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 4세는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에 걸쳐 활동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다. 그는 사자공 하인리히의 아들이자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의 조카로, 잉글랜드에서 성장했다. 1198년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으나, 슈타우펜 가문의 필리프와 대립하며 내전을 겪었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지지를 받아 황제로 즉위했지만, 이탈리아 정책으로 인해 교황과 갈등을 빚었다. 1214년 부빈 전투에서 패배한 후 황제의 지위를 잃고 브라운슈바이크로 물러났으며, 121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신성 로마 황제 -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호엔슈타우펜 왕조 출신의 신성 로마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국의 왕으로, 교황의 후견 아래 성장하여 제국과 왕국을 다스리며 학문과 예술을 장려했으나 교황과의 갈등, 반란, 전쟁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오토 4세 - 제4차 라테란 공의회
제4차 라테란 공의회는 1215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소집한 로마 가톨릭 공의회로, 정통 신앙 보호, 십자군 지원, 성직 임명권 개입 배제, 이단 척결, 새로운 십자군 편성을 목표로 71개 교령을 발표하며 중세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소수자 차별 강화 비판도 있다. - 오토 4세 - 부빈 전투
부빈 전투는 1214년 프랑스 국왕 필리프 2세가 연합군을 격파하여 프랑스가 서유럽의 주도 세력으로 부상하고 잉글랜드의 존 왕이 마그나 카르타를 인정하게 된 중세 시대의 중요한 전투이다. - 1175년 출생 -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
제5대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는 13세기 유럽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프랑스 출신 귀족으로, 십자군 참여와 알비 십자군 총사령관으로서 종교 재판을 통해 이단을 탄압했으며 잉글랜드 의회 발전에 기여했지만 폭력적인 면모도 보인 논쟁적인 인물이다. - 1175년 출생 - 욜랑드 드 에노
욜랑드 드 에노는 나뮈르 후작위를 물려받았고, 남편이 라틴 제국 황제가 되기 전 섭정으로서 제국을 통치하며, 외교적 노력을 통해 라틴 제국의 안정을 위해 기여했다.
오토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신성 로마 황제 |
재위 기간 | 1209년–1218년 |
대관식 | 1209년 10월 4일, 로마 |
선임자 | 하인리히 6세 |
후임자 | 프리드리히 2세 |
칭호 1 | 로마인의 왕 |
재위 기간 1 | 1198년–1209년 |
선임자 1 | 하인리히 6세 |
후임자 1 | 프리드리히 2세 |
대관식 1 | 1198년 7월 12일, 아헨 |
칭호 2 | 이탈리아 왕 |
재위 기간 2 | 1208년–1212년 |
선임자 2 | 하인리히 6세 |
후임자 2 | 하인리히 7세 |
칭호 3 | 부르군트 왕 |
재위 기간 3 | 1208년–1215년 |
선임자 3 | 필리프 폰 슈바벤 |
후임자 3 | 프리드리히 2세 |
배우자 | 베아트리체 폰 호엔슈타우펜 (결혼: 1209년 또는 1212년; 사망: 1212년) 마리아 폰 브라반트 (결혼: 1214년) |
왕가 | 벨프 |
아버지 | 하인리히 사자공 |
어머니 | 마틸다 폰 잉글랜드 |
출생일 | 1175년 |
사망일 | 1218년 5월 19일 (42–43세) |
사망 장소 | 하르츠부르크 |
매장지 | 브라운슈바이크 대성당 |
이름 | |
독일어 | Otto IV. |
2. 초기 생애와 배경
오토 4세는 벨프 가문 출신의 사자공 하인리히와 그의 아내 잉글랜드의 마틸다 사이에서 태어난 세 아들 중 셋째였다.[2] 그러나 그의 정확한 출생지는 어떤 기록에도 남아있지 않다.[3][4]
1182년 아버지 하인리히 사자공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와의 갈등으로 잉글랜드로 망명하면서, 오토는 어린 시절 외할아버지인 잉글랜드의 헨리 2세의 궁정에서 성장했다.[5] 그는 독일어뿐만 아니라 프랑스어에도 능통했다.
