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延), 연(燕), 연(連), 연(淵)은 한국의 성씨이다.

연(延)씨는 백월 계통과 선비족, 오환족, 동호족 계통에서 유래하며, 곡산 연씨가 대표적이다. 고구려 시대에는 연타발, 연비 등이 활동했고, 곡산 연씨의 중시조 연사종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곡산군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28,447명이 연씨 성을 사용했다.

연(燕)씨는 백제의 대성팔족 중 하나로, 전주 연씨가 대표적이다. 백제 성왕 때 병관좌평 연실 등이 있었고, 2015년에는 20명만이 이 성씨를 사용했다.

연(連)씨는 고려 태조 때 이등공신에 녹훈된 연주를 시조로 하며, 나주 연씨가 대표적이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 59명이 연씨 성을 사용했다.

연(淵)씨는 고구려 연개소문 가문의 성씨였으나, 당 고조 이연의 휘를 피하여 중국에서 천씨로 성을 바꾸면서 멸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연 (성씨)
성씨 정보
한글
한자燕, 延, 連
로마자 표기Yeon
한국어 발음
통계 정보
인구 (2015년)5인 이상
출처통계청 성씨·본관별 인구조사 (2015)

2. 연(延)씨

연(延)씨는 백월 계통과 선비족인 오환족, 동호족 계통이 있다. 백월은 고대 오나라, 월나라 지역에 살았던 민족으로 그 계통이 다양하다. 요서, 요동 지역의 선비족 가운데 오환, 동호 계통의 연(延)씨가 있다고 한다. 오환과 동호는 북적과 유사한 민족이며, 만주와 한반도 주변에 거주한다.

곡산 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는데, 연사종의 손자 연정설은 음직으로 옥천군수, 상주목사, 안동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2. 1. 역사

삼국 시대 고구려에서는 연타발(延陀勃)[2]과 연비(延丕)[3] 등이 활동하였다. 연타발은 고구려 개국공신이자 백제 온조왕의 외할아버지이다.[4] 연비는 고구려 장수로 (新)나라 군대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곡산 연씨연계령을 시조로 하며, 그의 7세손 연수창이 제국대장공주를 배종하고 고려에 들어와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연수창은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ㆍ좌복야(左僕射)를 역임하였다.

곡산 연씨 중시조 연사종조선 개국공신으로, 요동 정벌 때 이성계의 군진무(軍鎭撫)로 종군하였고, 회군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제2차 왕자의 난 때 정안군(태종)파에 가담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고,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곡산군(谷山君)에 봉해졌다. 1419년(세종 1) 훈신에 대한 예우로서 판중군도총제부사에 오르고, 1422년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에 훈봉되었다.[5]

한편, 한국 연씨 가운데 연시로(延時老)라는 일본계 항왜 귀화자도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북방 경비에 보내진 항왜들은 최소 1만이며, 조선에서 성을 새로 받아 새로운 성으로 창성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2. 2. 인물

조선 시대 인물로는 숙종 때 연최적 등이 있다. 근현대 인물로는 독립운동가 연병호, 국회의원 연제원, 배우 연규진, 연정훈, 야구선수 연경흠 등이 있다. 일본계 항왜 귀환자 연시로도 있었다.[1]

2. 3. 본관

곡산(谷山)가 대다수이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28,44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78위이다.[1]

곡산 연씨(谷山 延氏) 중시조는 연사종이며, 전해지는 신화에 의하면 연계령(延繼笭)의 7세손 연수창(延壽菖)이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ㆍ좌복야(左僕射)를 역임하고 곡산(谷山)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연수창의 아들 연경(鏡)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삼중대광 문하시중(三重大匡門下侍中)과 태사(太師)를 역임하였다. 연경의 증손자 연주(延柱)는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삼사좌사(三司左使)에 올랐으며, 조선 태종 때 곡성군(谷城君)에 추봉되었다.

