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이다. 지구 그림자는 본영과 반영으로 나뉘며, 달이 본영에 완전히 들어가면 개기월식, 일부만 들어가면 부분 월식, 반영에 들어가면 반영월식으로 분류된다. 개기월식 시 달이 붉게 보이는 것은 지구 대기에서 굴절된 붉은색 빛 때문이다. 월식은 일식보다 발생 빈도가 높고, 지구 어디에서든 관측 가능하다. 월식의 진행 단계는 P1부터 P4까지 총 6단계로 나뉘며, 최대식은 본영 중심과 달 중심의 각거리가 최소가 되는 시점이다. 월식은 다양한 문화에서 신화나 징조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도 과거 월식 관측 기록이 존재한다. 달에서 월식을 관측하면 지구의 붉은 고리 모양의 대기를 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 관측 - 중추절
중추절은 음력 8월 15일에 열리는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가족들이 모여 추수를 기념하고 달을 감상하며 월병을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고, 한국의 추석, 일본의 츠키미, 베트남의 뗏쭝투 등 각 나라별로 독특한 문화적 풍습과 의미를 지닌다. - 달 관측 - 달빛
달빛은 달에서 반사된 햇빛으로 달의 위상에 따라 밝기가 변동하며,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고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 월식 - 2008년 2월 개기 월식
2008년 2월 개기 월식은 2008년 2월 21일에 일어났으며, 51분 동안 개기 월식이 지속되었고,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관측 가능했다. - 월식 - 2018년 1월 31일 월식
2018년 1월 31일 월식은 슈퍼문, 블루문, 블러드문의 특징을 동시에 나타내어 '슈퍼 블루 블러드 문'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에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관측된 개기월식이다. - 식현상 - 일식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달의 가림 정도에 따라 개기일식, 금환일식, 부분일식, 혼성일식으로 나뉘며, 사로스 주기를 통해 예측하고 관측 시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 식현상 - 베일리의 구슬
베일리의 구슬은 일식 때 달 표면의 굴곡 때문에 태양 빛이 구슬처럼 보이는 현상이며, 1836년 프랜시스 베일리가 상세히 설명하여 명명되었다.
월식 | |
---|---|
개요 | |
![]() | |
유형 | 천문 현상 |
발생 원인 |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여 달에 그림자가 드리워지는 현상 |
관련 천체 | 지구, 달, 태양 |
주기 | 불규칙적 (삭망월 주기에 따라 발생 가능) |
월식의 종류 | |
개기월식 | 달 전체가 지구의 본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 |
부분월식 | 달의 일부만 지구의 본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 |
반영월식 |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통과하는 현상 (눈에 잘 띄지 않음) |
관측 | |
관측 조건 | 밤에 달이 떠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관측 가능 |
특징 | 안전하게 맨눈으로 관측 가능 |
추가 정보 | 월식은 달가림이라고도 불린다. |
2. 월식의 종류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얼마나 가려지느냐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지구의 그림자는 본영과 반영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6] 본영은 지구가 태양 빛을 완전히 가리는 부분이고, 반영은 태양 빛이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부분이다.
- 개기월식: 달 전체가 지구의 본영에 들어가는 현상이다.
- 부분월식: 달의 일부분만 지구의 본영에 들어가는 현상이다.
- 반영월식: 달이 지구의 반영에 들어가는 현상이다. 이때는 달이 약간 어두워지지만, 육안으로는 알아차리기 힘들 수 있다.[6]
- 중심월식: 달이 지구 그림자의 중심 근처를 지나가는 개기월식으로, 드물게 발생한다.[9]
월식이 일어날 때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도 월식의 지속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달이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인 원지점 근처에서 개기월식이 일어나면 지속 시간이 더 길어진다.
2. 1. 개기월식
개기월식은 달 전체가 지구의 본영에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때 달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 대기에 의해 산란된 붉은빛을 띠게 된다.[41] 이는 태양광 중 파장이 긴 붉은 계통의 빛이 지구 대기에 의해 굴절·산란되어 본영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27]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는 정도를 '''식분'''이라고 하며, "(본영의 반지름 + 달의 시반지름 - 본영의 중심과 달의 중심의 거리) ÷ (달의 시직경)"이라는 식으로 계산된다. 개기월식의 경우 식분은 1 이상이다.
