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포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포국은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번왕국 통치자, 고위 행정관, 군 장성 등에게 부여된 예포의 등급을 의미한다. 예포는 영국과의 관계, 정치적 권력 등을 반영했으며, 21발이 최고 등급이었다. 1947년 인도 독립 당시 118개의 예포국이 존재했으며, 이들은 예포의 수에 따라 다양한 칭호를 사용할 수 있었다. 예포는 인도 제국 내 위계질서를 나타내는 중요한 의전이었으며, 독립 이후 파키스탄과 인도로 분할되면서 그 의미를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번왕국 - 마이소르 왕국
마이소르 왕국은 1610년 라자 워디야 1세가 건국한 남인도의 왕국으로, 여러 왕조와의 경쟁 속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었으나, 하이데르 알리와 티푸 술탄 시대에 영국 동인도 회사와 전쟁을 치른 후 영국 인도 제국 내 토후국이 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 독특한 문화, 군사적·행정적 개혁으로 인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인도 번왕국 - 마니푸르 왕국
마니푸르 왕국은 인도 북동부에 위치했던 역사적인 왕국으로, 강레이팍 왕국에서 시작하여 여러 왕조를 거치며 발전했으나, 영국의 보호령과 제후국을 거쳐 인도에 합병되어 주 지위를 획득하였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예포국 |
---|
2. 인도 제국의 예포 제도
인도 제국의 예포 제도는 영국 왕실이 번왕국 통치자들에게 부여한 특권이자, 동시에 그들의 서열을 나타내는 상징이었다. 인도 수도에 번왕국의 통치자가 도착하면, 여러 발의 포격으로 환영하는 예포를 쏘았다. 예포의 숫자는 시대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영국이 특정 통치자에게 부여하는 명예의 정도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했다.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영국과의 관계 및/또는 그가 인식하는 정치적 권력의 정도를 반영했으며, 21발의 예포가 최고로 여겨졌다.
2. 1. 예포의 기원과 의미
예포는 원래 군사적 의례에서 유래했지만, 점차 국가 간의 우호 관계나 특정 인물의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변화했다.[1] 인도 수도에 번왕국의 통치자가 도착하면 여러 발의 포격으로 환영받았는데, 이를 예포라고 불렀다.[1] 예포의 숫자는 시대에 따라, 그리고 영국이 특정 통치자에게 부여하고자 하는 명예의 정도에 따라 달라졌다.[1]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영국과의 관계 및/또는 그가 인식하는 정치적 권력의 정도를 반영했으며, 21발의 예포가 최고로 여겨졌다.[1] 영국의 국왕(또는 여왕)은 101발, 인도 부왕에게는 31발의 예포가 사용되었다.[1]1911년 12월 델리에서 열린 조지 5세 국왕의 대관식을 기념하는 두르바르에서는 거의 하루 종일 포격이 이루어졌다.[1] 당시 21발의 예포를 받은 번왕국은 세 곳이었다.[1]
번왕국 | 통치자 |
---|---|
바로우다 번왕국 | 가이크와드 마하라자 |
마이소르 | 마하라자 |
하이데라바드 니잠 | 니잠 |
1917년, 과리얼의 신디아 마하라자는 영구적이고 세습적인 21발의 예포로 승격되었고, 1921년에는 잠무 카슈미르 마하라자에게도 동일한 권한이 부여되었다.[1]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들 군인들의 훌륭한 공헌에 대한 예우였다.[1]
보팔의 나바브(베굼), 인도르의 홀카르 마하라자, 그리고 우다이푸르의 마라나는 자체 영토 내에서 21발, 인도 나머지 지역에서는 19발의 예포를 받았다.[1]
니잠, 마하라자, 왕자 등은 모두 의전에 깊이 몰두했으며, 예포는 엄격히 준수되는 의전 중 하나였다.[1]
2. 2. 예포의 등급과 분류
영국령 인도 제국 시기, 인도 번왕국의 통치자들은 영국과의 관계와 정치적 영향력에 따라 다양한 등급의 예포를 받았다. 21발의 예포가 최고 등급으로 여겨졌으며, 영국 국왕(인도 황제)에게는 101발, 인도 부왕에게는 31발의 예포가 부여되었다.[2]1947년 인도 독립 당시, 565개의 번왕국 중 118개가 "예포국"으로 분류되었다. 예포국의 등급은 다음과 같다.
예포 수 | 번왕국 |
---|---|
21발 |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괄리오르, 마이소르, 바로우다, 잠무 카슈미르[2] |
19발 | 보팔 번왕국, 인두어, 우다이푸르 번왕국, 콜하푸르 번왕국, 트라방코르 번왕국, 칼라트 번왕국 |
17발 ~ 11발 | 77개 번왕국 |
9발 | 30개 번왕국 |
11발 이상의 예포를 받는 통치자들은 "각하(Highness)" 칭호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1918년 하이데라바드 니잠은 "존귀하신 각하(Exalted Highness)"라는 특별 칭호를 받았다. 1948년에는 9발 예포국 통치자 모두에게 "각하" 칭호가 부여되었다.
예포는 세습적, 개인적, 지역적 기준으로 부여될 수 있었다. 세습적 예포는 통치 가문에 영구적으로 부여되는 것이었고, 개인적 예포는 통치자 개인에게, 지역적 예포는 해당 번왕국 내에서만 유효했다.
종교 지도자인 아가 칸은 개인적으로 11발의 예포를 받았다. 예포국이 아닌 번왕국의 통치자나 왕족도 개인 예포나 "각하" 칭호를 받는 경우가 있었다.
2. 3. 예포와 칭호
인도 수도에 번왕국의 통치자가 도착하면 여러 발의 포격으로 환영받았다. 이러한 "예포"의 숫자는 시대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영국이 특정 통치자에게 부여하고자 하는 명예의 정도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했다.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영국과의 관계 및/또는 그가 인식하는 정치적 권력의 정도를 반영했으며, 21발의 예포가 최고로 여겨졌다. 1911년 12월 델리에서 열린 대관식 두르바르를 개최할 때 예포 숫자가 특히 중요해졌다. 두르바르는 조지 5세 국왕의 대관식을 기념하기 위해 열렸으며, 거의 하루 종일 포격이 이루어졌다. 당시 21발의 예포를 받은 번왕국은 세 곳이었다.- 바로우다 번왕국의 가이크와드 마하라자
- 마이소르 마하라자
- 하이데라바드 니잠
1917년, 과리얼의 신디아 마하라자는 영구적이고 세습적인 21발의 예포로 승격되었으며, 1921년에는 잠무 카슈미르 마하라자에게도 동일한 권한이 부여되었다. 두 사람 모두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군인들의 훌륭한 공헌으로 인해 증가된 예우를 받았다.
