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로노보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로노보 문화는 기원전 2200년에서 기원전 800년까지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일대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 문화이다. 이 문화는 신타시타, 알라쿨, 페도로보, 알렉세예프카, 베시켄트-바크시 등 다양한 하위 문화로 구분되며, 기원전 2000년경 바퀴살 전차를 발명하고, 고도로 이동적인 생활을 영위하며 정착촌을 건설했다. 안드로노보 문화는 가축 사육, 야금술, 토기 제작 등에서 특징을 보였으며, 특히 인도이란어족과의 관련성이 깊어 초기 인도이란어족의 확산과 관련된 문화로 추정된다.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안드로노보 문화는 야먄야 문화와 초기 유럽 농경민의 혼혈로, 인도이란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확산과 관련이 있으며, 쇠퇴 이후에는 카라수크 문화, 스루브나 문화 등으로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고고문화 -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는 기원전 2200년부터 1500년경 중앙아시아 박트리아와 마르기아나 지역에서 번성한 청동기 문명으로, 관개 농업 기반 도시 건설, 독자적인 물질 문화 발전, 주변 지역과의 교류를 특징으로 한다.
  • 노보시비르스크주의 역사 - 카라수크 문화
    카라수크 문화는 기원전 2300년에서 기원전 700년 사이 시베리아 남부에서 번성한 청동기 시대 문화로, 농업과 목축을 기반으로 움집에서 생활하며, 곡선형 칼과 마구를 특징으로 하는 청동기 제작 기술이 발달했다.
안드로노보 문화
지도 정보
안드로노보 문화
붉은색이 안드로노보 문화. 인접한 주황색은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적 복합체, 노란색은 야즈 문화의 권역을 나타낸다.
기본 정보
이름안드로노보 문화
로마자 표기Andronovo culture
지역유라시아 스텝
시대청동기 시대
연대기원전 2000년경 – 기원전 1150년경
이전 및 이후 문화
이전 문화신타시타 문화
매듭무늬토기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
세이마-투르비노 현상
켈테미나르 문화
이후 문화카라수크 문화
베가지-단디바이 문화
타스몰라 문화
타자바기아브 문화
스키타이족
참고 자료

2. 명칭과 발견

1914년 러시아 동물학자 아르카디 투가리노프가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의 안드로노보 마을에서 최초로 유물을 발견하면서 이 문화의 이름이 유래되었다.[16] 웅크린 자세로 매장된 해골들과 화려하게 장식된 토기가 함께 발견된 여러 무덤들이 있었다. 1920년대 러시아 고고학자 세르게이 테플루호프에 의해 안드로노보 문화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16]

3. 시대 및 지역 구분

안드로노보 문화는 시대 및 지역적으로 여러 하위 문화로 세분된다. 크게 알라쿨 문화와 페도로보 문화로 나뉘며, 알라쿨-페도로보 문화도 존재한다.


  • 알라쿨 문화(기원전 1900~1500년):[20] 카자흐스탄 북부, 서부 및 중부, 시베리아 서부, 중앙아시아 남부, 트란스옥시아나 지역, 키질쿰 사막 등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했다.
  • 페도로보 문화(기원전 1900~1300년):[22][23] 트랜스우랄의 숲 스텝, 시베리아 남부와 예니세이 상류, 카자흐스탄 북부, 중부 및 동부, 세미레치예 지역, 파미르와 톈산 산맥, 신장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나타났다.[24]
  • 알라쿨-페도로보 문화(기원전 1750~1550년):[26] 기원전 2천년기 2분기에 남부 우랄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알라쿨 유물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알렉세예프카-사르가리 문화도 안드로노보 문화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 알렉세예프카-사르가리 문화(기원전 1500~900년):[27][28][29] 카자흐스탄 북부의 후기 청동기 시대 문화로, 투르크메니스탄의 나마즈가 Ⅵ기와 접촉했으며, 튜멘주 남부 잉갈라 계곡과 토볼 강 유역에서도 발견된다.


