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료전지는 연료를 소모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 닫힌 계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지와는 달리 전극의 촉매 작용을 통해 연료와 산화제를 반응시켜 전기를 발생시킨다. 수소, 탄화수소, 알코올 등 다양한 연료와 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40~60%의 높은 발전 효율과 폐열 활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 증대, 친환경성, 소음 감소 등의 장점을 가진다. 연료전지 발전 장치는 연료 개질기, 연료전지 본체(스택), 전력 변환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전해질 종류에 따라 알칼리형, 용융탄산염형, 고분자전해질형, 고체산화물형, 직접메탄올형, 직접에탄올형, 인산형, 직접탄소형 연료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연료전지는 화력 발전을 대체하고 분산 전원, 열병합 발전, 무공해 자동차 등에 활용되며, 기술 개발과 보급 확대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소경제 - 수소 연료
수소 연료는 수소를 연소시켜 얻는 에너지 또는 연료를 의미하며, 생산 방식에 따라 이산화 탄소 배출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연소 시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 수소경제 - 그린 수소
태양광, 풍력, 원자력 등 신재생 에너지 및 원자력 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으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산하는 친환경 수소인 그린 수소는 에너지 시스템의 탈탄소화에 기여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들이 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연료전지 - 아연공기전지
아연공기전지는 아연을 음극, 공기 중 산소를 양극으로 사용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저렴한 재료 비용의 장점을 가지지만, 외부 환경에 민감하고 기술적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전지이다. - 연료전지 - 연료전지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와 산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개발 및 보급이 진행 중이지만, 수소 인프라 구축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지속 가능한 발전 - 지속 가능한 에너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는 경제 성장,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하며,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너지 접근을 보장하며,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탄소 포집 기술 개발, 정부 정책 지원을 통해 화석연료와 핵에너지 감축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목표하는 에너지 생산 및 소비 방식이다. - 지속 가능한 발전 - 환경 영향 평가
환경 영향 평가는 개발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하여 객관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기술적 평가이며, 1960년대에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한국에서는 1997년 환경영향평가법 제정을 통해 국가 차원의 제도를 확립했다.
연료전지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전기화학적 에너지 변환 장치 |
작동 방식 | 연료의 화학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 |
연료 | 수소 메탄올 천연가스 |
효율 | 높음 |
작동 원리 | |
주요 구성 요소 | 전극 (양극 및 음극) 전해질 |
작동 과정 | 연료(예: 수소)를 양극에 공급하여 산화시킴 산화 과정에서 전자를 방출하여 전류 생성 음극에서는 산소와 전자가 반응하여 물 생성 (또는 다른 산화물) |
이온 교환 | 전해질을 통해 이온 이동 |
연료 전지의 장점 | |
특징 | 높은 효율 낮은 오염 배출 조용한 작동 |
에너지 효율 | 내연 기관에 비해 높은 효율 |
친환경성 | 물 (또는 다른 산화물)을 배출물로 생성 온실 가스 배출량이 적음 |
소음 | 기존 엔진보다 훨씬 조용함 |
연료 전지의 단점 | |
단점 | 높은 초기 비용 수소 인프라 부족 내구성 문제 |
초기 비용 | 상대적으로 높음 |
인프라 | 연료 공급 및 충전 인프라 부족 |
내구성 | 수명 및 내구성 문제가 있음 |
연료 전지 종류 | |
종류 | 양성자 교환막 연료 전지 (PEMFC)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SOFC) 용융 탄산염 연료 전지 (MCFC) 인산 연료 전지 (PAFC) 알칼리 연료 전지 (AFC)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 (DMFC) |
특징 | 전해질, 작동 온도, 효율 등이 다양함 |
응용 분야 | 전력 생산, 자동차, 휴대용 장치 등 |
응용 분야 | |
응용 분야 | 자동차 버스 기차 항공기 휴대용 전자기기 건물 전력 비상 전원 분산형 발전 시스템 |
연료 | |
연료 종류 | 수소 메탄올 에탄올 천연가스 |
수소 연료 | 가장 일반적인 연료 |
바이오 연료 | 메탄올, 에탄올 등 |
천연가스 연료 | 개질 과정을 거쳐 수소로 변환 |
미래 전망 | |
전망 | 기술 발전 및 비용 절감 수소 경제의 핵심 요소 탈탄소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기여 |
기술 발전 | 효율 향상 및 내구성 개선 |
수소 경제 | 수소 생산, 저장, 운송 및 활용 기술 발전 |
지속 가능한 에너지 | 신재생 에너지 기술과 함께 활용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Empire Clean Cities Chemical Reviews Springer S. Chand & Company |
2. 특징
전지는 닫힌 계에 화학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반면, 연료전지는 연료를 소모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전지의 전극은 반응을 하여 충전/방전 상태에 따라 바뀌지만, 연료전지의 전극은 촉매작용을 하므로 상대적으로 안정하다.
연료전지는 연료를 소모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 닫힌 계에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일반 전지와 다르다. 연료전지의 전극은 촉매 작용을 하여 충전/방전 상태에 따라 변하는 전지의 전극과 달리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연료와 산화제로는 여러 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수소 연료전지는 수소를 연료로, 산소를 산화제로 이용하며, 그 외에 탄화수소, 알코올 등을 연료로, 공기, 염소, 이산화 염소 등을 산화제로 이용할 수 있다.[253]
연료전지의 발전 효율은 40~60% 정도로 대단히 높으며, 반응 과정에서 나오는 배출열을 이용하면 전체 연료의 최대 80%까지 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 게다가 천연가스와 메탄올, LPG(액화석유가스, propane gas), 나프타, 등유, 가스화된 석탄 등의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자원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연료를 태우지 않기 때문에 지구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 질소산화물(NOx)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석탄 화력 발전의 각각 1/38과 1/3 정도이며, 소음도 화력발전 방식에 비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모듈화에 의한 건설 기간 단축, 설비 용량 증감이 가능하고, 화력발전 방식에 비해 훨씬 적은 토지 면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입지 선정이 용이하다. 따라서 도심 지역 또는 건물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연료전지는 기존의 화력 발전을 대체할 수 있으며, 분산 전원용 발전소, 열병합 발전소, 더 나아가서는 무공해 자동차의 전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3. 연료전지 발전 장치
수소를 연료로,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수소 연료전지 외에도, 탄화수소, 알코올 등을 연료로, 공기, 염소, 이산화 염소 등을 산화제로 이용할 수 있다.[253] 연료전지는 발전 효율이 40~60%로 높고, 반응 과정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하면 최대 80%까지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자원 확보가 용이하고, 연료를 태우지 않아 환경 보호에도 기여한다. 질소산화물(NOx)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고 소음이 적으며, 모듈화, 설비 용량 조절, 적은 토지 면적 등의 장점으로 입지 선정이 용이하여 분산 전원용 발전소, 열병합 발전소, 무공해 자동차 전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연료전지 발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NGK(일본 NGK 인스펙션)는 독자 구조의 SOFC를 개발하여 높은 발전 효율과 연료 이용률을 달성했다고 발표했으며,[237] JX에너지는 SOFC형 "에네팜"을 출시했다.[238] 다이하쓰공업은 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공동으로 수화히드라진을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를 개발했다.[239]
3. 1. 연료 개질기(Fuel Reformer)
연료 개질기는 화학적으로 수소를 함유하는 연료(LPG, LNG, 메탄, 석탄 가스, 메탄올 등)로부터 연료 전지가 필요로 하는 수소가 풍부한 가스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양성자 교환막 연료 전지 외에도 디젤, 메탄올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 간접 메탄올 연료 전지), 화학적 수소화물 등 탄화수소 연료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가 있다. 이러한 연료를 사용하면 이산화탄소와 물이 배출된다. 수소를 사용하는 경우, 천연가스의 메탄이 수증기 개질 과정을 통해 수증기와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할 때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이 과정은 연료 전지와 다른 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게차처럼 수소 연료 전지를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3. 2. 연료전지 본체(스택 stack)
연료 개질 장치에서 들어오는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로 직류 전기와 물 및 부산물인 열을 발생시킨다. 오늘날에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등 다양한 종류의 연료전지가 개발되어 있다.
연료 전지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모두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연료 전지는 양극, 전해질, 음극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세 부분의 계면에서는 두 가지 화학 반응이 발생한다. 두 반응의 총 결과는 연료가 소모되고, 물이나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며, 전류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 전류는 전기 장치(일반적으로 부하라고 함)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양극에서 촉매는 연료를 이온화하여 양전하를 띤 이온과 음전하를 띤 전자로 만든다. 전해질은 이온은 통과할 수 있지만 전자는 통과할 수 없도록 특별히 설계된 물질이다. 방출된 전자는 전선을 통해 이동하여 전류를 생성한다.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한다. 음극에 도달하면 이온은 전자와 재결합하고, 두 물질은 일반적으로 산소인 세 번째 화학 물질과 반응하여 물이나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연료 전지의 설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연료 전지는 정격 부하에서 0.6~0.7 V의 전압을 생성한다.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전압이 감소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원하는 양의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연료 전지는 더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해 직렬로 결합될 수 있으며, 더 높은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병렬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연료 전지 스택''이라고 한다. 각 셀의 전류를 높이기 위해 셀 표면적을 늘릴 수도 있다.
3. 3. 전력 변환 장치(Inverter)
연료 전지에서 나오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3. 4. 기타 장치
연료전지 발전 설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료 전지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과 연료 개질 과정에서 나오는 폐열 등을 이용하는 장치가 부수적으로 필요하다.[23]
4. 연료전지의 종류
연료전지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뉜다. 크게 4가지 종류의 연료전지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알칼리형 연료전지(AFC)는 기존 방식이며 향후 활용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 연료전지는 다른 방식과 완전히 달라 아직 불명확한 점이 많다.
colspan="2"| | PEFC 고체고분자형 | PAFC 인산형 | MCFC 용융탄산염형 | SOFC 고체산화물형 | |
---|---|---|---|---|---|
전해질 | 전해질 재료 | 이온교환막 | 인산 |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 안정화 지르코니아 등 |
이동 이온 | H+ | H3PO4 | CO32- | O2- | |
사용 형태 | 막 | 매트릭스에 함침 | 매트릭스에 함침, 또는 페이스트 | 박막, 박판 | |
반응 | 촉매 | 백금계 | 불필요 | ||
연료극 | H2→2H+ + 2e- | 2H2 + 2CO32-→2H2O + 2CO2 + 4e- | H2 + O2-→H2O + 2e- | ||
공기극 | O2 + 4H+ + 4e-→2H2O | O2 + 2CO2 + 4e-→2CO32- | O2 + 4e-→2O2- | ||
운전 온도(℃) | 80-100 | 190-200 | 600-700 | 600-1,000 | |
연료 | 수소 | 수소, 일산화탄소 | |||
발전 효율(%) | 30-40 | 40-45 | 50-65 | 50-70 | |
예상 발전 출력 | 수 W-수십 kW | 100-수백 kW | 250kW-수 MW | 수 kW-수십 MW | |
예상 용도 | 휴대 단말, 가정용 전원, 자동차 | 고정형 발전 | 가정용 전원, 고정형 발전 | ||
개발 상황 | 가정용은 2009년 국내 판매 시작, 자동차용은 2015년 국내 판매 시작 | 하수 처리장, 병원, 오피스 빌딩 등 상시 가동형 비상 전원으로서 다수의 실적이 있다. | 일본 이외의 실적이 있으며, 확대 중 | 가정용은 2011년 국내 판매 시작(에너팜(Enefarm)), 250kW급 고정형(MGT(마이크로 가스터빈)와의 복합형)이 2018년에 판매 시작 |
각 연료전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 100°C 미만의 저온에서 작동하며, 수소 이온을 통과시키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한다. 구조가 간단하고 시동이 빠르며, 자동차 동력원으로 적합하다.
