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관은 교황의 머리에 쓰는 세 겹의 왕관으로, 교황의 권위를 상징한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 평범한 모자에서 유래하여 9세기 경 보석과 금으로 장식된 왕관 형태로 발전했으며, 1300년대에는 교황의 세속적, 영적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두 개의 왕관이 더해졌다. 14세기에는 삼중관 형태로 발전하여 교황의 절대적인 권력을 상징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관을 간소화하고 경매에 부쳐 가난한 이들에게 기부했으며, 이후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와 2세는 교황관을 착용하지 않았다. 현재는 교황의 공식 문장이나 바티칸 시국의 문장에 사용되지만, 교황의 개인 문장에서는 미트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 (문장학) - 인민관
- 관 (문장학) - 에드워드 참회왕의 관
에드워드 참회왕의 관은 잉글랜드와 영국의 군주 대관식에 사용되는 왕관으로, 11세기 에드워드 참회왕의 왕관에서 유래되었으며, 1661년 재제작되어 22K 금과 444개의 보석으로 장식되었다. - 관 - 왕관
왕관은 군주나 고위 성직자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머리 장식으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 재료, 의미를 지니며 각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 관 - 제관
제관은 황제의 지위를 상징하는 관으로, 다양한 문화권과 시대에 걸쳐 독특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중세 유럽의 왕관, 비잔티움 제국의 스테마, 잉글랜드의 폐쇄형 왕관 등이 각 제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다. - 교황 - 콘클라베
콘클라베는 가톨릭 교회에서 추기경들이 모여 비밀 투표를 통해 교황을 선출하는 회의로, 13세기부터 시작되어 여러 개혁을 거쳐 현재는 시스티나 성당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한 후보를 선출하고 흰 연기와 종소리로 결과를 알린다. - 교황 - 교황 요한 4세
교황 요한 4세는 640년에 즉위하여 642년에 사망한 교황으로, 단의론을 비판하고 슬라브족 선교에 힘썼으며 고향 지역 구호 활동을 펼쳤다.
교황관 | |
---|---|
개요 | |
![]() | |
종류 | 관 |
사용 | 교황 |
상징 | 교황의 권위, 세속적 권력, 영적 권위 |
착용 시기 | 교황 대관식 (과거), 특별한 의식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
구성 요소 | 원추형 왕관 세 개의 왕관 두 개의 인풀라 |
재료 | 금, 은, 보석, 천 |
관련 용어 | 교황 대관식 인풀라 미트라 |
역사 및 유래 | |
기원 | 단순한 왕관에서 유래 |
발전 | 13세기: 하나의 왕관에서 세 개의 왕관으로 발전 (삼중관) 상징적 의미 부여: 권위, 세속적 권력, 영적 권위 상징 |
사용 중단 | 바오로 6세: 1964년 교황관을 포기 이후 교황들: 교황관 대신 미트라 착용 |
디자인 및 상징 | |
삼중관 (Triregnum) | 의미: 교황의 세 가지 권위 (아버지, 목자, 스승) 또는 권력 (천상, 지상, 연옥) 상징 재료: 금, 은, 보석 등으로 장식 |
인풀라 | 의미: 교황의 권위를 상징 형태: 교황관 뒤쪽에 늘어뜨리는 두 개의 띠 |
의례적 사용 | |
교황 대관식 | 과거: 교황 즉위식에서 교황관 착용 의미: 교황의 권위와 책무를 상징적으로 표현 |
현대 | 사용 중단: 요한 바오로 1세 이후 교황 대관식에서 사용하지 않음 상징적 의미: 여전히 교황의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의례적 도구 |
소장 | |
소장 위치 | 바티칸 박물관, 기타 박물관 |
종류 | 역사적으로 사용된 다양한 교황관 소장 |
기타 정보 | |
라틴어 | Tiara |
이탈리아어 | Tiara papale |
2. 유래
교황관은 교황의 지위를 상징하는 관으로, 금과 보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삼중관 형태이다. 관 자체는 금으로 도금된 버메일 재질이다. 이 삼중관은 "사제, 사목, 교도의 삼권"과 "천국, 연옥, (지상의 교회)"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클레멘스 5세(재위: 1305년 - 1314년) 때 처음으로 교황관 대관이 시작되었으며, 바오로 6세(재위: 1963년 - 1978년) 때까지 이어졌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바오로 6세는 교황관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판매하려 했고, 1968년부터 미국 워싱턴 D.C.의 에 전시되어 그 수익금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 1975년 사도 헌장 『』에 의해 교황 선출 방법에 관한 개혁이 이루어졌지만, 교황관은 제도적으로는 존속되었다.
바오로 6세 이후 요한 바오로 1세(재위: 1978년), 요한 바오로 2세(재위: 1978년 - 2005년), 베네딕토 16세(재위: 2005년 - 2013년), 프란치스코(재위: 2013년 - )도 교황관 대관을 하지 않아, 교황관을 쓰지 않는 것이 사실상 관례처럼 되었다.