1194년 2월,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6세에게 사로잡힌 외삼촌 리처드 1세가 석방되는 과정에서 오토는 동생 빌헬름과 함께 인질로 보내졌지만, 같은 해 말 풀려나 잉글랜드로 돌아왔다.[40][41] 1196년 푸아투 백작에 임명되었고, 리처드 1세가 주도한 프랑스와의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2. 1. 잉글랜드와의 관계
오토는 외삼촌인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의 양자가 되었다. 1190년, 리처드는 제3차 십자군에 합류하기 위해 잉글랜드를 떠나면서 오토를 요크 백작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요크셔의 봉신들은 이 임명의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며 오토가 백작령을 차지하는 것을 막았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토는 1191년에 요크셔를 방문했을 것으로 추정되며,[5] 독일 왕이 된 후에도 요크 백작령의 수입을 계속 요구했지만, 결국 얻지 못했다.[6] 또한 1199년 삼촌이 유언으로 남긴 25,000 실버 마르크를 얻는 데에도 실패했다.[7]1195년, 리처드는 오토와 스코틀랜드의 윌리엄 1세의 딸이자 상속녀인 스코틀랜드의 마가렛과의 결혼 협상을 시작했다.[8] 마가렛의 지참금으로 로디언을 리처드에게 안전하게 넘겨주고, 노섬벌랜드와 컴벌랜드 (칼라일) 군을 오토에게 주어 스코틀랜드 왕에게 넘길 예정이었다. 그러나 1198년 8월, 윌리엄에게 아들이 태어나 상속자가 생기면서 협상은 결렬되었다. 1196년 9월, 리처드는 오토에게 잉글랜드 백작령이나 스코틀랜드 왕국을 확보하는 데 실패하자, 아키텐 공작으로서 오토에게 푸아투 백작령을 봉했다.[9] 오토가 요크 백작령과 교환하여 푸아투를 받았는지, 아니면 요크 백작령 외에 푸아투를 추가로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다.[7]
3. 독일 왕위 계승 분쟁
1197년 황제 하인리히 6세가 사망하면서 독일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시작되었다. 하인리히 6세의 동생 필리프는 1198년 다수의 제후들에게 금전 등을 제공하며 지지를 얻어 왕으로 선출되었다.[42] 그러나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반대하는 제후들은 벨프 가문 출신의 오토 4세를 대립왕으로 내세웠다. 오토는 쾰른 대주교 아돌프의 주도로 1198년 6월 9일 왕으로 선출되었고,[44] 같은 해 7월 12일 아헨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38] 쾰른 대주교만이 로마 왕에게 대관식을 거행할 수 있었기에 이는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42] 다만, 실제 제국 기장은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소유하고 있었기에 대관식은 가짜 기장으로 진행되었다.
오토는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와 존의 지원을 받았고, 필리프는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와 동맹을 맺어, 독일 왕위 계승 분쟁은 국제전 양상을 띠었다.[45]
한편,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신성 로마 제국과 시칠리아 왕국이 통합되는 것을 경계하여 오토를 지지했다. 인노첸시오 3세는 제국의 혼란을 틈타 안코나, 스폴레토 등에서 하인리히 6세가 임명한 제국 봉신들을 몰아내고,[46] 토스카나 도시들에게 산 제네시오 동맹을 결성하도록 부추겨 자신의 보호 아래 두었다.[46] 1201년 인노첸시오 3세는 오토를 유일한 합법적인 왕으로 인정했고, 오토는 그 대가로 이탈리아에서 교황의 이익을 옹호할 것을 약속했다.[43] 보헤미아 왕 오타카르 1세와 덴마크 왕 발데마르 2세 또한 오토를 지지했다.[49]
그러나 필리프는 내전에서 우위를 점했고, 1204년에는 쾰른 대주교로부터 다시 왕관을 받았다. 잉글랜드가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오토는 재정적 지원을 잃고 곤경에 처했으며, 많은 동맹국이 필리프에게 전향했다. 1206년 7월 27일 바센베르크 전투에서 오토는 필리프에게 패배하고 부상당했으며, 교황마저 필리프를 지지하기 시작했다.[50] 오토는 브라운슈바이크 근처의 영지로 은퇴했고, 필리프가 사실상 독일 왕으로 군림하게 되었다.[14]
인노첸시오 3세는 양측을 쾰른에서 협상하도록 주선했고, 필리프는 오토에게 딸과의 결혼, 슈바벤 공국과 막대한 지참금을 제안하며 화해를 시도했다.[51] 그러나 오토가 이를 거절하면서 내전이 재개될 위기에 놓였으나, 1208년 6월 21일 필리프가 개인적인 원한으로 암살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52]
