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선은 군마현 기류역과 도치기현 마토역을 잇는 44.1km의 철도 노선이다. 1911년 아시오 철도로 시작하여, 1913년 국유화되어 일본국유철도 아시오선으로 운영되다, 1989년 와타라세 계곡 철도로 전환되었다. 광석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으나, 아시오 동광 폐광 이후 관광 노선으로 운영되며, 토롯코 열차 등 다양한 운행 형태를 갖추고 있다. 노선은 국가 등록 유형 문화재로 지정된 역사와 교량 등 다양한 문화유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적자 운영으로 존폐 위기를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치기현의 철도 -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 철도는 1989년 개업한 일본의 제3섹터 철도로, 기류역에서 마토역까지 44.1km 구간을 운행하며 적갈색 차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 도치기현의 철도 - 도부 사노선
    도부 사노선은 군마현 관린시와 도치기현 사노시를 잇는 도부 철도 노선으로, 석회석 및 목재 운송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철도로 전환 후 도부 철도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단선 철로에서 특급열차와 보통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와타라세 계곡 철도 - 기류역
    기류역은 군마현 기류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료모선과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선의 환승역으로, 료모선은 이세사키역과 오야마역을 연결하며 와타라세 계곡선은 이 역이 기점이다.
  • 와타라세 계곡 철도 - 오마마역
    오마마역은 군마현 미도리시에 있는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선의 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토롯코 열차 전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와타라세 계곡 철도의 중심역 역할을 하고, 1911년 개업 이후 역명 변경을 거쳐 2009년 역 건물 등이 등록 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군마현의 철도 - 도부 기류선
    도부 기류선은 1911년 610mm 궤간의 손수레 철도로 시작하여 1913년 도부 철도에 인수된 후 1,067mm 궤간으로 개량되어 아사쿠사역과 아카기역을 잇는 료모호와 보통 열차를 운행한다.
  • 군마현의 철도 -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 철도는 1989년 개업한 일본의 제3섹터 철도로, 기류역에서 마토역까지 44.1km 구간을 운행하며 적갈색 차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와타라세 계곡선
원어 이름わたらせ渓谷線
로마자 표기Watarase Keikoku-sen
다른 이름와타라세 계곡 철도 (わたらせ渓谷鐵道, Watarase Keikoku Tetsudō)
와타케 (わた渓)
와테쓰 (わ鐵)
노선 색상#666666
노선 길이44.1 km
궤간1067 mm
역 수17
선로 수단선
개통일1911년 4월 15일
최대 속도75 km/h
차량기지정보 없음 (자세한 내용은 와타라세 계곡 철도#차량 참조)
운영 정보
소유자와타라세 계곡 철도
운영자와타라세 계곡 철도
전철화 방식전 구간 비전철화
폐색 방식단선 자동 폐색식 (기류 - 시모닛타 신호장 구간)
자동 폐색식 (특수) (시모닛타 신호장 - 아이오이 구간)
특수 자동 폐색식 (전자 부호 대조식) (아이오이 - 마토 구간)
열차 보안 장치ATS-P (기류 - 시모닛타 신호장 구간)
ATS-S (시모닛타 신호장 - 마토 구간)
노선 정보
기점기류 역
종점마토 역
노선 기호WK
제3섹터 전환1989년 3월 29일
기타
와타라세 계곡 철도 Wa 89-313 열차.
와타라세 계곡선을 달리는 WKT-500형 기동차

2. 역사

1910년 1월 31일, 기류(桐生) - 아시오 간 본 면허장이 하부되었다.[10] 이후 아시오 철도(足尾鉄道) 시대, 일본국유철도 아시오선 시대를 거쳐 와타라세 계곡 철도 시대로 이어졌다.


