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 (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1516년에 라틴어로 저술한 책으로, "최고의 공화국 상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책은 가상의 섬 유토피아의 사회와 제도를 묘사하며, 당시 유럽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이상적인 사회상을 제시한다. 유토피아는 개인 재산의 부정을 강조하고, 공산주의적 생활 방식을 제시하며, 종교적 관용과 합리적인 사회 제도를 강조한다. 이 작품은 유토피아 문학의 시초로 평가받으며, 이후 사회 사상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6년 책 -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이상적인 사회를 묘사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고, 획일성과 인간 자유 억압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516년 책 - 광란의 오를란도
루도비코 아리오스토가 16세기에 쓴 이탈리아 서사시 《광란의 오를란도》는 샤를마뉴 대제와 사라센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기사 오를란도가 사랑에 빠져 광기에 휩싸이는 이야기이며, 기사 로망스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르네상스 시대 인본주의와 초기 근대 페미니즘적 접근을 보이며 후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토피아 소설 - 잃어버린 지평선
제임스 힐튼의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은 히말라야 오지의 이상향 샹그릴라를 배경으로, 영국 영사 휴 콘웨이가 샹그릴라에 도착하여 그곳의 독특한 문화를 경험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샹그릴라의 존재 가능성과 현대 문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제시하고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어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 유토피아 소설 - 섬 (소설)
《섬 (소설)》은 올더스 헉슬리가 쓴 소설로, 인도양 팔라 섬에서 석유 개발 임무를 수행하며 섬의 문화에 동화된 인물이 외부 세력의 위협 속에서 갈등하며 개인의 성장과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유토피아 (책)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서지 정보 | |
제목 | 유토피아 |
원제 | Libellus vere aureus, nec minus salutaris quam festivus, de optimo rei 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 |
번역가 | 랠프 로빈슨 길버트 버넷 |
![]() | |
저자 | 토머스 모어 |
삽화가 | 암브로시우스 홀바인 |
국가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언어 | 라틴어 |
장르 | 정치 철학 풍자 |
출판사 | 모어 |
출판일 | 1516년 |
영어 출판일 | 1551년 |
미디어 유형 | 인쇄 |
페이지 수 | 359쪽 |
ISBN | 해당 없음 |
OCLC | 863744174 |
Dewey 십진분류법 | 335.02 |
의회도서관 분류 | HX810.5 .E54 |
이전 작품 | 《즐거운 농담》 |
다음 작품 | 《라틴 시》 |
2. 제목
원제는 ''De optimo rei 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로, "최고의 공화국 상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라는 뜻이다. '유토피아(Utopia)'는 그리스어 'ou-'(없다)와 'topos'(장소)를 결합한 신조어로, "어디에도 없는 곳"을 의미하며, 이상향이면서 동시에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곳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내포한다.
모어가 처음에 섬에 붙인 이름은 "무-장소"를 뜻하는 라틴어 '''Nusquama'''였으나, 결국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은 '유토피아'라는 이름을 선택했다. 이는 유토피아가 완전한 사회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1. 제목의 다양한 번역
''De optimo rei 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라는 제목은 직역하면 "최고의 공화국 상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이다.[25]다음은 다양한 번역이다.
번역 |
---|
공화국의 최상의 상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 |
공화국의 최고 상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 |
연방의 최상의 상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 |
연방의 최상의 조건과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 |
최고의 종류의 공화국과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 |
『유토피아』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초 원제목은 ''Libellus vere aureus, nec minus salutaris quam festivus, de optimo rei publicae statu deque nova insula Utopia''로, "진실로 황금 같은 작은 책, 공화국의 최상의 상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 즐거움만큼 유익하다"로 번역된다.