-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액체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하며, 150~200°C에서 작동한다. 일산화탄소에 대한 내성이 있어 고정형 연료전지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탄산 이온()을 사용하며, 용융된 탄산염을 전해질로 사용한다. 600℃~700℃의 고온에서 작동하며, 백금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 일산화탄소 피독 우려가 없다.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산소 또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한다. 700~1000°C의 고온에서 작동하며, 모든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전해질 관련 문제가 없다.
-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메탄올을 직접 연료로 사용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와 구성요소는 같지만, 출력밀도는 낮다.
- 직접에탄올 연료전지(DE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와 메커니즘은 같으나, 연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 직접탄소 연료전지(D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서 파생된 기술로, 고체 형태의 탄소 연료나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기존 방식이며 향후 활용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 바이오 연료전지: 생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에서 에너지를 얻는 연료전지이다. 효소나 미생물 등을 촉매로 사용하며, 혈액 중의 포도당을 이용하는 체내 삽입형 페이스메이커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4. 1.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C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는 제2세대 연료전지로 불리며, 열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며, 모듈화가 가능하고 설치 공간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650°C의 고온에서 작동하므로 인산형 연료전지(PAFC)나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와 같은 저온형 연료전지에 비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장점을 가진다.[254]- 저렴한 촉매: 고온에서 빠른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므로 값비싼 백금 대신 니켈을 촉매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 다양한 연료 사용: 백금 촉매에서는 독성 물질로 작용하는 일산화탄소도 니켈 촉매에서는 수성가스 전환반응을 통해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석탄 가스, 천연가스, 메탄올, 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 높은 발전 효율: 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등을 이용한 bottoming cycle로 양질의 고온 폐열을 회수하면 전체 발전 시스템의 열효율을 약 60%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 내부개질: 높은 작동 온도는 연료전지 스택 내부에서 전기화학반응과 연료개질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는 내부개질 형태를 가능하게 한다. 내부개질형 MCFC는 외부개질형에 비해 열효율이 높고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다.
하지만 MCFC는 고온에서 부식성이 높은 용융탄산염을 사용해야 하므로 내식성 재료 개발에 따른 경제성 문제, 수명 및 신뢰성 확보 등 기술적 검증이 아직 끝나지 않아 본격적인 상업화는 늦어지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며, 국내에서도 한국전력 전력연구원을 중심으로 KIST, 한국중공업 및 여러 대학이 참여하여 자체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254]
MCFC는 탄산 이온()을 사용하며, 용융된 탄산염(탄산리튬, 탄산칼륨 등)을 전해질로 사용한다. 천연가스나 석탄 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동 온도는 600℃~700℃ 정도이다. 백금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 일산화탄소 피독 우려가 없고, 배열 이용에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프리리포밍용 개질기를 시스템 내에 설치한다. 화력발전소 대체 등의 용도가 기대된다.[231]
MCFC는 탄산 이온이 전지 반응에 관여하여 공기극(cathode) 측의 이산화탄소와 산소가 연료극(anode) 측으로 이동, 축적되므로 연료극 측 배기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MCFC로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중국전력과 중부전력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232]
colspan="2"| | PEFC 고체고분자형 | PAFC 인산형 | MCFC 용융탄산염형 | SOFC 고체산화물형 | |
---|---|---|---|---|---|
전해질 | 전해질 재료 | 이온교환막 | 인산 |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 안정화 지르코니아 등 |
이동 이온 | colspan=2| | ||||
사용 형태 | 막 | 매트릭스에 함침 | 매트릭스에 함침, 또는 페이스트 | 박막, 박판 | |
반응 | 촉매 | 백금계 | 불필요 | ||
연료극 | colspan=2| | ||||
공기극 | colspan=2| | ||||
운전 온도(℃) | 80-100 | 190-200 | 600-700 | 600-1,000 | |
연료 | 수소 | 수소, 일산화탄소 | |||
발전 효율(%) | 30-40 | 40-45 | 50-65 | 50-70 | |
예상 발전 출력 | 수 W-수십 kW | 100-수백 kW | 250kW-수 MW | 수 kW-수십 MW | |
예상 용도 | 휴대 단말, 가정용 전원, 자동차 | 고정형 발전 | 가정용 전원, 고정형 발전 | ||
개발 상황 | 가정용은 2009년 국내 판매 시작, 자동차용은 2015년 국내 판매 시작 | 하수 처리장, 병원, 오피스 빌딩 등 상시 가동형 비상 전원으로서 다수의 실적이 있다. | 일본 이외의 실적이 있으며, 확대 중 | 가정용은 2011년 국내 판매 시작(에너팜(Enefarm)), 250kW급 고정형(MGT(마이크로 가스터빈)와의 복합형)이 2018년에 판매 시작 |
4. 2.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PEMFC)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는 수소 이온을 통과시키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며, 다른 연료전지에 비해 전류밀도가 높아 고출력을 낼 수 있다. 100°C 미만의 저온에서 작동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빠른 시동 및 응답 특성과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수소 외에 메탄올이나 천연가스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자동차 동력원으로 적합하다.[255]PEMFC는 무공해 자동차 동력원, 분산형 현지 설치용 발전, 군수용 및 우주선용 전원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1955년 미국의 GE에서 처음 연구가 시작되었고, 1962년에는 1kW급 PEMFC 스택 2개로 구성된 모듈이 제미니 우주선 3호부터 12호에 사용되었다.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연료전지 자동차 등 민간용 응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55]
내연기관 차량을 대체할 무공해 자동차로 배터리 전기자동차가 주목받았으나, 충전 시간, 주행 거리, 배터리 수명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차 상용화는 대규모 발전소 의존으로 인한 오염원 이동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료전지 구동 방식 또는 배터리와 연료전지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각광받고 있다.[255]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대학을 중심으로 단위 전지 기초 연구가 시작되었고, KIST 연료전지연구센터도 1996년부터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원천 기술 개발을 시작하여 2000년 5kW급 스택을 제작,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골프카트에 적용했다.[255]
손원일급 잠수함은 독일 지멘스가 개발한 120kW PEMFC 2개와 배터리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를 탑재했다.
고체고분자(막)형 연료전지(PE(M)FC)는 나피온과 같은 프로톤 교환막을 전해질로 사용하여, 양극에 산화제, 음극에 환원제(연료)를 공급하여 발전한다. 프로톤 교환막 연료전지(PEMFC)라고도 불린다. 80~100℃의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며 기동이 빠르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할 경우 촉매로 고가의 백금을 사용하며, 연료에 일산화탄소가 있으면 백금 촉매가 열화된다. 발전 효율은 30~40%로 연료전지 중에서는 비교적 낮다.
주로 소형 발전 용도로 실용화가 진행 중이며, 촉매로 사용되는 백금 사용량 절감 및 전해질로 사용되는 불소계 이온 교환 수지의 내구성 향상이 보급 과제이다.
실온 작동과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 기기, 가정용 코제너레이션, 연료 전지 자동차 등에 활용되고 있다.
4. 3.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3세대 연료전지로, 산소 또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체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한다. 1937년 Bauer와 Preis에 의해 처음 작동되었다. SOFC는 현존하는 연료전지 중 가장 높은 온도(700~1000°C)에서 작동하며, 모든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전해질 손실, 보충 및 부식 문제가 없다. 또한 고온 작동으로 귀금속 촉매가 필요 없고, 직접 내부 개질을 통한 연료 공급이 용이하다. 폐열을 이용한 열 복합 발전도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21세기 초 상업화를 목표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256]일반적인 SOFC는 산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과 그 양면에 위치한 공기극(양극, cathode) 및 연료극(음극, anode)으로 구성된다. 공기극에서 산소 환원 반응으로 생성된 산소 이온이 전해질을 통해 연료극으로 이동하여,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와 반응해 물을 생성한다. 이때 연료극에서 전자가 생성되고 공기극에서 전자가 소모되므로 두 전극을 연결하여 전류를 발생시킨다.[256]
4. 4.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DM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는 고분자 전해질 막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음극과 양극이 있는 구조이다. 음극에서는 메탄올과 물이 반응하여 수소 이온과 전자를 생성한다. 생성된 수소이온은 전해질 막을 통해 양극 쪽으로 이동하고, 양극에서는 수소 이온과 전자가 산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시킨다. 이때 전자가 외부 회로를 통과하면서 전류를 발생시킨다.[257]실제 사용 시에는 출력을 높이기 위해 단위전지를 여러 개 묶어서 스택을 만드는데, 일반적인 연료전지의 스택에서는 양극판(兩極板, bipolar plate)을 사용하지만 마이크로 연료전지에서는 단극판(單極板, monopolar plate)을 사용한다. DMFC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와 구성요소는 같지만, 메탄올을 개질하여 수소로 만들 필요 없이 직접 연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DMFC는 PEMFC에 비해 출력밀도는 낮지만, 연료 공급이 용이하고 이차 전지에 비해 높은 출력밀도를 갖기 때문에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2차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57]
연료전지 종류 | 전해질 | 정격 출력(W) | 작동 온도(°C) | 셀 효율 | 시스템 효율 | 현황 | 비용 (USD/W) |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 고분자 막(이오노머) | 0.1W – 1kW | 90°C–120°C | 20–30% | 10–25%[59] | 상용화/연구 중 | 125 |
4. 5. 직접에탄올 연료전지 (DEFC)
직접에탄올 연료전지(DEFC)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와 메커니즘은 같으나, 연료는 에탄올을 사용하며, 출력 전압은 0.5V에서 45V 가량이다. 2007년 5월 미국에서 20V에서 45V의 전압을 내는 직접에탄올 연료전지를 개발하였다. 반응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C2H5OH + 3H2O → 2CO2 + 12H+ + 0.5V
생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에서 에너지를 얻는 연료전지이다.[242] 연료를 산화시키는 촉매로 효소나 미생물 등이 사용된다. 효소를 이용한 연료전지에서는 환경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강력한 효소가 필수적이며, 연구 개발에서는 효소의 수명을 늘리는 것이 과제가 되고 있다. 혈액 중의 포도당을 이용하는 체내 삽입형 페이스메이커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243] 미생물을 이용한 연료전지(미생물 연료 전지)에서는 폐수 중 유기물 이용 등의 관점에서 연구되는 경우가 많다.