최근에는 동중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안드로노보 문화의 특징이 더 일찍 존재했다는 증거가 발견되면서, 기존의 동쪽 확산 모델에 대한 연대기에 이의가 제기되기도 한다.[30]

많은 학자들은 안드로노보 문화권이 고대 인도이란인과 같은 집단이었다고 추정한다.[88] 이는 지명 연구와 더불어 기원전 제1천년기에 해당 지역에서 스키타이와 같은 이란계 민족들이 융성했던 역사적 사실로 뒷받침된다.[88][89]

인도이란계 이동과 관련된 고고학 문화 (《인도유럽 문화 백과사전》 참조): 안드로노보 문화, BMAC, 야즈 문화는 종종 인도이란계 이동과 관련되어 왔다. 간다라 묘지(또는 스와트), 묘지 H, 구리 매장 문화, 회색 도기 문화는 남아시아로의 인도아리아인 이동의 후보이다.


기원전 2천년기 초에서 중반에 걸쳐 안드로노보 문화는 동쪽으로 급속히 확장되었으며, 알타이 산맥에서는 구리 광산이 채굴되었다. 매장에는 석관 또는 돌담이 사용되었고, 더 나아가 목관으로 둘러싸였다. 생활 방식은 , , 등의 목축이 중심이며, 농경도 함께 이루어졌다.

3. 1. 신타시타 문화 (기원전 2200년 ~ 기원전 1600년경)

우랄 남부, 카자흐스탄 북부 지역에서 발달했다. 우랄강 상류에서 보이는 전차 유물들과 쿠르간 무덤들이 안드로노보 문화의 가장 초기 형태인 신타시타 문화를 특징짓는다.[85][86] 이는 인도이란조어의 유래와 동일시된다.[85][86]

생활 양식은 , , 등의 가축을 중심으로 농경도 이루어졌다. 기원전 2000년 전후에 발명된 바퀴살 달린 전차가 특징적이다.[87] 첼랴빈스크주 신타슈타 유적은 기원전 1800년경, 근처 아르카임 유적은 기원전 17세기로 여겨진다.

3. 2. 알라쿨 문화 (기원전 2100년 ~ 기원전 1400년경)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 사이의 키질쿰 사막 지역에서 발달하였다.[2] 숲 스텝과 트랜스우랄 스텝, 카자흐스탄 북부, 서부 및 중부, 시베리아 서부, 중앙아시아 남부에 이르는 지역과 트란스옥시아나 지역에서 발견된다.[21]

3. 3. 알렉세예프카 문화 (기원전 1300년 ~ 기원전 1000년경)

카자흐스탄 동부에서 발달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의 나마즈가 Ⅵ기와 접촉했다.[27][28][29] 튜멘주 남부의 잉갈라 계곡, 토볼 강 유역에서도 발견된다.

3. 4. 표도로보 문화 (기원전 1500년 ~ 기원전 1200년경)

표도로보 문화는 시베리아 남부에서 발달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초기의 화장과 화염 숭배 증거가 발견된다.[25]

3. 5. 베시켄트-바크시 문화 (기원전 1000년 ~ 기원전 800년경)

Бешкент-Вахшская культура|베시켄트-바흐시 문화ru는 기원전 1000년에서 기원전 800년경까지 타지키스탄 지역에서 발달했다.[73]

4. 지리적 범위

안드로노보 문화의 지리적 범위는 넓어서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서쪽 가장자리에서는 스루브나 문화와 볼가 강-우랄 사이 지역에서 겹친다. 동쪽으로는 미누신스크 분지에 이르며, 일부 유적은 우랄 산맥 남쪽까지 서쪽으로 뻗어 있다.[31] 이는 이전의 아파나셰보 문화 지역과 겹친다.[32] 남쪽으로는 코페트다그 산맥(투르크메니스탄), 파미르(타지키스탄), 톈산 산맥(키르기스스탄)까지 유적이 흩어져 있다. 북쪽 경계는 타이가의 시작과 거의 일치한다.[31] 최근에는 중국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도 안드로노보 문화의 존재를 보여주는 증거가 발견되었다.[30] 주로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 일리, 보얼탈라, 타청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다.[33] 볼가 분지에서는 스루브나 문화와 상호 작용이 가장 강렬하고 오래 지속되었으며, 페도로보 양식의 토기는 볼고그라드까지 서쪽으로 발견된다.