2. 1. 초기 기독교 교회
교황관은 초기 기독교 교회에서 주로 쓰던 평범한 모자에서 유래했다. 이 모자는 천을 머리 위에 뒤집어 씌운 모양으로, 동유럽과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주로 쓰던 것이었다. 교황관과 주교관 모두 이 모자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2. 2. 교황관의 발전
교황관은 처음에는 리넨과 천으로 만들어졌으나 점차 금속 왕관 형태로 발전하였다. 1300년대에는 두 개의 왕관을 겹쳐 놓은 형태로 만들어졌다. 9세기에 교황령 통치를 상징하기 위해 보석과 황금으로 장식된 첫 번째 왕관이 만들어졌고, 이후 교황의 세속적, 영적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두 번째 왕관이 추가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자신의 권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세 번째 왕관을 추가하여 삼중관 형태가 완성되었다. 이러한 삼중관은 교황의 절대성과 권력을 상징하는 의도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였다. 교황관에는 주교관처럼 두 개의 긴 천이 부착되어 머리 뒤로 늘어뜨리게 되어 있다.교황관은 원뿔 모양의 프리기아 모자 또는 프리기움에서 유래되었다.[9][10] 초기 형태에서 교황관과 주교의 미트라는 촛불 끄개와 같은 모양으로 동일했다.[9]
8세기와 9세기에 교황관은 카멜라우쿰la, 필레우스la, 프리기움la, 필레움 프리기움la 등으로 불렸다.[9] 리넨이나 금으로 된 천으로 만들어진 원형 장식이 교황관 밑 부분에 나타났고, 이는 금속 왕관으로 발전하여 1300년경에는 두 개의 왕관이 되었다. 첫 번째 왕관은 9세기에 전통적인 흰색 교황 머리 장식 밑 부분에 나타났다.[11][12] 교황령에서 세속적인 권력을 갖게 되면서, 밑 부분의 왕관은 군주들의 왕관을 닮도록 보석으로 장식되었다.[11] 인노첸시오 3세는 사크로 스페코의 프레스코화와 현재 로마 시립 박물관에 소장된 구 성 베드로 대성전의 모자이크에서 초기 형태의 교황관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13] 13세기 프랑스 페르네-레-퐁텐의 프레스코화에서 교황 클레멘스 4세가 원뿔 모양에 왕관이 하나만 있는 유사한 형태의 교황관을 착용한 모습을 볼 수 있다.[14]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자신의 영적 및 세속적 권력을 모두 상징하기 위해 두 번째 왕관을 추가한 것으로 전해진다.[9][25] 보니파시오 8세의 교황관은 아르놀포 디 캄비오가 제작한 그의 조각상과 무덤에서 두 개의 왕관으로 묘사되어 있다.[15] 교황 베네딕토 11세(1303–1304) 또는 교황 클레멘스 5세(1305–1314)가 세 번째 왕관을 추가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형태의 교황관은 1316년 교황 재무부 목록에 등재되었다[9] ( "성 실베스터의 교황관" 참조). 16세기 초에는 교황관 상단에 작은 구슬과 십자가가 추가되었다.[52]

아비뇽 유수 (1309–1378) 시대에 세 번째 왕관이 추가되면서 삼중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6][17] 아비뇽의 교황 클레멘스 5세 이후, 다양한 형태의 삼중관 교황관이 로마에서도 교황 바오로 6세까지 교황에 의해 착용되었으며, 그는 1963년에 이 교황관으로 교황 대관식을 치렀다.
트와이닝 경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티아라(성 실베스터의 티아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저술했다.
트와이닝은 또한 교황 티아라의 세 개의 왕관에 부여된 다양한 우화적 의미를 분석하였지만, "13세기와 14세기에 황제가 세 개의 왕관, 즉 아헨의 독일 은색 왕관, 밀라노 또는 몬차의 롬바르디아 철제 왕관, 로마의 금색 제국 왕관으로 대관했기 때문에 교황 역시 세 개의 왕관을 착용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상징으로 보인다"라고 결론지었다.[20]
교황관은 금과 보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삼중관 형태로, 사제, 사목, 교도의 삼권"과 "천국, 연옥, (지상의 교회)"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재질은 버메일(금으로 도금된 은)이다.
클레멘스 5세(재위: 1305년 - 1314년) 때 처음으로 대관되었으며, 바오로 6세(재위: 1963년 - 1978년) 때까지 대관이 이루어졌다.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열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바오로 6세는 주요 의식에서도 교황관을 사용하지 않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판매하려 했다. 그 결과,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은 1968년부터 미국 워싱턴 D.C.의 에서 전시 공개되어 수익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 이후 1975년 사도 헌장 『』에 의해 교황 선출 방법에 관한 개혁이 이루어졌지만, 교황관은 제도적으로는 존속되었다.
바오로 6세에 이은 요한 바오로 1세(재위: 1978년), 요한 바오로 2세(재위: 1978년 - 2005년), 베네딕토 16세(재위: 2005년 - 2013년), 프란치스코(재위: 2013년 - )도 교황관 대관을 하지 않아, 교황관 기피는 반쯤 관례가 되었다.