유사한 연구로 광합성을 이용한 식물의 생체 시스템을 응용한 "태양광 바이오 연료전지"도 있다.
4. 6. 인산형 연료전지 (PAFC)
인산형 연료전지(PAFC)는 액체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이다. 전극은 카본지(carbon paper)로 만들어지며, 백금 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비싸다.액체 인산은 40°C에서 응고되기 때문에 시동이 어렵고, 지속적인 운전에도 제약이 따른다. 그러나 150~200°C의 운전 온도에서는 반응 결과물로 생성되는 물을 증기로 바꾸어 공기나 물 가열에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되는 열과 전력을 합하면 전체 효율은 80%에 이르며, 일산화탄소에 대한 내성이 있어 고정형 연료전지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인산형 연료전지는 전해질로 인산(H3PO4) 수용액을 세퍼레이터에 함침시켜 사용한다. 작동 온도는 약 200℃이며, 발전 효율은 약 40% LHV이다.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와 마찬가지로 백금을 촉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 중에 일산화탄소가 존재하면 백금 촉매가 열화된다. 따라서, 천연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수증기 개질 및 일산화탄소 변성 반응을 통해 일산화탄소 농도가 1% 정도인 수소를 생성하여 전지 본체에 공급해야 한다.[230]
공장, 건물 등의 수요 설비에 설치하는 온사이트형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으로 100/200kW급 패키지가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이미 상용기에서 4만 시간 이상의 운전 수명(스택·개질기 무교체)을 달성하였다.[230]
4. 7. 직접탄소 연료전지 (DCFC)
직접탄소 연료전지(Direct Carbon Fuel Cell, DCFC) 또는 직접석탄 연료전지(Direct Coal Fuel Cell, Coal Fuel Cell, CFC)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에서 파생된 차세대 고온형 연료전지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258][259] 고온형 연료전지는 일반적으로 수소를 연료로 가장 많이 이용하며, 최근에는 메테인, 에테인, 뷰테인, 디젤과 같은 탄화수소계 (hydrocarbon) 연료를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되는 촉매(Ni 기반)는 대부분 연료에 포함된 탄소 증착(침착) (C-C deposition, formation) 문제로 장기 가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일반적으로 DCFC는 다음과 같은 잠재적인 이점을 가진다.
1. 발전 시스템이나 다른 에너지 시스템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이론적으로 높은 열역학적 에너지 전환율 (ηth=ΔG/ΔH=over 100%)을 갖는다. 이는 엔트로피 변환값이 모든 작동 온도 (T>600'C) 구간에서 0에 가까운 양의 값을 가지며, 자유에너지 변환 값이 엔탈피 변환 값보다 항상 크기 때문이다.
2. NOx, SOx와 같은 부생 가스 배출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최종 산물은 매우 순도 높은 CO2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차후 탄소 저장 및 포집(CCS) 기술과 연계가 용이하다.
3. 시스템이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고체 형태의 탄소 연료 (coal, coke, char, graphite) 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도 연료로 이용 가능하다.
4. 연료전지 기술 자체가 매우 잘 정립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화력 발전소 혹은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과 연계하여 부생 가스(syngas, CH4, H2)와 잔존 석탄 찌꺼기 등을 연료로 이용 가능하다.
전체 반응식: C + O2 → CO2.
1. 고체산화물전해질 기반 직접탄소 연료전지
연료극(anode) 반응.
<직접 전기화학적 산화반응>
C + 2O2− → CO2 + 4e−
C + O2− → CO+ 2e−
<간접 전기화학적 산화반응>
CO + O2− → CO2 + 2e−
C + CO2 → 2CO
공기극(cathode) 반응
O2 + 4e− → 2O2−
4. 8. 알칼리형 연료전지 (AFC)
알칼리형 연료전지(AFC)는 기존 방식이며 향후 활용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242]5. 연료전지 기술 개발 역사
최초의 수소 연료전지에 대한 언급은 1838년에 등장했다. 1838년 10월에 작성되었지만 1838년 12월호 ''The London and Edinburgh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of Science''에 게재된 편지에서 웨일스의 물리학자이자 변호사인 윌리엄 로버트 그로브 경(Sir William Grove)은 최초의 조잡한 연료전지 개발에 대해 기술했다. 그는 철판, 구리판, 자기판을 조합하고 황산구리 용액과 묽은 산을 사용했다.[6][7] 1838년 12월에 작성되었지만 1839년 6월에 같은 출판물에 게재된 편지에서 독일의 물리학자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쇤바인은 자신이 발명한 최초의 조잡한 연료전지에 대해 논의했다. 그의 편지에서는 물에 용해된 수소와 산소로부터 생성된 전류에 대해 논의했다.[8] 그로브는 나중에 1842년 같은 저널에 그의 설계를 스케치했다. 그가 만든 연료전지는 오늘날의 인산형 연료전지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했다.[9][10]
1932년, 영국의 엔지니어 프랜시스 토마스 베이컨은 5kW급 정지형 연료전지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11] 미항공우주국은 1960년대 중반부터 발명가의 이름을 따서 베이컨 연료전지로도 알려진 알칼리형 연료전지(AFC)를 사용했다.[11][12]
1955년, 제너럴 일렉트릭(GE) 회사에서 일하는 화학자인 W. 토마스 그럽은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이온 교환막을 전해질로 사용하여 원래 연료전지 설계를 더욱 수정했다. 3년 후 또 다른 GE 화학자 레너드 니드랙은 백금을 막에 증착하는 방법을 고안했는데, 이는 필요한 수소 산화 및 산소 환원 반응의 촉매 역할을 했다. 이것은 "그럽-니드랙 연료전지"로 알려지게 되었다.[13][14] GE는 NASA와 맥도넬 항공과 함께 이 기술을 개발하여 제미니 계획에서 사용하게 되었다. 이것은 연료전지의 최초 상업적 사용이었다.
1959년, 해리 이리그가 이끄는 팀은 앨리스-챌머스를 위해 15kW급 연료전지 트랙터를 제작하여 미국 전역의 주립 박람회에서 시연했다. 이 시스템은 수산화칼륨을 전해질로, 압축 수소와 산소를 반응물로 사용했다. 1959년 후반, 베이컨과 그의 동료들은 용접기를 구동할 수 있는 실용적인 5kW급 장치를 시연했다. 1960년대, 프랫 앤드 위트니는 미국 우주 프로그램에서 전력과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베이컨의 미국 특허를 사용했다.
1991년, 로저 E. 빌링스가 최초의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를 개발했다.[15][16][17]
UTC 파워는 병원, 대학 및 대형 사무실 건물에서 열병합 발전소로 사용하기 위한 대형 정지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조 및 상용화한 최초의 회사였다.[18]
미국 상원은 2015년 10월 8일을 국가 수소 및 연료전지의 날로 인정하는 S. RES 217을 통과시켰다. 이 날짜는 수소의 원자량(1.008)을 인정하여 선택되었다.[19]
2001년에는 소니(Sony), 히타치 제작소(Hitachi), NEC가 잇따라 “휴대기기용 연료전지” 개발을 발표했다.
2002년 12월에는 토요타 FCHV와 혼다 FCX 연료전지 자동차의 시판 1호차가 일본 정부(日本国政府)에 납입되었고,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총리가 시승을 했다. 이들은 총리대신관저(총리 관저)와 경제산업성(경제 산업성)에서 사용되었고, 24시간 풀 메인터넌스(유지 보수) 체제가 포함된 리스 계약이 되었다.
2003년에는 도쿄도 교통국(東京都交通局)에 토요타·히노자동차 제작 연료전지 버스가 납입되어 2004년 말까지 오다이바(お台場) 주변에서 운행되었다. 2005년에는 아이치 엑스포에서 히노 제작 FCHV-BUS가 납입되었다. 또한 2004년에는 닛산 자동차(日産)도 요코하마시(横浜市) 등에 납입했다. 2006년부터는 아이치 엑스포에서 사용된 수소 스테이션(수소 충전소)이 이전된 주부국제공항(中部国際空港)에서도 운행되고 있다. 이러한 공공 버스는 일반인이 탈 수 있는 연료전지차라고 할 수 있다.
주로 1980-1990년대에 연료전지 개발 단계에 따라 인산형 연료전지를 “1세대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2세대 연료전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고체전해질형) 연료전지를 “3세대 연료전지”라고 부르던 시기도 있었지만,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가 개발의 주역이 된 이후 21세기 현재 이러한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14년 말에는 토요타가 수소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미라이(MIRAI)”를 출시했다.
