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천 육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천 육씨는 중국 절강성 출신 육보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927년 신라에 귀화한 육보의 후손으로, 고려 충렬왕 때 육인단을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옥천을 본관으로 하며, 덕곡공파, 목사공파, 순찰사공파, 낭장공파 등으로 분파되었다. 고려 말 도순찰사 육려,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 등이 옥천 육씨에서 배출되었으며, 1985년 18,487명, 2015년 22,593명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천 육씨 - 육영수
    육영수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자 퍼스트레이디로서 사회복지 사업과 민원 해결에 힘썼으며 육영재단 설립 등으로 아동 복지 증진에 기여했으나,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저격으로 사망했다.
  • 옥천 육씨 - 육지담
    육지담은 힙합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연을 통해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여성 래퍼로, 다수의 음원 발매 및 방송 출연을 했으며 현재 동덕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이다.
옥천 육씨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자 표기沃川 陸氏
다른 이름관성 육씨
국가한국
지역옥천군
창시자육보
연결된 인물육영수
육성재
기원
기원육보
지역
근거지옥천군
구성원
주요 구성원육대춘
육용정
육종윤
육종관
육홍균
육지수
육완국
육인순
육인수
육영수
육완순
육명심
육동일
육동한
육근상
육동인
총 인구 (2015년)22,593명
추가 정보
각주Academy of Korean Studies 옥천육씨 沃川陸氏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KOSIS

2. 역사

《옥천육씨대동보(沃川陸氏大同譜)》와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따르면, 옥천 육씨의 시조(始祖) '''육보'''(陸普)는 중국 절강성 사람으로 927년(고려 태조 10년, 후백제 견훤 28년, 신라 경순왕 원년) 후당 명종이 문학전례지신(文學典禮之臣)을 뽑아 신라에 선교사(宣敎師)로 보낼 때 홍천하·정한 등과 함께 8학사의 한 사람으로 후삼국시대의 한반도에 동래(東來)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간 계대(繼代)를 실전(失傳)하여 고려 충렬왕 때 주부(主簿)를 역임한 '''육인단'''(陸仁端)을 1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繼承)하여 왔다.

『옥천 육씨 대동보』와 『조선씨족통보』에 따르면, 시조는 927년 중국 당나라에서 신라로 이주·귀화한 중국 절강성 출신의 육보(陸普)이다. 후당(後唐) 명종(明宗)이 문학전례지신(文學典禮之臣)을 신라에 선교사로 보냈을 때 홍은설 등 8학사의 한 사람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그 후의 계보는 전해지지 않고, 고려 충렬왕 시대의 주부 육인단(陸仁端)을 시조로 삼았다.

2. 1. 시조

《옥천육씨대동보(沃川陸氏大同譜)》와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따르면, 옥천 육씨의 시조(始祖) '''육보'''(陸普)는 중국 절강성(浙江省) 사람으로 927년(고려 태조 10년, 후백제 견훤 28년, 신라 경순왕 원년) 후당(後唐) 명종(明宗)이 문학전례지신(文學典禮之臣)을 뽑아 신라에 선교사(宣敎師)로 보낼 때 홍천하·정한 등과 함께 8학사의 한 사람으로 후삼국시대의 한반도에 동래(東來)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간 계대(繼代)를 실전(失傳)하여 고려 충렬왕 때 주부(主簿)를 역임한 '''육인단'''(陸仁端)을 1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繼承)하여 왔다.

2. 2. 기원

《옥천육씨대동보(沃川陸氏大同譜)》와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따르면, 옥천 육씨(沃川陸氏)의 시조(始祖) '''육보'''(陸普)는 중국 절강성(浙江省) 사람으로 927년(고려 태조 10년, 후백제 견훤 28년, 신라 경순왕 원년) 후당(後唐) 명종(明宗)이 문학전례지신(文學典禮之臣)을 뽑아 신라에 선교사(宣敎師)로 보낼 때 홍천하, 정한 등과 함께 8학사의 한 사람으로 후삼국시대의 한반도에 동래(東來)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중간 계대(繼代)를 실전(失傳)하여 고려 충렬왕 때 주부(主簿)를 역임한 '''육인단'''(陸仁端)을 1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繼承)하여 왔다. 陸(륙)씨는 중국 허난성 평원반군 륙향(陸郷)에 기원한다.

