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조프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조프해는 흑해와 케르치 해협을 통해 연결되는 동서 340km, 남북 135km, 면적 약 37,555km²의 얕은 바다이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내해로, 돈 강과 쿠반 강이 주요 유입 하천이며, 타간로그 만, 아라바트 사주, 시바시 석호 등 다양한 지형을 갖추고 있다. 얕은 수심과 낮은 염분으로 인해 겨울철 결빙이 일어나며, 흑해와 물 교환이 제한적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가 건설되기도 했다. 20세기 이후 러시아 혁명과 전쟁을 거쳐,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공동 관할 해역이 되었으나, 2014년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었다. 아조프해는 어업, 운송, 자원 개발, 관광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해역 - 흑해
    흑해는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내해로, 여러 언어에서 "검은 바다"를 뜻하며, 과거에는 항해가 어려워 '불친절한 바다'로 불렸지만, 현재는 여러 국가에 둘러싸여 해상 교통로 및 에너지 자원 수송로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크림반도의 수역 - 흑해
    흑해는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내해로, 여러 언어에서 "검은 바다"를 뜻하며, 과거에는 항해가 어려워 '불친절한 바다'로 불렸지만, 현재는 여러 국가에 둘러싸여 해상 교통로 및 에너지 자원 수송로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크림반도의 수역 - 시바시
    시바시는 아조우해 서안에 위치한 얕고 염도가 높은 석호로, 다양한 식물군이 서식하며 제염업이 발달했으나 현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국경 분쟁 지역이다.
  • 아조프해 - 케르치 해협
    케르치 해협은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고대 보스포루스 왕국부터 근대 러시아-튀르키예, 2차 세계 대전, 그리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2018년 크림 대교 건설 이후 잦은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 아조프해 - 시바시
    시바시는 아조우해 서안에 위치한 얕고 염도가 높은 석호로, 다양한 식물군이 서식하며 제염업이 발달했으나 현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국경 분쟁 지역이다.
아조프해
지도
아조프해 (오른쪽 상단)
아조프해 (오른쪽 상단)
일반 정보
종류바다
위치러시아, 우크라이나
유입돈강, 쿠반강
지리
길이360km
너비180km
면적39,000km²
깊이7m
최대 깊이14m
부피290km³
어는 시기겨울
염도13‰ (ppm)
명칭
크림 타타르어아자크 덴이지 (Azaq deñizi)
러시아어아좁스코예 모레 (Azovskoye more)
우크라이나어아조우스케 모레 (Azovs'ke more)
아디게어흐이 미우트테 (Xı mıut’ə)

2. 지리

아조프해는 동쪽의 타만 반도, 서쪽의 크림 반도에 둘러싸여 있으며, 케르치 해협을 통해 흑해와 연결된다. 흑해 자체도 폐쇄성이 높은 해역이지만, 아조프해는 이보다 더 폐쇄적인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수 교환이 어려워 오염되면 회복이 쉽지 않다. 실제로 아조프해의 해양 오염은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다.

북동부에는 돈 강 하구가 있는 타간로그만이 있다. 쿠반 강도 아조프해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 중 하나이다. 이들 하천으로 인해 염분 농도가 해양으로서는 비교적 낮게 유지되는 곳이 많지만, 시바시(Сивашuk) 습지는 예외적으로 염분 농도가 높다.

아조프해의 수질은 돈 강과 쿠반 강 등 유입되는 하천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들 강은 상류에서 실트라고 불리는 흙을 운반해 온다.

타만 반도에는 약 25개의 머드 화산이 있으며, 대부분 활동 중이다. 이 화산들은 일반적으로 조용히 진흙과 메탄,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등의 가스를 분출하지만, 때로는 격렬하게 분출하여 일반 화산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일부는 반도 해안 근처 수중에 있다. 1799년 9월 6일 굴루비츠카야 스탄니차 근처에서 발생한 대규모 분출은 약 2시간 동안 지속되었으며, 지름 100미터, 높이 2미터의 진흙섬을 형성했다가 이후 바다에 씻겨 갔다. 1862년, 1906년, 1924년, 1950년, 1952년에도 유사한 분출이 있었다.[41]

아조프해의 북쪽 해안은 우크라이나이며, 동쪽과 서쪽 해안은 러시아 연방 영토이다.

