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카바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엑스카바타(Excavata)는 대부분 단세포, 종속영양성 편모충류로, 일부는 엽록체를 가지고 광합성을 한다. 이들은 2개 이상의 편모와 미세소관으로 지지되는 세포구 전방의 독특한 미세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엑스카바타는 디스코바, 메타모나다, 말라위모나스류 등으로 분류되며, 미토콘드리아의 유무와 크리스타 형태, 세포막의 특징 등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2023년 연구에 따르면 엑스카바타는 측계통군으로, 진핵생물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엑스카바타 - 말라이모나스과
말라이모나스과는 담수나 토양에 사는 말라이모나스류 생물 분류군으로, 이마사과와 함께 스코토카리오타에 속하며 게피오넬라속과 말라이모나스속을 포함한다. - 엑스카바타 - 말라이모나스류
말라이모나스류는 진핵생물의 기저군에 속하며, 2003년 처음 기술되었고 2021년 별도의 왕국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마사과, 말라이모나스과, 3개의 속과 3종을 포함한다. -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가 명명한 분류군 - 코아노조아
코아노조아는 칼라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깃편모충류와 동물을 포함하는 계통 분류군으로, 동물의 기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합티스타
합티스타는 2015년 캐빌리어-스미스에 의해 명명된 생물 분류군으로, 엑스카바타 생물군 중 디스코바에 속하며, 하위 분류로 알베이다아문, 육질태양충아문, 착편모조아문 등이 있다. - 원생생물 - 유공충
유공충은 단단한 껍질을 가진 원생생물로, 껍질 형태와 구성에 따라 분류되며, 해양 환경에서 생물 층서 및 고기후 연구, 석유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원생생물 - 코아노조아
코아노조아는 칼라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깃편모충류와 동물을 포함하는 계통 분류군으로, 동물의 기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엑스카바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Excavata Cavalier-Smith, 2002, emend. Simpson, 2003 |
분류 상태 | 측계통군으로 폐지됨 |
영역 | 진핵생물 |
하위 분류 | |
문과 강 | 텍스트 참조 |
하위 분류군 | 메타모나다 말라위모나스 디스코바 |
2. 특징
대부분의 엑스카바타는 단세포 편모충류이며 종속영양성을 띈다. 하지만 유글레나조아의 일부는 엽록체를 가지고 광합성을 한다 (→ 유글레나조류). 엑스카바타는 대부분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편모를 가지며, 세포구 앞쪽이 미세소관으로 뒷받침되어 있다는 독특한 미세 구조를 가진다. 이 홈의 "파인" 모양은 이 유기체에 이름을 부여했다.[3][6] 그러나 이러한 특징을 이차적으로 상실한 종도 존재한다. 아크라시스과만이 일시적으로 다세포성을 나타낸다.
몇몇 혐기성 생물 그룹(메타모나다 등)을 포함하는 엑스카바타의 세포막은 호기성 생물의 진핵생물에 비해 불분명한 점이 많다.[25]
2. 1. 세포 구조
대부분의 엑스카바타는 단세포성, 종속영양성 편모충류이다. 일부 유글레나조아만이 광합성을 한다. 일부(특히 혐기성 장내 기생충)에서 미토콘드리아가 크게 축소되었다.[5] 일부 엑스카바타는 "전형적인" 미토콘드리아가 없으며, 대부분은 변형된 형태(예: 수소체 또는 마이토솜)로 미토콘드리아 소기관을 유지하지만 "무미토콘드리아"라고 불린다.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종들 중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크리스타는 관상, 원반형 또는 경우에 따라 판상일 수 있다. 대부분의 엑스카바타는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4] 많은 종들은 특징적인 미세구조를 가진 눈에 띄는 복부 먹이 홈을 가지고 있으며, 미세소관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이 없는 다양한 그룹은 유전적 증거(주로 분자 서열의 계통수)를 기반으로 파생된 엑스카바타로 간주된다.[6]아크라시드 점균류는 제한적인 다세포성을 보이는 유일한 엑스카바타이다. 다른 세포성 점균류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생애를 단세포로 살아가지만, 때로는 더 큰 덩어리로 모이기도 한다.