  • 1911년 4월 15일 - 아시오 철도가 시모시니다 연락소 - 오마마마초 간을 개업했다.[11] (기류 - 시모시니다 연락소 간은 관설 철도 료모선(両毛線) 이용).
  • 1912년 7월 1일 - 아이오이(相生) 역을 아이로이(相老) 역으로 개칭했다.[12]
  • 1912년 9월 5일 - 오마마마초 - 신토(神土)(현 고베(神戸)) 간 연장 개업했다.[13]
  • 1912년 11월 11일 - 신토 - 사와이리(沢入) 간 연장 개업했다.[14]
  • 1912년 12월 1일 - 오마마마초 역을 오마마마(大間々) 역으로 개칭했다.[15]
  • 1912년 12월 31일 - 사와이리 - 아시오(足尾) 간 연장 개업했다.[16]
  • 1913년 10월 13일 - 국가가 임대하여 아시오선(기류 - 아시오)으로 개칭했다.[17]
  • 1914년 8월 25일 - 아시오 - 아시오혼산 간 화물 지선 개업(아시오선 전통, 동시에 임대).[18]
  • 1914년 11월 1일 - 마토(間藤) 역 개업. 아시오 - 마토 간 여객 영업 개시.[19]
  • 1918년 6월 1일 - 매수, 국유화. 아시오선(기류 - 마토, 마토 - 아시오혼산(화물선)).
  • 1934년 2월 1일 - C12형 증기 기관차 사용 개시.[20]
  • 1956년 11월 - 키하04형 기동차 운전 개시.[20]
  • 1959년 9월 8일 - 구사키(草木) 역 신설.[21]
  • 1960년 3월 22일 - 여객 열차를 전면 디젤카로 운행함.[20] 이에 따라 혼합 열차는 폐지되었다.[22]
  • 1960년 11월 18일 - 고나카(小中) 역 신설.
  • 1970년 9월 30일 - C12형 증기 기관차가 폐지(10월 4일 작별 운전)되고 DE10형 디젤 기관차로 교체되었다.[20]
  • 1973년 2월 23일 - 아시오 동산 폐산. 제련소는 수입 광석으로 가동되었다.[20]
  • 1973년 6월 27일 - 구사키(草木) 댐 건설로 신토 - 사와이리 간을 구사키(草木) 터널 경유의 신선으로 변경하고, 구사키 역은 폐지되었다.
  • 1984년 9월 11일 - 폐지 승인(제2차 폐지 대상 특정 지방 교통선).
  • 1987년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 철도에 승계되었다.
  • 1989년 3월 29일 - JR 아시오선 폐지.[23]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선 기류 - 마토 간 (44.1 km) 개업.[23] 운동공원 역, 혼슈쿠 역, 나카노 역이 신설되었고, 신토 역은 고베 역으로 개칭되었다. 자동 폐색화에 따라 미즈누마 역, 고베 역, 사와이리 역은 무인화되었다.


와타라세 계곡 철도 시대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92년 3월 14일시모시니다 역 신설.
1998년 6월 2일마토 ~ 아시오혼산 간의 철도 사업 면허 실효.
2002년 5월 17일사태 붕괴로 인해 아시오 ~ 마토 간 운행 중단.[24]
2002년 8월 4일아시오 ~ 마토 간 운행 재개.[24]
2006년 3월 18일다이어 개정으로 열차 운행 횟수 감소, 막차 시간 30분 정도 앞당김.
2011년 3월 11일동일본대지진 발생, 아시오 동광의 겐고로자와 퇴적장 붕괴로 고베 ~ 마토 간 운행 중단.
2011년 3월 14일도쿄 전력의 순차 정전(계획 정전) 실시로 전 노선 운행 중단.
2011년 3월 17일아이로이 ~ 고베 간 운행 재개.
2011년 3월 31일기류 ~ 아이로이 간 운행 재개.
2011년 4월 1일고베 ~ 마토 간 운행 재개.
2017년 3월 22일역 번호 부여 도입 발표.[25]
2017년 5월 22일미즈누마 ~ 하나와 간 야기하라 건널목 부근에서 검측 차량(키야E193계) 탈선 사고 발생(와타라세 계곡 철도 탈선 사고). 오마마마 ~ 마토 간 상하선 운행 중단.[26][27]
2017년 6월 10일선로 안전 확인 및 보선 작업 종료로 오마마마 ~ 마토 간 운행 재개.[29][30]


2. 1. 아시오 철도 시대 (1911년 ~ 1913년)

아시오 철도(足尾鉄道)는 아시오 동광(足尾銅山)에서 생산되는 광석 수송을 위해 부설한 노선이다. 1911년부터 1912년까지 마토(間藤)에서 2km 떨어진 아시오모토야마(足尾本山)까지 노선을 개통하여 아시오 동광을 운영했다.[1] 아시오 철도는 자본금 200만, 총 주식 수 4만 주 중 2만 100주를 고가 코지노스케(古河虎之助)가 인수했고, 사장에는 고가 회사 간부인 콘도 리쿠사부로(近藤陸三郎)가 취임했다.

영업 개시에 맞춰 기차 제조(汽車製造)에 주문했던 증기 기관차 4량의 완성이 늦어져, 긴급히 국철에 양도를 요청하여 기관차 1량을 확보했다.[8] 객차는 난카이 철도에서 전철화로 인해 여유가 생긴 목조 2축 객차 8량을 양도받았다. 화차 27량으로 영업 개시에 맞췄다.

광석 수송은 국가 정책상 중요했기 때문에 1913년에는 전 노선이 국가에 의해 임대되었고,[1] 1918년에는 매수되어 국유화되었다.

  • 1911년(메이지 44년) 4월 15일 - 아시오 철도 시모시니다 연락소(下新田連絡所) - 오마마마초(大間々町) 간 개업[11](기류 - 시모시니다 연락소 간은 관설 철도 료모선(両毛線)을 이용).
  • 1912년(메이지 45년) 7월 1일 - 아이오이(相生) 역을 아이로이(相老) 역으로 개칭[12].
  • 1912년(다이쇼 1년)
  • * 9월 5일 - 오마마마초 - 신토(神土)(현 고베(神戸)) 간 연장 개업[13].
  • * 11월 11일 - 신토 - 사와이리(沢入) 간 연장 개업[14].
  • * 12월 1일 - 오마마마초 역을 오마마마(大間々) 역으로 개칭[15].
  • * 12월 31일 - 사와이리 - 아시오(足尾) 간 연장 개업[16].
  • 1913년(다이쇼 2년) 10월 13일 - 국가가 임대. 아시오선(기류 - 아시오)으로 개칭[17].