2. 3. 삼중관의 등장
교황관은 처음에는 리넨과 천으로 만들어졌으나 점차 금속 왕관 형태로 변화하였다. 1300년대에는 두 개의 왕관을 겹쳐 놓은 형태가 되었다. 9세기경 교황령 통치를 상징하기 위해 보석과 황금으로 장식된 첫 번째 왕관이 만들어졌고,[11] 교황의 영적, 세속적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두 번째 왕관이 추가되었다.[9][25] 인노첸시오 3세는 초기 형태의 교황관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었고,[13] 13세기 클레멘스 4세는 원뿔 모양에 왕관이 하나만 있는 교황관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14]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자신의 영적, 세속적 권력을 모두 상징하기 위해 두 번째 왕관을 추가하였다.[9][25] 그의 교황관은 두 개의 왕관으로 묘사되어 있다.[15] 교황 베네딕토 11세 또는 교황 클레멘스 5세가 세 번째 왕관을 추가한 것으로 여겨지며,[9] 16세기 초에는 교황관 상단에 작은 구슬과 십자가가 추가되었다.[52]
아비뇽 유수 (1309–1378) 시대에 세 번째 왕관이 추가되어 삼중관이라고 불렸다.[16][17] 클레멘스 5세 이후, 다양한 형태의 삼중관이 교황 바오로 6세까지 사용되었다. 삼중관은 교황의 절대성과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상징적 의도로 만들어졌다. 교황관에는 주교관처럼 2개의 긴 천이 부착되어 있다. 삼중관의 의미는 "사제, 사목, 교도의 삼권"과 "천국, 연옥, (지상의 하느님 나라) 교회"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클레멘스 5세 때 처음으로 대관되었으며, 바오로 6세 때까지 대관이 이루어졌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바오로 6세는 교황관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판매하려 했고, 1968년부터 미국 워싱턴 D.C.의 에서 전시되어 수익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 이후 교황관은 제도적으로 존속되었지만, 요한 바오로 1세, 요한 바오로 2세, 베네딕토 16세, 프란치스코는 교황관 대관을 하지 않아 교황관 기피는 반쯤 관례가 되었다.
3. 교황관 폐지
교황 바오로 6세는 즉위식에서 단순한 모양의 교황관을 착용하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회 때 자신의 교황관을 경매에 내놓아 가난한 이들에게 기부하겠다고 밝히면서 교황관 사용은 사실상 중단되었다.[28][29] 1975년 사도헌장 《Romano Pontifici Eligendo》에서 교황관 폐지가 명시되지는 않았지만,[38] 후임 교황들은 대관식 대신 즉위식을 선택하고 교황관을 착용하지 않았다.[35][37]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교황관은 여전히 성좌와 바티칸 시국의 문장에 남아 상징적인 의미를 유지하고 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이후 교황의 개인 문장에서는 교황관 대신 주교관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문장 | 교황 프란치스코의 문장 |
---|---|
-- | -- |
3. 1. 바오로 6세의 개혁
교황 바오로 6세는 즉위식에서 보석과 황금 장식이 없는 단순한 모양의 교황관을 착용하며 교황관의 간소화를 추진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회 때, 바오로 6세는 자신의 관을 벗어 제단 앞에 내려놓고, 교황관을 경매에 내놓아 그 돈을 가난한 자들에게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29]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은 1968년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에 기증되었다.[28][30]바오로 6세는 1975년 사도헌장 《로마 교황 선출》(Romano Pontifici Eligendo)에서 교황 선출 방식을 규정하며 교황관을 완전히 폐지하지는 않았지만,[38] 교황관 사용을 중단했다.[40] 후임자가 원한다면 언제든지 교황관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바오로 6세의 이러한 행동은 교회의 장식적인 측면을 해소하려 했다는 점에서 많은 대중들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지만, 일부 보수적인 전통주의 가톨릭교도들은 교황의 상징인 교황관을 스스로 내려놓은 자는 더 이상 교황으로 불릴 수 없다며 반발하기도 했다.[32][33][34]
바오로 6세의 후임자인 요한 바오로 1세는 화려한 대관식을 거부하고 교황관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요한 바오로 2세 또한 '지금은 교황의 세속적인 권력의 상징물들을 다시 가져올 시대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교황관을 착용하지 않았다.[37] 이후 교황들도 교황관을 사용한 대관식을 거치지 않았다.[36]
3. 2. 후임 교황들의 결정
교황 바오로 6세의 후임자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는 화려한 대관식을 거부하고 교회의 허례허식을 없애고자 전임 교황을 본받아 교황관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35] 요한 바오로 1세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자, 뒤를 이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지금은 교황의 세속적인 권력의 상징물들을 다시 가져올 시대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교황관을 착용하지 않았다.[37]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교황 프란치스코도 교황관을 사용한 대관식을 거치지 않았다.[36]1996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사도 헌장 Universi Dominici gregisla에서 교황 대관식에 대한 언급을 모두 삭제하고 "즉위"라는 표현으로 대체했다.[39] 현재 교황 예복의 일부로 착용되지는 않지만, 교황관은 여전히 성좌의 문장과 바티칸 시국 국기에 나타난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개인 문장은 교황관을 교황관의 세 단을 연상시키는 세 개의 층을 가진 주교관으로 대체했다.[42] 이 주교관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인 문장에도 유지되었다.[43]
