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루과이의 FIFA 월드컵 성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루과이는 FIFA 월드컵에 13번 출전하여 1930년과 1950년에 우승을 차지한 강호이다. 1954년, 1970년, 2010년에는 4위를 기록했으며, 1966년과 2018년에는 8강에 진출했다. 1962년, 1974년, 2002년, 2022년에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역대 월드컵 통산 전적은 24승 12무 20패이며, 오스카르 미게스가 8골로 최다 득점 기록을, 페르난도 무슬레라, 에딘손 카바니, 디에고 고딘이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우루과이는 2030년 월드컵을 개최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루과이의 FIFA 월드컵 성적
FIFA 월드컵 성적
남아메리카의 우루과이
남아메리카의 우루과이
협회우루과이 축구 협회
FIFA 코드URU
FIFA 랭킹15위 (2024년 6월 20일)
월드컵 출전 횟수14회 (1930년 첫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30년, 1950년)
대륙별남아메리카 축구 연맹 (CONMEBOL)
감독마르셀로 비엘사
주장호세 마리아 히메네스
최다 출장 선수루이스 수아레스 (138경기)
최다 득점 선수루이스 수아레스 (68골)
월드컵 기록
첫 출전1930년
최다 출전2018년 (13회)
최고 성적우승, 1930년, 1950년
최저 성적조별 리그, 1974년, 1990년, 2002년
통산 성적56경기 25승 12무 19패
최다 득점오스카르 미게스 (8골)
FIFA 월드컵 성적
1930년우승
1934년불참
1938년불참
1950년우승
1954년4위
1958년예선 탈락
1962년조별 리그
1966년조별 리그
1970년4위
1974년조별 리그
1978년예선 탈락
1982년16강
1986년16강
1990년조별 리그
1994년예선 탈락
1998년예선 탈락
2002년조별 리그
2006년예선 탈락
2010년4위
2014년16강
2018년8강
2022년조별 리그

2. 역사

2. 1. 초기 월드컵 (1930-1970)

2. 1. 1.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

1930년 FIFA 월드컵은 첫 FIFA 월드컵이자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대회로, 우루과이가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우루과이는 조별 리그에서 페루루마니아를 꺾고 3조 1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2] 페루와의 경기에서는 카스트로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고,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도라도, 스카로네, 안셀모, 세아의 연속골로 4-0 대승을 거두었다.

준결승에서 우루과이는 유고슬라비아를 만나 세아의 해트트릭과 안셀모의 2골, 이리아르테의 골을 묶어 6-1 대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했다.[2]

결승전에서 우루과이는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도라도, 세아, 이리아르테, 카스트로의 골로 4-2 승리를 거두며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3]

2. 1. 2. 1950년 브라질 월드컵

우루과이는 조별 리그에서 볼리비아를 8-0으로 크게 이기고 결선 리그에 진출했다.[6] 이 경기에서 미구에스는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쉬아피노는 2골을 넣었으며, 비달, 페레스, 기지아가 각각 1골씩 추가했다.[7][8][9][10][11]

결선 리그에서 우루과이는 스페인과 2-2로 비겼다. 기지아와 바렐라가 득점했지만, 스페인의 바소라에게 2골을 허용했다.

이후 스웨덴과의 경기에서는 3-2로 승리했다. 기지아가 1골, 미구에스가 2골을 넣어 팔메르와 선퀴비스트가 득점한 스웨덴을 꺾었다.

결선 리그 최종전은 브라질과의 경기로, 사실상의 결승전이었다. 우루과이는 이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스치아피노와 기지아가 득점하여 프리아사가 득점한 브라질을 꺾었다. 이 경기는 '마라카낭의 기적'으로 불리며, 우루과이의 두 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확정지었다.

2. 1. 3. 1954년 스위스 월드컵

우루과이는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 참가하여 4강에 진출하는 저력을 과시했다. 조별 리그에서 체코슬로바키아를 2-0, 스코틀랜드를 7-0으로 완파하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잉글랜드를 4-2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헝가리에 연장 접전 끝에 2-4로 패배했고, 3·4위전에서 오스트리아에 1-3으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 '''조별 리그 C조'''

경기승점
우루과이220090+94
오스트리아220060+64
체코슬로바키아200207-70
스코틀랜드200208-80


  • '''우루과이 vs 체코슬로바키아 (2-0)'''

1954년 6월 16일 18:00 (CET, UTC+01)

미구에즈

스키아피노

  • '''우루과이 vs 스코틀랜드 (7-0)'''

1954년 6월 19일 16:50 (CET, UTC+01)

보르게스

미구에즈

아바디에

  • '''8강전: 우루과이 vs 잉글랜드 (4-2)'''

