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전라북도 완주군 대각사에 소장된 몽산화상 덕이의 설법을 모은 책으로, 조선 시대에 널리 유통되었던 선종 문헌이다. 1497년에 초판이 간행되고, 1568년에 재판되었으며, 현재는 충청남도 공주 갑사에 책판이 보관되어 있다. 몽산화상 덕이는 중국 송나라에서 태어나 원나라에서 활동한 승려로, 고려에 들어와 수도 생활을 하였으며, 그의 행적과 몽산화상육도보설은 한국 불교와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8년 책 - 몽산화상육도보설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86호)
    몽산화상육도보설은 13세기 원나라 승려 몽산화상의 설법을 담은 불서로, 1568년 법주사에서 새겨진 목판본이 현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86호로 지정되어 있다.
  • 1568년 책 -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는 1568년 백운사에서 간행된 목판본 주석서로, 부훤당 소부가 찬술하고 일여가 발문을 썼으며, 불교 경전인 반야바라밀다심경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고, 16세기 후반 평안도에서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 희귀 고서이다.
  • 완주군의 문화유산 - 되재성당지
    되재성당지는 한국 전통 건축 양식과 서양 건축 양식의 조화를 보여주는 독창적인 건축물로, 한국 천주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중요한 사례이다.
  • 완주군의 문화유산 - 완주 화암사 극락전
    완주 화암사 극락전은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1425년에 중창되었고, 정유재란 이후 1605년에 중건된 하앙식 구조의 국보 건축물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 신경준 고지도
    신경준 고지도는 조선 후기 실학자 신경준이 제작한 고지도를 통칭하며, '북방강역도'와 '강화도 이북해역도'가 대표적이고, 18세기 조선의 지리학적 지식과 측량 기술을 보여주며 국방 정책 수립과 영토 의식 강화에 기여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 수운정
    수운정은 조선 후기 김낙현이 건립한 정자로, 팔작지붕의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학문 연구 및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현재는 마을 사람들의 대화 공간으로 사용된다.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문화재 정보
이름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한자 이름完州 大覺寺 蒙山和尙六道普說
국가대한민국
위치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봉동로 678-238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240
지정일2016년 12월 9일
시대조선 시대 1568년 (선조 1년)
소유자완주 대각사
수량1책

2. 몽산화상육도보설의 지정 사유

전라북도 완주 대각사에 소장된 《몽산화상육도보설》은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13세기 송나라에서 태어나 원나라 시대에 활동한 고승(학문과 덕이 높은 승려) 몽산화상 덕이(蒙山和尙 德異, 1231~1308)가 설법한 내용을 모은 것이다. 조선 시대에 널리 읽혔던 대표적인 선종 문헌 중 하나이다.[1]

이 책은 1497년(연산군 3년) 8월에 처음 간행된 지 71년 후인 1568년(선조 1년), 충청도 공주 청림사에서 다시 판각(개판)되었다. 이후 은진 쌍계사(雙磎寺)에서 경판을 보관하며 간행을 이어왔다. 그 책판은 현재 충청남도 공주 갑사(甲寺)에 전해지고 있다. 대각사 소장본도 쌍계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이러한 간행 역사와 전승 과정을 통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는다.[1]

3. 몽산화상 덕이의 생애와 사상

몽산화상 덕이(蒙山和尙 德異, 1231~1308)는 13세기 남송 말기와 원나라 초기에 활동했던 중국 출신의 임제종 승려이다. 그는 남송, 베트남, 원나라 등 여러 지역에서 수행하다가 1295년 고려로 건너와 13년간 머물며 수도하였고, 1308년 입적하였다.

그의 불교 사상과 가르침은 《몽산화상육도보설》이라는 책에 집약되어 전해진다. 이 책은 몽산화상이 불교의 가르침을 철학적으로 설법한 내용을 모은 것으로, 특히 완주 대각사에 소장된 판본은 대한민국보물 제1737호(몽산화상육도보설)로 지정되어 있다.

3. 1. 몽산화상 덕이의 출생과 출가

몽산화상 덕이(蒙山和尙 德異)는 1231년 남송(南宋) 시대의 린안(臨安, 현재의 항저우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속성은 송(宋)씨였다. 그는 1246년, 만 15세 무렵에 불교 임제종 승려로 출가하였다.

3. 2. 남송, 베트남, 원나라에서의 수도 생활

몽산화상 덕이(蒙山和尙 德異, 1231~1308)는 1231년 남송(南宋) 말기 린안(臨安,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항저우시)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송(宋)씨이며, 불교 임제종 승려이다. 1246년(만 15세)에 출가하였다.

1268년(만 37세)에는 남송의 제6대 군주인 도종(度宗)과 당시 섭정이었던 승상 가사도(賈似道)가 집전하는 봉선(封禪) 의례를 멀리서 지켜본 것을 마지막으로 남송을 떠났다.

같은 해(1268년), 성종(聖宗)과 인종(仁宗)이 다스리던 쩐 왕조 시대의 베트남 탕롱(昇龍, 현재 베트남 하노이)으로 건너가 약 15년 동안 머물며 수도 생활을 이어갔다.

이후 1283년, 쿠빌라이 황제(世祖)가 통치하던 원나라 초기 다두(大都,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로 거처를 옮겨 12년간 수도하였다.

3. 3. 고려에서의 수도 생활과 입적

몽산화상 덕이는 원나라 초기인 1295년, 충렬왕이 다스리던 시기에 고려로 건너왔다. 당시 개경의 국제 무역항이었던 벽란도를 통해 입국하였다. 고려에 온 후, 처음 5년 동안은 지금의 강원도 양양군에 위치한 휴휴암에서 수도 생활을 하였다. 이후 1300년에는 황해도 신천군에 있는 패엽사로 거처를 옮겨 8년 동안 수행을 이어갔다. 몽산화상은 고려에서 총 13년 동안 머물렀으며, 1308년 황해도 안악군에서 만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