3. 3. 교황관의 제도적 존속
교황 바오로 6세는 즉위식에서 보석과 황금 장식이 없는 단순한 모양의 교황관을 착용하면서 교황관의 간소화를 추진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회 때, 교황은 자신의 관을 벗어 제단 앞에 내려놓고, 경매에 부쳐 그 돈을 가난한 자들에게 기부하겠다고 밝혔다.[28]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은 1968년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에 기증되었다.[30]교황 요한 바오로 1세는 화려한 대관식을 거부하고 교황관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지금은 교황의 세속적인 권력의 상징물들을 다시 가져올 시대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교황관을 착용하지 않았다.[37]
하지만 바오로 6세가 1975년에 제정한 사도헌장 《Romano Pontifici Eligendo》에 따르면, 교황관을 완전히 폐지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후임자가 원한다면 언제든지 교황관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38]
교황들이 직접 교황관을 쓰진 않지만, 교황관은 여전히 성좌와 바티칸 시국의 문장에 등장한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때부터 교황 문장에서 교황관은 사라지고 주교관이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였지만, 성좌와 바티칸 시국의 문장만큼은 여전히 교황관을 사용하고 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문장 | 교황 프란치스코의 문장 |
---|---|
-- | -- |
3. 4. 상징의 변화
교황 바오로 6세는 즉위식에서 보석과 황금 장식이 없는 단순한 모양의 교황관을 착용하며 교황관의 간소화를 추진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회 때, 교황은 자신의 관을 벗어 제단 앞에 내려놓고, 경매를 통해 얻은 돈을 가난한 자들에게 기부하겠다고 밝히며 교황관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 했다.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은 1968년 미국 워싱턴 D.C.의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국립 대성당에 기증되었다.[28] 그러나 1975년 사도헌장 《로마 교황 선출》(Romano Pontifici Eligendo)에는 교황관 폐지가 명시되지 않아, 후임 교황이 원하면 언제든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38]바오로 6세의 후임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는 화려한 대관식을 거부하고 교황관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역시 '지금은 교황의 세속적인 권력의 상징물들을 다시 가져올 시대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교황관을 착용하지 않았다.[37]
교황들이 직접 교황관을 쓰지는 않지만, 교황관은 여전히 바티칸과 교황의 공식 문장에 등장한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때부터 교황의 개인 문장에서 교황관이 사라지고 주교관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지만, 성좌와 바티칸 시국의 문장에는 여전히 교황관이 사용되고 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문장 | 교황 프란치스코의 문장 |
---|---|
-- | -- |
교황관의 세 개의 왕관이 무엇을 상징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일부는 교황의 삼중 권위("최고 교황: 보편적 목자(최상), 보편적 교회 관할권(중간), 세속적 권력(최하)")[51]를, 다른 이들은 "군주와 왕의 아버지, 세상의 통치자, 그리스도의 대리자"[52]를 의미한다고 해석한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그리스도의 삼중 직무(사제, 예언자, 왕)[55], "교사, 입법자, 재판관"[56], "지상의 투쟁 교회, 죽음 이후 천국 이전의 고통받는 교회, 영원한 보상에서의 승리하는 교회"[57] 등이 있다.
성 베드로 대성당에 있는 성 베드로의 청동상에는 매년 성 베드로 수위 축일(2월 22일) 전야부터 성 베드로와 바오로 사도 축일(6월 29일)까지 큰 교황관이 씌워진다.[48]
4. 디자인
역사적으로 많은 교황관이 존재했으며 현재 22개가 남아있다. 초기 교황관들은 파괴, 해체, 압수되거나 교황 자신에 의해서도 파괴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요구한 몸값을 마련하기 위해 모든 교황관과 교황의 위임물을 녹였다. 20개가 넘는 은색 티아라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6세기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를 위해 만들어졌다. 1800년 교황 비오 7세는 베네치아에서 망명 중에 파피에마셰 티아라를 쓰고 즉위했다.
나폴레옹 1세를 포함한 많은 세계 지도자나 국가 원수들이 교황청에 티아라를 기증했다. 나폴레옹이 제공한 티아라는 로마 함락 이후 파괴된 이전 교황관의 요소들로 만들어졌고, 조세핀 황후와 결혼하는 것을 기념하여 비오 7세에게 '결혼 선물'로 주어졌다.
여러 도시들이 교황에게 제공하는 티아라의 아름다움, 가치, 크기를 두고 서로 경쟁하기도 했다. 교황들은 특정 티아라에 제한되지 않았으며, 사진에는 교황 요한 23세가 여러 티아라를 착용한 모습이 나타난다.
총알 모양의 티아라가 디자인 면에서 가장 특이한 것 중 하나인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관을 착용한 마지막 교황이었다. 현재 남아있는 대부분의 티아라는 바티칸에 전시되어 있지만 일부는 매각되거나 가톨릭 단체에 기증되었다. 교황 바오로 6세의 "밀라노 티아라"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국립 성모 무염시태 대성당의 지하 교회에 기증되어 전시되어 있다.
바티칸 시국의 국기와 국장 모두에 교황관이 장식되어 있다. 역대 교황의 문장에도 교황관이 장식되어 있었으나,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자신의 교황 문장에 교황관 대신 주교의 상징인 미트라를 장식했다. 교황 프란치스코 역시 이를 따라 미트라를 장식했기 때문에, 교황 문장에 교황관을 장식하는 관습은 과거의 것이 되어가고 있다.
