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부는 중국에서 발생하여 발전한 문학 형식으로, 한나라 때 민간 가요를 수집하기 위해 설립된 음악 관서의 명칭이자, 그 관서에서 수집된 가요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후 민간 가요 전반을 아울러 칭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송, 원대에는 사(詞)와 곡(曲)도 악부에 포함되었다. 한나라 시기의 악부시는 사실주의적 접근 방식을 계승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새로운 형식의 시인 신악부가 등장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시 - 고체시
고체시는 2세기에 등장하여 당나라 시대에 부흥기를 맞이한 중국 전통 시의 한 형식으로, 5음절 또는 7음절의 구절로 구성되며 압운과 평측에서 자유로운 특징을 보인다. - 한시 - 목란사
목란사는 여자 영웅 화목란이 남장을 하고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운 이야기를 다루며, 여성 영웅 서사와 효, 여성의 주체성을 보여주는 인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시형 - 시조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에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고, 3장 6구의 형식을 갖춘 한국의 전통적인 시가이다. - 시형 - 고체시
고체시는 2세기에 등장하여 당나라 시대에 부흥기를 맞이한 중국 전통 시의 한 형식으로, 5음절 또는 7음절의 구절로 구성되며 압운과 평측에서 자유로운 특징을 보인다.
악부 | |
---|---|
일반 정보 | |
유형 | 시가(詩歌)의 한 종류 |
기원 | 한나라 |
발전 | 위진남북조 시대 |
특징 | 민간 가요의 특징을 지니며, 서정적이고 현실적인 내용이 많음 |
형식 | 다양하며, 오언시, 칠언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
대표 작품 | 맥수 가 상산 자고행 전계행 |
역사적 배경 | |
악부 | 한 무제 때 설치된 음악 관청에서 유래 |
악부의 역할 | 민간의 노래를 채집하고 궁중 음악을 관장 |
악부의 영향 | 악부에서 채집된 민간 가요가 악부시의 발전에 기여 |
문학적 특징 | |
내용 | 전쟁, 농민의 고통, 사랑, 이별 등 다양한 삶의 모습 반영 |
표현 | 생생한 묘사와 서민들의 정서가 잘 드러남 |
형식의 다양성 | 초기에는 민요 형식이 많았으나, 점차 다양한 시 형식으로 발전 |
대표 작가 | |
조식 | 칠보시 등 |
채염 | 비분시 등 |
영향 | |
후대 문학에 미친 영향 | 당나라 시가(詩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침 |
민간 문학과의 연관성 | 민간 문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서민들의 삶과 정서를 대변 |
2. 역사
전한 때 민간 가요를 모으기 위해 악부라는 음악 관청(官署)을 설치했는데, 이 악부에서 모은 가요 자체를 악부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민간 가요 전체를 악부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송, 원에서는 사와 곡도 악부라고 불렀다. 문학사에서는 진나라 이후부터 악부라는 형식이 나타났다고 보는데, 한, 위의 옛 노래(古曲)에 바탕을 둔 악부를 악부고사(古辭), 육조 시대 민간 노래를 악부민가(民歌)라고 하며, 이 둘을 합쳐 고악부(古樂府)라고 한다. 당나라 때는 고악부가 거의 연주되지 않고, 고악부의 형식을 따라 시를 짓고 낭독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중기 당나라 이후에는 백거이 등이 새로운 제목(신제, 新題)으로 악부를 창작했는데, 이를 신악부(新樂府)라고 한다.
북송 곽무청(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는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의 가요, 또는 문인들이 옛 제목(고제, 古題)을 빌려 창작하거나 그 형식을 모방하여 만든 가사, 신악부가 수록되어 있다.
연대 | 선진 | 한 | 육조 시대 | 수·당 | 송 | 원 | 명·청 | 현대 |
---|---|---|---|---|---|---|---|---|
운문 | 시경, 초사 | 사부, 고체시, 악부 | 고체시, 변부 | 근체시, 유부 | 사 | 곡 | 근체시, 연극 | 신사, 현대 가사 |
비운문 | 산문 | 변문 | 전기, 변문 | 고문 | -- | 장회소설 | 백화문, 소설 |
한국 문학에서 악부는 고려 시대와 조선 초기에 나타난 특정 형식의 시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정과정, 사모곡, 가시리, 청산별곡, 서경별곡, 쌍화점 등이 악부로 분류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이 악장으로 창작되었다.
