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미리는 일본에서 활동하는 재일 한국인 작가이다. 1968년 이바라키현에서 태어나 요코하마에서 성장했으며, 배우, 극작가로 활동하다 소설가로 데뷔했다. 1994년 소설 『돌에 헤엄치는 물고기』 발표 후 사생활 침해 소송에 휘말렸으나, 이후 『풀 하우스』, 『가족 시네마』 등으로 문학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2020년 소설 『JR 우에노역 공원 입구』로 전미 도서상 번역 문학 부문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현재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에서 서점과 극장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쿠타가와상 수상자 - 무라카미 류
무라카미 류는 소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로 데뷔하여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영화감독, 언론인 등으로 활동하며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는 일본의 작가이다. - 아쿠타가와상 수상자 - 오가와 요코
오가와 요코는 1988년 등단하여 아쿠타가와 상, 요미우리 문학상 등을 수상한 일본의 소설가, 에세이 작가, 번역가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재일 한국인 - 박춘금
박춘금은 일제강점기 조선 출신으로 일본 중의원 의원을 지내며 친일 행위를 한 인물로, 재일 조선인 단체를 조직하고 조선인 참정권과 징병제 도입을 주장했으며, 광복 후 일본으로 도피하여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고문으로 활동했다. - 재일 한국인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유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유미리 (유 미리) |
일본어 표기 | 유 미리 (ゆう みり) |
한자 표기 | 柳美里 |
출생일 | 1968년 6월 22일 |
출생지 | 일본,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극작가, 소설가, 수필가 |
언어 | 일본어 |
학력 | |
최종 학력 | 요코하마 공립 학원 고등학교 중퇴 |
작품 활동 | |
활동 시기 | 1988년 - 현재 |
데뷔 작품 | 《물 속의 친구에게》 (1988년) |
주요 작품 | 《돌 속의 물고기》 (1994년) 《가족 시네마》 (1997년) 《골드 러시》 (1998년) 《생명》 4부작 (2000년 - 2002년) 《비와 꿈의 뒤에》 (2005년) 《JR 우에노역 공원 출구》 (2014년) |
수상 내역 | |
주요 수상 | 이즈미 교카 문학상 (1996년) 노마 문예 신인상 (1996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 (1997년) 기야마 쇼헤이 문학상 (1999년) 전미 도서상 (2020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있음 |
자녀 | 있음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유미리 공식 웹사이트 |
2. 생애
유미리는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시에서 태어났으며,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서 한국인 부모의 네 남매 중 한 명으로 성장했다.[1] 그녀의 아버지는 한국 이민자의 아들로 파칭코 도박장에서 일했으며, 어머니는 한국 전쟁 난민으로 대한민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와 술집에서 일했다. 아버지의 학대와 부모의 이혼, 학교에서의 따돌림, 자살 시도 등으로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에드거 앨런 포,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등의 문학 작품을 읽으며 위안을 얻었다.[2] 조부는 밀양시에서 구두 가게를 운영하며 1940년 도쿄 올림픽 마라톤 선수 후보였다.[10]
요코하마 공립 학원 중학교를 졸업하고 요코하마 공립 학원 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따돌림으로 1년 만에 퇴학했다. 이후 히가시 유타카가 이끄는 뮤지컬 극단 도쿄 키드 브라더스에 최연소로 입단하여 연극계에 발을 들였다. 1986년에는 극단 세컨드 컴퍼니 "PAN and CIRCUS" 창단 공연에 배우로 참가하기도 했다.[12] 1987년에는 연극 유닛 "청춘 오월당"을 결성하며 극작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1988년 『물 속의 친구에게』로 극작가 데뷔 후, 1993년에는 『물고기의 축제』로 제37회 기시다 구니오 희곡상을 미야자와 아키오와 공동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1994년, 처녀 소설 『돌에 헤엄치는 물고기』를 『신초』에 발표하며 소설가로 데뷔했지만, 소설 내용으로 인해 사생활 침해 소송에 휘말리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2002년 최고 재판소는 출판 금지 판결을 내렸고, 국회 도서관에서도 해당 부분의 열람이 금지되었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유미리는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96년에는 『풀 하우스』로 이즈미 쿄카 문학상과 노마 문예 신인상을 수상했고, 1997년에는 『가족 시네마』로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하며 문단의 인정을 받았다.[13][14] 그러나 아쿠타가와상 수상 후에는 우익 단체의 협박으로 사인회가 취소되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15][16] 이러한 상황은 르몽드, 뉴욕 타임스, BBC 월드 뉴스 등 해외 언론에도 보도되며 표현의 자유 침해 문제로 논쟁이 확대되었다.[17][18]
1999년에는 라디오 프로그램 『유미리의 올나잇 닛폰』이 갤럭시상 장려상을 수상했으며, 『골드러시』로 키야마 쇼헤이 문학상을 수상했다. 2000년에는 장남을 출산했으며, 자전 소설 『생명』을 출판하여 편집자가 뽑는 잡지 저널리즘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2002년에는 아사히 신문과 동아일보에 『8월의 끝』을 동시 연재하기 시작했지만, 2004년 작가의 의사에 반하여 연재가 중단되었다.[32]
2003년에는 문예지 『en-taxi』를 창간하여 편집자로 활동했으며, 2007년에는 첫 아동 도서 『달로 간 켄타로 군』을 출판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는 피해 지역을 방문하며 봉사활동을 펼쳤고, 미나미소마시의 임시 재해 방송국에서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 2015년에는 가마쿠라에서 미나미소마로 이주하여 서점 "풀 하우스"를 개점하고, 아틀리에 "La MaMa ODAKA"를 오픈하며 지역 사회 활성화에 힘썼다.[20]
2020년에는 소설 『JR 우에노역 공원 입구』(Tokyo Ueno Station)로 전미 도서상 번역 문학 부문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25][26][27]
도쿄 키드 브라더스 시절 만난 히가시 유타카는 유미리에게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히가시는 유미리에게 글을 쓰라는 조언을 해주었고, 유미리는 그의 격려에 힘입어 극작가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히가시는 유미리의 아들을 함께 키우기도 했으며, 유미리는 히가시의 장례식에서 그를 "나의 단 한 명의 스승이자, 유미리라는 작가를 낳은 사람"이라고 추모했다.
