 생식 등 많은 기능은 뇌를 통해 제어되지 않으며, 대신 국소 신경계 신경절이 이러한 기능의 일부 조절 또는 동기화를 제어할 수 있다.[9] 방어 목적으로 신체의 일부를 자발적으로 탈락시키는 자절 또한 신경계를 따라 국소적으로 제어된다.[8]

==== 생태 ====

아르테미아는 25‰에서 250‰까지의 넓은 염분 농도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최적 범위는 60‰–100‰이다.[10] 이러한 환경은 포식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생태적 지위를 제공한다.[11] 생리적으로 최적의 염분 농도는 약 30–35‰이지만, 이러한 염분 농도에서는 포식자가 많기 때문에 60–80‰ 미만의 염분 농도에서는 자연 서식지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10][11] 운동은 쌍으로 작용하는 부속지의 리듬감 있는 박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호흡은 다리 표면의 깃털 모양 판(판상 부속지)을 통해 일어난다.[8]

''아르테미아'' 낭배


몸은 가늘고 연약하며 전체적으로 흰색을 띠며 투명하다. 머리 부분에는 한 쌍의 겹눈이 튀어나와 있고, 제1 촉각은 실 모양으로 뻗어 있다. 제2 촉각은 암컷에서는 작고, 수컷에서는 암컷을 파악하기 위해 발달되어 사슴벌레의 큰 턱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머리에 이어진 몸은 흉부와 복부로 나뉘며, 흉부에는 다수의 엽각이 달려 있고 암컷은 엽각 마지막 부분에 보육낭을 가지고 있다. 복부는 가늘고 마지막에 한 쌍의 미모가 있다.

항상 엽각을 움직여 물속을 헤엄치며 생활한다. 기본적인 자세는 복면을 위로 향하는 것이지만, 비교적 자유롭게 자세를 바꾼다. 일본의 논에 서식하는 알테미아와 매우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다. 유럽, 북아메리카 등의 내륙 염호 (유명한 곳으로는 본네빌 소금 사막 등)에 많이 서식한다. 일본에서도 염전에서 발생한 사례가 있지만,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2. 1. 신체 구조

아르테미아의 몸은 머리, 가슴, 복부로 나뉜다.[9] 몸 전체는 얇고 유연한 키틴질의 외골격으로 덮여 있으며, 내부에 근육이 부착되어 있고 주기적으로 벗겨진다.[9] 암컷 아르테미아의 경우, 모든 배란 전에 탈피가 일어난다.[9]

머리에는 한 쌍의 겹눈과 노플리우스 눈이 있다.[9] 유연한 자루에 장착된 두 개의 넓게 분리된 겹눈은 성체의 주요 시각 감각 기관이다.[9] 중앙 눈, 즉 노플리우스 눈은 머리 중앙 앞쪽에 위치하며 유생(노플리)에서 유일하게 기능하는 시각 감각 기관이며, 성체 단계까지 기능한다.[9] 제1 촉각은 실 모양으로 뻗어 있다. 제2 촉각은 암컷에서는 작고, 수컷에서는 암컷을 파악하기 위해 발달되어 사슴벌레의 큰 턱을 가슴 위에 접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흉부는 10개 이상의 체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마디에 한 쌍의 엽각이 있다. 엽각은 앞쪽의 것이 가장 길고 뒤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암컷은 엽각의 마지막 부분에 알이 들어가는 보육낭을 가지고 있다. 복부는 가늘고, 마지막에 한 쌍의 미모가 있다. 헤엄치기, 소화, 생식 등 많은 기능은 뇌를 통해 제어되지 않으며, 대신 국소 신경계 신경절이 이러한 기능의 일부 조절 또는 동기화를 제어할 수 있다.[9] 방어 목적으로 신체의 일부를 자발적으로 탈락시키는 자절 또한 신경계를 따라 국소적으로 제어된다.[8]

2. 2. 생태

아르테미아는 25‰에서 250‰까지의 넓은 염분 농도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최적 범위는 60‰–100‰이다.[10] 이러한 환경은 포식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생태적 지위를 제공한다.[11] 생리적으로 최적의 염분 농도는 약 30–35‰이지만, 이러한 염분 농도에서는 포식자가 많기 때문에 60–80‰ 미만의 염분 농도에서는 자연 서식지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10][11] 운동은 쌍으로 작용하는 부속지의 리듬감 있는 박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호흡은 다리 표면의 깃털 모양 판(판상 부속지)을 통해 일어난다.[8]

몸은 가늘고 연약하며 전체적으로 흰색을 띠며 투명하다. 머리 부분에는 한 쌍의 겹눈이 튀어나와 있고, 제1 촉각은 실 모양으로 뻗어 있다. 제2 촉각은 암컷에서는 작고, 수컷에서는 암컷을 파악하기 위해 발달되어 사슴벌레의 큰 턱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머리에 이어진 몸은 흉부와 복부로 나뉘며, 흉부에는 다수의 엽각이 달려 있고 암컷은 엽각 마지막 부분에 보육낭을 가지고 있다. 복부는 가늘고 마지막에 한 쌍의 미모가 있다.