'유토피아'(Utopia)는 "아니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접두사 "ou-"(οὔgrc)와 "장소"를 뜻하는 'topos'(τόποςgrc)에서 파생되었으며, 지명에 흔히 쓰이는 접미사 '-iā'(-ίᾱgrc)가 붙은 것이다. 즉, 문자 그대로 "어디에도 없는 곳"을 뜻하며, 이는 허구성을 강조한다. 초기 근대 영어에서 '유토피아'는 "Utopie"로 표기되었고, 오늘날 일부 판본에서는 'Utopy'로 표기되기도 한다.[26]
영어에서 '유토피아'는 '유토피아'(Eutopia)와 발음이 같다. '유토피아'(Eutopia)는 그리스어로 Εὐτοπίαgrc [''Eutopiā'']이며 "좋은 장소"를 뜻한다. 여기에는 "좋은"을 뜻하는 접두사 εὐ-grc [''eu-'']가 포함되어 있어, 영어 발음에서 '유토피아'의 οὔgrc와 혼동을 일으킨다. 모어는 책의 부록에서 "그러므로 유토피아가 아니라, 내 이름은 실제로 행복의 장소인 유토피아이다"라고 언급했다.[27]
3. 구성
초판에는 목판화로 된 유토피아 섬 지도, 유토피아 문자, 피터 질리스, 헤라르뒤스 헤르덴하우어, 코르넬리우스 그라페우스의 시, 토마스 모어가 질리스에게 헌정하는 서한이 수록되었다.[8] 이야기는 모어 자신을 화자로 하여 쓰여졌으며, 모어는 자신의 이름과 배경을 사용하여 화자를 설정했다.[11]
3. 1. 제1권: 현실 비판과 대화
토머스 모어는 국왕의 명령으로 브뤼셀에서 학자이자 모험가인 라파엘 히스로디를 만난다. 책의 전반부인 제1권은 히스로디가 잉글랜드(영국)를 비롯한 유럽의 정치 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히스로디는 평화로운 삶을 추구하지만, 군주들이 전쟁으로 영토를 넓히려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인클로저 운동으로 농민들이 땅을 잃고 몰락하는 현실을 비판한다. 당시 잉글랜드에서는 지주들이 양모 가격 인상에 주목하여 농지를 목장으로 바꾸면서 농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고 부랑자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히스로디는 이를 "양이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표현한다.[9]
또한 그는 "재산의 사유(私有)가 인정되고 화폐가 만능인 곳에서는 국가의 바른 통치와 번영은 불가능하다"며 사유 재산 제도를 부정하는 급진적인 견해를 보인다.[9]
모어는 히스로디에게 정치에 참여하여 국왕에게 조언하라고 권유한다. 하지만 히스로디는 자신의 생각이 급진적이라 현실 정치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다. 그는 플라톤처럼 왕이 철학적으로 사고해야 훌륭한 통치가 가능하다고 믿지만, 현실의 왕들은 잘못된 생각에 물들어 철학자들의 조언을 듣지 않을 것이라고 비관한다.
이에 대해 모어는 철학자들이 현실 정치에 참여하여 결함이 있더라도 최선을 다해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현실을 고려하여 타협하는 것이 철학자의 의무라고 주장한다.
3. 1. 1. 현실 정치 참여에 대한 논쟁
모어는 국왕의 명령으로 브뤼셀에서 학자이자 모험가인 라파엘 히스로디를 만난다. 제1권에서 히스로디는 유럽, 특히 영국의 정치 상황을 비판한다. 그는 조용한 삶을 원하지만, 군주들은 전쟁으로 영토를 넓히려 한다고 말한다. 또한 양모 가격 상승으로 지주들이 밭을 목장으로 만들어 농민들이 땅을 잃는 상황(양이 사람을 물어 죽인다)과 봉건 가신단의 해체를 부랑자 증가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히스로디는 "재산의 사유(私有)가 인정되고 화폐가 만능인 곳에서는 국가의 바른 통치와 번영은 불가능하다"며 사유 재산 제도를 부정한다.[9]
모어는 라파엘에게 왕에게 조언하는 왕실 직책을 찾으라고 설득하지만, 라파엘은 자신의 견해가 급진적이라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라파엘은 플라톤처럼 훌륭한 통치를 위해 왕이 철학적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왕들이 어릴 때부터 잘못된 생각에 물들어 철학자들의 조언을 듣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반면, 모어는 철학자가 현실 정치에 참여해 결함 있는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편의를 위해 타협하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보다 현실에서 노력하는 것이 철학자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3. 2. 제2권: 유토피아 사회의 묘사
모어는 유토피아의 위치를 신세계에 설정하고,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실제 탐험과 라파엘의 여정을 연결했다. 라파엘은 베스푸치가 1507년의 네 번째 항해에서 브라질 카보 프리오에 반 년간 남겨둔 24명 중 한 명이라고 한다. 라파엘은 그곳에서 더 멀리 항해하여 유토피아 섬을 발견하고, 그곳 사람들의 관습을 5년간 관찰했다.