2. 1. 주요 지형

아조프 해에는 여러 섬과 사주, 만, 석호, 하구가 존재한다.

  • : 아조프 해의 섬들은 주로 강 하구와 해안가에 위치한다. 주요 섬으로는 비류치 섬, 체레파하 섬 등이 있다.
  • 사주: 아라바트 사주는 길이 약 110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사주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페도토바 사주, 오비토츠나 사주, 베르댠스크 사주 등 여러 사주가 발달해 있다.
  • : 타간로그 만은 아조프 해에서 가장 큰 만으로, 돈 강 하구와 연결되어 있다. 템류크 만, 베르댠스크 만, 오비토치나 만 등 다른 만들도 존재한다.
  • 석호: 시바시 석호는 아조프 해 서쪽에 위치하며 염도가 매우 높아 과거 중요한 소금 생산지였다.[50]
  • 하구: 돈 강, 쿠반 강, 칼미우스 강 등 여러 강이 아조프 해로 유입되며, 강 하구에는 삼각주와 습지가 발달해 있다.

2. 2. 해양 환경

아조프해는 흑해, 마르마라 해, 에게 해 및 지중해를 통해 대서양으로 통하는 내해이다. 케르치 해협을 통해 흑해와 연결되어 있으며, 가장 좁은 지점의 너비는 4km이고 최대 수심은 15m이다.[58] 케르치 해협의 협소함으로 인해 흑해와의 물 교환이 제한된다.

흑해 주변 지도. 아조프해는 흑해의 북동쪽 안쪽에 위치한다.


아조프해(중앙). 서쪽은 크림반도. 남쪽의 흑해와 연결되는 케르치 해협도 보인다.


아조프해 위성 사진. 얕은 아조프해가 더 깊은 흑해와 명확하게 구분된다.


아조프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내해로 간주되며, 그 이용은 2003년에 비준된 양국 간의 협정에 따라 규율된다.[40] 동서 340km, 남북 135km, 면적 37555km2이다. 서쪽 해안에는 길이 약 110km에 걸쳐 아라바트 사주라고 불리는 사주가 있다.

20개 이상의 하천이 이 해로 유입되지만, 대부분 북쪽에서 유입되며,[42] 그중 돈 강과 쿠반 강 두 하천이 유입량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돈 강의 유입량은 쿠반 강의 약 두 배이다.[42] 이들 하천은 아조프해의 염도를 비교적 낮게 유지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거의 담수에 가깝게 만들며, 많은 양의 토사와 모래를 운반한다.[19] 결과적으로 아조프해의 염도는 낮으며, 공해에서는 실용 염분 척도(PSS)로 10~12 정도이며, 이는 해양 염도의 약 1/3에 해당한다. 아조프해 북동쪽 끝에 있는 타간로그 만에서는 2~7(PSS)로 더 낮다.[43][44]

아조프해는 세계에서 가장 얕은 바다로 평균 수심은 7m이고 최대 수심은 14m이다.[58] 토사가 쌓인 만에서는 평균 수심이 약 1m이다.[42] 수심이 얕고 염분 농도가 낮기 때문에 비교적 얼기 쉽고, 겨울에는 아조프해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덮인다. 12월 하순부터 3월 중순까지 북쪽에서는 7km, 남쪽에서는 1.5km에 이르는 붙은 얼음(fast ice)대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2012년에는 결빙으로 인해 여러 척의 선박이 얼음에 갇히기도 했다.[56] 해빙 두께는 아조프해 대부분 지역에서 30~40cm, 타간로그 만에서는 60~80cm에 달한다.[54]

아조프해의 쇄빙선


아조프해의 주요 해류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흐름이다. 바람의 영향을 받는 해류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초당 10cm 미만이지만, 초속 15~20m의 바람이 불면 초당 60~70cm에 달할 수 있다. 만에서는 강의 유입에 따라 해류가 크게 조절되며 해안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른다.[45] 케르치 해협에서는 북풍이 우세하고 강에서 유입되는 물이 많기 때문에 해류는 일반적으로 흑해 방향으로 흐르며, 평균 속도는 초당 10~20cm이고 가장 좁은 지점에서는 초당 30~40cm에 달한다.[54]

아조프해의 현재 수직 단면은 산소가 있는 표층수와 무산소성 저층수를 보이며, 무산소성 저층수는 두께 0.5to(-)의 층을 형성한다. 무산소층의 발생은 돈 강과 쿠반 강으로부터의 퇴적물 유입 증가와 관련된 계절적 부영양화 현상에 기인한다.[46]