2. 2. 일본국유철도 아시오선 시대 (1913년 ~ 1989년)

1911년 아시오 철도(足尾鉄道)가 아시오 구리 광산 운영을 위해 마토(間藤)에서 2km 떨어진 아시오-모토야마(足尾本山)까지 노선을 개통했고, 1913년에 일본국유철도(JNR)에 노선을 임대했다. 1914년부터 여객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1918년에는 노선이 국유화되었다.[1]

아시오(足尾) 동산에서 생산되는 광석 수송을 위해 아시오 철도가 부설한 노선이다. 아시오 철도는 자본금 200만, 총 주식 수 4만 주 중 2만 100주를 고가 코지노스케(古河虎之助)가 인수했고, 사장에는 고가 회사 간부인 콘도 리쿠사부로(近藤陸三郎)가 취임했다. 영업 개시에 맞춰 기차 제조(汽車製造)에 주문했던 증기 기관차 4량의 완성이 늦어졌기 때문에 급히 국철에 양도를 요청하여 기관차 1량을 확보했고,[8] 객차는 난카이 철도에서 전철화로 인해 여유분이 된 목조 2축 객차 8량을 양수받았다. 화차 27량으로 영업 개시에 맞췄다. 광석 수송은 국가 정책상 중요했기 때문에 1913년에는 전 노선이 국가에 의해 임대되었고, 1918년에는 매수되어 국유화되었다.

1973년 아시오 구리 광산이 폐광되었고, 같은 해 쿠사키 댐(Kusaki Dam) 건설을 위해 노선이 변경되었다.[1] 5242m 길이의 쿠사키 터널(草木トンネル) 건설도 포함되었다.

최성기에는 일본 국내 구리 생산량의 4할을 차지했던 아시오 동산이지만, 자원 고갈로 1973년에 폐산되었고, 그 후에도 수입 광석의 제련이 계속되었으나, 1986년에는 그것도 축소되었고, 아시오선에 의한 광석, 제련용 황산의 수송도 폐지되었다.

동산의 쇠퇴와 보조를 맞추듯 아시오선의 수송량도 감소를 계속하여, 영업 계수는 677에 달했고, 1980년 국철 재건법 시행에 따라 1984년에 제2차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었다.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JR 동일본의 노선이 된 후, 1989년에 와타라세 계곡 철도로 전환되었다. 참고로, 화물 전용이었던 마토(間藤) - 아시오혼산(足尾本山) 간은 전환 시에 폐선되었고, 와타라세 계곡 철도가 동 구간의 철도 사업 면허를 취득했지만, 미개업 상태로 면허가 실효되었다.

  • 1913년(다이쇼 2년) 10월 13일 - 국가가 임대. 아시오선(기류 - 아시오)으로 개칭.[17]
  • 1914년(다이쇼 3년)
  • * 8월 25일 - 아시오 - 아시오혼산 간 화물 지선 개업(아시오선 전통. 동시에 임대).[18]
  • * 11월 1일 - 마토 역 개업. 아시오 - 마토 간 여객 영업 개시.[19]
  • 1918년(다이쇼 7년) 6월 1일 - 매수, 국유화. 아시오선(기류 - 마토, 마토 - 아시오혼산(화물선)).
  • 1934년(쇼와 9년) 2월 1일 - C12형 증기 기관차 사용 개시.[20]
  • 1956년(쇼와 31년) 11월 - 키하04형 기동차 운전 개시.[20]
  • 1959년(쇼와 34년) 9월 8일 - 쿠사키(草木) 역 신설.[21]
  • 1960년(쇼와 35년)
  • * 3월 22일 - 여객 열차를 전면 디젤카로 함.[20] 이에 따라 혼합 열차는 폐지됨.[22]
  • * 11월 18일 - 고나카(小中) 역 신설.
  • 1970년(쇼와 45년) 9월 30일 - C12형 증기 기관차가 폐지됨(10월 4일 작별 운전). DE10형 디젤 기관차로 교체.[20]
  • 1973년(쇼와 48년)
  • * 2월 23일 - 아시오 동산 폐산. 제련소는 수입 광석에 의해 가동.[20]
  • * 6월 27일 - 쿠사키(草木) 댐 건설에 따라, 신토 - 사와이리 간을 쿠사키 터널 경유의 신선으로 바꿈. 쿠사키 역 폐지.
  • 1984년(쇼와 59년) 9월 11일 - 폐지 승인(제2차 폐지 대상 특정 지방 교통선).
  • 1987년(쇼와 62년)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 철도에 승계.
  • 1989년(헤이세이 1년) 3월 29일 - JR 아시오선 폐지.[23]

