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한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한환은 유한 집합인 환, 유사환, 가환환, 가환 유사환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모든 유한환은 뇌터 환이자 아르틴 환이며, 가환 유한환의 크룰 차원은 0이다. 유한환의 모든 원소는 영인자이거나 가역원이며, 모든 유한 단순환은 유한체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Wedderburn의 작은 정리는 모든 유한 나눗셈환이 가환환임을 보여준다. 유한 유사환은 소인수 분해를 통해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크기가 소수 거듭제곱인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유한환의 분류는 덧셈 아벨 군의 구조에 따라 진행되며, 순환군, Cyc(p)⊕Cyc(p), Cyc(p²) ⊕ Cyc(p), Cyc(p)⊕Cyc(p)⊕Cyc(p) 등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가 이루어져 있다. 유한체 이론은 유한환 이론의 중요한 측면이며, 유한체의 차수는 pⁿ 꼴로 표현되고, 같은 차수의 유한체는 동형이다. 유한 링의 열거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차수에 따른 유한 링의 개수가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한환 - 자명환
    자명환은 원소 0 하나로 이루어진 집합에 덧셈과 곱셈을 정의하여 환 구조를 부여한 것으로, 덧셈과 곱셈에 대한 항등원이 일치하는 유일한 환이며 환의 범주에서 종대상 역할을 한다.
  • 유한환 - 모듈러 산술
    모듈러 산술은 정수를 특정 수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 분류하고 합동 관계를 통해 연산하는 산술 체계로, 암호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수학자들의 기여로 발전해왔다.
  • 대수적 조합론 - 근접 대수
    국소 유한 부분 순서 집합 위의 폐구간에서 정의된 함수들의 대수 구조인 근접 대수는 가환환 R에 대하여 P 속의 폐구간에서 R로 가는 함수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뫼비우스 반전 공식은 근접 대수의 중요한 응용 중 하나이다.
  • 대수적 조합론 - 뉴턴 항등식
    뉴턴 항등식은 멱합 다항식과 기본 대칭 다항식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다항식의 근과 계수, 행렬의 특성 다항식 계산 등에 활용된다.
  • 환론 - 뇌터 환
    뇌터 환은 환론에서 아이디얼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환을 지칭하며, 가환환의 경우 왼쪽, 오른쪽, 양쪽 뇌터 환의 개념이 일치하지만 비가환환의 경우 구별해야 하고, 힐베르트 기저 정리에 따라 뇌터 환 R에 대해 다항식환 R[X] 역시 뇌터 환이 된다.
  • 환론 - 다항식환
    다항식환은 환을 계수로 하는 다항식들의 집합으로, 덧셈과 곱셈 연산에 대해 환을 이루며, 계수환이 체일 경우 유클리드 정역이 되고 대수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한환

2. 정의

, 유사환, 가환환, 가환 유사환 가운데, 유한 집합인 것을 각각 '''유한환''', '''유한 유사환''', '''유한 가환환''', '''유한 가환 유사환'''이라고 한다. 이 문서에서, 환 · 가환환은 항상 곱셈 항등원을 가지며, (가환) 유사환은 곱셈 항등원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1]

3. 성질

모든 유한환은 자명하게 좌·우 뇌터 환이자 아르틴 환이다. 가환 유한환의 크룰 차원은 0차원이며, 그 스펙트럼은 유한 개의 점으로 구성된 이산 공간이다.

모든 유한환 R에서 모든 원소 r\in R영인자이거나 가역원이다. 만약 r\cdot\colon R\to R전단사 함수라면 이는 가역원이며, 아니라면 영인자이다. 이에 따라, 모든 유한환은 0이 아닌 영인자를 갖거나 아니면 유한체이다 (웨더번 정리).

모든 유한 단순환은 유한체 위의 행렬환과 동형이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이다.

:\operatorname{Mat}(n;\mathbb F_{p^k})

Wedderburn의 작은 정리에 따르면, 모든 유한 나눗셈환은 가환환이다. 즉, 유한환 ''R''의 모든 0이 아닌 원소 ''r''이 곱셈의 역원을 가지면, ''R''은 가환환(따라서 유한체)이다.

네이선 제이콥슨은 환의 가환성을 보장하는 또 다른 조건을 발견했다. ''R''의 모든 원소 ''r''에 대해 ''n'' > 1인 정수가 존재하여 ''r''n = ''r''이면 ''R''은 가환환이다.[2] 환의 가환성을 나타내는 더 일반적인 조건들도 알려져 있다.[3]

웨더번의 또 다른 정리는 유한 단순환 이론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모든 유한 단순환은 크기가 ''q''인 유한체 위의 ''n'' × ''n'' 행렬 \mathrm{M}_n(\mathbb{F}_q)와 동형이다. 이는 1905년과 1907년에 조지프 웨더번이 정립한 두 개의 정리(그 중 하나가 Wedderburn의 작은 정리)에서 비롯된다.

