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기군은 백제 시대부터 존재했던 지역으로, 조선 시대에는 전의현과 연기현이 통합되기도 했다. 1895년 공주부에 속했고, 이후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1914년 전의군과 공주군의 일부를 통합하여 연기군으로 재편되었으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폐지되었다. 경부선 철도 등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일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 -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도시계획 지구로,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당시 14개의 법정동으로 시작하여 도시 조성에 따라 법정동이 추가되었으며, 최신 행정구역 정보는 세종특별자치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 - 신행정수도법 위헌 확인 결정
    신행정수도법 위헌 확인 결정은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해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헌법에 따라 헌법 개정 없이 수도 이전을 금지한 사건으로, 관습헌법의 존재와 효력을 인정하여 헌법학계와 사회적으로 논쟁을 일으켰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남포군
    남포군은 백제의 사포현에서 유래하여 남포로 개칭된 충청남도의 옛 행정구역으로, 여러 변천을 거쳐 보령군에 편입된 후 현재는 보령시의 일부이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온양시
    온양시는 1986년 아산군 온양읍이 승격되어 설치되었으며, 1995년 아산군과 통합되어 아산시로 개편되었다.
  • 연기군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연기군 - 연기군수
    연기군수는 연기군의 행정을 담당하는 수장으로, 지방자치제 실시 전에는 임명직이었고 이후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마지막 민선 군수가 세종특별자치시장에 출마하기도 했다.
연기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행정 구역명연기군
한글연기군
한국 한자燕岐郡
가나ヨンギグン
로마자 표기Yeongi-gun
면적361.53
총 인구85,395명 (2005년)
상위 자치 단체충청남도
하위 행정 구역1읍 7면
행정 구역 분류 코드34320
군목이브키
군화모모
군조츠바메
웹사이트연기군 공식 웹사이트
한국의 시군구 정보
군청 소재지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군청로 93
군목향나무
군화복숭아꽃
군조제비

2. 역사

백제 시대에 이 지역은 '''두잉지현'''이라 불렸고, 남북국 시대에는 웅주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는 청주목에 속했다.[5]

조선 태종 14년(1414년)에는 전의현과 연기현을 합하여 전기현으로 하였다가 1416년에 각각 환원하였다. 1680년(조선 숙종 6년) 고을 사람 만설(晩說)이 역모를 꾀하였다 하여 잠시 현을 폐지하고 문의현에 합쳤다가 1685년에 다시 두었다.

대동지지(1866년)에 의하면 당시 현내(縣內)면, 동일(東一)면, 동이(東二)면, 남서(南西)면, 북일(北一)면, 북이(北二)면, 북삼(北三)면이 있었다.

1895년 전국을 23부로 나눌 때에는 공주부에 속했고, 1896년 13도제 실시 이후에는 충청남도에 속했다.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전의군(현 소정면, 전의면, 전동면)과 공주군의 일부(현 금남면 일원과 연기면의 일부)가 연기군에 편입되었다.

2. 1. 삼국 시대 이전

이 지역은 원래 백제의 땅이었으며, 당시 '''두잉지현'''이라 불렸다.[5] 남북국 시대에는 웅주에 속했다.

2. 2. 남북국 시대와 고려 시대

원래 이 지역은 백제의 땅이었으며, 당시 불리던 이름은 '''두잉지현'''이었다. 남북국 시대에는 웅주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는 청주목에 속했다.[5]

2. 3. 조선 시대

백제 시대에 현재 연기군 지역은 '''두잉지현'''이라 불렸으며, 남북국 시대에는 웅주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는 청주목에 속했다.

조선 태종 14년(1414년)에는 전의현과 연기현을 합하여 전기현으로 하였다가 1416년에 각각 환원하였다. 1680년(조선 숙종 6년) 고을 사람 만설(晩說)이 역모하였다 하여 잠시 현을 폐지하고 문의현에 합쳤다가 1685년에 다시 두었다.