개기월식이라도 보통 달은 새까맣게 되지 않고 어두운 적색(적동색)으로 보인다.[27] 그러나 화산 폭발 등으로 대기 중에 특히 많은 양의 미립자가 부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달이 매우 어두워져 회색이 되거나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2. 2. 부분월식
달의 근지점이 지구의 본영에 부분적으로 들어갈 때 부분 월식이라고 하며, 달 전체가 지구의 본영에 들어갈 때는 개기 월식이 발생한다.[7] 이 현상 동안 달의 한 부분은 지구의 본영 안에 있고, 다른 부분은 지구의 반그림자 안에 있다. 달의 평균 공전 속도는 약 2300mph이며, 시간당 달 지름보다 조금 더 빠르므로, 개기 현상은 최대 107분까지 지속될 수 있다. 하지만, 달의 가장자리와 지구 그림자의 첫 번째 접촉부터 마지막 접촉까지의 총 시간은 훨씬 더 길어서 최대 236분까지 지속될 수 있다.[7]지구에서 보이는 달 표면이 본영(지구에 의해 태양이 완전히 가려진 부분)에 들어가는 경우를 '''개기월식'''(total eclipse영어)[26], 일부분만이 본영에 들어가는 경우를 '''부분 월식'''(partial eclipse영어)이라고 한다.
2. 3. 반영월식
반영월식은 달의 근지점면 일부 또는 전부가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갈 때 발생한다.[6] 이 현상 동안 달의 어떤 부분도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지구를 향한 달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태양이 부분적으로 가려진다. 반그림자는 달 표면을 미세하게 어둡게 만들며, 이는 달 지름의 대부분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잠길 때 육안으로만 볼 수 있다.[6] 특별한 형태의 반영월식은 전체 반영월식으로, 달 전체가 지구의 반그림자 내에 완전히 위치한다. 전체 반영월식은 드물게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때 본그림자에 가장 가까운 달의 부분은 달의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더 어둡게 보일 수 있다.달이 반영(지구가 태양의 일부를 가리고 있는 부분)에 들어간 상태는 반영식(혹은 반영월식, penumbral eclipse영어)이라고 불리지만, 반영에 들어간 달 표면 부분의 감광 정도는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알 수 없을 정도이므로, 사전 예고 없이 육안으로 봐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 4. 중심 월식
중심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의 중심 근처를 지나 통과하여 태양 반대점에 닿는 개기 월식이다.[9] 이러한 유형의 월식은 상대적으로 드물다.월식이 일어나는 시점에 달이 지구로부터의 상대적 거리는 월식의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달이 원지점, 즉 달 궤도에서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 가까울 때 궤도 속도가 가장 느리다. 지구의 본영의 직경은 달의 궤도 거리가 변한다고 해서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기 월식이 원지점 근처에서 발생하면 개기 시간의 길이가 길어진다.
2. 5. 전체 반영월식
전체 반영월식은 달 전체가 지구의 반그림자 내에 완전히 위치하는 현상이다. 전체 반영월식은 드물게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때 본그림자에 가장 가까운 달의 부분은 달의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더 어둡게 보일 수 있다.[6]3. 월식의 원리
태양-지구-달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보름달이 뜨는데, 이때 지구의 그림자가 달에 드리워져 월식이 일어난다. 하지만 태음력 보름(월령 15일)마다 월식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가 약 5도 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41]
지구의 그림자는 본영과 반영 두 부분으로 나뉜다. 지구는 본영 안에서 직접적인 태양 복사를 완전히 가린다. 그러나 달의 하늘에서 태양의 각직경이 지구의 약 4분의 1로 보이기 때문에, 지구는 반영 안에서 태양광을 부분적으로만 차단한다.
