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워드 참회왕의 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참회왕의 관은 1065년 크리스마스에 에드워드 참회왕이 사용한 왕관에서 유래되었으며, 잉글랜드 군주의 대관식에 사용되는 중요한 왕관이다. 1661년 찰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재제작되었으며, 현재의 왕관은 순금에 가까운 22K 금으로 제작되었고, 444개의 보석이 박혀있다. 공식적인 대관식 왕관으로, 찰스 2세 이후 7명의 군주가 사용했다. 왕실 문장 및 영연방 국가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대관보기 - 영국의 제국관
    대영 제국 왕관은 영국의 군주가 대관식, 의회 개원식 등 특별한 행사에 착용하는 왕관으로, 금, 은, 백금, 다이아몬드, 진주 등 다양한 보석으로 장식되어 런던 탑의 보물관에 보관된다.
  • 영국의 대관보기 - 코이누르
    코이누르는 "빛의 산"이라는 뜻의 다이아몬드로서, 소유자는 세계를 지배하지만 남성이 착용하면 불행해진다는 전설이 있으며, 인도에서 기원하여 여러 왕조를 거쳐 영국 왕실 소유가 되었고,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반환 요구가 있다.
  • 관 (문장학) - 교황관
    교황관은 교황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삼중 왕관 형태의 관으로, 바티칸 시국 국기와 성좌 문장에 등장하며 현재 22개만이 남아있다.
  • 관 (문장학) - 인민관
  • 왕관 - 영국의 제국관
    대영 제국 왕관은 영국의 군주가 대관식, 의회 개원식 등 특별한 행사에 착용하는 왕관으로, 금, 은, 백금, 다이아몬드, 진주 등 다양한 보석으로 장식되어 런던 탑의 보물관에 보관된다.
  •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성 이슈트반 왕관은 헝가리 왕국의 왕권 상징이자 국가 정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코로나 그라에카, 코로나 라티나, 십자가로 구성되어 굴곡진 역사를 거쳐 헝가리로 반환되어 현재 국회의사당에 보관되어 있다.
에드워드 참회왕의 관
개요
2022년의 성 에드워드 왕관
2022년의 성 에드워드 왕관
종류대관식 왕관
국가영국
소유자찰스 3세, 왕실 소유
상세 정보
재료22캐럿 금
무게2.23kg
아치 개수2개
제작 년도1661년
높이30cm

2. 역사

에드워드 참회왕의 이름을 딴 오리지널 왕관은 그가 1065년 크리스마스에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51][52] 이 왕관에는 알프레드 대왕의 왕관 일부가 포함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3] 전승에 따르면, 1066년 윌리엄 1세의 대관식에서 처음 사용된 이래[54], 존 왕에 이르기까지 여러 초기 잉글랜드 국왕들의 대관식에서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54][55]

1216년 헨리 3세의 첫 대관식에서는 이 왕관 대신 다른 관이 사용되었는데,[56] 이 때문에 존 왕 시기에 오리지널 왕관이 분실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57] 그러나 헨리 8세 시대까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보관되어 있었으며, 1533년 앤 불린의 대관식에도 사용되었다는 기록도 존재한다.[58][59]

오리지널 성 에드워드 왕관은 잉글랜드 내전 시기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현재 사용되는 왕관은 1661년 찰스 2세의 왕정복고와 대관식을 위해 새로 제작된 것이다.

2. 1. 기원

마틴 아처 쉬의 1833년 작 ''윌리엄 4세의 초상화(Portrait of William IV)''. 성 에드워드 왕관이 국왕의 오른쪽에 있는 쿠션 위에 놓여 있다.


