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라우트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라우트주의는 17세기에 프랑스 신학자 모와즈 아미로가 발전시킨 신학 사상으로, 칼빈주의 예정론을 유지하면서도 그리스도의 속죄가 모든 사람을 위해 이루어졌다는 보편적 측면을 강조한다. 아미라우트는 객관적 은혜와 주관적 은혜, 자연적 능력과 도덕적 능력을 구분하며, 인간의 구원을 위해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아미라우트주의는 프랑스, 네덜란드, 스위스 등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미국 식민지 등지에서도 영향을 미쳤다. 정통 칼빈주의자들은 아미라우트주의의 보편 속죄 개념을 비판하며, 제한 속죄 교리를 옹호했다. 한국 장로교 신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속죄의 범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미라우트주의 | |
---|---|
아미라우트주의 | |
![]() | |
분류 | |
신학적 분류 | 기독교, 개신교, 개혁주의 신학 |
창시자 | |
주요 인물 | 모세 아미라우트 |
다른 이름 | |
별칭 | 아미르디안주의, 가설적 보편주의, 사우뮈르 학파 |
기원 | |
발상지 | 프랑스, 소뮈르 |
연도 | 17세기 |
분리 | |
기원 | 칼뱅주의 |
영향 | |
영향 받은 것 | 자연신학 |
주요 교리 | |
특징 | 보편적 속죄 조건적 선택 은혜의 보편적 호소 |
관련 교리 | 예정설, 선택, 속죄 |
지지자 | |
현재 지지자 | 일부 침례교 일부 회중교회 일부 개혁교회 |
반대자 | |
반대 | 고전적 칼뱅주의 특수 속죄 교리 지지자 |
기타 | |
관련 주제 | 칼뱅주의의 다양성 |
2. 역사적 배경
2. 1. 소뮈르 아카데미와 존 캐머런
2. 2. 모와즈 아미로와 아미라우트주의의 발전
모와즈 아미로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스승 존 캐머런이 준비해 놓았던 가상적 또는 조건부 보편주의 교리를 발전시켰다.[11] 그는 칼빈주의 예정론을 유지하면서도 그리스도의 속죄가 모든 사람을 위해 이루어졌다는 보편적 측면을 강조했다.[11] 아미로는 모든 사람에게 제공되는 객관적 은혜와 선택된 자에게만 주어지는 주관적 은혜를 구별했다.[11] 그는 또한 믿을 수 있는 능력(자연적 능력)과 믿으려는 의지(도덕적 능력)를 구별하여, 인간은 자연적 능력은 있으나 타락으로 인해 도덕적 능력은 없다고 보았다.[11] 따라서 의지를 행동으로 이끄는 하나님의 행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1]아미라우트는 무조건적 선택과 유기의 이중 교리를 인정했지만, 이중 예정에 대한 그의 견해는 이중 선택에 대한 그의 견해에 의해 수정되었다.[11] 그는 하나님이 믿음의 조건 하에 모든 사람에게 제공되는 그리스도의 보편적 희생을 통해 보편적 구원을 예정했다고 가르쳤다.[11] 하나님의 뜻과 소원에는 은혜가 보편적이지만 조건에 관해서는 특수하거나 그것을 거부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만 해당하므로 효과가 없다고 보았다.
아미라우트의 교리는 프랑스, 네덜란드 공화국, 스위스의 개혁 교회에 소동을 일으켰지만,[9] 장 달레, 데이비드 블론델 등은 도르트 신조의 교령과 일치한다고 옹호했다.[8] 반면, 피에르 뒤 물랭, 프리드리히 스판하임, 앙드레 리베와 제네바의 신학자들은 반대했다.[9] 알랑송 (1637), 샤랑통-르-퐁 (1645), 루동 (1659)의 국가 시노드는 아미라우트의 파문을 반대했지만, 그의 견해를 제한했다.[11] 그는 교리를 바꾼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방법만 바꿨다고 주장했다.[11]
2. 3. 아미라우트주의 논쟁
아미라우트의 가르침은 프랑스, 네덜란드, 스위스 등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프란시스 튜레틴(Francis Turretin영어) 등은 아미라우트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며 정통 칼뱅주의 입장을 옹호했다. 알랑송, 샤랑통-르-퐁, 루동 시노드는 아미라우트를 이단으로 정죄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견해를 제한하려 했다.2. 4. 17세기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아미라우트주의
존 데이븐앤트는 도르트 신조의 잉글랜드 대표로 참여했으며, 웨스트민스터 회의의 일부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가설적 보편주의, 의도와 충분성의 의미에서의 일반적인 속죄, 십자가의 일반적인 축복, 그리고 조건적인 구원"을 옹호했다.[12] "데이븐앤트 학파의 근본 원리"는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의 구원을 위한 보편적인 열망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이었다.[12] 웨스트민스터 회의에서 속죄에 대한 토론에서 데이븐앤트 학파의 에드먼드 캘러미 장로는 아미랄디즘을 요리 문답에 삽입하려 시도했다.[13]리처드 백스터는 아미라우트보다 덜 칼뱅주의적이었지만, 아미랄디즘의 한 형태를 지지했다. 그는 그리스도의 죽음을 보편적인 구속 행위로 설명했고, 이로 인해 하나님은 회개하는 자에게 사면과 면죄를 제공하는 새로운 법을 제정하셨다고 보았다. 회개와 믿음은 이 법에 순종하는 것으로, 신자의 개인적인 구원의 의가 된다고 주장했다.[14] 백스터가 뿌린 씨앗의 열매는 스코틀랜드의 신율주의적 중도주의와 잉글랜드의 도덕적 유니테리언주의였다."[14]
개혁주의 목사 리처드 백스터에 의해 잉글랜드에서 대중화된 아미랄디즘은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미국 식민지의 회중교도와 일부 장로교 사이에서도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3. 아미라우트주의의 주요 내용
3. 1. 가설적 보편주의
