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2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복음 2장은 예수께서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 첫 번째 기적을 행하고, 가버나움으로 이동하여 성전을 정화하는 사건을 다룬다. 예수는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에 갔다가 성전에서 매매하는 자들을 보고 분노하여 그들을 쫓아낸다. 이 과정에서 예수는 자신의 몸을 성전에 비유하며, 3일 만에 다시 세우겠다는 예언을 한다. 마지막으로 예수는 사람들의 믿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신뢰하지 않으며, 사람의 마음을 꿰뚫어 보시는 분임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나의 혼인잔치 - 가나 (성경의 지역)
가나는 신약성경에 나오는 지명으로, 예수의 첫 번째 기적인 물을 포도주로 변화시킨 기적이 일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요한복음에 언급되고 나다나엘의 출신지로 기록되어 있고,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여러 장소가 후보지로 거론된다. - 요한의 복음서의 장 - 요한복음 3장
요한복음 3장은 니고데모와의 대화를 통해 거듭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예수의 세례 사역과 세례 요한의 증언, 특히 "새로남"의 필요성과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로 시작하는 16절 말씀, 그리고 예수는 흥하고 자신은 쇠해야 한다는 세례 요한의 증거를 담고 있다. - 요한의 복음서의 장 - 요한복음 1장
요한복음 1장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구원 사역을 강조하며, 말씀 찬가, 세례자 요한의 증언, 예수의 첫 제자들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신학적 논의의 중심이 된다.
요한복음 2장 | |
---|---|
성경 정보 | |
책 | 요한복음 |
장 | 2 |
이전 장 | 1 |
다음 장 | 3 |
내용 요약 | |
주요 사건 |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바꿈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에서 상인들을 내쫓음 |
관련된 인물 | 예수 마리아 성전의 상인들 |
신학적 의미 | |
예수의 권위 | 성전을 정화하는 행위는 예수의 권위를 드러냄 |
믿음의 중요성 | 표적을 통해 믿음을 갖게 됨을 강조 |
2. 가나의 혼인 잔치 (요한복음 2:1-11)
요한복음 2장은 예수가 어머니와 제자들과 함께 갈릴리 가나의 혼인 잔치에 초대받는 장면으로 시작한다.[5] 잔치에 포도주가 떨어지자, 예수의 어머니는 예수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예수는 "어머니, 그것이 저에게 무슨 상관이 있다고 그러십니까?(τι εμοι και σοι|티 에모이 카이 소이grc) 아직 제 때가 오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한다.[13]
예수의 어머니는 하인들에게 예수가 하라는 대로 하라고 하고, 결국 예수는 빈 포도주 돌항아리를 물로 채우게 한다. 이 돌항아리는 유대인의 정결 의식을 위해 준비된 것이었다. 이후 연회장은 신랑을 불러 가장 좋은 포도주를 마지막까지 남겨두었느냐고 칭찬한다.
요한에 따르면, 이것은 예수가 보인 첫 번째 기적이며, 나타나엘에게 "앞으로는 그보다 더 큰 일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 직후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요한은 다른 공관복음서와 달리 기적을 서술할 때 권능을 의미하는 '뒤나미스(δύναμις)' 대신 표적을 의미하는 '세메이온(σημεῖον)'과 일, 업적을 의미하는 '에르곤(ἔργον)'을 사용한다.[58] 이 기적은 아모스서 9장 13~14절과 창세기 49장 10~11절에서 메시아가 강림할 때 포도주가 넘칠 것이라는 구약성경의 예언을 성취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59]
2. 1. 기적의 배경
요한복음 2장은 예수가 어머니, 그리고 제자들과 함께 갈릴리 가나의 혼인 잔치에 초대받는 장면으로 시작한다.[5] 잔치에 포도주가 떨어지자,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가 예수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예수는 "어머니, 그것이 저에게 무슨 상관이 있다고 그러십니까? 아직 제 때가 오지 않았습니다"(τι εμοι και σοι|티 에모이 카이 소이grc)라고 대답한다.[13] 일부 학자들은 이 대답을 예수가 기적을 요구하는 어머니의 요청에 불쾌해했다고 해석한다.[56] 이 구절은 "당신의 우려가 저와 무슨 상관입니까?" 혹은 "당신과 저는 사물을 다르게 봅니다"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고,[57] "이 문제를 제 손에서 떨어뜨려 두십시오"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57]
그러나 예수의 어머니는 하인들에게 예수가 시키는 대로 하라고 말하고, 예수는 유대인의 정결 의식을 위해 놓여 있던 빈 포도주 돌항아리에 물을 채우게 한다.