에드워드 참회왕부활절, 성령강림절, 크리스마스와 같은 주요 종교 축일에 왕관을 착용했다.[5] 1161년, 에드워드 참회왕이 성인으로 시성되면서 그와 관련된 물건들은 성 유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가 묻힌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수도사들은 에드워드 참회왕이 미래의 모든 영국 국왕의 대관식을 위해 자신의 왕실 기물을 사원에 영구히 보관하도록 요청했다고 주장했다.[6] 이 주장은 사원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의도였을 수 있고, 일부 기물은 에드워드 참회왕이 사원에 재매장될 때 무덤에서 가져왔을 가능성도 있지만, 당시에는 사실로 받아들여졌다.[6] 이를 통해 유럽 최초로 세습되는 대관식 왕실 기물이 확립되었다.[7]

'성 에드워드 왕관'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록된 것은 1220년 헨리 3세의 대관식 때였으며, 이 왕관은 에드워드 참회왕이 실제로 착용했던 왕관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8] 에드워드 참회왕은 비잔틴 제국 황제의 전통을 따라 아치형 왕관, 즉 '폐쇄형 왕관' 또는 제국 왕관을 착용한 최초의 영국 국왕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왕이 오직 신에게만 복종한다는 것을 상징한다.[9]

에드워드 참회왕의 관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이 오리지널 왕관은 에드워드 참회왕이 1065년 크리스마스에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51][52] 일각에서는 이 왕관에 알프레드 대왕의 왕관 일부가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53]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1066년 크리스마스에 거행된 윌리엄 1세의 대관식에서도 성 에드워드 왕관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그의 왕위 계승이 단순한 정복이 아닌 정당한 권리에 근거함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였다.[54] 이후 여러 국왕의 대관식에서도 이 왕관이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리지널 성 에드워드 왕관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국왕 [55]
국왕대관식 연도
윌리엄 1세1066년
윌리엄 2세1087년
헨리 1세1100년
스티븐1135년
헨리 2세1154년
리처드 1세1189년, 1194년
1199년



1216년에 열린 헨리 3세의 첫 대관식에서는 이 왕관 대신 금박을 입힌 꽃으로 엮은 관(chaplet)이 사용되었다.[56] 독일의 역사학자 라인홀트 파울리는 이를 근거로 존 왕이 잃어버린 왕실 제구 목록에 오리지널 성 에드워드 왕관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추측했다.[57] 그러나 아서 펜린 스탠리는 오리지널 왕관과 다른 제구들이 1642년까지 분실되지 않았으며, 헨리 8세 시대까지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보물 창고에 보관되어 있었다고 주장했다.[58] 이 왕관은 1533년 앤 불린의 대관식에도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59] 오리지널 성 에드워드 왕관은 잉글랜드 내전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왕정복고 이후 1661년 찰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현재의 성 에드워드 왕관이 새로 제작되었다.

2. 2. 성 유물

성 에드워드 왕관의 원형은 에드워드 참회왕1065년 크리스마스에 사용했던 왕관으로 여겨진다.[51][52] 이 왕관에는 알프레드 대왕의 왕관 일부가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3] 전승에 따르면, 1066년 크리스마스에 거행된 윌리엄 1세의 대관식에서도 이 왕관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그의 왕위 계승이 정복이 아닌 정당한 권리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54] 이후 윌리엄 2세(1087년), 헨리 1세(1100년), 스티븐(1135년), 헨리 2세(1154년), 리처드 1세(1189년, 1194년), (1199년) 등 여러 왕의 대관식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5]

성 에드워드 왕관은 거의 웨스트민스터 사원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 1399년 리처드 2세가 퇴위를 강요당했을 때, 그는 왕관을 런던 탑으로 가져가 자신의 후계자인 헨리 4세에게 넘겨주며 "나는 잉글랜드의 왕으로 즉위했고 그에 따른 모든 권리를 가지고 있는 이 왕관을 당신에게 바칩니다"라고 말하며 왕위 계승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10]

이 왕관은 1533년 앤 불린왕비 대관식에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11] 튜더 왕조 시대에는 대관식에서 군주의 머리에 세 개의 왕관을 씌우는 것이 관례였는데, 성 에드워드 왕관, 국가 왕관, 그리고 새로운 왕이나 여왕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화려한 왕관"이 그것이었다.[12]