월식은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관측 가능하고, 일식보다 자주 발생하며, 진행 시간도 보통 50분에서 최대 2시간 40분 정도로 길다. 월식은 맨눈으로도 볼 수 있지만, 망원경을 사용하면 더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3. 1. 붉은 달 (블러드 문)
개기월식이 일어날 때 달이 붉은색으로 보이는 것은 지구 대기에 의한 레일리 산란 때문이다. 태양에서 나온 빛 중 파장이 짧은 푸른 빛은 산란되고, 파장이 긴 붉은 빛이 달에 도달하여 반사되기 때문이다.[41] 만약 지구에 대기가 없다면 월식 동안 달은 완전히 어두워질 것이다.[14]햇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기체층은 소광되고 대기 굴절을 일으켜 녹색에서 보라색 파장의 빛이 빨간색보다 더 강하게 산란되어 달에 붉은 빛을 띠게 한다.[24] 이는 태양 광선이 지구를 돌아 달에서 반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25] 굴절된 빛의 양은 대기 중의 미립자 또는 구름의 양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얼마나 많은 빛이 산란되는지를 제어한다. 대기가 더 먼지가 많을수록 다른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제거되어 (빨간색에 비해) 결과적인 빛이 더 짙은 빨간색을 띠게 된다. 이것은 달의 구리-붉은색 색조가 월식마다 달라지는 원인이 된다.

특정 월식은 "피의 달"이라고 불려왔지만, 이는 과학적으로 인정된 용어는 아니다.[22]
3. 2. 단종 등급 (Danjon scale)
앙드레-루이 당종이 20세기 초에 월식의 밝기를 분류하기 위해 정한 척도로, "당종 척도"라고도 불린다.[13] 개기 월식 때 달 표면의 모습은 지구 대기 중의 먼지 양에 따라 달라진다. 먼지가 적으면 태양 빛이 대기 중을 통과할 때의 산란이 적어져 달 표면이 노란색으로 밝게 보이고, 먼지가 많으면 대기 중의 산란이 많아져 달 표면이 어둡게 보인다(대규모 화산 폭발이 있으면 대기 중의 화산재로 인해 달 표면이 어두워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당종 등급은 다음 5단계로 나뉜다.
척도 | 달 표면의 모습 |
---|---|
0 | 매우 어두운 월식. 달 표면의 중심은 보이지 않는다. |
1 | 어두운 월식. 회색 또는 갈색으로, 달의 세부 사항은 알기 어렵다. |
2 | 어두운 붉은색 또는 적갈색 월식. 달의 중심은 매우 어둡고, 주변부는 약간 밝다. |
3 | 벽돌색 월식. 달의 가장자리는 밝거나 노란색. |
4 | 매우 밝은 월식. 달의 가장자리는 푸르스름하고 매우 밝다. |
3. 3. 터키석 프린지 (Turquoise fringe)
성층권까지 도달한 태양광 중 파장이 긴 붉은 빛은 오존에 흡수되기 쉽기 때문에 파장이 짧은 푸른 빛만이 오존층을 통과한다. 그 푸른 빛이 달 표면에 투영되어 푸른 띠로 보이는 현상이 관측될 수 있다. 이 푸른 띠는 "터키석 프린지"(turquoise fringe)라고도 불리며, 월식의 본영과 반영의 경계에 나타난다. 2007년 5월 4일 독일에서 관측된 개기 월식 때 달에 비치는 푸른 빛의 띠가 촬영되었다. 2008년 2월 13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과학 뉴스에서 그 빛은 "터키석 프린지"로 제창되었다. 2014년 10월 4일의 월식 때에도 "터키석 프린지"가 관측되어 일본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4. 월식의 시기와 빈도
월식은 태양과 달이 황도와 백도가 교차하는 지점(달의 교점) 부근에 있을 때 발생한다.[28] 일반적으로 매년 최소 두 번의 월식이 발생하며, 최대 다섯 번까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개기 월식은 부분 월식보다 훨씬 드물게 발생한다. 사로스 주기와 같은 일식 주기를 사용하면 앞으로 발생할 월식을 예측할 수 있다.
월식은 대개 1년에 2번 일어나는 해와 거의 일어나지 않는 해, 3번 일어나는 해가 있다.
4. 1. 월식의 진행 과정
총 월식의 시간은 "접촉점" (지구 그림자와의 접촉 순간)으로 결정된다.[12]
- P1 (제1 접촉): 반그림자식의 시작. 지구의 반그림자가 달의 가장자리에 닿는다.
- U1 (제2 접촉): 부분식의 시작. 지구의 본그림자가 달의 가장자리에 닿는다.
- U2 (제3 접촉): 완전식의 시작. 달 표면이 완전히 지구의 본그림자 안에 들어간다.
- 최대식: 완전식의 최대 단계. 달이 지구 본그림자의 중심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다.