2. 2. 예수의 응답과 기적
예수는 어머니, 제자들과 함께 가나의 혼인잔치에 초대받는다. 예식장에 포도주가 떨어지자, 어머니는 예수에게 도움을 청한다. 예수는 처음에는 "어머니, 그것이 저에게 무슨 상관이 있다고 그러십니까? 아직 제 때가 오지 않았습니다"(τι εμοι και σοι|티 에모이 카이 소이grc)라고 말하며 주저한다.[56][57] 몇몇 학자들은 이 구절이 "당신의 우려가 저와 무슨 상관입니까?" 혹은 "당신과 저는 사물을 다르게 봅니다"라는 뜻으로, 예수가 어머니의 기적 요청에 불쾌해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예수의 어머니는 하인들에게 예수가 시키는 대로 하라고 이르고, 예수는 결국 하인들에게 빈 포도주 돌항아리에 물을 채우게 한다. 이 돌항아리는 유대인의 정결 의식을 위해 놓여 있었다고 설명된다. 물을 채운 후, 연회장은 신랑을 불러 가장 좋은 포도주를 마지막까지 남겨두었느냐고 칭찬한다.
요한은 이것이 예수가 행한 첫 번째 기적이라고 기록한다. 나타나엘에게 "앞으로는 그보다 더 큰 일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 직후에 나타난 기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기적은 요한의 복음서에만 등장하며, 공관복음서에는 나오지 않는다. 요한은 다른 복음서들과 달리 기적을 묘사할 때 '뒤나미스(δύναμις, 권능)' 대신 '세메이온(σημεῖον, 표적)'과 '에르곤(ἔργον, 일, 업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58]
이 기적은 아모스서 9장 13~14절과 창세기 49장 10~11절에서 메시아가 강림할 때 포도주가 넘칠 것이라는 구약성경의 예언을 성취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59] 일부 학자들은 마르코의 복음서 2장 21~22절에서 예수가 말한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말씀이 이 사건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2. 3. 기적의 신학적 의미
이 기적은 아모스서 9장 13~14절과 창세기 49장 10~11절에서 메시아가 강림할 때에 포도주가 넘칠 것이라는 구약성경의 예언이 성취되었다는 견해가 존재한다.[59] 일부 학자들은 마르코의 복음서 2장 21~22절에서 언급된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말씀이 바로 이 사건, 즉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도래할 새로운 시대를 상징한다고 주장한다.3. 가버나움으로의 이동 (요한복음 2:12)
1장에서 벳바라(또는 베다니) 즉, “요단강 건너편”에서 일어난 사건 이후, 예수께서는 “갈릴리로 가고자” 하셨다.[3] 2장은 예수님과 그의 어머니, 그리고 그의 제자들이 갈릴리의 가나 마을에 있는 것으로 시작한다. 요한복음 1장에는 “나흘”이 언급되는데, 요한복음 1장 29절, 35절, 43절에서 τῇ επαυριον|테 에파우리온|다음 날grc이 나온다.[4] 요한복음 2장은 “사흘째”로 시작한다.[5]
가나의 혼인 잔치 후, 예수께서 어머니와 형제들과 제자들과 함께 가버나움으로 이동하여 "얼마 되지 않아" 머물렀다고 기록되어 있다.[28] 그러나 가버나움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언급하지 않는다.
3. 1. 가버나움의 위치와 중요성
가버나움은 예수께서 어머니, 형제들, 제자들과 함께 "얼마 되지 않아" 머무르셨던 곳이다.[28] 가나에서 현대 도로를 이용하면 가버나움까지 약 약 38.62km 거리이다.[29] 하인리히 마이어는 예수께서 가나의 혼인 잔치에는 형제들이 함께 있지 않았지만 가버나움에서는 어머니와 함께 있었기 때문에, 가버나움으로 가기 전에 나사렛으로 돌아갔다고 설명한다.[30]공관복음서에는 예수께서 가버나움으로 가기 전 혼인 잔치에 참석했다거나, 어머니나 형제들이 그와 함께 거기에 갔다는 언급이 없다. 누가복음 4장과 마태복음 4장은 예수께서 세례와 시험을 받으신 후 나사렛에 가셨다가 가버나움으로 가셨다고 전한다. 마가복음 1장은 예수께서 광야(사탄에게 시험을 받았던 곳)[31]에서 갈릴리로 가셨고 가버나움에 이르기 전에 갈릴리 여러 곳을 방문했다고 전한다. 예수님의 권능과 능력이 나타난 후, 그와 제자들은 갈릴리 전역을 다니며 전파하고 악귀를 쫓아냈다.[32] 마가는 나중에 그들이 주변 지역을 다닌 후 가버나움으로 돌아왔다고 기록한다.