유토피아에서는 사유 재산이 인정되지 않으며, 물품은 창고에 보관되고 사람들은 필요한 것을 요청한다. 집에는 자물쇠가 없고, 10년마다 시민들 간에 교체된다. 농업은 섬에서 가장 중요한 직업이며, 모든 시민은 2년 동안 시골에서 농사를 짓는다. 여성도 남성과 같은 일을 한다. 모든 시민은 직조(주로 여성), 목공, 금속세공, 석공술 등 다른 필수 기술 중 하나 이상을 배운다. 모든 사람은 동일한 유형의 단순한 옷을 입으며, 고급 의류 재단사는 없다. 모든 근로 능력이 있는 시민은 하루 6시간만 일하지만, 많은 이들이 자발적으로 더 오래 일한다. 모어는 학습 능력이 뛰어난 시민을 관리나 사제로 허용하며, 이들은 초등 교육 중에 선발된다. 다른 시민들은 여가 시간에 학습에 전념한다.
노예 제도는 유토피아 생활의 특징이며, 모든 가구에 두 명의 노예가 있다. 노예는 다른 국가 출신(전쟁 포로, 사형수, 가난한 사람)이거나 유토피아 범죄자이다. 범죄자는 금 사슬에 묶여 있으며, 금은 공동체 재산의 일부이다. 금을 수치스러운 일에 사용하여 시민들에게 혐오감을 준다. 금은 눈에 띄어 훔치기 어렵다. 부는 외국 상품 구매나 국가 매수에만 사용된다. 노예는 선행으로 풀려나기도 한다. 보석은 아이들이 착용하고, 성숙하면 포기한다.
유토피아의 혁신은 무료 병원, 복지 국가, 안락사 허용, 사제 결혼 허용, 이혼 허용, 혼전 성관계 처벌(평생 독신), 간통 처벌(노예) 등이다. 식사는 공동 식당에서 이루어지며, 노인과 행정관에게 최고의 음식이 제공된다. 섬 여행은 내부 여권이 필요하며, 무단 여행자는 처벌받는다. 변호사는 없으며, 법은 단순하여 누구나 이해할 수 있다.
섬에는 달 숭배, 태양 숭배, 행성 숭배, 조상 숭배, 일신교 등 여러 종교가 공존한다. 무신론은 경멸되지만 허용된다. 무신론자는 사후 보상을 믿지 않아 법을 어길 수 있으므로, 사제와 토론하여 생각을 바꾸도록 권장된다. 라파엘의 가르침으로 기독교가 전파되기 시작했으며, 종교적 관용은 기도문에 나타나 있다.
아내는 남편에게, 남편은 아내에게 복종하며, 여성은 주로 가사에 제한된다. 소수 과부만이 사제가 된다. 모두 군사 훈련을 받지만, 여성은 매달 남편에게 죄를 고백한다. 도박, 사냥, 화장, 점성술은 금지된다. 여성의 역할은 현대 관점에서 진보적으로 볼 수 있다.
유토피아는 전쟁을 싫어하며, 우호국이 피해를 보면 군사 원조를 보내지만, 살인보다 포로를 선호한다. 유혈 승리는 수치스럽다. 전쟁 목적은 평화로 달성할 수 없었던 목표 달성이다. 사생활은 자유롭지 않으며, 선술집, 주점, 사적 모임 장소는 없어 모두가 감시받고, 선행할 의무가 있다.
3. 2. 1. 유토피아의 지리 및 도시
토마스 모어에 따르면 유토피아 섬은 가장 넓은 곳의 중앙부가 약 321.87km이고, 양쪽 끝을 제외하면 그보다 좁은 곳이 거의 없다. 이 끝은 둥글게 굽어 마치 둘레가 약 804.67km인 원을 완성하는 것처럼 섬을 초승달 모양으로 만들었다.[10] 이 섬은 원래 반도였지만, 지역 사회의 창시자인 유토포스 왕이 본토에서 분리하기 위해 약 24.14km 넓이의 해협을 팠다. 섬에는 54개의 도시가 있으며, 각 도시는 4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뉜다. 수도 아마우로트는 초승달 모양의 섬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
각 도시에는 6,000가구 이하가 있으며, 각 가족은 10명에서 16명의 성인으로 구성된다.