이 외에 다른 번왕국은 21발의 예포를 받지 못했다. 그러나 가장 저명한 세 명의 왕자는 자체 영토 내에서 21발, 인도 나머지 지역에서는 19발의 예포를 받았다. 그들은 보팔의 나바브(베굼), 인도르의 홀카르 마하라자, 그리고 우다이푸르의 마라나였다.
니잠, 마하라자, 왕자 등은 모두 의전에 깊이 몰두했으며, 신념의 문제로 이를 준수했다. 그들은 의전에서 벗어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예포는 엄격히 준수되는 그러한 의전 중 하나였다.
3. 주요 예포국과 통치자들
인도 수도에 번왕국 통치자가 도착하면 예포라고 불리는 포격으로 환영했다. 예포 숫자는 시대와 영국의 명예 부여 정도에 따라 달랐으며, 통치자의 영국과의 관계나 정치적 권력을 반영했다. 21발의 예포가 최고 등급이었다.
1911년 델리에서 열린 조지 5세 국왕 대관식 기념 두르바르에서 예포 숫자가 중요해졌다. 당시 21발 예포를 받은 번왕국은 바로우다 번왕국의 가이크와드 마하라자, 마이소르 마하라자, 하이데라바드 니잠 세 곳이었다. 1917년에는 과리얼의 신디아 마하라자가, 1921년에는 잠무 카슈미르 마하라자가 21발 예포를 받게 되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공헌 덕분이었다. [33]
이 외에도 자체 영토 내에서는 21발, 인도 나머지 지역에서는 19발의 예포를 받은 번왕국으로 보팔의 나바브(베굼), 인도르의 홀카르 마하라자, 우다이푸르의 마라나가 있었다.
니잠, 마하라자, 왕자 등은 모두 의전에 깊이 몰두했으며, 예포는 엄격히 준수되는 의전 중 하나였다.
3. 1. 21발 예포국
인도 수도에 번왕국의 통치자가 도착하면 여러 발의 포격으로 환영받았는데, 이를 예포라고 한다. 예포의 숫자는 시대에 따라, 그리고 영국이 특정 통치자에게 부여하고자 하는 명예의 정도에 따라 변경되었다.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영국과의 관계 및/또는 그가 인식하는 정치적 권력의 정도를 반영했으며, 21발의 예포가 최고로 여겨졌다.[33]1911년 12월 델리에서 열린 조지 5세 국왕의 대관식을 기념하기 위한 두르바르가 개최되었을 때, 예포 숫자가 특히 중요해졌다. 당시 21발의 예포를 받은 번왕국은 세 곳이었다.
- 바로우다 번왕국의 가이크와드 마하라자
- 마이소르 마하라자
- 하이데라바드 니잠
1917년, 과리얼의 신디아 마하라자는 영구적이고 세습적인 21발의 예포로 승격되었으며, 1921년에는 잠무 카슈미르 마하라자에게도 동일한 권한이 부여되었다. 두 사람 모두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군인들의 훌륭한 공헌으로 인해 증가된 예우를 받았다.[33]
1947년 독립 당시, 인도 연방에 가입한 112개 자치국의 예포는 다음과 같았다.
일련번호 | 세습 예포 발사수 | 통치자 칭호 | 자치국 명칭 | 통치자 가문 | 현재 위치 |
---|---|---|---|---|---|
1. | 21 | 바소다의 마하라자 가에크와드 | 바소다 | 마라타, 가에크와드 | 구자라트 |
2. | 21 | 마하라자 | 마이소르 | 칸나다, 와디야르 | 카르나타카 |
3. | 21 | 마하라자 신디아 | 괄리오르 | 마라타, 신디아 | 마디아프라데시 |
4. | 21 | 마하라자 | 잠무 카슈미르 | 라지푸트, 도그라 | 잠무 카슈미르 |
5. | 21 | 니잠 | 하이데라바드 | 튀르크, 아사프 자히 | 텔랑가나, 카르나타카, 마하라슈트라 |
4. 인도 제국 내 예포 (왕족, 행정관, 장교)
인도 제국 내에서는 왕족, 고위 행정관, 군 장성에게도 예포가 부여되었다. 인도 수도에 번왕국의 통치자가 도착하면 여러 발의 포격으로 환영했다. 예포 숫자는 시대에 따라, 그리고 영국이 부여하는 명예의 정도에 따라 변경되었다.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 숫자는 일반적으로 영국과의 관계 또는 정치적 권력을 반영했으며, 21발이 최고였다. 영국 국왕(인도 황제)은 101발, 인도 부왕은 31발의 예포를 받았다.
1911년 델리 대관식 두르바르에서는 예포 숫자가 특히 중요했는데, 조지 5세 국왕 대관식을 기념하여 거의 하루 종일 포격이 이루어졌다. 당시 21발의 예포를 받은 번왕국은 세 곳이었다.
- 바로우다 번왕국의 가이크와드 마하라자
- 마이소르 마하라자
- 하이데라바드 니잠
1917년 과리얼의 신디아 마하라자는 영구적이고 세습적인 21발의 예포로 승격되었고, 1921년에는 잠무 카슈미르 마하라자에게도 같은 권한이 부여되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군인들의 공헌에 대한 예우였다.
보팔의 나바브(베굼), 인도르의 홀카르 마하라자, 우다이푸르의 마라나는 자체 영토 내에서 21발, 인도 나머지 지역에서는 19발의 예포를 받았다.
니잠, 마하라자, 왕자 등은 의전에 깊이 몰두했으며, 예포는 엄격히 준수되는 의전 중 하나였다.
4. 1. 왕실 및 고위 관료
포의 수 | 대상 |
---|---|
101 (대관식 예포) | 인도 황제[3] |
31 (왕실 예포)[4] | |
21 | |
19 | |
17[12] | |
15 | |
13 | |
11 | |
9 |
4. 2. 행정관 및 군 장성
5. 인도와 파키스탄의 예포국
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분리 독립하면서 각 번왕국은 두 국가 중 하나에 편입되어야 했다.
1947년 인도 독립 및 분할 당시, 약 565개의 번왕국 중 118개(인도 113개, 파키스탄 4개, 시킴 포함)가 "예포국"으로 분류되었다.
- 다섯 개의 주요 번왕국 통치자들 -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괄리오르 번왕국, 마이소르, 바소다, 잠무 카슈미르 - 은 21발의 예포를 받았다.[2]
- 다른 여섯 개 번왕국 통치자들 - 보팔, 인도르, 우다이푸르, 콜하푸르, 트라방코르, 칼라트 - 는 19발의 예포를 받았다.