항상 엽각을 움직여 물속을 헤엄치며 생활한다. 기본적인 자세는 복면을 위로 향하는 것이지만, 비교적 자유롭게 자세를 바꾼다.

3. 생식

수컷은 암컷과 달리 두 번째 촉각이 현저하게 커지고, 짝짓기에 사용되는 껴안는 기관으로 변형되어 있다.[12]

성체 암컷 브라인 슈림프는 약 140시간마다 배란한다. 유리한 조건에서 암컷 브라인 슈림프는 거의 즉시 부화하는 알을 생산할 수 있다. 반면, 낮은 산소 수준이나 150‰ 이상의 염분과 같은 극한 조건에서는 암컷 브라인 슈림프가 갈색의 난각 코팅이 있는 알을 생산한다. 또한 낭포라고도 알려진 이 알은 대사적으로 비활성화되어 건조하고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2년 동안 완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심지어 영하의 온도에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은 "숨겨진 생명"을 의미하는 은생이라고 불린다. 은생 상태에서 브라인 슈림프 알은 액체 공기 온도(-190°C)를 견딜 수 있으며, 소량은 끓는 온도(105°C) 이상에서도 최대 2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11]

알을 소금물에 넣으면 몇 시간 안에 부화한다. 처음 부화할 때 노플리우스 유충의 길이는 0.4 mm 미만이다.

부화 직후[36]의 노플리우스 유생은 두 쌍의 촉각과 한 쌍의 큰 턱을 가지고 있으며, 1개의 노플리우스 눈(단안)이 있다. 몸은 앞쪽이 넓은 삼각형 모양이며, 몸길이는 약 1mm 미만이고, 전신이 주홍색을 띤 붉은색이다. 약 12시간 만에 난황을 다 소모하고, 첫 번째 탈피를 한다. 식물 플랑크톤을 촉각으로 포식하며, 탈피마다 몸길이가 늘어나고 가슴 부위의 잎다리를 늘려가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촉각은 작아진다. 약 15번 정도 탈피하면 성체가 된다.

번식 시 수컷은 암컷을 따라가며, 머리 부분의 파악기로 암컷의 몸을 뒤에서 아래쪽으로 파악하고, 잠시 연결된 채로 헤엄친다. 종에 따라서는 단성생식도 한다. 수정 후 암컷은 200개에서 300개의 알을 난낭으로 품고, 환경이 좋으면 그대로 부화하는 난태생 생식을 1주일 정도 간격으로 2개월 이상 계속한다.

건기 등으로 환경이 악화되면 암컷은 건조에 견디며 장기간 휴면할 수 있는 내구란(시스트)을 낳는다. 내구란은 염분 농도가 높은 수면에 뜨거나, 건조한 호수 바닥에서 때로는 수년간 환경의 회복을 기다려 부화한다. 이 현상에는 물곰이나 요정날개파리 등의 크립토비오시스와 마찬가지로 이당류인 트레할로스를 함유하는 것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3. 1. 번식 방법

수컷 아르테미아는 암컷과 달리 두 번째 촉각이 크고 껴안는 기관으로 변형되어 짝짓기에 사용한다.[12] 성체 암컷은 약 140시간마다 배란하며, 유리한 조건에서는 즉시 부화하는 알을 생산한다. 그러나 낮은 산소 수준이나 150‰ 이상의 염분과 같은 극한 조건에서는 암컷은 갈색의 난각 코팅이 있는 낭포를 생산하는데, 이 알은 대사적으로 비활성 상태이며, 건조하고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2년 동안 완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11] 이러한 특징은 "숨겨진 생명"을 의미하는 은생이라고 불린다.[11] 은생 상태에서 아르테미아 알은 액체 공기 온도(-190°C)를 견딜 수 있으며, 소량은 끓는 온도(105°C) 이상에서도 최대 2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11]

번식 시 수컷은 머리 부분의 파악기로 암컷의 몸을 뒤에서 아래쪽으로 파악하고 잠시 연결된 채로 헤엄친다. 종에 따라서는 단성생식도 한다. 수정 후 암컷은 200개에서 300개의 알을 난낭으로 품고, 환경이 좋으면 그대로 부화하는 난태생 생식을 1주일 정도 간격으로 2개월 이상 계속한다. 건기 등으로 환경이 악화되면 암컷은 건조에 견디며 장기간 휴면할 수 있는 내구란(시스트)을 낳는다. 내구란은 염분 농도가 높은 수면에 뜨거나, 건조한 호수 바닥에서 때로는 수년간 환경의 회복을 기다려 부화한다.