3. 1.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대립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6세가 사망한 후, 제국 남부의 대다수 제후들은 1198년 3월에 하인리히의 동생 슈바벤 공작 필리프를 왕으로 선출했다. 필리프는 지지를 대가로 제후들에게 돈과 약속을 제공했다.[8] 그러나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반대하는 제후들은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의 제안으로 1198년 6월, 벨프 가문 구성원을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오토의 형인 하인리히는 당시 1197년 십자군에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오토가 선택되었다. 오토는 곧 북서부와 라인강 하류 지역에서 인정받았으며,[5] 1198년 6월 9일 쾰른에서 그의 지지자들에 의해 왕으로 선출되었다.[5]오토는 대관식 장소인 아헨을 장악했고, 1198년 7월 12일 쾰른의 대주교 알테나의 아돌프에 의해 대관식을 치렀다.[5] 이는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는데, 쾰른의 대주교만이 로마인의 왕에게 대관식을 거행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8] 대관식은 가짜 제국 기장으로 진행되었는데, 실제 기장은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손에 있었다.[9]
3. 2. 교황과의 관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신성 로마 제국과 시칠리아 왕국이 한 명의 군주 아래 통합되는 것을 우려하여, 호엔슈타우펜 가문에 반대하는 오토를 지지했다.[2] 오토는 교황의 모든 요구를 받아들일 것처럼 보였다. 인노첸시오 3세는 제국의 혼란을 틈타 안코나, 스폴레토, 페루자 등에서 하인리히 6세가 임명한 제국 봉건 영주들을 몰아냈다.[12] 또한 토스카나 도시들에게 산 제네시오 동맹을 결성하도록 장려하여 자신의 보호 아래 두었다.[12]1201년 인노첸시오 3세는 오토를 유일한 합법적 왕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고, 그 대가로 오토는 이탈리아에서 교황의 이익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했다.[13] 오토는 1201년 6월 8일에 중부 이탈리아에서의 교회의 권리 보장, 시칠리아 왕국에 대한 교황의 봉주권 인정, 이탈리아 정책에서의 교황의 의향 존중을 약속했다.[43] 보헤미아 왕 오타카르 1세와 덴마크 왕 발데마르 2세도 오토를 지지했다.[13][49]
3. 3. 내전의 경과
1198년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6세가 사망한 후, 제국 남부의 대다수 제후들은 필리프를 왕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호엔슈타우펜 왕조에 반대하는 제후들은 벨프 가문의 오토를 왕으로 선출했다. 오토는 아헨을 장악하고 1198년 7월 12일 쾰른 대주교 아돌프에 의해 대관식을 치렀다.[5] 이는 쾰른 대주교만이 로마인의 왕에게 대관식을 거행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8]오토의 선출은 제국을 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왕국 간의 분쟁으로 끌어들였다. 필리프는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와 동맹을 맺었고, 오토는 존의 지원을 받았다.[10]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시칠리아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의 통합을 막고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오토를 지지했다.[2] 1201년 인노첸시오 3세는 오토를 유일한 합법적 왕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고, 오토는 이탈리아에서 교황의 이익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오토는 보헤미아의 오토카르 1세와 덴마크의 발데마르 2세의 지원도 받았다.[13]
그러나 필리프는 내전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고, 1204년 쾰른 대주교에 의해 다시 왕위에 올랐다.[13] 이후 몇 년 동안 오토의 상황은 악화되었는데, 잉글랜드가 프랑스에 패배한 후 잉글랜드의 재정적 지원을 잃었기 때문이다. 그의 많은 동맹국들은 필리프로 전향했다. 오토는 1206년 7월 27일 바센베르크 근처에서 필리프에게 패배하여 부상을 입었으며, 교황의 지원도 잃었다. 오토는 브라운슈바이크 근처의 자신의 영지로 은퇴해야 했고, 필리프는 독일 왕으로서 사실상 반대 없이 통치하게 되었다.[14]
인노첸시오 3세는 두 세력을 쾰른에서 협상하도록 강요했고, 필리프는 오토에게 자신의 딸 베아트릭스와의 결혼, 슈바벤 공국과 막대한 지참금을 약속했다.[10] 오토는 이 제안을 거절했고, 내전이 다시 시작될 무렵인 1208년 6월 21일 필리프가 암살되었다.