3. 명칭

아조프해라는 명칭은 튀르크어에서 '낮은'을 의미하는 '아자크'(azak) 또는 '아자크'(azaq)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8] 과거 영어로는 '아조프 해(Sea of Azoff)'라는 표기가 일반적이었다.[9]

고대에는 '마이오티스 늪'(Μαιῶτις λίμνη|마이오티스 림네el)[10] 또는 '마이오티스 호수'( Palus Maeotis|팔루스 마이오티스la)[11]로 불렸는데, 이는 북동쪽 습지대에 살았던 마이오티아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2]

다른 이름으로는 마이오티아 해(Maeotian Sea) 또는 마이오티쿠스 해(Mæotium|마이오티움la 또는 Mæoticum Æquor|마이오티쿰 아이쿠오르la),[14] 킴메리아 늪(Cimmerian Swamps) 또는 스키타이 늪(Cimmeriae|킴메리아이la[15] 또는 Scythicæ Paludes|스키티카이 팔루데스la[16]), 킴메리아 해(Cimmerian Sea) 또는 보스포러스 해(Cimmericum|킴메리쿰la 또는 Bosporicum Mare|보스포리쿰 마레la)[17] 등이 있다.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마이오티아인들은 이 바다를 "물의 어머니"라는 뜻의 테마룬다(Temarunda)라고 불렀다.[18]

중세 러시아에서는 현재의 수다크를 따서 수로즈 해(Sea of Surozh)로 알려져 있었다.[58][19] 오스만 튀르크어로는 높은 생산성 때문에 '발뤼크-데니스'(Balük-Denis) ("물고기 바다")로 알려져 있었다.[9]

4. 역사

고대 그리스 식민지는 기원전 8세기부터 3세기까지 북부 흑해에 위치했으며, 현대 지명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


1696년 아조프 함락, 로버트 커 포터의 그림


타간로그 첫 공격을 보여주는 판화


아조프해는 현재 바다로 덮여 있는 지역에 신석기 시대 유적의 흔적이 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인류가 거주했던 지역이다.

1997년, 컬럼비아 대학교의 윌리엄 라이언과 월터 피트먼은 고대에 보스포러스 해협을 통해 대규모 홍수가 발생했다는 이론을 발표했다. 이들은 흑해카스피해가 거대한 담수호였지만, 기원전 5600년경 지중해가 보스포러스 해협의 암석 턱을 넘어 흘러 현재의 흑해와 지중해를 잇는 통로를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여전히 논쟁 중이며, 일부 학자들은 이 재난을 선사 시대의 대홍수 신화와 관련짓기도 한다.[20]

고대에 타나이스 강(현재의 돈 강) 어귀 주변의 마이오티스 늪(마이오티스 습지)은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유목민들의 이동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21] 마이오티스인들은 어업과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했지만, 침략자들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할 수 있는 전사들이었다.[9] 고대 지리학자들은 강한 해류에 속아 이 바다의 범위를 모호하게만 파악했고, 일반적으로 "늪"이나 "호수"로 분류했다.[12]

기원전 7세기, 밀레토스의 그리스인들이 아조프 해 연안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보스포러스 왕국은 흑해의 다른 쪽 끝에 있는 보스포루스가 아닌 킴메리아 보스포루스(케르치 해협)를 따라 이름 지어졌다. 기원전 2세기 후반 폰투스 왕국에 잠시 병합되었지만, 그리스 식민지 건설 시대부터 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아조프 해의 남쪽 해안을 따라 뻗어 있었고, 밀, 생선, 노예를 수출하고 그리스와 로마의 제품과 사치품을 수입하는 속국으로서 기능했다. 그 이후의 역사는 불확실하지만, 중앙아시아에서 이 지역으로 이주했던 알란족을 물리친 훈족이 4세기 후반에 이 지역을 침략했을 가능성이 높다.[24]