1895년 전국을 23부로 나눌 때에는 공주부에 속했고, 1896년 13도제 실시 이후에는 충청남도에 속했다.

2.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전의군(현 소정면, 전의면, 전동면)과 공주군의 일부(명탄, 양아리)가 연기군에 편입되었다.[5]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연기군동일면(東一面)동면갈산리, 명학리, 용호리, 응암리, 합강리
동이면(東二面)내판리, 노송리, 예양리, 문주리, 송용리
북일면(北一面)북면내창리, 동리, 번암리, 신동리, 조치원리, 죽내리
북이면(北二面)고북리, 성제리, 쌍전리, 월하리
서면봉암리
서면(西面) 국촌리/대박리/독동리/후덕리, 기룡리/동산리/효교리/은동리/신림리/봉강리 일부/백룡리 일부, 오룡리/(군내면) 부동리/치암리, 우덕리/행화리/신대리/용동리/화동리/봉강리 일부 송서리/송현리/생천리/월정리/쌍류리, 서계리/와촌리/효방리/은암리/중암리/반암리, 용암리/백룡리 일부, 청라리/행정리/망북리국촌리, 기룡리, 부동리, 신대리, 쌍류리, 와촌리, 용암리, 청라리
남면(南面)남면갈운리, 고정리, 눌왕리, 방축리, 수산리, 양화리, 월산리, 진의리
군내면(郡內面)교촌리, 보통리
공주군삼기면(三岐面)송담리, 종촌리
명탄면(鳴灘面) 달전리/신곡리/성리/치봉리 일부/(회덕군 구즉면) 신달전리, 신산리/대유산리/대박리 일부, 박산리/(회덕군 구즉면) 신동리 일부, 반곡리 일부, 반곡리 일부/봉기리 일부, 부용리/초오개리/봉기리 일부, 석교리, 반곡리 일부/석삼리 일부, 신대리/계양리/명촌리/유산리/서대리/영대리/상평리/대박리 일부, 연소리/황룡리/대기리/서복리/원각리금남면달전리, 대박리, 박산리, 반곡리, 봉기리, 부용리, 석교리, 석삼리, 영대리, 황용리
양야리면(陽也里面) 장대리/감성리, 금천리/청사리/학봉리, 남곡리/수락리/(명탄면) 남곡리, 고사리/대평리/상거리/하거리, 두만리/산동리/(반포면) 용포리 일부, 중발리/흥룡리/점촌리/가동리 일부, 신촌리/화사리, 영치리/사양리/와룡리/내동리, 용포리/이암리/탑산리/팽목정리/가동리 일부, 장재리/금산리/(명탄면) 석삼리 일부, 구룡리/축산리/용곡리/상봉천/하봉천리, 호탄리/(명탄면) 석삼리 일부감성리, 금천리, 남곡리, 대평리, 두만리, 발산리, 신촌리, 영치리, 용포리, 장재리, 축산리, 호탄리
반포면(反浦面) 신대리/평촌리/용담리/어득운리 일부용담리
전의군군내면(郡內面) 모산리/구교리/동교리/상산직리/하산직리, 덕현리/동부리/남부리/북부리/서부리전의면동교리, 읍내리
북면(北面) 상대부리/중대부리/하대부리/유동, 상노곡리/중노곡리/하노곡리, 역리 일부/맹곡리/(천안군 소동면)대사동/궁리/소정리/대야동/소자리 일부, 갈정리/한정리/양한곡리/음한곡리/신대리관정리, 노곡리, 대곡리, 신정리
덕평면(德坪面) 내동/요곡리/광암리/평리/(북면)소정리, 운강리/부곡리/양리/당리소정리, 운당리
대서면(大西面) 산음리/관정리/천서리, 사사리/생송리, 장항리/고성리/원당리/삼성당리, 내오류리/외오류리/양안리/어천리/외운천리/(덕평면) 주점리 일부서정리, 신흥리, 원성리, 유천리
소서면(小西面) 상사기소리/하사기소리, 사방리/다락리/신리, 부거곡리/용지리/상달전리/하달전리/금성리, 마산리/신암리/둔지리/양방이리/음방이리/(남면) 도산리, 당리/영성리/상만곡리/하만곡리, 양지리/압곡리/상세곡리/하세곡리전동면금사리, 다방리, 달전리, 신방리, 양곡리, 영당리
동면(東面) 갈거리/죽엽리/이목리/상노장리/중노장리/하노장리, 지곡리/당리/미당리/수구리, 덕소리/(남면) 보평리/심천리, 고소치리/대동리/서방리, 상석곡리/중석곡리/하석곡리, 대치리/도청리/삼송정리/내배일리/외배일리노장리, 미곡리, 보덕리, 봉대리, 석곡리, 청송리
남면(南面) 저치리/개적리/상중송리/중송리/하송리, 송치리/성곡리/중리/각곡리/상수회리/하수회리, 상송리/대중송리/신대리/동곡리/사정리, 동막리/청산리/상청람리/하청람리송곡리, 송성리, 송정리, 청람리



