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한 아담 샬 폰 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아담 샬 폰 벨은 1592년 신성 로마 제국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선교사, 천문학자, 만다린으로 활동한 예수회 사제이다. 그는 명나라 말기에 중국에 도착하여 역법 개정에 참여하고, 청나라 순치제의 신임을 얻어 흠천감 원장을 역임하며 시헌력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샬 폰 벨은 소현세자와의 만남을 통해 조선과의 문화 교류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과 서양의 과학 기술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1666년 베이징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중국 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2. 생애

1592년 신성 로마 제국 쾰른에서 태어나 1611년 로마에서 예수회에 들어갔다.[10] 1618년 유럽을 방문하고 으로 귀국하는 니콜라 트리고를 따라 요한 슈레크, 자코모 로 등과 함께 리스본을 출발해 1619년 마카오에 도착했다. 그러나 당시 심각(沈㴶)의 기독교 배척으로 한동안 마카오에 머물렀다.

1623년 천계제 즉위 후 기독교 배척이 끝나자 서광계의 초청으로 베이징으로 갔다. 월식 예측에 성공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1627년에는 시안에서 포교 활동을 했다.

숭정제 시기에는 서광계의 요청으로 요한 슈레크 사후 흠천감에서 역법 개정 작업(숭정력서 편찬)에 참여했다. 다른 선교사나 중국인 학자와 협력하여 서양 천문학 서적을 번역하고, 망원경대포 등을 제작했다. 1631년부터 1634년까지 서광계, 이천경과 함께 『숭정력서』를 편찬하여 궁정에 제출했다.[10]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청나라에 등용되어 흠천감 감관(천문대 장관)에 임명되었다. 원나라 이후 중국에서 정식 관리가 된 최초의 서양인이었다. 『숭정력서』의 요약본인 『서양신법력서』를 제출하여 시헌력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천문학자나 이슬람 천문학자들의 질투를 샀다.

1650년, 베이징의 교회(남당)를 개축했다.

병자호란으로 소현세자가 볼모로 잡혀왔을 때, 천문 지식과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며 교류했다.

1661년 순치제 붕어 후, 오보이 섭정 시기인 1665년 양광선의 고발로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 등과 함께 수감되었다(강희 역옥).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태황태후의 주선으로 석방되어 다음 해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양광선의 기독교 배척은 1669년 오보이 실각까지 이어졌으며, 그동안 시헌력은 폐지되었다. 오보이 사후 시헌력은 부활하여 중화민국 성립 때까지 사용되었다. 춘절 날짜는 여전히 시헌력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등 샬의 성과는 일부 유지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592년 신성 로마 제국 쾰른에서 태어나, 1611년 로마에서 예수회에 들어갔다.[10]

2. 2. 명나라 시기 선교 활동

1618년 사제서품을 받고, 니콜라 트리골트의 지도 아래 선교사 그룹과 함께 중국으로 파견되었다. 1619년 포르투갈 무역항 마카오에 도착하여 중국어를 배웠다.[12] 1622년 중국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고, 같은 해 마카오 방어전에 참여하여 네덜란드 침공을 막는 데 기여했다. 1623년 천계제 즉위 후 기독교 배척이 끝나자 서광계의 초청으로 베이징으로 갔다. 월식 예측에 성공하여 명성을 얻었다.[12] 1627년 시안에서 포교 활동을 했다.

1630년 요한 슈레크 사망 후, 서광계의 요청으로 숭정제 때부터 흠천감에서 역법 개정 작업(숭정력서 편찬)에 참여했다. 서양 천문학 서적 번역 및 망원경, 대포 등을 제작했다. 1631년부터 1634년까지 서광계, 이천경과 함께 『숭정력서』를 편찬하여 궁정에 제출했다.[10] 명나라 말, 북방의 에 대항하기 위해 대포 주조를 지도하기도 하였다.