아조프 해는 남쪽으로 해상 세력 확장을 추구하는 러시아와 이 지역의 주요 강국인 터키 사이의 군사적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한 곳이었다. 러시아-터키 전쟁 (1686년-1700년) 기간 동안, 7,000명의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던 당시 터키의 아조프 요새를 함락시키기 위한 두 차례의 아조프 원정이 1695년에서 1696년에 걸쳐 있었다. 이 원정은 표트르 1세가 이끌었으며, 아조프 해와 흑해에 대한 러시아의 접근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두 번째 원정에서 러시아군은 요새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711년, 러시아-터키 전쟁 (1710년-1711년)과 프루트 강 조약의 결과로 아조프는 터키에 반환되었다.[25][26] 이 도시는 러시아-오스트리아-터키 전쟁 (1735년-1739년) 중인 1737년에 러시아에 의해 재탈환되었지만, 니슈 조약에 따라 러시아는 요새와 군함을 유지할 수 없었다.[27]

크림 전쟁 기간 중인 1855년 5월부터 11월까지 영국과 프랑스의 연합 해군이 러시아와 해상 및 지상 작전을 벌였다. 연합군은 타간로그를 포위 공격했지만, 도시는 함락시키려는 모든 시도를 견뎌냈고, 1855년 8월경 연합군의 철수로 끝났다. 개별적인 해안 공격은 계속 실패했고, 1855년 10월에 중단되었다.[28]

4. 1. 20세기 이후

2003년 12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연방은 조약을 통해 아조프해와 케르치 해협을 공동 내수면으로 간주하기로 합의했다.[29][30]

2018년 9월, 우크라이나는 아조프해 연안에 해군 함정과 추가 지상군을 배치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함정은 베르디안스크에 기지를 둘 예정이었다. 크림대교 건설 이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었는데, 이 다리는 우크라이나 항구로 들어오는 파나막스급 선박의 통행을 허용할 만큼 높지 않았다.[31] 같은 해 9월 말, 우크라이나 선박 두 척이 흑해 항구 오데사를 출발하여 크림대교 아래를 통과하여 마리우폴에 도착했다.[32] 2018년 11월 케르치 해협 사건 이후 긴장이 더욱 고조되었는데, 러시아가 아조프해로 진입하려던 우크라이나 해군 함정 3척을 나포했기 때문이다.[33]

아조프해 서쪽 해안의 통제는 우크라이나 경제에 매우 중요하지만, 크림반도로 가는 육로이자 러시아 해상 교통의 통행로로서 러시아에도 엄청난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다.[34]

2021년 12월 10일, 우크라이나 해군은 러시아가 아조프해의 약 70%를 봉쇄하고 항해 경고를 발령했다고 발표했는데, 명목상으로는 마리우폴, 베르디안스크, 헤니체스크 근처 해상에서 포병 사격 훈련을 실시하기 위해서였다.[35]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남동부 국경 근처에 수만 명의 군대를 집결시키기 시작하고 키이우 정부에 대한 선전전을 시작했기 때문에 잠재적인 러시아 침공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군함 3척이 해협을 통과하려 할 때 이를 나포하고 24명의 선원을 체포했으며, 이들은 수개월간의 협상 끝에 석방되었다.[35]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군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작과 함께 마리우폴을 포격하기 시작했다.[36][37] 5월 마리우폴 공방전이 끝날 무렵, 러시아는 마리우폴을 완전히 점령하고 북부 프리아조비예 전체를 장악하여 우크라이나의 해상 접근을 차단했다.[38]

5. 생태

아조프해는 과거 80종 이상의 어류와 300종 이상의 무척추동물이 서식하여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곳이었다.[62] 과거 어업은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이었으며, 연간 어획량은 30만 톤에 달했다. 철갑상어, 쏘가리(Sander (genus)), 농어(bream), 망둑어(Black Sea roach) 등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었다.[62]

이러한 풍요로움은 아조프해로 유입되는 강에서 공급되는 풍부한 영양분, 낮은 염분, 얕은 수심, 긴 식물 생장 기간 덕분이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댐 건설로 인한 강물 유량 감소, 과도한 어업, 대규모 목화 재배로 인한 오염 증가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그 결과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특히 멸치 어획량은 붕괴 수준으로 감소했다.[58][62][59][60]

아조프해 연안에는 갈대, 부들 등 수생 식물이 풍부하며, 다양한 조류와 포유류가 서식하는 습지가 발달해 있다. 벨로사라이스크 사주, 베르댠스크 사주 등 일부 지역은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흑해로부터 외래종이 유입되어 생태계를 교란시키기도 한다.