5. 1. 세계
일본의 연료 전지 기술은 상당한 수준으로, 1996년 6월 말 기준으로 약 30MW의 연료 전지(인산형)가 가동되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연구 과제가 많아 호텔, 병원, 오피스 빌딩 등에서 현장 시험과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19]일본은 1981년부터 6년 동안 에너지 절약 기술 개발 계획(Moonlight Project)의 일환으로 연료 전지의 신뢰성 향상과 고효율화 기술 개발을 추진하였다. 인산염형의 경우 1000kW급 발전 설비의 독자 개발과 실증 실험, 200kW급 현지 설치형의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 개발을 추진하였다. 최근에는 New Sunshine 계획에 의해 1996년까지 가압형 5MW, 상압형 1MW급 발전 설비의 실증 실험을 목표로, 9개의 전력 회사와 4개의 가스회사 및 전력중앙연구소로 구성된 연구 조합을 구성하고, NEDO 주관 하에 대규모 실용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의 기술 수준은 화력 대체와 분산 전원용으로 이미 1MW급 실증 플랜트의 운전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도쿄전력은 11MW급 인산염형 연료 전지 발전소를 1991년 완공하여 운전시험을 계속하고 있다.[19]
연료 전지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은 1962년 제미니 계획에 의하여 우주 및 군용의 알칼리형 연료전지 연구를 처음 시작하였다. 그 후 1969년 28개 가스회사가 중심이 되어, 주거용 및 상업용 인산염형 연료 전지 기술 개발을 위한 9년 계획인 TARGET(Team to Advanced Research for Gas Energy Transformation)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이를 UTC(United Technology Corp. 현재 IFC : International Fuel Cell) 사에 개발을 위탁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최근에는 FCG-1 계획에 의해 IFC, WH(Westinghouse)사에서 전기 사업용 MW급 연료 전지 기술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고, 25kW~400kW급의 현지 설치형을 개발하여 200kW급은 이미 상용화되었으며, 제조 단가를 현재의 약 3000USD에서 1500USD~1000USD 이하로 낮추고 수명을 40,000 시간 이상 지속시킬 수 있는 발전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9]
유럽 연료전지 기술 개발은 미국과 일본의 기술 독점에 대한 방어적 개념에서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연료 개질기, 전력 변환 및 System Engineering 관련 기술을 기업이 보유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1986년부터 PEO주도로 미국의 IGT에서 핵심기술을 도입하여 ECN에서 MCFC를 개발하고 있다. 이태리는 1986년부터 ENEA 주도로 VOLTA 계획을 추진하여 PAFC, MCFC, SOFC를 개발하고 있다. 기타 국가는 기초 연구, 주변 기술(개질, 전력 변환)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Siemens, ABB, Haldor Topsoe A/S등이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캐나다는 자동차용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Ballard Power System Inc.에서 연료 전지 버스와 승용차를 개발하고 있다.[19]
5.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연료 전지 기술 개발은 1985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와 한전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5.9kW급 인산염형 연료 전지 본체를 수입하여 국내 최초로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고 성능 실험을 실시한 것이 시초이다.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연료 전지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연구 개발 사업이 활성화되어 인산염형, 용융 탄산염형, 고체 전해질형 및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도 개발하고 있다.[1]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는 1987년부터 6년 동안 과학기술처 국책 연구 사업을 주관하여 연구소, 대학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인산염형 연료 전지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1992년에는 1kW 인산염형 연료 전지 본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이 사업은 1993년부터 시작된 국가 선도 기술 개발 사업으로 연계되어 산·학·연 공동 참여에 의해 실질적인 50kW급 인산염형 연료 전지의 실용화를 위한 요소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2000년까지 200kW급 인산염형 연료 전지 발전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1]
1989년부터는 통상산업부의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사업으로 40kW급 인산염형 연료 전지 발전 시스템 개발 사업을 수행하였다. 연료 전지 본체 개발은 호남정유(현 GS칼텍스), 연료 개질기는 유공(현 SK이노베이션), 전력 변환 장치는 금성산전(현 LS일렉트릭), 계통 연계 기술 개발은 한국전기연구원이 담당하고 한국가스공사가 사업을 주관하는 공동 연구 체제를 구성하였다.[1]
1987년부터 수소자동차 연구에 들어간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이종태 교수와 대학원 및 학부생 등 10여 명으로 이루어진 내연기관연구실팀이 1993년 6월 아시아 타우너 밴을 기반으로 한 국내 최초의 수소자동차인 성균1호를 만들었다.[1]
현재 대한민국의 기술 수준은 전반적으로 기초 연구 단계이나, 연료 전지 본체를 포함한 연료 개질, 전력 변환 장치 등의 소규모 시제품 개발을 목표로 추진 중이며, 최근 10kW급 인산형 발전 시스템과 5kW급 고체 고분자 발전 시스템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의해 개발되었으므로 이러한 발전 추세로 보아 단기간 내 현재의 선진 기술 수준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1]
6. 연료전지 관련 정책 및 규제
연료전지 실용화를 위해서는 소방법, 고압가스안전법, 전력사업법, 건축기준법 (메탄올 연료 사용 시 독극물취급법) 등 관련 법규의 완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이 재검토되었다. 2002년 10월, 미국 교통부는 연료전지의 항공기 반입을 허용하며 규제 완화 방침을 발표했다. 더불어 안전 기준 및 성능 평가에 대한 국제 표준 제정 움직임도 활발하다.
1998년 국제전기표준회의(IEC) 산하 TC105가 발족하여 연료전지 관련 전기 분야 표준화를 논의, 8개의 표준을 제정했다. 전기 분야 외 표준화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담당한다.[225]
6.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넥쏘와 ix35 FCEV 등 수소연료전지 자동차가 상용으로 임대 및 판매되었다. 2019년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1만 8천 대의 수소연료전지차(FCEV)가 임대 또는 판매되었다.[105][106] 현대자동차는 ix35 FCEV를 임대 계약 형태로 제한적으로 출시했으며,[113] 2018년에는 넥쏘를 출시하여 ix35 FCEV를 대체했다. 2024년, 현대자동차는 미국에서 판매된 넥쏘 1,600대 전량을 연료 누출 및 화재 위험 때문에 리콜했는데, 이는 결함 있는 "압력 조절 장치" 때문이었다.[117]7. 연료전지 보급 과제
2023년 현재, 연료전지 보급에는 여전히 기술적 장벽이 남아있다.[197] 연료전지는 주로 창고, 유통센터 및 제조 시설의 물류 처리에 사용된다.[198] 연료전지는 더 넓은 범위의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고 지속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199] 현재 응용 분야는 저소득층 지역 사회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200] 접근성과 같이 포용성을 위한 일부 시도가 이루어지고는 있다.[201]
2012년 연료전지 산업 매출액은 전 세계적으로 1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이 전 세계 연료전지 시스템의 4분의 3 이상을 공급했다.[202] 그러나 2014년 1월 현재, 이 산업의 어떤 상장 기업도 아직 수익을 내지 못했다.[203] 201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14만 개의 연료전지 스택이 출하되었는데, 이는 2007년 1만 1천 개 출하량에서 증가한 수치이며,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전 세계 연료전지 출하량은 연평균 8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204] 다나카 귀금속은 2011년에 생산 시설을 확장했다.[205] 2010년 연료전지 출하량의 약 50%는 고정형 연료전지였으며, 이는 2009년 약 3분의 1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은 연료전지 산업의 4대 주요 생산국이었다.[206] 미국 에너지부 고체상태 에너지 변환 연합은 2011년 1월 기준으로 고정형 연료전지가 킬로와트당 약 724USD에서 775USD의 설치 비용으로 전력을 생산한다고 밝혔다.[207] 2011년 주요 연료전지 공급업체인 블룸에너지는 자사 연료전지가 연료, 유지보수 및 하드웨어 비용을 포함하여 킬로와트시당 9~11센트의 전력을 생산한다고 밝혔다.[208][209]
철도 운영사들은 가선 전철화 설비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디젤 기관차가 제공하는 운행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열차에 수소 연료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열차용 연료전지의 수명이 3년에 불과하고, 수소 탱크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전력 완충 장치로 배터리가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문제에 직면해 왔다.[136][137] 2018년, 최초의 연료전지 동력 열차인 알스톰 코라디아 iLint 다중 운행 열차가 독일의 폭스테후데-브레머뵈르데-브레머하펜-쿡스하펜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138] 스웨덴[139]과 영국[140]에서도 수소 열차가 도입되었다.
업계 단체들은 향후 수요에 충분한 백금 자원이 있다고 예측하고 있으며,[210] 2007년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백금을 금-팔라듐 코팅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는 중독에 덜 취약하여 연료전지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211]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백금 대신 철과 황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연료전지 비용을 낮출 수 있다(일반 연료전지의 백금 비용은 약 1500USD인 반면, 같은 양의 철은 약 1.5달러에 불과하다). 이 개념은 존 인네스 센터와 밀라노 비코카 대학교의 연합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212] PEDOT 음극은 일산화탄소 중독에 면역성이 있다.[213]
2016년, 삼성전자는 "시장 전망이 좋지 않아 연료전지 관련 사업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214]
연료전지를 보급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과제는 비용과 효율의 저하이다. 초기 구입 비용과 사용 기간 동안 발생하는 운영 비용이 모두 높기 때문에 보급이 저해되고 있다. 더욱이 내구성 및 발전 효율 향상, 전해질의 장수명화, 인프라 정비 등의 과제가 지적되어 왔다.[225][246]
또한 수소가 매우 취급하기 어려운 성질이기 때문에 비용이 매우 높아지는 것과, 애초에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수소를 화석연료에서 생산하고 있어 환경 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47] 촉매에 백금과 같은 귀금속을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귀금속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248] 연료전지 시스템 전체의 효율 저하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며, 수소의 제조·수송·압축·발전에 있어서 아직 발전 단계이다.
8. 연료전지 활용 분야
연료전지는 연료를 소모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 기존 전지와 달리 연료가 공급되는 한 계속해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연료전지의 전극은 촉매 작용을 통해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수소, 탄화수소, 알코올 등 다양한 연료와 산소, 공기, 염소 등의 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253] 연료전지는 발전 효율이 40~60%로 높고, 배출열을 활용하면 최대 80%까지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자원 확보에 유리하며, 환경 오염 물질 배출량이 적고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형 연료전지
고정형 연료전지는 상업, 산업, 주택용 주전원 및 예비 전력 생산에 사용된다. 특히 우주선, 원격 기상 관측소, 통신 센터 등 외딴 지역의 전원으로 유용하다.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은 작고 가벼우며, 움직이는 부품이 없어 높은 신뢰성을 자랑한다.[83] 연료전지 전해조 시스템은 외부 저장 장치에 의존하여 대규모 에너지 저장에 적합하다.[84]
고정형 연료전지는 종류에 따라 효율이 다르지만, 대부분 40%~60%의 에너지 효율을 보인다.[45] 폐열을 활용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서는 효율이 85%까지 증가한다.[45] 이는 기존 석탄 발전소보다 훨씬 효율적이며,[85] 대규모 생산 시 에너지 비용을 20~40% 절감할 수 있다.[86] 또한, 기존 발전 방식보다 오염 물질 배출량이 현저히 적다.[87]
미국 워싱턴 주 스튜어트 섬에서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로 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연료전지에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88] 뉴욕 주 헴프스테드에서도 유사한 시스템이 운영 중이다.[89]