1954년 6월 26일 17:00 (CET, UTC+01)

보르게스

바렐라

스키아피노

암브로이스

  • '''준결승전: 헝가리 vs 우루과이 (4-2, 연장전)'''

1954년 6월 30일 18:00 (CET, UTC+01)

호베르그

  • '''3·4위전: 우루과이 vs 오스트리아 (1-3)'''

1954년 7월 3일 17:00 (CET, UTC+01)

호베르그

2. 1. 4. 1962년 칠레 월드컵

우루과이는 1962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1승 2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콜롬비아를 2-1로 꺾었으나, 유고슬라비아소련에 각각 1-3, 1-2로 패하며 조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3210851.605
3201832.674
3102460.672
30125110.451



2. 1. 5.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우루과이는 196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잉글랜드, 멕시코와 비기고 프랑스를 2-1로 꺾으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
5321040+4
4312021+1
2302113-2
1301225-3


  • 1966년 7월 11일,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에서 열린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1966년 7월 15일, 화이트 시티 경기장 (런던)에서 열린 프랑스와의 경기에서는 페드로 로차와 훌리오 세사르 코르테스의 연속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 1966년 7월 19일,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8강전에서 우루과이는 서독에 0-4로 완패하며 대회를 마감했다. 할러에게 2골, 베켄바워젤러에게 각각 1골을 허용했다. 경기는 힐즈브러 경기장 (셰필드)에서 열렸다.

2. 1. 6.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우루과이는 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4강에 진출하며 다시 한번 경쟁력을 입증했다. 조별 리그에서 이스라엘을 2-0으로 꺾고, 이탈리아와 0-0으로 비겼으나, 스웨덴에 0-1로 패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
이탈리아4312010+1
우루과이3311121+1
스웨덴33111220
이스라엘2302113-2



8강에서 소련을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브라질에 1-3으로 패배했다. 3·4위전에서 서독에 0-1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2. 2. 침체와 부활 (1974-2006)

2. 2. 1. 1974년 서독 월드컵

우루과이는 1974년 서독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네덜란드, 스웨덴, 불가리아와 한 조에 속했다. 우루과이는 네덜란드와의 첫 경기에서 요니 렙에게 2골을 허용하며 0-2로 패배했다. 불가리아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후반 42분 파보니가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그러나 스웨덴과의 마지막 경기에서 0-3으로 패하며 1무 2패,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네덜란드321061+55
스웨덴312030+34
불가리아302125–32
우루과이301216–51



2. 2. 2.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우루과이는 198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서독, 덴마크, 스코틀랜드와 함께 E조에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첫 경기인 서독과의 경기에서는 알사멘디가 전반 4분만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반 39분 알로프스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덴마크와의 2차전에서는 프란체스콜리가 페널티킥으로 득점했지만, 엘키에르 라르센에게 해트트릭을 허용하는 등 1-6으로 크게 패했다. 스코틀랜드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2무 1패, 조 3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우승팀인 아르헨티나를 만나 파스쿨리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0-1로 패해 탈락했다. 이는 마라도나를 앞세운 아르헨티나의 강력한 공격력에 우루과이 수비진이 무너진 결과였다.

승점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
2302127−5



2. 2. 3.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우루과이는 조별 리그에서 스페인, 벨기에, 대한민국과 함께 E조에 속했다. 우루과이는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폰세카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고, 스페인과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벨기에와의 경기에서는 1-3으로 패배했다. 1승 1무 1패(승점 3점)를 기록한 우루과이는 조 3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우루과이는 이탈리아를 만나 0-2로 패하며 대회를 마감했다. 당시 이탈리아는 스킬라치세레나에게 골을 허용하며 무너졌다.

2. 2. 4. 2002년 한일 월드컵

우루과이는 2002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2무 1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덴마크/Denmark영어321052+37
세네갈/Senegal영어312054+15
우루과이/Uruguay영어302145–12
프랑스/France프랑스어301203–31


  • 2002년 6월 1일,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우루과이는 로드리게스가 47분에 골을 넣었으나, 토마손에게 45분과 83분에 골을 허용하며 1-2로 패배했다.

  • 2002년 6월 6일,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린 프랑스와의 경기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2002년 6월 11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세네갈과의 경기에서는 모랄레스가 46분, 포를란이 69분, 레코바가 88분에 페널티킥으로 골을 넣어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세네갈은 파디가가 20분 페널티킥, 디오프가 26분과 38분에 골을 넣었다.