4. 성전 정화 (요한복음 2:13-22)
성전 정화 사건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환전상과 상인들을 쫓아내는 사건으로, 예수의 권위와 유대교 지도자들과의 갈등을 보여준다.
예수는 환전상들을 쫓아낼 권한을 증명하는 "표적"을 보여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그는 "이 성전을 헐라. 그러면 내가 사흘 만에 다시 세우리라"하고 대답한다. 요한은 이 사건을 예수와 "유대인들" 사이의 적대감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묘사하는데, 이는 비유대인 독자들을 위한 표시였을 가능성이 있다. 요한은 예수께서 사람들의 마음과 생각을 아는 능력, 즉 하나님의 속성을 보여주고자 했다.[43]
요한은 환전상들과의 사건을 예수의 사역 초기에, 복음서는 십자가 처형 직전에 일어난 일로 언급한다. 어떤 학자들은 예수가 사역 초기와 끝 무렵에 두 번 환전상들과 싸웠다고 제안한다. 복음서에 나오는 사건은 마가복음 11장 12-19절[44], 마태복음 21장 12-17절[45], 누가복음 19장 45-48절[46]에 나온다. 요한은 요한복음 11장의 나사로의 부활 때문에 예수가 체포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야기의 위치를 초기에 배치했을 가능성이 있다.[24]
4. 1. 사건의 배경
예수와 그의 제자들은 유대인의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간다.[34] 이 복음서에서 언급된 예루살렘 방문은 세 번 중 첫 번째이며, 나머지 두 번은 요한복음 7장[35](초막절을 지키러 갔을 때)과 십자가에 못 박히기 전 마지막 유월절 때이다. 예수는 성전 뜰에 들어가 사람들이 가축을 팔고 돈을 환전하는 것을 보고 분노한다.알프레드 플러머는 예수가 양과 소를 직접 몰아냈지만, 비둘기는 몰아낼 수 없었기 때문에 치우라고 지시했다고 주목한다. 그는 양과 소를 판 상인들은 예수가 행동하기 시작하자마자 도망쳤을 것이라고 생각한다.[12] 벵겔은 예수의 채찍의 힘은 그것이 불러일으킨 공포에 있었다고 제안하며, "그가 사람들에게 단 한 대의 매질도 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17] H. W. 왓킨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4. 2. 예수의 행동과 그 의미
예수는 새끼줄로 채찍을 만들어 양과 소를 포함하여 성전에서 모두 내쫓았다. 환전상들의 돈을 흩어 놓고 상을 뒤엎었으며, 비둘기를 파는 사람들에게는 "이것들을 여기서 치워라! 내 아버지의 집을 장사하는 곳으로 만들지 말라!" 하고 꾸짖었다.[36]알프레드 플러머는 예수가 양과 소는 직접 몰아냈지만, 비둘기는 몰아낼 수 없었기 때문에 치우라고 지시했다고 보았다. 그는 양과 소를 판 상인들은 예수가 행동을 시작하자마자 도망쳤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2] 벵겔은 예수의 채찍이 사람들에게 공포를 불러일으켰다고 말하며, "그가 사람들에게 단 한 대의 매질도 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다.[17]
예수의 제자들은 시편 69편 9절, "당신의 집에 대한 열정이 나를 삼킬 것입니다"라는 말씀을 떠올렸다.[38] 이 말씀을 사건 당시에 떠올렸는지, 아니면 나중에 떠올렸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4. 3. 성전의 의미 변화
예수는 "이 성전을 헐라. 그러면 내가 사흘 만에 다시 세우리라"하고 대답한다. 사람들은 그가 성전 건물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믿었지만, 요한은 예수가 "자기 몸의 성전에 대해 말씀하신 것"이라고 말한다.[41] 제자들은 부활 후에 이것을 기억했다.이는 성전의 본질에 관한 것으로, 요한이 기록할 당시 성전은 이미 파괴된 상태였다. 요한은 낡은 성전이 예수의 부활한 몸과 새로운 기독교, 그리고 요한 공동체라는 새로운 성전으로 대체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이는 대부분의 학자들에게 요한 공동체와 유대교 사이의 분열을 보여주는 것이며, 일부 사해 문서도 공동체를 성전으로 언급한다.[24]
5. 마음을 꿰뚫어 보시는 예수 (요한복음 2:23-25)
이 장은 새번역에서 "마음을 아시는 분"이라는 소제목을 붙인 짧은 구절로 끝맺는다.[47] 예수께서는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에 머무시는 동안, 기록되지 않은 여러 표적을 행하셨고,[48] 많은 사람이 "그의 이름을 믿었다."