연료전지는 매립지나 폐수 처리장의 저품질 가스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메탄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캘리포니아의 2.8MW 연료전지 발전소는 이 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90] 소규모(5kWhr 미만) 주택용 독립형 연료전지도 개발되고 있다.[91]
열병합 발전 (CHP) 연료전지 시스템열병합 발전(CHP) 연료전지 시스템은 가정, 사무실 건물, 공장에 전기와 열을 동시에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시스템은 폐열을 활용하여 온수와 난방을 제공하므로 1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92] 일반적인 가정용 연료전지는 1~3kWel, 4~8kWth의 용량을 가진다.[93][94] 흡수식 냉동기와 연결된 CHP 시스템은 폐열을 냉방에 활용할 수도 있다.[95]
열병합 발전 시스템은 최대 85%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45] 인산형 연료전지(PAFC)는 전 세계 CHP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약 90%의 복합 효율을 제공한다.[98][99]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도 열병합 발전에 사용되며, 약 60%의 전기 에너지 효율을 보인다.[100] 다만, CHP 시스템은 속도 조절이 느리고, 초기 비용이 높으며,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101][102]
2013년, Delta-ee 컨설턴트는 연료전지 소형 열병합 발전이 기존 시스템을 판매량에서 앞질렀다고 발표했다.[78] 일본 ENE FARM 프로젝트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4,213개의 PEMFC와 2,224개의 SOFC가 설치되었다.[104]
수송용 연료전지
2011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100대의 연료전지버스가 운행 중이었다.[132] 연료전지 버스는 디젤 버스나 천연가스 버스보다 연료 효율이 높다.[111][134] 2019년,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는 미국 내 연료전지 버스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있었다.[135]
2020년 12월, 토요타와 히노자동차는 세븐일레븐(일본), 패밀리마트, 로손과 협력하여 경량 수소연료전지 전기 트럭 도입을 검토하기로 합의했다.[141] 2021년, 토요타 미라이 연료전지를 탑재한 히노 듀트로가 도쿄에서 저온 배송 테스트를 시작했다.[142]
2021년, 토요타는 켄터키 자동차 조립 공장에서 대형 트럭 및 중장비 상용차용 수소연료전지 모듈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143] 같은 해, 다임러 트럭의 수소연료전지 트럭이 독일에서 일반 도로 사용 승인을 받았다.[144]
2005년, 영국의 인텔리전트 에너지(IE)는 최초의 수소 연료전지 오토바이 ENV를 생산했다.[153] 2004년, 혼다는 혼다 FC 스택을 사용하는 연료전지 오토바이를 개발했다.[154][155]
스즈키 버그만 스쿠터는 IE 연료전지를 탑재하여 2011년 EU의 전체 차량 형식 승인을 받았다.[160] 스즈키와 IE는 제로 배출 차량 상용화를 위한 합작 투자를 발표했다.[161]
2003년, 세계 최초로 연료 전지로만 구동되는 프로펠러 비행기가 비행에 성공했다.[162] 2007년, 호라이즌 연료 전지 UAV는 소형 UAV 비행 거리 기록을 세웠다.[163] 2008년, 보잉은 연료 전지와 경량 배터리로만 구동되는 유인 비행기 실험 비행 시험을 실시했다.[164]
2009년, 해군 연구소(NRL)의 Ion Tiger는 수소 연료 전지를 사용하여 23시간 17분 동안 비행했다.[165] 연료 전지는 항공기의 보조 동력원으로도 시험 중이다.[166][167] 2016년, 랩터 E1 드론은 연료 전지를 사용하여 10분간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168]
록히드 마틴 스컹크 웍스 스토커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무인 항공기이다.[169]
선박용 연료전지
하이드라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독일 라인강에서 운항되었던 22인승 연료전지 보트이다.[170] 2000년에는 벨기에 겐트에서 열린 전기 보트 컨퍼런스에서 페리 보트로 사용되었다.[171]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제작된 소형 여객선 Zemship은 100kW급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를 사용했다.[172] 독일 함부르크의 FCS 알스터바서(FCS Alsterwasser)는 2008년에 공개된 최초의 연료전지 추진 여객선 중 하나로 100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었다.[173]
2010년에는 12kW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MF 바겐(MF Vågen)이 처음 제작되었다.[172] 2012년에는 혼블로워 하이브리드(Hornblower Hybrid)가 데뷔했다.[172] 2012년부터 운영 중인 브리스톨의 하이브리드 페리 하이드로제네시스(Hydrogenesis)도 있다.[172] SF-BREEZE는 41개의 120kW 연료전지를 사용하는 보트이다.[172] 노르웨이에서는 최초의 액체수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 추진 페리가 2022년 12월 첫 시험 운항을 할 예정이었다.[174][175]
독일과 이탈리아 해군의 212형 잠수함(Type 212 submarine)은 연료전지를 사용하여 수주 동안 잠수 상태를 유지한다.[176] U212A는 독일 해군 조선소인 하울트스베르케 도이치 베르프트(Howaldtswerke Deutsche Werft)가 개발한 잠수함이다.[177] 이 시스템은 30kW~50kW를 제공하는 9개의 PEM 연료전지로 구성되어 있다.[178]
휴대용 연료전지 시스템휴대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무게가 10kg 미만이고 5kW 미만의 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류된다.[179] 소형 연료전지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크며, 휴대용 전원 전지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180]
마이크로 연료전지는 주로 휴대전화와 노트북 시장을 목표로 한다. 연료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180] 그러나, 현재 연료전지 시스템은 배터리 시스템보다 비싸다.[180]
휴대전화의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연료전지는 더 매력적인 옵션이 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를 활용하여 전극 표면적을 늘리는 등 마이크로 연료전지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181]
대규모 작업에 사용되는 연료전지는 레저, 산업, 군 부문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SFC 에너지는 다양한 휴대용 전원 시스템을 위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제조업체이다.[182] Ensol Systems Inc.는 SFC Energy DMFC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원 시스템 통합업체이다.[183] 연료전지는 무게당 높은 발전량을 제공하므로, 안정적인 에너지가 필요한 원격 지역에서 유용하다.[179]
기타 연료전지 활용 분야
- 기지국 또는 기지재의 전력 공급[184][185]
- 비상 전원 시스템[186]
- 통신[187] 장비 및 현대 해군 함정
- 무정전 전원 장치(UPS)
-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 휴대용 기기 충전
- 소형 난방 기구[188]
- 식품 보존[189]
- 음주 측정기 등 센서[190]
수소 충전소

2019년 말 기준, 전 세계적으로 330개의 수소 충전소가 일반에 공개되었다.[191] 2020년 6월 기준, 아시아에는 178개의 수소 충전소가 운영 중이었으며, 이 중 114개는 일본에 있었다.[192] 유럽에는 177개 이상의 충전소가 있었고, 그 중 약 절반은 독일에 있었다.[193][194] 미국에는 44개의 수소 충전소가 있었으며, 대부분 캘리포니아에 위치했다.[195]
수소 충전소 건설 비용은 100만 달러에서 400만 달러 사이이다.[196]
기타 사례
- 유럽의 캠핑카에서 메탄올을 사용한 연료전지가 개발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에탄올 농도를 조정한 제품이 판매되기 시작했다.[249]
-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하는 연료전지도 채택될 전망이다.[249]
- 뉴욕의 프리덤 타워에는 UTC Power사의 400kW 인산형 연료전지(PAFC) 12대가 설치되었다.
- 교토의 한 벤처기업은 물에서 수소를 분리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소형 연료전지를 개발하여 편의점에서 판매할 예정이었다.[250]
- 도시바는 메탄올을 연료로 하는 소형 모델을 한정 판매했다.[251]
- 미국 뉴저지 주에서는 태양광 발전 패널과 수소 연료를 이용한 주택 설비가 가동되고 있다.[252]
9. 용어
연료전지 설명에는 몇 가지 고유한 용어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용어도 있지만, 연료전지에서만 독자적인 의미를 갖는 용어도 있다.
- 셀(cell): 전지 분야에서 "cell"은 양극과 음극, 전해질,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가장 간단한 전지를 의미한다. 반면 "battery"는 조립된 전체 전지를 가리킨다. 연료전지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층하지 않은 단일 연료전지를 "단위셀", "단셀" 또는 간단히 "셀"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 스택(stack): 단판 형태의 단위셀들을 적층한 것이다. 원통형 가로줄무늬 또는 세로줄무늬 단위셀의 경우에는 위아래로 쌓거나 꿰어 늘어놓는다. 어느 경우든 직렬 연결된다. "셀 스택"이라고도 불린다.
- 연료극(fuel electrode): 양극(anode)을 의미하며, 전자를 잃는 쪽의 전극인 양극을 수소 등의 연료를 공급하는 쪽을 의미하는 "연료극"이라고 부른다. 전극 단자의 전압 방향에 따른 '''양극'''이나 '''음극'''이라는 명칭, 전류의 방향에 따른 '''양극(anode)'''이나 '''음극(cathode)'''이라는 명칭에 비해, '''양극'''·'''음극'''이라는 용어는 "전위의 고저 의미"와 "전류의 출입 의미"의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어 혼란스럽다. 따라서 공급 가스를 전극의 이름으로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료극=양극(anode)=(양극)=음극이다. 즉, 일반적인 전지에서 말하는 마이너스극이다.
- 공기극(air electrode): 음극(cathode)을 의미하며, 전자를 얻는 쪽의 전극인 음극을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쪽을 의미하는 "공기극" 또는 "산소극"이라고 부른다. 공기극=음극(cathode)=(음극)=양극이다. 즉, 일반적인 전지에서 말하는 플러스극이다.
- 세퍼레이터(separator): 셀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한쪽 면에 수소를, 반대쪽 면에 산소를 두고 이들을 분리(Separate)하기 때문에 세퍼레이터라고 불린다. 가능한 한 낮은 전기 저항으로 양면 사이에 전류를 흘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얇은 것이 좋지만, 수소와 산소, 냉각수의 유로 홈을 갖추기 위해 두꺼운 것이 많다. 고농도의 수소 이온은 강산성이므로, 흑연이나 내식성이 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225] 전자 전도성이 있고, 이온 전도성이 없고, 강직하며, 기체·액체를 통과시키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리튬이온전지 등에서는 "세퍼레이터"가 이온이 통과하는 부분의 양극과 음극을 정전적으로 절연하는 층을 가리키는 반면, 연료전지에서는 전해질층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참조
[1]
서적
Recent Advancements in Biofuels and Bioenergy Utilization
Springer
2018
[2]
서적
Material Science
https://www.biblio.c[...]
S. Chand & Company
2014
[3]
학술지
What Are Batteries, Fuel Cells, and Supercapacitors?
2004-09-28
[4]
웹사이트
Bronx Hydrogen Fuel Cell Bus
https://www.empirecl[...]
2024-04-13
[5]
웹사이트
How Fuel Cells Work: Polymer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https://auto.howstuf[...]
2011-08-04
[6]
학술지
On a new voltaic combination
https://archive.org/[...]
2013-10-02
[7]
학술지
On Voltaic Series and the Combination of Gases by Platinum
https://zenodo.org/r[...]
1839
[8]
학술지
On the voltaic polarization of certain solid and fluid substances
https://www.biodiver[...]
2013-10-02
[9]
학술지
On a Gaseous Voltaic Battery
https://zenodo.org/r[...]
1842
[10]
서적
Fuel Cell Systems Explained
https://87eb298c-a-6[...]
2021-12
[11]
뉴스
The Brits who bolstered the Moon landings
https://www.bbc.co.u[...]
2019-08-07
[12]
뉴스
Apollo 11 mission 50 years on: The Cambridge scientist who helped put man on the moon
https://www.cambridg[...]
2019-08-07
[13]
웹사이트
Fuel Cell Project: PEM Fuel Cells photo #2
https://americanhist[...]
[14]
웹사이트
Collecting the History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https://americanhist[...]
[15]
웹사이트
Roger Billings Biography
http://www.iahe.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ydrogen Energy
2011-03-08
[16]
웹사이트
Spotlight on Dr. Roger Billings
http://wwpi.com/spot[...]
Computer Technology Review
2015-09-21
[17]
웹사이트
Dr. Roger Billings Historical Website
https://www.rogerebi[...]
2022-05-18
[18]
웹사이트
The PureCell Model 400 – Product Overview
http://www.utcpower.[...]
UTC Power
2011-12-22
[19]
웹사이트
S.Res.217 – A resolution designating October 8, 2015, as "National Hydrogen and Fuel Cell Day"
https://www.congress[...]
2015-09-29
[20]
뉴스
Fuel Cells - EnergyGroove.net
http://www.energygro[...]