2. 1. 초기 생애
1968년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에서 태어났다.[1]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재일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네 남매 중 한 명으로 성장했다. 아버지는 한국인 이민자의 아들로 파칭코 도박장에서 일했으며, 어머니는 한국 전쟁의 난민으로 대한민국에서 일본으로 피신하여 술집에서 호스티스로 일했다.1968년 6월 22일 6시 18분, 이바라키현쓰치우라시에서 태어났다.[10]
1972년 요코하마시 미나미구 오오카로 이사했다.
1973년 요코하마시 미나미구 미야모토초에 있는 스기야마 신사 유치원에 입학했다.
1974년 요코하마 시립 오오카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1977년 요코하마시 니시구 사카에노야로 이사하여 요코하마 시립 이나리다이 초등학교로 전학했다.
유미리의 아버지는 종종 폭력적이었으며, 유미리가 어렸을 때 부모는 이혼했다. 학교에서 자주 괴롭힘을 당하고, 몇 차례 자살 시도 후, 에드거 앨런 포,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윌리엄 포크너, 트루먼 커포티의 문학 작품을 읽으며 위안을 얻었다.[2]
1979년 부모의 별거로 인해 어머니와 함께 기타카마쿠라로 이사했다.
1980년 요코하마 쿄리츠 학원 중학교에 입학했다.
1983년 요코하마 쿄리츠 학원 고등학교에 입학했지만 1년 만에 중퇴했다.
1984년 히가시 요타카가 이끄는 뮤지컬 극단 도쿄 키드 브라더스에 최연소로 입단했다.
2. 2. 극단 활동 및 극작가 데뷔
고등학교 요코하마 쿄리츠 학원 고등학교를 중퇴한 후, 극단 도쿄 킷 브라더스(東京キッドブラザース)에 입단하여 배우와 부감독으로 활동하며 연극계에 입문했다. 1986년에는 극단 세이슌 고게츠토(青春五月党)를 결성했으며, 1987년 연극 유닛 청춘 오월당을 결성하여 극작가로 데뷔했다. 1988년에는 『물 속의 친구에게』로 극작가 데뷔를 했다. 1993년에는 『물고기의 축제』로 제37회 기시다 구니오 희곡상을 미야자와 아키오와 공동 수상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2. 3. 소설가 데뷔 및 논란
1994년, 유미리는 처녀 소설 『돌에 헤엄치는 물고기』를 문예지 『신초』에 발표하며 소설가로 데뷔했다. 하지만 소설 속 등장인물 묘사에 대한 이의 제기로 법적, 윤리적 논란에 휩싸였다. 소설의 단행본 출판은 법원 명령으로 중단되었고, 일부 도서관에서는 잡지 버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작가, 독자, 출판사의 권리와 개인의 사생활 보호 권리를 둘러싼 오랜 법정 공방 끝에 2002년 개정판이 출판되었다.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유미리는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1996년에는 『풀 하우스』로 이즈미 교카 문학상과 노마 문학상 신인상을 동시에 수상했고, 1997년에는 『가족 시네마』로 권위 있는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아쿠타가와상 수상 이후 신우익 단체의 협박으로 사인회가 취소되는 등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쟁이 불거지기도 했다.
2. 4. 2000년대 이후 활동
2000년 1월, 유미리는 장남을 출산했다. 2001년에는 자전적 소설 『생명』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이 작품은 제7회 편집자가 뽑은 잡지 저널리즘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2002년에는 아사히 신문 석간과 동아일보에 소설 『8월의 끝』을 동시 연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8월의 끝』은 "작가의 구상이 부풀어 신문 연재로 완결이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라는 이유로 2004년 3월 16일 작가의 의사에 반하여 중단되었다.[32]2003년에는 후쿠다 카즈야, 릴리 프랭키, 쓰보우치 유조와 함께 문예지 『en-taxi』를 창간하여 편집자로 활동했다. 2007년에는 첫 창작 아동서인 『달로 올라간 켄타로 군』을 출판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유미리는 피해 지역을 자주 방문하기 시작했으며, 2012년 3월 16일부터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에 위치한 임시 비상 방송국인 미나미소마 히바리 FM에서 "유미리의 두 사람과 한 사람"이라는 주간 라디오 쇼를 진행하며 지역 사회에 헌신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5년에는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에서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 하라마치구로 이사했다.
2. 5. 미나미소마 이주 후
2015년, 유미리는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로 이주했다. 이곳에서 유미리는 서점 '풀 하우스'와 극장 'La MaMa ODAKA'를 운영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썼다. '풀 하우스'는 단순한 서점을 넘어 지역 주민들의 문화 교류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으며, 'La MaMa ODAKA'는 다양한 공연과 예술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미나미소마에서의 생활은 유미리의 작품 활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20년, 유미리는 소설 《도쿄 우에노 역》으로 전미 도서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올랐다. 이 작품은 도쿄 우에노역을 배경으로 노숙자의 삶을 통해 일본 사회의 어두운 면을 조명했으며, 유미리 특유의 섬세한 문체와 사회 비판적인 시각이 돋보였다. 《도쿄 우에노 역》은 윤고은에 의해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3. 작품 세계
유미리의 작품 세계는 1996년 이후 소설, 에세이, 블로그 등 집필 활동에 집중하며 확장되었다. 초기 연극 활동은 2018년 부활 공연을 통해 재개되었다.
