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체스카 왕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나 체스카 왕녀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와 포메라니아의 엘리자베트의 딸로,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와 결혼하여 잉글랜드 왕비가 되었다. 교회 대분열 속에서 신성 로마 제국과 잉글랜드의 유대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략결혼을 하였으며, 1382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앤은 잉글랜드에 보헤미아 문화를 들여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그녀는 중재자로서 백성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앤의 문장은 아버지의 문장과 잉글랜드 왕실 문장을 합친 것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처드 2세 - 와트 타일러의 난
와트 타일러의 난은 1381년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장기화된 백년전쟁으로 인한 과중한 세금, 흑사병 이후 사회·경제적 혼란, 왕실과 귀족의 부패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와트 타일러와 존 볼 등의 지도하에 런던까지 확산되었으나, 와트 타일러의 사망으로 진압되며 봉건 제도 쇠퇴와 사회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 리처드 2세 - 발루아의 이사벨
발루아의 이사벨은 프랑스 공주로 잉글랜드 국왕 리처드 2세와 정략 결혼했으나 폐위 후 프랑스로 돌아갔고, 샤를 도를레앙과 재혼했으나 19세의 나이로 출산 중 사망했다. - 1366년 출생 - 헨리 4세
헨리 4세는 잉글랜드 왕이자 아일랜드 영주(재위 1399년~1413년)이며 랭커스터 왕가의 시조로, 리처드 2세 폐위 후 즉위하여 반란 진압, 마누엘 2세 환대, 제임스 1세 포획 등 대외 관계를 겪고 병으로 사망했다. - 1366년 출생 - 미란 샤
미란 샤는 티무르 제국의 통치자 티무르의 아들로, 호라산 총독을 거쳐 페르시아를 통치했지만 파괴적인 성향을 보였으며, 사르드루드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함으로써 티무르 제국의 쇠퇴를 앞당겼다.
안나 체스카 왕녀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잉글랜드 왕비 |
재위 기간 | 1382년 1월 20일 – 1394년 6월 7일 |
대관식 | 1382년 1월 22일 |
배우자 | 리처드 2세 (1382년 결혼) |
가문 | 룩셈부르크 가 |
아버지 | 카를 4세 |
어머니 | 엘리자베트 폰 포메른 |
출생일 | 1366년 5월 11일 |
출생지 | 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
사망일 | 1394년 6월 7일 (28세) |
사망 장소 | 쉰 궁전, 잉글랜드 |
매장일 | 1394년 8월 3일 |
매장지 | 웨스트민스터 사원, 런던 |
2. 가족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카를 4세 |
어머니 | 엘리자베트 |
남동생 | 지기스문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이복 오빠 | 바츨라프 4세 (보헤미아의 국왕) |
남편 | 리처드 2세 |
시아버지 | 에드워드 흑태자 |
시어머니 | 켄트의 조안 |
여동생 | 보헤미아의 마르가레테 |
이복 언니 | 헝가리의 마르가레테 |
안나는 신성 로마 황제였던 지기스문트를 포함하여 네 명의 형제가 있었고, 보헤미아의 마르가레테라는 여동생이 있었다. 안나는 아버지의 이전 결혼으로 생긴 헝가리의 마르가레테를 포함한 다섯 명의 이복 자매도 있었다. 안나는 주로 프라하 성에서 자랐으며, 어린 시절의 많은 시간을 오빠인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4세의 보살핌을 받으며 보냈다.[5] 안나는 독일어, 체코어, 라틴어를 읽을 수 있었다.[2] 잉글랜드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위해 플랑드르를 거치는 여정에서, 안나는 삼촌인 룩셈부르크의 바츨라프 1세의 보호를 받았다.[3]
안나는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를 포함하여 네 명의 형제가 있었고, 다섯 명의 이복 자매가 있었다.[5]
3. 초기 생애
4. 잉글랜드 왕비
1378년 교황 우르바노 6세는 교회 대분열로 분열된 상황에서 신성 로마 제국과 잉글랜드의 유대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앤을 잉글랜드 왕 리처드 2세의 왕비로 강력히 추천했고, 1381년 5월 1일에 결혼이 성사되었다. 앤의 이복 오빠 벤체슬라오 4세 또한 로마에서 황제 대관식을 거행하기 위해 잉글랜드의 지원을 기대하며 결혼을 지지했다.[23][24]