4. 분류

유한 유사환은 그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유한 유사환 (R, +, 0, \cdot)의 크기가 다음과 같이 소인수 분해된다고 하자.

:|R| = \prod_i p_i^{n_i}

이 경우, R은 다음과 같은 유사환 직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R = \bigoplus_i R_i

:|R_i| = p_i^{n_i}

즉, 유한 유사환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크기가 소수의 거듭제곱인 경우만 고려하면 충분하다.

크기가 p^n인 유한 유사환 (R, +, 0, \cdot)아벨 군 (R, +, 0)에 따라 일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한 아벨 군은 완전히 분류되어 있으며, 이 아벨 군이 순환군인 경우 해당되는 모든 유사환을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군이 아닌 소수 거듭제곱 크기의 아벨 군 위의 유한 유사환만 분류하면 된다.

만약 R이 가환환인 경우, R은 크기가 소수의 거듭제곱인 유한 국소환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1. 순환군 위의 유사환

덧셈 아벨 군이 순환군 Cyc(n)인 유사환 R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분류된다.[8][9] 덧셈 아벨 군의 생성원을 a라고 할 때, 유사환 R는 다음 꼴이다.

:{0, a, 2a, 3a, …, (n-1)a}

이러한 유사환의 곱셈 구조는 다음 식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

:a2 = ka (단, k∈Z/n)

이러한 유사환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 | na, a2-ka⟩

두 유사환 ⟨a | na, a2-ka⟩와 ⟨a | na, a2-k'a⟩가 서로 동형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gcd{k, n} = gcd{k', n}

따라서, 순환군 Cyc(n) 위의 유사환들은 n의 약수들과 일대일 대응한다. 이 가운데 k≡n≡0 (mod n)인 경우는 영유사환이며, k≡1 (mod n)인 경우는 정수환의 몫환 Z/(n)이다. k≢1 (mod n)인 경우는 곱셈 항등원이 없어 을 이루지 않는다.

4. 2. Cyc(''p'')⊕2 위의 유사환

아벨 군이 Cyc(p)^{\oplus 2}인 유사환은 총 8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8]

분류종류
가환환
가환환이 아닌 가환 유사환
비가환 유사환


4. 3. Cyc(''p''2) ⊕ Cyc(''p'') 위의 유사환

아벨 군이 Cyc(''p''2) ⊕ Cyc(''p'')인 유사환은 ''p''=2일 경우 총 20개, ''p''≠2일 경우 총 2''p''+19개가 있다.[9]

  • 가환환 3개 (''p''=2일 경우 4개)
  • * ℤ/(''p''2) ⊕ 𝔽''p'']:
  • * (ℤ/(''p''2))[''x'']/(p''x'',''x''2)
  • * (ℤ/(''p''2))[''x'']/(p''x'',''x''2-''p'')
  • * (ℤ/(''p''2))[''x'']/(p''x'',''x''2-m''p''), m∈ℤ/(''p'')은 제곱잉여가 아닌 정수. (''p''=2일 경우 이는 불가능하다.)
  • 나머지는 모두 단위원을 갖지 않는 유사환이다.

4. 4. Cyc(''p'')⊕3 위의 유사환

아벨 군 Cyc(''p'')⊕3 위의 유사환은 ''p''=2인 경우 28개, ''p''≠2인 경우 ''p''+27개이다.

이 가운데 곱셈 단위원을 갖춘 환은 7개이다.[9] 이 가운데 가환환이 아닌 것은 하나뿐이며, 유한체 위의 삼각행렬

:\operatorname{Upper}(2;\mathbb F_p)=\left\{\begin{pmatrix}a&b\\0&c\end{pmatrix}\colon a,b,c\in\mathbb F_p\right\}

이다. (이 환은 스스로의 반대환과 동형이다.)

아벨 군 Cyc(''p'')⊕3 위의 가환환 6개는 다음과 같다.[10]

  • \mathbb F_p^{\oplus3}
  • \mathbb F_{p^2}\oplus\mathbb Z/(p)
  • \mathbb F_p[x]/(x^2)\oplus\mathbb Z/(p)
  • 유한체 \mathbb F_{p^3}
  • \mathbb F_p[x]/(x^3)
  • \mathbb F_p[x,y]/(x^2,xy,y^2)

4. 5. 주어진 크기의 유사환의 수

(OEIS) 항목A027623A37289A37291A127707


5. 유한체

유한체 이론은 대수기하학, 갈루아 이론, 정수론과의 밀접한 관련성 때문에 유한환 이론의 가장 중요한 측면일 것이다. 이 이론의 중요하지만 꽤 오래된 측면은 유한체의 분류이다.[1]



이러한 분류에도 불구하고, 유한체는 Kakeya 추측에 대한 최근의 결과와 (정수론에서) 가장 작은 원시 근의 크기에 관한 미해결 문제들을 포함하여 여전히 활발한 연구 분야이다.