5. 특징

안드로노보 문화는 정착 생활과 이동 생활을 병행했으며, 중앙아시아 지역에 정착지가 집중되었다. 방어 시설로는 도랑, 흙 제방, 목책 등이 있었고, 약 20곳의 정착지가 발견되었다. 안드로노보 마을에는 보통 2~20채의 집이 있었지만, 100채가 넘는 집이 있는 정착지도 발견되었다. 가옥은 주로 소나무, 시더(삼나무), 자작나무로 지어졌으며, 강둑을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큰 집들은 80~300m² 크기로, 확대 가족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280x280px


276x276px


2000년대 중반의 연구에 따르면, 고고학자들은 안드로노보인들의 두개골 특징이 고대와 현대 유럽 인구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안드로노보인들의 두개골은 스루브나야 문화와 신타슈타 문화의 두개골과 유사하며, 장두형(dolicocephaly)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신체 유형은 인도-아리아인의 이동을 통해 남쪽으로 확장되어 원주민과 혼합되어 현대 인도 인구 형성에 기여했다.[64]

5. 1. 생업 경제

안드로노보 문화의 사람들은 소, 말, 양, 염소, 낙타와 같은 가축을 사육했다.[31] 돼지는 이동성 경제의 특징으로 인해 눈에 띄게 적었다. 소의 비율은 서쪽의 스루브나 문화 이웃들보다 훨씬 높았다.[6] 말은 승마와 짐 운반에 모두 사용되었다.[6] 2020년 7월, 고고학 과학 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따르면, 안드로노보인들이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수 세기 전에 이미 승마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36][37]

농업은 안드로노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38]

안드로노보 문화는 지역적인 야금술 발전으로 유명하다.[31] 기원전 14세기경부터 알타이 산맥의 구리 광산을 개발했다.[40] 청동 유물이 많았고, 구리를 가공하는 작업장도 존재했다.[40]

5. 2. 토기

안드로노보 문화의 특징 중 하나는 토기이다. 특히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유적지, 그중 일부는 남쪽의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 유적 정착지와 매우 가까운 곳에서 발견되는 토기가 주목할 만하다. 이 토기는 인시즈드 코스 웨어(ICW, Incised Coarse Ware)라고 불리며, 손으로 만들었고 회색에서 갈색을 띠며 기하학적인 무늬가 새겨져 있다.[41] 이러한 토기는 남쪽 우랄 산맥에서 카슈가르까지 유라시아 지역 대부분에 걸쳐 퍼져 있으며, 청동기 후기 유목민이 만든 것이다.[42]

5. 3. 군사

기원전 2000년경 바퀴살 달린 전차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87] 우랄강 상류에서 보이는 전차 유물들과 쿠르간 무덤들은 안드로노보 문화의 가장 초기 형태인 신타시타 문화 시대를 특징짓는다.[85][86]

이고르 체추시코프는 "기마술과 전투 기술을 이용하여 동족과 이웃 부족을 물리적으로 통제하는 힘에 기반한 군사화된 엘리트가 노보일리놉스키-2 매장지에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병은 보병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설명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엘리트는 집단 내 갈등을 중재하는 기능을 수행했고, 따라서 권력과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졌을 것이다. 비유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엘리트를 청동기 시대의 보안관이라고 부를 수 있다"라고 말했다.[43]

마차 모형, 아르카임 박물관

5. 4. 매장 풍습

안드로노보 문화의 매장 재현. 리사코프스크 상토볼 강 지역 역사 문화 박물관


안드로노보 문화의 사망자들은 둥글거나 직사각형의 쿠르간(고분) 아래에 목재 또는 석재로 된 매장 시설에 매장되었다. 매장에는 가축, 바퀴 달린 차량, 말의 볼 장식, 무기, 도자기 및 장신구가 함께 묻혔다. 가장 주목할 만한 유물 중에는 기원전 2000년경 또는 그 이전 시대의 마차 매장이 있다. 마차는 두 마리의 말이 짝을 이룬 채 발견되며, "머리와 발굽" 의례에 따른 말 매장도 발견되었다.[6] 일부 안드로노보 문화인들은 성인 두 명 또는 성인 한 명과 아이 한 명이 함께 묻히기도 했다.[44]