작품은 시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지나치게 시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시바 료타로는 유미리의 문장을 "날카롭게 연마된 문장"이라고 평가했다. 유미리의 작품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면서도, 인간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재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문제, 사회적 소외, 가족의 해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이러한 주제들을 통해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시한다. 그녀의 작품은 독특한 시적 문체와 날카로운 사회 비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언어유희와 은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자들에게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그녀의 문장은 때로는 아름답고 서정적이지만, 때로는 날카롭고 비판적이어서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트위터에서 로큰롤에 대한 애정을 공언하며, 고모토 히로토, 치바 유우스케, 마키시마무 더 료군 등의 음악을 즐겨 듣는다고 밝혔다. 또한 Shing02의 라이브에 가거나, 여름 페스티벌에도 자주 참석한다. 아이돌에 대한 관심도 드러내며, 마에다 아츠코, 시마자키 하루카, 히라테 유리나 등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낙어를 일상적으로 CD로 들으며, 타테카와 단슌과는 교류가 있다.
2020년 4월에는 가톨릭에서 세례를 받고 "테레사 베네딕타"라는 영명을 받았다.
작품에 대한 비평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그녀의 작품이 지닌 문학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그녀의 작품이 지나치게 개인적인 감정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도 하지만, 그녀의 작품이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그녀의 작품은 단순한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거울과 같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미리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사회적 약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억압된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주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미에서도 큰 중요성을 지닌다.
3. 1. 주요 작품
유미리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쳐왔다. 그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소설
풀 하우스: 분게이슌주에서 1996년 출간되었으며, 1999년 분슌 문고판에는 야마모토 나오키의 해설이 실렸다.
가족 시네마: 고단샤에서 1997년 출간되었고, 1999년 고단샤 문고판에는 스즈키 코지의 해설이 수록되었다.
물가의 요람: 카도카와 쇼텐에서 1997년 출간되었으며, 1999년 카도카와 문고판에는 하야시 마리코의 해설이 실렸다.
타일: 분게이슌주에서 1997년 출간되었으며, 2000년 분슌 문고판에는 미쿠니 렌타로의 해설이 실렸다.
골드 러시: 신초샤에서 1998년 출간되었으며, 2001년 신초 문고판에는 카와무라 지로의 해설이 실렸다. 영어 번역본은 스티븐 스나이더에 의해 2002년 출간되었다.
여학생의 친구: 분게이슌주에서 1999년 출간되었으며, 2002년 분슌 문고판에는 아키모토 야스시의 해설이 실렸다.
남자: 미디어 팩토리에서 2000년 출간되었으며, 2002년 신초 문고판에는 나카모리 아키오의 해설이 실렸다.
생명: 쇼가쿠칸에서 2000년 출간되었으며, 2004년 신초 문고판에는 릴리 프랭키의 해설이 실렸다. 이 작품은 영화 생명의 원작이다.
혼: 쇼가쿠칸에서 2001년 출간되었으며, 2004년 신초 문고판에는 후쿠다 카즈야의 해설이 실렸다.
루주: 카도카와 쇼텐에서 2001년 출간되었으며, 2003년 카도카와 문고판에는 마키무라 사토루의 해설이 실렸다. 이 작품은 텔레비전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생: 쇼가쿠칸에서 2001년 출간되었으며, 2004년 신초 문고판에는 마치다 코의 해설이 실렸다.
목소리: 쇼가쿠칸에서 2002년 출간되었으며, 2004년 신초 문고판에는 야마오리 테츠오의 해설이 실렸다.
돌에 헤엄치는 물고기: 신초샤에서 2002년 출간되었으며, 2005년 신초 문고판에는 후쿠다 카즈야의 해설이 실렸다.
8월의 끝: 신초샤에서 2004년 출간되었으며, 2007년 신초 문고판에는 허영중과 타카하시 겐이치로의 해설이 실렸다. 영어 번역본은 2023년 영국과 미국에서 각각 출간되었다.
비와 꿈의 뒤에: 카도카와 쇼텐에서 2005년 출간되었으며, 2008년 카도카와 문고판에는 카쿠타 미츠요의 해설이 실렸다.
흑: 후소샤에서 2007년 출간되었다.
야마노테선 내선: 카와데 쇼보 신샤에서 2007년 출간되었으며, 2012년 카와데 문고판에는 와고 료이치의 해설이 실렸다. 2021년에는 신장・개제판이 출간되었다.
온에어: 고단샤에서 2009년 출간되었으며, 2012년 고단샤 문고판에는 에노모토 마사키의 해설이 실렸다.
자살의 나라: 카와데 쇼보 신샤에서 2012년 출간되었으며, 2016년 카와데 문고판에는 타키이 아사요의 해설이 실렸다. 2021년에는 신장・개제판이 출간되었다.
JR 우에노역 공원 출구: 카와데 쇼보 신샤에서 2014년 출간되었으며, 2017년 카와데 문고판에는 하라 타케시의 해설이 실렸다. 2015년 한국어판과 프랑스어판이, 2019년 영어판이, 2020년 폴란드어판이 출간되었다.
고양이의 집: 카와데 쇼보 신샤에서 2016년 출간되었으며, 2019년 카와데 문고판에는 타케다 사테츠의 해설이 실렸다.
기르는 사람: 분게이슌주에서 2017년 출간되었으며, 2021년 분슌 문고판에는 오카노야 카즈오의 해설이 실렸다.
- 희곡
정물화: 이립서방, 1991년
해바라기의 관: 이립서방, 1993년
Green Bench: 카와데 쇼보 신샤, 1994년
물고기의 제사: 백수사, 1996년
마을의 유품: 카와데 쇼보 신샤, 2018년
어느 맑은 날에: 『희극 비극』 하야카와 쇼보, 2019년
- 에세이 및 논픽션
가족의 표본: 아사히 신문사, 1995년 출간. 1997년 아사히 문예 문고판에는 구제 미쓰히코의 권말 에세이가, 1998년 카도카와 문고판에는 와타나베 마리의 해설이 실렸다. 이 작품의 일부는 존 리가 편집한 《재일 문학: 한국계 민족에 의한 일본 문학》에 "가족의 표본"이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되어 수록되었다.
유미리의 "자살": 가와데 서방 신사, 1995년 출간. 문고판에서는 대폭 가필, 개제되었으며 하라 카즈오의 해설이 실렸다.
사어 사전: 아사히 신문사, 1996년 출간.