2. 1. 중국
전한 때 민간 가요를 모으기 위해 악부라는 음악 관청(官署)을 설치했는데, 이 악부에서 모은 가요 자체를 악부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민간 가요 전체를 악부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송, 원에서는 사와 곡도 악부라고 불렀다. 문학사에서는 진나라 이후부터 악부라는 형식이 나타났다고 보는데, 한, 위의 옛 노래(古曲)에 바탕을 둔 악부를 악부고사(古辭), 육조 시대 민간 노래를 악부민가(民歌)라고 하며, 이 둘을 합쳐 고악부(古樂府)라고 한다. 당나라 때는 고악부가 거의 연주되지 않고, 고악부의 형식을 따라 시를 짓고 낭독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중기 당나라 이후에는 백거이 등이 새로운 제목(신제, 新題)으로 악부를 창작했는데, 이를 신악부(新樂府)라고 한다.북송 곽무청(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는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의 가요, 또는 문인들이 옛 제목(고제, 古題)을 빌려 창작하거나 그 형식을 모방하여 만든 가사, 신악부가 수록되어 있다.
2. 1. 1. 기원
'악부'(樂府)는 진나라(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6년) 때 처음 등장한 단어이다. 악(樂)은 "음악"을, 부(府)는 "관청"을 의미하며, '악부'는 "음악 관청"을 뜻한다. '악부'는 특히 한시의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와 관련이 깊다. 기원전 112년, 왕실 정부는 민요와 발라드를 수집, 작성, 공연하는 음악 관청을 관리했는데, 이후 사람들은 이 민요 형식으로 작곡된 시를 '악부'라고 불렀다.[5]전한 무제 시기에는 음악 관서가 설립되어 작곡, 변곡, 악단 육성, 음악을 관장했다. 처음에는 관청 명칭이었으나, 이후 악부에서 수집된 가요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사마상여 등은 시부(詩賦)를 짓고 민간 가요를 수집했다. 연, 대, 진, 초 등에서 가요를 수집하여 민요 악부, 조정 악부, 서역 음악 등이 악부 문학에 포함되었다.[5]
2. 1. 2. 발전
전한 때 민간 가요를 모으기 위해 악부라는 음악 관청을 설치했는데, 이 악부에서 모은 가요 자체를 악부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에는 민간 가요 전체를 악부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송, 원에서는 사와 곡도 악부라고 불렀다. 문학사에서는 진나라 이후부터 악부라는 형식이 나타났다고 보는데, 한, 위의 옛 노래에 바탕을 둔 악부를 악부고사(古辭), 육조 시대 민간 노래를 악부민가(民歌)라고 하며, 이 둘을 합쳐 고악부(古樂府)라고 한다. 당나라 때는 고악부가 거의 연주되지 않고, 고악부의 형식을 따라 시를 짓고 낭독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중기 당나라 이후에는 백거이 등이 새로운 제목(신제, 新題)으로 악부를 창작했는데, 이를 신악부(新樂府)라고 한다.[5]북송 곽무청(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는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의 가요, 또는 문인들이 옛 제목(고제, 古題)을 빌려 창작하거나 그 형식을 모방하여 만든 가사, 신악부가 수록되어 있다.
연대 | 선진 | 한 | 육조 시대 | 수·당 | 송 | 원 | 명·청 | 현대 |
---|---|---|---|---|---|---|---|---|
운문 | 시경, 초사 | 사부, 고체시, 악부 | 고체시, 변부 | 근체시, 유부 | 사 | 곡 | 근체시, 연극 | 신사, 현대 가사 |
비운문 | 산문 | 변문 | 전기, 변문 | 고문 | -- | 장회소설 | 백화문, 소설 |
한나라 시대의 악부시는 중국 시가 역사상 높이 평가받는다. 한나라 악부의 전통은 《시경》의 사실주의적 접근 방식인 "상서로운 음악의 느낌, 일의 배후의 원인"을 계승했다. 한나라 시대 음악부에서 수집하거나 쓰여진 민요들은 특정 페르소나의 관점에서 쓰여져 한나라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반영하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특징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한나라 마지막 1~2세기 동안, 시인들은 악부의 영향을 받거나 모방하여 "문학적 악부"를 지었다. 후한 말과 삼국 시대에 걸친 건안 시대에도 악부는 계속 창작되었다. 건안 문학에 나타나는 악부는 악부(Music Bureau) 작품보다 개인적인 감정을 더 담고 있었다.
육조 시대에는 오언 절구와 유사한 형식의 규칙적인 5자 4행시(혹은 대구)를 사용하는 악부인 자야가가 등장한다.