- U3 (제4 접촉): 완전식의 종료. 달의 가장자리가 지구의 본그림자를 벗어난다.
- U4 (제5 접촉): 부분식의 종료. 지구의 본그림자가 달 표면을 벗어난다.
- P4 (제6 접촉): 반그림자식의 종료. 지구의 반그림자가 더 이상 달과 접촉하지 않는다.
아래는 위에 언급된 접촉점들에 대한 추가 설명이다.
- 제1 접촉: 달이 지구의 본영에 들어가기 시작하는 순간.
- 제2 접촉: 달이 지구의 본영에 완전히 들어간 순간. 이 순간이 '''중심식'''의 시작이 된다.
- 식의 최대/식심: 달의 중심과 본영 원뿔의 중심과의 각거리가 최소가 되는 시점.
- 제3 접촉: 달이 지구의 본영에서 나오기 시작하는 순간. 이 순간이 중심식의 종료가 된다.
- 제4 접촉: 달이 지구의 본영에서 완전히 나온 순간.
4. 2. 일식과의 비교
월식은 일식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태양, 지구, 달의 상호 작용 방식은 매우 다르다. 월식은 태양과 달이 황도와 백도가 교차하는 지점(달의 교점) 부근에 있을 때만 일어난다.[28]월식은 보통 1년에 2번, 또는 3번 일어나는 해가 있고 거의 일어나지 않는 해도 있다. 21세기 100년 동안 총 142회(개기 월식 85회, 부분 월식 57회) 일어난다. 반면, 일식은 최소 1년에 2번, 많게는 5번 일어나는 해도 있으며, 21세기 100년 동안 총 224회(개기 일식 68회, 금환식 72회, 금환 개기 일식 7회, 부분 일식 77회)이다. 이처럼 월식의 발생 빈도는 일식보다 낮지만[28], 월식은 달이 보이기만 하면 지구상의 어디에서든 관측이 가능한 반면, 일식은 달의 그림자가 지구 표면을 가로지르는 좁은 지역에서만 볼 수 있기 때문에[29], 일반적으로는 일식보다 월식을 더 자주 보게 된다.
월식과 일식의 빈도 차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지구와 태양이 모두 내접하는 거대한 원뿔을 가정할 때, 달이 이 원뿔의 태양 반대쪽 부분(지구의 본영)으로 들어가면 월식이 발생하고, 태양과 같은 방향의 부분으로 들어가면 일식이 발생한다.[30] 이 원뿔의 달의 궤도 부근에서의 반지름은 월식 쪽이 약 4460km - 4750km[31], 일식 쪽이 약 7990km - 8280km로 다르기 때문에[32] 월식의 발생 빈도는 일식보다 낮아진다.
일본에서 1년에 월식이 3번 관측된 해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월식 1 | 월식 2 | 월식 3 |
---|---|---|---|
1833년 (덴포 3년 윤달) | 1월 6일 (덴포 2년 윤11월 16일) | 7월 2일 (덴포 3년 5월 15일) (일본 시간: 7월 3일 (5월 16일)) | 12월 26일 (11월 16일 (일본 시간: 12월 27일 (11월 17일)) |
1852년 (가에이 4년) | 1월 7일 (가에이 4년 12월 16일) | 7월 1일 (가에이 5년 5월 14일) | 12월 26일 (11월 16일) |
1898년 (메이지 31년) | 1월 8일 (일본 시간: 1월 9일) | 7월 3일 (일본 시간: 7월 4일) | 12월 27일 (일본 시간: 12월 28일) |
1917년 (다이쇼 6년) | 1월 8일 | 7월 4일 (일본 시간: 7월 5일) | 12월 28일 |
1982년 (쇼와 57년) | 1월 9일 (일본 시간: 1월 10일) | 7월 6일 | 12월 30일 |
2028년 | 1월 12일 | 7월 6일 (일본 시간: 7월 7일) | 12월 31일 (일본 시간: 2029년 1월 1일) |
2094년 | 1월 1일 (일본 시간: 1월 2일) | 6월 28일 | 12월 21일 (일본 시간: 12월 22일) |
일본에서는 이 외에도 2010년 (헤이세이 22년)에 ''1월 1일'', ''6월 26일'', '''12월 21일''' 월식이 있었다.