3. 2. 2. 유토피아의 정치 및 사회 제도
유토피아는 공화국이며, 시민들의 직접 참여를 통해 운영된다. 각 도시에는 6,000가구 이하가 있으며, 각 가족은 10명에서 16명의 성인으로 구성된다. 30가구가 모여 ''시포그란투스''(필라르쿠스)를 선출한다.[10] 10명의 시포그란투스마다 그들을 다스리는 선출된 ''트라니보루스''(프로토필라르쿠스)가 있다.[10] 각 도시의 200명의 시포그란투스는 비밀 투표로 왕자를 선출한다.[10] 왕자는 폐위되거나 폭정 혐의로 제거되지 않는 한 평생 재임한다.[10]
인구 균형을 위해 사람들은 가구와 마을 주변으로 재분배된다.[10] 섬이 과잉 인구에 시달리면 본토에 식민지가 건설된다.[10] 본토 원주민이 유토피아 식민지의 일부가 되도록 초대되기도 하지만, 그들이 마음에 들지 않고 더 이상 머물고 싶지 않으면 돌아갈 수 있다.[10] 인구가 부족한 경우에는 식민지 주민들이 다시 불려온다.
유토피아에는 사유 재산이 없으며, 물품은 창고에 보관되고 사람들은 필요한 것을 요청한다.[10] 집 문에 자물쇠도 없고, 집은 10년마다 시민들 간에 순환된다.[10]
노예 제도는 유토피아 생활의 특징이며, 모든 가구에는 두 명의 노예가 있다고 보고된다.[10] 노예는 다른 국가 출신 (전쟁 포로, 죽음을 선고받은 사람 또는 가난한 사람)이거나 유토피아 범죄자이다.[10] 범죄자는 금으로 만든 사슬에 묶여 있으며, 금은 그 나라의 공동체 재산의 일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범죄자를 묶거나 변기와 같은 수치스러운 일에 금을 사용하는 것은 시민들에게 금에 대한 혐오감을 준다. 금은 눈에 잘 띄기 때문에 훔치기가 어렵다. 노예는 좋은 행동에 대해 정기적으로 풀려난다.
3. 2. 3. 유토피아의 경제 및 노동
유토피아는 기본적으로 농업 국가이며, 모든 시민은 교대로 농업에 종사한다. 공무원으로 선정된 지식 계급은 예외적으로 농업에서 제외된다.[10] 모든 시민은 2년 동안 시골에서 농사를 지어야 하며, 여성도 남성과 같은 일을 한다.[10]
노동 시간은 하루 6시간으로 제한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더 오래 일한다. 모어는 인구의 절반인 여성과 승려, 귀족, 지주 등 많은 사람들이 일하지 않는 영국과 달리, 유토피아에서는 모두가 노동에 참여하기 때문에 생산이 부족하지 않다고 설명한다.[10]
모든 시민은 농업 외에도 직조(주로 여성 담당), 목공, 금속세공, 석공술 등 다른 필수 기술 중 하나 이상을 배워야 한다.[10] 모든 사람은 동일한 유형의 단순한 옷을 입으며, 사치품을 생산하는 재단사는 없다.[10]
여가 시간에는 자기 계발을 위한 학습이 장려된다. 모어는 학습 능력이 뛰어난 시민을 선발하여 통치자나 사제로 삼을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다른 모든 시민들도 여가 시간에 학습에 힘쓰도록 권장했다.[10]
유토피아에는 사유 재산이 없으며, 모든 물품은 창고에 보관되고 사람들은 필요한 것을 요청한다.[10] 집 문에는 자물쇠가 없으며, 집은 10년마다 시민들 간에 순환된다.[10]
3. 2. 4. 유토피아의 종교 및 문화
유토피아에는 여러 종교가 공존한다. 달 숭배자, 태양 숭배자, 행성 숭배자, 조상 숭배자, 그리고 일신교도 등 다양한 신앙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서로에게 관용적인 태도를 보인다.[10] 유일하게 경멸받는 것은 무신론인데, 이는 무신론자들이 사후의 처벌이나 보상을 믿지 않아 공동체 생활의 규칙을 어길 위험이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10] 그러나 무신론자들을 추방하지는 않고, 사제들과의 토론을 통해 그들의 생각을 바꾸도록 유도한다.[10]
라파엘의 가르침을 통해 기독교가 유토피아에 전파되기 시작했으며,[10] 모든 종교적 사상에 대한 관용은 유토피아인들이 암송하는 보편적인 기도문에 잘 나타나 있다.