- 77개 번왕국은 17발에서 11발까지의 예포를 받을 자격이 있었고, 추가 예포는 지역 또는 개인적 기준으로 부여되었다.
- 나머지 30개 번왕국은 9발의 예포를 받았다.
- 11발 이상의 예포를 받는 88명의 통치자들은 예포가 세습적이든 지역적이든 관계없이 "각하(Highness)"라는 칭호를 사용할 자격이 있었다.
- 1948년에는 9발 예포국 통치자 모두에게 "각하" 칭호가 부여되었다.
1947년 8월부터 1948년 3월까지, 서부 인도에 위치한 13개의 이슬람 번왕국은 병합 문서에 따라 영국령 인도에서 인도 독립법 1947에 의해 창설된 새로운 파키스탄 자치령에 합병되어 파키스탄 번왕국이 되었다.
5. 1. 인도에 편입된 예포국
1947년 독립 당시 인도 연방에 가입한 112개 자치국의 예포는 다음과 같았다.일련번호 | 세습 예포 발사수 | 개인/지역 예포 발사수 | 통치자 칭호 | 자치국 명칭 | 통치자 가문 | 현재 위치 | ||||||||||||||||||||||||||||||||||||||||||||||||||||||||||||||||||||||||||||||||||||||||||||||||||||||||||||||||||||||||||||
---|---|---|---|---|---|---|---|---|---|---|---|---|---|---|---|---|---|---|---|---|---|---|---|---|---|---|---|---|---|---|---|---|---|---|---|---|---|---|---|---|---|---|---|---|---|---|---|---|---|---|---|---|---|---|---|---|---|---|---|---|---|---|---|---|---|---|---|---|---|---|---|---|---|---|---|---|---|---|---|---|---|---|---|---|---|---|---|---|---|---|---|---|---|---|---|---|---|---|---|---|---|---|---|---|---|---|---|---|---|---|---|---|---|---|---|---|---|---|---|---|---|---|---|---|---|---|---|---|---|---|
1 | 21 | – | 바소다의 마하라자 가에크와드 | 바소다 | 마라타, 가에크와드 | 구자라트 | ||||||||||||||||||||||||||||||||||||||||||||||||||||||||||||||||||||||||||||||||||||||||||||||||||||||||||||||||||||||||||||
2 | 21 | – | 마하라자 | 마이소르 | 칸나다, 와디야르 | 카르나타카 | ||||||||||||||||||||||||||||||||||||||||||||||||||||||||||||||||||||||||||||||||||||||||||||||||||||||||||||||||||||||||||||
3 | 21 | – | 마하라자 신디아 | 괄리오르 | 마라타, 신디아 | 마디아프라데시 | ||||||||||||||||||||||||||||||||||||||||||||||||||||||||||||||||||||||||||||||||||||||||||||||||||||||||||||||||||||||||||||
4 | 21 | – | 마하라자 | 잠무 카슈미르 | 라지푸트, 도그라 | 잠무 카슈미르 | ||||||||||||||||||||||||||||||||||||||||||||||||||||||||||||||||||||||||||||||||||||||||||||||||||||||||||||||||||||||||||||
5 | 21 | – | 니잠 | 하이데라바드 | 튀르크, 아사프 자히 | 텔랑가나, 카르나타카, 마하라슈트라 | ||||||||||||||||||||||||||||||||||||||||||||||||||||||||||||||||||||||||||||||||||||||||||||||||||||||||||||||||||||||||||||
6 | 19 | 21 (지역) | 나바브 | 보팔 | 파슈툰, 아프간 | 마디아프라데시 | ||||||||||||||||||||||||||||||||||||||||||||||||||||||||||||||||||||||||||||||||||||||||||||||||||||||||||||||||||||||||||||
7 | 19 | 21 (지역) | 마하라자 홀카르 | 인도르 | 마라타, 홀카르 | 마디아프라데시 | ||||||||||||||||||||||||||||||||||||||||||||||||||||||||||||||||||||||||||||||||||||||||||||||||||||||||||||||||||||||||||||
8 | 19 | 21 (지역) | 마라나 | 우다이푸르 (메와르) | 라지푸트, 시소디아 | 라자스탄 | ||||||||||||||||||||||||||||||||||||||||||||||||||||||||||||||||||||||||||||||||||||||||||||||||||||||||||||||||||||||||||||
9 | 19 | 21 (지역) | 마하라자 차트라파티 | 콜라푸르 | 마라타, 봉슬레 | 마하라슈트라 | ||||||||||||||||||||||||||||||||||||||||||||||||||||||||||||||||||||||||||||||||||||||||||||||||||||||||||||||||||||||||||||
10 | 19 | 21 (지역) | 마하라자 | 트라방코르 | 나이르, 사만탄 나이르[33] | 케랄라 | ||||||||||||||||||||||||||||||||||||||||||||||||||||||||||||||||||||||||||||||||||||||||||||||||||||||||||||||||||||||||||||
11 | 17 | 마하라오 | 코타 | 라지푸트, Chauhan, 하다 | 라자스탄 | |||||||||||||||||||||||||||||||||||||||||||||||||||||||||||||||||||||||||||||||||||||||||||||||||||||||||||||||||||||||||||||
12 | 17 | 19 (지역) | 마하라자 | 바라트푸르 | 자트, 신신와르 | 라자스탄 | ||||||||||||||||||||||||||||||||||||||||||||||||||||||||||||||||||||||||||||||||||||||||||||||||||||||||||||||||||||||||||||
13 | 17 | 19 (지역) | 마하라자 | 비카네르 | 라지푸트, 라토르 | 라자스탄 | ||||||||||||||||||||||||||||||||||||||||||||||||||||||||||||||||||||||||||||||||||||||||||||||||||||||||||||||||||||||||||||
14 | 17 | 19 (지역) | 마하라오 | 쿠치 | 라지푸트, 자데자 | 구자라트 | ||||||||||||||||||||||||||||||||||||||||||||||||||||||||||||||||||||||||||||||||||||||||||||||||||||||||||||||||||||||||||||
15 | 17 | 19 (지역) | 마하라자 스와이 | 자이푸르 | 라지푸트, 카츠와하 | 라자스탄 | ||||||||||||||||||||||||||||||||||||||||||||||||||||||||||||||||||||||||||||||||||||||||||||||||||||||||||||||||||||||||||||
16 | 17 | 19 (지역) | 마하라자 | 조드푸르 | 라지푸트, 라토르 | 라자스탄 | ||||||||||||||||||||||||||||||||||||||||||||||||||||||||||||||||||||||||||||||||||||||||||||||||||||||||||||||||||||||||||||