2018-02-06
[21]
뉴스
Reliable High Performance Textile Materials
https://textechindus[...]
2018-02-06
[22]
서적
Fuel Cell Systems Explained, Second Edition
SAE International
2003-05-01
[23]
학술지
Effect of resin matrix precursor on the properties of graphite composite bipolar plate for PEM fuel cell
2007
[24]
웹사이트
LEMTA – Our fuel cells
http://perso.ensem.i[...]
Perso.ensem.inpl-nancy.fr
2009-09-21
[25]
학술지
Effects of MEA Fabrication and Ionomer Composition on Fuel Cell Performance of PGM-Free ORR Catalyst
2017-08-04
[26]
간행물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2011-03
[27]
웹사이트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hydrogen energy technologies for implementing the hydrogen economy 2010
[28]
학술지
Development of low cost advanced composite bipolar plate for P.E.M. fuel cell
2008
[29]
학술지
Differences in physico-mechanical behaviors of resol and novolac type phenolic resin based composite bipolar plate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
2007
[30]
간행물
Cu-Modified SrTiO 3 Perovskites Toward Enhanced Water-Gas Shift Catalysis: A Combined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y
https://hal.archives[...]
2021
[31]
웹사이트
Fuel Cell System Cost – 2013
http://www.hydrogen.[...]
DOE Fuel Cell Technologies Office
2013-10-16
[32]
뉴스
Ballard Power Systems: Commercially Viable Fuel Cell Stack Technology Ready by 2010
http://www.fuelcells[...]
2005-03-29
[33]
웹사이트
2008 – Cathodes in fuel cells
http://www.abc.net.a[...]
Abc.net.au
2008-08-02
[34]
학술지
Polyelectrolyte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as Efficient Metal-free Electro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2011
[35]
학술지
Life cycle assessment of PEM FC applications: electric mobility and μ-CHP
2015
[36]
웹사이트
Water_and_Air_Management
http://www.ika.rwth-[...]
Ika.rwth-aachen.de
2009-09-21
[37]
논문
A review of cell-scale multiphase flow modeling, including water management,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2016-10-15
[38]
웹사이트
Progress and Accomplishments in Hydrogen and Fuel Cells
http://www1.eere.ene[...]
2015-05-16
[39]
웹사이트
Collecting the History of Phosphoric Acid Fuel Cells
https://americanhist[...]
[40]
웹사이트
Phosphoric Acid Fuel Cells
http://scopewe.com/p[...]
2013-06-28
[41]
논문
Solid acids as fuel cell electrolytes
https://authors.libr[...]
2001-04-19
[42]
논문
Solid acid proton conductors: from laboratory curiosities to fuel cell electrolytes
https://authors.libr[...]
2006-12-11
[43]
논문
Francis Thomas Bacon. 21 December 1904 – 24 May 1992
1994-02-01
[44]
서적
Nootan ISC Chemistry
Nageen Prakashan
2014
[45]
웹사이트
Types of Fuel Cells
http://www1.eere.ene[...]
Department of Energy EERE website
2011-08-04
[46]
논문
Solid oxide fuel cells (SOFCs): a review of an environmentally clean and efficient source of energy
2002
[47]
웹사이트
Solid Oxide Fuel Cell (SOFC)
http://www.fctec.com[...]
FCTec website
2011-08-04
[48]
웹사이트
Methane Fuel Cell Subgroup
http://artsandscienc[...]
University of Virginia
2012
[49]
논문
Mixed ionic electronic conducting perovskite anode for direct carbon fuel cells
2012
[50]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direct carbon fuel cell technology
2012
[51]
웹사이트
Ceramic Energy: Material Trends in SOFC Systems
http://www.ceramicin[...]
Ceramic Industry
2005-09-01
[52]
웹사이트
The Ceres Cell
http://www.cerespowe[...]
Ceres Power website
2011-08-04
[53]
웹사이트
Molten Carbonate Fuel Cell Technology
http://www.fossil.en[...]
U.S. Department of Energy
2011-08-09
[54]
웹사이트
Molten Carbonate Fuel Cells (MCFC)
http://www.fctec.com[...]
FCTec.com
2011-08-09
[55]
웹사이트
Products
http://www.fuelcelle[...]
FuelCell Energy
2011-08-09
[56]
특허
US patent 8354,195
[57]
웹사이트
Fuel Cell Comparison Chart
http://www1.eere.ene[...]
2013-02-10
[58]
논문
Thermal management strategies for a 1 kWe stack of a high temperatur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2012-12-15
[59]
논문
Emerging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technologies
2014-09-24
[60]
웹사이트
Aqueous Solution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Free Online Dictionary
[61]
웹사이트
Fuel Cell Technologies Program: Glossary
http://www1.eere.ene[...]
Department of Energy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Fuel Cell Technologies Program
2011-07-07
[62]
웹사이트
Matrix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Free Online Dictionary
[63]
서적
High temperature PEM fuel cells - degradation & durability : dissertation submitted to the Faculty of Engineering and Science at Aalborg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https://www.worldcat[...]
Aalborg University, Department of Energy Technology
2012
[64]
웹사이트
Solution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Free Online Dictionary
[65]
웹사이트
Comparison of Fuel Cell Technologies
http://www1.eere.ene[...]
U.S. Department of Energy, Energy Efficiency and Fuel Cell Technologies Program
2011-02
[66]
웹사이트
Benchmarking a 2018 Toyota Camry 2.5-Liter Atkinson Cycle Engine with Cooled-EGR
https://www.epa.gov/[...]
SAE
2019-04-02
[67]
서적
SAE Technical Paper Series
SAE
2021
[68]
웹사이트
New Benchmarks for Steam Turbine Efficiency
https://www.power-en[...]
2002-08
[69]
뉴스
All Units of Nishi-Nagoya Thermal Power Station Now in Operation
https://www.toshiba-[...]
2018-03-30
[70]
뉴스
Chubu Electric Power's Nishi-Nagoya Thermal Power Station Unit 7-1 Recognized by Guinness World Records as World's Most Efficient Combined Cycle Power Plant: Achieved 63.08% Power Generation Efficiency
https://www.chuden.c[...]
Chubu Electric
2018-03-27
[71]
논문
Maximum conversion efficiency of hydrogen fuel cells
https://www.scienced[...]
2018-05-03
[72]
웹사이트
Fuel Cell Efficiency
http://www.worldener[...]
2007-07-17
[73]
웹사이트
Fuel Cells
https://www.energy.g[...]
2015-11-01
[74]
웹사이트
Batteries, Supercapacitors, and Fuel Cells: Scope
https://www.loc.gov/[...]
Science Reference Services
2007-08-20
[75]
웹사이트
Realising the hydrogen economy
https://www.power-te[...]
2019-10-11
[76]
논문
Round Trip Energy Efficiency of NASA Glenn Regenerative Fuel Cell System
Preprint
2006-01-01
[77]
간행물
Getting Back Into Gear: Fuel Cell Development After the Hype
http://www.electroch[...]
2008-01-01
[78]
웹사이트
The fuel cell industry review 2013
http://www.fuelcellt[...]
[79]
간행물
Sustainable transportation based on electric vehicle concepts: a brief overview
https://www.research[...]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0-05-14
[80]
논문
Fuel Cell Vehicles:Status 2007
2007-03-20
[81]
웹사이트
Honda FCX Clarity – Fuel cell comparison
http://automobiles.h[...]
Honda
[82]
웹사이트
Efficiency of Hydrogen PEFC, Diesel-SOFC-Hybrid and Battery Electric Vehicles
http://www.efcf.com/[...]
2003-07-15
[83]
웹사이트
Fuel Cell Basics: Benefits
http://www.fuelcells[...]
Fuel Cells 2000
[84]
웹사이트
Fuel Cell Basics: Applications
http://www.fuelcells[...]
[85]
웹사이트
Energy Sources: Electric Power
https://www.energy.g[...]
[86]
간행물
2008 Fuel Cell Technologies Market Report
http://www1.eere.ene[...]
Department of Energy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2010-06-01
[87]
서적
U.S. Fuel Cell Council Industry Overview 2010
U.S. Fuel Cell Council
2010-01-01
[88]
웹사이트
Stuart Island Energy Initiative
http://www.siei.org/
Siei.org
[89]
웹사이트
Town's Answer to Clean Energy is Blowin' in the Wind: New Wind Turbine Powers Hydrogen Car Fuel Station
http://townofhempste[...]
Town of Hempstead
[90]
웹사이트
World's Largest Carbon Neutral Fuel Cell Power Plant
http://www.onlinetes[...]
2012-10-16
[91]
웹사이트
Upstart Power Announces Investment for Residential Fuel Cell Technology from Clean Tech Leaders
https://www.upstartp[...]
2020-12-16
[92]
웹사이트
Reduction of residential carbon dioxide emissions through the use of small cogeneration fuel cell systems –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s
http://www.globalccs[...]
IEA Greenhouse Gas R&D Programme (IEAGHG)
2008-11-11
[93]
웹사이트
Reduction of residential carbon dioxide emissions through the use of small cogeneration fuel cell systems – Scenario calculations
http://www.globalccs[...]
IEA Greenhouse Gas R&D Programme (IEAGHG)
2008-11-11
[94]
웹사이트
cogen.org – body shop in nassau county
https://cogen.org/
[95]
웹사이트
Fuel Cells and CHP
http://www.fchea.org[...]
[96]
웹사이트
Patent 7,334,406
http://patft.uspto.g[...]
[97]
웹사이트
Geothermal Heat,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http://www.license.u[...]
[98]
웹사이트
Reduction of residential carbon dioxide emissions through the use of small cogeneration fuel cell systems – Commercial sector
http://www.globalccs[...]
IEA Greenhouse Gas R&D Programme (IEAGHG)
2008-11-11
[99]
웹사이트
PureCell Model 400: Overview
http://www.utcpower.[...]
[100]
웹사이트
Comparison of Fuel Cell Technologies
http://www1.eere.ene[...]
Department of Energy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Fuel Cell Technologies Program
2011-02-01
[101]
논문
Residential cogeneration systems: review of the current technology
[102]
보고서
EUSUSTEL work package 3: Fuell cells
2006-01-01
[103]
웹사이트
Reduction of residential carbon dioxide emissions through the use of small cogeneration fuel cell systems
http://www.globalccs[...]
IEA Greenhouse Gas R&D Programme (IEAGHG)
2008-11-11
[104]
웹사이트
HyER " Enfarm, enefield, eneware!
http://www.hyer.eu/2[...]
[105]
웹사이트
Hydrogen Fuel Cell - Designs, reactions, FCEV, Pros and Cons
https://bauaelectric[...]
2021-07-17
[106]
뉴스
Global Market for Hydrogen Fuel Cell Vehicles: Forecasts for Major World Regions To 2032
https://www.prnewswi[...]
2020-05-21
[107]
뉴스
Fuel Cell Electric Vehicles
https://web.archive.[...]
