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한환은 유한 집합인 환, 유사환, 가환환, 가환 유사환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모든 유한환은 뇌터 환이자 아르틴 환이며, 가환 유한환의 크룰 차원은 0이다. 유한환의 모든 원소는 영인자이거나 가역원이며, 모든 유한 단순환은 유한체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Wedderburn의 작은 정리는 모든 유한 나눗셈환이 가환환임을 보여준다. 유한 유사환은 소인수 분해를 통해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크기가 소수 거듭제곱인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유한환의 분류는 덧셈 아벨 군의 구조에 따라 진행되며, 순환군, Cyc(p)⊕Cyc(p), Cyc(p²) ⊕ Cyc(p), Cyc(p)⊕Cyc(p)⊕Cyc(p) 등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가 이루어져 있다. 유한체 이론은 유한환 이론의 중요한 측면이며, 유한체의 차수는 pⁿ 꼴로 표현되고, 같은 차수의 유한체는 동형이다. 유한 링의 열거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차수에 따른 유한 링의 개수가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한환 - 자명환
자명환은 원소 0 하나로 이루어진 집합에 덧셈과 곱셈을 정의하여 환 구조를 부여한 것으로, 덧셈과 곱셈에 대한 항등원이 일치하는 유일한 환이며 환의 범주에서 종대상 역할을 한다. - 유한환 - 모듈러 산술
모듈러 산술은 정수를 특정 수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 분류하고 합동 관계를 통해 연산하는 산술 체계로, 암호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수학자들의 기여로 발전해왔다. - 대수적 조합론 - 근접 대수
국소 유한 부분 순서 집합 위의 폐구간에서 정의된 함수들의 대수 구조인 근접 대수는 가환환 에 대하여 속의 폐구간에서 로 가는 함수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뫼비우스 반전 공식은 근접 대수의 중요한 응용 중 하나이다. - 대수적 조합론 - 뉴턴 항등식
뉴턴 항등식은 멱합 다항식과 기본 대칭 다항식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다항식의 근과 계수, 행렬의 특성 다항식 계산 등에 활용된다. - 환론 - 뇌터 환
뇌터 환은 환론에서 아이디얼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환을 지칭하며, 가환환의 경우 왼쪽, 오른쪽, 양쪽 뇌터 환의 개념이 일치하지만 비가환환의 경우 구별해야 하고, 힐베르트 기저 정리에 따라 뇌터 환 에 대해 다항식환 역시 뇌터 환이 된다. - 환론 - 다항식환
다항식환은 환을 계수로 하는 다항식들의 집합으로, 덧셈과 곱셈 연산에 대해 환을 이루며, 계수환이 체일 경우 유클리드 정역이 되고 대수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한환 |
---|
2. 정의
환, 유사환, 가환환, 가환 유사환 가운데, 유한 집합인 것을 각각 '''유한환''', '''유한 유사환''', '''유한 가환환''', '''유한 가환 유사환'''이라고 한다. 이 문서에서, 환 · 가환환은 항상 곱셈 항등원을 가지며, (가환) 유사환은 곱셈 항등원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1]
모든 유한환은 자명하게 좌·우 뇌터 환이자 아르틴 환이다. 가환 유한환의 크룰 차원은 0차원이며, 그 스펙트럼은 유한 개의 점으로 구성된 이산 공간이다.
유한 유사환은 그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유한 유사환 의 크기가 다음과 같이 소인수 분해된다고 하자.
3. 성질
모든 유한환 에서 모든 원소 는 영인자이거나 가역원이다. 만약 가 전단사 함수라면 이는 가역원이며, 아니라면 영인자이다. 이에 따라, 모든 유한환은 0이 아닌 영인자를 갖거나 아니면 유한체이다 (웨더번 정리).
모든 유한 단순환은 유한체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이다.
:
Wedderburn의 작은 정리에 따르면, 모든 유한 나눗셈환은 가환환이다. 즉, 유한환 ''R''의 모든 0이 아닌 원소 ''r''이 곱셈의 역원을 가지면, ''R''은 가환환(따라서 유한체)이다.