2. 3. 전성기와 현재 (2010-현재)

2. 3. 1.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우루과이는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4강에 진출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조별 리그에서 프랑스와 0-0으로 비기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멕시코를 각각 3-0, 1-0으로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13]

  • '''A조 조별 리그'''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321040+47
311132+14
311135–24
301215–41


  • 2010년 6월 11일, 우루과이는 케이프타운 스타디움에서 열린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3]
  • 2010년 6월 16일, 우루과이는 로프터스 버스펠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경기에서 디에고 포를란의 두 골과 알바로 페레이라의 골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13]
  • 2010년 6월 22일, 우루과이는 로열 바포켕 스타디움에서 열린 멕시코와의 경기에서 루이스 수아레스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3]


16강에서 우루과이는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을 만나 루이스 수아레스의 두 골로 2-1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이청용이 한 골을 넣었다.[13]

8강에서 우루과이는 사커 시티에서 가나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우루과이는 디에고 포를란이, 가나는 설리 문타리가 골을 넣었다. 승부차기에서는 디에고 포를란, 마우리시오 빅토리노, 안드레스 스코티, 세바스티안 아브레우가 성공하고, 막시 페레이라는 실축했다. 가나는 아사모아 기안과 스테판 아피아가 성공하고, 존 멘사와 도미닉 아디이아가 실축했다.[13]

준결승에서 우루과이는 케이프타운 스타디움에서 네덜란드를 만나 2-3으로 패배했다. 우루과이는 디에고 포를란과 막시 페레이라가 골을 넣었고, 네덜란드는 조반니 판 브롱크호르스트, 베슬리 스네이더르, 아르연 로번이 득점했다.[13]

3·4위전에서 우루과이는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에서 독일을 만나 2-3으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우루과이는 에딘손 카바니디에고 포를란이 득점했고, 독일은 토마스 뮐러, 마르셀 얀센, 사미 케디라가 득점했다.[13]

2. 3. 2.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우루과이는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코스타리카에 1-3으로 패배[14]하였으나, 잉글랜드를 2-1 (수아레스 2골), 이탈리아를 1-0 (고딘 1골)으로 꺾고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콜롬비아에 0-2 (로드리게스에게 2골 허용)로 패하며 탈락했다.

2. 3. 3.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우루과이는 2018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를 모두 꺾고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 2018년 6월 15일, 예카테린부르크 중앙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의 경기에서는 후반 44분 히메네스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 6월 20일, 로스토프 아레나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는 전반 23분 수아레스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 6월 25일, 사마라 아레나에서 열린 러시아와의 경기에서는 전반 10분 수아레스의 선제골, 전반 23분 체리셰프의 자책골, 후반 45분 카바니의 쐐기골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16강에서는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포르투갈을 만나 전반 7분과 후반 17분에 터진 카바니의 멀티골로 2-1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8강에서 니즈니노브고로드 스타디움에서 프랑스를 만나 전반 40분 바란에게, 후반 16분 그리즈만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0-2로 패배, 최종 5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 3. 4.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우루과이는 H조 조별 리그에서 1승 1무 1패를 기록하고도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대한민국과의 첫 경기에서는 0-0으로 비겼다. 포르투갈과의 2차전에서는 0-2로 패배했다. 가나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데 아라스카에타의 멀티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으나, 대한민국이 포르투갈을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면서, 우루과이는 대한민국에 다득점에서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3. 역대 FIFA 월드컵 성적

우루과이는 FIFA 월드컵에 총 13번 출전하여 2번의 우승(1930년, 1950년)을 차지했다.[1] 1930년 우루과이에서 열린 첫 번째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를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1950년 브라질에서 열린 FIFA 월드컵에서는 결승전에서 개최국 브라질을 2-1로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

우루과이는 1954년, 1970년,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66년과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는 8강에 진출했고, 1986년, 1990년,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16강에 진출했다. 1962년, 1974년, 2002년,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우루과이는 1934년과 1938년 FIFA 월드컵에는 불참했고, 1958년, 1978년, 1982년, 1994년, 1998년,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예선 탈락했다.

우루과이의 FIFA 월드컵 최고 성적은 우승(1930년, 1950년)이며, 최저 성적은 조별 리그 탈락(1962년, 1974년, 2002년, 2022년)이다. FIFA 월드컵 통산 성적은 24승 12무 20패, 87득점 74실점으로,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9위에 올라있다.