월식이 없는 해는 1966년, 1969년, 1980년, 1984년, 1998년, 2002년, 2016년, 2020년이다.
4. 3. 월출대식과 월몰대식
월출대식(月出帶食)은 월식 도중에 달이 떠오르는 현상이고, 월몰대식(月沒帶食)은 월식이 진행되는 동안 달이 지는 현상이다.5. 한국에서 관측된 월식
2000년 이후 한국에서 관측된 월식은 다음과 같다.
5. 1. 과거의 주요 월식
날짜 | 종류 | 월식 현상 상세 설명 |
---|---|---|
1997년 9월 17일 월식 | 개기 | [42] |
2000년 7월 16일 월식 | 개기 | [33] |
2001년 1월 10일 월식 | 개기 | [34] |
2001년 7월 5일 월식 | 부분 | [35] |
2004년 5월 5일 월식 | 개기 | [34] |
2005년 10월 17일 월식 | 부분 | [34] |
2006년 9월 8일 월식 | 부분 | [34] |
2007년 3월 4일 월식 | 부분 | 월몰대식[34] |
2007년 8월 28일 월식 | 개기 | 월출대식[34] |
2008년 2월 21일 월식 | 개기 | [42] |
2008년 8월 17일 월식 | 부분 | [34] |
2010년 1월 1일 월식 | 부분 | [34] |
2010년 6월 26일 월식 | 부분 | [34] |
2010년 12월 21일 월식 | 개기 | [34] |
2011년 6월 16일 월식 | 개기 | [34] |
2011년 12월 10일 월식 | 개기 | 별도 항목 참조[34] |
2012년 6월 4일 월식 | 부분 | [34] |
2013년 5월 25일 월식 | 부분 | [42] |
2014년 4월 15일 월식 | 부분 | [34] |
2014년 10월 8일 월식 | 개기 | [34] |
2015년 4월 4일 월식 | 개기 | [34] |
2017년 8월 8일 월식 | 부분 | [34] |
2018년 1월 31일 월식 | 개기 | 별도 항목 참조[42] |
2018년 7월 28일 월식 | 개기 | 월몰대식[34] |
2020년 4월 17일 월식 | 개기 | [42] |
2021년 5월 26일 월식 | 개기 | 별도 항목 참조[34] |
2021년 11월 19일 월식 | 부분 | 별도 항목 참조[42] |
2022년 11월 8일 월식 | 개기 | 별도 항목 참조[42] |
5. 2. 앞으로 관측될 월식
2023년 10월 29일에는 부분 월식이 최대 약 10% 관측되었다.[34]2025년 3월 14일에는 부분 월식이 예정되어 있으나, 일본 홋카이도에서만 관측 가능하다.[34]
2025년 9월 8일에는 일본 전국에서 개기 월식을 관측할 수 있으며, 개기식은 약 1시간 24분 동안 지속될 예정이다.[34]
6. 문화 속의 월식
월식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화, 전설, 민속 신앙의 소재로 등장했다.
6. 1. 한국의 전통 관념
주어진 원문은 일본의 월식 기록에 관한 내용이며, 한국의 전통 관념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주어진 원문으로는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6. 2. 다른 문화권의 관념
몇몇 문화권에서는 월식과 관련된 신화를 가지고 있거나, 월식을 길흉을 점치는 징조로 묘사한다. 이집트 신화에서 이집트인들은 월식을 암퇘지가 달을 잠시 삼키는 현상으로 보았다. 다른 문화권에서는 월식을 마야 신화의 재규어나 중국 신화의 세 발 달린 두꺼비와 같은 동물들이 달을 삼키는 것으로 묘사한다. 어떤 사회에서는 악마가 달을 삼키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돌을 던지거나 저주를 퍼부어 악마를 쫓아내려 했다.[15] 고대 그리스인들은 지구의 둥근 형태를 정확히 알고 있었으며, 월식 때 나타나는 그림자를 그 증거로 활용했다.[16] 일부 힌두교 신자들은 월식 후 갠지스강에서 목욕하는 것이 구원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17]잉카인은 마야인과 마찬가지로, 월식이 재규어가 달을 먹을 때 발생한다고 믿었으며, 이것이 붉은 달이 붉게 보이는 이유라고 생각했다. 잉카인들은 또한 재규어가 달을 다 먹고 나면 지구의 모든 동물을 삼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창을 들고 달을 향해 소리를 질러 재규어를 쫓아냈다.[18]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월식이 달이 일곱 악마에게 공격받는 때라고 믿었다. 그러나 이 공격은 단순한 달에 대한 공격 이상이었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과 땅에서 일어나는 일을 연결시켰고, 메소포타미아의 왕이 땅을 대표했기 때문에 일곱 악마는 왕을 공격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왕에 대한 이러한 공격을 막기 위해 메소포타미아인들은 누군가에게 왕의 역할을 하게 하여 진짜 왕 대신 공격을 받게 했다. 월식이 끝나면 대리 왕은 사라지게 했다 (아마도 독살로).[18]