4. 1. 교황관의 모습
교황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형태로 변화해왔다. 초기에는 리넨과 천으로 만들어졌으나 점차 금속, 보석, 황금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1300년대에는 두 개의 왕관을 겹쳐 놓은 형태가 나타났는데, 이는 교황의 세속적, 영적 권위를 상징한다.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자신의 권위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세 번째 왕관을 추가하여 삼중관 형태를 만들었다.[1]
클레멘스 5세 이후 후대 교황들은 다양한 형태의 삼중관을 사용했으며, 이 전통은 1963년 교황 바오로 6세까지 이어졌다. 현재 남아있는 교황관은 22개에 불과하며, 대부분 은색 원통형 관 위에 보석과 황금으로 장식되어 있고, 세 개의 왕관은 십자가나 나뭇잎 모양을 하고 있다. 맨 위에는 그리스도의 보편성과 위대함을 상징하는 십자가가 꽂혀 있다.[1]
교황관 뒤에는 두 개의 긴 천(래펫)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 천은 황금실로 장식되고 교황의 문장이 새겨져 있다.[1]
현존하는 대부분의 삼중관 교황관은 원형의 벌집 모양을 하고 있으며, 중앙 코어는 은으로 만들어졌다. 일부는 뾰족하거나 둥근 모양이며, 교황 바오로 6세의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화려하게 보석으로 장식되었다. 세 개의 왕관은 금색 장식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십자가나 잎 모양을 하고 있다. 대부분은 몬드(구) 위에 십자가가 놓여져 그리스도의 보편적인 주권을 나타낸다.[1]
교황 비오 7세가 망명 중 즉위할 때 만들어진 마셰지 교황관과 교황 바오로 6세를 위해 1963년에 만들어진 교황관은 다소 특이한 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은 탄알 모양이며 보석이 거의 없고, 세 개의 평행 원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밑부분에는 이중 층의 왕관이 있다.[1]
4. 2. 교황관의 무게
현존하는 교황관 중 가장 가벼운 것은 1959년 요한 23세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무게가 0.9kg 정도였다. 비오 11세의 교황관도 비슷한 무게였다. 반면,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은 4.5kg으로 무거운 편이었다. 가장 무거운 교황관은 나폴레옹 1세가 조제핀과의 결혼과 프랑스 황제 대관식을 기념하기 위해 기증한 1804년 교황관으로, 무게가 8.2kg에 달했지만, 비오 7세가 착용하기에는 너무 좁아 사용되지 않았다.[49]20세기에는 새로운 제조 방법이 개발되어 900g 정도의 더 가벼운 교황관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4. 3. 래펫(infulae)
주교관과 마찬가지로 교황관에도 두 개의 lappet(유래), 즉 라틴어로 caudaela 또는 infulaela라고 불리는 한 쌍의 띠[24] 또는 펜던트가 부착되어 있다.[25] 이것들은 대개 주교관처럼 교황관 뒤쪽에 부착되어 있지만, 삼중관을 착용한 교황 클레멘스 8세의 모자이크에는 귀 앞쪽에 놓여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현존하는 모든 교황관에는 뒤쪽에 부착되어 있다. lappet(유래)은 단어의 두 번째 정의에 따르면 때때로 "파논"이라고도 불리며, 주교의 머리 주위에 리넨 모자나 터번의 원래 형태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끈의 유물일 가능성이 높다.1911년 ''가톨릭 백과사전''은 주교관의 lappet(유래)이 끝 부분에 붉은색 술로 장식되어 있다고 설명한다.[26][27]
5. 사용
교황관은 무겁고 화려해서 특별한 행사가 아니면 잘 착용하지 않았고, 보통 행사에서는 다른 주교들처럼 주교관을 썼다.
역사적으로 많은 교황관이 존재했으며 현재 22개가 남아있다. 초기 교황관들은 파괴되거나 압수되었고,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몸값을 마련하기 위해 교황관을 녹이기도 했다. 16세기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를 위해 만들어진 티아라가 가장 오래된 것이다. 1800년 교황 비오 7세는 망명 중에 파피에마셰 티아라를 쓰고 즉위했다.
나폴레옹 1세가 준 티아라는 파괴된 이전 교황관의 요소들로 만들어졌으며, 이 외에도 많은 티아라가 세계 지도자나 국가 원수들에 의해 교황청에 기증되었다. 새로 선출된 교황에게 교구나 서품, 선출 희년에 티아라를 주기도 했다.
교황들은 특정 티아라에 제한되지 않았고, 교황 요한 23세는 여러 티아라를 착용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관을 착용한 마지막 교황이었다. 현재 대부분의 티아라는 바티칸에 전시되어 있지만, 일부는 매각되거나 기증되었다. 교황 바오로 6세의 "밀라노 티아라"는 미국 워싱턴 D.C.의 국립 성모 무염시태 대성당에 전시되어 있다.
교황관은 미사와 같은 전례 행사에는 착용하지 않았고, 주교들과 마찬가지로 미트라를 착용했다. 그러나 장엄한 입장 및 퇴장 행렬 중에는 교황관을 착용했으며, 교황 장엄 미사 동안 제대 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교황관은 공식적인 의식 행렬과 게스토리아 좌석la에 실려 이동할 때 착용했는데, 이 사용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중단되었다. 또한 교황이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우르비 에트 오르비la 축복을 내릴 때도 착용했는데, 이는 교황관이 착용되는 유일한 종교 의식이었다.
5. 1. 대관식
교황관이 주로 등장하는 예식은 교황 대관식이었다. 무려 6시간에 달하는 이 예식은 호화스럽게 치러졌으며, 중세 때부터 내려온 교황의 권위를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예식이었다.[61] 교황 대관식 때 교황의 양 옆에서 사제들이 타조 깃털로 된 부채를 들고 그의 옆을 지켰으며, 주로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치루어졌다.교황 바오로 6세는 이 예식을 간소화했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 1세는 완전히 없애버렸다. 이 예식은 순전히 상징적인 것이었고, 콘클라베에서 뽑힌 선출자가 이 대관식에서 교황직을 받아들이면, 베드로의 대리인과 로마 주교의 권한을 수락하는 형식이었다. 현재는 대관식이 사라지고, 전례 미사로 이를 대체하였다.