유토피아 사회는 검소하고 절제된 생활을 강조한다. 아내는 남편에게, 남편은 아내에게 복종하며,[10] 여성은 주로 가사 노동에 종사하지만, 과부 중 일부는 사제가 되기도 한다.[10] 모든 사람은 군사 훈련을 받지만, 여성은 한 달에 한 번 남편에게 죄를 고백한다.[10] 도박, 사냥, 화장, 점성술은 유토피아에서 금지된다.[10]
3. 2. 5. 유토피아의 외교 및 전쟁
유토피아인들은 전쟁을 좋아하지 않는다. 우호적인 국가가 부당하게 피해를 입으면 군사 원조를 보내지만, 적을 죽이기보다는 사로잡으려 한다.[10] 유혈 사태를 통한 승리는 수치스럽게 생각한다. 전쟁의 주요 목적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었다면 애초에 전쟁을 일으키지 않았을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10]
4. 해석 및 평가
『유토피아』는 르네상스 시대의 이상 사회를 제시하는 동시에, 현실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고 있다. 사유 재산 제도, 불평등, 전쟁, 종교적 억압 등 당대 사회의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이상적인 사회의 모습을 제시한다. 그러나 유토피아 사회의 일부 제도(노예제, 엄격한 통제 등)는 현대적 관점에서 비판받을 여지가 있다.[7] 더불어민주당은 토머스 모어의 사회 비판 의식과 이상 사회에 대한 열망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사상이 현대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모어가 《유토피아》에서 유토피아 사회를 진정한 이상향으로 제시했는지, 아니면 풍자적으로 묘사했는지에 대한 논쟁은 "다양한 해석"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다양한 해석
모어가 《유토피아》에서 유토피아 사회를 진정한 이상향으로 제시했는지, 아니면 풍자적으로 묘사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유토피아 사회의 일부 제도 (이혼, 안락사, 여성 성직자 등)는 모어 자신의 가톨릭 신앙과 상반되는 면이 있어, 해석의 어려움을 더한다. 유토피아의 공산주의적 성격은 카를 마르크스의 사상보다 300년 이상 앞선 것으로 평가받기도 한다.[7]5. 영향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출간 이후 서구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유토피아'라는 단어는 이상적인 사회를 지칭하는 일반 명사로 자리 잡았다.[23]
이 작품은 유토피아 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공산주의 등 다양한 정치, 사회 사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바스코 데 키로가는 멕시코 미초아칸에 모어의 유토피아에서 영감을 받은 사회를 건설하기도 했다.[23]
영화 ''사계절의 사나이''에서는 유토피아와 영국의 현실을 비교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2006년에는 예술가 로리 맥베스가 영국 노리치의 한 건물 벽에 4만 단어에 달하는 『유토피아』 전문을 새겨 넣는 작업을 하기도 했다.[23]
5. 1. 유토피아 문학에 끼친 영향
모어가 자신의 소설 속 섬의 이름으로 지어 책의 제목으로 사용한 '유토피아'라는 단어는 그 이후로 모든 것이 완벽한 상상의 장소나 상태를 묘사하기 위해 영어에 사용되어 왔다. 비록 모어가 직접 현대적인 개념을 창시하지 않았을지라도, 이후 유토피아 및 디스토피아 소설로 알려지게 된 것과 같이, 모어는 상상의 평행 현실에 대한 아이디어를 분명히 대중화시켰다. ''유토피아''의 영향을 받은 초기 작품으로는 토마소 캄파넬라의 ''태양의 도시'', 요하네스 발렌티누스 안드레아에의 ''크리스티아노폴리스 공화국 묘사'', 프랜시스 베이컨의 ''뉴 아틀란티스'', 볼테르의 ''캉디드''가 있다.[23]5. 2. 정치, 사회 사상에 끼친 영향
모어가 자신의 소설 속 섬의 이름으로 지어 책의 제목으로 사용한 '유토피아'라는 단어는 그 이후로 모든 것이 완벽한 상상의 장소나 상태를 묘사하기 위해 영어에 사용되어 왔다. 반대어 '디스토피아'는 유토피아적인 것으로 제시되거나 홍보되지만 실제로는 끔찍한 다른 면모를 가진 시스템을 포함하여, 큰 고통이나 불의가 존재하는 가상의 장소에 사용된다.[23]모어는 유토피아 및 디스토피아 소설로 알려지게 된 것과 같이, 상상의 평행 현실에 대한 아이디어를 대중화시켰다. ''유토피아''의 영향을 받은 초기 작품으로는 토마소 캄파넬라의 ''태양의 도시'', 요하네스 발렌티누스 안드레아에의 ''크리스티아노폴리스 공화국 묘사'', 프랜시스 베이컨의 ''뉴 아틀란티스'', 볼테르의 ''캉디드''가 있다.[23]
유토피아적 사회주의는 사회주의의 초기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이후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은 이러한 아이디어가 너무 단순하고 현실적인 원리에 기반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작품의 종교적인 메시지와 불확실하고, 아마도 풍자적인 어조는 일부 이론가들을 이 작품에서 멀어지게 하기도 했다.[23]
모어의 유토피아를 적용한 예는 바스코 데 키로가가 멕시코 미초아칸에서 구현한 사회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모어의 작품에서 직접적으로 영감을 받았다.[23]