몽골과 카자흐스탄 사이 러시아의 키트마노보에서는 기원전 1746년~1626년 무덤에서 한 여성의 이빨에서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균주가 추출되었다. 이 무덤은 그 여성과 두 아이의 공동 무덤이었다.[45] 이 균주의 유전자는 인체의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플라젤린을 발현한다. 그러나 다른 선사 시대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박테리아와는 달리, 이 균주는 플라젤린을 약하게 발현한다. 후대의 역사적 페스트는 플라젤린을 전혀 발현하지 않아 독성이 강하다. 따라서 키트마노보 균주는 페스트가 되는 방향으로 선택압을 받았다.[46] (비록 그것이 "페스트" 자체는 아니었지만).[47] 그 무덤의 세 사람은 모두 동시에 사망했으며, 연구원은 이 준(準)페스트가 그들을 죽인 원인이라고 믿고 있다.[48]

6. 인도이란어족과의 관계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안드로노보 문화를 초기 인도이란어족과 관련짓는다.[62][49] 특히, 안드로노보 문화는 기원전 2000년경 바퀴살이 있는 전차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지는데,[50][51] 가장 오래된 마차가 발견된 신타시타 문화를 포함한다면 더욱 그러하다.[52][53]

안드로노보 문화와 인도이란인의 연관성은 다음의 증거를 통해 뒷받침된다.


  • 안드로노보 문화권 전역에 걸친 이란어 계통 지명의 분포[6]
  • 기원전 1천년 동안 사카 (스키타이), 사르마티아인, 알란인을 포함한 여러 이란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의 지배에 대한 역사적 증거[6]


우랄 강 상류에 위치한 신타슈타 유적은 마차 매장과 말 매장이 있는 쿠르간으로 유명하며, 신타슈타 문화의 대표 유적지로 간주되어 "안드로노보 문화권"의 가장 초기 부분 중 하나를 형성한다.[54] 당시 사용된 언어는 인도이란조어 단계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55]

안드로노보 문화의 고고학적 증거와 인도이란인의 문헌적 증거(즉, 『베다』와 『아베스타』) 간의 비교는 종종 안드로노보 문화의 인도이란인 정체성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된다.[56][57] 현대의 많은 연구는 안드로노보 문화가 중앙아시아로 남쪽으로 확장되었거나, 적어도 이 지역의 청동기 시대 도시 중심지(예: 바크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체) 전반에 걸쳐 언어적 우위를 확보했다는 가정에 크게 의존한다. 안드로노보 문화의 초기 단계는 인도이란 언어의 통일성의 후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후기에는 이란인의 한 분파를 구성했을 가능성이 크다.[6]

하지만, 안드로노보 문화를 인도이란계로 보는 것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 근동 지역에서는 스텝 지역의 특징적인 목재 무덤이 없다.[58]
  • 코페트다그와 파미르-카라코룸 사이의 지역 남쪽에서는 그러한 흔적이 없다.


맬러리는 안드로노보에서 북인도로의 확장에 대한 주장을 제기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하고, 인도아리아인을 베시켄트와 바흐시 문화와 같은 유적과 연결하려는 시도는 "인도이란인을 중앙아시아까지 데려오지만, 메디아인, 페르시아인 또는 인도아리아인의 중심지까지는 데려오지 못한다"고 말한다. 그는 인도이란인이 바크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적 특징을 장악했지만 이란과 인도로 이동하면서 언어와 종교를 보존했다는 "문화권" 모델을 개발했다.