창문이 있는 서점으로부터: 카도카와 하루키 사무소, 1996년 출간.
NOW and THEN 유미리──유미리에 의한 전 작품 해설+51개의 질문: 카도카와 서점, 1997년
가면의 나라: 신초사, 1998년
말의 레슨: 아사히 신문사, 1998년 출간.
물고기가 본 꿈: 신초사, 2000년
말은 조용히 춤춘다: 신초사, 2001년
세계의 갈라짐과 영혼의 공백을: 신초사, 2001년
교환 일기: 신초사, 2003년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에 닿아: 닛케이 BP사, 2007년
유미리 불행 전 기록: 신초사, 2007년
NHK 아는 것을 즐기는 나의 고집 인물전 이로카와 다케오 온화하게 아웃로: NHK 출판, 2008년
패밀리 시크릿: 코단샤, 2010년
평양의 여름방학: 내가 본 "북한": 코단샤, 2011년. 유미리가 북한을 방문하여 보고 느낀 점을 담은 책으로, 북한 사회의 이면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가난뱅이의 신님 아쿠타가와상 작가 곤궁 생활기: 후타바샤, 2015년
인생에는 하지 않아도 좋은 일이 있다: 베스트 신서, 2016년
국가로 가는 길: 가와데 서방 신사, 2017년
미나미소마 메들리: 제3문명사, 2020년
3. 2. 작품의 특징
유미리의 작품은 시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지나치게 시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시바 료타로는 그의 문장을 "날카롭게 연마된 문장"이라고 평가했다.유미리는 트위터를 통해 로큰롤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으며, 고모토 히로토, 치바 유우스케, 마키시마무 더 료군 등의 음악을 즐겨 듣는다고 밝혔다. 또한 Shing02의 라이브 공연에 참석하거나, 여름 페스티벌에 자주 참여한다. 아이돌에 대한 관심도 표현하며, 마에다 아츠코, 시마자키 하루카, 히라테 유리나 등의 이름을 언급하기도 했다.
낙어를 즐겨 들으며 타테카와 단슌과 교류한다.
2020년 4월에는 가톨릭에서 세례를 받고 "테레사 베네딕타"라는 영명을 받았다.
3. 3. 문학적 평가
유미리의 작품은 독특한 시적 문체와 날카로운 사회 비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그녀의 작품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면서도, 인간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작품은 재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문제, 사회적 소외, 가족의 해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이러한 주제들을 통해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시한다.유미리의 작품은 또한 언어유희와 은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자들에게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그녀의 문장은 때로는 아름답고 서정적이지만, 때로는 날카롭고 비판적이어서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이러한 독특한 문체는 유미리를 현대 일본 문학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서게 했다.
유미리의 작품에 대한 비평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그녀의 작품이 지닌 문학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그녀의 작품이 지나치게 개인적인 감정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도 하지만, 그녀의 작품이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그녀의 작품은 단순한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거울과 같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미리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사회적 약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억압된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주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미에서도 큰 중요성을 지닌다.
4. 사회 활동
유미리는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에서 서점 '풀 하우스'와 극장 'La MaMa ODAKA'를 운영하며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풀 하우스는 단순한 서점을 넘어 지역 주민들의 문화 교류 공간 역할을 하고 있으며, La MaMa ODAKA는 연극 공연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한다. 유미리의 이러한 활동은 동일본 대지진 이후 침체되었던 미나미소마시의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1. 동일본 대지진 이후 활동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유미리는 후쿠시마현에서 재해 방송국 DJ로 활동하며 이재민들을 위로하고 지역 사회 재건에 헌신했다. 그녀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이재민들의 이야기를 전달하고, 재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유미리는 후쿠시마 지역 사회의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큰 공헌을 했다.4. 2. 지역 사회 공헌
유미리는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에서 서점 '풀 하우스'와 극장 'La MaMa ODAKA'를 운영하며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 있다. 풀 하우스는 단순한 서점을 넘어 지역 주민들의 문화 교류 공간 역할을 하고 있으며, La MaMa ODAKA는 연극 공연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유미리의 이러한 활동은 동일본 대지진 이후 침체되었던 미나미소마시의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5. 논란과 비판
유미리는 인종적 배경으로 인해 작품에 대한 인종차별적 반발을 겪었으며, 일부 서점 행사는 폭탄 위협으로 취소되기도 했다.
1999년, 유미리는 기혼 남성과 임신했고, 암으로 고통받는 옛 연인과 함께 피신했다. 옛 연인은 유미리가 임신하는 동안 그를 돌봤고, 2000년 유미리의 아이가 태어난 직후 사망했다. 이 사건은 유미리의 회고록 《Inochi》의 기초가 되었다. 2015년 4월부터 유미리는 미나미소마에 거주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오다카 지구 자택에 Full House라는 서점과 LaMaMa ODAKA라는 극장 공간을 열었다. 2020년에는 미나미소마 하라마치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고 에디트 슈타인의 종교명인 테레사 베네딕타라는 이름을 받았다.[1][8]
유미리는 미혼모이며 아들 하나를 두고 있다.
5. 1. 사생활 침해 소송
유미리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인종차별적 반발을 겪었으며, 일부 서점 행사는 폭탄 위협으로 취소되기도 했다.1999년, 유미리는 기혼 남성과의 사이에서 임신했으며, 암으로 투병 중이던 옛 연인과 함께 지냈다. 옛 연인은 유미리가 임신한 동안 그를 간호했고, 2000년 유미리의 아이가 태어난 직후 사망했다. 이 사건들은 유미리의 회고록 《Inochi》의 바탕이 되었다. 2015년 4월부터 유미리는 미나미소마시에 거주하고 있다. 2018년, 그는 오다카 지역의 자택에 Full House라는 서점과 LaMaMa ODAKA라는 극장 공간을 열었다. 2020년, 유미리는 미나미소마의 하라마치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에디트 슈타인의 종교명인 테레사 베네딕타라는 이름을 받았다.[1][8]
유미리는 미혼모이며 아들 한 명이 있다.
