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로스섬 (그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로스섬은 그리스에 속한 섬으로, 키클라데스 제도에 위치해 있다.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스트로필라스와 같은 요새화된 정착지가 존재했다. 고대 시대에는 이오니아인들이 거주했으며, 아테네와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는 비잔틴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거쳤다.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참여하여 독립 후 그리스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는 남에게 해 지역에 속하며, 안드로스 시를 포함한 여러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안드로스섬은 아름다운 해변과 현대미술관, 다양한 숙박 시설을 갖춘 관광지로, 여러 영화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클라데스 제도 - 이오스섬
    이오스섬은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에 속하며, 제비꽃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고, 해상 교통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젊은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
  • 키클라데스 제도 - 델로스섬
    델로스섬은 그리스 신화 속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의 탄생지로, 고대 그리스 시대 주요 숭배 중심지이자 헬레니즘 시대 국제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유적이 남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드로스섬 (그리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지방 자치 단체 종류도 및 지방 자치 단체
지역남에게 주
소재지안드로스 시
면적380
인구8826
인구 조사 기준2021년
우편 번호845 xx
지역 번호22820
차량 번호판EM
웹사이트www.androsweb.gr
지리
위치에게해
군도키클라데스 제도
길이10km
3km
아티키에서 거리40km
에비아에서 거리16km

2. 역사

신석기 시대 마을 슈트로필라스의 유적


헤르메스 크토니오스 조각상 (서기 1세기 로마 시대 복제품), 안드로스 고고학 박물관


고대 시대에 안드로스섬에는 이오니아인들이 거주했으며, 아마도 트라키아인의 혈통이 섞여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원래 에레트리아에 종속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기원전 7세기경 칼키디케에 아칸토스, 스타기라, 아르길루스, 사네 등 여러 식민지를 건설할 정도로 번영했다. 고대 수도였던 팔레오폴리스 유적은 서해안에 있으며, 이 도시에는 디오니소스에게 바쳐진 유명한 신전이 있었다.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전쟁에서 페르시아 편을 들어 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함선을 제공했지만, 그리스 함대의 공격을 받았다. 델로스 동맹에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아테네에 불만을 품고, 기원전 477년 섬에 클레루키를 설치하여 강제로 통제해야 했다. 기원전 411년 안드로스는 자유를 선포했고, 기원전 408년 아테네의 공격을 견뎌냈다. 제2차 델로스 동맹의 일원으로서 다시 수비대와 아르콘의 통제를 받았다.

헬레니즘 시대에 안드로스는 에게 해의 두 해상 강국인 마케도니아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사이의 전초 기지로 경쟁 대상이 되었다. 기원전 333년 안티파트로스로부터 마케도니아 수비대를 받았고, 기원전 308년 프톨레마이오스 1세에 의해 해방되었다. 크레모니데스 전쟁 (기원전 266–263년) 중 해안에서 벌어진 해전 이후 다시 마케도니아에 넘어갔다. 프톨레마이오스 제국은 전성기에 안드로스에 상당한 규모의 함대를 주둔시켰다.[7] 기원전 200년에는 로마, 페르가몬, 로도스의 연합 함대에 점령되었으며, 기원전 133년 아탈로스 왕국 해체 때까지 페르가몬 왕국의 영토로 있다가 로마에 할양되었다.[8]

비잔틴 통치 시대 수 세기 동안 안드로스섬은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다. 처음에는 로마 속주의 일부였고, 나중에는 에게해 테마의 일부가 되었다.[8] 다른 에게해 섬들과 마찬가지로 사라센의 습격을 받았지만,[8] 콤네노스 시대에는 실크 생산으로 섬이 번성하여 고저머와 벨벳 직물을 서유럽으로 수출했다.[8]

1203년 제4차 십자군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는 도중 안드로스섬을 점령했다.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207년에는 마르코 1세 사누도 아래 아르키펠라고 공작령의 일부가 되었고, 그는 이를 마리노 단돌로에게 부봉토로 넘겨주었다.