네이선 제이콥슨은 환의 가환성을 보장하는 또 다른 조건을 발견했다. ''R''의 모든 원소 ''r''에 대해 ''n'' > 1인 정수가 존재하여 ''r''n = ''r''이면 ''R''은 가환환이다.[2] 환의 가환성을 나타내는 더 일반적인 조건들도 알려져 있다.[3]
웨더번의 또 다른 정리는 유한 단순환 이론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모든 유한 단순환은 크기가 ''q''인 유한체 위의 ''n'' × ''n'' 행렬 와 동형이다. 이는 1905년과 1907년에 조지프 웨더번이 정립한 두 개의 정리(그 중 하나가 Wedderburn의 작은 정리)에서 비롯된다.
4. 분류
:
이 경우, 은 다음과 같은 유사환 직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즉, 유한 유사환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크기가 소수의 거듭제곱인 경우만 고려하면 충분하다.
크기가 인 유한 유사환 은 아벨 군 에 따라 일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한 아벨 군은 완전히 분류되어 있으며, 이 아벨 군이 순환군인 경우 해당되는 모든 유사환을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군이 아닌 소수 거듭제곱 크기의 아벨 군 위의 유한 유사환만 분류하면 된다.
만약 이 가환환인 경우, 은 크기가 소수의 거듭제곱인 유한 국소환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1. 순환군 위의 유사환
덧셈 아벨 군이 순환군 Cyc(n)인 유사환 R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분류된다.[8][9] 덧셈 아벨 군의 생성원을 a라고 할 때, 유사환 R는 다음 꼴이다.
:{0, a, 2a, 3a, …, (n-1)a}
이러한 유사환의 곱셈 구조는 다음 식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
:a2 = ka (단, k∈Z/n)
이러한 유사환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 | na, a2-ka⟩
두 유사환 ⟨a | na, a2-ka⟩와 ⟨a | na, a2-k'a⟩가 서로 동형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gcd{k, n} = gcd{k', n}
따라서, 순환군 Cyc(n) 위의 유사환들은 n의 약수들과 일대일 대응한다. 이 가운데 k≡n≡0 (mod n)인 경우는 영유사환이며, k≡1 (mod n)인 경우는 정수환의 몫환 Z/(n)이다. k≢1 (mod n)인 경우는 곱셈 항등원이 없어 환을 이루지 않는다.
4. 2. Cyc(''p'')⊕2 위의 유사환
아벨 군이 인 유사환은 총 8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8]
분류 | 종류 |
---|---|
가환환 | |
가환환이 아닌 가환 유사환 | |
비가환 유사환 |
4. 3. Cyc(''p''2) ⊕ Cyc(''p'') 위의 유사환
아벨 군이 Cyc(''p''2) ⊕ Cyc(''p'')인 유사환은 ''p''=2일 경우 총 20개, ''p''≠2일 경우 총 2''p''+19개가 있다.[9]- 가환환 3개 (''p''=2일 경우 4개)
- * ℤ/(''p''2) ⊕ 𝔽''p'']:
- * (ℤ/(''p''2))[''x'']/(p''x'',''x''2)
- * (ℤ/(''p''2))[''x'']/(p''x'',''x''2-''p'')
- * (ℤ/(''p''2))[''x'']/(p''x'',''x''2-m''p''), m∈ℤ/(''p'')은 제곱잉여가 아닌 정수. (''p''=2일 경우 이는 불가능하다.)
- 나머지는 모두 단위원을 갖지 않는 유사환이다.
4. 4. Cyc(''p'')⊕3 위의 유사환
아벨 군 Cyc(''p'')⊕3 위의 유사환은 ''p''=2인 경우 28개, ''p''≠2인 경우 ''p''+27개이다.이 가운데 곱셈 단위원을 갖춘 환은 7개이다.[9] 이 가운데 가환환이 아닌 것은 하나뿐이며, 유한체 위의 삼각행렬 환
:
이다. (이 환은 스스로의 반대환과 동형이다.)
아벨 군 Cyc(''p'')⊕3 위의 가환환 6개는 다음과 같다.[10]
- 유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