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리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베리아족은 기원전 1100년경부터 이베리아 반도에 거주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민족이다. 청동기 및 철기 문명을 기반으로 농경과 무역을 통해 성장했으며, 페니키아, 그리스, 카르타고 등과 교류했다. 기원전 6세기부터 이베리아 문화가 발전했으며,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사회를 이루었다. 이베리아족의 유래는 불분명하며, 지중해 동부, 북아프리카, 또는 서유럽 거석 문화와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이들은 독특한 예술과 종교를 발전시켰으며, 용병으로 활동하거나 카르타고와 로마의 전쟁에 참여했다. 로마의 정복 이후, 이베리아족은 로마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고유의 언어인 이베리아어는 사어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탈루냐의 역사 - 카탈루냐 공국
카탈루냐 공국은 스페인 동북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미술, 종교, 요리는 지역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다. - 카탈루냐의 역사 - 2017년 바르셀로나 테러
2017년 8월 1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람블라스 거리에서 차량 돌진 테러와 캄브릴스에서 추가 차량 테러가 발생해 16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했으며, ISIL은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 포르투갈의 역사 - 1910년 10월 5일 혁명
1910년 10월 5일 혁명은 포르투갈에서 군주제를 종식시키고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사회적 불만과 공화당의 성장, 국왕 암살 사건을 거쳐 발생하여, 테오필루 브라가를 대통령으로 하는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 포르투갈의 역사 - 카네이션 혁명
카네이션 혁명은 1974년 포르투갈에서 국군운동이 주도하여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의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 체제로 이행한 무혈 쿠데타로, 군인들이 카네이션을 꽂은 상징적인 장면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자유의 날'로 기념된다. - 유럽의 민족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어져 온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며 다양한 민족 집단의 융합체로 이루어진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민을 가리킨다. - 유럽의 민족 - 로망스족
로망스족은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을 통칭하며, 유럽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루마니아 등과 중남미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미국에서는 히스패닉 또는 라티노라고도 불린다.
이베리아족 |
---|
2. 역사
이베리아족은 부족사회를 유지하며 살았으므로 폐쇄적인 사회였다. 청동과 농경기술을 위해 철 등 금속을 다룰 줄 알았으며 카르타고와 로마의 공격 전까지 도시화 내지는 계층 분할이 이뤄졌다. 페니키아, 그리스, 카르타고와 무역 활동이 성행했으며 구리와 주석 등을 수출품으로 했다.
페니키아인은 기원전 1100년 처음으로 이베리아반도 내 식민지를 만들었으며 이 지역은 현재의 카디스로서 이후에도 산발적인 이베리아족과의 관계가 있었다.
이베리아 문화는 기원전 6세기부터 발전했으며, 아마도 기원전 5천년에서 3천년 사이에 이베리아 반도의 동부 및 남부 해안에서 발전했다.[2][3][4] 이베리아인들은 마을과 oppida(요새화된 정착지)에 거주했으며, 그들의 공동체는 부족 조직에 기반을 두었다. 스페인 레반테의 이베리아인들은 이베리아 반도의 중부 및 북서부 지역의 이웃보다 더 도시화되었다. 중부 및 북서부 지역의 사람들은 주로 켈트 방언을 사용하고 반(半)유목 생활을 했으며, 흩어진 마을에 살았지만 누만티아와 같은 요새화된 도시도 몇 개 가지고 있었다.[5] 그들은 문자, 금속 가공, 청동을 포함한 기술과 농업 기술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베리아인에 대해 처음 언급한 것은 고대 그리스의 역사학자 및 지리학자들이었다. 흥미롭게도, 그들은 현재의 그루지야 남부의 원주민도 이베리아인(Caucasian Iberia영어)(코카서스 이베리아인)이라고 불렀다. 처음에는 그리스인들은 이베리아라는 명칭을 지중해 서부 연안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했다. 이어서 이베리아는 반도 전체를 가리키는 명칭이 되었다. 이베리아는 반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을 가리키게 된 것이다.
지중해 서부 연안의 이베리아인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4세기의 저술가 Avienus영어(아비에누스)의 『Ora maritimaes(오라 마리티마)』로, 기원전 530년경에 마르세유에서 온 뱃사람들의 이야기에 등장한다.
아피아노스도 이베리아의 마을과 촌락에 대해 언급했지만, 이 시대에는 사라져 있었다. 그가 언급한 것은 과거의 안달루시아 서부에 관한 것이다. 스트라본은 그 이전의 책을 바탕으로 이베리아에 대해 기술을 남겼다. 그는 타르테소스의 후손인 Turdetaniaes(투르데타니아)의 여러 도시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플리니우스와 그 외 라틴어 역사가들은 Hispania romanaes(로마령 히스파니아)의 선주민으로서 반도에 사는 사람들에게 한정하여 가볍게 언급하고 있다.