2018-03-26
[108]
웹사이트
National FCEV Learning Demonstration
http://www.nrel.gov/[...]
2011-08-02
[109]
웹사이트
VIII.0 Technology Validation Sub-Program Overview
http://www.hydrogen.[...]
2011-08-02
[110]
웹사이트
Accomplishments and Progress
http://www1.eere.ene[...]
2011-06-24
[111]
논문
Hydrogen Fuel Cells for Road Vehicles
2017-01-10
[112]
웹사이트
Mirai – New and Used Car Reviews, Comparisons and News
http://driving.ca/to[...]
[113]
뉴스
Hyundai ix35 lays claim to world's first production fuel cell vehicle title
http://www.autoblog.[...]
2012-10-07
[114]
뉴스
Hydro Dip: 2017 Honda Clarity Fuel-Cell Leases Cheaper Than Initially Expected
https://web.archive.[...]
2018-03-26
[115]
뉴스
Toyota launches second generation Mirai hydrogen fuel cell vehicle
https://www.h2bullet[...]
2020-12-21
[116]
뉴스
Toyota sued over lack of hydrogen availability for fuel cell cars in California
https://www.hydrogen[...]
Hydrogen Insight
2024-07-15
[117]
뉴스
Hyundai recalls hydrogen fuel cell vehicles due to fire risk and tells owners to park them outdoors
https://www.boston.c[...]
Associated Press, via Boston.com
2024-10-18
[118]
웹사이트
Hell and Hydrogen
https://www.technolo[...]
Technologyreview.com
2007-03
[119]
웹사이트
Here's Why Hydrogen Cars Were Doomed to Fail
https://www.slashgea[...]
2022-04-14
[120]
Youtube
Elon Musk on why Hydrogen fuel cell is dumb (2015)
https://www.youtube.[...]
2015-01-14
[121]
웹사이트
The Great Compression: the Future of the Hydrogen Economy
http://www.luxresear[...]
Lux Research, Inc.
2013-01
[122]
웹사이트
Tesla Trumps Toyota Part II: The Big Problem With Hydrogen Fuel Cell Vehicles
http://thinkprogress[...]
2014-08-13
[123]
웹사이트
Tesla Trumps Toyota: Why Hydrogen Cars Can’t Compete With Pure Electric Cars
http://thinkprogress[...]
2014-08-05
[124]
웹사이트
Should California Reconsider Its Policy Support for Fuel-Cell Vehicles?
http://www.greentech[...]
2014-07-10
[125]
웹사이트
Hydrogen Cars Lost Much of Their Support, But Why?
http://cleantechnica[...]
2015-06-26
[126]
웹사이트
Engineering Explained: 5 Reasons Why Hydrogen Cars Are Stupid
https://www.carthrot[...]
2015-10-08
[127]
웹사이트
This Video Compares BEVs to FCEVs and the More Efficient Is...
https://insideevs.co[...]
2019-09-29
[128]
웹사이트
Hydrogen cars won't overtake electric vehicles because they're hampered by the laws of science
https://uk.news.yaho[...]
2020-06-03
[129]
웹사이트
Why Are 3 Automakers Still Hyping Hydrogen Fuel Cell Vehicles?
https://cleantechnic[...]
2021-10-14
[130]
논문
Hydrogen technology is unlikely to play a major role in sustainable road transport
2022-01-31
[131]
웹사이트
Global warming potential of hydrogen estimated
https://cicero.oslo.[...]
2023-06-15
[132]
웹사이트
National Fuel Cell Bus Program Awards
http://www.calstart.[...]
2011-08-12
[133]
웹사이트
Transportation Fleet Vehicles: Overview
http://www.utcpower.[...]
2011-08-02
[134]
웹사이트
FY 2010 annual progress report: VIII.0 Technology Validation Sub-Program Overview
http://www.hydrogen.[...]
[135]
웹사이트
Fuel Cell Electric Bus Evaluations
https://www.nrel.gov[...]
2019-09-10
[136]
웹사이트
Wasserstoff- und Batterie-Züge: "Die Batterie setzt sich fast immer gegen den Wasserstoff durch
https://www.wiwo.de/[...]
2023-08-17
[137]
웹사이트
Hydrogen will 'almost always' lose out to battery-electric in German rail transport: train manufacturer
https://www.hydrogen[...]
2023-08-22
[138]
웹사이트
Fuel cell powered trains
https://www.alstom.c[...]
[139]
웹사이트
Alstom's Coradia iLint hydrogen train runs for the first time in Sweden
https://www.alstom.c[...]
[140]
웹사이트
Hydrogen trains in U.K.
https://rail.ricardo[...]
[141]
뉴스
Toyota and Hino Launch Initiative with Seven-Eleven, FamilyMart, and Lawson to Introduce Light-Duty Fuel Cell Electric Trucks
https://global.toyot[...]
2021-11-25
[142]
뉴스
ローソンとファミマが燃料電池トラック導入、トヨタいすゞ日野が車両開発
https://monoist.itme[...]
2021-11-25
[143]
뉴스
Toyota to Make Fuel Cell Modules for Hydrogen Big Rigs At Kentucky Plant
https://www.forbes.c[...]
2021-11-25
[144]
보도자료
Daimler Truck's hydrogen-based fuel-cell truck receives license for road use
https://media.daimle[...]
Daimler Truck
2022-04-04
[145]
웹사이트
재생医療専門クリニック リペアセルクリニック 東京院
http://www.fuelcells[...]
2013-08-21
[146]
웹사이트
Fuel cell technologies program overview
http://www1.eere.ene[...]
2013-12-03
[147]
웹사이트
Economic Impact of Fuel Cell Deployment in Forklifts and for Backup Power under the 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http://www1.eere.ene[...]
2013-12-03
[148]
블로그
On Hydrogen Forklifts, Bitcoin Mining and Green Fertilizer
https://cleantechnic[...]
CleanTechnica
2024-01-02
[149]
보고서
Global and Chinese Forklift Industry Report, 2014-2016
http://www.prnewswir[...]
Research and Markets
2014-11-06
[150]
웹사이트
Full Fuel-Cycle Comparison of Forklift Propulsion Systems
http://www1.eere.ene[...]
2013-02-17
[151]
웹사이트
Fuel cell technology
http://www.still.co.[...]
2013-12-03
[152]
웹사이트
Creating Innovative Graphite Solutions for Over 125 Years
http://graftechaet.c[...]
2010-12-06
[153]
웹사이트
The ENV Bike
http://www.envbike.c[...]
Intelligent Energy
2008-03-06
[154]
뉴스
Honda Develops Fuel Cell Scooter Equipped with Honda FC Stack
http://world.honda.c[...]
Honda Motor Co.
2004-08-24
[155]
웹사이트
Honda to offer fuel-cell motorcycle
http://hybrids.autob[...]
autoblog.com
2005-07-21
[156]
Youtube
Hydrogen Fuel Cell electric bike
https://www.youtube.[...]
Youtube.com
2007-12-15
[157]
웹사이트
Horizon fuel cell vehicles: Transportation: Light Mobility
http://www.horizonfu[...]
Horizon Fuel Cell Technologies
2011-07-22
[158]
웹사이트
Asia Pacific Fuel Cell Technologies, Ltd. --fuel cell systems and fuel cell powered vehicles
http://www.apfct.com[...]
2013-01-01
[159]
웹사이트
The fuel cell industry review 2012
http://www.fuelcellt[...]
[160]
웹사이트
Products History 2000s
http://www.globalsuz[...]
Suzuki Motor Corporation
2013-10-24
[161]
뉴스
Suzuki and IE to commercialize FC cars and bikes
http://www.gizmag.co[...]
2012-02-08
[162]
웹사이트
First Fuel Cell Microaircraft
http://www.popularme[...]
2010-01-06
[163]
웹사이트
Horizon Fuel Cell Powers New World Record in UAV Flight
http://www.horizonfu[...]
Horizon Fuel Cell Technologies
2007-11-01
[164]
웹사이트
Boeing Successfully Flies Fuel Cell-Powered Airplane
http://www.boeing.co[...]
Boeing
2008-04-03
[165]
웹사이트
Fuel Cell Powered UAV Completes 23-hour Flight
http://www.alternati[...]
Alternative Energy: News
2009-10-22
[166]
뉴스
Hydrogen fuel cells… on a plane?
https://www.cnbc.com[...]
2016-02-02
[167]
웹사이트
Hydrogen-powered unmanned aircraft completes set of tests
http://www.theengine[...]
2011-06-20
[168]
웹사이트
Drone flight powered by lightweight hydrogen-producing pellets
http://www.gizmag.co[...]
2016-02-08
[169]
웹사이트
Stalker EX Mini-UAV Set for Eight Hour Endurance Missions
https://defense-upda[...]
2011-08-19
[170]
웹사이트
FC Applications
http://www.fuelcell.[...]
[171]
웹사이트
GL- Rules for classification and construction
http://www.gl-group.[...]
2013-12-03
[172]
논문
Advancements and current technologies on hydrogen fuel cell applications for marine vehicles
https://www.scienced[...]
2022-05-26
[173]
논문
First fuel cell passenger ship unveiled in Hamburg
https://www.scienced[...]
2008-10-01
[174]
웹사이트
First Liquid Hydrogen Ferry equipped with Fuel Cells
https://ferrygogo.co[...]
2022-11-28
[175]
웹사이트
Fuel cells installed onboard the world's first liquid hydrogen-powered ferry
https://www.ballard.[...]
2022-11-18
[176]
웹사이트
A Revolution in Submarine Propulsion
https://www.usni.org[...]
2024-12-03
[177]
뉴스
Super-stealth sub powered by fuel cell
https://web.archive.[...]
CNN Tech: Nuclear Weapons
2011-08-02
[178]
웹사이트
U212 / U214 Attack Submarines, Germany
https://web.archive.[...]
2011-08-02
[179]
논문
Economics and market prospects of portable fuel cells
2007-12-01
[180]
논문
Fuel cells for portable applications
2002-04-01
[181]
논문
Carbon Nanostructures in Portable Fuel Cells: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Electrodes for Methanol Oxidation and Oxygen Reduction
2004-01-01
[182]
웹사이트
SFC Energy AG - Clean energy everywhere
https://www.sfc.com/[...]
[183]
웹사이트
ensol systems
https://www.ensolsys[...]
[184]
웹사이트
Ballard fuel cells to power telecom backup power units for motorola
https://web.archive.[...]
2011-08-02
[185]
웹사이트
India telecoms to get fuel cell power
https://web.archive.[...]
[186]
웹사이트
Cottbus receives new local data center
https://web.archive.[...]
[187]
웹사이트
Fuel Cell Applications
https://web.archive.[...]
2011-08-02
[188]
웹사이트
DVGW VP 119 Brennstoffzellen-Gasgeräte bis 70 kW
https://web.archive.[...]
[189]
뉴스
Laine Welch: Fuel cell technology boosts long-distance fish shipping
https://web.archive.[...]