당나라 시대에 일부 시인들은 한나라 악부의 오래된 제목과 주제를 재활용하여 다양한 형식과 심오함을 담은 새로운 시를 썼다. 이백, 두보, 백거이, 원진 등 많은 유명 시인들이 "신악부" 스타일의 발전에 참여하여 다양한 시를 창작했다. 신악부의 형식은 매우 자유롭거나, 한 줄에 다섯 글자 또는 일곱 글자로 이루어진 시의 형식을 취할 수 있었지만, 주제는 종종 전통적인 것이었다. 이전 악부의 발라드 전통과 유사하게, 많은 당나라 악부는 사냥꾼, 시골 소녀, 변방의 군인 등 특정 인물의 목소리로 읊어졌다.[3] 당나라 악부의 주제는 단순한 노래 가사 제공, 사회 풍자나 비판, 문학적 연습, 친구와의 이별에 대한 애도, 은둔자 방문 시도, 노래하는 "여인", 댄서 등 전문 연예인과의 낭만적인 사랑, 궁궐 후궁의 여성들에 대한 감정 등 다양했다.[4]
2. 2. 한국
한국 문학에서 악부는 고려 시대와 조선 초기에 나타난 특정 형식의 시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정과정, 사모곡, 가시리, 청산별곡, 서경별곡, 쌍화점 등 다양한 작품이 악부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민간에서 구전되다가 궁중 음악으로 편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형식과 내용 면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였다.조선 시대에는 건국 초기부터 새로운 왕조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통치 이념을 전파하기 위한 목적으로 악장이 창작되었다.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이들은 주로 한문으로 기록되었고 유교적 이념을 반영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처럼 한국 문학에서 악부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나타났으며, 각 시대의 문화적, 정치적 배경을 반영하는 중요한 문학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3. 특징
악부는 전한 때 민간 가요를 채집하기 위해 설치된 음악 관서(官署)인 '악부'에서 유래했다. 악부에서 모은 가요 자체를 가리키는 말에서, 이후 민간 가요 전반을 칭하는 말이 되었다. 송, 원에서는 사와 곡(曲)도 악부라고 불렀다.
문학사에서 악부는 진나라 이후에 불리는 형식이다. 한, 위의 옛 노래에 바탕을 둔 악부를 악부고사(古辭), 육조 시대 민간 노래를 악부민가(民歌)라 하고 이들을 고악부(古樂府)라 한다. 당나라 때에는 고악부가 거의 연주되지 않았고, 고악부 형식에 따라 시가(詩歌)를 짓고 낭독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기 당나라 이후에는 백거이를 비롯하여 새로운 제목을 창작해서 악부를 만들었는데, 이를 신악부(新樂府)라 한다.
북송 곽무청(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는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의 가요 또는 문인(文人)들이 옛 제목(古題)을 빌려 창작하거나 그 체재(体裁)를 모방해서 만든 가사(歌詞)와 신악부(新樂府)가 수록되어 있다.
육조 시대에는 오언 절구와 유사한 형식의 규칙적인 5자 4행시(혹은 대구)를 사용하는 악부인 자야가가 등장한다.
한나라 시대의 악부시는 중국 시가 역사상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한나라 악부는 《시경》의 사실주의적 접근 방식을 계승하여, 한나라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했다.
당나라 시대에 일부 시인들은 한나라 악부의 오래된 제목과 주제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시를 썼는데, 이백, 두보, 백거이, 원진 등이 대표적이다. 신악부의 형식은 매우 자유롭거나, 한 줄에 다섯 글자 또는 일곱 글자로 이루어진 시의 형식을 취할 수 있었지만, 주제는 종종 전통적인 것이었다. 많은 당나라 악부는 사냥꾼, 시골 소녀 또는 변방의 군인과 같은 특정 인물의 목소리로 읊어졌다.[3] 주제와 테마는 사회 풍자나 비판, 문학적 연습, 친구의 이별에 대한 애도, 노래하는 "여인"과의 낭만적인 사랑, 또는 궁궐 후궁의 여성들에 대한 감정까지 다양했다.[4]
3. 1. 형식
전한 때 민간 가요를 채집하기 위해 악부라는 음악 관서(官署)를 설립했는데, 악부에서 모은 가요 그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이후 악부는 민간 가요 전반을 칭하는 말이 되었고, 송, 원에서는 사와 곡(曲)도 악부라고 불렀다. 문학사에서 악부라는 형식은 진 대(魏晉代) 이후에 불리는 것인데, 한, 위의 고곡(古曲)에 바탕을 둔 악부를 악부고사(古辭), 육조 시대 민간 노래를 악부민가(民歌)라 하고 이들을 고악부(古樂府)라 한다. 당 대에는 고악부가 거의 연주되지 않았고, 고악부의 형식에 따라 시가(詩歌)를 짓고 낭독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기 당나라 이후에는 백거이를 비롯하여 신제(新題)를 창시(創始)해서 악부를 만들었는데, 이를 신악부(新樂府)라 한다.북송 곽무청(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는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의 가요 또는 문인(文人)들이 옛 제목(古題)을 빌려 창작하거나 그 체재(体裁)를 모방해서 만든 가사(歌詞)와 신악부(新樂府)가 수록되어 있다.