3. 본관

옥천(沃川)은 충청북도 남쪽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신라의 고시산군(古尸山郡)이었는데 경덕왕 때에 관성군(管城郡)으로 고쳤고, 1313년(고려 충선왕 5년)는 옥주(沃州)로 승격했다. 1413년(조선 태종 13)에는 옥천으로 개칭하고 경상도 관할에서 충청도로 변경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충청도 옥천군의 토성(土姓)으로 육(陸)·(黃)·(全)·신(申) 4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 충청북도 옥천군이 되었다.

4. 분파

육인단의 손자이자 육거원의 아들 대에서 덕곡공파(德谷公派)·목사공파(牧使公派)·순찰사공파(巡察使公派)·낭장공파(郎將公派)로 분파되었다. 맏아들 육려는 덕곡공파, 둘째 육항은 공주목사공파, 셋째 육비는 순찰사공파, 넷째 육수는 낭장공파로 크게 갈라졌고, 막내인 육대귀는 손자대에서 후손이 끊겼다.

5. 인물

덕곡공파(德谷公派)의 육려(陸麗)는 고려 말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왜적을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워 이름을 날렸으며, 조선 개국 후 벼슬을 버리고 충남 공주 덕리(德里)에 은거하였다.[7] 그의 손자 육명산(陸命山)은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했으며, 후대에 석동계(石同系)와 석정계(石貞系)로 나뉘었다.[7]

목사공파(牧使公派) 육항(陸沆)의 맏아들 육진(陸晉)의 후손에서 부위(副尉)를 지낸 육저(陸渚)와 제주목사(濟州牧使) 육한(陸閑), 동래현감(東來縣監) 육세영(陸世英), 정조 때 유학자 육상지(陸相贄) 등이 있다.[7] 둘째 아들 육상(陸常)의 후손으로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육춘수(陸春秀), 만호(萬戶) 육석(陸碩)과 선조 때 훈련원 판관(訓鍊院判官) 육성우(陸成禹) 등이 있다.[7]

순찰사공파(巡察使公派)는 육비(陸埤)의 아들 육애(陸涯)가 참판(參判)을 지냈으며, 그의 두 아들 부사 육지와 참봉(參奉) 육헌(陸軒) 대(代)에서 다시 두 파로 갈라졌다.[7]

낭장공파(郎將公派)는 명종 때 장사랑(將士郞)을 지낸 육한종(陸漢宗)과 선조 때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역임한 육붕(陸鵬)이 대표적이며, 숙종 때 학자 육홍(陸鴻)은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저서(著書)로 「석정유고(石亭遺稿)」를 남겼다.[7]

육대춘(陸大春)은 1546년(명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광양현감, 도승지(都承旨)를 역임했다.[7]

육용정(陸用鼎)은 기호성리학(畿湖性理學)의 거두였던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894년(고종 31) 아들 육종윤(陸鍾允)이 제중원주사(濟衆院主事)의 직위에 오르면서 서오릉(西五陵)의 참봉(參奉)에 제수(除授)되었다.[7] 그 해 갑오농민운동이 발발하면서 서울로 이사하게 되었고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로 승진하기도 하였다.[7] 그러나 육종윤(陸鍾允)이 아관파천 당시 유길준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하면서 그도 관직 생활을 그만두었다.[7] 이후에는 은거하면서 당대 지식인이었던 김택영(金澤榮)‧김윤식(金允植) 등과 교유하였다.[7] 1912년에는 그간 저술되었던 『의전문고(宜田文稿)』, 『의전시고(宜田詩稿)』, 『의전속고(宜田續稿)』, 『의전기술』 등을 모아서 『의전합고(宜田合稿)』를 출판하였다.[7]

육종윤(陸鍾允)은 1891년(고종 28) 진사(進士)가 되고, 1994년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가 되었다.[7] 1995년 3품으로 외부 교섭 국장(外部交涉局長)에 임용되고 주임관(奏任官) 4등에 서임되었다.[7]

육홍균(陸洪均)은 독립운동가이자 제헌 국회의원을 지냈다.[7]

육지수(陸芝修)는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및 대한지리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7]

육영수(陸英修)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다.[7]

육굉수(陸宏修)는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를 지냈다.

육완순(陸完順)은 무용가이자 이화여대 교수였다.[7]

육동한(陸東翰)은 제3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과 제37대 춘천시장을 역임했다.[7]

육동인(陸東仁)은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춘추관장과 메드팩토 부사장을 역임했다.[7]

육중완은 가수이다.