17 | 17 | 마하라자 | 푸두코타이 | 톤다이만 | 타밀나두 | |||||||||||||||||||||||||||||||||||||||||||||||||||||||||||||||||||||||||||||||||||||||||||||||||||||||||||||||||||||||||||||
18 | 17 | 19 (지역) | 마하라자 | 파티알라 | 자트 시크교도, 시두, 풀키안 미슬 | 펀자브 | ||||||||||||||||||||||||||||||||||||||||||||||||||||||||||||||||||||||||||||||||||||||||||||||||||||||||||||||||||||||||||||
19 | 17 | – | 분디의 마하라오 라자 | 분디 | 라지푸트, Chauhan, 하다 | 라자스탄 | ||||||||||||||||||||||||||||||||||||||||||||||||||||||||||||||||||||||||||||||||||||||||||||||||||||||||||||||||||||||||||||
20 | 17 | – | 마하라자 | 코친 | 크샤트리야, 찬드라밤샤 | 케랄라 | ||||||||||||||||||||||||||||||||||||||||||||||||||||||||||||||||||||||||||||||||||||||||||||||||||||||||||||||||||||||||||||
21 | 17 | – | 마하라자 | 카라울리 | 라지푸트 자다운 | 라자스탄 | ||||||||||||||||||||||||||||||||||||||||||||||||||||||||||||||||||||||||||||||||||||||||||||||||||||||||||||||||||||||||||||
22 | 17 | – | 나바브 | 톤크 | 파탄 | 라자스탄 | ||||||||||||||||||||||||||||||||||||||||||||||||||||||||||||||||||||||||||||||||||||||||||||||||||||||||||||||||||||||||||||
23 | 15 | 17 (개인) | 돌푸르의 마하라자 라나 | 돌푸르 | 자트 밤라올리아 | 라자스탄 | ||||||||||||||||||||||||||||||||||||||||||||||||||||||||||||||||||||||||||||||||||||||||||||||||||||||||||||||||||||||||||||
24 | 15 | 17 (지역) | 마하라자 | 알와르 | 라지푸트, 카츠와하 | 라자스탄 | ||||||||||||||||||||||||||||||||||||||||||||||||||||||||||||||||||||||||||||||||||||||||||||||||||||||||||||||||||||||||||||
25 | 15 | - | 마하라자 | 레와 | 라지푸트 바겔 | 마디아프라데시 | ||||||||||||||||||||||||||||||||||||||||||||||||||||||||||||||||||||||||||||||||||||||||||||||||||||||||||||||||||||||||||||
26 | 15 | – | 반스와라의 마하라왈 | 반스와라 | 라지푸트, 시소디아 | 라자스탄 | ||||||||||||||||||||||||||||||||||||||||||||||||||||||||||||||||||||||||||||||||||||||||||||||||||||||||||||||||||||||||||||
27 | 15 | – | 마하라자 | 다티아 | 라지푸트, 분델라 | 마디아프라데시 | ||||||||||||||||||||||||||||||||||||||||||||||||||||||||||||||||||||||||||||||||||||||||||||||||||||||||||||||||||||||||||||
28 | 15 | – | 마하라자 | 데와스 시니어 | 마라타, 푸아르 | 마디아프라데시 | ||||||||||||||||||||||||||||||||||||||||||||||||||||||||||||||||||||||||||||||||||||||||||||||||||||||||||||||||||||||||||||
29 | 15 | – | 마하라자 | 데와스 주니어 | 마라타, 푸아르 | 마디아프라데시 | ||||||||||||||||||||||||||||||||||||||||||||||||||||||||||||||||||||||||||||||||||||||||||||||||||||||||||||||||||||||||||||
30 | 15 | – | 마하라자 | 다르 | 마라타, 푸아르 | 마디아프라데시 | ||||||||||||||||||||||||||||||||||||||||||||||||||||||||||||||||||||||||||||||||||||||||||||||||||||||||||||||||||||||||||||
31 | 15 | – | 둥가르푸르의 마하라왈 | 둥가르푸르 | 라지푸트 구힐로트 | 라자스탄 | ||||||||||||||||||||||||||||||||||||||||||||||||||||||||||||||||||||||||||||||||||||||||||||||||||||||||||||||||||||||||||||
32 | 15 | – | 마하라자 | 이다르 | 라지푸트 라토르 | 구자라트 | ||||||||||||||||||||||||||||||||||||||||||||||||||||||||||||||||||||||||||||||||||||||||||||||||||||||||||||||||||||||||||||
33 | 15 | – | 자이살메르의 마하라왈 | 자이살메르 | 라지푸트, 바티 | 라자스탄 | ||||||||||||||||||||||||||||||||||||||||||||||||||||||||||||||||||||||||||||||||||||||||||||||||||||||||||||||||||||||||||||
34 | 15 | – | 마하라자 | 키샨가르 | 라지푸트, 라토르 | 라자스탄 | ||||||||||||||||||||||||||||||||||||||||||||||||||||||||||||||||||||||||||||||||||||||||||||||||||||||||||||||||||||||||||||
35 | 15 | – | 마하라자 | 오르차 | 라지푸트, 분델라 | 마디아프라데시 | ||||||||||||||||||||||||||||||||||||||||||||||||||||||||||||||||||||||||||||||||||||||||||||||||||||||||||||||||||||||||||||
36 | 15 | – | 마하라와트 | 프라타프가르 | 라지푸트, 시소디아 | 라자스탄 | ||||||||||||||||||||||||||||||||||||||||||||||||||||||||||||||||||||||||||||||||||||||||||||||||||||||||||||||||||||||||||||
37 | 15 | – | 나바브 | 람푸르 | 로힐라 사이이드 | 우타르프라데시 | ||||||||||||||||||||||||||||||||||||||||||||||||||||||||||||||||||||||||||||||||||||||||||||||||||||||||||||||||||||||||||||
38 | 15 | – | 마하라올 | 시로히 | 라지푸트, Chauhan, 데브다 | 라자스탄 | ||||||||||||||||||||||||||||||||||||||||||||||||||||||||||||||||||||||||||||||||||||||||||||||||||||||||||||||||||||||||||||
