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고보 (제베대오의 아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고보 (제베대오의 아들)는 제베대오와 살로메의 아들로,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어부였으며, 형제 요한과 함께 예수의 부름을 받아 그를 따랐다. 야고보는 예수의 중요한 순간들을 목격했으며, 예수로부터 '보아네르게스'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사마리아에서 복음을 전파하다가 헤로데 아그리파 1세에 의해 체포되어 순교했다. 그의 유해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안치되었고, 순교지에는 성 야고보 대성당이 있다. 야고보는 스페인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으며, 가리비가 그의 상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4년 사망 - 대무신왕
    대무신왕은 고구려 제3대 왕으로, 영토 확장과 낙랑국 정복을 통해 중앙 집권을 강화했으며,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설화의 배경이 되었다.
  • 44년 사망 - 헤로데 아그리파 1세
    헤로데 아그리파 1세는 헤로데 대왕의 손자이자 로마 황제와 친분을 쌓았으나 방탕한 생활을 하기도 했던 헤로데 왕조의 유대 왕으로, 영주로 임명되어 넓은 영토를 다스렸지만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
  • 어부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어부 - 쓰가루 마사타케
    쓰가루 마사타케는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고쇼를 지낸 에도 시대의 하타모토이자,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낚시 지침서인 《가센로쿠》를 저술했으며, 아코 사건으로 살해당한 기라 요시히사의 사위이다.
  • 베싸이다 출신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베싸이다 출신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야고보 (제베대오의 아들)
기본 정보
성 야고보 (대)
"성 야고보 (대) (1612–1613년경), 페터 파울 루벤스"
호칭성인
다른 이름대 야고보
출생지베싸이다, 갈릴래아, 로마 제국
사망일기원후 44년
사망지예루살렘, 유대, 로마 제국
기념일7월 25일 (로마 가톨릭교회)
4월 30일 (동방 정교회)
12월 30일 (히스파냐 교회)
칭호사도이자 순교자
존경하는 교파성인을 공경하는 모든 기독교 교파
속성붉은 순교자
가리비
순례자의 모자
수호 대상장소
스페인
과테말라
시애틀
올랜도
레보차
니카라과
칼리
과야킬
베티스 교회, 과과, 팜팡가
바디안, 세부, 볼리나오, 팡가시난, 이바안, 바탕가스, 파수킨, 일로코스 노르테, 플라리델, 불라칸, 파옴봉, 불라칸, 파에테, 라구나, 소고드, 세부, 콤포스텔라, 세부, 산티아고 데 칠레 그리고 멕시코의 일부 지역
직업
수의사
기수
모피 상인
무두장이
약사
굴 어부
목각가
관련 정보
그리스어Ἰάκωβος τοῦ Ζεβεδαίου, Iákōbos tû Zebedaíou
라틴어Iacobus Maior
아람어יעקב בר זבדי
미술 작품
야고보
'『야고보』 (화가: 엘 그레코・16세기、니즈니노브고로드 미술관 소장)'

2. 행적

야고보는 제베대오(세배대)와 살로메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로, 동생 요한과 함께 갈릴래아 호숫가에서 어부로 일했다. 마가 복음에 따르면, 제베대오는 일용직 노동자들을 고용할 정도의 재력이 있었기에(마가 1:19-20[24]), 야고보와 요한 형제는 사업장을 갖춘 중간계급으로 추정된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물고기는 훈제한 물고기 한 수레를 황소와 바꿀 정도로 비쌌다.[25] 그럼에도 이들은 예수의 부름을 듣고서 즉시 안정된 삶을 버리고 예수를 따라갔다(마태 4,21-22). 베드로, 안드레아와 함께 예수의 첫 제자가 되었다.

공관 복음서는 야고보와 요한이 아버지와 함께 해변에서 고기를 잡을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예수가 그들을 불러 자신을 따르라고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2] 야고보는 그의 형제 요한, 그리고 베드로와 함께 열두 사도 중 비공식적인 삼두 정치를 이루었다. 예수는 그들에게 야이로의 딸을 살리심,[3] 예수의 변모[4], 겟세마네 동산의 고뇌[5]와 같이 공생애 기간 동안 세 번의 특별한 상황에 유일하게 참석하는 사도가 되도록 허락했다.

성령 강림 이후 야고보는 사마리아와 유대 지역에서 복음을 전파하였으며 이베리아반도까지도 다녀갔다는 기록이 있다.