3. 2. 생식 주기

암컷 브라인 슈림프는 약 140시간마다 배란한다.[36] 종에 따라서는 단성생식도 한다. 수정 후 암컷은 200개에서 300개의 알을 난낭으로 품고, 환경이 좋으면 그대로 부화하는 난태생 생식을 1주일 정도 간격으로 2개월 이상 계속한다.[36]

건기 등으로 환경이 악화되면 암컷은 건조에 견디며 장기간 휴면할 수 있는 내구란(시스트)을 낳는다. 내구란은 염분 농도가 높은 수면에 뜨거나, 건조한 호수 바닥에서 때로는 수년간 환경의 회복을 기다려 부화한다.[36] 이 현상에는 물곰이나 요정날개파리 등의 크립토비오시스와 마찬가지로 이당류인 트레할로스를 함유하는 것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3. 3. 휴면 (은생, Cryptobiosis)

성체 암컷 브라인 슈림프는 약 140시간마다 배란한다. 낮은 산소 농도나 150‰ 이상의 염분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는 암컷이 갈색의 난각 코팅이 있는 낭포(내구란)를 생산한다.[11] 이 낭포는 대사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건조, 산소 부족, 영하의 온도 등 극한 환경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있다.[11] 이러한 특징을 "숨겨진 생명"이라는 뜻의 은생이라고 한다.[11] 은생 상태에서 브라인 슈림프 알은 액체 공기 온도(-190°C)를 견딜 수 있으며, 소량은 끓는 온도(105°C) 이상에서도 최대 2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11] 건기 등으로 환경이 악화되면 암컷은 내구란을 낳고, 건조한 호수 바닥에서 때로는 수년간 환경의 회복을 기다려 부화한다. 이 현상에는 물곰이나 요정날개파리 등의 은생과 마찬가지로 이당류인 트레할로스를 함유하는 것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3. 4. 처녀생식 (단성생식)

처녀생식수정 없이 배아의 성장과 발달이 일어나는 자연적인 번식 형태이다.[13] 여성생식은 수정되지 않은 난자로부터 암컷 개체의 발달이 일어나는 처녀생식의 특정한 형태이다.[13] 아르테미아는 중앙 융합과 낮지만 0이 아닌 재조합을 보이는 자가혼합 처녀생식으로 번식한다.[13] 감수 분열의 두 개의 반수체 산물의 중앙 융합은 어미에서 자손으로 유전체의 전달 과정에서 접합성을 유지하고 근친교배 우울증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13] 감수 분열 동안의 낮은 교차 재조합은 연속적인 세대에 걸쳐 이형접합성에서 동형접합성으로의 전환을 억제할 가능성이 높다.[13]

4. 생활사



부화 직후[36]의 노플리우스 유생은 두 쌍의 촉각과 한 쌍의 큰 턱을 가지고 있으며, 1개의 노플리우스 눈(단안)이 있다. 몸은 앞쪽이 넓은 삼각형 모양이며, 몸길이는 약 1mm 미만이고, 전신이 주홍색을 띤 붉은색이다. 약 12시간 만에 난황을 다 소모하고, 첫 번째 탈피를 한다. 식물 플랑크톤을 촉각으로 포식하며, 탈피마다 몸길이가 늘어나고 가슴 부위의 잎다리를 늘려가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촉각은 작아진다. 약 15번 정도 탈피하면 성체가 된다.

번식 시 수컷은 암컷을 따라가며, 머리 부분의 파악기로 암컷의 몸을 뒤에서 아래쪽으로 파악하고, 잠시 연결된 채로 헤엄친다. 종에 따라서는 단성생식도 한다. 수정 후 암컷은 200개에서 300개의 알을 난낭으로 품고, 환경이 좋으면 그대로 부화하는 난태생 생식을 1주일 정도 간격으로 2개월 이상 계속한다.