육조 시대에는 오언 절구와 유사한 형식의 규칙적인 5자 4행시(혹은 대구)를 사용하는 악부인 자야가가 등장한다.
3. 2. 내용
전한 때 민간 가요를 수집하기 위해 악부라는 음악 관청이 설치되었는데, 악부에서 모은 가요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이후 민간가요 전반을 악부라고 부르기도 하며, 송, 원에서는 사와 곡(曲)도 악부라 불렀다. 문학사에서 악부라는 형식은 진나라 이후에 불리는 것인데, 한, 위의 옛 노래에 바탕을 둔 악부를 악부고사(古辭), 육조 시대 민간 노래를 악부민가(民歌)라 하고 이것들을 고악부(古樂府)라 한다. 당나라 때에는 고악부는 거의 연주되지 않고, 고악부 형식에 따라 시가의 형식으로 낭독되었다. 중기 당나라 이후에는 백거이를 비롯하여 새로운 제목을 창작해서 악부를 만들었는데 이를 신악부(新樂府)라 한다.북송의 곽무청(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는 한나라~당나라의 가요 또는 문인(文人)들이 옛 제목을 빌려 창작하거나 그 체재를 모방해서 만든 가사, 신악부가 수록되어 있다.
연대 | 선진 | 한 | 육조 시대 | 수당 | 송 | 원 | 명청 | 현대 |
---|---|---|---|---|---|---|---|---|
운문 | 시경, 초사 | 사부, 고체시, 악부 | 고체시, 변부 | 근체시, 유부 | 사 | 곡 | 근체시, 연극 | 신사, 현대 가사 |
비운문 | 산문 | 변문 | 전기, 변문 | 고문 | -- | 장회소설 | 백화문, 소설 |
한나라 시대의 악부시는 중국 시가 역사상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한나라 악부의 전통은 《시경》의 사실주의적 접근 방식인 "상서로운 음악의 느낌, 일의 배후의 원인"을 계승했다. 한나라 시대 음악부에서 수집하거나 쓰여진 민요들은 특정한 페르소나의 관점에서 쓰여졌는데, 한나라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반영하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특징을 생생하고 시각적으로 반영했다.
당나라 시대에 일부 시인들은 한나라 악부의 오래된 제목과 주제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시를 썼다. 이러한 "신악부" 스타일의 시인으로는 이백, 두보, 백거이, 원진 등이 있었다. 신악부의 형식은 매우 자유롭거나, 한 줄에 다섯 글자 또는 일곱 글자로 이루어진 시의 형식을 취할 수 있었지만, 주제는 종종 전통적인 것이었다. 이전 악부의 발라드 전통과 유사하게, 많은 당나라 악부는 사냥꾼, 시골 소녀 또는 변방의 군인과 같은 어떤 페르소나의 목소리로 읊어졌다.[3] 마찬가지로, 당나라 악부의 주제와 테마는 단순한 노래 가사 제공에서부터 사회 풍자나 비판, 문학적 연습, 친구의 이별에 대한 애도, 찾아갈 수 없는 은둔자를 방문하려는 시도, 노래하는 "여인", 댄서 또는 기타 전문 연예인과의 낭만적인 사랑, 또는 궁궐 후궁의 여성들에 대한 감정까지 다양했다.[4]
4. 주요 작품
한나라 시대 주요 작품으로는 "길가의 뽕나무"(陌上桑), "무장 호위"(羽林郎), "백발가"(白头吟), "생각은 존재이다"(有所思), "늙은 병사의 귀환"(十五从军征), "공작은 동남쪽으로 날아가네"(孔雀东南飞) 등이 있다.
당나라 시대에는 이백의 "관산월"(關山月)과 변방 노래(塞上曲) 장르가 대표적이다.