와트 타일러의 난으로 앤의 잉글랜드행은 늦어졌지만, 같은 해 프라하를 출발하여 12월에 칼레에서 도버 해협을 건너 1382년 1월 20일에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이 결혼은 잉글랜드에게 불이익을 가져다주었다. 지참금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결혼 비용을 잉글랜드가 부담했으며(그 돈은 벤체슬라우스에게 흘러갔다), 백년 전쟁에서 프랑스와의 전쟁을 보헤미아가 지원하지 않았다. 앤의 시종과 시녀들이 궁정에서 낭비하여 잉글랜드 국민에게 미움을 받았으며, 앤에게 아이가 태어나지 않는 등 불평이 잇따랐다.[25][26]
그럼에도 불구하고 앤과 리처드 2세는 12년 동안 다정한 부부로 지냈으나,[2] 자녀는 없었다. 1394년 쉰 매너에서 흑사병으로 앤이 사망하자 리처드는 큰 충격을 받았다. 그는 너무나 비통해하여 그녀가 죽은 쉰 매너를 파괴했다.[11]
4. 1. 중재 노력
앤은 백성을 위해 "중재"하려는 끊임없는 시도로 유명했으며, 1381년 농민 반란 참여자들과 다른 많은 범죄자들에 대한 사면을 얻어냈다.[14]
그녀는 또한 국왕 앞에서 여러 차례 유명한 중재를 했다. 1384년 런던의 전 시장이었던 존 노샘프턴의 생명을 구했다. 그녀의 겸손한 탄원은 리처드 2세가 범죄자를 평생 투옥시키는 것으로 결론짓도록 설득했다.[15] 앤의 가장 유명한 중재 행위는 1392년 리처드와 런던의 공식적인 화해에서 런던 시민들을 위한 것이었다. 여왕의 역할은 리처드 메이드스톤의 ''리처드 2세와 런던 시의 화해''에 기념되었다.[16] 앤은 또한 1388년 무자비한 의회에서 리처드 2세의 후견인이었던 사이먼 드 벌리를 위해 중재했으나, 항소 귀족에게 간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벌리는 처형되었다.[17]
4. 2. 문화적 영향
앤의 아버지인 프라하에 기반을 둔 카를 4세의 궁정은 당시 절정에 달했던 국제 고딕 양식의 중심지였으며, 그녀의 도착은 영국 미술에 새로운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뮌헨에 있는 블랑슈 공주의 왕관은 프라하나 파리에서 앤을 위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0]
앤은 리처드 2세와 함께 화려한 잉글랜드 궁정 문화를 가져왔고, 보헤미아에서 채색 필사본을 들여와 잉글랜드에서도 유행하게 되었다. 당시 궁정에 영감을 받아 제프리 초서, 존 가워, 윌리엄 랭글랜드 등이 활약하며 많은 문학 작품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앤 자신도 어학에 능통하여 체코어, 라틴어, 독일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했을 뿐만 아니라 영어, 프랑스어도 마스터했으며, 성경에 정통했다. 리처드 2세는 앤이 살아있는 동안 감정을 억제할 수 있었는데, 이는 앤이 중요한 배우자로 여겨졌기 때문이라고 한다.[30] 또한, 그녀가 체코어로 번역된 성경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존 위클리프에 의한 영어 번역 성경 제작의 동기가 되었고, 보헤미아의 프라하 대학교에서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생이 증가했으며, 그들을 통해 위클리프의 사상이 보헤미아로 전해진 것이, 후일 얀 후스에 의한 종교 개혁과 후스파 탄생으로 이어졌다.[30]
5. 평가
안나는 원래 연대기 기록자들에게 미움을 받고 비방을 받았지만,[2]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인기를 얻었다는 증거가 있다. 그녀는 매우 친절한 사람이었고 잉글랜드 백성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예를 들어, 그녀는 백성을 위해 "중재"하려는 끊임없는 시도로 유명했으며, 1381년 농민 반란 참여자들에 대한 사면과 다른 수많은 범죄자들에 대한 사면을 얻어냈다. 1389년에 그녀는 14년 전에 윌리엄 드 칸틸루프 살인 혐의로 기소된 남자에 대한 사면을 구했다.[14]
그녀는 또한 국왕 앞에서 여러 차례 유명한 중재를 했다. 1384년 런던의 전 시장이었던 존 노샘프턴의 생명을 구했다. 그녀의 겸손한 탄원은 리처드 2세가 범죄자를 평생 투옥시키는 것으로 결론짓도록 설득했다.[15] 안나의 가장 유명한 중재 행위는 1392년 리처드와 런던의 공식적인 화해에서 런던 시민들을 위한 것이었다. 여왕의 역할은 리처드 메이드스톤의 ''리처드 2세와 런던 시의 화해''에 기념되었다.[16] 안나는 1388년 무자비한 의회에서 리처드 2세의 후견인이었던 사이먼 드 벌리를 위해 중재했다. 항소 귀족에게 간청했음에도 불구하고 벌리는 처형되었다.[17]
토마스 왈싱엄은 찬사에서 그녀를 "하느님께 헌신하고, 자선 행위를 하며, 가난한 자와 교회를 지원한" 인물로 칭찬했다.[2]