1821년 5월 10일, 그리스 지식인 지도자 중 한 명인 테오필로스 카이리스는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서 그리스 국기를 게양함으로써 그리스 독립 전쟁에 섬의 참전을 선언했다.[8] 이때, 선주와 상인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울 그리스 해군을 건설하기 위한 자금 지원을 촉구하는 연설("리토라스"(ρήτορας))을 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섬은 독립 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독립 이후, 안드로스섬은 그리스 해운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1914년까지 안드리안에 등록된 선박은 그리스에서 규모 면에서 두 번째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현지 등록 선박은 제2차 세계 대전 전 25척(1921년)에서 80척으로 증가했다. 이후 겪은 손실, 해운의 국제화, 선주 가문의 피레아스와 런던으로의 이주로 인해 안드리안 해운은 종말을 고했다.[9]

2. 1. 선사 시대

최종 신석기 시대 동안 안드로스섬 서해안에는 요새화된 마을이 있었는데, 고고학자들은 이 마을이 건설된 고원의 이름을 따서 Strofilas|Strofilasde라고 명명했다. 키클라데스 지역의 최종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4500년에서 4000년 사이로 추정된다.[3] Strofilas는 청동기 시대 키클라데스 문명의 시작과 일치하는 "아티카-케팔라" 문화와 관련이 있었다.

Strofilas는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에게해 신석기 시대의 가장 크고 조직적인 정착지이다. 비교적 밀집되어 건설되었으며 30acre가 넘는 면적에 걸쳐 있다. 발굴은 크리스티나 텔레반투가 이끄는 그리스 고고학자 팀에 의해 1997년에 시작되었다.[4]

이 정착지는 중요한 해상 중심지였으며 그리스에서 가장 초기의 요새화 사례 중 하나였다. 요새에는 문과 보루가 있었다. Strofilas는 또한 자칼, 염소, 사슴, 물고기, 돌고래와 같은 동물과 배 선단의 묘사를 포함하는 벽의 암각화로도 유명하다.[5]

해안선을 따라 남동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Zagora (Andros)|Zagora (Andros)de 유적지가 있는데, 이곳은 기하학 시대 후기에 형성된 또 다른 고대 정착지이다. 이 정착지는 기원전 10세기에서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약 110m 길이의 난공불락의 벽이 그 주변에 건설되었다.[6]

2. 2. 고대

최종 신석기 시대 동안 안드로스섬 서해안에는 요새화된 마을이 있었는데, 고고학자들은 이 마을이 건설된 고원의 이름을 따서 Strofilas|슈트로필라스de라고 명명했다. 키클라데스 지역의 최종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4500년에서 4000년 사이로 추정된다.[3] 슈트로필라스는 청동기 시대키클라데스 문명 시작과 일치하는 "아티카-케팔라" 문화와 관련이 있었다.

슈트로필라스는 키클라데스 제도에서 에게해 신석기 시대의 가장 크고 조직적인 정착지 중 하나였다. 비교적 밀집되어 건설되었으며 30에이커가 넘는 면적에 걸쳐 있었다. 1997년에 크리스티나 텔레반투가 이끄는 그리스 고고학자 팀에 의해 발굴이 시작되었다.[4]

이 정착지는 중요한 해상 중심지였으며 그리스에서 가장 초기의 요새화 사례 중 하나였다. 요새에는 문과 보루가 있었다. 슈트로필라스는 또한 자칼, 염소, 사슴, 물고기, 돌고래와 같은 동물과 배 선단의 묘사를 포함하는 벽의 암각화로도 유명하다.[5]

해안선을 따라 남동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Zagora (Andros)|자고라 (안드로스)de 유적지가 있는데, 이곳은 기하학 시대 후기에 형성된 또 다른 고대 정착지이다. 이 정착지는 기원전 10세기에서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약 110미터 길이의 난공불락의 벽이 그 주변에 건설되었다.[6]

고대 시대에 이 섬에는 이오니아인들이 거주했으며, 아마도 트라키아인의 혈통이 섞여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안드로스섬은 원래 에레트리아에 종속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기원전 7세기까지 칼키디케에 아칸토스, 스타기라, 아르길루스, 사네 등 여러 식민지를 건설할 정도로 번영했다. 고대 수도였던 팔레오폴리스의 유적은 서해안에 있으며, 이 도시에는 디오니소스에게 바쳐진 유명한 신전이 있었다.