3. 2. 객관적 은혜와 주관적 은혜
3. 3. 자연적 능력과 도덕적 능력
4. 아미라우트주의에 대한 비판과 평가
정통 칼뱅주의자들은 그리스도의 속죄가 선택된 자만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아미라우트주의의 보편 속죄 개념을 비판했다.[16] 모든 사람이 구원받지 못한다면 그리스도가 세상의 모든 사람을 위해 죽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이들은 주장한다. 그러한 믿음은 심판 시 죄에 대한 두 번째 지불, 만인 구원 형태의 채택 또는 형벌 대속 속죄 이론의 포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16]
R. C. 스프라울과 같은 현대 신학자들은 제한 속죄 교리가 실제로 무엇을 가르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고 지적하며, 아미라우트주의가 마르틴 루터가 저항할 수 없는 논리라고 부른 칼뱅주의의 일관성을 훼손한다고 주장했다.[16]
4. 1. 제한 속죄 논쟁
정통 칼뱅주의자들은 그리스도의 속죄가 선택된 자만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아미라우트주의의 보편 속죄 개념을 비판했다.[16] 모든 사람이 구원받지 못한다면 그리스도가 세상의 모든 사람을 위해 죽었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이들은 주장한다. 그러한 믿음은 심판 시 죄에 대한 두 번째 지불, 만인 구원 형태의 채택 또는 형벌 대속 속죄 이론의 포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16]R. C. 스프라울과 같은 현대 신학자들은 제한 속죄 교리가 실제로 무엇을 가르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고 지적하며, 아미라우트주의가 마르틴 루터가 저항할 수 없는 논리라고 부른 칼뱅주의의 일관성을 훼손한다고 주장했다.[16]
4. 2. 한국 장로교 신학에 미친 영향
아미라우트주의는 미국에서는 남침례교, 미국 복음자유교회 등 다양한 복음주의 그룹에서 발견되며,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성공회 교구 소속의 많은 사람들이 수정된 "4점" 칼뱅주의를 따르고 있다.[15] 잉글랜드에서는 앨런 클리포드가 아미라우트주의를 홍보하고 있지만,[15] "5점" 칼뱅주의가 개혁 교회, 장로교 교회 등에서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15]한국 장로교 신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속죄의 범위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부 신학자들은 아미라우트주의를 통해 칼뱅주의의 예정론과 보편적인 복음 전도의 조화를 모색하기도 했으나, 한국 장로교는 대체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따르는 정통 칼뱅주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5. 결론
참조
[1]
간행물
Works
[2]
간행물
Works
[3]
간행물
Four Views on Eternal Security
[4]
간행물
Systematic Theology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5]
서적
Deviant Calvinism: Broadening Reformed Theology
https://muse.jhu.edu[...]
Augsburg Fortress
2015-12-06
[6]
간행물
The Plan of Salvation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7]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ttee to Study Republication: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https://opc.org/GA/r[...]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2022-11-09
[8]
간행물
Review of ''English Hypothetical Universalism: John Preston and the Softening of Reformed Theology'' by Jonathan Moore
[9]
서적
The Atonement of Christ
[10]
간행물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Baker
[11]
간행물
Creeds of Christendom
http://www.ccel.org/[...]
Harper & Brothers
[12]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Free Offer
http://www.prca.org/[...]
Theological School of the Protestant Reformed Churches
[13]
간행물
Debate of Redemption at the Westminster Assembly
1996-01-01
[14]
간행물
Introduction
http://www.banneroft[...]
The Banner of Truth Trust
[15]
간행물
Amyraut Affirmed, or Owenism, a Caricature of Calvinism: a Reply to Ian Hamilton's Amyraldianism – is it Modified Calvinism?
Charenton Reformed
[16]
간행물
The Truth of the Cross
Reformation Trust
[17]
서적
Deviant Calvinism: Broadening Reformed Theology
https://muse.jhu.edu[...]
Augsburg Fortress
2015-12-06
[18]
웹인용
개혁신학의광맥(김재성 교수) / 제2부7장_낮은 칼빈주의: 아미랄디즘
http://blog.daum.net[...]
2020-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