39 | 13 | 15 (지역) | 마하라자 | 바나레스 | 브라만 부미하르 고탐 | 우타르프라데시 | ||||||||||||||||||||||||||||||||||||||||||||||||||||||||||||||||||||||||||||||||||||||||||||||||||||||||||||||||||||||||||||
40 | 13 | 15 (지역) | 마하라자 | 바브나가르 | 라지푸트, 고힐 | 구자라트 | ||||||||||||||||||||||||||||||||||||||||||||||||||||||||||||||||||||||||||||||||||||||||||||||||||||||||||||||||||||||||||||
41 | 13 | 15 (개인 및 지역) | 마하라자 | 진다 | 시크 자트, 시두, 풀키안 미슬 | 하리아나 | ||||||||||||||||||||||||||||||||||||||||||||||||||||||||||||||||||||||||||||||||||||||||||||||||||||||||||||||||||||||||||||
42 | 13 | 15 (개인 및 지역) | 나바브 | 주나가드 | 바비 | 구자라트 | ||||||||||||||||||||||||||||||||||||||||||||||||||||||||||||||||||||||||||||||||||||||||||||||||||||||||||||||||||||||||||||
43 | 13 | 15 (개인 및 지역) | 마하라자 | 카푸르탈라 | 아루왈리아 (시크교도 미슬) | 펀자브 | ||||||||||||||||||||||||||||||||||||||||||||||||||||||||||||||||||||||||||||||||||||||||||||||||||||||||||||||||||||||||||||
44 | 13 | 15 (지역) | 라자 | 나바 | 자트 시크교도, 시두, 풀키안 미슬 | 펀자브 | ||||||||||||||||||||||||||||||||||||||||||||||||||||||||||||||||||||||||||||||||||||||||||||||||||||||||||||||||||||||||||||
45 | 13 | 15 (지역) | 마하라자 잠 사히브 | 나와나가르 | 라지푸트, 자데자 | 구자라트 | ||||||||||||||||||||||||||||||||||||||||||||||||||||||||||||||||||||||||||||||||||||||||||||||||||||||||||||||||||||||||||||
46 | 13 | 15 (지역) | 마하라자 | 라틀람 | 라지푸트, 라토르 | 마디아프라데시 | ||||||||||||||||||||||||||||||||||||||||||||||||||||||||||||||||||||||||||||||||||||||||||||||||||||||||||||||||||||||||||||
47 | 13 | – | 마하라자 | 쿠치베하르 | 라지푸트, 라즈반시 | 서벵골 | ||||||||||||||||||||||||||||||||||||||||||||||||||||||||||||||||||||||||||||||||||||||||||||||||||||||||||||||||||||||||||||
48 | 13 | – | 마하라자 라지 사히브 | 드랑가드라 | 라지푸트, 잘라 | 구자라트 | ||||||||||||||||||||||||||||||||||||||||||||||||||||||||||||||||||||||||||||||||||||||||||||||||||||||||||||||||||||||||||||
49 | 13 | – | 나바브 | 자오라 | 파탄 | 마디아프라데시 | ||||||||||||||||||||||||||||||||||||||||||||||||||||||||||||||||||||||||||||||||||||||||||||||||||||||||||||||||||||||||||||
50 | 13 | – | 마하라자 라나 | 잘라와르 | 라지푸트, 잘라 | 라자스탄 | ||||||||||||||||||||||||||||||||||||||||||||||||||||||||||||||||||||||||||||||||||||||||||||||||||||||||||||||||||||||||||||
51 | 13 | – | 나바브 | 팔란푸르 | 아프간 | 구자라트 | ||||||||||||||||||||||||||||||||||||||||||||||||||||||||||||||||||||||||||||||||||||||||||||||||||||||||||||||||||||||||||||
52 | 13 | – | 마하라자 라나 사히브 | 포르반다르 | 라지푸트, 제트와 | 구자라트 | ||||||||||||||||||||||||||||||||||||||||||||||||||||||||||||||||||||||||||||||||||||||||||||||||||||||||||||||||||||||||||||
53 | 13 | – | 마하라나 | 라지피플라 | 라지푸트, 고힐 | 구자라트 | ||||||||||||||||||||||||||||||||||||||||||||||||||||||||||||||||||||||||||||||||||||||||||||||||||||||||||||||||||||||||||||
54 | 13 | – | 마하라자 | 트리푸라 | 마니키아 | 트리푸라 | ||||||||||||||||||||||||||||||||||||||||||||||||||||||||||||||||||||||||||||||||||||||||||||||||||||||||||||||||||||||||||||
55 | 11 | 13 (지역) | 나바브 | 잔지라 | 시디 | 마하라슈트라 | ||||||||||||||||||||||||||||||||||||||||||||||||||||||||||||||||||||||||||||||||||||||||||||||||||||||||||||||||||||||||||||
56 | 11 | – | 마하라자 | 아자이가르 | 라지푸트, 분델라 | 마디아프라데시 | ||||||||||||||||||||||||||||||||||||||||||||||||||||||||||||||||||||||||||||||||||||||||||||||||||||||||||||||||||||||||||||
57 | 11 | – | 마하라나 라자 | 알리라푸르 | 라지푸트, 시소디아 | 마디아프라데시 | ||||||||||||||||||||||||||||||||||||||||||||||||||||||||||||||||||||||||||||||||||||||||||||||||||||||||||||||||||||||||||||
58 | 11 | – | 나바브 | 바오니 | 아사프 자히 | 마디아프라데시 | ||||||||||||||||||||||||||||||||||||||||||||||||||||||||||||||||||||||||||||||||||||||||||||||||||||||||||||||||||||||||||||
59 | 11 | – | 라나 | 바르와니 | 라지푸트, 시소디아 | 마디아프라데시 | ||||||||||||||||||||||||||||||||||||||||||||||||||||||||||||||||||||||||||||||||||||||||||||||||||||||||||||||||||||||||||||
60 | 11 | – | 스와이 마하라자 | 비자와르 | 라지푸트, 분델라 | 마디아프라데시 | ||||||||||||||||||||||||||||||||||||||||||||||||||||||||||||||||||||||||||||||||||||||||||||||||||||||||||||||||||||||||||||
61 | 11 | – | 나바브 | 캄베이 | 나즘 i 사니 | 구자라트 | ||||||||||||||||||||||||||||||||||||||||||||||||||||||||||||||||||||||||||||||||||||||||||||||||||||||||||||||||||||||||||||