2. 2. 미토콘드리아
대부분의 엑스카바타는 단세포이며, 종속영양성 편모충류이다. 일부 유글레나조아만이 광합성을 한다. 일부 엑스카바타(특히 혐기성 장내 기생충)는 미토콘드리아가 크게 축소되었다.[5] "전형적인"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엑스카바타도 많지만, 대부분 변형된 형태(수소체 또는 마이토솜)로 미토콘드리아 소기관을 유지하기 때문에 "무미토콘드리아"라고 불린다.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종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크리스타는 관상, 원반형, 또는 판상일 수 있다.[4]2. 3. 세포막
몇몇 혐기성 생물 그룹(메타모나다 등)을 포함하는 엑스카바타의 세포막은 호기성 생물의 진핵생물에 비해 불분명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호기성 진핵생물은 스테롤이라고 불리는 화학 물질을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다. 스테롤은 세포막의 유동성 등을 조절하여 진핵세포의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25]。그러나 스테롤의 생합성에는 산소 분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혐기성 진핵생물은 스테롤을 스스로 합성할 수 없다. 일부 혐기성 엑스카바타는 구조적으로 가깝고 산소 분자를 합성에 필요로 하지 않는 테트라히마놀(tetrahymanol)이라고 불리는 대체 물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그러나 테트라히마놀을 포함한 유사한 화학 물질(트리테르페노이드)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종도 존재한다(Kipferlia bialata[27] 등). 따라서, 이러한 혐기성 엑스카바타가 어떻게 세포막의 기능을 조절하는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28]。2. 4. 다세포성
유글레나조아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엑스카바타는 단세포 편모충이며 종속영양성을 띈다. 유글레나조류는 엽록체를 가지고 광합성을 한다. 엑스카바타의 대부분은 보통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편모를 가지며, 세포구 전방이 미세소관으로 뒷받침되어 있다는 독특한 미세 구조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을 이차적으로 상실한 종도 존재한다. 아크라시스과만이 일시적으로 다세포성을 나타낸다.[1]3. 하위 분류
엑스카바타는 문 또는 상문 레벨의 6개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
상문 | 문 | 대표적인 속 |
---|---|---|
디스코바 | 유글레나조문 | 유글레나속, 트리파노소마속 |
페르콜로조아문 | 나이글레리아속, 세포점균속 | |
로우코조아문 | 자코바속, 레클리노모나스속 | |
메타모나다 | 프레아조스틸라문 | 옥시모나스류, 트리마스트릭스속 |
포르니카타 | 람블편모충속, 카르페디에모나스속 | |
파라바살리아 | 세모편모충속 |
엑스카바타가 단일계통군이 아닐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11] 계통 발생 분석에서 말라위모나스는 다른 엑스카바타와 같은 계통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2]
엑스카바타는 과거에 다음과 같은 여러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왕국/상문(Superphylum) | 포함된 분류군 | 대표 속 (예시) | 설명 |
---|---|---|---|
디스코바(Discoba) 또는 JEH 또는 에오조아(Eozoa) | 쓰쿠베아 | 쓰쿠바모나스 | |
유글레나조아 | 유글레나, 트리파노소마 | 많은 중요한 기생충, 엽록체를 가진 한 개의 큰 그룹 | |
이형엽아강 (Percolozoa) | 네글레리아, 아크라시스 | 대부분 편모와 아메바류 형태를 번갈아 나타냄 | |
자코바 | 자코바, 레클리노모나스 | 자유 생활, 때로는 로리카(lorica)를 갖는 편모충류, 유전자 함량이 매우 높은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가짐 | |
메타모나다 또는 POD | 프리에아크소스타일라 | 옥시모나드, 트리마스틱스 | 무미토콘드리아 편모충류, 자유 생활(트리마스틱스, 파라트리마스틱스) 또는 곤충의 뒷창자에서 생활 |
포르니카타 | 지아르디아, 카르페디에모나스 | 무미토콘드리아, 대부분 동물의 공생체 및 기생충. | |
파라바살리아 | 트리코모나스 | 무미토콘드리아 편모충류, 일반적으로 곤충의 장내 공생 생물. 일부 인간 병원체. | |
아나에라메바 | Anaeramoeba ignava | 미토콘드리아 대신 수소체를 가진 혐기성 원생생물. | |
네올루카 | 말라위모나다(Malawimonadida) | 말라위모나스 |
하지만, 현재는 메타모나다, 디스코바, 말라위모나스류로 해체되었다.
과거 분류는 다음과 같다.[31]
- 메타모나스류 - 대부분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생물로, 동물의 공생체이다.
- * 포르니카타
- ** 디프로모나스류
헥사미타아과
지아르디아아과 - 람블 편모충 등.
- ** 레토르타모나스류
- **
- * 파라바살리아
- ** 트리코모나스강 - 트리코모나스류 등.