영국 종교 개혁 이후, 새로 성립된 잉글랜드 교회는 중세 시대의 성유물 숭배를 비판하는 입장을 취했다. 이로 인해 1547년 에드워드 6세의 대관식부터는 왕관과 참회왕 에드워드와의 역사적 연결성을 강조하지 않게 되었다.[13]

잉글랜드 내전 기간 동안, 의회는 올리버 크롬웰의 주장에 따라 왕관을 녹여버렸다. 크롬웰은 이 왕관을 "혐오스러운 왕들의 통치"를 상징하는 물건으로 여겼다.[14] 당시 찰스 1세의 소유물 목록에는 이 왕관이 "알프레드 대왕의 금선 세공 왕관으로 작은 돌과 작은 종 두 개가 박혀 있다"고 기록되었으며, 무게는 약 2253.79g이며, 총 가치는 248파운드 10실링 0페니로 평가되었다.[15] 상자 뚜껑의 라틴어 비문은 "이것은 알프레드, 에드워드 및 다른 왕들이 즉위했던 두 개의 주요 왕관 중 하나이다"라고 번역되었지만, 실제로 알프레드 대왕 시대에 제작되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대관식 관련 기록에서는 항상 성 에드워드 왕관으로 지칭되었다.[16]

한편, 1216년 헨리 3세의 첫 대관식에서는 성 에드워드 왕관 대신 꽃으로 엮은 관(chaplet)이 사용되었다.[56] 독일의 역사학자 라인홀트 파울리는 이를 근거로 존 왕이 잃어버린 왕실 제구 목록에 본래의 성 에드워드 왕관도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57] 그러나 아서 펜린 스탠리는 원본 왕관과 다른 제구들이 1642년까지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보물 창고에 보관되어 있었으며, 헨리 8세 시대까지 그 존재가 확인된다고 주장했다.[58] 이 왕관이 1533년 앤 불린의 대관식에도 사용되었다는 기록은 스탠리의 주장을 뒷받침한다.[59]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파괴된 원본 왕관을 대체하기 위해, 현재의 성 에드워드 왕관은 1661년 찰스 2세의 왕정복고 및 대관식을 위해 새로 제작되었다.

2. 3. 복원

1685년 제임스 2세 잉글랜드 국왕의 대관식에서 프랜시스 샌퍼드가 그린 성 에드워드 왕관


1660년 왕정복고가 이루어지면서, 망명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찰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왕실 금세공인 로버트 비너 경이 새로운 성 에드워드 왕관을 제작했다.[17] 이 왕관은 중세 시대 왕관과 매우 유사하게 만들어져 묵직한 금 받침대와 반귀석 덩어리가 특징이었으나, 아치는 바로크 양식을 따랐다.[18]

20세기 후반에는 이 왕관이 원래 성 에드워드 왕관의 금을 포함했을 것이라는 추정이 있었다. 무게가 거의 같고, 1661년 재료에 대한 송장이 발행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올리버 크롬웰국장에 왕관이 그려져 있었다는 점 등이 근거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증거를 바탕으로 작가이자 궁정 역사가인 마틴 홈즈는 1959년 논문에서 공화정 시기에도 성 에드워드 왕관이 녹지 않고 보존되었으며, 그 금이 왕정복고 후 새로운 왕관 제작에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19]

그의 이론은 정설로 받아들여졌고, 런던 타워의 왕관 보석 공식 안내서를 비롯한 많은 책에서 그의 주장을 사실로 다뤘다. 그러나 2008년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1660년에 제작된 대관식 왕관과 홀은 조기 대관식을 예상하여 만들어졌으나 대관식이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 찰스 2세의 다른 왕실 장신구들은 의회가 예산을 늘린 후인 1661년에 새로 의뢰된 것이었다. 크롬웰의 국장에 그려진 왕관은 당시 잉글랜드에서 흔히 사용되던 주석이나 구리 같은 도금된 저급 금속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혀졌다. 예를 들어, 제임스 1세의 장례식에 사용된 왕관은 가짜 보석으로 장식되었고 가격도 매우 저렴했다. 따라서 1661년에 제작된 성 에드워드 왕관은 완전히 새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것이 현재의 정설이다.[19]