기원전 480년의 페르시아 전쟁에서는 페르시아 편을 들어 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함선을 제공했지만, 이 때문에 안드로스섬은 그리스 함대에 의해 공격을 받았다. 델로스 동맹에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아테네에 대해 불만을 품었고, 기원전 477년에는 섬에 클레루키를 설치하여 강제로 통제해야 했다. 기원전 411년 안드로스는 자유를 선포했고, 기원전 408년에는 아테네의 공격을 견뎌냈다. 제2차 델로스 동맹의 일원으로서, 다시 수비대와 아르콘의 통제를 받았다.

헬레니즘 시대에 안드로스는 에게 해의 두 해상 강국인 마케도니아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사이의 전초 기지로 경쟁의 대상이 되었다. 기원전 333년에는 안티파트로스로부터 마케도니아 수비대를 받았고, 기원전 308년에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에 의해 해방되었다. 크레모니데스 전쟁 (기원전 266–263년)에서 해안에서 벌어진 해전 이후 다시 마케도니아로 넘어갔다. 프톨레마이오스 제국은 전성기를 맞이하여 안드로스에 상당한 규모의 함대를 주둔시켰다.[7]

기원전 200년에는 로마, 페르가몬, 로도스의 연합 함대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기원전 133년 아탈로스 왕국이 해체될 때까지 이 왕국의 영토로 있다가 로마에 할양되었다.[8]

2. 3. 중세

비잔틴 통치 시대 수 세기 동안 안드로스섬은 비교적 알려지지 않았다. 처음에는 로마 속주의 일부였고, 나중에는 에게해 테마의 일부가 되었다.[8] 다른 에게해 섬들과 마찬가지로 사라센의 습격을 받았지만,[8] 콤네노스 시대에는 실크 생산으로 섬이 번성하여 고저머와 벨벳 직물을 서유럽으로 수출했다.[8]

1203년 제4차 십자군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는 도중 안드로스섬을 점령했다.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이 섬은 ''Partitio Romaniae''에 따라 베네치아 공화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207년에는 마르코 1세 사누도 아래 아르키펠라고 공작령의 일부가 되었고, 그는 이를 부봉토로 마리노 단돌로에게 넘겨주었다.

1239년경, 단돌로는 스키아토스, 스코펠로스, 스키로스의 통치자 게레미아 기시에 의해 섬에서 쫓겨났다. 단돌로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고, 단돌로의 미망인 펠리사와 그의 여동생 마리아 도로가 베네치아 법원에 기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펠리사는 곧 그녀의 두 번째 남편이 된 베네치아의 야코포 퀘리니의 도움을 받았다. 베네치아 법원은 1243년 8월 그들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려 기시 형제에게 안드로스섬을 포기하라고 명령했지만, 실행되지 않았다. 이 사건은 게레미아의 죽음 이후에도 계속되었고, 안젤로 사누도 공작이 섬을 인수했다. 그는 결국 라틴 그리스에서 현재 봉건법에 따라 섬의 절반을 펠리사에게 넘겨주었다.

펠리사가 죽고 청구인이 나타나지 않자, 마르코 2세 사누도 공작은 섬 전체를 공작령으로 되돌렸다. 그러나 법적 마감일인 2년 2일이 지나기 이틀 전에 마리노의 손자인 니콜라스 퀘리니가 나크소스에 나타나 그의 상속을 요구했다. 이 사건은 다시 베네치아 법원에 제기되었지만, 사누도는 자신의 영토에 대한 공화국의 권위를 부인했다. 이 사건은 결국 1291-93년에 베네치아 네그로폰테의 발리인 니콜로 주스티니안의 중재를 통해 해결되었으며, 퀘리니는 5,000파운드의 현금 지급을 대가로 자신의 주장을 포기했다.

안드로스섬은 사누도 공작의 손에 남아 있었고, 그들은 이후 자신을 "나크소스 및 안드로스 공작령의 영주"라고 칭했으며, 때때로 안드로스 성을 거주지로 선택했다. 1292년, 안드로스섬은 다른 키클라데스 섬들과 함께 아라곤 함대의 로저 드 루리아의 공격을 받았다.

1844년 영국 해군성의 안드로스섬과 카페 도로 해협(현재 카피레우스 해협) 지도


1371년 12월, 이 섬은 마지막 사누도 공작인 니콜라스 3세 달레 카르체리의 이복 여동생인 마리아 사누도에게 봉토로 주어졌다. 1383년, 니콜라스 3세가 살해되고 프란체스코 1세 크리스포가 새로운 공작이 되어 안드로스섬과 시로스를 그의 딸과 그녀의 남편인 베네치아의 네그로폰테 ''발리''의 아들 피에트로 제노에게 주었다.

