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업 (지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업은 춘추 시대 제나라 환공이 건설한 성채 도시에서 시작되어,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지명이다. 전국 시대에는 위나라, 조나라를 거쳐 진나라의 영토가 되었으며, 전한 시대에는 위군의 치소였다. 후한 말에는 원소의 근거지였고, 조조가 점령하여 위나라의 국도로 삼았다. 남북조 시대에는 동위와 북제의 수도였으나, 수나라에 의해 파괴되었다. 당나라 시대에는 안록산이 잠시 황제를 칭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중국의 도시 - 한커우
    한커우는 중국 우한시에 있는 지역으로, 한수와 양쯔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명나라 시대부터 상업 도시로 발전하여 톈진 조약 이후 5개국 조계지가 설치되면서 경제적으로 성장했고 현재는 우한시의 경제 중심지 역할을 한다.
  • 고대 중국의 도시 - 장안
    장안은 한, 수, 당나라 시대에 수도로서 번성한 고대 중국의 주요 도시로, 실크로드의 동쪽 종착지이자 동아시아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안사의 난 이후 쇠퇴하여 현재의 시안으로 이어졌다.
  • 안양시 (허난성) - 백마의 화
    백마의 화는 905년 주전충이 이진의 건의로 백마역에서 고위 관료들을 살해하고 황하에 유기한 사건으로, 당나라 조정의 붕괴와 주전충의 후량 건국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권력 남용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이자 당나라 멸망의 주요 원인으로 평가받는다.
  • 안양시 (허난성) - 은허
    은허는 중국 허난성 안양시에 있는 상나라의 마지막 수도 유적으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발굴이 시작되어 궁궐, 왕릉 등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부호묘는 상나라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갑골문은 한자의 기원이 되었다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업 (지명)
개요
이름업 (鄴)
로마자 표기Ye
위치허베이성 한단 시 린장 현과 허난성 안양시의 경계
역사
건설 시기춘추 시대
주요 역사적 역할후조의 수도
염위의 수도
전연의 수도
동위 (북조)의 수도
북제의 수도
유적
주요 유적업성 유적
기타
현재 위치허베이성 한단 시 린장 현과 허난성 안양시의 경계

2. 역사

업은 춘추 시대 제나라 환공이 건설한 도시로, 전국 시대에는 위나라에 속했다. 서문표가 황허 강과 장허 강의 물을 이용한 관개 사업을 벌여 크게 번성했다. 기원전 239년 위나라에서 조나라로 넘어갔다가 이후 진나라에 의해 한단군에 속하게 되었고, 전한 시대에는 위군의 치소가 위치했다.[9]

후한 시대에 이르러 업은 화베이 평원에서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가 되었으며, 원소조조의 근거지가 되면서 후한 멸망 때까지 세력의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조위에서는 낙양을 수도로 삼았으나, 업은 여전히 중심 도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1]

북조 시대에는 다시 수도가 되었고, 540년 고환이 새 궁전을 축조하였다.[9] 그러나 북제가 북주에 멸망한 이후인 580년, 양견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킨 울지형에게 점령되었고, 반란 진압 과정에서 파괴되었다.[10]

현재 허베이성 한단 시 린장 현에 성터 유적이 남아 있으며, 중화민국 시대부터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1983년 성벽, 도로 등 후한 및 위진남북조 시대 도시 설계 개요가 밝혀졌다. 고고학적 가치가 인정되어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에 지정되었다.[7]

2. 1. 춘추 전국 시대

춘추 시대 제나라 환공이 건설하였으며, 전국 시대에는 위나라에 속했다. 서문표가 황허 강과 장허 강의 물을 이용한 관개 사업을 진행하여 크게 번성하였다.[9] 기원전 239년, 업은 위나라에서 조나라에게 넘어갔다.[9] 그러나 기원전 236년, 진나라의 장군 왕전, 환의, 양단화 등이 업을 공격한 이후부터는 진나라의 영토가 되었다.[10]

2. 2. 진한 시대

기원전 239년, 업은 위나라에서 조나라로 넘어갔다.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킨 후 한단군에 속했다.[9] 전한 시대에는 위군의 치소가 이곳에 있었다.

2. 3. 후한 말기 ~ 삼국 시대

후한 말, 화베이 평원에서 군사적·경제적으로 핵심적인 도시였던 업은 기주 일대에서 할거한 제후 원소의 근거지였다.[1] 이후 원소의 세력을 흡수한 조조 또한 업을 근거지로 삼아 후한 멸망 때까지 세력의 중심지로 기능하게 했다.[1]

204년, 조조는 원소의 아들 원상으로부터 업성을 빼앗았다.[1] 예성 전투로 인해 내성이 파괴되자, 조조는 황제의 수도를 본떠 도시를 재건하기 시작했다.[1] 그는 업성에서 관개와 배수를 개선하기 위해 도시 안팎에 운하를 파고, 업성 궁궐 단지의 중심이 될 문창전(文昌殿)을 건설했으며, 210년에는 동작대를 세워 중국 시가에서 널리 찬사를 받았다.[1] 조조가 업성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커서, 그 이전과 이후의 어떤 통치자보다 조조 한 명이 중국의 문화적 기억 속에서 업성과 더 깊이 연관되어 있다.[1]