1671년, 토머스 블러드가 런던 탑에서 왕관을 훔치려 시도하며 망치로 두들겨 찌그러뜨리는 사건이 발생했다.[20] 이후 제임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새로운 구슬 장식이 추가되었고, 윌리엄 3세의 대관식을 위해 받침대 모양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경되었다.[21] 1689년 윌리엄 3세의 대관식 이후, 군주들은 더 가볍고 맞춤 제작된 대관식 왕관 (예: 조지 4세의 대관식 왕관)[22]이나 자신의 국왕관을 선호하게 되면서, 성 에드워드 왕관은 대관식 중 높은 제단 위에 놓이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23]

현재 사용되는 성 에드워드 왕관은 찰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1661년에 제작된 것으로, 엘리자베스 1세가 소유했던 진주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순금(24K)이 아닌 22K 금으로 제작되었으며, 디자인은 4개의 크로스 파티와 4개의 플뢰르 드 리스가 번갈아 배치된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왕관 안쪽에는 흰담비 모피로 가장자리를 두른 벨벳 모자가 있고, 그 위로 2개의 아치가 십자 형태로 교차한다. 총 444개의 보석이 박혀 있는데, 과거에는 대관식 때마다 보석을 빌려 사용하고 끝나면 다시 떼어내 프레임만 보관했으나, 1911년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었다.

2. 4. 20세기와 21세기

찰스 3세의 대관식에서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쓴 모습


에드워드 7세는 1902년 대관식에서 성 에드워드 왕관을 사용하는 전통을 되살리려 했으나, 당시 충수염 수술에서 회복 중이었고 왕관의 무게(약 2kg) 때문에 더 가벼운 제국 왕관을 대신 착용했다.[24] 이전 빅토리아 여왕 역시 비슷한 무게 문제로 대관식에서 성 에드워드 왕관 대신 대영 제국 왕관을 선택한 바 있다.

1911년 조지 5세의 대관식을 앞두고는 이전까지 대여 후 제거했던 보석들을 왕관에 영구적으로 장식했다. 이때 444개의 귀금속과 준보석이 사용되었고, 아치와 받침대의 모조 진주는 백금 도금된 금 구슬로 교체되었다.[25] 또한, 조지 5세에게 맞게 밴드 크기를 줄여 왕관의 전체 무게가 2.55kg에서 2.21kg로 가벼워졌다.[24] 조지 5세는 200여 년 만에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쓰고 대관식을 치른 첫 군주가 되었다.[24]

이후 1937년 조지 6세,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에서도 성 에드워드 왕관이 사용되었다.

2013년 6월 4일,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 60주년을 기념하는 예배를 위해 성 에드워드 왕관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높은 제단에 전시되었다. 이는 1953년 대관식 이후 처음으로 왕관이 런던 타워를 벗어난 사례였다.[26]

2022년 12월, 찰스 3세의 대관식을 위해 왕관의 크기를 조정하고자 런던 타워에서 잠시 옮겨졌다.[27] 받침대를 네 부분으로 나누고 그 사이에 7mm 폭의 금 조각을 용접하여 왕관의 둘레를 늘렸으며, 테두리에는 8개의 새로운 금 구슬이 추가되었다.[28] 이후 2023년 5월 6일 찰스 3세와 카밀라의 대관식에서 사용되었다.[27]

3. 디자인



성 에드워드 왕관은 22캐럿 금으로 만들어졌으며,[29] 높이는 30cm이고 무게는 2.23kg이다. 왕관 테두리에는 네 개의 백합 문양과 네 개의 십자 문양(패티)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고, 그 위로 두 개의 아치가 십자 형태로 교차하며, 교차점 위에는 모두와 또 다른 십자 문양이 올려져 있다. 왕관 안쪽에는 자주색 벨벳 모자가 있으며, 테두리는 어민 털로 장식되어 있다.[17]