야고보의 유해는 처음에는 예루살렘에 안장되었으나, 9세기 경 에스파냐의 서북부 지역 갈리시아의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로 이장되었다. 당시 국왕 알폰소는 그 묘지 위에 150년에 걸쳐 웅대한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을 건축하였다. 844년 클라비호 전투에서 야고보가 에스파냐군 앞에 나타나는 기적을 일으켜 이슬람교 세력을 물리쳤다는 전설이 전해지면서,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는 세계적인 순례지가 되었다.

무어인을 물리치는 야고보를 그린 17세기 회화


사도 야고보, 산 비탈레 성당의 모자이크 세부 묘사, 라벤나, 6세기


성 야고보의 상징이 있는 방패, 선한 목자의 교회 (로즈몬트, 펜실베이니아)
]

2. 1. 성격 및 일화

야고보와 요한 형제는 복음서에 기록된 두 가지 사건을 통해 그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마태오 복음에 따르면, 야고보와 요한 형제(또는 그들의 어머니[26])는 예수에게 하늘 나라에서 자신들이 각각 예수의 오른편과 왼편에 앉게 해달라고 요청했다.[6](다른 전승에 따르면, 그들의 어머니[7]) 예수는 “너희가 청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조차도 모르는구나!”라고 말하며, 당신이 마실 고난의 잔을 마실 수 있는지 물었다. 형제가 자신있게 대답하자, 예수는 “죽음의 잔을 마시고 고통의 세례를 받을 수는 있다. 그러나 나의 오른편이나 왼편에 앉는 특권은 내가 줄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하느님께서 미리 정하신 이들을 위한 것이다.”라고 답했다.[27] 다른 사도들이 이 형제의 야심에 분개하자, 예수는 “너희 사이에서 높은 사람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남을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으뜸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종이 되어야 한다.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쳐 몸값을 치르러 온 것이다”라고 훈계하며 권력의 목적은 봉사에 있음을 강조했다.(마태 20,27-28).

루가 복음에서는 두 형제가 예루살렘으로 향하던 예수를 영접하지 않은 사마리아 사람들에게 불같이 화를 내며 “주님, 저희가 하늘에서 불을 내리게 하여 그들을 불살라 버릴까요?”라고 묻자, 예수가 그들을 호되게 질책한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누가 9,54).[8] 예수는 요한과 야고보 형제에게 ‘천둥의 아들’이라는 뜻의 Boanerges영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는데(마르 3,17), 이는 그들의 과격한 성격을 보여준다.[9]

2. 2. 순교

헤로데 아그리파 1세는 그리스도인을 탄압하며 44년 예루살렘에서 야고보를 체포하여 파스카 축일 전날 참수형으로써 순교를 하였다.[1] 사도행전에는 "헤롯 왕"(일반적으로 헤롯 아그리파로 알려짐)이 칼로 야고보를 처형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 닉슨은 야고보의 불같은 성격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났을 수 있다고 보았으며,[9] F. F. 브루스는 이 이야기를 베드로의 해방 이야기와 대조하며, "야고보는 죽고 베드로는 탈출해야 한다"는 제안은 "신의 섭리의 신비"라고 적었다.

야고보의 순교, 알브레히트 뒤러, 1508년


순교 장소는 아르메니아 사도 성 야고보 대성당의 아르메니아 구역에 있다. 성소 왼쪽에 있는 대 야고보 경당은 아그리파 왕이 그에게 참수를 명령했을 때(사도행전 12:1–2) 그가 순교한 전통적인 장소이다. 그의 머리는 제단 아래에 묻혀 있다고 여겨지며, 붉은 대리석 조각으로 표시되어 있고, 6개의 봉헌 램프가 둘러싸고 있다.

3. 유해와 숭배

야고보의 유해는 처음에 예루살렘에 안장되었으나, 어디에 묻혔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 그러던 중 9세기 경, 하늘에서 내려온 별빛이 숲 속 동굴을 비추었고, 그곳에서 야고보의 무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후 야고보의 유해는 에스파냐 북서부 갈리시아의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로 옮겨져 안치되었고, 당시 국왕 알폰소는 묘지 위에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대성당을 건축하였다. 현재 대성당 안에는 야고보의 유골함이 전시되어 있다.

''성 야고보 사도''는 렘브란트가 1661년에 그린 그림이다. 그는 어깨에 조개 껍데기를 달고 지팡이와 순례자의 모자를 곁에 둔 채 순례자 복장을 하고 묘사되었다.


영어권에서 흔한 이름인 잭(Jack)은 야고보의 이름(제이콥)이나 구약성서의 야곱에서 유래한 제임스(James) 또는 제이콥(Jacob)의 애칭이다. 프랑스어의 자크(Jacques)도 야고보에 해당하는 이름이다.