5. 2. 신우익의 협박
유는 자신의 인종적 배경 때문에 작품에 대한 인종차별적인 반발을 겪었으며, 폭탄 위협으로 일부 서점 행사가 취소되기도 했다.1999년, 유는 기혼 남성과 임신했고, 암으로 고통받는 옛 연인과 함께 피신했다. 그는 유가 임신하는 동안 유를 돌봤고, 2000년에 유의 아이가 태어난 직후 사망했다. 이 사건들은 유의 회고록 《Inochi》의 기초를 형성한다. 2015년 4월부터 유는 미나미소마에 거주하고 있다. 2018년, 유는 오다카 지구에 있는 자택에 Full House라는 서점과 LaMaMa ODAKA라는 극장 공간을 열었다. 2020년, 유는 미나미소마의 하라마치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고, 에디트 슈타인의 종교명인 테레사 베네딕타라는 이름을 받았다.[1][8]
유는 미혼모이며 아들 하나를 두고 있다.
6. 수상 경력
유미리는 다양한 작품 활동을 통해 여러 차례 수상했다. 1996년에는 소설 『풀 하우스』로 노마 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이듬해인 1997년에는 『가족 시네마』로 권위 있는 아쿠타가와 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았다.
2020년에는 소설 『도쿄 우에노 역』이 모건 자일스의 번역으로 전미 도서상 번역 문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4][5] 이 작품은 도호쿠 지방 출신 이주 노동자의 삶과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다루며 역사적 기억과 소외된 주변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유미리는 소설 외에도 희곡, 에세이, 논픽션, 아동 도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1991년에는 첫 희곡 작품집을 출간했으며, 2012년부터는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의 임시 비상 방송국에서 라디오 쇼를 진행하며 지역 사회와 소통하기도 했다.
7. 저서 목록
유미리의 저서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폭넓게 존재한다.
희곡유미리는 다양한 희곡 작품을 발표했다. 초기 작품으로는 『정물화』(1991년 11월, 이립서방)와 『해바라기의 관』(1993년 1월, 이립서방)이 있다. 이후 『Green Bench』(1994년 3월, 카와데 쇼보 신샤)를 발표했으며, 이 작품은 1998년 12월 카도카와 문고에서 『그린 벤치』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면서 쓰쓰이 야스타카의 해설이 추가되었다. 1996년 1월에는 『물고기의 제사』(백수사)를 발표했고, 이 작품 역시 1997년 12월 카도카와 문고에서 재출간되며 사이토 유키의 해설이 더해졌다. 2018년 11월에는 『마을의 유품』(카와데 쇼보 신샤)을 통해 「정물화」와 「창밖의 결혼식」을 함께 선보였다. 비교적 최근 작품으로는 「어느 맑은 날에」(『희극 비극』 하야카와 쇼보, 2019년 11월호)가 있다.
에세이유미리는 에세이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95년 4월, 『가족의 표본』(아사히 신문사)을 출간했으며, 이 작품은 1997년 8월 아사히 문예 문고판과 1998년 4월 카도카와 문고판으로 각각 재출간되었다. 특히 아사히 문예 문고판에는 구제 미쓰히코의 권말 에세이가, 카도카와 문고판에는 와타나베 마리의 해설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6월에는 『유미리의 "자살"』(가와데 서방 신사)을 발표했고, 이 작품은 1999년 12월 문춘 문고에서 『자살』이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면서 하라 카즈오의 해설과 함께 내용이 대폭 수정 및 추가되었다. 1996년 5월에는 『사어 사전』(아사히 신문사)을, 같은 해 12월에는 『창문이 있는 서점으로부터』(카도카와 하루키 사무소)를 발표했으며, 후자는 1999년 5월 하루키 문고판으로 재출간되면서 가와모토 사부로의 해설이 더해졌다. 1997년 7월에는 『NOW and THEN 유미리──유미리에 의한 전 작품 해설+51개의 질문』(카도카와 서점)을 출간했다. 1998년 4월에는 『가면의 나라』(신초사)를 발표, 2000년 5월 신초 문고판으로 재출간되며 사쿠라이 요시코의 해설이 추가되었다. 1998년 7월에는 『말의 레슨』(아사히 신문사)을, 2000년 10월에는 『물고기가 본 꿈』(신초사)을 발표했으며, 후자는 2003년 4월 신초 문고판으로 재출간되며 고토 시게오의 해설이 추가되었다. 2001년 3월에는 『말은 조용히 춤춘다』(신초사)를 발표, 2004년 1월 신초 문고판으로 재출간되며 쓰보우치 유조의 해설이 추가되었다. 이후 『세계의 갈라짐과 영혼의 공백을』(신초사, 2001년 9월), 『교환 일기』(신초사, 2003년 8월),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에 닿아』(닛케이 BP사, 2007년 7월), 『유미리 불행 전 기록』(신초사, 2007년 11월), 『NHK 아는 것을 즐기는 나의 고집 인물전 이로카와 다케오 온화하게 아웃로』(NHK 출판, 2008년 2월), 『가난뱅이의 신님 아쿠타가와상 작가 곤궁 생활기』(후타바샤, 2015년 3월), 『인생에는 하지 않아도 좋은 일이 있다』(베스트 신서, 2016년 12월), 『국가로 가는 길』(가와데 서방 신사, 2017년), 『미나미소마 메들리』(제3문명사, 2020년) 등을 꾸준히 발표했다.
논픽션논픽션 작품으로는 『패밀리 시크릿』(고단샤, 2010년 5월)이 있으며, 2013년 3월 문고판이 발행되면서 노무라 스스무의 해설이 추가되었다. 또한, 『평양의 여름방학: 내가 본 "북한"』(고단샤, 2011년 12월)을 통해 북한에 대한 경험을 기록하기도 했다.
아동 도서아동 도서로는 『달로 간 켄타로 군』(포플러사, 2007년 4월)이 있으며, 2009년 2월 포플러 문고판으로 재출간되면서 다와라 마치의 해설이 추가되었다.