제노는 유능한 외교관이었지만, 그 시대의 다양한 경쟁 세력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은 쉽지 않았다. 오스만의 습격으로 황폐해지고 거의 인구가 없어졌던 시로스, 파로스 및 다른 섬들과 달리 안드로스섬은 비교적 피해를 면했지만, 그 대가로 제노는 조공을 지불하고 터키 선박을 위한 항구 및 피난처를 제공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416년에 이 섬은 습격을 받아 거의 모든 인구가 오스만인들에게 끌려갔다. 동시에 알바니아인들이 에우보이아에서 섬으로 건너와 북부에 정착했다.

1431년, 베네치아인들이 제노바 식민지 키오스를 파괴했을 때, 제노바인들은 베네치아의 보호를 받던 안드로스섬과 나크소스를 보복으로 점령했고, 아르키펠라고 공작들의 능숙한 외교만이 제노바에 의한 섬의 완전한 병합을 막을 수 있었다. 1427년 피에트로 제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안드레아가 계승했는데, 그는 건강이 좋지 않았고 딸이 한 명뿐이었다. 1437년, 안드레아도 사망했고, 섬은 안드레아의 딸이 성인이 되었을 때 자신의 아들과 결혼시켜 안드로스섬에 대한 통제권을 합법화하려는 안드레아의 삼촌들에게 점령당했다. 베네치아는 즉시 반응하여 섬을 점령하고 총독을 파견했으며, 법원은 모든 청구인의 소송을 심리했다. 그들 중 한 명은 파로스 영주이자 네그로폰테의 삼두 정치자인 마리아 사누도의 아들 크루시노 1세 소마리파였다. 그의 어머니처럼 그는 섬에 대한 주장을 결코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베네치아 법원에 의해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제노 가문에 보상한 후 그는 1440년에 섬을 소유했다.

안드로스섬은 1463–1479년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동안 터키의 공격으로 다시 한 번 큰 피해를 입었다. 1468년, 4척의 배가 섬을 공격하여 조반니 소마리파 남작을 살해하고 15,000두캇에 달하는 수많은 포로와 전리품을 빼앗아 갔다. 2년 후, 오스만인들은 다시 섬을 습격하여 너무나 많은 인구를 데려가 섬에는 2,000명의 주민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재난에도 불구하고 안드로스와 파로스의 두 소마리파 소유지는 이 기간 동안 키클라데스에서 가장 번성하는 섬으로 남아 있었고, 안드로스의 소마리파 통치자들은 나크소스의 이론적인 지배자들과 독립적으로 행동하여 자신들을 공작이라고 칭하기까지 했다.

1500년대에 들어서자 안드로스와 파로스의 두 소마리파 분가는 서로 전쟁을 벌였고, 그 결과 많은 안드로스인들이 파로스로 끌려갔다. 또한 안드로스인들은 자신들의 "공작"인 프란체스코의 잔혹함으로 인해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터키인들을 부르겠다고 베네치아에 대사관을 보낼 정도였다. 베네치아인들은 1507년 프란체스코를 베네치아로 소환하고 다음 7년 동안 자체 총독을 파견했다.

결국 소마리파 통치는 베네치아가 알베르토 소마리파를 정당한 상속자로 인정하면서 회복되었다. 1537년 오스만 제독 하이레딘 바르바롯사가 섬을 점령했지만 크루시노 3세 소마리파는 프랑스 대사의 중재를 통해 네그로폰테의 오스만 총독에게 연간 35,000악체의 조공을 지불하는 대가로 섬을 되찾았다.