가톨릭교회에서 야고보의 축일은 7월 25일이며, 정교회에서는 4월 30일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정교회에서는 5월 13일)이다.

3. 1.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가톨릭 전통에서 성 야고보는 스페인의 수호 성인이며, 전설에 따르면 그의 유해는 갈리시아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안치되어 있다. '산티아고'는 라틴어 속격 ''Sancti Iacobi''에서 유래된 것으로, "(성당 또는 성소) ''성 야고보의''"를 의미한다. 산티아고 순례길"로 알려진 성인의 무덤으로의 전통적인 기독교 순례는 초기 중세 시대부터 서유럽 가톨릭 신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순례였다.

9세기에 야고보의 유해로 추정되는 것이 스페인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기적적으로 발견되었다"고 여겨진다.[4] 콤포스텔라의 전통은 9세기에 은자 펠라기우스가 테오데미르 이리아 주교와 아스투리아스 국왕 알폰소 2세 시대에 리브레돈 숲에서 성인의 유해를 발견했다고 전한다.[3] 이러한 전통은 9세기에 시작된 순례 경로의 기초가 되었으며,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있는 야고보에게 헌정된 사당은 기독교 세계에서 유명한 순례지가 되었다.[3] 산티아고 순례길은 서유럽을 가로질러 스페인 북부를 통해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도착하는 일련의 경로이다.[3]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이베리아 반도뿐만 아니라 서방 가톨릭 세계의 대표적인 순례지가 되었고, 3대 순례지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4] 순례길은 정비되었고, 순례를 돕는 수도원이 배치되었다.[4] 지금도 그곳은 순례의 성지로서 신앙을 모으고 있다.[4] 순례길의 핵심은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피레네 산맥을 넘는 것이다.[4]

3. 2. 산티아고 순례길

가톨릭 전통에서 성 야고보는 스페인의 수호 성인이며, 전설에 따르면 그의 유해는 갈리시아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안치되어 있다. "산티아고 순례길"로 알려진 성인의 무덤으로의 전통적인 기독교 순례는 초기 중세 시대부터 서유럽 가톨릭 신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순례였다. 현대에도 많은 순례자들이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를 방문하며,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콤포스텔라'라는 순례 증명서를 받을 수 있다. 공식적으로 2018년에는 327,378명의 순례자가 산티아고까지의 마지막 100km 걷기(자전거로는 200km)를 완료하여 콤포스텔라를 받을 자격을 얻었다고 등록되었다.

7월 25일이 일요일인 경우, "성년" (야고보 성년)이 되며 산티아고 대성당으로 들어가는 특별한 동쪽 문이 열린다. 희년은 6-5-6-11 패턴을 따른다(세기의 마지막 해가 윤년이 아닌 경우 7년 또는 12년의 간격이 발생할 수 있음).

역대 성년 콤포스텔라 수령 순례자 수
연도순례자 수
2004년179,944명
2010년272,412명
2021년(가장 최근 성년)



다음 성년은 2027년이 될 것이다.

9세기에 야고보의 유해로 추정되는 것이 멀리 떨어진 스페인, 현재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기적적으로 발견되었다"고 여겨진다. 그 당시 스페인 지역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레콩키스타가 진행 중이었고, 이슬람 세력과 싸우던 기독교 세력을 수호하거나 기독교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제압하는 행위의 상징으로서 열광적으로 숭배되었다. 이 때문에 스페인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진다(성 야고보는 스페인어로 "산티아고 (Santiago)"가 된다).

이로 인해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이베리아 반도뿐만 아니라 서방 가톨릭 세계의 대표적인 순례지가 되었고, 3대 순례지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순례길은 정비되었고, 순례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도원이 배치되었다. 지금도 그곳은 순례의 성지로서 신앙을 모으고 있다. 순례길의 핵심은 이웃 나라인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피레네 산맥을 넘는 순례길이다.

가리비는 야고보의 상징이며, 프랑스어로는 가리비를 "성 야고보의 조개"(coquille Saint-Jacques, 코키유 생 자크)라고 부른다.

3. 3. 스페인의 수호성인

844년 클라비호 전투에서 야고보가 에스파냐군 앞에 나타나 이슬람 군대를 물리쳤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 전설로 인해 야고보는 스페인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게 되었으며, '산티아고 마타모로스(무어인 학살자 성 야고보)'라고 불리게 되었다.[24] 미겔 데 세르반테스돈 키호테에서 "붉은 십자가의 위대한 기사가 하느님에 의해 스페인의 수호성인과 보호자로 주어졌다"고 설명했다.