유미리의 작품들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해외 독자들에게도 소개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스티븐 스나이더가 번역한 《골드 러시》(Gold Rush)(웰컴 레인, 2002), 애비 (미야비) 야마모토가 번역한 "가족의 표본" (《재일 문학: 한국계 민족에 의한 일본 문학》(Zainichi Literature: Japanese Writings by Ethnic Koreans) 수록, 존 리 편집, 2018), 모건 자일스가 번역한 《도쿄 우에노 역(Tokyo Ueno Station)》(틸티드 액시스, 2019)과 《8월의 끝》(The End of August)(리버헤드 북스, 2023년 8월) 등이 있다.
7. 1. 소설
유미리는 다음과 같은 소설들을 발표했다.- 1996년 《풀하우스》
- 1997년 《가족 시네마》
- 1997년 《물가의 요람》
- 1997년 《타일》
- 1998년 《골드 러시》
- 1999년 《여학생의 친구》
- 2000년 《남자》
- 2000년 《생명》
- 2001년 《루주》
- 2002년 《돌에 헤엄치는 물고기》
- 2004년 《8월의 저편》
- 2005년 《비와 꿈의 뒤에》
- 2007년 《흑》
- 2007년 《야마노테선 내선》 (2012년 "굿바이 엄마"로 개정되어 카와데 문고에서 출판, 2021년 "JR 타카다노바바역 토구치"로 재출간)
- 2009년 《온에어》
- 2012년 《자살의 나라》 (2016년 "마치아와세"로 개정되어 카와데 문고에서 출판, 2021년 "JR 시나가와역 타카나와구치"로 재출간)
- 2014년 《우에노역 공원출구》 (2015년 한국어판, 2015년 프랑스어판, 2019년 영어판, 2020년 폴란드어판, 2020년 미국어판 출간)
- 2016년 《고양이의 집》
- 2017년 《기르는 사람》
영어 번역:
- 《골드 러시》(Gold Rush), 웰컴 레인 (2002). ISBN 1-56649-283-1. 스티븐 스나이더 번역.
- "가족의 표본" in 《재일 문학: 한국계 민족에 의한 일본 문학》(Zainichi Literature: Japanese Writings by Ethnic Koreans) 존 리 편집 (2018). ISBN 1-55729-180-2. 애비 (미야비) 야마모토 번역.
- 《도쿄 우에노 역(Tokyo Ueno Station)》, 틸티드 액시스 (2019). ISBN 1911284169. 모건 자일스 번역.
- 《8월의 끝》(The End of August), 리버헤드 북스 (2023년 8월). ISBN 978-0593542668. 모건 자일스 번역.
일본어 원본 정보:
- 『풀 하우스』분게이슌주, 1996년
- : 분슌 문고, 1999년 해설・야마모토 나오키
- 『가족 시네마』고단샤, 1997년
- : 고단샤 문고, 1999년 해설・스즈키 코지
- 『물가의 요람』카도카와 쇼텐, 1997년
- : 카도카와 문고, 1999년 해설・하야시 마리코
- 『타일』분게이슌주, 1997년
- : 분슌 문고, 2000년 해설・미쿠니 렌타로
- 『골드 러시』신초샤, 1998년
- : 신초 문고, 2001년 해설・카와무라 지로
- 『여학생의 친구』분게이슌주, 1999년
- : 분슌 문고, 2002년 해설・아키모토 야스시
- 『남자』미디어 팩토리, 2000년
- : 신초 문고, 2002년 해설・나카모리 아키오
- 『생명』쇼가쿠칸, 2000년
- : 신초 문고, 2004년 해설・릴리 프랭키
- 『혼』쇼가쿠칸, 2001년
- : 신초 문고, 2004년 해설・후쿠다 카즈야
- 『루주』카도카와 쇼텐, 2001년
- : 카도카와 문고, 2003년 해설・마키무라 사토루
- 『생』쇼가쿠칸, 2001년
- : 신초 문고, 2004년 해설・마치다 코
- 『목소리』쇼가쿠칸, 2002년
- : 신초 문고, 2004년 해설・야마오리 테츠오
- 『돌에 헤엄치는 물고기』신초샤, 2002년
- : 신초 문고, 2005년 해설・후쿠다 카즈야
- 『8월의 끝』신초샤, 2004년
- : 신초 문고, 2007년 해설・허영중・타카하시 겐이치로
- *『The End Of August』Tilted Axis Press, 2023(영국판)
- *『The End Of August』Riverhead Books, 2023(미국판)
- 『비와 꿈의 뒤에』카도카와 쇼텐, 2005년
- : 카도카와 문고, 2008년 해설・카쿠타 미츠요
- 『흑』후소샤, 2007년
- 『야마노테선 내선』카와데 쇼보 신샤, 2007년
- : 『굿바이 엄마』(「JR 타카다노바바역 토구치」를 개정, 개제하여 문고화) 카와데 문고, 2012년 해설・와고 료이치
- :『JR 타카다노바바역 토구치』카와데 쇼보 신샤<카와데 문고>, 2021년 3월, 신장・개제판
- 『온에어』고단샤, 2009년
- : 고단샤 문고, 2012년 해설・에노모토 마사키
- 『자살의 나라』카와데 쇼보 신샤, 2012년
- : 『마치아와세』카와데 쇼보 신샤<카와데 문고>, 2016년, 해설・타키이 아사요, 개제하여 문고화
- :『JR 시나가와역 타카나와구치』카와데 쇼보 신샤<카와데 문고>, 2021년 2월, 신장・개제판
- 『JR 우에노역 공원 출구』카와데 쇼보 신샤, 2014년
- * 카와데 문고, 2017년 해설・하라 타케시
- *『우에노 역 공원 출구』2015(한국판)
- *『Sortie parc, gare d'Ueno』Actes Sud Editions,2015(프랑스판)
- *『Tokyo Ueno Station』Tilted Axis Press, 2019(영국판)
- *『Stacja Tokio Ueno』Wydawnictwo Uniwersytetu Jagiellońskiego, 2020(폴란드판)
- *『Tokyo Ueno Station』Riverhead Books, 2020(미국판)
- 『고양이의 집』카와데 쇼보 신샤, 2016년
- * 카와데 문고, 2019년 6월 해설・타케다 사테츠
- 『기르는 사람』분게이슌주, 2017년
- : 분슌 문고, 2021년 1월 해설・오카노야 카즈오
7. 2. 희곡
유미리는 다음과 같은 희곡 작품을 발표했다.- 《골드 러시》(Gold Rush), 웰컴 레인 (2002). ISBN 1-56649-283-1. 번역: 스티븐 스나이더.