조조 사후, 그의 손자 조환266년 2월 사마염에게 강제로 양위한 후, 업성으로 이주하여 남은 생애를 그곳에서 보냈다.[1] 비록 후한의 뒤를 이은 조위에서는 낙양을 수도로 삼았으나, 이후에도 업은 중심도시의 기능을 여전히 수행하였다.[1]

16국 시대 동안 업성은 중국 북부 대부분을 통일한 이 이끄는 후조 왕조의 중요한 도시였으며, 석호 재위 기간인 335년에 수도가 되었다.[2] 석호가 죽은 후, 그의 양손자인 염민은 강제로 이 도시를 점령하여 350년에 단명한 염위를 건국했다.[2] 선비족이 이끄는 전연 왕조는 곧 352년에 염위를 정복했고, 업성은 357년부터 370년 멸망할 때까지 수도가 되었다.[2]

490년대북위 효문제는 수도를 평성(平城, 현재 산시성 다퉁)에서 낙양으로 옮겼다.[4] 이 움직임은 모두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효문제와 그의 한화된 조정과 전통적인 탁발 부족 방식을 고수하려는 사람들 사이의 적대감이 커졌고, 탁발 복장과 이름을 포기하라는 추가적인 변화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4] 결국, 고환(탁발족의 방식을 따르고 "관점"[3]을 가진 중국 장군)의 지도 아래, 한화에 반대하는 '북방 수비대'가 반란을 일으켜 534년에 낙양을 점령했다.[4] "사흘 안에 주민들은 고환을 따라 그의 근거지인 예성으로 가야 했다... 그곳에서 그는 스스로를 동위의 첫 번째 황제로 선포했다."[4] "6세기 대부분 동안 하북(河北)은 예[예성]를 수도로 하는 독립 국가의 중심이었다...."[5] 예성은 동위 왕조와 북제 왕조의 수도로 580년까지 유지되었다.[5]

2. 4. 남북조 시대

540년(흥화 2년), 고환이 업에 새 궁전을 지었다.[9] 동위북제의 수도였던 업은 이 시기에 번영하였다.

580년(대상 2년), 북제북주에 멸망한 후, 양견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울지형이 업을 점령하였다. 그러나 반란은 진압되었고, 이 과정에서 업은 파괴되었다.[10]

2. 5. 수당 시대

수나라를 건국한 양견북주에 반발하여 일어난 울지형의 반란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580년 업(예성)을 초토화시켰다.[2] 이로 인해 업은 이전의 영화를 잃고 쇠퇴하였다.

일부 학자들은[6] 하북 지역이 당나라까지 분리주의적 성향을 계속 유지했다고 보고했다. 이 지역은 당 현종 재위 기간에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킨 곳이기도 하다. 안록산의 난이 실패한 후 도시는 다시 초토화되었다.

최근 업성 유적지에 대한 대규모 발굴이 이루어져 중국 역사학자들이 유적지에 대한 상세한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2012년에는 업성 밖에서 발굴을 통해 거의 3,000개에 달하는 불상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불상은 백색 대리석과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위북제 시대 (534–577 CE)의 것으로 추정된다.[7]

2. 6. 현대의 발굴 및 연구

1983년 대규모 발굴 조사를 통해 성벽, 도로 등 후한 및 위진남북조 시대 도시 설계 개요가 밝혀졌다.[7] 1988년 업성 유적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도시의 대규모 발굴이 진행되어 중국 역사학자들은 유적지에 대한 상세한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고고학자들은 예성 밖에서 발굴을 통해 거의 3,000개의 불상을 발견했다. 대부분의 불상은 백색 대리석과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위북제 시대(534–577 CE)로 거슬러 올라간다.[7]

3. 문화

업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의 중심지였다.

3. 1. 불교 유적

2012년, 예성 밖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을 통해 3,000여 구에 달하는 불상이 발견되었다. 이 불상들은 대부분 백색 대리석과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위북제 시대(534–577 CE)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7] 이 발견은 동위와 북제 시대 예성 지역의 불교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4. 유적

허베이성 한단 시 린장 현에 업성 유적이 남아 있다. 중화민국 시대부터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1983년에는 성벽, 도로 등 후한 및 위진남북조 시대 도시 설계의 개요가 밝혀졌다. 이 유적은 고고학적 가치가 커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9]

4. 1. 도시 설계

1983년 발굴 조사를 통해 후한 및 위진남북조 시대 업의 도시 설계 개요가 밝혀졌다. 성벽, 도로 등이 확인되었으며, 고고학적 가치가 커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9]

4. 2.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1983년에 대규모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성벽이나 도로 등 후한 및 위진남북조 시대 도시 설계의 개요가 밝혀졌다. 1988년에 업성 유적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9]

참조

[1] 서적 Sanguzohi
[2]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Imperial Capitals of China: An Inside view of the Celestial Empire Pimlico
[4] 서적
[5] 서적 The Background of the Rebellion of An Lu-Shan Oxford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An-Shih Luan ch'ien chih Ho-pei Tao
[7] 뉴스 Pictures: 3,000 Ancient Buddhas Unearthed in China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2-04-17
[8]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5-31
[9] 서적 史記
[10] 서적 史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