62 | 11 | – | 라자 | 참바 | 라지푸트 | 히마찰프라데시 | ||||||||||||||||||||||||||||||||||||||||||||||||||||||||||||||||||||||||||||||||||||||||||||||||||||||||||||||||||||||||||||
63 | 11 | – | 마하라자 | 차르카리 | 라지푸트, 분델라 | 마디아프라데시 | ||||||||||||||||||||||||||||||||||||||||||||||||||||||||||||||||||||||||||||||||||||||||||||||||||||||||||||||||||||||||||||
64 | 11 | – | 마하라자 | 차타르푸르 | 라지푸트, 파르마르 | 마디아프라데시 | ||||||||||||||||||||||||||||||||||||||||||||||||||||||||||||||||||||||||||||||||||||||||||||||||||||||||||||||||||||||||||||
65 | 11 | – | 라자 | 파리드코트 | 시크 자트, 브라르 | 펀자브 | ||||||||||||||||||||||||||||||||||||||||||||||||||||||||||||||||||||||||||||||||||||||||||||||||||||||||||||||||||||||||||||
66 | 11 | – | 마하라자 | 곤달 | 라지푸트, 자데자 | 구자라트 | ||||||||||||||||||||||||||||||||||||||||||||||||||||||||||||||||||||||||||||||||||||||||||||||||||||||||||||||||||||||||||||
67 | 11 | – | 라자 | 빌라스푸르 | 라지푸트 | 히마찰프라데시 | ||||||||||||||||||||||||||||||||||||||||||||||||||||||||||||||||||||||||||||||||||||||||||||||||||||||||||||||||||||||||||||
68 | 11 | – | 라자 | 자부아 | 라지푸트 라토르 | 마디아프라데시 | ||||||||||||||||||||||||||||||||||||||||||||||||||||||||||||||||||||||||||||||||||||||||||||||||||||||||||||||||||||||||||||
69 | 11 | – | 나바브 | 말레르코틀라 | 아프간 | 펀자브 | ||||||||||||||||||||||||||||||||||||||||||||||||||||||||||||||||||||||||||||||||||||||||||||||||||||||||||||||||||||||||||||
70 | 11 | – | 라자 | 만디 | 라지푸트 찬드라밤시 | 히마찰프라데시 | ||||||||||||||||||||||||||||||||||||||||||||||||||||||||||||||||||||||||||||||||||||||||||||||||||||||||||||||||||||||||||||
71 | 11 | – | 마하라자 | 마니푸르 | 메이테이족 | 마니푸르 | ||||||||||||||||||||||||||||||||||||||||||||||||||||||||||||||||||||||||||||||||||||||||||||||||||||||||||||||||||||||||||||
72 | 11 | – | 마하라자 | 모르비 | 라지푸트 자데자 | 구자라트 | ||||||||||||||||||||||||||||||||||||||||||||||||||||||||||||||||||||||||||||||||||||||||||||||||||||||||||||||||||||||||||||
73 | 11 | – | 라자 | 나르싱가르 | 라지푸트 우마트 | 마디아프라데시 | ||||||||||||||||||||||||||||||||||||||||||||||||||||||||||||||||||||||||||||||||||||||||||||||||||||||||||||||||||||||||||||
74 | 11 | – | 마하라자 | 판나 | 라지푸트 분델라 | 마디아프라데시 | ||||||||||||||||||||||||||||||||||||||||||||||||||||||||||||||||||||||||||||||||||||||||||||||||||||||||||||||||||||||||||||
75 | 11 | - | 나바브 | 라드한푸르 | 이라니 | 구자라트 | ||||||||||||||||||||||||||||||||||||||||||||||||||||||||||||||||||||||||||||||||||||||||||||||||||||||||||||||||||||||||||||
76 | 11 | – | 라자 | 라지가르 | 힌두, 라지푸트 | 마디아프라데시 | ||||||||||||||||||||||||||||||||||||||||||||||||||||||||||||||||||||||||||||||||||||||||||||||||||||||||||||||||||||||||||||
77 | 11 | – | 라자 | 라이가르 | 라지푸트 라구밤시 | 히마찰프라데시 | ||||||||||||||||||||||||||||||||||||||||||||||||||||||||||||||||||||||||||||||||||||||||||||||||||||||||||||||||||||||||||||
78 | 11 | - | 라자 | 살라나 | 라지푸트 라토르 | 마디아프라데시 | ||||||||||||||||||||||||||||||||||||||||||||||||||||||||||||||||||||||||||||||||||||||||||||||||||||||||||||||||||||||||||||
79 | 11 | – | 마하라자 | 삼타르 | 구르자르 카타나 | 우타르프라데시 | ||||||||||||||||||||||||||||||||||||||||||||||||||||||||||||||||||||||||||||||||||||||||||||||||||||||||||||||||||||||||||||
80 | 11 | – | 마하라자 | 시르무르 | 라지푸트, 바티 | 히마찰프라데시 | ||||||||||||||||||||||||||||||||||||||||||||||||||||||||||||||||||||||||||||||||||||||||||||||||||||||||||||||||||||||||||||
81 | 11 | – | 라자 | 시타마우 | 라지푸트 라토르 | 마디아프라데시 | ||||||||||||||||||||||||||||||||||||||||||||||||||||||||||||||||||||||||||||||||||||||||||||||||||||||||||||||||||||||||||||
82 | 11 | – | 라자 | 수케트 | 라지푸트 찬드라밤시 | 히마찰프라데시 | ||||||||||||||||||||||||||||||||||||||||||||||||||||||||||||||||||||||||||||||||||||||||||||||||||||||||||||||||||||||||||||
83 | 11 | – | 마하라자 | 테리 가르왈 | 라지푸트, 파르마르 | 우타라칸드 | ||||||||||||||||||||||||||||||||||||||||||||||||||||||||||||||||||||||||||||||||||||||||||||||||||||||||||||||||||||||||||||
84 | 11 | – | 마하라나 라지 사히브 | 완카네르 | 라지푸트, 잘라 | 구자라트 | ||||||||||||||||||||||||||||||||||||||||||||||||||||||||||||||||||||||||||||||||||||||||||||||||||||||||||||||||||||||||||||