- **
- **
- **
- **
- **
- * 프레악소스틸라
- ** 옥시모나스류
- ** 트리마스티스
- 말라위모나스
- '''디스코바'''
- * 자코바류 - 다른 대부분의 원생생물과 마찬가지로 관상 크리스타를 가진다.
- ** 자코바
- ** 히스티오나과
- ** 안달루시아
- * 원반 크리스타류 - 미토콘드리아에 원반 모양의 크리스타가 있다.
- ** 헤테로로보사 - 대부분 편모충이 되거나 아메바 모양이 된다.
- 네글레리아 등.
- ** 유글레나조아 - 중요한 기생충이 있다.
유글레나류
*
* 유글레나조류 - 엽록체를 가진 것이 많다.
** 라파자
**
**
*** 파케과
*** 미크로글레나과
*
디플로네마류
키네토플라스트류
*
*
**
**
**
** 트리파노소마류
- * 쓰쿠바모나스
3. 1. 디스코바 (Discoba)
유글레나조아와 헤테로로보세아(페르콜로조아)는 가까운 친척 관계로 보이며, 미토콘드리아 내에 원반형 크리스타가 존재한다는 공통점으로 묶인다(상문 원반크리스타류).[1] 원반크리스타류와 야코바류 사이의 밀접한 관계가 밝혀졌으며,[14] 야코바류는 다른 대부분의 원생생물과 마찬가지로 관형 크리스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두 그룹은 단일 계통군으로 추정되어 '''디스코바'''라는 분류군으로 묶였다.[1]대부분의 엑스카바타는 단세포 편모충이며 종속영양성을 띈다. 하지만 유글레나조아의 일부는 엽록체를 가지고 광합성을 한다 (→ 유글레나조류). 엑스카바타의 대부분은 보통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편모를 가지며, 세포구 전방이 미세소관으로 뒷받침되어 있다는 독특한 미세 구조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을 이차적으로 상실한 종도 존재한다. 아크라시스과만이 일시적으로 다세포성을 나타낸다.
포함된 분류군 | 대표 속 (예시) | 설명 |
---|---|---|
쓰쿠베아 | 쓰쿠바모나스 | |
유글레나조아 | 유글레나, 트리파노소마 | 많은 중요한 기생충, 엽록체를 가진 한 개의 큰 그룹 |
이형엽아강 (페르콜로조아) | 네글레리아, 아크라시스 | 대부분 편모와 아메바류 형태를 번갈아 나타냄 |
자코바 | 자코바, 레클리노모나스 | 자유 생활, 때로는 로리카(lorica)를 갖는 편모충류, 유전자 함량이 매우 높은 미토콘드리아 게놈을 가짐 |
3. 2. 메타모나다 (Metamonada)
메타모나다는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대신 수소소체, 미토솜 또는 특성이 밝혀지지 않은 세포 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옥시모나드인 ''모노세르코모노이드''는 상동성 세포 소기관을 완전히 잃었다고 보고되었다.[15][19]메타모나다는 다음 3가지 문(Phylum)으로 구성된다.
문(Phylum) | 예시 | 설명 |
---|---|---|
프레아조스틸라문 (Preaxostyla) | 옥시모나스류(Oxymonads), 트리마스트릭스속(Trimastix) | 무미토콘드리아 편모충류, 자유 생활(트리마스트릭스, 파라트리마스틱스) 또는 곤충의 뒷창자에서 생활 |
포르니카타 (Fornicata) | 람블편모충속(Giardia), 카르페디에모나스속(Carpediemonas)'' | 무미토콘드리아, 대부분 동물의 공생체 및 기생충. |
파라바살리아 (Parabasalia) | 세모편모충속(Trichomonas) | 무미토콘드리아 편모충류, 일반적으로 곤충의 장내 공생 생물. 일부 인간 병원균. |
3. 3. 말라이모나스류 (Malawimonadida)
말라위모나스류는 전형적인 굴파기 형태와 일부 분자 계통 발생에서 다른 굴파기 그룹과의 계통 발생적 친연성 때문에 엑스카바타에 속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진핵생물 내에서의 위치는 여전히 불분명하다.[2]Phylum/Class | 예시 | 설명 | |
---|---|---|---|
Neolouka | 말라위모나디다 | 말라위모나스 |
4. 계통 분류
엑스카바타의 계통 분류는 학계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2023년, 알 주와리(Caesar al Jewari)와 발도프(Sandra Baldauf)는 186개 분류군에 대한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새로운 계통수를 제안했다.[19] 이 연구에서는 메타모나다의 파라바잘리아를 기저 진핵생물로 설정하고, 디스코바와 나머지 진핵생물을 자매 분류군으로 제시했다. 또한, 프리악소스틸라와 내생 공생을 통해 단일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를 미토콘드리아로 통합한 과정을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포르니카타는 파라바잘리아보다 동물과 더 가깝게 연관되어 있다. 이 분석에서 엑스카바타는 매우 측계통군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엑스카바타 내 디스코바의 자매군이 같은 클레이드에 속하지만 아직 엑스카바타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이다.[19]
Anaeramoeba는 파라바잘리아와 관련이 있지만, 계통수에서 기원이 불분명하여 더 기저에 위치할 가능성도 있다.[20]