일부 중국 문화권에서는 사람들이 용이나 다른 야생 동물이 달을 물어뜯는 것을 막기 위해 종을 쳤다.[19] 19세기에는 중국 해군이 월식 때 이러한 믿음 때문에 대포를 발사했다.[20] 주 왕조 (기원전 1046년–기원전 256년) 시대에, ''시경''에서 붉은 달이 어둠에 잠기는 모습은 기근이나 질병을 예고하는 것으로 여겨졌다.[21]
서적에 기록된 월식 기록으로는, 일본서기에 고교쿠 천황 2년 경술삭 을축(16일)과 덴무 천황 9년 11월 정해(16일)의 2가지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다만 전자는 일본에서는 관측될 수 없는 현상이었다).[37] 가마쿠라 시대의 구조 가네자네의 일기인 『교쿠요』에는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는 문구와 함께 기원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38][39]
7. 달에서 본 월식
월식 때 달에서 태양을 보면 지구에서 보는 일식처럼 태양이 지구에 의해 가려지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2009년 2월 19일, 일본의 달 궤도 위성 가구야가 세계 최초로 이 광경 촬영에 성공했다. 반그림자에서 촬영했기 때문에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지는 않았지만, 지구에 의한 다이아몬드 링이 관찰되었다[36].
참조
[1]
웹사이트
Century's Longest Lunar Eclipse July 27
http://earthsky.org/[...]
2018-08-01
[2]
웹사이트
Eclipses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4-05-13
[3]
웹사이트
NASA - Periodicity of Lunar Eclipses
https://eclipse.gsfc[...]
2024-05-13
[4]
웹사이트
PHYS 1350 Astronomy Exam 3 (TXST-Olson)
https://quizlet.com/[...]
2023-11-09
[5]
뉴스
ATel #16328 - ASASSN-23ht: A Deep Eclipse Event
https://www.astronom[...]
2023-11-09
[6]
서적
Canon of Lunar Eclipses -2002 to +2526
Astronomisches Büro Wien
1992
[7]
서적
Fundamental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
[8]
웹사이트
Lunar Limb Magic
https://astronomy.co[...]
2018-11-27
[9]
서적
Celestial Shadows: Eclipses, Transits, and Occultations
Springer
[10]
웹사이트
Day and Night World Map
https://www.timeandd[...]
2023-11-01
[11]
웹사이트
In Search of Selenelion
http://www.skyandtel[...]
2011-12-08
[12]
웹사이트
On the nature of eclipses
http://www.inconstan[...]
Cyclopedia Selenica
2010-12-19
[13]
웹사이트
Observing and Photographing Lunar Eclipses
http://skytonight.co[...]
F+W
2007-01-07
[14]
웹사이트
Visual Appearance of Lunar Eclipses
http://eclipse.gsfc.[...]
NASA
[15]
서적
Totality Eclipses of the Su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6]
웹사이트
Ancient Myths Revised with Lunar Eclipse
https://www.astro.um[...]
University of Maryland
2014-10-02
[17]
웹사이트
Hindus take a dip in the Ganges during Lunar Eclipse
https://in.news.yaho[...]
2014-10-02
[18]
웹사이트
Lunar Eclipse Myths From Around the World
http://news.national[...]
2014-10-09
[19]
뉴스
Interesting Facts and Myths about Lunar Eclipse
http://au.ibtimes.co[...]
2014-10-02
[20]
웹사이트
Mythology of the Lunar Eclipse
https://www.lifeasmy[...]
[21]
웹사이트
What Lunar Eclipse Mean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http://www.dnaindia.[...]