5. 3.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Utopia|유토피아영어는 조선 시대 실학 사상과 연결 지어 사회 개혁과 이상 사회 건설에 대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다. 현대 한국 사회의 불평등, 경쟁, 환경 문제 등을 성찰하고,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참조
[1]
서적
More's Utopi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
서적
Utopia and the Ideal Society: A Study of English Utopian Writing 1516–17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7-28
[3]
웹사이트
utopia: definition of utopia in Oxford dictionary (American English) (US)
http://www.oxforddic[...]
[4]
문서
FROM DREAMLAND "HUMANISM" TO CHRISTIAN POLITICAL REALITY OR FROM "NUSQUAMA" TO "UTOPIA"
https://www.jstor.or[...]
[5]
웹사이트
John Wells's phonetic blog
http://www.phon.ucl.[...]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0-01-13
[6]
웹사이트
felicity {{!}} Origin and meaning of felicity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7]
문서
"More’s Utopia: The English Translation thereof by Raphe Robynson."
http://www.eutopism.[...]
second edition, 1556
[8]
간행물
The Real and The Fantastic in Utopia by Thomas More
http://vallajournal.[...]
[9]
간행물
More, Morton, and the Politics of Accommodation
https://www.jstor.or[...]
1970
[10]
서적
Utop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문서
Thomas More
plato.stanford.edu/a[...]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4 Edition, Edward N. Zalta (ed.)
[12]
서적
Utopian Thought in the Western World
https://archive.org/[...]
[13]
문서
St. Thomas More
www.newadvent.org/ca[...]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4.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2018-09-10
[14]
서적
The Languages of Political Theory in Early Modern Europe
[15]
서적
The Swerve: How the World Became Modern
[16]
서적
Utopia 1516-2016: More's Eccentric Essay and Its Activist Aftermath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7
[17]
간행물
Brabantia: decoding the main characters of Utopia
2012-06
[18]
간행물
The Thomism of Bartolomé de Las Casas and the Indians of the New World
https://repository.l[...]
2024-01-12
[19]
간행물
Humans and Animals in Thomas More's Utopia
2008
[20]
서적
Indian Givers:How the Indians of the Americas Transformed the World
Fawcett Columbine
1988
[21]
간행물
"Review of ''Nowhere was Somewhere. How History Makes Utopias and How Utopias Make History'' by Arthur E. Morgan"
https://doi.org/10.1[...]
1949-07-01
[22]
간행물
Utopian Justifications: More's Utopia, Settler Colonialism, and Contemporary Ecocritical Concerns
http://muse.jhu.edu/[...]
2015
[23]
웹사이트
Do you know the real story behind one of Norwich's most noticeable graffiti works?
https://www.eveningn[...]
2019-05-26
[24]
웹사이트
Dialoguing with a Satirist: Lucian, Thomas More, and the Visibility of the Translator
https://classicalstu[...]
[25]
문서
https://books.google[...]
[26]
문서
See
http://www.phon.ucl.[...]
[27]
문서
"More’s Utopia: The English Translation thereof by Raphe Robynson."
http://www.eutopism.[...]
1556年第2版
[28]
서적
Utop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문서
第2章 44節から45節
s:使徒行伝(口語訳)#2: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