2013-05-19
[190]
웹사이트
Fuel Cell Technology Applied to Alcohol Breath Testing
http://www.intox.com[...]
Intoximeters, Inc.
2013-10-24
[191]
웹사이트
In 2019: 83 New Hydrogen Refuelling Stations Worldwide - FuelCellsWorks
https://fuelcellswor[...]
[192]
웹사이트
In 2019, 83 new hydrogen refuelling stations worldwide/
https://fuelcellswor[...]
2020-06-10
[193]
웹사이트
Filling up with H2
https://h2.live/en
2020-06-10
[194]
웹사이트
About Hydrogen Mobility Europe
https://h2me.eu/abou[...]
2020-03-24
[195]
웹사이트
Alternative Fueling Station Counts by State
http://www.afdc.ener[...]
2020-08-31
[196]
논문
Review of Transportation Hydrogen Infrastructur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https://www.osti.gov[...]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20-10-07
[197]
웹사이트
Fuel Cells: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https://nae.edu/7614[...]
2023-12-02
[198]
웹사이트
Fuel Cell Applications 101: Where Are Fuel Cells Used Today? - Plug Power
https://www.plugpowe[...]
2023-12-02
[199]
논문
Future vision of hydrogen fuel cells: A statistical review and research on applications, socio-economic impacts and forecasting prospects
https://www.scienced[...]
[200]
논문
Energy, Poverty, and Health in Climate Change: A Comprehensive Review of an Emerging Literature
[201]
웹사이트
Hydrogen Fuel Cell: Bus Technologies
https://www.zemo.org[...]
2023-12-02
[202]
뉴스
Navigant: fuel cell industry passed $1-billion revenue mark in 2012
http://www.greencarc[...]
[203]
뉴스
Plug, FuelCell Climb as 'Experiments' Seen as Profitable
https://www.bloomber[...]
2015-12-28
[204]
웹사이트
Fuel cell report highlights continued growth in material handling applications
http://www.mmh.com/a[...]
[205]
웹사이트
Tanaka precious metals constructs dedicated plant for the 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fuel cell catalysts
http://www.fuelcellt[...]
2013-11-16
[206]
웹사이트
Fuel Cell Annual Report 2011
https://web.archive.[...]
2011-08-01
[207]
웹사이트
Solid State Energy Conversion Alliance SECA Cost Reduction
http://www.fossil.en[...]
2011-08-01
[208]
웹사이트
Lower & Lock-In Energy Costs
https://web.archive.[...]
2011-08-03
[209]
웹사이트
Bloom Energy Plays the Subsidy Game Like a Pro
https://web.archive.[...]
2011-08-01
[2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Platinum Group Metals Association-FAQ
https://web.archive.[...]
[211]
뉴스
Gold is key to ending platinum dissolution in fuel cells
http://www.eetimes.c[...]
EETimes.com
2007-01-22
[212]
웹사이트
C&EN: Latest News - Iron-Sulfur Core Assembled
http://pubsapp.acs.o[...]
[213]
웹사이트
Fuel cell improvements raise hopes for clean, cheap energy
https://arstechnica.[...]
2008-08-01
[214]
뉴스
Samsung to drop fuel cell business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16-04-12
[215]
뉴스
Chemical Could Revolutionize Polymer Fuel Cells
http://fcbt.mse.gate[...]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5-08-24
[216]
웹사이트
Cheaper Fuel Cells
https://www.technolo[...]
[217]
웹사이트
Bio-inspired catalyst design could rival platinum
https://www.chemistr[...]
2009-12-03
[218]
웹사이트
Hydrogen Fuel Cell That's As Durable As A Conventional Engine
http://www.acalenerg[...]
[219]
웹사이트
ACAL poster on Fuel Cell costs and efficiency
http://www.acalenerg[...]
[220]
논문
Gas phase recovery of hydrogen sulfide contaminat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2014-03-15
[221]
논문
Kucernak
[222]
뉴스
In-situ O3 rejuvenation of SO2 contaminate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Electrochemistry, single cell and 5-cells stack studies
http://www.efcf.com/[...]
[223]
뉴스
In Situ Hydrogen Generation Fuel Cell for Future Soldier Power Systems – HDIAC
https://hdiac.org/ar[...]
[224]
논문
A shorted membrane electrochemical cell powered by hydrogen to remove CO2 from the air feed of hydroxide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https://www.nature.c[...]
2022-03
[225]
서적
Recent Advancements in Biofuels and Bioenergy Utilization
Springer
2018
[226]
서적
Material Science
http://www.biblio.co[...]
S. Chand & Company
[227]
논문
What Are Batteries, Fuel Cells, and Supercapacitors?
https://doi.org/10.1[...]
2004-09-28
[228]
웹사이트
How Fuel Cells Work: Polymer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http://auto.howstuff[...]
[229]
웹사이트
Types of Fuel Cells
http://www1.eere.ene[...]
[230]
문서
りん酸形燃料電池の代表メーカーは、UTC Power(ユナイ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子会社)や富士電機システムズなど。富士電機システムズ製の100kWPAFCは、2008年に燃料電池としては初めて日本での消防用非常電源の認定を受けた。
[231]
문서
溶融炭酸塩形燃料電池の代表メーカーは、Fuel Cell Energyや石川島播磨重工業などである。
[232]
뉴스
溶融炭酸塩形燃料電池(MCFC)商用型1号機導入 〜廃棄物ガス化装置との組合せ研究を実施〜
http://www.chuden.co[...]
中部電力
2002-09-18
[233]
문서
PEFCの発電効率の最高値は公称37.5%LHVとされる。
[234]
문서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代表メーカーは、ジーメンス・ウェスチングハウスや三菱重工業、日本特殊陶業、TOTO (企業)|TOTO、三菱マテリアル(関西電力)、京セラなどである。
[235]
문서
2005年11月から3ヶ月間、大阪ガスと京セラは、都市ガスを使って集合住宅でのSOFCによる1kW発電装置の実証実験を行なった。これは660Wの給湯出力も得られ、1日の平均発電効率で44.1%(LHV)という成績だった。2007年度からは、経済産業省等の元で新エネルギー財団が、4メーカーからの29台の装置によって都市ガス、LPG、灯油によるSOFCの実証研究を行い、平均の発電効率は35%(LHV)という成績だった。実証研究は、2010年度まで継続され、累計233台が実証研究に供された。三菱マテリアルと関西電力は、都市ガスを燃料にSOFCによる出力10kW級のコジェネレーション発電装置を実験運用しており、発電効率は50%を達成している。新エネルギー・産業技術総合開発機構|NEDOは、4つの企業グループに委託して、SOFCによる出力10kW級から200kW級の発電装置を実験している。内1つは三菱重工業の都市ガスを燃料とするSOFC発電と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発電を組み合わせた複合発電であり、SOFCから生じる未反応の水素と一酸化炭素よりなる副生ガスも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で燃焼させることで無駄を排除した。(出典:燃料電池の基礎マスター ISBN 978-4485610077)
[236]
문서
NaS電池・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は、一般的な分類としては二次電池・蓄電池であるが、再生型燃料電池として扱われる場合もある。
[237]
뉴스
世界最高効率の燃料電池を開発
http://www.ngk.co.jp[...]
日本ガイシ株式会社
2009-06-11
[238]
뉴스
家庭用燃料電池「エネファーム」のラインアップ拡充について
http://www.noe.jx-gr[...]
JXTGエネルギー
[239]
웹사이트
CO2排出ゼロ、省資源、低コストが可能な貴金属を全く使わない燃料電池の基礎技術を新開発
https://www.daihatsu[...]
ダイハツ工業
2007-09-14
[240]
문서
DFCの燃料には、ボロハイドライトも考えられている。
[241]
뉴스
IHI、アンモニアで動く燃料電池 改質器は不要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42]
문서
バイオガス燃料電池と呼ばれる下水消化ガスやメタン発酵ガスを利用した燃料電池とは異なる。
[243]
논문
グルコースを用いた酵素型バイオ燃料電池
http://www.hess.jp/S[...]
水素エネルギー学会
2011
[244]
서적
燃料電池の基礎マスター
電気書院
2009-01-31
[245]
문서
トヨタは、燃料電池車は政府機関を中心にリース契約とし、一般消費者向けにはガソリンエンジンとニッケル水素蓄電池(その後リチウムイオン蓄電池へ移行)を組み合わせたハイブリッド車を販売する方針とした。
[246]
웹사이트
燃料電池車の時代は当分来ない
http://business.nikk[...]
2006-07-20
[247]
웹사이트
次世代エネルギー「水素」、そもそもどうやってつくる?
https://www.enecho.m[...]
2022-09-23
[248]
논문
化学屋の見た環境騒動
東京大学生産技術研究所
2007
[249]
웹사이트
EFOY Fuel Cell now available ex works on all Dethleffs motor homes
http://www.efoy.de/i[...]
2007-07-16
[250]
뉴스
新電池元年③ コンビニで燃料電池
http://www.tv-tokyo.[...]
2009-06-04
[251]
웹사이트
東芝のプレスリリース。
http://www.toshiba.c[...]
[252]
웹사이트
実証中
https://www.swagelok[...]
불명
2019-10-16
[253]
논문
1966
[254]
웹인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
http://fuelcell.kist[...]
2009-07-20
[255]
웹인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
http://fuelcell.kist[...]
2009-07-20
[256]
웹인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
http://fuelcell.kist[...]
2009-07-20
[257]
웹인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연구센터
http://fuelcell.kist[...]
2009-07-20
[258]
논문
Durable power performance of a direct ash-free coal fuel cell
https://dx.doi.org/1[...]
2014
[259]
논문
Enhanced anode interface for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solid fuel in direct carbon fuel cells: The role of liquid Sn in mixed state
http://www.sciencedi[...]
2012
[260]
논문
Durable power performance of a direct ash-free coal fuel cell
https://dx.doi.org/1[...]
2014
[261]
논문
Enhanced anode interface for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solid fuel in direct carbon fuel cells: The role of liquid Sn in mixed state
http://www.sciencedi[...]
2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SKS PE, 美블룸에너지서 두 배 차익
다스코, 연료전지 발전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장
[단독] SKS PE, 美 블룸에너지 주가 급등에 수익 실현
한국서부발전 서인천발전본부, 수도권·발전사 ‘최장기 녹색기업’
한국동서발전, ‘국제 청정수소 기술교류회’ 개최…“실증 사례 공유”
이차전지 폭발·수소 누출 막는다... 초음파로 만든 초고감도 수소 센서 개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같은 온도 유지…에너지자립 온실을 가다
HD현대, 탄소 저감형 컨테이너선 개발 시동
"中 장악한 ESS 뚫어라"… 전력 인프라 경쟁 가열
원전, 석탄 제치고 다시 ‘최대 발전원’…재생에너지는 10% 돌파
한국남부발전, 함안 사내산단 연료전지 준공
경기 용인 연료전지 연구소 폭발사고…5명 경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