반면에 그녀는 여왕으로서 많은 전통적인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 특히, 12년 동안 결혼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낳지 못했고, 이것은 아마도 그녀의 묘비에 강조되었을 것이며, 그녀는 "임산부"에게 친절했다고 언급되었다. 이브샴 연대기 기록자는 "이 여왕은 아이를 낳지 못했지만, 그녀가 할 수 있는 한 왕국의 영광과 부에 기여했다고 여겨졌다. 귀족과 평민 모두 그녀의 죽음에 큰 고통을 받았다"고 말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한 여왕 안나"로서의 그녀의 대중적인 유산은 이러한 자녀의 부재가 많은 동시대인들에게 중요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6. 죽음과 유산
안나는 남편 곁인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다. 1395년, 리처드는 자신과 안나를 위한 기념비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영국 왕실 장례를 위해 최초로 이중 무덤이 주문된 혁신적인 사례였다. 퍼벡 대리석으로 된 기단 계약은 런던의 두 석공인 헨리 예블과 스티븐 로트와 체결되었고, 두 개의 실물 크기 조각상은 런던의 구리 세공인 니콜라스 브로커와 고드프리 프레스트와 체결되었다. 현재는 유실된 디자인이 두 세트의 장인들에게 제공되었다. 구리 세공인과의 계약은 조각상이 금도금된 구리와 황동으로 만들어져 캐노피 아래에 놓여야 한다고 명시했다. 그들은 왕관을 쓰고 오른손을 잡고 왼손에는 홀을 들고 있어야 했다.[19]
그들의 합장묘는 현재 손상되었고, 조각상의 손이 떨어져 나갔다. 묘비명은 그녀를 "몸이 아름답고 얼굴이 온화하고 예뻤다"라고 묘사하고 있다. 1871년 무덤이 열렸을 때, 관 옆의 구멍을 통해 그녀의 뼈가 많이 도난당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0]
보헤미아의 안나는 중세 시대 여성들에게 안장의 인기를 높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그녀는 또한 미래의 남편 리처드를 만나기 위해 헝가리 코치에서 마차를 타고 도착하면서 잉글랜드의 마차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코치는 영어 단어 carriage|마차영어의 기원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녀는 또한 14세기 후반에 뿔이 달린 보헤미아 스타일의 머리 장식을 잉글랜드 여성들의 유행으로 만들었다.
정치적으로는 잉글랜드에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지 못했지만, 문화적으로는 앤이 리처드 2세와 함께 화려한 잉글랜드 궁정 문화를 가져왔고, 보헤미아에서 채색 필사본을 들여와 잉글랜드에서도 유행하게 되었다. 당시 궁정에 영감을 받아 제프리 초서, 존 가워, 윌리엄 랭글랜드 등이 활약하며 많은 문학 작품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앤 자신도 어학에 능통하여 체코어, 라틴어, 독일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했을 뿐만 아니라 영어, 프랑스어도 마스터했으며, 성경에 정통했던 점이 리처드 2세로부터 중요한 배우자로 여겨졌고, 앤이 살아있는 동안 감정을 억제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녀가 체코어로 번역된 성경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존 위클리프에 의한 영어 번역 성경 제작의 동기가 되었고, 보헤미아의 프라하 대학교에서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생이 증가했으며, 그들을 통해 위클리프의 사상이 보헤미아로 전해진 것이, 후일 얀 후스에 의한 종교 개혁과 후스파 탄생으로 이어졌다.[30]
7. 대중문화
안나 체스카 왕녀(보헤미아의 앤)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뤄졌다.
- 문학
- * 마가렛 캠벨 반스의 소설 『할로우 크라운 속에서』(1941)[1]
- * 진 플라이디의 소설 『폰테프랙트로 가는 길』(1981)[2]
- * 모린 피터스의 소설 『장미 위의 서리』(1982)[3]
- * 토머스 B. 코스태인의 『마지막 플랜태저넷 가문』(1962)[4]
- 연극
- * 고든 다비오가 쓴 연극 ''보르도의 리처드''(1932)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 * 앤서니 밍겔라의 ''두 개의 판자와 열정''(1983)에 등장한다.
- 영화
- * 리처드 오브 보르도의 1938년 TV 드라마 각색판에서 그웬 프랭콘 데이비스가 안나 왕녀 역을, 앤드루 오스본 (배우)이 리처드 2세 역을 맡았다.