4. 신성 로마 황제 즉위와 통치
1208년, 프랑크푸르트 제국 의회에서 오토는 제위 세습 포기를 선언하고, 모든 선제후들의 지지를 얻어 왕으로 선출되었다.[13] 그는 슈타우펜 가문과 화해하고 필리프의 딸 베아트릭스와 약혼했다.[15]
교황 인노첸시오 3세와 완전히 화해한 오토는 신성 로마 황제 대관식을 준비했다. 그는 경건왕 루이 시대에 교황령이 소유했던 모든 영토, 즉 안코나 변경백국, 스폴레토 공국, 이전 라벤나 총독부, 펜타폴리스를 교황령에 반환하겠다고 약속하며 인노첸시오 3세의 지지를 확보했다.[15]
1208년, 베로나, 모데나, 볼로냐를 거쳐 밀라노에 도착한 그는 롬바르디아의 철관을 수여받고 이탈리아 왕 칭호를 받았다.[16] 비테르보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3세를 만난 오토는 1209년 10월 21일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신성 로마 황제로 대관했다.[16] 그러나 대관식 직후 로마에서 폭동이 일어나 오토는 도시를 떠나야 했다.[17]
4. 1. 이탈리아 정책과 교황과의 갈등

오토 4세는 즉위 전 교황과 맺었던 수많은 약속을 지킬 의사가 전혀 없었다.[52] 1208년 11월 20일, 북쪽으로 진군하여 피사에 도착한 그는 아체라 백작 디폴드 등의 간청을 받아들여 시칠리아 원정을 결심한다.[57]
오토는 안코나와 스폴레토에서 교황군을 몰아내고 제국령으로 편입했다. 시칠리아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 칼라브리아와 아풀리아 공작령에 대한 충성을 요구했고, 프리드리히가 이를 거부하자 그의 영지를 몰수하겠다고 선언했다.[58] 이어 오토는 로마로 진군하여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보름스 협약을 무효화하고, 모든 공석 성직 임명에 대한 권한을 황제가 인정할 것을 요구했다.[58]
이에 인노첸시오 3세는 크게 분노하여 1210년 11월 18일 오토를 파문했다.[52][59] 오토는 시칠리아 왕국 정복을 시도했으나, 독일 귀족들은 이탈리아에서 시간을 낭비하며 교황과 권력 다툼을 벌이는 오토에게 불만을 품게 되었다. 1211년 뉘른베르크 국회에서 프랑스 국왕 필리프 2세의 사주와 교황의 동의를 얻은 제국의 여러 제후들은 프리드리히 2세를 로마 왕으로 선출했다.[62]
5. 몰락과 죽음
오토 4세는 즉위 전 교황에게 했던 약속을 지킬 생각이 없었다.[52] 11월 20일 피사에 도착한 그는 아체라 백작 디폴드 등의 간청을 받고 시칠리아 원정을 결정한다.[57]
오토 4세는 안코나와 스폴레토에서 교황군을 몰아내고 제국령으로 편입했다. 프리드리히 2세에게 충성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영지 몰수를 선언했다.[58] 또한 인노첸시오 3세에게 보름스 협약 철회와 성직자 서임권 부여를 요구했다.[58]
1210년 11월, 오토 4세는 시칠리아 왕국 원정을 시작했다.[52] 인노첸시오 3세는 이에 격분하여 오토 4세를 파문했다.[52][59] 오토 4세가 시칠리아 원정을 하는 동안, 독일 제후들은 그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인노첸시오 3세는 반(反) 벨프파 제후들에게 새로운 로마 왕 선출을 인정했다.[60]
5. 1. 프리드리히 2세의 등장
1211년, 독일 제후들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와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의 지원을 받아 프리드리히 2세를 새로운 로마 왕으로 선출했다.[62] 오토는 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독일로 돌아갔지만, 대부분의 독일 제후와 주교는 이미 프리드리히 2세에게 등을 돌린 상황이었다.[61]프리드리히 2세는 이탈리아 반도를 따라 북상하여 알프스 산맥을 통과하는 관문을 지키는 오토의 군대를 피하여 콘스탄츠에 도착했다. 1212년 여름, 오토의 아내 베아트릭스가 사망하고, 같은 해 9월 프리드리히 2세가 군대를 이끌고 독일에 도착하자, 오토의 이전 슈타우펜 지지자들 대부분이 그를 버리고 프리드리히 2세에게 합류하여 오토는 쾰른으로 물러나야 했다. 1212년 12월 5일, 프리드리히 2세는 제후들의 다수에 의해 두 번째로 로마 왕으로 선출되었다.[62]
5. 2. 부빈 전투와 폐위