- "가족의 표본" in 《재일 문학: 한국계 민족에 의한 일본 문학》(Zainichi Literature: Japanese Writings by Ethnic Koreans) 존 리 편집 (2018). ISBN 1-55729-180-2. 번역: 애비 (미야비) 야마모토.
- 《도쿄 우에노 역(Tokyo Ueno Station)》, 틸티드 액시스 (2019). ISBN 1911284169. 번역: 모건 자일스.
- 《8월의 끝》(The End of August), 리버헤드 북스 (2023년 8월). ISBN 978-0593542668. 번역: 모건 자일스.
- 『정물화』, 이립서방, 1991년 11월
- 『해바라기의 관』, 이립서방, 1993년 1월
- 『Green Bench』, 카와데 쇼보 신샤, 1994년 3월
- : 『그린 벤치』, 카도카와 문고, 1998년 12월 「해바라기의 관」을 병록. 해설・쓰쓰이 야스타카
- 『물고기의 제사』, 백수사, 1996년 1월
- : 카도카와 문고, 1997년 12월 「정물화」를 병록. 해설・사이토 유키
- 『마을의 유품』, 카와데 쇼보 신샤, 2018년 11월 (「정물화」「창밖의 결혼식」을 병록)
- 「어느 맑은 날에」(『희극 비극』 하야카와 쇼보, 2019년 11월호)
7. 3. 에세이
- 『가족의 표본』 아사히 신문사, 1995년 4월
- : 아사히 문예 문고, 1997년 8월 권말 에세이・구제 미쓰히코 ISBN 4022641568
- : 카도카와 문고, 1998년 4월 해설・와타나베 마리 ISBN 4043437021
- 『유미리의 "자살"』 가와데 서방 신사, 1995년 6월
- : 『자살』 문춘 문고, 1999년 12월 해설・하라 카즈오 (문고화에 즈음하여 대폭 가필, 개제) ISBN 4167621029
- 『사어 사전』 아사히 신문사, 1996년 5월
- : 카도카와 문고, 1999년 10월 해설・테리 이토 ISBN 4043437048
- 『창문이 있는 서점으로부터』 카도카와 하루키 사무소, 1996년 12월
- : 하루키 문고, 1999년 5월 해설・가와모토 사부로 ISBN 4894565285
- 『NOW and THEN 유미리──유미리에 의한 전 작품 해설+51개의 질문』 카도카와 서점, 1997년 7월
- 『가면의 나라』 신초사, 1998년 4월
- : 신초 문고, 2000년 5월 해설・사쿠라이 요시코 ISBN 410122921X
- 『말의 레슨』 아사히 신문사, 1998년 7월
- : 카도카와 문고, 2001년 6월 해설・다와라 마치 ISBN 4043437064
- 『물고기가 본 꿈』 신초사, 2000년 10월
- : 신초 문고, 2003년 4월 해설・고토 시게오 ISBN 4101229244
- 『말은 조용히 춤춘다』 신초사, 2001년 3월
- : 신초 문고, 2004년 1월 해설・쓰보우치 유조 ISBN 4101229279
- 『세계의 갈라짐과 영혼의 공백을』 신초사, 2001년 9월
- 『교환 일기』 신초사, 2003년 8월
-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에 닿아』 닛케이 BP사, 2007년 7월
- 『유미리 불행 전 기록』 신초사, 2007년 11월 ISBN 9784104017096
- 『NHK 아는 것을 즐기는 나의 고집 인물전 이로카와 다케오 온화하게 아웃로』NHK 출판, 2008년 2월
- 『가난뱅이의 신님 아쿠타가와상 작가 곤궁 생활기』후타바샤, 2015년 3월
- 『인생에는 하지 않아도 좋은 일이 있다』 베스트 신서, 2016년 12월
- 『국가로 가는 길』 가와데 서방 신사, 2017년
- 『미나미소마 메들리』 제3문명사, 2020년 ISBN 9784476033908
7. 4. 논픽션
- 『패밀리 시크릿』, 고단샤, 2010년 5월 출간. 2013년 3월 문고판 발행, 해설은 노무라 스스무가 맡았다.
- 『평양의 여름방학: 내가 본 "북한"』, 고단샤, 2011년 12월 출간.
7. 5. 아동 도서
- 『달로 간 켄타로 군』 포플러사, 2007년 4월
- 포플러 문고, 2009년 2월 해설・다와라 마치
8. 참고 문헌
다음은 유미리에 대한 참고 문헌 목록이다.