1911년 군청이 남면에서 북면(현 조치원읍)으로 옮겨졌다. 1917년 10월 1일 남면 교촌리를 연기리로 개칭하였고, 북면을 폐지하여 조치원리와 죽내리를 조치원면으로 신설하였고 나머지를 서면에 편입하였다.[6] 1931년 4월 1일 조치원면이 조치원읍으로 승격하였다.[7] 1940년 11월 1일 서면 일부가 조치원읍에 편입되었다.[8]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면 내창리, 동리, 신동리, 번암리조치원읍 일부


2. 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 1940년 11월 1일: 서면의 일부(신동리, 내창리, 번암리, 동리)가 조치원읍에 편입되었다.[8]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면 내창리, 동리, 신동리, 번암리조치원읍 일부

3. 지리

연기군은 충청남도의 동북부에 위치하여 동서로 21.6km, 남북으로 34.9km로 뻗어있었다. 동쪽은 충청북도 청원군(현재는 청주시로 통합), 서쪽은 공주시, 남쪽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북쪽은 천안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경부선 철도와 국도 제1호선이 남북으로 종단하고, 국도 제36호선조치원읍과 종촌리(현 행복도시 위치)에서 국도 제1호선으로부터 청주와 공주 방향으로 각각 분기한다. 조치원역충북선 철도의 시점이며 동쪽으로 경부고속도로경부고속선과 인접해 있고, 군의 서남쪽으로 2009년에 개통된 당진대전고속도로가 경유한다. 사통팔달의 편리한 교통망으로 어느 지역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고 미호강과 금강이 흐르며 산은 높지 않아 목야지, 과수원으로서 농산물의 재배에 적당하다.

온도는 연평균 13.1도로 한서의 차이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극심한 편이 아니다. 조치원읍과 위도가 비슷한 지역은 충청남도 홍성군, 경상북도문경시, 안동시 등이다.[10] 북부는 운주산, 오봉산 등 낮은 산이 많고, 남부를 금강이 흐르며 비옥한 농촌 지역을 이룬다.

4. 행정 구역

연기군은 1읍 7면, 203 1018으로 편제되어 있었다. 군청은 조치원읍에 있었으며, 인구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60년으로 10만 2914 명이었다.

연기군 행정 지도


1914년 4월 1일 군면 병합으로 연기군, 전의군 및 공주군의 일부(양야리면·명탄면)를 연기군으로 편성하면서 북면·동면·서면·남면·금남면·전동면·전의면이 설치되었다.[1] 1917년 10월 1일 북면이 폐지되고 조치원리와 죽내리 지역을 조치원면으로 분리, 나머지는 서면에 편입되었다. 같은 날 남면 향촌리가 연기리로 개칭되었다.[2] 1931년 4월 1일 조치원면이 조치원읍으로 승격되었다.[3] 1940년 11월 1일 서면의 신동리·내창리·반암리·동리가 조치원읍에 편입되었고,[4] 조치원읍의 기존 지명이 일본식으로 변경되었다. 1987년 1월 1일 전동면의 신방리·영당리·양곡리·달전리·금사리·다방리가 전의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의면 소정출장소가 소정면으로 승격되고,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심중리가 전동면에, 동면 갈산리가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에 편입되었다.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설치에 따라 조치원읍·동면·서면·남면·금남면·전동면·전의면·소정면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면서 연기군은 폐지되었다.