2. 3. 청나라 시기 흠천감 활동

1644년 명나라가 멸망한 후, 샬 폰 벨은 청나라에 등용되어 흠천감(欽天監: 천문대장)을 맡게 되었다.[14] 그는 『숭정력서』의 요약본인 『서양신법력서』를 편찬하고, 1645년에는 새로운 역법인 시헌력을 완성하여 청나라에서 사용하게 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15]

청나라 조정은 샬 폰 벨에게 ‘태상사소경함(太常寺少卿銜)’이라는 작위를 내려 치하했으며, 베이징 선무문(宣武門) 안에 있는 천주교 교당(남당)을 새롭게 짓는 것을 허락하였다.

순치제(順治帝)는 샬 폰 벨을 만주어로 아버지의 존칭인 ‘마법(瑪法)’으로 불렀으며, 1653년에는 ‘통현교사(通玄敎師)’, 즉 ‘진리를 통달한 선생’이라는 봉호(封號)를 내렸다. 또한, 예수회 선교사들이 자유롭게 중국에 와서 전도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 결과, 1651년부터 1664년까지 천주교 세례를 받은 중국인이 10만 4,980명에 달하였다.[12]

2. 4. 소현세자와의 만남

병자호란(1636) 때 볼모로 잡혀와 있던 조선소현세자와 교류하며 천문 지식과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였다.[16][17] 소현세자는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해 배울 수 있는 서양 학문에 관심을 가졌다. 1645년 소현세자가 조선으로 귀국할 때 중국에서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를 데려가려고 했으나, 중국 교회의 성직자 부족 문제로 무산되었다.

2. 5. 투옥과 죽음

1661년 순치제가 죽고 어린 강희제가 즉위한 후, 1664년 청나라 학자들의 모함으로 벼슬에서 물러난 후 반역죄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반(反)그리스도교 관리들은 샬 폰 벨에게 불만이 많은 중국 천문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그를 대역죄인으로 몰았다. 이들은 샬 폰 벨이 중국을 고대 히브리인들의 보잘것없는 후손이라고 묘사한 예수회의 글을 인용하였고, 아울러 순치제에게 주술을 써서 일찍 죽게 했다는 이유로 그를 탄핵했다.[18]

당시 그는 뇌일혈 증세를 보여 재판 중에 말을 할 수 없었다. 네덜란드 출신 선교사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1623~88)가 그를 변호하려고 노력했지만, 서툰 중국어 실력으로는 역부족이었다. 샬 폰 벨과 그의 동료인 중국인 그리스도교도 천문학자들은 사지가 찢기는 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그 다음날 5명의 중국인들이 처형된 뒤 지진이 일어나자, 이것을 불길한 징조로 여겨 형 집행이 중지되었다.[18] 이듬해 베이징에서 병사했다.[12][19][20]

3. 유산

요한 아담 샬 폰 벨은 과학적,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아담 샬은 서양의 과학 기술, 특히 천문학과 역법 분야에서 중국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시헌력을 도입하여 중국 역법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망원경대포 등 서양의 과학 기술을 전파했다.[10]

문화적으로 샬 폰 벨은 동서양 문화 교류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병자호란(1636) 때 볼모로 잡혀와 있던 조선소현세자와 교류하며 천문 지식과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였다.[16][17] 소현세자는 서양 학문에 관심을 가졌으며, 1645년 귀국 시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를 데려가려 했으나 중국 교회의 성직자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이는 조선과 서양 문물의 초기 접촉 사례 중 하나로, 한국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 1. 과학적 유산

아담 샬은 서양의 과학 기술, 특히 천문학과 역법 분야에서 중국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시헌력을 도입하여 중국 역법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망원경대포 등 서양의 과학 기술을 전파했다.[10]

3. 1. 1. 시헌력 도입

아담 샬은 서양의 천문학 지식을 바탕으로 중국 역법의 오차를 수정하고, 시헌력(時憲曆)을 완성하여[14] 청나라가 사용하도록 하는데 크게 공헌했다.[15]

명나라 말, 아담 샬은 서광계의 진언으로 요한 슈레크 등과 함께 역법을 수정하는 개력(改曆) 작업을 진행했다. 1630년에 슈레크가 사망한 후, 아담 샬은 후계자로서 베이징의 흠천감에서 개력에 종사했다. 아담 샬은 다른 선교사나 중국인 학자와 협력하여 서양천문학 서적을 번역했다. 서광계와 이천경은 1631년부터 1634년까지 그 집성을 『숭정력서』로 궁정에 제출했다.[10]

1644년 이 멸망하고 이 중국을 지배하게 되었지만, 아담 샬은 베이징에 머물며 청조에 섬기는 것을 인정받았다. 아담 샬은 『숭정력서』의 약본인 『서양신법력서』를 다음 해 제출하여, 시헌력으로 시행되었다. 아담 샬은 순치제에 의해 흠천감 감정(천문대 장관)에 임명되었다. 대를 제외하면, 중국에서 정식 관리가 된 최초의 서양인이었다.