9세기에 야고보의 유해로 추정되는 것이 멀리 떨어진 스페인, 현재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기적적으로 발견되었다"고 여겨진다. 그 당시 스페인 지역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레콩키스타가 진행 중이었고, 이슬람 세력과 싸우던 기독교 세력을 수호하거나 기독교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제압하는 행위의 상징으로서 열광적으로 숭배되었다.

이로 인해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이베리아 반도뿐만 아니라 서방 가톨릭 세계의 대표적인 순례지가 되었고, 3대 순례지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순례길은 정비되었고, 순례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도원이 배치되었다. 지금도 그곳은 순례의 성지로서 신앙을 모으고 있다. 순례길의 핵심은 이웃 나라인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피레네 산맥을 넘는 순례길이다. 자세한 내용은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을 참조하라.

가리비는 야고보의 상징이며, 프랑스어로는 가리비를 "성 야고보의 조개"(coquille Saint-Jacques, 코키유 생 자크)라고 부른다.

4. 상징

가리비는 야고보의 상징이다. 순례자들은 모자나 옷에 가리비 껍데기를 달고 다녔다.[19] 프랑스어로 가리비는 'coquille St. Jacques'(코키유 생 자크)라고 불리는데, 이는 "성 야고보의 조개"를 의미한다. 독일어로는 'Jakobsmuschel'(야콥스무셸)이며 "야곱의 홍합"이라는 뜻이다. 네덜란드어로는 'Jacobsschelp'(야콥스헬프)이며, "야곱의 조개"라는 의미이다. 덴마크어로는 'Ibskal'(입스칼)인데, "Ib"는 "Jakob"(야콥)이라는 이름의 덴마크어 버전이고 "skal"은 "조개"를 의미한다.

5. 기타

영어권의 잭 (Jack)과 프랑스어의 자크 (Jacques)는 야고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가톨릭에서의 기념일은 7월 25일이며, 정교회에서는 4월 30일 (율리우스력으로는 5월 13일)이다.[10]

6.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1829년에 사도 야고보, 베드로, 요한이 하늘의 사자로서 조셉 스미스와 올리버 카우드리에게 나타나 멜기세덱 신권의 사도 계승 권세를 부여했으며, 그 결과 지구상에서 그들의 조직에만 독점적으로 부여되었다고 가르친다.[20]

이 가르침에 따르면, 이는 침례 요한이 스미스와 카우드리에게 나타나 아론 신권(작은 신권)을 부여하고, 야고보, 베드로, 요한의 지시를 받아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한 1829년 5월 15일 이후에 일어났다.[21]

7. 이슬람

꾸란에는 예수제자들에 대한 언급이 있으나, 이름, 숫자, 삶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없다. 그러나 이슬람교의 해석은 대체로 신약성경의 목록에 동의하며, 제자에는 베드로, 필립보, 도마, 바돌로매, 마태오, 안드레아, 야고보, 유다, 요한, 시몬이 포함되었다고 말한다.

참조

[1] 성경
[2] 성경
[2] 성경
[3] 성경
[4] 성경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성경
[9] 성경
[10] 웹사이트 DOG 1 do 01/01/1979 - DECRETO POLO QUE SE DECLARA DIA NACIONAL DE GALICIA O DIA 25 DE XULLO DE CADA ANO. https://www.xunta.ga[...] 2023-10-02
[11]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2] 웹사이트 Two Jameses and a confusion of relics in Compostela https://aleteia.org/[...] 2021-10-25
[13] 웹사이트 Legends of the Camino de Santiago https://artsandcultu[...]
[14] 서적 Boi
[15] 웹사이트 The Jacobean Legend of Queen Lupa https://translatiome[...] 2023-03-26
[16] 웹사이트 O "Bosque de Galicia": os bosques animados, Libredón, Ilicino.... https://www.laopinio[...] 2020-12-20
[17] 서적 Los orígenes de Compostela: una historia dibujada Antilia
[18] 웹사이트 St. James the GreaterFeast day:25 July https://www.piercedh[...]
[19] 뉴스 Santiago's Golden Legend https://www.nytimes.[...] 1989-10-01
[20] 문서 Doctrine and Covenants https://www.churchof[...]
[21] 문서 Doctrine and Covenants https://www.churchof[...]
[22] 서적 正教改暦 2008年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
[23] 서적 新聖書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24] 웹인용 다국어 성경 Holy-Bible http://www.holybible[...] 2017-12-09
[25] 뉴스 김성교수의 성서고고학이야기 http://mall.duranno.[...] 2017-12-09
[26] 성경
[27]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