2014-10-06
[22]
뉴스
Blood Moon to arrive Monday night. What is a Blood Moon?
http://www.csmonitor[...]
2018-02-08
[23]
서적
Knack Night Sky: Decoding the Solar System, from Constellations to Black Holes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2010
[24]
뉴스
All you need to know about the 'blood moon'
https://www.theguard[...]
2015-09-28
[25]
웹사이트
Why does the moon turn red during a total lunar eclipse?
https://www.space.co[...]
2023-01-05
[26]
웹사이트
442年ぶり皆既月食中に惑星食、次回は322年後の天体ショー 8日夜、天気よければ各地で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11-06
[27]
뉴스
皆既月食の赤銅色 理由は光の性質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11-20
[28]
문서
ただし半影食の86回を含めれば今世紀中に起こる月食の回数は228回となり、日食とほぼ同等の頻度である。
[29]
문서
地球上の1定点で皆既日食が観測可能となるのは300 - 400年に1回といわれている。
[30]
문서
月の一部が円錐内に入れば部分月食あるいは部分日食となり、月全体が円錐内に入れば皆既月食あるいは皆既日食または金環日食となる。
[31]
문서
月食側円錐半径の視野角は0°37'38" - 0°45'45"、皆既月食の横緯差限界は±0°22'58" - ±0°29'1"、部分月食の横緯差限界は±0°52'18" - ±1°2'28"。望、すなわち満月の時に月の黄緯がこの範囲内である(月食が生じる)ための太陽の昇交点又は降交点から黄経差限界は皆既月食で±4°15'50" - ±5°23'24"、部分月食で±9°44'58" - ±11°40'10" である。一方、太陽の昇交点からの黄経は1朔望月(満月から次の満月まで)の間に平均で30°40'13"変化する。これは黄経差限界の2倍よりも大きく、1朔望月の間に太陽が昇交点付近の黄経差限界範囲を通り抜けてしまうということが生じ得る。この場合、食の季節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月食が起こらないということになる。
[32]
문서
日食側円錐半径の視野角は1°9'22" - 1°17'28"、皆既/金環日食の横緯差限界は±0°54'42" - ±1°0'44"、部分日食の横緯差限界は±1°24'2" - ±1°34'12"。朔、すなわち新月の時に月の黄緯がこの範囲内である(日食が生じる)ための太陽の昇交点又は降交点から黄経差限界は皆既/金環日食で±10°11'57" - ±11°20'29"、部分日食で±15°47'13" - ±17°45'26" である。部分日食の黄経差限界範囲は常に太陽の1朔望月間の移動量よりも大きいので食の季節には少なくとも部分日食が1回は生じ、また2回生じることも可能となる。
[33]
웹사이트
2000年7月16〜17日の皆既月食を見よう
https://web.archive.[...]
厚木市子ども科学館
2022-11-20
[34]
웹사이트
日本で見える(見えた)月食の一覧
https://web.archive.[...]
倉敷科学センター
2022-11-20
[35]
웹사이트
2001年7月5〜6日の部分月食を見よう
https://web.archive.[...]
厚木市子ども科学館
2022-11-20
[36]
웹사이트
JAXA - 月周回衛星「かぐや(SELENE)」のハイビジョンカメラ(HDTV)による半影月食時の地球の撮影の成功について
https://www.jaxa.jp/[...]
2009-02-18
[37]
학술지
日本書紀天文言己録の信頼性
https://www.nao.ac.j[...]
2022-11-13
[38]
웹사이트
【中世日本の月食観】月食が怖かった!?
https://weathernews.[...]
2018-01-26
[39]
학술지
中世びとの月蝕観 : 『玉葉』と『吾妻鏡』の記事から見て
https://saigaku.repo[...]
埼玉学園大学
2010-12
[40]
저널
月蝕
https://ko.wiktionar[...]
2018-07-08
[41]
백과사전
컴퓨터·환경·첨단·지구과학 - 우주-지구-기상 - 우주의 신 - 일식과 월식
http://donation.enc.[...]
[42]
뉴스
개기월식인지 모든 밤하늘을 판별할 수 없어 아직 미확실
2020-04-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내일 새벽 개기월식…달이 붉게 물든다
8일 새벽, 달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3년 만에 펼쳐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