2. 4. 근현대

1566년 오스만 제국이 현지 그리스인들의 요청에 따라 낙소스섬을 합병했을 때, 안드로스섬 사람들도 그들의 통치자였던 잔프란체스코 솜마리파에 대항하여 봉기했다. 솜마리파는 목숨을 건졌지만, 안드로스섬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8] 이후 13년 동안 옛 에게해 공국 전체는 술탄의 총애를 받던 요제프 나시에게 주어졌고, 그는 대리인을 통해 섬들을 통치하며 주로 부의 원천으로 사용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8] 나시가 사망하자 안드로스섬과 낙소스섬의 그리스인들은 술탄에게 옛 왕조의 후손들을 터키의 봉신으로 복원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결국 섬들은 직접적인 주로 합병되었다. 그러나 1580년에 키클라데스 제도에는 상당한 자치권, 낮은 세금, 종교적 자유를 부여하는 특허장이 주어졌으며, 이는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내내 유지되었다.[8] 1770년대 초, 1768–74년 러시아-터키 전쟁 동안, 섬은 러시아 제국에 의해 점령되어 에게해에서의 작전을 위한 기지로 사용되었다.[8]

1821년 5월 10일, 그리스 지식인 지도자 중 한 명인 테오필로스 카이리스는 성 게오르기우스 교회에서 그리스 국기를 게양함으로써 그리스 독립 전쟁에 섬의 참전을 선언했다.[8] 이때, 선주와 상인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울 그리스 해군을 건설하기 위한 자금 지원을 촉구하는 유명하고 진심 어린 연설("리토라스"(ρήτορας))을 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섬은 독립 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독립 이후, 안드로스섬은 그리스 해운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이는 프사라에서 온 난민들의 유입, 그리고 갈락세이디와 히드라섬과 같은 다른 전통적인 해운 중심지의 쇠퇴에 의해 지원되었다. 안드리안 상인들은 특히 다뉴브강 하구에서 수행된 중앙 및 동유럽의 곡물 무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초기에 현지에서 건조되었던 안드리안 선박들은 이후 시로스에서 건조되었으며, 특히 해운이 증기선으로 전환되면서 더욱 그러했다. 1914년까지 안드리안에 등록된 선박은 그리스에서 규모 면에서 두 번째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현지 등록 선박은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25척(1921년)에서 80척으로 증가했다. 후자 동안 겪은 손실, 그리고 해운의 국제화와 선주 가문의 피레아스와 런던으로의 이주로 인해 안드리안 해운은 종말을 고했다.[9]

3. 행정 구역

'''안드로스 현'''(그리스어: 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 Άνδρου)은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에 따라 키클라데스 현의 일부를 분리하여 설치된 행정 구역이다.[10] 안드로스 현은 안드로스 시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다.

'''안드로스 시'''(Δήμος Άνδρουel)는 남에게 해 지방 안드로스 현에 속하는 기초 자치 단체(디모스)이다. 안드로스 섬 전체를 관할한다. 현재의 안드로스 시는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에 따라 구 안드로스 시, 코르티오 시, 이드루사 시 3개 자치 단체가 합병하여 만들어졌다.[10] 구 자치 단체는 새로운 자치 단체의 행정구(디모티키 에노티타)가 되었다.

|구 자치 단체철자정청 소재지면적 Km²인구
3안드로스Άνδροςel안드로스4,107
10코르티오Κόρθιοel올모스 코르티우81.92,547
20이드루사Υδρούσαel가브리오195.43,355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의 구 안드로스 시에 해당하는 '''안드로스 지구'''(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 Άνδρουel)는 다음의 키노티타(도시·촌락)들로 구성되어 있다.

안드로스 지구(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 Άνδρουel)
Δ.δ. Άνδρου
안드로스 [ 1,801 ]
Δ.δ. Αποικίων
아피키아 [ 289 ]
Δ.δ. Βουρκωτής
Δ.δ. Λαμύρων
라미라 [ 380 ]
Δ.δ. Μεσαριάς Άνδρου
메사리아 안드로 [ 896 ]
Δ.δ. Πιτροφού
피트로포스 [ 305 ]
Δ.δ. Στενιών
스테니에스 [ 349 ]


4. 인구

Άνδρος|안드로스grc 섬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섬 전체 인구안드로스 타운 인구
1900년18,000명2,000명
1991년8,781명-
2011년9,221명1,665명

[12]

섬은 안드로스 (타운)(인구 3,901명), 코르티오(인구 1,948명), 이드루사(인구 3,372명)의 지방 자치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안드로스 섬 북부에는 소규모 아르바니트 공동체가 있으며, 아르바니티카어로 이 섬의 이름은 Ε̰νdρα, ''Ëndra''이다.