건기 등으로 환경이 악화되면 암컷은 건조에 견디며 장기간 휴면할 수 있는 내구란(시스트)을 낳는다. 내구란은 염분 농도가 높은 수면에 뜨거나, 건조한 호수 바닥에서 때로는 수년간 환경의 회복을 기다려 부화한다. 이 현상에는 물곰이나 요정날개파리 등의 크립토비오시스와 마찬가지로 이당류인 트레할로스를 함유하는 것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4. 1. 부화

낭포는 염수에 넣으면 몇 시간 안에 부화한다.[36] 부화 직후의 노플리우스 유생은 두 쌍의 촉각과 한 쌍의 큰 턱, 그리고 1개의 단안을 가지고 있다. 몸은 앞쪽이 넓은 삼각형 모양이며, 몸길이는 약 1mm 미만이고, 전신이 주홍색을 띤 붉은색이다. 약 12시간 만에 난황을 다 소모하고 첫 번째 탈피를 한다. 식물 플랑크톤을 촉각으로 포식하며, 탈피마다 몸길이가 늘어나고 가슴 부위의 잎다리를 늘려가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촉각은 작아진다. 약 15번 정도 탈피하면 성체가 된다.

4. 2. 노플리우스 유생

부화 직후[36]의 노플리우스 유생은 두 쌍의 촉각과 한 쌍의 큰 턱을 가지고 있으며, 1개의 노플리우스 눈(단안)이 있다. 몸은 앞쪽이 넓은 삼각형 모양이며, 몸길이는 약 1mm 미만이고, 전신이 주홍색을 띤 붉은색이다. 약 12시간 만에 난황을 다 소모하고, 첫 번째 탈피를 한다.[36]

4. 3. 성장 및 성숙

아르테미아는 발달의 첫 번째 단계에서 먹이를 먹지 않고 낭포에 저장된 자체 에너지 비축량을 소비한다.[14] 야생 아르테미아는 미세한 플랑크톤 조류를 먹는다. 배양된 아르테미아는 효모, 가루, 대두 분말 또는 계란 노른자를 포함한 입자성 먹이를 먹일 수도 있다.[15]

부화 직후[36]의 노플리우스 유생은 두 쌍의 촉각과 한 쌍의 큰 턱을 가지고 있으며, 1개의 노플리우스 눈이 있다. 몸은 앞쪽이 넓은 삼각형 모양이며, 몸길이는 약 1mm 미만이고, 전신이 주홍색을 띤 붉은색이다. 약 12시간 만에 난황을 다 소모하고, 첫 번째 탈피를 한다. 식물 플랑크톤을 촉각으로 포식하며, 탈피마다 몸길이가 늘어나고 가슴 부위의 잎다리를 늘려가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촉각은 작아진다. 약 15번 정도 탈피하면 성체가 된다.

5. 분류

아르테미아 프란시스카나[34], 아르테미아 모니카, 아르테미아 페르시밀리스, 아르테미아 살리나(Artemia salina), 아르테미아 시니카, 아르테미아 티베티아나, 아르테미아 우르미아나, 단성생식 개체군 등이 아르테미아의 종에 속한다.

5. 1. 종 목록

아르테미아 프란시스카나[34], 아르테미아 모니카, 아르테미아 페르시밀리스, 아르테미아 살리나(Artemia salina), 아르테미아 시니카, 아르테미아 티베티아나, 아르테미아 우르미아나, 단성생식 개체군 등이 아르테미아의 종에 속한다.

6. 유전학

''아르테미아''는 유성 생식을 하는 이배체 종과 다양한 클론과 배수성(2n->5n)으로 구성된 여러 강제적 처녀생식 ''아르테미아'' 개체군으로 구성된다.[16] 여러 유전자 지도가 ''아르테미아''에 대해 발표되었다.[17][18]

지난 몇 년 동안, ''아르테미아''의 염분 스트레스,[19][20] 독소,[21] 감염[22]휴면 종료[23]와 같은 생물학적 반응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전사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아르테미아'' 전사체가 완전히 조립되었다. 최근 ''아르테미아'' 게놈이 조립되고 주석 처리되어, 독특하게 58%의 반복을 포함하는 게놈, 비정상적으로 긴 인트론을 가진 유전자 및 고염분 및 저산소 환경에서 ''아르테미아''의 극호성 생물 특성에 고유한 적응을 밝혀냈다.[24] 이러한 적응에는 식물의 염 배설 전략과 유사한 독특한 에너지 집약적인 세포내이입 기반 염 배설 전략과 극호성 완보동물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극한 환경 생존 전략이 포함된다.[24]

6. 1. 유전체 및 전사체 연구

아르테미아는 유성 생식을 하는 이배체 종과 다양한 클론과 배수성(2n->5n)으로 구성된 여러 강제적 처녀생식 ''아르테미아'' 개체군으로 구성된다.[16] 여러 유전자 지도가 ''아르테미아''에 대해 발표되었다.[17][18]