엑스카바타류는 가장 원시적인 진핵생물로 여겨지기도 하고, 다른 진핵생물에 대해 측계통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긴 가지 유인 효과로 인한 겉보기 현상일 수 있으며, 엑스카바타류가 더 후대에 나타나는 계통 분석 결과도 존재한다. 안키로모나스류는 말라이모나스류와 가까운 관계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29][30]
4. 1. 진핵생물 내 위치
다음은 진핵생물의 계통 분류이다.[34][35][36][37][38][39]{| class="wikitable"
|-
! 진핵생물
|-
|
{| class="wikitable"
|-
| 디아포레틱케스 (식물, 유색피하낭류...)
|-
| 메타모나다
|-
| 말라이모나스류
|-
| 안키로모나스류
|-
! 포디아타
|-
|
|}
|-
! 디스코바
|-
|
{| class="wikitable"
|-
| 자코바류
|-
|
{| class="wikitable"
|-
| 쓰쿠바류
|-
|
|}
|}
|}
|}
말라위모나스류는 전형적인 굴파기 형태와 일부 분자 계통 발생에서 다른 굴파기 그룹과의 계통 발생적 친연성 때문에 굴파기생물에 속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진핵생물 내에서의 위치는 여전히 불분명하다.[2]
Caesar al Jewari영어와 Sandra Baldauf영어는 진핵생물이 델타프로테오박테리아 또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내공생 사건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메타모나다에서 혐기성 박테리아 효소의 설명되지 않는 존재를 설명한다고 주장한다. 메타모나다 내의 Preaxostylala의 자매는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를 획득한 나머지 진핵생물을 나타낸다. 그들의 시나리오에서 일반적으로 "미토콘드리아 유래 소기관"으로 간주되는 수소체와 미토솜은 미토콘드리아보다 먼저 존재하며, 대신 초기 공생 박테리아에서 파생된다.[19]
엑스카바타류는 종종 가장 원시적인 진핵생물로 여겨지며, 다른 진핵생물에 대해 측계통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는 다른 무미토콘드리아 생물에서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긴 가지 유인에 의한 겉보기일 가능성이 있으며, 엑스카바타류가 후생적인 위치에 나타나는 계통 분석도 있다. 안키로모나스류가 말라위모나스류와 근연일 가능성이 있지만, 확정되지 않았다.[29][30]
4. 2. 2023년 계통 발생 연구
2023년, 알 주와리와 발도프는 186개 분류군에 대한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메타모나다의 파라바잘리아를 기저 진핵생물로 하는 계통수를 제안했다.[19] 디스코바와 나머지 진핵생물은 자매 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프리악소스틸라와 내생 공생에 의해 단일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를 미토콘드리아로 통합했다. 따라서 포르니카타는 파라바잘리아보다 예를 들어 동물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나머지 진핵생물은 엑스카바타 내에서 디스코바의 자매군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같은 클레이드 내에 있지만 아직 엑스카바타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분석에서 엑스카바타는 매우 측계통군이다.[19]Anaeramoeba는 파라바잘리아와 관련이 있지만, 나무의 기원은 종종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 기저적일 수 있다.[20] 엑스카바타류는 종종 가장 원시적인 진핵생물로 여겨지며, 다른 진핵생물에 대해 측계통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는 다른 무미토콘드리아 생물에서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긴 가지 유인에 의한 겉보기일 가능성이 있으며, 엑스카바타류가 후생적인 위치에 나타나는 계통 분석도 있다. 안키로모나스류(Ancyromonadida)가 말라이모나스류와 근연일 가능성이 있지만, 확정되지 않았다.[29][30]
참조
[1]
논문
Phylogenomic analyses support the monophyly of Excavata and resolve relationships among eukaryotic "supergroups"
[2]
논문
Comprehensive multigene phylogenies of excavate protists reveal the evolutionary positions of "primitive" eukaryotes
[3]
논문
The ultrastructure of Carpediemonas membranifera (Eukaryota) with reference to the 'excavate hypothesis'
1999-12
[4]
논문
Cytoskeletal organization, phylogenetic affinities and systematics in the contentious taxon Excavata (Eukaryota)
2003-11
[5]
서적
The Ancestor's Tale
Houghton Mifflin Harcourt
[6]
논문
The phagotrophic origin of eukaryotes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Protozoa.