안드로스 섬의 일몰

5. 주요 도시 및 마을

안드로스섬의 주요 도시 및 마을은 다음과 같다:


  • 안드로스(Άνδρος|안드로스el) - 섬의 중심 도시로,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약 1,508명이 거주한다.
  • 가브리오(Γαύριο|가브리오el) - 섬의 주요 항구 마을로, 서쪽 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약 932명이 거주한다. 그리스 본토에서 오는 페리가 도착하는 곳이다.
  • 바치(Μπατσί|바치el) - 가브리오 남쪽 해변에 위치한 마을로, 약 924명이 거주한다. 얕고 잔잔한 해변이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에게 인기가 좋다.
  • 오르모스 코르티우(Όρμος Κορθίου|오르모스 코르티우el) - 남부의 중심 마을로,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약 756명이 거주한다.


이 외에도 알라디논, 아포이키아, 아몰로코스, 아노 아프로바토, 아노 가브리오, 아르나스, 에파노 펠로스, 기데스, 칼리바리, 카파리아, 카타킬로, 키프리, 코킬로스, 라미라, 리바디아, 마크로탄탈로, 메르민기에스, 메사리아, 팔라이오카스트로, 팔레오폴리스, 피소 메리아, 피트로포스, 시네티, 스테니에스, 바르디디오, 비탈리오, 부니, 부르코티, 입실루, 자갈리아리스, 스트라푸리에스 등의 마을이 있다.

2011년 그리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안드로스 타운에는 1,665명, 섬 전체에는 9,221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1900년에는 섬 전체 인구가 약 18,000명이었으나 1991년에는 8,781명으로 감소했다.

안드로스 섬은 안드로스 (타운), 코르티오, 이드루사의 세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별 인구는 2011년 기준 각각 3,901명, 1,948명, 3,372명이다.

섬 북부에는 소규모 아르바니트 공동체가 있으며, 아르바니티카어로 이 섬의 이름은 Ε̰νdρα, ''Ëndra''이다.[12]

6. 관광

한국에서는 산토리니(티라Thira)섬나 미코노스(Mykonos)섬에 비해 덜 알려져 있지만, 안드로스섬은 아름다운 경관과 해변을 자랑하며, 관광객으로 붐비는 다른 섬들보다 더 여유롭게 그리스의 여름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관광객들은 주로 안드로섬의 중심지이자 수도인 안드로 타운에 머무른다. 안드로 타운에는 다양한 숙박 시설과 음식점이 있으며, 현대미술관과 아름다운 해변이 있다. 코르티(Korthi) 구역의 오르모스(Ormos) 마을과 같이 작은 규모의 장소에서도 술집, 숙소, 해변을 즐길 수 있다. KEIA 버스를 이용하면 차를 빌리지 않아도 마을 간 이동이 가능하다. (2008년 기준 편도 4EUR~5EUR). 그러나 버스 운행 간격이 길기 때문에 버스 정류장에서 시간표를 확인해야 한다.

6. 1. 해변

안드로섬에는 많은 해변들이 있으며, 대부분 마을에서 걸어서 이동할 수 있지만, 가끔 보트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안드로섬의 대표적인 해변은 다음과 같다.

  • Agios Petros: 안드로 타운에서 서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다. 물이 맑고 조용하며, 한적한 분위기이다. 근처 Agios Petros 마을에는 고대 석탑이 있다.
  • Batsi: 안드로 타운에서 서쪽으로 약 27km 떨어져 있다. 얕고 잔잔한 물과 부드러운 금빛 모래사장이 있어 가족 단위 해수욕에 적합하다.
  • Ormos: 안드로 타운에서 약 12km 떨어져 있다. 물이 매우 맑아 바닥이 보일 정도이다. 주말에는 윈드서핑 강습이 열리며, 작은 보트를 타고 숨겨진 피디마(Pidima) 해변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스어: Πήδημα της γριάς 해변


안드로스 섬의 주목할 만한 해변 중 하나는 피디마 티스 그리아스(그리스어: Πήδημα της γριάς, 늙은 여인의 점프)이다. 전설에 따르면, 이 해변은 근처 마을을 사라센 해적에게 배신한 늙은 여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녀는 절벽에서 뛰어내려 죽었고, 해변의 눈에 띄는 특징인 독특한 수직 바위로 변했다고 한다.[13]