지난 몇 년 동안, ''아르테미아''의 염분 스트레스,[19][20] 독소,[21] 감염[22]휴면 종료[23]와 같은 생물학적 반응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전사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아르테미아'' 전사체가 완전히 조립되었다. 최근 ''아르테미아'' 게놈이 조립되고 주석 처리되어, 독특하게 58%의 반복을 포함하는 게놈, 비정상적으로 긴 인트론을 가진 유전자 및 고염분 및 저산소 환경에서 ''아르테미아''의 극호성 생물 특성에 고유한 적응을 밝혀냈다.[24] 이러한 적응에는 식물의 염 배설 전략과 유사한 독특한 에너지 집약적인 세포내이입 기반 염 배설 전략과 극호성 완보동물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극한 환경 생존 전략이 포함된다.[24]

6. 2. 극한 환경 적응

''아르테미아''는 고염분 및 저산소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독특한 적응 기작을 가지고 있다.[24] 식물과 유사하게 에너지 집약적인 세포내이입 기반 염 배설 전략을 사용하며,[24] 이는 극호성 완보동물과 공유하는 극한 환경 생존 전략의 일부이다.[24]

7. 인간과의 관계

아르테미아는 어류 및 갑각류 유생의 먹이로 널리 사용된다.[37] 낭포 유생은 시스트로부터 하루 만에 부화하여 어류 및 갑각류 유생에게 먹이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령기 I 및 령기 II 낭배 유생은 조작이 쉽고 영양가가 풍부하며 작아서 양식에 적합하다. 식물 플랑크톤이나 빵 효모 등을 먹이로 양식하며, 2주 정도면 체장 약 1cm가 된다.[37]

샌프란시스코 만 염전


건조 내구란은 보관이 용이하며 염수에 넣으면 1일 정도에 부화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동물성 플랑크톤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관상어 사육 및 번식용으로 주로 미국 유타 주의 그레이트 솔트 호와 샌프란시스코 만산 ''Artemia franciscana''가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새우 등의 양식용으로 저렴한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산도 이용되고 있다.

열대어나 해수어 번식에서는 후기 자어나 치어의 사료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아주 작은 과립으로, 물고기가 기꺼이 먹는 것을 지속적으로 대량으로 찾는 것은 소규모 사업자나 개인 애호가에게는 어렵다. 이 때문에, 미소한 생먹이가 필요한 해마, 해파리, 말미잘의 사육에도 사용된다. 또한 더 작은 먹이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수어용으로 윤충류가 사용된다.

이 외에도 수생 환경 급성 유해성 시험의 시험 생물로 사용되며, 물질 안전 보건 자료 (MSDS)나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 (CERI) 등의 데이터의 근간이 되고 있다. STS-47 등의 우주 왕복선에 실려 우주 방사선 영향 실험에도 사용되었다.

대한민국은 미국, 중국, 태국 등에서 아르테미아를 수입하고 있다.[37]

아르테미아는 독성 검정에 사용되는 모델 생물 중 하나로, 수생 환경 급성 유해성 시험의 시험 생물로 사용된다.[25] 물질 안전 보건 자료(MSDS)나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CERI) 등의 데이터의 근간이 되고 있다.

오염 연구에서 브라인 슈림프인 아르테미아는 시험 생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실험실에서 포유류의 독성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6] 수백만 마리의 브라인 슈림프를 쉽게 사육할 수 있다는 점은, 잘 통제된 실험 조건에서 많은 수의 오염 물질이 새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아르테미아는 생명체에 대한 우주 방사선의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 우주로 보내졌다. 바다새우 낭포는 미국 바이오새틀라이트 2, 아폴로 16호, 아폴로 17호 임무와 러시아 비온-3(코스모스 782), 비온-5(코스모스 1129), 포톤 10호, 포톤 11호 비행에 실려 보내졌다.[32] 아폴로 16호와 아폴로 17호에서 낭포는 로 가서 다시 돌아왔으며, 알을 통과하는 우주선은 용기 안의 사진 필름에서 감지되었다.[32]

실험 대조군으로 지구에 보관된 알과, 우주선 이륙 시의 흔들림과 가속을 재현하기 위해 중력의 7배 힘으로 가속된 알 낭포도 있었다.[32] 각 실험군에는 약 400개의 알이 있었고, 최적의 조건에서 부화하기 위해 소금물에 넣었다. 실험 결과, ''A. salina'' 알은 우주 방사선에 매우 민감하며, 영향을 받은 알에서 발생하도록 유도된 배아의 90%가 다양한 발달 단계에서 사망했다.[33] STS-47 등의 우주 왕복선에 실려 우주 방사선 영향 실험에도 사용되었다.[37]