4. 1. 중국
전한 때 민간 가요를 채집하기 위해 악부라는 음악 관서(官署)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악부가 모은 가요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이후 민간가요 전반을 악부라고 칭하기도 하며, 송, 원에서는 사와 곡(曲)도 악부라 불렀다. 문학사(文学史)에서 악부는 진 대(魏晉代) 이후에 불리는 것인데, 한, 위의 고곡(古曲)에 바탕을 둔 악부를 악부고사(古辭), 육조 시대 민간 노래를 악부민가(民歌)라 하고 이들을 고악부(古樂府)라 한다. 당 대(代)에는 고악부는 거의 연주되지 않고, 고악부 형식에 따라 만든 시가(詩歌) 형식으로 낭독되었다. 중기 당나라 이후 백거이 등은 신제(新題)를 창시(創始)해서 악부를 만들었는데 이를 신악부(新樂府)라 한다.북송 곽무청(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는 한나라~당나라의 가요 또는 문인(文人)들이 고제(古題)를 빌려 창작하거나 그 체재(体裁)를 모방해서 만든 가사(歌詞), 신악부(新楽府)가 수록되어 있다.
연대 | 선진 | 한 | 육조 시대 | 수당 | 송 | 원 | 명청 | 현대 |
---|---|---|---|---|---|---|---|---|
운문 | 시경, 초사 | 사부, 고체시, 악부 | 고체시, 변부 | 근체시, 유부 | 사 | 곡 | 근체시, 연극 | 신사, 현대 가사 |
비운문(非--) | 산문 | 변문 | 전기, 변문 | 고문 | -- | 장회소설 | 백화문, 소설 | |
colspan=9 | |
한나라 시대 악부시는 중국 시가 역사상 높이 평가받는다. 한나라 악부 전통은 《시경》의 전통적인 사실주의적 접근 방식인 "상서로운 음악의 느낌, 일의 배후의 원인"을 계승했다. 한나라 시대 음악부에서 수집하거나 쓰여진 민요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페르소나 관점에서 쓰여졌는데, 한나라 사회를 특징짓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반영하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특징을 생생하고 시각적으로 반영했다.
한나라 마지막 1~2세기 동안, 당시 시인들은 악부(樂府)의 영향을 받거나 이를 모방하여 "문학적 악부"를 지었다. 후한 말과 삼국 시대에 걸친 건안 시대에도 악부는 계속 창작되었다. 건안 문학에 나타나는 악부는 악부(Music Bureau) 작품보다 더 개인적인 감정을 담고 있었다.
육조 시대에는 오언 절구와 유사한 형식의 규칙적인 5자 4행시(혹은 대구)를 사용하는 형태의 악부인 자야가가 등장한다.
당나라 시대 일부 시인들은 한나라 악부의 오래된 제목과 주제를 재활용할 정도로 다양한 형식과 심오함을 담아 새로운 시를 썼다. "신악부" 스타일 시인으로는 이백, 두보, 백거이, 원진 등 많은 유명 시인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이 새로운 스타일 발전과 그것에서 영감을 받아 다양한 개별 시를 창작하는 데 참여했다. 신악부 형식은 매우 자유롭거나, 한 줄에 다섯 글자 또는 일곱 글자로 이루어진 시 형식을 취할 수 있었지만, 주제는 종종 전통적인 것이었다. 이전 악부 발라드 전통과 유사하게, 많은 당나라 악부는 사냥꾼, 시골 소녀 또는 변방 군인과 같은 어떤 페르소나 목소리로 읊어졌다.[3] 당나라 악부 주제와 테마는 단순한 노래 가사 제공에서부터 사회 풍자나 비판, 문학적 연습, 친구 이별에 대한 애도, 찾아갈 수 없는 은둔자 방문하려는 시도, 노래하는 "여인", 댄서 또는 기타 전문 연예인과의 낭만적인 사랑, 또는 궁궐 후궁 여성들에 대한 감정까지 다양했다.[4]
'''한나라''' 시대:
- "길가의 뽕나무"(陌上桑)
- "무장 호위"(羽林郎)
- "백발가"(白头吟)
- "생각은 존재이다"(有所思)
- "늙은 병사의 귀환"(十五从军征)
- "공작은 동남쪽으로 날아가네"(孔雀东南飞)
'''당나라''' 시대:
- 이백의 "관산월"(關山月/关山月/guānshān yuè)과 변방 노래(塞上曲/sàishàng qǔ) 장르.
참조
[1]
문서
Birrell, 25
[2]
문서
Birrell, 7
[3]
문서
Watson, 113
[4]
문서
Watson, 113-114
[5]
서적
中国文学史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12-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