유한체 ''F''는 ''F'' 위에서 n-차원 벡터 공간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F''의 원소를 갖는 ''n'' × ''n'' 행렬의 행렬환 ''A''는 갈루아 기하학에서 사용되며, 사영 선형군은 ''A''의 곱셈군 역할을 한다.

6. 웨더번 정리

Wedderburn의 작은 정리는 모든 유한 나눗셈환가환환이라는 것을 주장한다.[2]

: 유한환 ''R''의 모든 0이 아닌 원소 ''r''이 곱셈의 역원을 가지면, ''R''은 가환환(따라서 유한체)이다.

네이선 제이콥슨은 나중에 환의 가환성을 보장하는 또 다른 조건을 발견했다. 즉, ''R''의 모든 원소 ''r''에 대해 인 정수가 존재하여 이면 ''R''은 가환환이다.[2] 환의 가환성을 함의하는 더 일반적인 조건들도 알려져 있다.[3]

웨더번의 또 다른 정리는 유한 단순환 이론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를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모든 유한 단순환은 크기가 ''q''인 유한체 위의 ''n'' × ''n'' 행렬 와 동형이다. 이는 1905년과 1907년에 조지프 웨더번이 정립한 두 개의 정리(그 중 하나가 Wedderburn의 작은 정리)에서 비롯된다.

7. 열거

(경고: 이 섹션의 열거에는 곱셈 항등원을 갖지 않는 링이 포함되어 있으며, 때로는 rng이라고도 한다.) 1964년 데이비드 싱마스터는 미국 수학 월간지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했다.[4] "(1) 장이 아닌 가장 작은 비자명 링(1을 갖는)의 차수는 무엇인가? 이러한 최소 차수를 갖는 링을 두 개 찾으시오. 더 있는가? (2) 차수가 4인 링은 몇 개인가?"

D.M. Bloom은 두 페이지 분량의 증명을 통해 차수가 4인 링이 11개이며, 그 중 4개는 곱셈 항등원을 갖는다는 해답을 제시했다. 실제로 4개의 원소를 갖는 링은 이 주제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순환군 C4에 대한 링은 3개, 클라인 네 그룹에 대한 링은 8개이다. Gregory Dresden의 강의 노트에는 차별적 도구(멱영원, 영인자, 아이뎀포턴트, 좌 및 우 항등원)의 흥미로운 전시가 있다.[5]

유한 링에서 ''비가환성''의 발생은 Eldridge (1968)에서 두 개의 정리에 의해 설명되었다. 1을 갖는 유한 링의 차수 ''m''이 세제곱 무첨가 인수 분해를 갖는 경우, 이는 가환환이다. 그리고 1을 갖는 비가환환 유한 링이 소수의 세제곱 차수를 갖는 경우, 링은 소수의 갈루아 체에 대한 상 삼각 2 × 2 행렬 링과 동형이다.

소수의 세제곱 차수를 갖는 링에 대한 연구는 Raghavendran (1969)와 Gilmer & Mott (1973)에서 더욱 발전되었다. 다음으로 Flor와 Wessenbauer (1975)는 소수의 세제곱 경우에 대한 개선을 이루었다. 동형 클래스에 대한 결정적인 연구는 Antipkin & Elizarov (1982)에서 이루어졌으며, ''p'' > 2에 대해 클래스 수는 3''p'' + 50임을 증명했다.

유한 링 주제에는 Robert Ballieu[6] 및 Scorza와 같은 이전 참고 문헌이 있다.[7]

다음은 주어진 차수(''p''와 ''q''가 서로 다른 소수를 나타낸다고 가정)의 유한 링(단위를 반드시 갖는 것은 아님) 수에 대해 알려진 사실 중 일부이다.

차수유한 링의 수
p2
pq4
p211
p2q22
852
p3, p > 23p + 50



''n''개의 원소를 갖는 링의 수는 다음과 같다:

: 1, 1, 2, 2, 11, 2, 4, 2, 52, 11, 4, 2, 22, 2, 4, 4, 390, 2, 22, 2, 22, 4, 4, 2, 104, 11, 4, 59, 22, 2, 8, 2, >18590, 4, 4, 4, 121, 2, 4, 4, 104, 2, 8, 2, 22, 22, 4, 2, 780, 11, 22, ...

참조

[1] 인용
[2] 인용
[3] 논문 Commutativity conditions for rings: 1950–2005 2007-05
[4] 논문 E1648 1964-10
[5] 논문 Rings with four elements http://home.wlu.edu/[...] 2009-07-28
[6] 논문 Anneaux finis; systèmes hypercomplexes de rang trois sur un corps commutatif
[7] 인용
[8] 저널 Classification of finite rings of order p^2 https://www.maa.org/[...] 1993-10
[9] 저널 Finite associative rings http://www.numdam.or[...] 1969
[10] 저널 Associative rings of order p^3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