전반적으로 브라인 슈림프는 풍부하지만, 일부 개체군과 지역 고유종은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특히 외래종에 의한 서식지 감소가 주요 원인이다.[27][28] 예를 들어, 아메리카 대륙의 ''A. franciscana''는 원래 서식지 밖으로 널리 유입되었으며, 지중해 지역의 ''A. salina''와 같은 지역 종을 능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란 우르미아 호수의 ''A. urmiana''는 가뭄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여 거의 멸종될 위기에 처했으나,[29] 최근 우크라이나 코야시스코예 염호에서 두 번째 개체군이 발견되었다.[30] 캘리포니아주 모노 호수의 ''A. monica'' (
''Artemia monica'' (수컷)
)는 한때 로스앤젤레스 수도전력국의 물 공급 변경으로 염분과 수산화 나트륨 농도가 증가하여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될 뻔했으나, 캘리포니아 주 수자원 관리 위원회의 정책 개정으로 위협에서 벗어났다.[31]

아르테미아는 사육이 쉽고 독특한 외형 덕분에 애완용, 관상용, 과학 교재 등으로 활용된다.[38][39] 특히 미국 유타 주의 그레이트 솔트 호와 샌프란시스코 만산 ''Artemia franciscana''가 관상어 사육 및 번식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37] 최근에는 새우 양식용으로 저렴한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산 아르테미아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아르테미아는 미세한 생먹이를 필요로 하는 해마, 해파리, 말미잘 사육에도 사용된다.

'씨몽키(Sea Monkey)'는 미국의 통신 판매업자 브라운하트(:en:Harold von Braunhut)에 의해 개발된 아르테미아 교배종으로, 1957년 '인스턴트 라이프', 1962년 '씨몽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38] 이 품종은 ''Artemia NYOS''라고 명명되었으며, 현재 씨몽키는 이 품종만을 지칭한다.[38] 1962년 특허에서는 ''A. salina'' 등의 브라인 슈림프 알 등으로 기술되어 있다.[39]

일본에서는 1960년대에 텐요가 통신 판매 상품으로, 1987년에는 츠쿠다 오리지널이, 츠쿠다 도산 후에는 2019년에 해피넷이 각각 씨몽키를 판매했다.[40] 작은 플라스틱 수조에 2종류의 건조 분말과 먹이가 세트로 구성되었으며, 텐요판 제품에는 아르테미아 몸통에 사람 얼굴과 손발이 달린 그림이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유령새우', '에비조 군' 등의 상품명으로 과학 교재로 판매되기도 한다.

7. 1. 양식

아르테미아는 어류 및 갑각류 유생의 먹이로 널리 사용된다.[37] 낭포 유생은 시스트로부터 하루 만에 부화하여 어류 및 갑각류 유생에게 먹이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령기 I 및 령기 II 낭배 유생은 조작이 쉽고 영양가가 풍부하며 작아서 양식에 적합하다. 식물 플랑크톤이나 빵 효모 등을 먹이로 양식하며, 2주 정도면 체장 약 1cm가 된다.[37]

건조 내구란은 보관이 용이하며 염수에 넣으면 1일 정도에 부화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동물성 플랑크톤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관상어 사육 및 번식용으로 주로 미국 유타 주의 그레이트 솔트 호와 샌프란시스코 만산 ''Artemia franciscana''가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새우 등의 양식용으로 저렴한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산도 이용되고 있다.

열대어나 해수어 번식에서는 후기 자어나 치어의 사료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아주 작은 과립으로, 물고기가 기꺼이 먹는 것을 지속적으로 대량으로 찾는 것은 소규모 사업자나 개인 애호가에게는 어렵다. 이 때문에, 미소한 생먹이가 필요한 해마, 해파리, 말미잘의 사육에도 사용된다. 또한 더 작은 먹이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수어용으로 윤충류가 사용된다.

이 외에도 수생 환경 급성 유해성 시험의 시험 생물로 사용되며, 물질 안전 보건 자료 (MSDS)나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 (CERI) 등의 데이터의 근간이 되고 있다. STS-47 등의 우주 왕복선에 실려 우주 방사선 영향 실험에도 사용되었다.

대한민국은 미국, 중국, 태국 등에서 아르테미아를 수입하고 있다.[37]

7. 2. 독성 검정

아르테미아는 독성 검정에 사용되는 모델 생물 중 하나로, 수생 환경 급성 유해성 시험의 시험 생물로 사용된다.[25] 물질 안전 보건 자료(MSDS)나 화학 물질 평가 연구 기구(CERI) 등의 데이터의 근간이 되고 있다.