2. 3. 와타라세 계곡 철도 시대 (1989년 ~ 현재)

1989년, 기류와 마토 사이의 노선 운영은 제3섹터 회사인 와타라세 계곡 철도로 이관되었다.[2] 이와 동시에 아시오 ~ 마토 구간은 폐쇄되었다. 와타라세 계곡 철도는 해당 구간의 철도 사업 면허를 취득했지만, 미개업 상태로 면허가 실효되었다.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1989년에 JR 아시오선은 폐지되고,[23]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선 기류 ~ 마토 구간(44.1 km)이 개업했다.[23] 운동공원 역, 혼슈쿠 역, 나카노 역이 신설되었고, 신토 역은 고베 역으로 개칭되었다. 자동 폐색화에 따라 미즈누마 역, 고베 역, 사와이리 역은 무인화되었다.

이후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92년 3월 14일시모시니다 역 신설.
1998년 6월 2일마토 ~ 아시오혼산 간의 철도 사업 면허 실효.
2002년 5월 17일사태 붕괴로 인해 아시오 ~ 마토 간 운행 중단.[24]
2002년 8월 4일아시오 ~ 마토 간 운행 재개.[24]
2006년 3월 18일다이어 개정으로 열차 운행 횟수 감소, 막차 시간 30분 정도 앞당김.
2011년 3월 11일동일본대지진 발생, 아시오 동산의 겐고로자와 퇴적장 붕괴로 고베 ~ 마토 간 운행 중단.
2011년 3월 14일도쿄 전력의 순차 정전(계획 정전) 실시로 전 노선 운행 중단.
2011년 3월 17일아이로이 ~ 고베 간 운행 재개.
2011년 3월 31일기류 ~ 아이로이 간 운행 재개.
2011년 4월 1일고베 ~ 마토 간 운행 재개.
2017년 3월 22일역 번호 부여 도입 발표.[25]
2017년 5월 22일미즈누마 ~ 하나와 간 야기하라 건널목 부근에서 검측 차량(키야E193계) 탈선 사고 발생(와타라세 계곡 철도 탈선 사고). 오마마마 ~ 마토 간 상하선 운행 중단.[26][27]
2017년 6월 10일선로 안전 확인 및 보선 작업 종료로 오마마마 ~ 마토 간 운행 재개.[29][30]


3. 노선 정보


  • 노선 거리(영업 거리): 44.1km
  • 기류-시모신덴 신호장 간 1.7km는 JR 동일본 료모선과 시설 공용.
  • 궤간:
  • 역 수: 17개 역 (기·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
  • 전철화 구간: 없음 (전 구간 비전철화)
  • 폐색 방식:
  • 기류 - 시모신덴 신호장 간: 단선 자동 폐색식
  • 시모신덴 신호장 - 아이오이 간: 자동 폐색식(특수)
  • 아이오이 - 마토 간: 특수 자동 폐색식(전자 부호 조사식)
  • 보안 장치:
  • 기류 - 시모신덴 신호장 간: ATS-P
  • 시모신덴 신호장 - 마토 간: ATS-SN
  • 최고 속도: 75 km/h[3]

4. 역 목록

조모 전기 철도:조모선 (니시키류역)∨군마현기류시-시모신덴 신호장-1.7※료모선과의 시설상 분기점|WK02시모신덴역1.91.9|WK03아이오이역1.23.1도부 철도기류선◇WK04운동공원역1.14.2조모 전기 철도:조모선 (기류큐조마에역)|WK05오마마역3.17.3◇미도리시WK06가미칸바이역5.112.4|WK07모토주쿠역1.413.8|기류시WK08미즈누마역3.116.9◇WK09하나와역4.121.0|미도리시WK10나카노역1.022.0|WK11고나카역2.424.4|WK12고도역2.026.4◇WK13소리역7.033.4◇WK14하라무코역5.338.7|도치기현
닛코시WK15쓰도역3.241.9|WK16아시오역0.942.8◇WK17마토역1.344.1|

5. 운행 형태

와타라세 계곡선은 아시오 동산에서 생산되는 광석 수송을 위해 부설되었던 아시오선이 그 기원이다. 기류역에서 오오마마역까지는 시가지를 달리며, 오오마마역 북쪽 구간에서는 와타라세가와 상류의 계곡을 따라 숲과 지류를 건너며 운행한다. 특히 초여름의 신록과 가을 단풍의 경치가 아름다워, 임시 운행되는 트롤리 열차를 타면 바람을 맞으며 계곡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다.

기류역과 마토역 간 열차는 대략 1~2시간에 1대 정도로 하루 11회 왕복 운행되며(하행 최종 열차는 아시오역 종착), 기류역과 오오마마역 간 구간 열차는 통학 시간대를 중심으로 하루 7회 왕복 운행된다. 이 외에도 아시오역과 마토역 간 구간 열차는 아시오역 출발 오전 5~6시대 하행과 마토역 출발 저녁 9시대 상행이 운행된다. 연선에서 축제가 개최되는 날에는 기류역과 미즈누마역 간, 그리고 기류역과 고베역 간에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또한, 대망일에는 새해 첫 참배 열차로 기류역과 가미신바이역 간에 1회 왕복 운행된다.