육성재는 BTOB의 멤버이다.

5. 1. 고려

덕곡공파(德谷公派)의 육려(陸麗)는 고려 말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왜적을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워 이름을 날렸으며, 조선 개국 후 벼슬을 버리고 충남 공주 덕리(德里)에 은거하였다.[7] 그의 손자 육명산(陸命山)은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했으며, 후대에 석동계(石同系)와 석정계(石貞系)로 나뉘었다.[7]

목사공파(牧使公派) 육항(陸沆)의 맏아들 육진(陸晉)의 후손에서 부위(副尉)를 지낸 육저(陸渚)와 제주목사(濟州牧使) 육한(陸閑), 동래현감(東來縣監) 육세영(陸世英), 정조 때 유학자 육상지(陸相贄) 등이 있다.[7] 둘째 아들 육상(陸常)의 후손으로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육춘수(陸春秀), 만호(萬戶) 육석(陸碩)과 선조 때 훈련원 판관(訓鍊院判官) 육성우(陸成禹) 등이 있다.[7]

순찰사공파(巡察使公派)는 육비(陸埤)의 아들 육애(陸涯)가 참판(參判)을 지냈으며, 그의 두 아들 부사 육지와 참봉(參奉) 육헌(陸軒) 대(代)에서 다시 두 파로 갈라졌다.[7]

낭장공파(郎將公派)는 명종 때 장사랑(將士郞)을 지낸 육한종(陸漢宗)과 선조 때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역임한 육붕(陸鵬)이 대표적이며, 숙종 때 학자 육홍(陸鴻)은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저서(著書)로 「석정유고(石亭遺稿)」를 남겼다.[7]

5. 2. 조선

덕곡공파(德谷公派)의 육려(陸麗)는 고려 말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왜적을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워 이름을 날렸으며, 조선 개국 후 벼슬을 버리고 충남 공주 덕리(德里)에 은거하였다.[7] 그의 손자(孫子) 육명산(陸命山)은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했으며 후대에 석동계(石同系)와 석정계(石貞系)로 나뉘어 조선조(朝鮮朝)에서 충의(忠義)의 전통을 이었다.[7]

목사공파(牧使公派) 육항(陸沆)의 맏아들 육진(陸晉)의 후손에서 부위(副尉)를 지낸 육저(陸渚)와 제주목사(濟州牧使) 육한(陸閑), 동래현감(東來縣監) 육세영(陸世英), 조선 정조(正祖) 때 유학자 육상지(陸相贄) 등이 있고, 둘째 아들 육상(陸常)의 후손으로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육춘수(陸春秀), 만호(萬戶) 육석(陸碩)과 선조(宣祖) 때 훈련원 판관(訓鍊院判官) 육성우(陸成禹) 등이 있다.[7]

순찰사공파(巡察使公派)는 육비(陸埤)의 아들 육애(陸涯)가 참판(參判)을 지냈으며, 그의 두 아들 부사 육지와 참봉(參奉) 육헌(陸軒) 대(代)에서 다시 두 파로 갈라졌다.[7]

낭장공파(郎將公派)는 조선 명종(明宗) 때 장사랑(將士郞)을 지낸 육한종(陸漢宗)과 선조(宣祖) 때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역임한 육붕(陸鵬)이 대표적이며, 숙종(肅宗) 때 학자 육홍(陸鴻)은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저서(著書)로 「석정유고(石亭遺稿)」를 남겼다.[7]

육대춘(陸大春)은 1546년(명종 1)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광양현감, 도승지(都承旨)를 역임했다.[7]

육용정(陸用鼎)은 기호성리학(畿湖性理學)의 거두였던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894년(고종 31) 아들 육종윤(陸鍾允)이 제중원주사(濟衆院主事)의 직위에 오르면서 서오릉(西五陵)의 참봉(參奉)에 제수(除授)되었다.[7] 그 해 갑오농민운동이 발발하면서 서울로 이사하게 되었고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로 승진하기도 하였다.[7] 그러나 육종윤(陸鍾允)이 아관파천 당시 유길준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하면서 그도 관직 생활을 그만두었다.[7] 이후에는 은거하면서 당대 지식인이었던 김택영(金澤榮)‧김윤식(金允植) 등과 교유하였다.[7] 1912년에는 그간 저술되었던 『의전문고(宜田文稿)』, 『의전시고(宜田詩稿)』, 『의전속고(宜田續稿)』, 『의전기술』 등을 모아서 『의전합고(宜田合稿)』를 출판하였다.[7]

육종윤(陸鍾允)은 1891년(고종 28) 진사(進士)가 되고, 1994년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가 되었다.[7] 1995년 3품으로 외부 교섭 국장(外部交涉局長)에 임용되고 주임관(奏任官) 4등에 서임되었다.[7]

육홍균(陸洪均)은 독립운동가이자 제헌 국회의원을 지냈다.[7]

육지수(陸芝修)는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및 대한지리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7]

육영수(陸英修)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다.[7]

육굉수(陸宏修)는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를 지냈다.