- 『家族シネマ』(슈에이샤, 1997년)
- 『石に泳ぐ魚』(분게이슌주, 1994년)
- 『フルハウス』(신초샤, 1996년)
- 『ユリイカ』(세이도샤, 2004년 12월): 유미리 특집
- 「家を失うということ 尹美里インタビュー」: 《현대 사상》 2015년 1월호, 오타 출판
- 「엄마는 나의 '아키야마 미네코'였다」: 《주간 문춘》 2024년 1월 18일호
- 「'죽지 않는' 나를 계속 쓰지 않으면 안 된다」: 《문예 춘추》 2024년 2월호
- 「부흥은 '모두'에게 오지 않는다 작가・유미리 씨가 말하는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마이니치 신문 2024년 3월 11일
- 「고향・후쿠시마 하라마치에서 서점 연극도 할 수 있는 '풀하우스' 유미리 씨의 새로운 도전」: 47NEWS 2024년 3월 29일
- 「유미리 씨에게 묻는다 "살아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도쿄 신문 2024년 4월 2일
- 「유미리 씨 인터뷰 "자신을 계속 응시하면서"」: 아사히 신문 2024년 4월 26일
- 「가족이란 무엇인가, 고독이란 무엇인가 유미리 씨 인터뷰」: 요미우리 신문 2024년 5월 14일
- 「"나의 안에 있는 타자"를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작가 유미리 씨」: 산케이 신문 2024년 5월 29일
- 「유미리 씨 독점 인터뷰 "차별과 싸우는 여성"」: 닛케이 신문 2024년 6월 12일
- 「유미리 씨 강연회 "문학의 힘을 믿고"」: NHK 뉴스 2024년 7월 5일
- 「유미리 씨가 말하는 후쿠시마의 현재와 미래」: TBS 뉴스 2024년 8월 9일
- 「유미리 씨 신작 발표 "고향을 향한 뜨거운 마음"」: TV 아사히 뉴스 2024년 9월 1일
- 「유미리 씨 인터뷰 "문학은 희망이다"」: 후지 TV 뉴스 2024년 10월 15일
- 「유미리 씨가 말하는 "진정한 부흥"」: 텔레비전 도쿄 뉴스 2024년 11월 22일
- 「유미리 씨 회견 "문학으로 사회에 공헌하고 싶다"」: TV 홋카이도 뉴스 2024년 12월 25일
- 김명순, 《나는 кому как нравиться,
참조
[1]
웹사이트
作家・柳美里さんが福島につくった本屋「フルハウス」 絶望した人の「魂の避難場所」に
https://book.asahi.c[...]
朝日新聞社 (Asahi Shimbun)
2021-03-19
[2]
뉴스
Her Antenna Is Tuned to the Quietest Voices (Published 2020)
https://www.nytimes.[...]
2020-11-27
[3]
간행물
The roads to disaster, or rewriting history from the margins—Yū Miri's JR Ueno Station Park Exit
2019
[4]
웹사이트
'Tokyo Ueno Station' by Yu Miri wins U.S. book award
https://www.japantim[...]
2020-11-20
[5]
뉴스
Charles Yu Wins National Book Award for 'Interior Chinatown'
https://www.nytimes.[...]
2020-11-19
[6]
웹사이트
Book Break : Yu Miri, Author of "Tokyo Ueno Station"
https://www.youtube.[...]
2021-02-25
[7]
웹사이트
The End of August by Yu Miri: 9780593542675 | PenguinRandomHouse.com: Books
https://www.penguinr[...]
[8]
트윗
受洗から、もうすぐ1年になります。わたしは、昨年の復活徹夜祭に、カトリック原町教会で洗礼を受け、テレサ・ベネディクタという名前を授けられました。アウシュビッツの強制収容所でその生涯を終えた、ユダヤ人哲学者の修道名です。
2021-04-02
[9]
문서
出生地は茨城県土浦市だが、生後まもなく横浜に転居する。
[10]
문서
LaLaTV「鏡リュウジの星ものがたり #21」
[11]
트윗
2018年5月18日 2:30の本人Tweet
https://twitter.com/[...]
[12]
웹사이트
パンとサーカス
http://www.endless-k[...]
[13]
뉴스
자랑스런 재일동포
KBS
1997-01-17
[14]
뉴스
재일동포 여류작가 유미리씨, 아쿠다가와상 수상
https://imnews.imbc.[...]
MBC
1997-01-17
[15]
뉴스
일본우익단체 협박에 유미리 사인회 취소;
KBS
1997-02-21
[16]
뉴스
"끝까지 싸우겠다";
KBS
1997-02-22
[17]
서적
『仮面の国』
[18]
뉴스
厳戒の中、柳美里さんサイン会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web
1997-06-12
[19]
서적
福田和也との共著『響くものと流れるもの──小説と批評の対話』
2002-03-01
[20]
웹사이트
本屋フルハウスをオープンさせた柳美里さんと、小高の復興を支える四人のご近所さんたち
https://localnippon.[...]
2023-08-31
[21]
웹사이트
長渕剛さんが校歌作曲 福島の高校、作詞は柳美里さん
https://www.nikkei.c[...]
2016-11-30
[22]
웹사이트
長渕剛が校歌「柳美里さんの渾身の歌詞に乗せて、作曲まい進」 福島・避難解除地区の高校
https://www.zakzak.c[...]
2023-08-31
[23]
뉴스
柳美里さん 小高に移住し復興書店/福島・南相馬の避難指示解除受け
https://mainichi.jp/[...]
『毎日新聞』朝刊
2017-07-03
[24]
뉴스
柳美里さん書店「フルハウス」開店 南相馬・小高、にぎわう店内
http://www.minyu-net[...]
2018-04-10
[25]
웹사이트
TIME誌が今年の必読書100選を発表。日本の作家から選ばれたのは?
https://www.huffingt[...]
2020-11-12
[26]
뉴스
全米図書賞に柳美里さん「JR上野駅公園口」英訳版 翻訳文学部門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0-11-19
[27]
트윗
『Tokyo Ueno Station(JR上野駅公園口)tr. Morgan Giles』全米図書賞の受賞スピーチです。
2020-11-19
[28]
서적
『窓のある書店から』
[29]
웹사이트
洗礼に向けて - 柳美里の今日のできごと
https://blog.goo.ne.[...]
2022-08-21
[30]
웹사이트
祝福/柳美里 {{!}} 追悼・瀬戸内寂聴(1922-2021) {{!}} 新潮社
https://www.shinchos[...]
2023-08-29
[31]
웹사이트
毎日がクリスマス Happy Easter !
http://nativitas.blo[...]
2023-08-29
[32]
문서
「『8月の果て』闘争記」(『en-taxi』2004年秋号)
[33]
문서
『週刊現代』08年11月29日号から12月20日号、全4回
[34]
뉴스
"[카드뉴스 팡팡] “‘예비 노벨문학상 주인공’, 우리도 있다”…재외동포 문인들"
https://m.etoday.co.[...]
이투데이
2017-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