4. 1. 조치원읍

1914년 4월 1일 군면 병합으로 연기군, 전의군 및 공주군의 일부(양야리면·명탄면)를 연기군으로 편성하면서 조치원리가 설치되었다.[1] 1917년 10월 1일 북면이 폐지되고 조치원리와 죽내리 지역을 가지고 조치원면이 발족되었다.[2] 1931년 4월 1일 조치원면이 '''조치원읍'''으로 승격되었다.[3] 1940년 11월 1일 서면의 신동리·내창리·반암리·동리가 조치원읍에 편입되었고,[4] 조치원읍의 기존 지명이 일본식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설치에 따라 조치원읍은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다.

조치원읍에는 신흥리, 신안리, 서창리, 봉산리, 번암리, 죽림리, 침산리, 원리, 평리, 상리, 정리, 명리, 교리, 남리가 설치되어 있었다.

4. 2. 동면, 서면, 남면, 금남면, 전동면, 전의면, 소정면

읍·면한자법정리
동면東面내판리, 예양리, 송용리, 명학리, 응암리, 용호리, 합강리, 문주리, 노송리
서면西面고복리, 부동리, 국촌리, 봉암리, 성제리, 쌍류리, 신대리, 청라리, 와촌리, 기룡리, 월하리, 쌍전리, 용암리
남면南面연기리, 종촌리, 눌왕리, 나성리, 방축리, 진의리, 월산리, 양화리, 송원리, 고정리, 송담리
금남면錦南面용포리, 황용리, 부용리, 달전리, 감성리, 두만리, 영대리, 발산리, 용담리, 영치리, 금천리, 반곡리, 도암리, 축산리, 대박리, 박산리, 석교리, 봉기리, 석삼리, 장재리, 신촌리, 영곡리, 성덕리, 남곡리
전동면全東面노장리, 미곡리, 송성리, 청송리, 청람리, 심중리, 보덕리, 송곡리
전의면全義面읍내리, 동교리, 영당리, 서정리, 원성리, 신흥리, 유천리, 관정리, 양곡리
소정면小井面소정리, 대곡리, 운당리, 고등리


5. 행정중심복합도시

2012년 7월 1일에 세종특별자치시가 연기군 전체 면적과 공주시 장기면, 반포면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일원에 설치되었다. 2008년 4월의 계획에 따르면 세종시 면적의 93.3%는 연기군 지역이며, 이는 연기군 전체 면적의 18.8%에 해당한다. 2012년에 행정기관 입주가 시작되어 2014년에 완료되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금남면 대평리에 있고, 금남면 호탄리에 세종특별자치시청이 들어섰다. 대전광역시와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6. 교육 기관