7. 유전학적 연구

안드로노보 문화와 그 주민들은 유전적으로 서유라시아 계통, 즉 유럽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8] 이들은 중앙유럽의 끈목무늬토기 문화가 동쪽으로 확장되면서 파티아노보-발라노보 문화, 신타시타 문화를 거쳐 형성되었으며, 야만나 문화와 초기 유럽 농경민의 혼혈이 결합된 특징을 보인다.[65][66][67]

Keyser 외(2009)의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1800년부터 기원전 1400년까지 남시베리아 안드로노보 지평의 10명의 개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9명의 mtDNA: U4 2개, Z1, T1, U2e, T4, H, K2b, U5a1 각 1개
  • 1명의 Y-DNA: C (그러나 C3는 아님)
  • 2명의 Y-DNA: R1a1a


조사된 개인 중 7명(78%)은 유럽계 혈통, 2명(22%)은 아시아계 혈통이었으며, 대다수는 밝은 피부, 눈, 머리카락을 가졌다.[51]

2015년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안드로노보 문화의 남성 1명(Y-DNA R1a1a1b)과 여성 3명(mtDNA U4 2개, U2e 2개)을 조사했다. 이들은 신타시타 문화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이는 끈목무늬토기 문화와도 관련이 깊다. 끈목무늬토기 문화는 종형컵 문화, 우네티체 문화, 북유럽 청동기 시대 사람들과 유전적으로 유사하다.

2018년 네이처의 연구에서는 기원전 1200년경 안드로노보 여성 1명의 유해(모계 하플로그룹 U2e1h)를 조사했다.[70]

2019년 사이언스의 연구에서는 안드로노보 지평의 많은 유해를 조사한 결과, 추출된 Y-DNA의 대다수는 R1a1a1b 또는 그 하위 계통(특히 R1a1a1b2a2a)에 속했고, mtDNA의 대다수는 U에 속했다. 안드로노보 문화의 사람들은 끈목무늬토기 문화, 포타포프카 문화, 신타시타 문화, 스루브나야 문화 사람들과 유전적으로 밀접하며, 야먀야 문화와 중앙 유럽 중기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혼합된 조상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안드로노보 북서부 지역 사람들은 신타시타 사람들과 유전적으로 거의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동질적이었다. 유전자 데이터는 안드로노보 문화와 신타시타 문화가 중앙 유럽 사람들의 스텝 지역으로의 재이주에서 유래했음을 시사한다.

Manjusha Chintalapati, 닉 패터슨, Priya Moorjani (2022년 7월 18일)는 안드로노보 문화 사람들의 전형적인 유전적 특징이 기원전 2900년경에 형성되었다고 추정했다.[71]

2000년대 중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안드로노보인들은 고대 및 현대 유럽인과 유사한 두개골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79] 스라브나야 문화 및 신타슈타 문화의 두개골과 유사한 단두형 등의 특징을 보인다.