5. 1. 주요 생물

얕은 수심으로 인해 아조프해의 수생 생물은 석호와 비슷하며, 플랑크톤 패턴은 외해와 해안 근처에서 유사하다. 얕은 수심에도 불구하고 투명도가 낮아 저서 식물은 발달이 미약하고 대부분 조류는 플랑크톤 종류이다. 이 바다는 높은 유기물 농도와 긴 개화 기간이 특징이며, 염분 변화가 커서 플랑크톤 종이 불균일하게 분포한다. 염분이 높은 흑해에서 많은 종이 유입되지만, 광염성 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아조프해의 변동적인 염분에 적응할 수 없다.[61]

아조프해에는 약 600종의 플랑크톤 조류가 알려져 있다. 규조류와 녹조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남세균과 피로파이트가 중요하고, 유글레나류와 황녹조류는 5% 정도이다.
녹조류
(및 기타 플랑크톤 종)는 주로 아조프해의 수색에 영향을 미친다. 녹조류는 바다의 색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61]

동물플랑크톤은 타간로그 만의 담수에는 요각류, copepoda 및 윤충류(''Brachionus plicatilis'', ''Keratella curdata'', ''Asplanchna'')가 서식한다. 염분이 높은 바다 서쪽에는 ''Acartia clausi'', ''Centropages ponticus'', 단기성플랑크톤, 복족류, 이매패류, 다모류 유충이 서식한다.[63]

저서생물은 주로 바닥에 서식하며, 벌레, 갑각류, 저서 원생생물, 강장동물, 연체동물 등이 있다. 연체동물은 아조프해 바닥 무척추동물 생물량의 60~98%를 차지한다.[63]

철갑상어
는 아조프해의 주요하고 가장 가치 있는 상업용 어종 중 하나이다.[62]]]

아조프해 지역에는 55과 112속에 속하는 183종의 어류가 서식한다. 이 중 희귀종이 50종, 멸종위기종이 19종이며, 넓은주둥이철갑상어(Acipenser nudiventris)는 이 지역에서 멸종했을 가능성이 높다.[64] 타간로그 만의 어류상은 16과 36속에 속하는 55종으로 구성되며, 희귀종 3종, 멸종위기종 6종이 있다.[65] 아조프해에는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무척추동물은 300종 이상, 어류는 80종 이상이었으나, 남획 및 해양 오염 등으로 인해 종과 개체 수가 감소하였다.

6. 경제

아조프 해는 어업, 운송, 자원 개발, 관광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과거 아조프 해는 풍부한 해양 생물 덕분에 어업이 활발했지만, 남획과 해양 오염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감소했다.[57]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칼미우스 강 상류의 제철소와 마리우폴의 아조프스탈 제철소를 연결하는 철광석 운송로로 활용되었으며, 1952년 볼가-돈 운하 건설 이후 볼가 강과 연결되어 수상 운송이 더욱 활발해졌다. 타간로크, 마리우폴, 예이스크, 베르댠스크 등은 아조프 해의 주요 항구이다.[83]

아조프 해 지역에는 천연가스와 원유 같은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온화한 기후와 아름다운 자연환경, 특히 해안선을 따라 발달한 사주와 석호는 독특한 풍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해양 레포츠를 즐길 수 있어 휴양지로도 인기가 높다.

6. 1. 어업

아조프해에는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했으며, 무척추동물은 300종 이상, 어류는 80종 이상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남획되거나 인위적인 해양 오염 등으로 인해 종과 개체 수가 감소하였다.[57]

6. 2. 운송

아조프해는 수 세기 동안 상품과 승객 운송에 중요한 수로 역할을 해왔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칼미우스 강 상류의 제철소와 마리우폴의 아조프스탈 제철소를 연결하는 철광석 운송로로 활용되었다. 1952년 볼가-돈 운하 건설 이후, 아조프해는 볼가 강과 연결되어 러시아 중부 지역과의 수상 운송이 더욱 활발해졌다. 주요 항구로는 타간로크, 마리우폴, 예이스크, 베르댠스크 등이 있다.[83]

6. 3. 자원 개발

아조프해 지역에는 천연가스와 원유 같은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채굴이 이루어져 왔다.

6. 4. 관광

아조프 해 연안은 온화한 기후와 아름다운 자연환경 덕분에 휴양지로 인기가 높다. 특히 해안선을 따라 발달한 사주와 석호는 독특한 풍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해양 레포츠를 즐길 수 있다.