교황관은 미사와 같은 전례 행사에는 착용하지 않았다. 그러한 행사에서 교황은 다른 주교들과 마찬가지로 미트라를 착용했다. 그러나 교황관은 장엄한 입장 및 퇴장 행렬 중에 착용했으며, 정교한 의식인 교황 장엄 미사 동안 하나 이상을 제대 위에 올려놓을 수 있었다.
따라서 교황관은 공식적인 의식 행렬과 교황이 게스토리아 좌석la인 휴대용 왕좌에 실려 이동할 때 착용했는데, 이 사용은 1978년 10월 선출 직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중단되었다. 그의 단명한 전임자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역시 처음에는 이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지만, 사람들이 그를 볼 수 없다는 말을 듣고 물러섰다. 교황관은 또한 교황이 성 베드로 대성당의 발코니에서 전통적인 크리스마스 및 부활절 우르비 에트 오르비la 축복("로마와 세계에")을 내릴 때도 착용했는데, 이는 교황관이 착용되는 유일한 종교 의식이었다.
티아라가 사용된 가장 유명한 행사는 6시간에 걸친 교황 즉위식으로, 새 교황은 세디아 제스타토리아la (휴대용 왕좌)에 앉아 수행원들이 타조 깃털로 된 플라벨라la로 교황에게 부채질을 하며 즉위 장소로 운반되었다. 전통적으로 즉위식은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61]
즉위식 순간, 새 교황은 다음과 같은 말과 함께 관을 받았다.
교황 바오로 6세는 훨씬 더 짧은 의식을 선택했다. 다른 모든 현대 즉위식과 마찬가지로, 의식 자체는 상징적일 뿐이며, 관련된 사람은 교황 선출 회의에서 정식 선거를 수락하는 순간 로마 주교이자 교황이 되었다. 그 후 두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와 요한 바오로 2세)은 군주적인 즉위식을 폐지하고, 대신 즉위식 없는 취임식을 선택했다. 2005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교황 문장에서 티아라를 제거하고 미트라로 대체했다.
5. 2. 삼층관의 상징
리넨과 천으로 만들어졌던 교황관은 점차 금속으로 된 왕관의 형식으로 바뀌어갔다. 1300년대 들어, 교황관은 2개의 왕관을 겹쳐놓은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첫 번째 왕관은 9세기 경, 교황령을 다스리게 되며 자신의 권력을 상징하기 위해 보석과 황금으로 장식하여 만들어졌고, 두 번째 왕관은 교황이 세속적, 영적으로 모두 왕들보다 상위에 위치해 있음을 알리기 위해 덧씌워졌다. 3개의 왕관이 겹쳐 있는 교황관의 마지막 3번째 왕관은 교황 클레멘스 5세가 자신의 권위를 더더욱 높이기 위해 추가한 것이다. 이같은 삼중 왕관은, 교황의 절대성과 권력을 높이기 위한 상징적인 의도가 매우 강하게 작용하여 만들어졌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주교관처럼, 교황관에는 2개의 긴 천이 부착되어 있어 머리 뒤로 길게 늘어뜨리게 되어 있다.[50]교황 클레멘스 5세가 아비뇽 유수로 교황청을 옮긴 이후, 후대의 교황들 모두 다양하게 변형된 삼중관 형식의 교황관을 사용하였고, 이 전통은 1963년 교황 바오로 6세까지 계속 이어져 내려왔다.[50]
삼층관이 내포한 의미에 대한 설명은 많지만 그 가운데 어느 것 하나 확실한 것은 없다. 일반적으로 신품권(1층), 교도권(2층), 사목권(3층) 등 교황이 최고사제장으로서 지닌 세 가지 직무를 뜻한다고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군주들의 아버지, 세계의 통치자, 우리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해석하는 이들도 있다.[52] 과거 대관미사에서 수석 추기경이 교황의 머리 위에 삼층관을 씌워주는 의식을 거행할 때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하였다.[53]
:Accipe thiaram tribus coronis ornatam, et scias te esse Patrem Principum et Regum, Rectorem Orbis, in terra Vicarium Salvatoris Nostri Jesu Christi, cui est honor et gloria in sæcula sæculorum.|세 개의 관으로 장식한 이 교황관을 쓰는 당신은 임금들의 아버지면서 세계의 길잡이며 끝없이 언제나 영예와 영광을 받으실 우리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대리인이라는 것을 명심하십시오.la
또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자신의 즉위 미사 설교에서 모든 신자들이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로부터 받은 세 가지 직무로 언급한 ‘사제직, 예언직, 왕직’[55] 또는 ‘교사, 입법자, 재판관’[56]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밖에도 ‘지상의 전투적인 교회’, ‘하늘나라에 가기 전에 순교의 고난을 겪는 교회’, ‘영원한 보상을 받아 승리를 얻은 교회’라는 주장[57]과 한발 더 나아가 천상과 인간과 지상을 연결하는 교황의 임무를 상징한다는 주장[59]이 있다.

교황관은 교황의 지위를 상징하는 관으로, 금과 보석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삼중관 형태를 하고 있다. 관 자체의 재질은 버메일(금으로 도금된 은)이다. 이 삼중관의 의미는 "사제, 사목, 교도의 삼권"과 "천국, 연옥, (지상의 하느님 나라) 교회"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황 클레멘스 5세 (재위: 1305년 - 1314년) 때 처음으로 대관되었으며, 교황 바오로 6세 (재위: 1963년 - 1978년) 때까지 대관이 이루어졌다.