6. 2. 문화 및 기타

안드로스섬의 주요 관광지는 섬의 중심지이자 수도인 안드로타운이다. 안드로타운에는 다양한 숙박 시설과 음식점이 있으며, 현대미술관과 아름다운 해변이 있다. 코르티(Korthi) 구역의 오르모스(Ormos) 마을과 같이 작은 규모의 장소에서도 술집, 숙소, 해변을 즐길 수 있다. KEIA 버스를 이용하면 차를 빌리지 않아도 마을 간 이동이 가능하다. (2008년 기준 편도 4EUR~5EUR). 그러나 버스 운행 간격이 길기 때문에 버스 정류장에서 시간표를 확인해야 한다.[1]

안드로스섬에는 여러 해변이 있으며, 대부분 마을에서 걸어서 갈 수 있다. 일부 해변은 보트를 이용해야 한다. 주요 해변은 다음과 같다.[1]

  • 아요스 페트로스(Agios Petros): 안드로타운에서 서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다. 물이 맑고 조용하며, 고대 석탑이 볼거리이다. 아요스 페트로스 마을과 가깝다.[1]
  • 바치(Batsi): 안드로타운에서 서쪽으로 약 27km 떨어져 있다. 얕고 잔잔한 물, 부드럽고 금빛 나는 모래가 특징으로, 가족 단위 여행객에게 적합하다.[1]
  • 오르모스(Ormos): 안드로타운에서 약 12km 떨어져 있다. 물이 매우 맑아 바닥이 보일 정도이다. 주말에는 윈드서핑 강습이 열리며, 작은 보트를 타고 피디마(Pidima) 해변으로 이동할 수 있다.[1]

7. 교통

아테네에서 안드로스섬으로 가려면 아테네에서 약 1시간 거리에 있는 라피나 항구(Rafina)에서 페리를 타야 한다. 아테네 고고박물관 근처 버스 정류장에서 라피나 항구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2008년 8월 기준 편도 약 6유로) 버스가 여러 대 있으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타야 한다.[1]

페리 티켓은 아테네 시내 여행사에서 10~12유로 정도에 구입할 수 있으며, 그리스 페리 예약 사이트인 DANAE를 통해 인터넷으로 미리 구매할 수도 있다.[1]

섬의 주요 항구는 서쪽 해안 북부에 있는 가브리오이다.[1]

8. 영화 촬영지


  • 태양 속의 소녀들
  • 리틀 잉글랜드

테오필로스 카이리의 흉상

9. 유명 인물


  • 테오필로스 카이리스 (1784–1853), 학자, 교사, 사제, 혁명가[8]
  • 암피스 (기원전 4세기), 희극 시인
  • 마태오 ( 1746–1766),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더 판타지스 (1875–1936), 미국의 보드빌 거물
  • 데메트리오스 I. 폴레미스 (1932–2005), 역사학자이자 작가, 안드로스 카이레이오스 도서관 재단 대표
  • 얀니스 트리디마스 (1945년 출생), 영국 장거리 육상 선수
  • 니키타스 카클라마니스 (1946년 출생–현재), 의사이자 정치인, 아테네 시장
  • Andreas Embirikos|안드레아스 엠비리코스영어 (1901-1975), 시인
  • George Leonardos|게오르기오스 레오나르도스영어 (1937-), 작가)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 서적 The Cyclades, or Life Among the Insular Greeks London 1885
[3] 웹사이트 Marble female figure (Cycladic) https://www.metmuseu[...]
[4] 뉴스 Oldest City in Europe Is Strofilas in Greece. https://greekreporte[...] greekreporter.com 2023-01-21
[5] 간행물 Strofilas (Andros Island, Greece): new evidence for the cycladic final neolithic period through novel dating methods using luminescence and obsidian hydration https://www.scienced[...] 2010-06
[6] 웹사이트 Andros Geometric Settlement. https://www.greeka.c[...]
[7] 서적 Callimachus in Context United Kingdom University Press 2012
[8] 웹사이트 Andros, Chapter 2: History http://www2.egeonet.[...]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2006-04-28
[9] 웹사이트 Andros, Chapter 5: Shipping on Andros http://www2.egeonet.[...]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2006-04-28
[10]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11]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12] 서적 Über die Einwanderung der Albaner in Griechenland: Eine zusammenfassene Betrachtung ["On the immigration of Albanians to Greece: A summary"] München: Trofenik 1971
[13] 웹사이트 Tourist-starved Greece takes a gigantic leap of faith on Covid https://www.cnn.com/[...] 2024-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