오염 연구에서 브라인 슈림프인 아르테미아는 시험 생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실험실에서 포유류의 독성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6] 수백만 마리의 브라인 슈림프를 쉽게 사육할 수 있다는 점은, 잘 통제된 실험 조건에서 많은 수의 오염 물질이 새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7. 3. 우주 실험

아르테미아는 생명체에 대한 우주 방사선의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 우주로 보내졌다. 바다새우 낭포는 미국 바이오새틀라이트 2, 아폴로 16호, 아폴로 17호 임무와 러시아 비온-3(코스모스 782), 비온-5(코스모스 1129), 포톤 10호, 포톤 11호 비행에 실려 보내졌다.[32] 아폴로 16호와 아폴로 17호에서 낭포는 로 가서 다시 돌아왔으며, 알을 통과하는 우주선은 용기 안의 사진 필름에서 감지되었다.[32]

실험 대조군으로 지구에 보관된 알과, 우주선 이륙 시의 흔들림과 가속을 재현하기 위해 중력의 7배 힘으로 가속된 알 낭포도 있었다.[32] 각 실험군에는 약 400개의 알이 있었고, 최적의 조건에서 부화하기 위해 소금물에 넣었다. 실험 결과, ''A. salina'' 알은 우주 방사선에 매우 민감하며, 영향을 받은 알에서 발생하도록 유도된 배아의 90%가 다양한 발달 단계에서 사망했다.[33] STS-47 등의 우주 왕복선에 실려 우주 방사선 영향 실험에도 사용되었다.[37]

7. 4. 보존

전반적으로 브라인 슈림프는 풍부하지만, 일부 개체군과 지역 고유종은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특히 외래종에 의한 서식지 감소가 주요 원인이다.[27][28] 예를 들어, 아메리카 대륙의 ''A. franciscana''는 원래 서식지 밖으로 널리 유입되었으며, 지중해 지역의 ''A. salina''와 같은 지역 종을 능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란 우르미아 호수의 ''A. urmiana''는 가뭄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여 거의 멸종될 위기에 처했으나,[29] 최근 우크라이나 코야시스코예 염호에서 두 번째 개체군이 발견되었다.[30] 캘리포니아주 모노 호수의 ''A. monica'' ()는 한때 로스앤젤레스 수도전력국의 물 공급 변경으로 염분과 수산화 나트륨 농도가 증가하여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될 뻔했으나, 캘리포니아 주 수자원 관리 위원회의 정책 개정으로 위협에서 벗어났다.[31]

7. 5. 기타 (씨몽키 등)

아르테미아는 사육이 쉽고 독특한 외형 덕분에 애완용, 관상용, 과학 교재 등으로 활용된다.[38][39] 특히 미국 유타 주의 그레이트 솔트 호와 샌프란시스코 만산 ''Artemia franciscana''가 관상어 사육 및 번식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37] 최근에는 새우 양식용으로 저렴한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산 아르테미아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아르테미아는 미세한 생먹이를 필요로 하는 해마, 해파리, 말미잘 사육에도 사용된다.

'씨몽키(Sea Monkey)'는 미국의 통신 판매업자 브라운하트(:en:Harold von Braunhut)에 의해 개발된 아르테미아 교배종으로, 1957년 '인스턴트 라이프', 1962년 '씨몽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38] 이 품종은 ''Artemia NYOS''라고 명명되었으며, 현재 씨몽키는 이 품종만을 지칭한다.[38] 1962년 특허에서는 ''A. salina'' 등의 브라인 슈림프 알 등으로 기술되어 있다.[39]