1962년부터 1965년까지 열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황 바오로 6세는 주요 의식에서도 교황관을 사용하지 않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판매하려 했다. 그 결과, 교황 바오로 6세의 교황관은 1968년부터 미국 워싱턴 D.C.의 한 성당에서 전시 공개되어 수익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 이후 1975년 사도 헌장에 의해 교황 선출 방법에 관한 개혁이 이루어졌지만, 교황관은 제도적으로는 존속되었다.
교황 바오로 6세에 이은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재위: 1978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재위: 1978년 - 2005년), 교황 베네딕토 16세 (재위: 2005년 - 2013년), 교황 프란치스코 (재위: 2013년 - )도 교황관 대관을 하지 않아, 교황관 기피는 반쯤 관례가 되었다.
6. 이미지
7. 기타
중세 타로 카드에는 교황관을 쓰고 '여교황' 또는 '고위 여사제'로 알려진 여성을 묘사한 카드가 있었다. 이 카드의 의미와 상징은 불확실하며, 요안나 (전설에 따르면 남자로 변장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었다고 한다.), 성모 마리아, 또는 심지어 키벨레, 이시스, 비너스 등으로 확인되었다. 종교 개혁 시대에는 교황관을 쓴 여성의 카드와 "교황 요안나"와 그녀의 아이의 이미지가 교황청과 로마 가톨릭 신앙을 조롱하려는 개신교의 시도로 여겨졌다. 그러나 여교황의 후기 묘사에서는 교황관이 사라지고 더 일반적인 중세 여성의 머리 장식을 착용하는 모습으로 바뀌었다.[65]
모든 타로 카드에는 "교황"으로 알려진 교황의 묘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교황관을 쓰고 있다.[66] 라이더-웨이트 타로 덱은 '교황'을 교황관을 쓰고 교황 십자가를 든 모습으로 묘사하고 있다.
16세기 오스만 제국의 술탄 술레이만 1세는 베네치아 장인들에게 교황의 디자인을 본뜬 4단 삼중관을 제작하도록 의뢰하여, 오스만 칼리파 제국의 칼리프로서 자신의 권위가 교황의 권위를 능가함을 과시하려 했다. 이것은 오스만 술탄에게 매우 이례적인 머리 장식이었으며, 아마도 평소에는 착용하지 않았지만, 방문객, 특히 대사를 맞이할 때 옆에 두었다. 그것은 거대한 깃털로 장식되었다.[64]
7. 1. 타로 카드
중세 타로 카드에는 교황관을 쓰고 '여교황' 또는 '고위 여사제'로 알려진 여성을 묘사한 카드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카드의 의미와 상징은 불확실하다. 왕관을 쓴 이 여성은 요안나 (전설에 따르면 남자로 변장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었다고 한다.), 성모 마리아, 또는 심지어 키벨레, 이시스, 비너스 등으로 확인되었다. 종교 개혁 시대에 제작된 교황관을 쓴 여성의 카드와 "교황 요안나"와 그녀의 아이의 분명한 이미지는 교황청과 로마 가톨릭 신앙을 조롱하려는 개신교의 시도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여교황의 후기 묘사에서는 교황관이 사라지고 더 일반적인 중세 여성의 머리 장식을 착용하는 모습으로 바뀌었다.[65]모든 타로 카드에는 "교황"으로 알려진 교황의 묘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교황관을 쓰고 있다.[66] 예를 들어, 현재 가장 널리 유통되는 덱인 라이더-웨이트 타로 덱은 '교황'을 교황관을 쓰고 교황 십자가를 든 모습으로 묘사하고 있다.
7. 2. 오스만 제국의 교황관 모방
16세기 오스만 제국의 술탄 술레이만 1세는 베네치아 장인들에게 교황의 디자인을 본뜬 4단 삼중관을 제작하도록 의뢰하여, 오스만 칼리파 제국의 칼리프로서 자신의 권위가 교황의 권위를 능가함을 과시하려 했다. 이것은 오스만 술탄에게 매우 이례적인 머리 장식이었으며, 아마도 평소에는 착용하지 않았지만, 방문객, 특히 대사를 맞이할 때 옆에 두었다. 그것은 거대한 깃털로 장식되었다.[64]
참조
[1]
서적
Tiar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2]
백과사전
tiara – papal dress
https://www.britanni[...]
2024-01-25
[3]
서적
Heirs of the Fisherma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
서적
Rainbow Like an Emerald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1991
[5]
문서
Homily for Inauguration for Pontificate
[6]
서적
The Renaissance in Rom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8
[7]
서적
Saints in Art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4
[8]
서적
Politics and the Papacy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008
[9]
웹사이트
Church Vestments
https://www.google.c[...]
Dutton (republished by Dover Publications 2002)
2013-05-18
[10]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article "tiara (papal dress)"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3-05-18
[11]
서적
The Church Visible
[12]
서적
Heraldry in the Catholic Church
Humanities
1978
[13]
웹사이트
Innocenzo III
http://www.museodiro[...]
2021-06-12
[14]
이미지
Tour Ferrande_-_Clément_IV.JPG
https://commons.wiki[...]
2023-04-00
[15]
이미지
Monument Bonifaz VIII von Arnolfo di Cambio für das Grabmal von Bonifaz im Museo dell'Opera del Duomo in Florenz. Hier taucht die zweifache Tiara auf.Čeština: Socha papeže Bonifáce VIII. od Arnolfa di Cambio; hrobka Bonifáce v Museo dell'Opera del Duomo ve Florencii.
https://commons.wiki[...]