연사종은 1388년(우왕 14) 요동 정벌 때 우군도통수 이성계의 군진무(軍鎭撫)로 종군한 공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으며, 1393년(태조 2) 회군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401년(태종 1) 제2차 왕자의 난 때 정안군파(定安君派)에 가담했고, 정안군이 세제로 책봉되고 등극하는 과정에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 1402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에 임명되고, 1407년 판한성부사 겸 우군총제가 되었으며, 이후 상장군·호조전서 등을 역임하였다. 1410년 동북면병마도절제사로 야인의 침입을 방어했으며, 같은 해 길주도도안무찰리사가 되어 경원부(慶源府)와 경성(鏡城)을 수복하는 전과를 올렸다. 1413년 영흥부윤(永興府尹)을 겸직했으며, 이러한 공로로 곡산군(谷山君)에 봉해졌다. 1416년 삼군도진무(三軍都鎭撫)가 되고, 이어 의정부참찬·중군총제(中軍摠制)를 역임하였다. 1418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19년(세종 1) 훈신에 대한 예우로서 판중군도총제부사에 오르고, 1422년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에 훈봉되었다.[5]

한편, 한국 연씨 가운데 연시로(延時老)라는 일본계 항왜 귀환자도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북방 경비에 보내진 항왜들은 최소 1만 명이며, 조선에서 성을 새로 받아 창성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일본계 연씨가 현존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3. 연(燕)씨

연(燕)씨는 백제대성팔족(大姓八族) 중 하나였다. 『수서(隋書)』와 『신당서(新唐書)』 등에는 사씨(沙氏), 협씨(劦氏), 해씨(解氏), 정씨(貞氏), 국씨(國氏), 목씨(木氏), 백씨(苩氏) 등과 함께 백제의 주요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1]

연(燕)씨는 현재 매우 희귀한 성씨로, 전주 연씨, 정평 연씨와 같은 몇몇 본관이 있다. 2015년 인구 조사에서는 이 성씨를 가진 사람이 20명으로 조사되었다.[1]

3. 1. 역사

백제 성왕(聖王) 때 병관좌평을 지낸 연실이 역사적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1]

3. 2. 인물

3. 3. 본관

백제대성팔족(大姓八族) 중 하나로, 『수서(隋書)』와 『신당서(新唐書)』 등에 사씨(沙氏), 협씨(劦氏), 해씨(解氏), 정씨(貞氏), 국씨(國氏), 목씨(木氏), 백씨(苩氏) 등과 함께 기록되어 있다.[1]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연(燕)씨는 1985년에 26가구, 104명, 2000년에는 1,065가구, 3,549명, 2015년에는 20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전주가 16명으로 가장 많다.[1]

3. 4. 중국

연(燕)씨는 중국 범양(范陽)에서 계출(系出)된 성씨로서, 주(周)나라 때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연급(燕伋)의 후손이 나라 이름을 성(姓)으로 삼은 것이 시초가 되었다.

연나라 성씨로는 희성 계통이 있다. 또한 랴오닝의 선비족인 오환족, 동호족 계통의 연(燕)씨도 있다고 한다. 선비족은 5호 16국 시대에 '연'이라는 국호를 많이 사용하였다.[1]

4. 연(連)씨

연(連)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59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나주가 48명으로 가장 많다.[1]

연(連)씨의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인 연주이다. 연(連)씨는 성씨를 나타내기 위해 '연(連, 잇닿을 연)'자를 사용한다.[1]

4. 1. 역사

연(連)씨의 시조는 고려 태조 원년에 이등공신으로 녹훈된 '''연주'''이다. 918년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개국공신으로 선정되어 포상받을 때 견권, 능식, 권신, 염상, 김락, 마난과 함께 이등공신이 되어 금, 은, 그릇과 비단을 받았다.[1] 936년에는 후백제와의 마지막 결전이었던 일리천(현재 경상북도 구미) 전투에 원보로서 대상 김철, 홍유, 박수경, 그리고 원윤 훤량과 함께 마군 1만 명을 거느리고 3군 중 우군에 소속되어 참전하였다.[1]

4. 2. 본관

나주가 48명으로 가장 많다.[1]