왕관에는 총 444개의 귀중한 보석이 박혀 있으며, 주요 보석은 다음과 같다.[25]

보석 종류개수
로즈 컷 아쿠아마린345
백색 토파즈37
토르말린27
루비12
자수정7
사파이어6
저콘2
가넷1
스피넬1
카번클1
페리도트1



현재의 성 에드워드 왕관은 찰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해 1661년에 제작되었으며, 이때 엘리자베스 1세가 소유했던 진주를 대부분 사용했다. 순도 높은 금을 사용했지만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22캐럿 금으로 제작되었다. 과거에는 대관식 때마다 보석을 빌려 사용하고 행사가 끝나면 다시 떼어내어 왕관 틀만 보관했으나, 1911년부터는 보석을 영구적으로 부착하게 되었다.

빅토리아 여왕과 에드워드 7세는 대관식에서 성 에드워드 왕관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왕관의 무게가 2.23kg에 달할 정도로 무거웠기 때문이며, 대신 더 가벼운 대영 제국 왕관을 착용했다.

4. 사용



성 에드워드 왕관은 공식적인 대관식 왕관으로 여겨지지만, 왕정 복고 이후 실제로 모든 군주가 이 왕관을 쓰고 대관식을 치른 것은 아니다. 이 왕관을 사용하여 대관식을 거행한 군주는 다음과 같다.



반면, 다른 군주들은 다양한 이유로 성 에드워드 왕관 대신 다른 왕관을 사용했다. 메리 2세와 앤은 자신들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작고 가벼운 다이아몬드 왕관을 선호했다.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그리고 윌리엄 4세는 조지 1세의 국왕관을 대관식에 사용했다. 조지 4세는 대관식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크고 화려한 다이아몬드 왕관을 썼다.

빅토리아 여왕과 에드워드 7세는 성 에드워드 왕관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왕관의 무게(약 2kg)가 상당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신 1838년에 제작되어 상대적으로 가벼운 제국 왕관을 대관식에 사용했다.

군주가 대관식에서 직접 성 에드워드 왕관을 쓰지 않을 경우, 왕관은 높은 제단 위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예를 들어, 빅토리아 여왕의 대관식에서는 왕관이 제단에 놓이기만 했을 뿐, 직접 착용되지는 않았다.

5. 상징

엘리자베스 2세의 왕실 암호


왕정 복고 이후, 찰스 2세는 1661년에 새로 제작된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을 기반으로 문장 관을 만들었다. 이 문장 관은 4개의 파테 십자가와 4개의 백합 문양이 번갈아 배치되었고, 아치는 2개로 줄었으며, 아치의 곡선은 교차점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형태였다.[4] 이 디자인은 빅토리아 여왕 통치 시기까지 왕관 묘사에 사용되었다.[4]

아서 찰스 폭스-데이비스는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이 "영국의 '공식' 왕관"이므로 왕실 문장 및 기타 휘장에 문장학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1] 그러나 실제 빅토리아 여왕 시기에는 다양한 왕관이 묘사되었고, 정작 대관식에서는 성 에드워드 왕관이 사용되지 않았다.[31][32] 통치 초기에는 1838년 빅토리아 여왕 대관식을 위해 제작된 제국 왕관이 묘사되기도 했는데, 이는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과 유사하지만 상단이 더 평평한 형태였다.[4][33] 왕관 묘사는 예술가에 따라 달랐다.[31] 1876년 빅토리아 여왕이 인도 여제로 선포되자, 1880년에는 문장 관의 아치를 반원형으로 만들어 더 제국적인 형태로 변경했다.[4][34] 하지만 빅토리아 여왕은 개인적으로 튜더 양식 왕관을 선호했으며, 이는 적어도 1860년대부터 나타났다.[35][36] 빅토리아 여왕은 1870년에 튜더 왕관과 유사한 새로운 왕관을 만들었고, 제국 왕관은 무겁고 불편하다는 이유로 착용을 거부하기도 했다.[31][38]