청나라 조정은 아담 샬에게 ‘태상사소경함(太常寺少卿銜)’이란 작위를 내려 치하했으며, 베이징 선무문(宣武門) 안에 있는 천주교 교당을 새롭게 짓는 것을 허락하였다.

1665년, 양광선에 의한 고발로 아담 샬 등이 수감되었고, 일단 사형 선고를 받았지만, 태황태후의 주선으로 간신히 석방되었다. 양광선에 의한 기독교 배격은 그 후에도 오보이가 실각하는 1669년까지 이어졌으며, 그 동안은 시헌력이 폐지되었다. 오보이의 사후, 시헌력은 부활하여 청 왕조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성립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또한, 지금도 춘절 날짜는 시헌력을 토대로 결정되는 등, 샬의 성과는 일부에서 이용이 계속되고 있다.

3. 1. 2. 서양 과학 기술 전파

천계제 즉위 후 기독교 배격이 끝나자, 서광계의 초청을 받아 1623년 베이징으로 갔다. 월식 예측에 성공하여 명성을 얻었다. 숭정제 시대에 서광계의 건의로 슈레크 등이 역법 개정 작업을 진행했으나, 1630년 슈레크가 사망하자 아담 샬이 후임으로 베이징 흠천감에서 역법 개정에 종사했다. 아담 샬은 다른 선교사 및 중국인 학자들과 협력하여 서양천문학 서적을 번역했다. 서광계와 이천경은 1631년부터 1634년까지 그 집성인 『숭정력서』를 조정에 제출했다.[10] 이와 함께 망원경대포 등도 제작했다.

3. 2. 문화적 유산

샬 폰 벨은 동서양 문화 교류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병자호란(1636) 때 볼모로 잡혀와 있던 조선소현세자와 교류하며 천문 지식과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였다.[16][17] 소현세자는 서양 학문에 관심을 가졌으며, 1645년 귀국 시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를 데려가려 했으나 중국 교회의 성직자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이는 조선과 서양 문물의 초기 접촉 사례 중 하나로, 한국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참조

[1] EB1911 Schall, Johann Adam von
[2]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Columbia University Press
[3] 서적 China: A History HarperPress
[4] 간행물 Revisiting the Calendar Case (1664-1669): Science, Religion, and Politics in Early Qing Beijing
[5] 서적 The land of scholars: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https://books.google[...] Homa & Sekey Books 2011-09-20
[6] 웹사이트 中華郵政全球資訊網 https://www.post.gov[...] 2016-01-13
[7] 웹사이트 《人物》 20130724 汤若望 https://tv.cctv.com/[...]
[8] 웹사이트 从西方到东方 第6集 从西方到东之汤若望 https://v.youku.com/[...]
[9] 문서 デュ・アルド『中国全誌』(1735)やハーバート・ジャイルズ『中国と満州人』(1912)など
[10] 문서 『明史』志7 暦一
[11] 네이버 지식백과 아담 샬 https://terms.naver.[...] 인명사전편찬위원회 2002-01-10
[12] 네이버 지식백과 아담 샬 https://terms.naver.[...] 정수일 2013-10-31
[13] 네이버 지식백과 탕약망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14] 네이버 지식백과 역법 https://terms.naver.[...] 천문학백과
[15] 네이버 지식백과 시헌력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6] 네이버 지식백과 아담 샬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7] 네이버 지식백과 소현세자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8] 다음백과 샬 폰 벨 Adam Schall von Bell https://100.daum.net[...]
[19] EB1911 Schall, Johann Adam von
[20] 네이버 지식백과 아담 샬 https://terms.naver.[...] 정수일 201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