연(連)씨의 시조는 고려 태조 원년에 이등공신에 녹훈된 '''연주'''이다. 918년(태조 1) 8월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운 개국공신 포상에서 견권, 능식, 권신, 염상, 김락, 마난과 함께 이등공신(二等功臣)이 되어 금, 은, 그릇과 비단을 받았다. 936년 후백제와의 마지막 결전이었던 일리천(현재 경상북도 구미)싸움에는 원보(元甫)로서 대상(大相) 김철, 홍유, 박수경, 원윤(元尹) 훤량(萱良)과 함께 마군(馬軍) 1만 명을 거느리고 3군(軍) 중 우군(右軍)에 소속되어 참전하였다.[1]

나주 연씨(羅州 延氏)는 성씨를 나타내기 위해 한자 '연(連, 잇닿을 연 itdaeul yeon)'을 사용하며, 고려 건국에 기여한 연주의 후손이다.[1]

5. 연(淵)씨

연(淵)씨는 고구려 연개소문 가문의 성씨였다. 연개소문 가문은 당나라로 이주하면서 멸족되었는데, 그 이유는 당나라 초대 황제 당 고조의 이름 이연(李淵)에 '淵' 자가 있어 명명 피휘 때문에 성씨를 바꾸어야 했기 때문이다.[2]

5. 1. 역사

고구려 연개소문 가문은 성씨로 연(淵)씨를 사용했다. 7세기경 연개소문의 아들들은 당 고조의 이름 '연(淵)'을 피휘하여 성을 천(泉)씨로 바꾸었다.[1] 그런데 천(泉)씨는 중국에서 소멸된 성씨라고 한다.[1] 신라에 귀부했던 연정토당나라로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지 않았다.[1] 연(淵)씨의 다른 후손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 그러므로 연(淵)씨는 한국에서 완전히 소멸된 성씨이다.[1]

연개소문 가문이 당나라로 이주하면서 멸족되었는데, 남은 가족들은 당나라 초대 황제 당 고조의 이름 이연(李淵)에 '淵' 자가 있어 명명 피휘 때문에 성씨를 바꾸었다.[2] 황제의 이름과 같은 글자를 사용하는 것은 불법이었기 때문이다.[2]

5. 2. 멸족

연(淵)씨는 고구려 연개소문 가문의 성씨다. 연개소문의 아들들은 7세기경 당 고조의 이름을 피휘하여 중국에서 천(泉)씨로 바꾸었다.[1] 그런데 천(泉)씨는 중국에서 소멸된 성씨라고 한다.[1] 신라에 귀부하였던 연정토당나라로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지 않았다.[1] 다른 후손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 그러므로 연(淵)씨는 한국에서 완전히 소멸된 성씨이다.[1]

연개소문 가문이 당나라로 이주하면서 멸족되었는데, 남은 가족들은 명명 피휘 때문에 성씨를 바꾸었다.[2] 당나라 초대 황제 당 고조의 이름 이연(李淵)에 '淵' 자가 사용되었고, 황제의 이름과 같은 성씨를 사용하는 것은 불법이었기 때문이다.[2]

6. 현대 인물


  • 연규진 (배우)
  • 연준석 (1995년 출생, 배우)
  • 연정훈 (1978년 출생, 배우, 방송인)
  • 윤광철 (1966년 출생, 오페라 베이스, 독일에서 활동)
  • 연상호 (1978년 출생, 영화 감독, 각본가)
  • 스티븐 연 (Steven Yeun, 1983년 출생, 미국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성씨·본관별 인구(5인 이상) - 전국 - 2015 https://kosis.kr/st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20-12-02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연타발(延陀勃) http://encykorea.aks[...]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연비(延否) http://encykorea.aks[...]
[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백제가 건국되고 온조왕이 즉위하다 ( 기원전 18년 ) http://db.history.go[...]
[5] 세종실록 세종실록 64권, 16년(1434 갑인 / 명 선덕(宣德) 9년) 5월 8일(갑신) 9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