85 | 9 | 11 (개인) | 라자 | 바리아 | 라지푸트, Chauhan | 구자라트 | ||||||||||||||||||||||||||||||||||||||||||||||||||||||||||||||||||||||||||||||||||||||||||||||||||||||||||||||||||||||||||||
86 | 9 | 11 (개인) | 라자 | 다람푸르 | 라지푸트, 시소디아 | 구자라트 | ||||||||||||||||||||||||||||||||||||||||||||||||||||||||||||||||||||||||||||||||||||||||||||||||||||||||||||||||||||||||||||
87 | 9 | 11 (개인) | 라자 | 상글리 | 마라타, 브라만 행정가(파트와르단) | 마하라슈트라 | ||||||||||||||||||||||||||||||||||||||||||||||||||||||||||||||||||||||||||||||||||||||||||||||||||||||||||||||||||||||||||||
88 | 9 | 11 (지역) | 라자 | 사완트와디 | 마라타, 봉슬레 | 마하라슈트라 | ||||||||||||||||||||||||||||||||||||||||||||||||||||||||||||||||||||||||||||||||||||||||||||||||||||||||||||||||||||||||||||
89 | 9 | – | 타쿠르 사히브 | 와드완 | 라지푸트 잘라 | 구자라트 | ||||||||||||||||||||||||||||||||||||||||||||||||||||||||||||||||||||||||||||||||||||||||||||||||||||||||||||||||||||||||||||
90 | 9 | – | 나바브 바비 | 발라시노르 | 바비 | 구자라트 | ||||||||||||||||||||||||||||||||||||||||||||||||||||||||||||||||||||||||||||||||||||||||||||||||||||||||||||||||||||||||||||
91 | 9 | – | 나바브 | 반가나팔레 | 나즘 i 사니 | 안드라프라데시 | ||||||||||||||||||||||||||||||||||||||||||||||||||||||||||||||||||||||||||||||||||||||||||||||||||||||||||||||||||||||||||||
92 | 9 | – | 마하라왈 | 반다 | 라지푸트 솔란키 | 구자라트 | ||||||||||||||||||||||||||||||||||||||||||||||||||||||||||||||||||||||||||||||||||||||||||||||||||||||||||||||||||||||||||||
93 | 9 | – | 라자 | 바라운다 | 라지푸트 바르구자르 | 마디아프라데시 | ||||||||||||||||||||||||||||||||||||||||||||||||||||||||||||||||||||||||||||||||||||||||||||||||||||||||||||||||||||||||||||
94 | 9 | – | 라자 | 보르 | 마라타, 브라만 | 마하라슈트라 | ||||||||||||||||||||||||||||||||||||||||||||||||||||||||||||||||||||||||||||||||||||||||||||||||||||||||||||||||||||||||||||
95 | 9 | – | 라자 | 초타 우다이푸르 | 라지푸트, Chauhan | 구자라트 | ||||||||||||||||||||||||||||||||||||||||||||||||||||||||||||||||||||||||||||||||||||||||||||||||||||||||||||||||||||||||||||
96 | 9 | – | 마하라나 | 단타 | 라지푸트, 파르마르 | 구자라트 | ||||||||||||||||||||||||||||||||||||||||||||||||||||||||||||||||||||||||||||||||||||||||||||||||||||||||||||||||||||||||||||
97 | 9 | – | 타코르 사히브 | 드로르 | 라지푸트, 자데자 | 구자라트 | ||||||||||||||||||||||||||||||||||||||||||||||||||||||||||||||||||||||||||||||||||||||||||||||||||||||||||||||||||||||||||||
98 | 9 | 마하라자 | 자워르 | 마라타, 마하데오 콜리 (묵네) | 마하라슈트라 | |||||||||||||||||||||||||||||||||||||||||||||||||||||||||||||||||||||||||||||||||||||||||||||||||||||||||||||||||||||||||||||
99 | 9 | – | 마하라자 | 칼라한디 (카론드) | 나가밤시 | 오디샤 | ||||||||||||||||||||||||||||||||||||||||||||||||||||||||||||||||||||||||||||||||||||||||||||||||||||||||||||||||||||||||||||
100 | 9 | – | 라오 | 킬치푸르 | 라지푸트, Chauhan,(킨치) | 마디아프라데시 | ||||||||||||||||||||||||||||||||||||||||||||||||||||||||||||||||||||||||||||||||||||||||||||||||||||||||||||||||||||||||||||
101 | 9 | – | 타코르 사히브 | 림비디 | 라지푸트, 잘라 | 구자라트 | ||||||||||||||||||||||||||||||||||||||||||||||||||||||||||||||||||||||||||||||||||||||||||||||||||||||||||||||||||||||||||||
102 | 9 | – | 나바브 | 로하루 | (무슬림) | 하리아나 | ||||||||||||||||||||||||||||||||||||||||||||||||||||||||||||||||||||||||||||||||||||||||||||||||||||||||||||||||||||||||||||
103 | 9 | – | 마하라나 | 루나바다 | 라지푸트, 솔란키 | 구자라트 | ||||||||||||||||||||||||||||||||||||||||||||||||||||||||||||||||||||||||||||||||||||||||||||||||||||||||||||||||||||||||||||
104 | 9 | – | 라자 | 마이하르 | 라지푸트, 5. 2. 파키스탄에 편입된 예포국1947년 8월부터 1948년 3월까지, 서부 인도에 위치한 13개의 이슬람 번왕국은 병합 문서에 따라 영국령 인도에서 인도 독립법 1947에 의해 창설된 새로운 파키스탄 자치령에 합병되어 파키스탄 번왕국이 되었다. 이들은 1955년에서 1974년 사이에 모두 더 큰 연방과 주로 통합되었다. 모든 번왕국은 국가의 서부에 위치해 있었으며, 결국에는 서파키스탄에 병합되었고, 이는 (방글라데시의 분리 이후) 현재의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을 구성한다.해당 왕국들은 존속하는 동안 내부 자치를 유지했지만, 1974년까지 모두 자치를 잃었다. 이전 통치 가문이 누리던 작위와 칭호는 1972년 1월 파키스탄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으며, 훈자와 나가르는 1974년 10월 파키스탄 북부 지역에 편입되었다. 1947년 10월 3일부터 1948년 3월 27일 사이에 4개의 예포국이 파키스탄에 병합되었다. 병합된 순서는 다음과 같다.