2006년 3월 17일까지는 운행 편수가 더 많았고, 아침에는 고베역에서 회차하는 열차가 있었으며, 최종 열차가 저녁 9시대 후반에 설정되어 있었다. 일부 열차는 3량 편성으로 운행되기도 했다.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지만, 평일 아침 기류역과 오오마마역 간 열차, 휴일 등의 낮 열차 등에는 많은 승객 대응을 위해 차장이 승무한다. 평일 낮에도 어텐던트가 오오마마역과 고베역 간을 중심으로 승무하는 경우가 있다. 단, 보충권은 아침에는 취급하지 않고, 낮 시간대에만 취급한다. 원맨 운전 시 2량 편성인 경우, 오오마마역 이후는 2량째 승강구는 폐쇄되고, 1량째만 승강이 가능하지만, 차장이 승무하는 열차에서 차장이 2량째에 있는 경우에는 2량째도 승강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단체 고객 전세의 경우나, 오오마마역에서 분리하는 경우, 시발역인 기류역부터 1량을 폐쇄한다. 단체로 전세 열차를 이용하는 경우, 트롤리 열차 운행편을 제외하고는 보통 열차에 연결되어 각역 정차로 운행된다. 선두 또는 후미 차량만 일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은 전용 열차로 전세된다.

열차 화장실이 있는 차량으로 운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1량 편성인 경우에는 화장실이 없는 차량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2량 편성 운행 시에는 1곳 또는 2곳에 화장실이 있다. 화장실 위치는 가장 앞쪽 오른쪽 문 옆(간토 방향 운전석 근처)에 있으며, 수세식이다.

영업 시간 내 오오마마역 이외 모든 역에서 요금은 차내 정산이다. 미리 요금함에 있는 환전기로 환전해야 하며, 열차 지연의 원인이 되므로 차내 방송으로 하차 직전의 환전은 하지 않도록 주의를 촉구한다. 환전은 진행 방향 1량째 요금함에서만 가능하다. 와타라세 계곡선의 승차권(표)을 가지고 있는 경우, 유인역에 한하여 열려있는 가장 가까운 문으로 하차할 수 있다. 단, 기류역의 경우 JR이 관리하는 역이므로, 기관사가 있는 문에서 승차권을 보여주고 내린 후, 창구 개찰에서 표를 제출한다.

1998년 10월 10일부터 불규칙적이지만 트롤리 와타라세 계곡호가 운행되고 있다. 2012년 4월 1일부터는 자주식 트롤리 기동차 WKT-550형에 의한 트롤리 와씨호도 운행되고 있다.

6. 관광 열차

와타라세 계곡선은 아시오 동산에서 생산되는 광석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노선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초여름의 신록과 가을 단풍의 경치가 아름다워, 임시 운행되는 트롤리 열차에서는 바람을 맞으며 계곡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다.

2008년 7월 23일2009년 11월 19일에는 와타라세 계곡선의 여러 시설들이 국가 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와타라세 계곡 철도에서는 관광객을 위한 특별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이 열차들은 와타라세 계곡의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승차를 위해서는 별도의 트롤리 정리권이 필요하다.

6. 1. 트롤리 와타라세 계곡호

1998년 10월 10일 기관차 견인 방식의 '트롤리 와타라세 계곡호'(トロッコわたらせ渓谷号일본어)가 운행을 시작했고, 2012년 4월 1일에는 자주식 기동차 방식의 '트롤리 왓시호'(トロッコわっしー号일본어)가 운행을 시작했다. 와철(わ鐵) 아텐던트(차장)의 차창 안내, 계곡의 자연을 만끽하기 위한 일부 구간 감속 운행 및 일시 정차, 초목터널 통과 시 차내 일루미네이션 점등 등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5]

4월부터 11월까지의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과 관광 적기 평일의 일부에는 트롤리 와타라세 계곡호 1왕복과 트롤리 왓시호 2왕복 모두 또는 어느 한 쪽이 운행되며, 겨울에는 일요일과 일부 특정일에 트롤리 왓시호 1왕복이 운행된다. 탑승에는 일반 여객 승차권 또는 하루 프리 티켓 외에 1회 탑승 시마다 트롤리 정리권이 필요하다. 하행 트롤리 와타라세 3호를 제외하고(후술), 전석 자유석이다. 유리창이 있는 일반 차량 전용 정리권도 있지만, 그 경우 트롤리 차량에는 착석할 수 없다. 정리권은 어른 편도 520JPY, 어린이 편도 260JPY(2022년 4월 1일 현재)이며, 단체 이용 시 할인이 있다. 트롤리 정리권은 오오마마역(大間々駅), 아이로오역(相老駅), 츠우도오역(通洞駅) 외에, 기류역(桐生駅) 구내 기류 시민 활동 추진 센터 유이(ゆい), 로손(ローソン), 미니스톱(ミニストップ) 티켓, 여행사 등에서 1개월 전부터 판매된다.[5]