에드워드 7세 즉위 후, 영국 육군 내에서 여러 다른 패턴의 왕관이 사용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자 육군성은 왕관 디자인 표준화를 건의했다.[39] 이에 1901년 5월 4일, 국왕은 헨리 7세의 왕관을 바탕으로 한 단일 튜더 왕관 디자인을 승인했는데, 이는 '빅토리아 여왕이 개인적으로 선택하고 항상 사용했던' 디자인이었다.[31][39]

조지 6세는 1947년 인도가 독립한 후 1948년부터 '인도 황제' 칭호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40] 이후 1952년 엘리자베스 2세가 즉위하면서, 왕관 디자인을 1901년의 튜더 왕관에서 빅토리아 여왕 통치 이전 마지막으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즉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을 닮은 디자인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4][41]

찰스 3세는 2022년 즉위하면서 조지 6세 치하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것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는 튜더 왕관을 다시 채택했다.[42][43] 문장 관의 모자는 실제 왕관의 색상과 관계없이 항상 진홍색으로 표현된다.[31]

왕실 저작권은 영구적으로 왕실 문장 및 그 구성 요소의 묘사에 적용되며, 영국 국립 문서 보관소는 복제 권리를 제한한다.[44][45] 일반적으로 왕실 저작권은 출판 후 50년이 지나면 만료되지만, 저작권, 디자인 및 특허법 1988 제171조 (b)항은 의회 법률에 명시되지 않은 '왕관의 모든 권리 또는 특권'에 대한 예외를 두어, 명시되지 않은 왕실 대권에 따른 왕관의 권리를 보존하고 있다.[46]

또한, 상업적 목적으로 왕관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은 파리 협약 당사국인 영국 등에서 상표법 1994 제4조 및 제99조에 따라 특별히 제한되며, 그 사용은 궁내관 사무실에서 관리한다.[47][48][49] 상품 설명법 1968 제12조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군주 또는 왕족에게 공급된다고 허위로 표시하는 것을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50][49]

실물 성 에드워드 왕관은 영국 국왕의 소유지만, 그 도안은 영연방 왕국 전역에서 각국의 왕권을 상징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문장 (상징물), 군대나 경찰 조직의 기장, 정부 기관 및 왕실 관련 비정부 조직의 로고 등에 쓰인다. 이전에는 튜더 왕관 도안이 사용되었으나, 1953년 엘리자베스 2세의 명에 따라 성 에드워드 왕관 도안으로 변경되었다.[60][61] 이 도안을 사용하려면 국왕의 허가가 필요하다.[62]