일본에서는 1960년대에 텐요가 통신 판매 상품으로, 1987년에는 츠쿠다 오리지널이, 츠쿠다 도산 후에는 2019년에 해피넷이 각각 씨몽키를 판매했다.[40] 작은 플라스틱 수조에 2종류의 건조 분말과 먹이가 세트로 구성되었으며, 텐요판 제품에는 아르테미아 몸통에 사람 얼굴과 손발이 달린 그림이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유령새우', '에비조 군' 등의 상품명으로 과학 교재로 판매되기도 한다.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problematic Asian species of Artemia Leach, 1819 (Crustacea, Anostraca), with the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https://www.research[...]
[2] 논문 Updating historical record on brine shrimp Artemia (Crustacea: Anostraca) from Urmia Lake (Iran) in the first half of the 10th century AD http://www.alireza-a[...] 2016-11-24
[3] 논문 Historical record on brine shrimp ''Artemia'' more than one thousand years ago from Urmia Lake, Iran http://www.alireza-a[...] 2013-05-17
[4] 서적 Rotifers and ''Artemia'' for Marine Aquaculture: a Training Guide University of Tasmania
[5] 웹사이트 Introduction, biology and ecology of Artemia https://www.fao.org/[...] 2022-10-15
[6] 서적 Artemia'' Research and its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Brine Shrimp ''Artemia'', organised under the patronage of His Majesty the King of Belgium Universa Press
[7] 서적 Genomic tools and sex determination in the extremophile brine shrimp Artemia franciscana UGent
[8] 서적 Biology of Invertebrates C. V. Mosby
[9] 서적 Artemia'': Basic and Applied Bi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 서적 Evaporites: Sediments, Resources and Hydrocarbons https://archive.org/[...] Birkhäuser
[11] 웹사이트 Brine shrimp http://www.drwhitey.[...] Clinton High School Science 2010-03-13
[12] 논문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he frontal knobs of the male brine shrimp
[13] 논문 Automixis in ''Artemia'': solving a century-old controversy
[14] 논문 Use of the brine shrimp, ''Artemia'' spp., in marine fish larviculture http://www.vliz.be/i[...]
[15] 웹사이트 Artemia'' (Brine Shrimp) FAQ 1.1 http://web.cecs.pdx.[...] Portland State University 1997-08-10
[16] 논문 Is polyploidy a persevering accident or an adaptive evolutionary pattern? The case of the brine shrimp Artemia 2011-02-01
[17] 논문 A first AFLP-Based Genetic Linkage Map for Brine Shrimp Artemia franciscana and Its Application in Mapping the Sex Locus 2013-03-04
[18] 논문 Construction of a high-density genetic linkage map and QTL mapping for sex and growth traits in Artemia franciscana https://www.scienced[...] 2021-07-15
[19] 논문 Identification of salt stress response genes using the Artemia transcriptome https://www.scienced[...] 2019-02-01
[20] 논문 Tolerance at the genetic level of the brine shrimp Artemia salina to a wide range of salinity https://www.research[...] 2021-09-02
[21] 논문 Transcriptomic responses of Artemia salina exposed to an environmentally relevant dose of Alexandrium minutum cells or Gonyautoxin2/3 https://www.scienced[...] 2020-01-01
[22] 논문 Transcriptome analysis of Artemia sinica in response to Micrococcus lysodeikticus infection https://www.scienced[...] 2018-10-01
[23] 논문 Transcriptomic analysis elucidates the molecular processes associated with hydrogen peroxide-induced diapause termination in Artemia-encysted embryos 2021-02-19
[24] 논문 The genome of the extremophile Artemia provides insight into strategies to cope with extreme environments 2021-08-31
[25] 웹사이트 Brine shrimp ecology http://www.britishec[...] British Ecological Society
[26] 논문 The use of ''Artemia salina'' in toxicity testing
[27] 논문 Phylogeography and local endemism of the native Mediterranean brine shrimp ''Artemia salina'' (Branchiopoda: Anostraca) 2008
[28] 논문 New distribution record of the brine shrimp Artemia (Crustacea, Branchiopoda, Anostraca) in Tunisia
[29] 뉴스 Lake Urumia's Artemia Face Extinction https://financialtri[...] Financial Tribune 2018-01-29
[30] 논문 A note on the biogeographical origin of the brine shrimp Artemia urmiana Günther, 1899 from Urmia Lake, Iran https://pdfs.semanti[...]
[31] 논문 Endangered and Threatened Wildlife and Plants; 12-Month Finding for a Petition to List the Mono Lake Brine Shrimp as Endangered http://frwebgate3.ac[...]
[32] 논문 The effects of cosmic rays on ''Artemia'' egg cysts
[33] 논문 The biological effectiveness of HZE-particles of cosmic radiation studied in the Apollo 16 and 17 Biostack experiments
[34] 논문 The genus ''Artemia'' Leach, 1819 (Crustacea: Branchiopoda): true and false taxonomical descriptions http://www.alireza-a[...]
[35] 문서 Artemia franciscana http://www.eeob.iast[...]
[36] 문서 吸水後約48時間
[37] 뉴스 NEWS-平成23年2月17日 http://www.pacific-t[...] 太平洋貿易株式会社
[38] 웹사이트 Sea-Monkeys® What are they http://www.sea-monke[...]
[39] 특허 U.S. Patent 3,673,986 http://patft.uspto.g[...]
[40] 웹사이트 テンヨーの歩み http://www.tenyo.co.[...] テンヨー 1971-05
[41] 간행물 Manual on the production and use of live food for aquaculture FAO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