참조

[1] 논문 Bronze Age Economy and Rituals at Krasnosamarskoe in the Russian Steppes https://core.tdar.or[...] 2017
[2] 논문 Andronovo Problem: Studies of Cultural Genesis in the Eurasian Bronze Age https://www.degruyte[...] 2021
[3] 논문 Royal 'Chariot' Burials of Sanauli near Delhi and Archaeological Correlates of Prehistoric Indo-Iranian Languages https://journal.fi/s[...] 2020-10-23
[4] 논문 Andronovo Problem: Studies of Cultural Genesis in the Eurasian Bronze Age https://www.degruyte[...] 2021
[5]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6] 서적 (Missing Title - requires additional context from `Mallory|1997`) 1997
[7] 서적 (Missing Title - requires additional context from `Mallory|1997`) 1997
[8] 서적 (Missing Title - requires additional context from `Beckwith|2009`) 2009
[9]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0] 논문 The first nomads in Central Asia’s steppes (Kazakhstan): An overview of major socio-economic changes, derived from funerary practices of the Andronovo and Saka populations of the Bronze and Iron Ages (2nd-1st millennium BCE) https://books.opened[...] Publications scientifiques du Muséum 2021
[11] 논문 The first nomads in Central Asia’s steppes (Kazakhstan) https://books.opened[...] 2021
[12] 논문 The first nomads in Central Asia’s steppes (Kazakhstan): Territory, power and religion https://www.academia[...] 2022
[13] 서적 (Missing Title - requires additional context from `Koryakova|1998a`) 1998
[14] 논문 Oriental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f Cauldrons of Late bronze Age 2019-03-04
[15] 학술지 Population genomics of Bronze Age Eurasia https://depot.ceon.p[...] 2015
[16] 백과사전 Andronovo Great Soviet Encyclopaedia
[17] 서적 Nomination to the World Heritage list of Sarazm https://whc.unesco.o[...]
[18]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07-26
[19] 서적 Tajikistan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7-12-04
[20] 논문 The Indo Iranian Approach to Greater Iran https://www.academia[...] 2024-07-23
[21] 논문 The Indo Iranian Approach to Greater Iran https://www.academia[...] 2024-07-23
[22] 논문 The Indo Iranian Approach to Greater Iran https://www.academia[...] 2024-07-23
[23] 논문 Andronovo Problem: Studies of Cultural Genesis in the Eurasian Bronze Age https://www.academia[...] 2021
[24] 논문 The Indo Iranian Approach to Greater Iran https://www.academia[...] 2024-07-23
[25] 서적 (Missing Title - requires additional context from `Diakonoff|1995`) 1995
[26] 논문 The Indo Iranian Approach to Greater Iran https://www.academia[...] 2024-07-23
[27] 논문 Megalithic structure from Burabay: Gold mining and cult communities of the Late Bronze Age of Northern Kazakhstan https://www.scienced[...] 2024-09
[28] 논문 Metal Products of the Alekseyevka-Sargary Culture From the Middle and Upper Tobol Areas https://www.research[...] 2019
[29] 서적 Andronovo Culture https://archive.org/[...]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997
[30] 논문 Adunqiaolu: new evidence for the Andronovo in Xinjiang, China 2017
[3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 Press 1994
[32] 서적 (Missing Title - requires additional context from `Mallory|1989`) 1989
[33] 서적 The Metal Road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 The Formation of the Xiongnu Confederation and the Silk Road Springer Singapore 2020
[34] 학술지 New Radiocarbon Dates and a Review of the Chronology of Prehistoric Populations from the Minusinsk Basin, Southern Siberia, Russia https://web.archive.[...] 2009
[35] 서적 The Indo-Aryans of Ancient South Asia: Language, Material Culture and Ethnicity Walter de Gruyter 2012
[36] 웹사이트 The most ancient evidence of horsemanship in the bronze age https://phys.org/new[...] 2020-07-18
[37] 웹사이트 Russian Scientists Have Discovered the Most Ancient Evidence of Horsemanship in the Bronze Age - South Ural State University https://www.susu.ru/[...] 2020-07-18
[38] 논문 Subsistence and social change in central Eurasia: stable isotope analysis of populations spanning the Bronze Age transition 2014
[39] 논문 THE NEW FINDS OF ORNAMENTAL SHAFT-HOLE AXES OF BRONZE AGE FROM KYRGYZSTAN http://journal.asu.r[...] 2014
[40] 웹사이트 Central Asian Arts: Neolithic and Metal Age cultures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3-02
[41] 서적 Who interacted with whom? redef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BMAC people and mobile pastoralists in Bronze Age southern Turkmenistan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20