- * 1947년 TV 드라마 각색판에서는 조이스 헤론이 안나 왕녀 역을, 앤드루 오스본 (배우)이 리처드 2세 역을 맡았다.[1][2]
7. 1. 문학
- 마가렛 캠벨 반스의 소설 『할로우 크라운 속에서』(1941)가 있다.[1]
- 진 플라이디의 소설 『폰테프랙트로 가는 길』(1981)이 있다.[2]
- 모린 피터스의 소설로 보헤미아의 안나와 발루아의 이사벨라에 관한 내용인 『장미 위의 서리』(1982)가 있다.[3]
- 토머스 B. 코스태인의 『마지막 플랜태저넷 가문』(1962)이 있다.[4]
7. 2. 연극
그녀는 고든 다비오가 쓴 연극 ''보르도의 리처드''(1932)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 이 연극은 낭만적인 방식으로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의 이야기를 다루며, 리처드와 보헤미아의 앤의 관계를 강조한다. 이 연극은 1933년에 대성공을 거두어 웨스트 엔드에서 1년 넘게 공연되었으며, 연출가이자 주연 배우인 존 길구드를 주요 스타로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앤은 또한 앤서니 밍겔라의 ''두 개의 판자와 열정''(1983)에도 등장하며, 그녀는 남편과 절친한 친구인 로버트 드 베어와 함께 요크의 그리스도의 성체 축일 신비극에 참석한다.
7. 3. 영화
리처드 오브 보르도의 1938년 TV 드라마 각색판에서 그웬 프랭콘 데이비스가 안나 왕녀 역을, 앤드루 오스본 (배우)이 리처드 2세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의 사본은 남아 있지 않다. 1947년 TV 드라마 각색판에서는 조이스 헤론이 안나 왕녀 역을, 앤드루 오스본 (배우)이 리처드 2세 역을 맡았다. 이 작품 역시 사본은 남아 있지 않다.[1][2]8. 문장
안나 체스카 왕녀의 문장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 국왕인 아버지 카를 4세의 문장과 잉글랜드 왕실 문장을 합친 것이다. 분기 형식으로 1구와 4구는 금색 바탕에 검은색 독수리 문양, 붉은색 무장과 발톱을 하고, 2구와 3구는 붉은색 바탕에 은색 사자 문양, 꼬리가 네 갈래로 갈라지고, 금색 왕관을 쓰고 있다. 안나는 이 문장을 리처드 2세의 방패와 합쳤으며, 이는 참회왕의 문장이 프랑스와 잉글랜드의 문장과 함께 세로로 나란히 배치되었다. 결과적으로 전체 방패는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세 개의 문장"이 되었다.[22]
9. 가계도
참조
[1]
서적
Lives of the Queens of England from the Norman Conquest
Lea & Strickland
[2]
간행물
Anne of Bohemia and the Objects of Ricardian Kingship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4-09-12
[3]
서적
Berengaria of Navarre. Anne of Bohemia
https://archive.org/[...]
Lea & Blanchard
[4]
웹사이트
Westminster Abbey
http://www.westminst[...]
[5]
서적
Queens Consort:England's Medieval Queens
Phoenix
2008
[6]
서적
Westminster Chronicle 1381–1394
Clarendon Press
1982
[7]
서적
The St Albans Chronicle: The Chronica Maiora of Thomas Walsingham
Clarendon Press
1376–1394
[8]
웹사이트
The Great Hospital – Bishopgate, Norwich
http://www.greathosp[...]
2011-01-04
[9]
서적
The Plantagenets: The Warrior Kings and Queens who made England
Viking Press
[10]
문서
Age of Chivalry, Art in Plantagenet England, 1200–1400
Royal Academy/Weidenfeld & Nicolson
[11]
웹사이트
Westminster Abbey » Richard II and Anne of Bohemia
http://www.westminst[...]
2014-09-22
[12]
서적
The Last Plantagenets
Doubleday
[13]
문서
[14]
학회자료
Murder, Mayhem and a Very Small Penis
AHA
2016
[15]
서적
Westminster Chronicle 1381–1394
Clarendon Press
1982
[16]
서적
Concordia (The Reconciliation of Richard II with London)
http://www.lib.roche[...]
Medieval Institute Publications
2003
[17]
문서
[18]
서적
Historia Vitae et Regni Ricardi II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
웹사이트
Anne of Bohemia and her contribution to Richard II's treasure
https://www.history.[...]
[20]
웹사이트
Richard II and Anne of Bohemia
http://www.westminst[...]
2008-03-11
[21]
서적
Berengaria of Navarre. Anne of Bohemia
https://archive.org/[...]
Lea & Blanchard
[22]
간행물
A Manual of Heraldry, Historical and Popular
Winsor & Newton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서적
권력과 광기
말글빛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