육완순(陸完順)은 무용가이자 이화여대 교수였다.[7]

육동한(陸東翰)은 제3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과 제37대 춘천시장을 역임했다.[7]

육동인(陸東仁)은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춘추관장과 메드팩토 부사장을 역임했다.[7]

5. 3. 근현대

육용정(陸用鼎, 1843년 ~ 1917년)은 호는 의전(宜田)으로,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현 출신이다.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894년(고종 31) 아들 육종윤(陸鍾允)이 제중원주사(濟衆院主事)에 오르면서 서오릉(西五陵) 참봉(參奉)에 제수(除授)되었다. 같은 해 갑오농민운동이 발발하면서 서울로 이사하여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로 승진하였다. 그러나 육종윤아관파천 당시 유길준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하면서 관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은거하며 김택영(金澤榮), 김윤식(金允植) 등과 교류하였다. 1912년에는 저술들을 모아 『의전합고(宜田合稿)』를 출판하였다.

육종윤(陸鍾允, 1863년 ~ ?)은 1891년(고종 28) 진사(進士)가 되고, 1994년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가 되었다. 1995년 3품으로 외부 교섭 국장(外部交涉局長)에 임용되고 주임관(奏任官) 4등에 서임되었다.

육홍균(陸洪均, 1900년 ~ 1983년)은 독립운동가이자 제헌 국회의원을 지냈다.

육지수(陸芝修, 1907년 ~ 1967년)는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및 대한지리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육영수(陸英修, 1925년 ~ 1974년)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다.

육굉수(陸宏修, 1925년 ~ 2023년)는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를 지냈다.

육완순(陸完順, 1933년 ~ 2021년)은 무용가이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였다.

육동한(陸東翰, 1959년 ~ )은 제3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과 제37대 춘천시장을 역임하였다.

육동인(陸東仁, 1962년 ~ )은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춘추관장을 지냈으며, 현재 메드팩토 부사장이다.

6. 과거 급제자

옥천 육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명, 무과 급제자 7명, 생원·진사 11명을 배출하였다.[8][5]
문과육대춘
무과육억구 육자흘 육중수 육중휘 육진성 육천구 육충립
생원시육공달 육금석 육대붕 육병란 육상룡 육치
진사시육용필 육종윤 육지원 육해원 육홍운

7. 항렬자

style="width:4em;" |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
상(相)병(炳)균(均)종(鐘)수(洙)근(根)심(心)군(君)금(錦)치(治)
김(金)신(申)조(趙)육(陸)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희(熙)명(明)민(民)기(基)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진(珍)림(林)호(鎬)항(恒)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광(光)세(世)공(公)보(菩)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수(洙)나(娜)달(達)지(枳)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style="width:4em;" |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
보(保)구(久)생(生)명(銘)지(知)인(仁)섭(燮)재(在)현(鉉)준(準)
모(模)훈(熏)배(培)호(鎬)옥(沃)주(柱)환(煥)중(重)일(鎰)기(沂)
짝수 세대는 마지막 자의 돌림을 쓰고 홀수 세대는 중간 자의 돌림을 쓴다.


8. 집성촌

9. 인구

198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옥천 육씨는 4,341가구 18,027명, 관성 육씨는 110가구 460명으로 총 18,487명이었다.[3]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는 옥천 육씨 6,259가구 20,173명, 관성 육씨 404가구 1,329명으로 총 21,502명으로 집계되었다.[3]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는 옥천 육씨 21,410명, 관성 육씨 1,183명으로 총 22,593명이다.[3]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옥천육씨 沃川陸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웹사이트 부천족보전문도서관 http://www.jokbo.re.[...]
[5]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6] 웹사이트 육씨(陸氏) 본관(本貫) 옥천(沃川)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7] 웹사이트 부천족보전문도서관 http://www.jokbo.re.[...]
[8] 인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