참조

[1] 간행물 Crown Jewels https://api.parliame[...] 1992-07-16
[2] 웹사이트 The Crown Jewels http://www.royal.gov[...]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3] 뉴스 Coronation order of service in full https://www.bbc.co.u[...] 2023-05-05
[4] 서적 Boutell's Heraldry https://archive.org/[...] Frederick Warne 1983
[5] 서적 Life of St Edward the Confessor https://books.google[...] Longman
[6] 문서 Keay
[7] 문서 Rose
[8] 문서 Ronald Lightbown in Blair
[9] 문서 Rose
[10] 문서 Steane
[11] 서적 The Drama of Coronation: Medieval Ceremony in Early Modern Engla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문서 Arnold
[13] 문서 Ronald Lightbown in MacGregor
[14] 서적 When the Queen was Crowned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15] 문서 Twining
[16] 문서 Holmes
[17] Royal Collection St. Edward's Crown
[18] 문서 Holmes
[19] 문서 Barclay
[20] 서적 Monarchy and the Royal Family: A Guide for Everyman https://archive.org/[...] Robert Hale
[21] 웹사이트 Royal Crown and Cypher http://canada.pch.gc[...] Canadian Heritage 2024-06-02
[22] 문서 Dixon-Smith
[23] 문서 Mears
[24] 문서 Rose
[25] 문서 Rose
[26] 뉴스 Crown to leave Tower for first time since 1953 for Westminster Abbey service https://www.telegrap[...] 2013-06-04
[27] 뉴스 St Edward's Crown removed from the Tower of London ahead of the Coronation https://www.royal.uk[...] 2022-12-03
[28] 문서 Hardman
[29] 팟캐스트 Royal Gold: Reflections of Power https://www.royalcol[...] Royal Collection Trust 2014-12-17
[30] 문서 Mears
[31] Wikisource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T. C. & E. C. Jack 1909
[32] 서적 The Crown Jewels https://books.google[...] Historic Royal Palaces
[33] Royal Collection The Imperial Crown of Great Britain
[34] 웹사이트 The Rose and Crown: Parliament's royal symbols, part one https://sencanada.ca[...] Senate of Canada 2023-05
[35] 서적 Heraldry, historical and popular https://archive.org/[...] Richard Bentley 1864
[36] 서적 Debrett's Illustrated Peerage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books.google[...] Bosworth 1865
[37] 웹사이트 Victoria Gothic Crown, 1847 https://www.baldwin.[...] 2024-06-29
[38] Royal Collection Queen Victoria's Small Diamond Crown
[39] 간행물 The Royal Arms and Cypher for the Present Reign https://archive.org/[...] 2024-06-28
[40] London Gazette 1948-06-22
[41] 서적 Heraldry https://archive.org/[...] Magna Books 1993
[42] 웹사이트 Royal Cypher https://www.college-[...] 2024-07-11
[43] 웹사이트 Symbols of State Guidance https://publicsafety[...] 2024-07-19
[4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national[...] 2024-08-03
[45] 웹사이트 Reproduction of the Royal Arms https://cdn.national[...] 2024-07-25
[46] UK legislation 2024-08-03
[47] UK legislation 2024-07-25
[48] UK legislation 2024-07-25
[49] 웹사이트 Use of Royal Arms, Names and Images https://www.royal.uk[...] The Royal Household 2024-07-19
[50] UK legislation 2024-07-25
[51] 문서 Cambridge 'Life of St Edward the Confessor' (Norman-French, c.1245) in H.R. Luard (Ed.), ''Lives of Edward the Confessor'' Rolls Series (London 1858).
[52] 문서 Arthur Penrhyn Stanley, ''Historical Memorials of Westminster Abbey'' (4th, Revised Edition) (John Murray, London 1876), p.27.
[53] 서적 The Crowning of the King and Queen Evans Brothers 1936
[54] 문서 Stanley 1876, p.42-44.
[55] 문서 Stanley 1876, 47-53.
[56] 문서 Stanley 1876, 53.
[57] 문서 Reinhold Pauli, 'Continuation of Johann Martin Lappenberg's ''Geschichte von England'', 1154-1509', Henry II to Henry VII', (Gotha 1853-1858)), p. 489 - Stanley 1876, p. 54. による引用
[58] 문서 Stanley 1876, pp.45, 458-459
[59] 서적 The Drama of Coronation: Medieval Ceremony in Early Moder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11-10
[60] 문서 Department of Canadian Heritage 2008
[61] 웹사이트 An Armorial of Canada > The Royal Arms of Canada http://www.heraldry.[...] Royal Heraldry Society of Canada 2009-09-25
[62] 웹사이트 Ceremonial and Canadian Symbols Promotion > The crown in Canada > The Royal Crown http://www.canadianh[...] Queen's Printer for Canada 2009-09-24
[63] 웹인용 The Crown Jewels http://www.royal.gov[...]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64] 웹인용 Victorian Coat of Arms http://www.dpc.vic.g[...] Victoria State Government 2015-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