7. 한국과의 관계

아조프해는 지정학적으로 한국과 멀리 떨어져 있지만, 역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간접적인 관련이 있다.


  • 고려인 강제 이주: 1937년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연해주에 살던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는데, 일부는 아조프해 연안 지역에 정착하기도 했다.
  • 조선소: 우크라이나미콜라이우(Mykolaiv)는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로, 과거 소련 시절부터 조선 산업이 발달했다. 한국의 조선업체들과 기술 협력 및 인력 교류가 있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콜라이우의 조선소는 큰 피해를 입었다.
  • 마리우폴: 아조프해 연안의 항구 도시 마리우폴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 중 하나이다. 한국은 마리우폴 재건 사업에 참여할 의사를 밝힌 바 있다.

8. 더불어민주당 관점

해안과 사주에는 주로 야생 거위, 오리, 갈매기 등 다양한 물새들이 풍부하게 서식한다. 큰 바다쇠오리와 펠리컨 군집이 흔하며 백조, 왜가리, 도요새류와 여러 맹금류도 자주 관찰된다. 포유류로는 여우, 야생 고양이, 토끼, 고슴도치, 족제비, 담비, 멧돼지 등이 있다.[69] 20세기 초에는 비버가 이 지역에 도입되어 모피를 얻기 위해 사냥되고 있다.[41]

벨로사라이스크 사주의 큰 바다쇠오리와 갈매기들

9. 각주

[70][72][73][74][75][76][77][78]