6. 2. 트롤리 와씨호

1998년 10월 10일 기관차 견인 방식의 「트롤리 와타라세 계곡호」(トロッコわたらせ渓谷号)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2년 4월 1일에는 자주식 기동차 방식의 「트롤리 왓시호」(トロッコわっしー号) 운행이 시작되었다.[5] 와타라세 계곡 철도(와철) 차장(아텐던트)의 차창 안내, 계곡의 자연을 만끽하기 위한 일부 구간 감속 운행 및 일시 정차, 초목터널 통과 시 차내 조명 점등 등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5]

4월부터 11월까지의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과 관광 성수기 평일 일부에는 트롤리 와타라세 계곡호 1왕복과 트롤리 왓시호 2왕복 모두 또는 둘 중 하나가 운행되며, 겨울에는 일요일과 일부 특정일에 트롤리 왓시호 1왕복이 운행된다.[5] 탑승에는 일반 여객 승차권 또는 하루 프리 티켓 외에 1회 탑승 시마다 트롤리 정리권이 필요하다.[5] 하행 트롤리 와타라세 3호를 제외하고 전석 자유석이다.[5] 유리창이 있는 일반 차량 전용 정리권도 있지만, 이 경우 트롤리 차량에는 앉을 수 없다.[5]

정리권은 어른 편도 520JPY, 어린이 편도 260JPY(2022년 4월 1일 기준)이며, 단체 이용 시 할인이 적용된다.[5] 트롤리 정리권은 오마마역, 아이오이역, 쓰도역 외에, 기류역 구내 기류 시민 활동 추진 센터 유이, 로손, 미니스톱 티켓, 여행사 등에서 1개월 전부터 판매한다.[5]

7. 연선 풍경

와타라세 계곡선은 아시오 동산에서 생산되는 광석 수송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와타라세가와 상류의 계곡을 따라 숲과 지류를 지난다. 특히 초여름의 신록과 가을 단풍의 경치가 아름다우며, 임시 운행되는 트롤리 열차에서는 바람을 맞으며 계곡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다.[4]

기류역에서 오오마마역까지는 시가지를 달리며, 오오마마역 북쪽 구간부터는 와타라세가와 계곡을 따라간다. 아시오 광독 사건의 영향으로 아직도 벌거벗은 산이 이어져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하기도 한다.

2008년 7월 23일에는 카미신바이역 역사 등이, 2009년 11월 19일에는 고베역 역사와 조카 터널 등 37건이 국가 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오마마역에서는 와타라세가와와 국도 122호선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한다. 국도 122호선은 「동가도(銅街道)」라고도 불리며, 구리 수송로였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오마마역을 지나면 「나나마가리노케이(七曲の渓)」라 불리는 계곡이 나타나며, 이곳이 와타라세 계곡선의 주요 연선 풍경이다.

카미카메우메역을 지나 혼슈쿠역을 지나면 단풍 명소 중 하나인 후루세케이(古路瀬渓谷) 계곡을 따라간다.

중간의 미즈누마역에는 온천 센터가 병설되어 있다.

고베역 구내에는 폐차된 도부 철도 특급 차량 1720계 2량을 이용한 열차 레스토랑 「세이류(清流)」가 있다. 또한, 꽃복숭아가 심어져 있어 봄에는 꽃복숭아 축제가 개최된다.

고베역을 출발하면 쿠사키 댐 건설로 수몰된 구선(舊線)으로부터의 부대(付替)를 위해 건설된 쿠사키 터널에 들어간다. 쿠사키 터널을 통과한 후 쿠사키호를 건너 사와이리역에 도착한다.

사와이리역∼하라무케역 간은 백목석 천연암 등으로 경관이 형성되어 연선에서 가장 아름다운 구간으로 꼽힌다. 트롤리 열차는 관상을 위해 감속·일시 정차를 실시한다. 군마현에서 도치기현으로 들어간다.[4]

하라무케역을 지나 아시오 시가지에 들어가면 아시오 동산 시설 흔적을 따라 츠우도역, 아시오역을 거쳐 종착역인 마토역에 도착한다.

8. 문화재

2008년 7월 23일에 카미신바이역 역사 등이, 2009년 11월 19일에는 고베역 역사와 조카 터널 등 37건이 국가 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