6. 버마의 예포국
영국령 인도 제국의 일부였던 버마(현 미얀마)에도 예포국이 존재했다. 6. 1. 샨 주의 예포국샨 주의 껭통, 시뽀, 몽나이, 영웨의 사오파는 9발의 예포를 받았다.[34][35]7. 인도 제국의 보호국 및 보호령
인도 제국은 번왕국 외에도 여러 보호국과 보호령을 통해 간접 통치를 시행했다. 인도 수도에 번왕국의 통치자가 도착하면, 예포를 발사하여 환영했다. 예포의 숫자는 통치자의 지위에 따라 달랐으며, 21발이 최고 등급이었다. 영국 국왕은 101발, 인도 부왕은 31발의 예포를 받았다. 7. 1. 남아시아의 보호국아프가니스탄은 1890년에 압두르 라흐만 칸이 영국의 보호를 받는 조건으로 내정 자치를 인정받았다.[36] 1905년 하비불라 칸은 영국과 조약을 맺어 아프가니스탄 왕(샤-에-아프가니스탄) 칭호와 '폐하' 칭호를 사용하며 영국의 보호국이 되었다.[36] 1919년 아마눌라 칸은 아프가니스탄을 완전한 주권 왕국으로 선포했으나, 제3차 앵글로-아프간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했다.[36] 하지만 1921년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완전한 주권을 인정했다.[36]네팔은 1816년 영-네팔 전쟁에서 패배 후 동인도 회사의 보호국이 되었다.[37] 1858년 이후 영국 왕실의 보호령이 되었고, 1919년 영국은 네팔 왕에게 '폐하' 칭호를, 라나 왕조의 마하라자에게는 '전하(His Highness)' 칭호를 인정했다.[32] 1923년 영국은 네팔을 완전한 주권 군주국으로 인정했다.[37] 부탄은 1864년 영국과 전쟁 후 신추라 조약을 맺고 영토를 포기했다.[42] 1907년 우겐 왕축이 부탄의 마하라자이자 드루크 갈포(용왕)로 선포되면서 세습 군주국이 되었다.[42] 1910년 푸나카 조약을 통해 영국의 보호를 받으며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42] 1949년 인도와 우호 조약을 맺어 주권을 재확인하고 외교 정책 통제권을 부여했다.[42] 1963년 '폐하 드루크 갈포'로 칭호를 변경하여 독립 주권 군주국임을 공식화했다.[42] 시킴은 1861년 툼롱 조약에 따라 영국의 보호령이 되어 내정 간섭과 외교 감독을 받았다.[44] 1947년 인도 가입에 반대하고 내정 주권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44] 1950년 인도의 보호령이 되었고, 1975년 국민 투표를 통해 인도에 합병되었다.[44]
7. 2. 중동 및 페르시아만의 보호령아덴 보호령은 19세기 후반부터 1967년 독립하여 남예멘과 합병될 때까지 영국의 보호령이었으며, 1917년까지 봄베이 관구의 일부로 통치되다가 영국 외무부로 이관되었다.[71]페르시아만 거주지는 1763년 동인도 회사가 부셰르에 거주지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어 1822년에 설립되었다. 1873년까지 봄베이 총독의 지배를 받다가 1858년 영국 왕실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873년에는 영국령과 인도 사무소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았다. 1892년에는 무스카트와 오만, 바레인, 트루셜 스테이츠에 대한 보호령 지위를 공식적으로 갖게 되었고, 1914년에는 쿠웨이트, 1916년에는 카타르가 그 뒤를 이었다. 1920년 시브 조약은 오만의 '사실상의' 독립을 인정했다. 이 거주지는 1947년 인도 독립 직전 인도 사무소에서 영국 외무부로 이관되었다. 1961년 쿠웨이트가 최초로 보호령을 종료하고 완전한 독립을 이루었으며, 이듬해 영국은 무스카트와 오만을 독립된 보호 국가로 인정했다. 영국은 1968년 1월 나머지 걸프 국가에 대한 보호령을 1971년에 종료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1971년 12월에 보호령이 종료되었다. 무스카트와 오만은 오만이 되었고, 이전의 트루셜 스테이츠는 1972년에 아랍 에미리트 연합이 되었다.
8. 인도 아대륙의 개인 예포 왕조
인도 수도에 번왕국의 통치자가 도착하면 여러 발의 포격으로 환영했다. 이러한 "예포"의 숫자는 시대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영국이 특정 통치자에게 부여하고자 하는 명예의 정도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했다.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영국과의 관계 및/또는 그가 인식하는 정치적 권력의 정도를 반영했으며, 21발의 예포가 최고로 여겨졌다.[1] 영국의 국왕(또는 여왕) (1948년까지 인도의 황제이기도 함)은 101발의 예포를 받았고, 인도 부왕에게는 31발의 예포가 사용되었다. 8. 1. 번왕국 통치자 (1947년)히마찰프라데시 바샤르의 라자 파담 싱[9]8. 2. 종교 지도자아가 칸은 니자리 이스마일파 이슬람교 종교 지도자로, 영토를 가진 공국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11발의 개인 예포를 받았다.[1]8. 3. 정치적 연금 수령자무르시바다드의 나와브는 벵골(현재의 방글라데시와 서벵골 포함)의 상속자로서 19문의 예포(개인적 및 지역적 용도)를 받았다.[70] 아르코트 나와브(나중에 왕자로 개칭)는 카르나틱 지역에서 1899년까지 15문의 예포를 받았다.[70] 비지아나그람의 라자는 13문의 예포를 받았다.[70]8. 4. 프랑스령 인도의 자민다르야남의 마니암 자민다르는 4발의 예포를 받았다.[1]9. 영국 영향권 내의 국가 (1947년)
1947년 당시 영국 영향권 아래 있던 번왕국 통치자들은 인도 수도(처음에는 콜카타, 이후 델리)에 도착하면 예포로 환영받았다. 예포 발수는 영국이 통치자에게 부여하는 명예의 정도를 나타내며, 시대에 따라 변경되었다.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 수는 일반적으로 영국과의 관계 또는 인식되는 정치적 권력을 반영했으며, 21발이 최고 등급이었다.[1]
1917년, 과리얼의 신디아 마하라자는 영구적이고 세습적인 21발의 예포로 승격되었고, 1921년에는 잠무 카슈미르 마하라자에게도 동일한 권한이 부여되었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들 군인들의 공헌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1] 보팔의 나바브(베굼), 인도르의 홀카르 마하라자, 우다이푸르의 마라나는 자체 영토 내에서 21발, 인도 나머지 지역에서는 19발의 예포를 받았다.[1] 니잠, 마하라자, 왕자 등은 모두 의전에 깊이 몰두했으며, 예포는 엄격히 준수되는 의전 중 하나였다.[1] 10. 예포 제도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
예포 제도는 영국이 인도를 지배하던 시절, 번왕국 통치자들에게 부여한 명예의 척도였다. 영국 국왕에게는 101발, 인도 부왕에게는 31발의 예포가 주어졌고, 번왕국 통치자들은 그들과의 관계나 정치적 권력에 따라 다양한 숫자의 예포를 받았다.[1] 최고 등급은 21발의 예포였으며, 이는 바로우다 번왕국, 마이소르 왕국, 하이데라바드 니잠 세 번왕국에게만 주어졌다.[1] 11. 결론
예포 제도는 단순한 의전을 넘어, 영국령 인도 제국 시기 번왕국들의 정치적 위상과 권력 관계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였다. 통치자에게 부여된 예포의 숫자는 영국과의 관계 및 그가 인식하는 정치적 권력의 정도를 반영했으며, 21발의 예포가 최고로 여겨졌다. 니잠, 마하라자, 왕자 등은 모두 의전에 깊이 몰두했으며, 예포는 엄격히 준수되는 의전 중 하나였다. 참조
[1]
서적
The India Office and Burma Office List: 1945
Harrison & Sons, Lt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