[7]
논문
Alternative cytoskeletal landscapes: cytoskeletal novelty and evolution in basal excavate protists
[8]
논문
The New Tree of Eukaryotes
2020-01
[9]
논문
Combined morphological and phylogenomic re-examination of malawimonads, a critical taxon for inferr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eukaryotes
2018-04-04
[10]
논문
Progress towards the Tree of Eukaryotes
2019-08-19
[11]
Q
Q21090155
[12]
논문
PhyloFisher: A phylogenomic package for resolving eukaryotic relationships
2021
[13]
논문
Kingdoms Protozoa and Chromista and the eozoan root of the eukaryotic tree
The Royal Society
2009-12-23
[14]
논문
Toward Resolving the Eukaryotic Tree: The Phylogenetic Positions of Jakobids and Cercozoans
[15]
논문
A common evolutionary origin for mitochondria and hydrogenosomes
1996-09-03
[16]
논문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2018-01-19
[17]
논문
Gene Duplications Trace Mitochondria to the Onset of Eukaryote Complexity.
2021-05-07
[18]
논문
Inference and reconstruction of the heimdallarchaeial ancestry of eukaryotes
2023-03-09
[19]
논문
An excavate root for the eukaryote tree of life
2023-04-28
[20]
논문
Anaeramoebae are a divergent lineage of eukaryotes that shed light on the transition from anaerobic mitochondria to hydrogenosomes
2021-12
[21]
논문
The ultrastructure of Carpediemonas membranifera (Eukaryota) with reference to the “excavate hypothesis”
https://linkinghub.e[...]
1999-12
[22]
논문
The phagotrophic origin of eukaryotes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Protozoa.
https://www.microbio[...]
2002-03-01
[23]
논문
Progress towards the Tree of Eukaryotes
https://linkinghub.e[...]
2019-08
[24]
간행물
真核生物の高次分類体系の改訂―Adl et al. (2019)について―
https://doi.org/10.1[...]
日本動物分類学会
2020-02-29
[25]
논문
The mystery of membrane organization: composition, regulation and roles of lipid rafts
http://www.nature.co[...]
2017-06
[26]
논문
Lateral transfer of tetrahymanol-synthesizing genes has allowed multiple diverse eukaryote lineages to independently adapt to environments without oxygen
https://doi.org/10.1[...]
2012-02-01
[27]
논문
The draft genome of Kipferlia bialata reveals reductive genome evolution in fornicate parasites
https://journals.plo[...]
2018-03-28
[28]
논문
Microbial Eukaryotes that Lack Sterols
https://onlinelibrar[...]
2017
[29]
논문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https://academic.oup[...]
2018-02-01
[30]
논문
Phylogenomics Reveals Convergent Evolution of Lifestyles in Close Relatives of Animals and Fungi
https://linkinghub.e[...]
2015-09
[31]
논문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http://www.paru.cas.[...]
[32]
논문
http://www.pnas.org/[...]
[33]
논문
http://mbe.oxfordjou[...]
[34]
논문
EukRef-excavates: seven curated SSU ribosomal RNA gene databases
2020
[35]
논문
Combined morphological and phylogenomic re-examination of malawimonads, a critical taxon for inferr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eukaryotes
2018
[36]
논문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2018
[37]
논문
Description of Imasa heleensis, gen. nov., sp. nov. (Imasidae, fam. nov.), a Deep-Branching Marine Malawimonad and Possible Key Taxon in Understanding Early Eukaryotic Evolution
2020-12
[38]
논문
Ciliary transition zone evolution and the root of the eukaryote tree: implications for opisthokont origin and classification of kingdoms Protozoa, Plantae, and Fungi
2021-12
[39]
논문
Early evolution of eukaryote feeding modes, cell structural diversity, and classification of the protozoan phyla Loukozoa, Sulcozoa, and Choanozoa
2013-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