우루과이의 월드컵 첫 경기는 1930년 7월 18일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페루와의 경기로, 1-0으로 승리했다. 최다 점수차 승리는 1950년 7월 2일 벨루오리존치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경기로, 8-0으로 승리했다. 최다 점수차 패배는 1986년 6월 8일 네사우알코요틀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경기로, 1-6으로 패배했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무*득점실점
1930우승1위4400153
1934불참
1938
1950우승[1]1위4310155
19544강4위5302169
1958예선 탈락
1962조별 리그13위310246
19668강7위412125
19704강4위621345
1974조별 리그13위301216
1978예선 탈락
1982
198616강16위402228
199016강16위411225
1994예선 탈락
1998
2002조별 리그26위302145
2006예선 탈락
20104강4위7322118
201416강12위420246
20188강5위540173
2022조별 리그20위311122
2026미정
2030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진출
2034미정
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합계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14/22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2회 우승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59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25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13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21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89style="background:#87cefa; color:black; "|76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녹아웃 경기를 포함합니다.''

4. 선수

4. 1. 최다 출전 선수

순위선수경기월드컵
1페르난도 무슬레라162010, 2014, 2018
2에딘손 카바니152010, 2014, 2018, 2022
디에고 고딘152010, 2014, 2018, 2022
4루이스 수아레스142010, 2014, 2018, 2022
5라디슬라오 마주르키에비츠131966, 1970, 1974
6마르틴 카세레스122010, 2014, 2018, 2022
7훌리오 세사르 코르테스111962, 1966, 1970
에히디오 아레발로 리오스112010, 2014
9페드로 로차101962, 1966, 1970, 1974
루이스 우비냐101966, 1970
디에고 포를란102002, 2010, 2014
막시 페레이라102010, 2014


4. 2. 최다 득점 선수

순위선수월드컵
1오스카르 미게스81950 (5골) 및 1954 (3골)
2루이스 수아레스72010 (3골), 2014 (2골) 및 2018 (2골)
3디에고 포를란62002 (1골) 및 2010 (5골)
4페드로 세아51930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51950 (3골) 및 1954 (2골)
에딘손 카바니52010 (1골), 2014 (1골) 및 2018 (3골)
7알시데스 기지아41950
카를로스 보르헤스41954
9페레그리노 안셀모31930
후안 호베르크31954


5. 월드컵 상대 전적

우루과이는 월드컵에서 여러 국가를 상대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상대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아르헨티나210143
1
오스트리아100113
벨기에100113
볼리비아110080
8
브라질210134
불가리아1010110
콜롬비아210123
코스타리카100113
체코110020
2
덴마크200228
이집트110010
1
잉글랜드321063
3
프랑스412123
독일401339
가나211031
2
헝가리100124
이스라엘110020
2
이탈리아311112
멕시코211010
1
네덜란드200225
페루110010
1
포르투갈210123
루마니아110040
4
러시아320152
3
사우디아라비아110010
1
스코틀랜드211070
7
세네갈1010330
남아프리카공화국110030
3
대한민국321031
2
스페인2020220
스웨덴310236
세르비아210174
3
합계592513218976
13


참조

[1] 웹사이트 WC Finals 1950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World Cup 1930 finals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FIFA World Cup Origin https://web.archive.[...] 2009-11-17
[4] 문서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서독과 1 : 1로 비긴 뒤 덴마크에 1 : 6으로 대패했으며 스코틀랜드와 0 : 0으로 비기며 2무 1패에 득실 차도 -5에 불과했으나 억세게 운 좋게 간신히 조 3위 팀들 간 순위에서 4위를 차지해 와일드카드를 받을 수 있었다."
[5] 문서 "1930년 FIFA 월드컵|자국에서 개최한 첫 월드컵]]에서 유럽이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루마니아]]. 이렇게 4개국밖에 참가하지 않은 것에 대한 불만으로 우루과이 역시 이 월드컵에서 불참했다. 하지만 우루과이는 불참했기에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처럼 선수들([[루이스 몬티]], [[엔리케 과이타]], [[라이문도 오르시]] 등)을 빼앗기는 더러운 꼴을 당하지는 않았다."
[6] 문서 RSSSF는 남은 자리에 스코틀랜드와 터키가 배정되어 있었다고 함
[7] 문서 RSSSF는 이 골이 12분에 들어갔다고 함
[8] 문서 RSSSF는 이 골이 37분에 들어갔다고 함
[9] 문서 RSSSF는 이 골이 51분에 들어갔다고 함
[10] 문서 RSSSF는 이 골이 20분에 들어갔다고 함
[11] 문서 RSSSF는 이 골이 54분에 들어갔다고 함
[12] 문서 이 대회는 1라운드와 2라운드가 조별리그로 진행되었다.
[13] 뉴스 Referee designations: matches 63 – 64 http://www.fifa.com/[...] FIFA 2010-07-08
[14] 웹인용 Referee designations for matches 5-8 https://web.archive.[...] 2014-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