1214년, 오토 4세는 잉글랜드 왕 존과 연합하여 프랑스를 공격했으나, 부빈 전투에서 프랑스 왕 필리프 2세에게 대패했다.[68] 이 전투는 부빈 다리 근처의 마르크 강 둑에서 벌어졌으며, 약 15,000명의 프랑스군과 25,000명의 연합군이 격돌했다. 치열한 전투 끝에 오토 4세는 부상을 입고 전장에서 이탈하면서 그의 군대는 패배했다.[67] 필리프 2세는 오토 4세가 전장에 남겨둔 제국 독수리를 프리드리히 2세에게 보냈다.[65][69]이 패배로 오토 4세는 사실상 권력을 잃었고, 브라운슈바이크 주변의 사유지로 물러나야 했다.[71] 1215년, 오토 4세는 황제위에서 폐위되었다.[50] 이후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은둔 생활을 하다가 1218년 5월 19일 하르츠부르크 성에서 사망했다.[72] 그의 유해는 브라운슈바이크 대성당에 매장되었다.[73]
6. 유산과 평가
오토 4세의 통치는 중세 유럽의 권력 투쟁과 복잡한 국제 관계를 잘 보여준다. 그는 벨프 가문과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대립, 교황과의 갈등, 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왕국 간의 분쟁 속에서 자신의 야망을 추구했다. 그러나 그는 결국 실패했는데, 이는 개인적인 자질 부족뿐만 아니라 당시 유럽의 정치적, 종교적 상황의 한계를 반영하는 것이었다.[74][75][77][78][79]
오토 4세는 고집 세고 오만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울스베르크 연대기에서는 "오만하고 어리석지만, 용감함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었다.[75] 민네징어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는 "만약 그에게 키만큼 너그러움이 있었다면 많은 미덕을 갖추었을 텐데"라고 조롱하기도 했다.[77] 그는 또한 구두쇠라고 할 정도로 검소한 인물로 전해진다.[54]
오토 4세는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경쟁에서 패배하고, 교황과의 약속을 어기며 무리한 이탈리아 정책을 추진하다 몰락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8] 그의 실패는 권력욕에 눈이 멀어 교황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무리한 이탈리아 정책을 추진하다 몰락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오토 4세는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황제와 왕족을 섬겼던 틸베리의 게르바시우스(Gervasius Tilberiensis)를 아를 왕국 궁정 원수(명예직)로 임명했다.[80] 게르바시우스는 오토에게 기담집 『황제의 휴가』(''Otia Imperialia'')를 헌정했다.[80]
7. 가족 관계
오토 4세는 다른 모든 독일 국왕과 친척 관계였다. 그는 두 번 결혼했다.[32]
배우자 | 출신 가문 및 부모 | 비고 |
---|---|---|
슈바벤의 베아트리체 | 호엔슈타우펜 가문, 독일 국왕 필리프 폰 슈바벤과 아이린 앙겔리나의 딸 | 1209년 또는 1212년 결혼[32] |
브라반트의 마리아 | 브라반트 가문, 브라반트의 헨리 1세와 부로뉴의 마틸다의 딸 | 1214년 5월 19일 아헨에서 결혼[33] |
두 결혼 모두 자녀를 낳지 못했다. 오토 4세 사후 그의 유산은 조카인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오토 1세가 상속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Italian Republics in the Middle Ages
[2]
문서
Bryce
[3]
간행물
Al trono per caso
2009-10
[4]
백과사전
Otto IV
The Catholic Encyclopedia
[5]
문서
Abulafia
[6]
서적
Margaret, countess of Kent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7]
서적
Die deutschen Herrscher des Mittelalters: historische Portraits von Heinrich I. bis Maximilian I. (919–1519)
https://books.google[...]