다음 시설은 국가 등록유형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명칭이미지
제1마츠키가와교량(第一松木川橋梁)
아시오역 본옥 및 상행선 플랫폼(足尾駅本屋および上り線プラットホーム)--
아시오역 화물창고 및 플랫폼(足尾駅貨物上屋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
아시오역 하행선 플랫폼(足尾駅下り線プラットホーム)
아시오역 플랫폼
아시오역 소화물보관소(足尾駅手小荷物保管庫)
아시오역 위험물창고(足尾駅危険品庫)
시부카와교량(渋川橋梁)
츠우도역 본옥 및 플랫폼(通洞駅本屋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
츠우도교량(通洞橋梁)
아리코시자와교량(有越沢橋梁)
제2와타라세가와교량(第二渡良瀬川橋梁)
가사마쓰터널(笠松トンネル)
요시노자와가히(吉ノ沢架樋)
나고에터널(名越トンネル)
사와이리역 상행선 플랫폼 및 대합실(沢入駅上り線プラットホームおよび待合所)
사와이리역 대합실
사와이리역 하행선 플랫폼 및 대합실(沢入駅下り線プラットホームおよび待合所)--
고베역 본옥 및 하행선 플랫폼(神戸駅本屋および下り線プラットホーム)--
고베역 휴게실(神戸駅休憩所)
고베역 위험물창고(神戸駅危険品庫)
고베역 상행선 플랫폼(神戸駅上り線プラットホーム)--
제2칸도터널(第二神土トンネル)
제1칸도터널(第一神土トンネル)
코나카가와교량(小中川橋梁)
도자와교량(唐沢橋梁)
코구로가와교량(小黒川橋梁)
미즈누마자와교량(水沼沢橋梁)
후도자와교량(不動沢橋梁)
에도가와교량(江戸川橋梁)
조가시타터널(城下トンネル)
조가시타교량(城下橋梁)
후카자와교량(深沢橋梁)
카미칸바이역 본옥 및 플랫폼(上神梅駅本屋およびプラットホーム)--
제3칸바이터널(第三神梅トンネル)
제2칸바이터널(第二神梅トンネル)
제1칸바이터널(第一神梅トンネル)
테후리야마가히(手振山架樋)
오마마역 본옥 및 하행선 플랫폼(大間々駅本屋および下り線プラットホーム)
오마마역 본옥
오마마역 상행선 플랫폼(大間々駅上り線プラットホーム)
오마마역 플랫폼


9. 존폐 문제

와타라세 계곡 철도는 개업 이래 적자에 시달려 왔으며, 기금도 2003년에 소진되어 최근 몇 년 동안 존폐 문제가 자주 제기되었다. 그러나 2007년 5월 28일 열린 "와타라세 계곡 철도 재생협의회" 총회에서, 이전까지 "적자 보전을 위한 세금은 투입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고수해 온 군마현이 노력 절감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해 "현대화 설비비 보조" 형태로 지원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와타라세 계곡 철도는 몇 가지 증수책을 실행했는데, 그중 하나로 2005년 9월에 "와타라세 꿈 승차권"을 발매했다. 이 승차권은 10000JPY으로 1년간 전 구간 승하차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이었다. 하지만 기존의 통근·통학용 정기권보다 훨씬 저렴하여 오히려 수입 감소를 초래했고, 결국 2006년 9월을 끝으로 발매가 중지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의 영향으로 수입이 크게 감소했다. 이에 따라 2량에 5000만에 달하는 트롤리 와시호의 검사 비용 지원을 목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956만의 지원을 받았다.[31]

10. 승차권 정보

와타라세 계곡선에서는 일반 승차권으로 편도 승차권은 당일 한정, 왕복 승차권은 구입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일반 승차권을 미리 구입한 경우, 미즈누마역과 고베역에서 하차할 수 있다. 아이로, 오마마, 쓰도, 아시오 역에서는 모든 구간의 편도 및 왕복 승차권을 판매하며, 기류역에서는 기류역 출발 편도 승차권만 판매한다. 일반 승차권 외에도 정기권(통근·통학), 회수권, 단체 승차권, 장애인 할인(정신 장애 포함), 운전면허증 자진 반납자 할인 등을 이용할 수 있다.[32]

기류역 발권분을 제외한 승차권은 뒷면이 흰색인 비자기권으로 자동 개찰구를 통과할 수 없다. 기류역에서 하차하거나 JR선·도부 철도 환승 시에는 유인 개찰구를 이용해야 한다. 기류역에서 자기권 승차권으로 승차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자동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다. 자동 매표기가 설치된 기류, 아이로, 오마마, 고베역에는 주의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와타라세 계곡선은 스이카(Suica), 파스모(PASMO) 등 IC 카드 승차권을 사용할 수 없다. 기류역에서 JR선 환승 시에는 개찰구를 나와 승차권을 구입하거나, 승강장 간이 개찰기를 이용 후 와타라세 계곡선 차내에서 정산해야 한다. JR선을 승차권으로 이용한 경우, 환승 시간이 부족하면 정리권 대신 사용하여 환승할 수 있다. 아이로역에서 도부선 환승 시에는 아시오 방면 승강장 또는 개찰구의 간이 개찰기를 이용한다. 아시오 방면 승강장에서 터치 출역 처리 후, 다른 역에서 승차 시 정리권을 받아 하차역에서 차내 정산한다. 기류-아이로 구간을 IC 카드 승차권으로 이용하면 JR 및 도부 철도 경유로 간주되어 고액의 운임이 감액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1977년 5월 28일, 기행 작가 미야와키 슌조는 이 노선을 마지막으로 국철 전 노선 완승을 달성했다. 그의 저서 『시각표 2만 킬로』에는 탑승기가 기술되어 있다. 2003년 미야와키 사망 후, 6월 1일 마토역에서 추도 행사가 열렸고, "미야와키 선생 추도호" 임시 열차가 운행되었다.