연기군 지역의 교육 기관은 세종특별자치시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역대 군수

비고대수이름임기
관선초대정낙훈1945년 9월 2일 ~
2대김지환1948년 8월 15일 ~ 1950년 11월 1일
3대임영재1950년 11월 2일 ~ 1954년 9월 5일
4대정범호1954년 9월 26일 ~ 1955년 4월 20일
5대오익순1955년 4월 21일 ~ 1955년 6월 30일
6대김진석1955년 7월 1일 ~ 1959년 1월 23일
7대이종호1959년 1월 24일 ~ 1960년 5월 12일
8대이승규1960년 5월 13일 ~ 1960년 11월 23일
9대이선규1960년 11월 24일 ~ 1961년 6월 25일
10대한상욱1961년 6월 26일 ~ 1963년 3월 12일
11대최석근1963년 3월 13일 ~ 1964년 10월 26일
12대송희섭1964년 10월 27일 ~ 1966년 2월 18일
13대송우빈1966년 2월 19일 ~ 1968년 7월 28일
14대설일진1968년 7월 29일 ~ 1970년 3월 3일
15대류웅렬1970년 3월 4일 ~ 1971년 8월 23일
16대김영석1971년 8월 24일 ~ 1973년 5월 7일
17대김홍식1973년 5월 8일 ~ 1975년 9월 2일
18대조천식1975년 9월 3일 ~ 1976년 3월 18일
19대양후석1976년 3월 19일 ~ 1979년 7월 4일
20대박진수1979년 7월 5일 ~ 1980년 8월 17일
21대홍남식1980년 8월 18일 ~ 1981년 7월 19일
22대정하용1981년 7월 21일 ~ 1982년 9월 18일
23대조광휘1982년 9월 19일 ~ 1983년 4월 10일
24대이병오1983년 4월 13일 ~ 1985년 3월 10일
25대박천수1985년 3월 11일 ~ 1987년 4월 13일
26대이종현1987년 4월 14일 ~ 1988년 6월 11일
27대강희복1988년 6월 12일 ~ 1991년 1월 14일
28대한준수1991년 1월 15일 ~ 1992년 7월 4일
29대권오창1992년 7월 5일 ~ 1994년 2월 6일
30대서용석1994년 2월 7일 ~ 1995년 6월 30일
민선31대홍순규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32대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33대이기봉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34대2006년 7월 1일 ~ 2007년 10월 11일
직무대리최무락2007년 10월 12일 ~ 2007년 11월 12일
직무대리박영수2007년 11월 13일 ~ 2007년 12월 20일
35대최준섭2007년 12월 21일 ~ 2008년 9월 1일
직무대리박영수2008년 5월 26일 ~ 2008년 6월 9일
직무대리남궁주2008년 6월 10일 ~ 2008년 10월 30일
36대유한식2008년 10월 31일 ~ 2010년 6월 30일
37대2010년 7월 1일 ~ 2012년 2월 28일
직무대리윤호익2012년 2월 29일 ~ 2012년 6월 30일


8. 교통

연기군은 충청남도의 동북부에 위치하여 동서로 21.6km, 남북으로 34.9km로 뻗어 있었다. 경부선 철도와 국도 제1호선이 남북으로 종단하고, 국도 제36호선조치원읍과 종촌리(현 행복도시 위치)에서 국도 제1호선으로부터 청주공주시 방향으로 각각 분기한다. 조치원역충북선 철도의 시점이며 동쪽으로 경부고속도로경부고속선과 인접해 있고, 군의 서남쪽으로 2009년에 개통된 당진대전고속도로가 경유한다. 사통팔달의 편리한 교통망으로 어느 지역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다.[10]

8. 1. 철도

경부선충북선이 교차하는 조치원역이 있다. 그 밖에 전의역, 소이리역이 있다.

8. 2. 도로

연기군은 충청남도의 동북부에 위치하여 동서로 21.6km, 남북으로 34.9km로 뻗어있었다. 경부선 철도와 국도 제1호선이 남북으로 종단하고, 국도 제36호선조치원읍과 종촌리(현 행복도시 위치)에서 국도 제1호선으로부터 청주공주시 방향으로 각각 분기한다. 조치원역충북선 철도의 시점이며 동쪽으로 경부고속도로경부고속선과 인접해 있고, 군의 서남쪽으로 2009년에 개통된 당진대전고속도로가 경유한다. 사통팔달의 편리한 교통망으로 어느 지역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다.[10]

참조

[1]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2] 고시 忠清南道告示第43号 1917-09-20
[3]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4] 법령 朝鮮総督府令第221号 1940-10-23
[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고시 충청남도 고시 제43호 1917-09-20
[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9]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1973-07-01
[10] 웹사이트 연기군 위치 http://www.yeongi.go[...] 2012-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