C.H.Beck
[8]
문서
Comyn
[9]
서적
Die Doppelwahl von 1198 und seine diversen Wahlgänge: Philipp von Schwaben gegen Otto von Braunschweig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10]
문서
Comyn
[11]
서적
The rise of the medieval world, 500–1300
Greenwood
[12]
문서
Comyn
[13]
문서
Dunham
[14]
서적
Philipp von Schwaben und Otto IV. von Braunschweig
https://archive.org/[...]
Duncker & Humblot
[15]
문서
Comyn
[16]
서적
Three crises in early English history: personalities and politics during the Norman Conquest, the reign of King John, and the Wars of the Ros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7]
문서
Comyn
[18]
서적
The Norman kingdom of Sici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문서
Bryce
[20]
문서
Dunham
[21]
웹사이트
Pope Innocent III
[22]
문서
Abulafia
[23]
문서
Abulafia
[24]
문서
Abulafia
[25]
문서
Comyn
[26]
문서
Abulafia
[27]
서적
The History of France, from the final partition of the Empire of Charlemagne to the Peace of Cambray.
[28]
서적
The History of France, from the final partition of the Empire of Charlemagne to the Peace of Cambray.
[29]
문서
Comyn
[30]
웹사이트
Otto IV {{!}} Holy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2019-11-09
[31]
문서
Frederick II
[32]
백과사전
Beatrice of Swabia (1198–1235)
https://archive.org/[...]
Gale
2017-06-08
[33]
서적
Why Magna Carta?: Angevin England Revisited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34]
문서
로마왕은 제위의 전제가 된 동프랑크 왕위에서 개칭된 왕호. 현대에서 보면 실질 독일 왕이지만, 당시 국가・지역・민족으로서의 독일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 [[이탈리아 왕국 (중세)|이탈리아]]와 [[아를 왕국|부르군트]]에 대한 종주권을 갖추고 있다.
[35]
문서
당시에는 아직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국호는 없고, 고대 로마 제국 내에서 로마인과 혼교한 게르만 제국 및 그 후계 국가군의 총칭을 막연히 로마 제국이라고 부르고, 황제는 고대 제국의 자취인 로마 교회의 교황에 임명되어 대관했다. 신성 로마 황제는 역사학적 용어로 실제 칭호가 아니다.
[36]
문서
Bryce
[37]
간행물
Al trono per caso
2009-10
[38]
문서
Abulafia
[39]
서적
Margaret, countess of Kent
2004
[40]
서적
ザクセン大公ハインリヒ獅子公
[41]
서적
ザクセン大公ハインリヒ獅子公
[42]
문서
Comyn
[43]
서적
初期シュタウフェン朝
[44]
문서
Abulafia
[45]
문서
Comyn
[46]
문서
Comyn
[47]
서적
皇帝フリードリヒ二世
[48]
서적
初期シュタウフェン朝
[49]
문서
Dunham
[50]
문서
Canduci
[51]
문서
Comyn
[52]
서적
初期シュタウフェン朝
[53]
문서
Comyn
[54]
서적
皇帝フリードリヒ二世
[55]
서적
Abulafia
[56]
문서
Comyn
[57]
서적
皇帝フリードリヒ二世
[58]
문서
Dunham
[59]
문서
Abulafia
[60]
서적
初期シュタウフェン朝
[61]
문서
Abulafia
[62]
문서
Comyn
[63]
문서
Abulafia
[64]
서적
皇帝フリードリヒ二世
[65]
문서
Abulafia
[66]
서적
ブーヴィーヌの戦い
[67]
서적
ブーヴィーヌの戦い
[68]
서적
初期シュタウフェン朝
[69]
서적
皇帝フリードリヒ二世
[70]
문서
Abulafia
[71]
서적
Comyn
[72]
서적
初期シュタウフェン朝
[73]
서적
Deutschland
Karl Baedeker
[74]
서적
皇帝フリードリヒ二世
[75]
서적
ブーヴィーヌの戦い
[76]
서적
ワルターの歌
三修社
[77]
서적
ワルターの歌
三修社
[78]
간행물
Otto IV
Artemis & Winkler
[79]
서적
西洋中世奇譚集成 皇帝の閑暇
講談社学術文庫
[80]
서적
西洋中世奇譚集成 皇帝の閑暇
講談社学術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