5. 1. 사람들의 믿음과 예수의 반응
새번역에서는 이 장의 마지막을 “마음을 아시는 분”(요한복음 2:23-25)이라는 소제목을 붙인 짧은 구절로 맺는다.[47] 예수께서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에 머무시는 동안, 기록되지 않은 여러 표적을 행하셨고,[48] 많은 사람이 “그의 이름을 믿었다.” 스웨덴의 주석가 르네 키퍼는 복음서 기자가 이러한 표적들 가운데 “가나에서 일어난 일”을 포함시켰을 것이라고 제안했다.[49] 이 주제는 3장으로 이어지는데, 거기서 바리새인 니고데모는 “하나님이 함께하지 아니하시면 당신이 행하시는 이런 표적을 아무도 할 수 없습니다”(요한복음 3:2)라고 말한다.[50]참조
[1]
서적
Holman Illustrated Bible Handbook
Holman Bible Publishers
2012
[2]
웹사이트
THE GOSPEL ACCORDING TO S. JOHN. (ORIGINAL 1611 KJV)
https://www.kingjame[...]
[3]
성경구절
[4]
웹사이트
Gnomon of the New Testament
http://biblehub.com/[...]
2016-01-31
[5]
성경구절
[6]
성경구절
[7]
웹사이트
Meyer's New Testament Commentary
http://biblehub.com/[...]
2016-02-04
[8]
웹사이트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http://biblehub.com/[...]
2016-02-04
[9]
웹사이트
Google Maps
2016-02-04
[10]
웹사이트
Meyer's New Testament Commentary
http://biblehub.com/[...]
2016-02-08
[11]
성경구절
[12]
웹사이트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https://biblehub.com[...]
2022-07-24
[13]
성경구절
[14]
웹사이트
Weymouth New Testament in Modern Speech, John
https://www.gutenber[...]
[15]
성경구절
[16]
서적
Jerusalem Bible
1966
[17]
웹사이트
Gnomon of the New Testament
https://biblehub.com[...]
2024-01-02
[18]
성경구절
[19]
문서
Brown
[20]
성경구절
[21]
성경구절
[22]
문서
Brown
[23]
성경구절
[24]
문서
Brown et al.
[25]
성경구절
[26]
성경구절
[27]
성경구절
[28]
성경구절
[29]
웹사이트
Highway 77 and Highway 90
2020-10-30
[30]
웹사이트
Meyer's NT Commentary
http://biblehub.com/[...]
2016-02-08
[31]
성경구절
[32]
성경구절
[33]
웹사이트
The Apology of the Augsburg Confession, Article 8, Of the Church
http://www.bookofcon[...]
[34]
성경구절
[35]
성경구절
[36]
성경구절
[37]
웹사이트
Ellicott's Commentary for English Readers on John 2
http://biblehub.com/[...]
2016-02-08
[38]
성경구절
[39]
문서
Miller
[40]
성경구절
[41]
성경구절
[42]
성경구절
[43]
문서
Brown et al.
[44]
성경구절
[45]
성경구절
[46]
성경구절
[47]
성경구절
[48]
웹사이트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on John 2:23
http://biblehub.com/[...]
2016-02-09
[49]
웹사이트
John in The Oxford Bible Commentary
http://www.islamicwe[...]
[50]
성경구절
[51]
웹사이트
Largest Late Second Temple Period Quarry Discovered in Jerusalem
https://armstrongins[...]
2024-08-13
[52]
웹사이트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on John 2
http://biblehub.com/[...]
2016-02-04
[53]
웹사이트
Google Maps - Highway 90 (Israel-Palestine)
(Implicit - Google M[...]
2016-02-04
[54]
웹사이트
Meyer's New Testament Commentary on John 2
http://biblehub.com/[...]
2016-02-04
[55]
성경구절
[56]
웹사이트
John 2:4 in the Weymouth New Testament
http://www.gutenberg[...]
[57]
문서
Brown
[58]
문서
Brown et al.
[59]
문서
Brown et 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