2020-09-03
[16]
서적
Radiance and Reflection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2
[17]
서적
The Mass and Vestments of the Catholic Church
https://archive.org/[...]
Benzinger Brothers
1916
[18]
서적
A History of the Crown Jewels of Europe
B. T. Batsford
1960
[19]
서적
A History of the Crown Jewels of Europe
B. T. Batsford
1960
[20]
서적
A History of the Crown Jewels of Europe
B. T. Batsford
1960
[2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2]
서적
Flemish DNA & Ancestry
https://books.google[...]
Dokus Publishing
2007
[23]
서적
The Art of Matthew Paris in the Chronica Major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24]
백과사전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1999
[25]
백과사전
Tiara
[26]
백과사전
Mitre
[27]
웹사이트
Symbols of a Bishop, miter
http://www.diocesepb[...]
[28]
웹사이트
Pope Paul VI Tiara
https://web.archive.[...]
Andrejkoymasky.com
2013-05-18
[29]
뉴스
Pope Paul Donates His Jeweled Tiara To Poor of World
https://www.nytimes.[...]
1964-11-14
[30]
웹사이트
A Moment in History: the Papal Tiara at the Basilica
https://www.national[...]
2020-02-06
[31]
웹사이트
A Moment in History: the Papal Tiara at the Basilica
https://www.national[...]
The Basilica of the National Shrin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2020-02-06
[32]
웹사이트
Traditionalist Catholic website criticising Benedict XVI's non-use of the papal tiara
http://www.dailycath[...]
Dailycatholic.org
2005-04-29
[33]
웹사이트
Anti-Pope Paul VI Smashing the Sacred Papal Tiara
http://www.opusdeial[...]
Opusdeialert.com
[34]
웹사이트
Take a Step to Your Future Success!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 "Universi Dominici Gregis"
https://www.vatican.[...]
Vatican Apostolic Library
1996-02-22
[36]
뉴스
A tiara for every Pope
https://www.lastampa[...]
2021-07-18
[37]
웹사이트
Homily of His Holiness John Paul II for the inauguration of his pontificate, 4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3-05-18
[38]
문서
Romano Pontifici Eligendo
1975
[39]
문서
Universi Dominici gregis
1996
[40]
웹사이트
Tiara
https://www.vatican.[...]
2020-03-15
[41]
간행물
The use of the crozier and mitre in the coat-of-arms is suppressed.
Acta Apostolicae Sedis
1969
[42]
웹사이트
Coat of Arms of His Holiness Benedict XVI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7-12-12
[43]
웹사이트
The Coat of Arms of Pope Francis
https://www.vatican.[...]
Dicastero per la Comunicazione -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23-06-28
[44]
웹사이트
La presa di possesso della Basilica Lateranense
http://www.conclave.[...]
[45]
웹사이트
Intervista per L'Osservatore Romano con Gianluca Biccini
http://www.conclave.[...]
2021-07-19
[46]
뉴스
A ogni Papa la sua tiara
https://www.lastampa[...]
2021-07-18
[47]
웹사이트
Una Tiara per Benedetto XVI
https://www.liturgix[...]
2011-05-26
[48]
웹사이트
Image of this tiara provided by the Holy See Press Office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3-05-18
[49]
서적
Philip & Elizabeth
Century
2004
[50]
서적
Propaganda and Persuasion
https://books.google[...]
[51]
웹사이트
Tu Es Petrus
http://www.ewtn.com/[...]
Ewtn.com
2010-05-02
[52]
웹사이트
Sala Stampa della Santa Sede: "Storia della Tiara"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3-05-18
[53]
웹사이트
Francis Patrick Henrick, The Primacy of the Apostolic See Vindicated
https://www.google.c[...]
Baltimore, London and Pittsburgh
2013-05-18
[54]
웹사이트
Encyclopaedia Americana, article "Tiara"
http://www.google.co[...]
[55]
웹사이트
The Holy See
http://www.ewtn.com/[...]
Ewtn.com
2010-05-02
[56]
웹사이트
Website on pre-Vatican II liturgical and ecclesiastical vestments and symbols
http://www.memorare.[...]
Memorare.com
2010-05-02
[57]
웹사이트
The Coronation
http://www.electapop[...]
ElectAPope.Com
2010-05-02
[58]
웹사이트
CNS STORY: Pope drops papal crown from coat of arms, adds miter, pallium
http://www.catholicn[...]
Catholicnews.com
2010-05-02
[59]
웹사이트
Vatican flag: redirect to the right page
http://users.skynet.[...]
Users.skynet.be
2010-05-02
[60]
서적
A History of the Crown Jewels of Europe
B.T. Batsford Ltd.
1960
[61]
웹사이트
Horace Kinder Mann, Johannes Hollnsteiner, The Lives of the Popes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s://www.google.c[...]
K. Paul, Trench, Trübner
2013-05-18
[62]
간행물
Turqueri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Bulletin
1968
[63]
서적
Heraldry in the Catholic Church
Humanities
1978
[64]
서적
The World of Ottoman Art
Thames & Hudson
1975
[65]
웹사이트
Iconography of the early papess cards
http://tarot.com/abo[...]
[66]
웹사이트
Iconography of the pope cards
http://tarot.com/abo[...]
Tarot.com
2013-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