[42] 서적 Preliminary Report on Ornamental Elements of 'Incised Coarse Ware' https://www.research[...] Istituto Italiano Per L'Africa E L'Oriente 1998
[43] 논문 Early evidence for horse utilization in the Eurasian steppes and the case of the Novoil'inovskiy 2 Cemetery in Kazakhstan http://www.sciencedi[...] 2020-08-01
[44] 웹사이트 Bronze Age Necropolis Unearthed In Siberia https://ancientexplo[...] 2018-03-14
[45] 논문 Early Divergent Strains of Yersinia pestis in Eurasia 5,000 Years Ago 2015-10
[46] 문서 Rasmussen, 575.
[47] 문서 Rasmussen, 578: the phylogenetic tree has RISE505 split off before the common ancestor of historic plague.
[48] 문서 Rasmussen, S15.
[49] 논문 Indo-European loanwords and exchange in Bronze Age Central and East Asia 2022-04-22
[50] 문서 Anthony, Vinogradov, 1995
[51] 논문 Ancient DNA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south Siberian Kurgan people 2009-05-16
[52] 논문 The emergence of Bronze Age chariots in eastern Europe 2006-09-01
[53] 서적 The Earliest Wheel Finds, Their Archeology and Indo-European Terminology in Time and Space, and Early Migrations around the Caucasus Archaeolingua Alapítvány 2019
[54]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Andronovo Culture: Late Bronze Age Indo-Iranians in Central Asia http://www.csen.org/[...] 2010-09-16
[55] 문서 Mallory, 1989
[56] 논문 The Old Avesta and Birth of Iranian Identity https://www.tandfonl[...] 2022-06-01
[57] 서적 The Age of the Rig Veda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1-25
[58] 문서 Francfort, in Fussman et al., 2005, p. 268; Fussman, in Fussman et al., 2005, p. 220; Francfort (1989), Fouilles de Shortugai.
[59] 문서 Anthony, Vinogradov, 1995; Kuzmina (1994), Klejn (1974), and Brentjes (1981), as cited in Bryant, 2001, p. 206
[60] 웹사이트 The southern neighbours of Finno-Ugrians: Iranians or an extinct branch of Aryans („Andronovo Aryans")? https://web.archive.[...] 1997
[61] 웹사이트 Уральско-арийские взаимоотношения: история исследований, новые решения и проблемы. http://www.arheolog-[...] 2010
[62] 웹사이트 Linguistic Evidence for Cultural Exchange in Prehistoric Western Central Asia. http://www.people.fa[...] 2003
[63] 논문 Indo-European loanwords and exchange in Bronze Age Central and East Asia: Six new perspectives on prehistoric exchange in the Eastern Steppe Zone 2022-01
[64] 문서 Keyser, Bouakaze, Crubézy, Nikolaev, 2009, p. 405
[65] 논문 Genetic continuity of Indo-Iranian speakers since the Iron Age in southern Central Asia 2022-01-14
[66] 논문 Population genomics of Bronze Age Eurasia https://depot.ceon.p[...] 2015-06
[67] 논문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2019-09-06
[68] 논문 Unravelling migrations in the stepp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from ancient central Asians. 2004-05-07
[69] 논문 Ancient human genome-wide data from a 3000-year interval in the Caucasus corresponds with eco-geographic regions 2019-02-04
[70] 논문 137 ancient human genomes from across the Eurasian steppes 2018-05
[71] 저널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major human admixture events during the European Holocene 2022-07-18
[72] 저널 Andronovo Problem: Studies of Cultural Genesis in the Eurasian Bronze Age https://www.degruyte[...] 2021-01-01
[73] 문서 1989
[74] 문서 のちにインドや中近東各地で用いられた二輪戦車
[75] 문서 2001
[76] harvnb 1997
[77] 문서 Fouilles de Shortugai 2005
[78] 문서 2001
[79] harvnb 2009
[80] 저널 Unravelling migrations in the stepp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from ancient central Asians. 2004-05-07
[81] 저널 Ancient human genome-wide data from a 3000-year interval in the Caucasus corresponds with eco-geographic regions 2019-02-04
[82] 저널 137 ancient human genomes from across the Eurasian steppes 2018-05
[83] 문서 [[헤로도토스]]によれば[[도나우강]]の向こう、トラキアの北に、[[스트라보]]によればカスピ海近くにいたといい、両者ともイラン系としている
[84]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7
[85] 문서 An Overview of the Andronovo Culture: Late Bronze Age Indo-Iranians in Central Asia The Center for the Study of the Eurasian Nomads (CSEN) 1998
[86]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Language, Archaeology, and Myth Thames and Hudson 1989
[87] 저널 Chariots in the Eurasian Steppe: a Bayesian approach to the emergence of horse-drawn transport in the early second millennium BC 2020-04
[88]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7
[8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