10. 1. 1일 자유 승차권

1일 자유 승차권은 1장에 어른 1880JPY, 어린이 940JPY(2022년 4월 1일 현재[33])으로, 구입 당일에 한하여 와타라세 계곡선을 자유롭게 타고 내릴 수 있다. JR 기류역 창구, 소로역, 오마마역, 츠도역, 아시오역에서 판매하고 있다. 또한, 미즈누마역 온천센터 입장료와 도자기와 요칸 서적관, 도미히로 미술관 입장료 20% 할인 혜택이 있다. 소로역, 오마마역, 츠도역, 아시오역 각 역에서 판매하는 티켓 표면에는, 연선의 풍경이나 사진 등이 인쇄되어 있다. 전 구간 왕복 이용의 경우, 편도 1130JPY으로 왕복 2260JPY인 곳에, 자유 승차권을 이용하면 380JPY 저렴하다. 토롯코 와타라세 계곡호에서 설명한 것처럼, 토롯코 열차 등 임시 열차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沿革・歴史 https://www.watetsu.[...] 2024-02-09
[2] 서적 Railway Directory 2006 Reed Business Information 2006
[3] 서적 改訂新版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4] 웹사이트 沿線ガイドマップ 中面 https://www.watetsu.[...]
[5] 웹사이트 トロッコ列車 https://www.watetsu.[...]
[6] 뉴스 両陛下、トロッコで来桐 新緑の渓谷に笑顔 http://kiryutimes.co[...] 桐生タイムス
[7] 뉴스 わたらせ渓谷鐵道でお召列車運転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Railf.jp 2014-05-23
[8] 서적 足尾鉄道の一世紀
[9] 간행물 南海の二軸客車
[10] 웹사이트 本免許状下付 https://dl.ndl.go.jp[...] 官報 1910-02-02
[11] 웹사이트 運輸開始 https://dl.ndl.go.jp[...] 官報 1911-04-20
[12] 웹사이트 停車場名改称 https://dl.ndl.go.jp[...] 官報 1912-06-19
[13] 웹사이트 私設鉄道運輸開始 https://dl.ndl.go.jp[...] 官報 1912-09-12
[14] 웹사이트 私設鉄道運輸開始 https://dl.ndl.go.jp[...] 官報 1912-11-18
[15] 웹사이트 停車場改称 https://dl.ndl.go.jp[...] 官報 1912-11-27
[16] 웹사이트 私設鉄道運輸開始 https://dl.ndl.go.jp[...] 官報 1913-01-14
[17] 웹사이트 鉄道院告示第92号 https://dl.ndl.go.jp[...] 官報 1913-10-10
[18] 웹사이트 鉄道院告示第70号 https://dl.ndl.go.jp[...] 官報 1914-08-24
[19] 웹사이트 鉄道院告示第94号 https://dl.ndl.go.jp[...] 官報 1914-10-28
[20] 서적 足尾鉄道の一世紀
[21] 뉴스 26日で足尾線草木駅廃止 交通協力会 1973-06-21
[22] 뉴스 足尾線で客貨分離 22日から 旅客列車は全部気動車 交通協力会 1960-03-20
[23] 서적 JR気動車客車情報 8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89-08-01
[24] 간행물 鉄道記録帳2002年8月 鉄道友の会 2002-11-01
[25] 웹사이트 ★わたらせ渓谷鐵道「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 https://www.facebook[...] 2017-03-22
[26] 뉴스 わたらせ渓谷鉄道で点検車両が脱線 けが人なし http://www3.nhk.or.j[...] 日本放送協会 2017-05-22
[27] 웹사이트 わたらせ渓谷鐵道でJR検測車が脱線、大間々〜間藤間で運転見合わせ https://response.jp/[...] イード 2017-05-23
[28] 웹사이트 鉄道事故調査報告書 わたらせ渓谷鐵道株式会社 わたらせ渓谷線 花輪駅〜水沼駅間 列車脱線事故 http://www.mlit.go.j[...] JTSB 運輸安全委員会 2018-06-28
[29] 뉴스 わたらせ渓谷鉄道 きょう全線再開 事故から19日ぶり http://www.jomo-news[...] 上毛新聞社 2017-06-10
[30] 뉴스 わ鉄が19日ぶりに全線運転 観光や通院 再開に喜びの声 http://www.jomo-news[...] 上毛新聞社 2017-06-11
[31] 웹사이트 “わ鐵”の次なる100年へ:「トロッコわっしー号」を皆で応援! https://readyfor.jp/[...]
[32] 웹사이트 営業案内 https://www.watetsu.[...]
[33] 웹사이트 一日フリーきっぷについて https://www.watetsu.[...] 2019-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