참조

[1] 웹사이트 Marine Litter Report http://www.blacksea-[...] 2022-07-29
[2] 백과사전 Sea of Azov http://www.britannic[...] 2015-11-26
[3] 웹사이트 Map of Sea of Azov http://www.worldatla[...] worldatlas.com 2015-11-26
[4]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5] 서적 Academic Americ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olier
[6] 학술지 National Geographic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Earth from space http://eol.jsc.nasa.[...] NASA
[8]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cFarland
[9] 백과사전
[10] 서적 Lexicon Nominum Locorum: Supplementum referens nomina Latina vulgaria Carlo Egger
[11] 서적 The ''Opus Majus'' of Roger Bacon, vol. 1 https://books.google[...]
[12] 서적 Maeotae and Maeotis Palus https://archive.org/[...] Walton & Maberly
[13] 서적 Naturalis Historiæ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Her.
[17] 서적
[18] 서적 Naturalis Historiæ
[19] 백과사전 Азовское море http://bse.sci-lib.c[...]
[20] 학술지 An abrupt drowning of the Black Sea shelf http://www.geoecomar[...]
[21] 서적 Geographica
[22] 서적 Ἱστορίαι
[23] 서적 Geographica https://www.perseus.[...] George Bell & Sons
[2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5] 백과사전 Azov campaign 1695–96 http://bse.sci-lib.c[...] 2010-06-20
[26] 백과사전 Azov fleet http://bse.sci-lib.c[...]
[27] 서적 Russo-Turkish Wars of 18th–19th Centuries http://www.bibliotek[...]
[28] 서적 History of Taganrog Tipo-lit
[29]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Ukraine on cooperation in the use of the sea of Azov and the strait of Kerch https://www.ecolex.o[...] 2018-11-27
[30] 웹사이트 Russia – Ukraine Boundary in the Sea of Azov and Kerch Strait http://people.ucalga[...]
[31] 뉴스 Ukraine and Russia Take Their Conflict to the Sea https://worldview.st[...] Stratfor 2018-09-24
[32] 뉴스 Dmytro Kovalenko, commander of the Ukrainian Navy move to Azov Sea https://www.ukrinfor[...] Ukrinform 2018-10-04
[33] 뉴스 Ukraine's ports partially unblocked by Russia, says Kiev https://www.theguard[...] 2018-12-06
[34] 웹사이트 Russian dominance in the Black Sea: The Sea of Azov https://www.mei.edu/[...] Middle East Institute 2022-03-23
[35] 웹사이트 Ukraine Says Russia Blocking Most Of Sea Of Azov As Tensions Mount Between Kyiv And Moscow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22-03-26
[36] 뉴스 Port city of Mariupol comes under fire after Russia invades Ukraine https://www.reuters.[...] 2022-03-23
[37] 뉴스 Ukraine Crisis: Protecting civilians 'Priority Number One'; Guterres releases $20M for humanitarian support https://news.un.org/[...] 2022-02-24
[38] 웹사이트 Mariupol has fallen to Russia. Here's what that means for Ukraine https://www.npr.org/[...] 2022-05-19
[39] 간행물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40] 문서 Treaty between the Russian Federation and Ukraine on cooperation in the use of the Sea of Azov and Kerch Strait https://web.archive.[...] 2003-12-24
[41] 서적 Sea of Azov http://azov.tv/azovs[...] KKI
[42] 서적 Seas of USSR Moscow University
[43] 문서 Kostianoy, pp. 69–73
[4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Atlas of the Sea of Azov http://www.nodc.noaa[...] National Oceanographic Data Centre 2008-01-06
[45] 문서 Kostianoy, p. 67
[46] 논문 Analysis of the hydrophysical structure of the Sea of Azov in the period of the bottom anoxia development
[47] 웹사이트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ea of Azov shore within the Krasnodar Krai http://www.coruna.co[...] 2022-07-29
[48] 서적 Geography of Kuban. Collegiate Dictionary Maikop
[49] 서적 Geografichesko-statisticheskìĭ slovar' Rossìĭskoĭ imperìi (Geographical-statistical dictionary of Russian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50] 문서 Kostianoy, p. 66
[51] 백과사전 Керченский пролив (Kerch Strait)
[52] 뉴스 Putin Inaugurates Bridge to Crimea https://www.maritime[...] 2018-09-01
[53] 뉴스 Russia is Blocked 'Hundreds" of Ships from Ukraine's Ports and the U.S. Wants it to Stop https://www.newsweek[...] 2018-09-02
[54] 문서 Kostianoy, p. 68
[55] 서적 Black Sea Pilot United States Hydrographic Office 1927
[56] 웹사이트 Vessels trapped in ice in Azov sea http://www.odin.tc/2[...] 2022-07-29
[57] 문서 Kostianoy, p. 69
[58] 문서 Kostianoy, p. 65
[59] 문서 Kostianoy, p. 86
[60] 웹사이트 Alien invaders in our seas http://wwf.panda.org[...] 2004-02-14
[61] 문서 Kostianoy, p. 77
[62] 문서 Kostianoy, p. 76
[63] 문서 Kostianoy, p. 78
[64] 문서 Kostianoy, p. 79
[65] 문서 Kostianoy, p. 81
[66] 웹사이트 Основные положения о территориальном планировании, содержащиеся в "Схеме 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планирования рекреационного комплекса прибрежных территорий Азовского моря и Нижнего Дона" http://www.donland.r[...] 2002-08-20
[67] 웹사이트 List of nature reserves http://ecotour.iatp.[...] 2002-08-30
[68] 서적 Basics of ecology http://feht.donntu.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Ukraine 2002-08-30
[69] 웹사이트 Berdyansk Spit http://www.berdyansk[...] Web Site of Berdyansk 2002-08-30
[70] 문서 Kostianoy, pp. 83–85
[71]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8-10-25
[72] 뉴스 Dolphins are leaving the polluted Sea of Azov http://novosti.dn.ua[...] Novosti.dn.ua 2010-02-19
[73] 서적 Dolphins, porpoises and whales of the world: the IUCN red data book https://books.google[...] IUCN
[74] 뉴스 Black Sea Whale Aided By Activists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6-04-21
[75] 웹사이트 Grey seal Halichoerus grypus in the Black Sea: The first case of long-term survival of an exotic pinniped https://www.research[...] 2022-07-29
[76] IUCN Monachus monachus
[77] 웹사이트 Current knowledge of the cetacean fauna of the Greek Seas http://cetaceanallia[...] 2016-04-21
[78] 웹사이트 Киты в Черном море (cached) http://smena-online.[...] 2021-12-24
[79] 서적 Hirnycyj encyklopedycnyj slovnyk, Volume 3 Schidnyj Vydavnyčyj Dim
[80] 백과사전 Sea of Azov http://www.britannic[...] 2002-08-30
[81] 웹사이트 EU experts to assess ecological situation in Kerch Strait http://www.kmu.gov.u[...] Web-Portal of the Ukrainian Government 2008-03-18
[82] 뉴스 Oil Spill Near Black Sea Causes 'Ecological Catastrophe' http://www.oceanpoll[...] 2007-11-13
[83]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