2. 1. 유래
이베리아족의 유래는 확실치 않지만, 몇 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하나는 이베리아족이 기원전 5천년에서 3천년 사이에 스페인에 도착했다는 것이다. 이 학설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이베리아족이 지중해 동쪽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학설은 이베리아족이 북아프리카에서 건너왔다는 것이다. 이는 모로코에서 발견된 유적과 인류학적으로 유사한 이베리아족 유적을 발견한 마이클 오간의 연구에 따른 것이다.[22] 이베리아족은 먼저 동쪽 해안에 자리잡은 뒤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간 것으로 보인다.[23][24][25][26]
또 다른 설로는 서유럽이나, 이 지역에 있던 거석 문화의 사람들이나 그 후손이 이베리아인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 설은 유전학 연구에서 지지받고 있다. 이베리아인은 아일랜드 섬, 그레이트브리튼 섬, 프랑스에 기원전 1천 년에 있던 켈트족과 유사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단, 거석 문화의 담당자는 켈트족이 아니라 그 이전에 정착했던 농경민이다). 그 후 켈트족들은 기원전 9세기와 기원전 7세기 두 차례에 걸쳐 피레네 산맥을 넘어 반도로 이주했다. 켈트족들은 주로 도루 강과 에브로 강 북부에 정착하여 이베리아인과 섞여 살았고, 그 결과 켈티베리아인이 되었다.
이베리아어, 바스크어는 멀리 떨어진 캅카스어족과 같은 어족을 구성한다는 설이 있다.[20] 고대 캅카스는 그리스인과 로마인에 의해 "이베리아"라고 불렸으며, 여기서 스페인으로 이주한 민족이 바스크족의 조상이 되었고, 이베리아 반도의 명칭도 거기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실제로,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b는 서아시아 기원으로 여겨진다.[21]
이베리아인들은 부족별로 살았으며, 청동 기술, 농업, 금속 가공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후에 더욱 도시화된 문화를 이루었다. 금속(제품)을 페니키아인, 그리스인, 카르타고인과 교역했다.
2. 2. 외부와의 교류 및 영향
이베리아족은 페니키아, 그리스, 카르타고와 활발하게 무역했다. 구리와 주석 등을 수출했으며, 이베리아의 도자기와 금속 세공품은 프랑스, 이탈리아, 북아프리카에서 발견되었다.[8]페니키아인은 기원전 1100년에 이베리아 반도에 최초의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이는 현재의 카디스에 해당한다.[8] 이후에도 이베리아족과 산발적인 관계를 맺었다. 카르타고와 로마의 정복 이전 시기에 이베리아 정착촌은 사회적 복잡성이 증가하여 사회 계층화와 도시화의 증거를 보였다.[6] 이는 페니키아인, 그리스인, 카르타고인과의 교역 접촉으로 촉진되었을 것이다.[6] 기원전 5세기 말과 4세기 초에는 귀족의 통합과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출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사회 변화가 있었다.[6]

그리스 식민지인들은 기원전 6세기에 이베리아인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언급을 했다.[8] 이베리아인들은 엠포리온, 로제스, 헤메로스코페이온 식민지에 있는 그리스인들과 광범위한 접촉을 했으며, 그리스의 예술 기법 중 일부를 채택했을 수 있다.[8] 바자 여인과 엘체 여인과 같은 조각상은 그리스 예술에 비교적 익숙한 이베리아인들이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8]
이베리아인들은 안달루시아 남부에 다양한 식민지를 건설한 페니키아인들과도 접촉했다.[8]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이베리아인들은 기원전 324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사절을 보내 우정을 요청했다.[9]
기원전 1000년경 켈트족이 이베리아 반도에 진출하면서, 이베리아인과 켈트족이 섞여 켈티베리아 문화가 형성되기도 했다. 이베리아인과 켈티베리아인은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의 군대에 병사를 보냈다.
이베리아인의 무덤, 아사일라(아라곤 주테루엘 주)
보토리타 비문, 사라고사 근교 보토리타에서 출토된 판(이베리아어와 라틴어로 쓰여짐)
2. 3. 로마의 정복
제2차 포에니 전쟁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로마와 카르타고 양측의 주요 격전지였다.[10] 이 전쟁에서 대부분의 이베리아 부족들은 카르타고 편에 서서 로마와 카르타고 양측을 위해 싸웠다.[10][11]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카르타고는 전쟁 부채로 인해 이베리아 반도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하려 했다. 하밀카르 바르카는 은이 풍부한 과달키비르 강 지역을 정복했고, 그의 사위 미남 하스드루발은 Qart Hadasht(현대 카르타헤나) 식민지를 건설하고 에브로 강 남쪽까지 영향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221년 하스드루발이 암살된 후, 한니발이 카르타고 군대의 지휘권을 맡아 에브로 강 남쪽의 이베리아인 정복을 완료했다.[10] 한니발은 올카데스, 바카이와 카르페타니를 격파하고 타구스 강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장했으며,[11] 사군툼을 포위하여 제2차 포에니 전쟁을 일으켰다.
로마는 그나이우스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를 파견하여 카르타고로부터 이베리아를 정복하게 했다. 그나이우스는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은 일르게테스를 격파하고, 타라코를 정복하고, 카르타고 함대를 격파했다. 기원전 211년까지 스키피오 형제는 에브로 강 남쪽의 카르타고와 동맹군을 휩쓸었으나, 푸블리우스는 전투에서 사망하고 그나이우스는 후퇴 중에 사망했다.
기원전 210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도착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스키피오는 카르타고 노바를 정복하고, 바에쿨라 전투에서 하스드루발 바르카의 군대를 격파했다. 일리파 전투에서 푸블리우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카르타고군은 가데스로 후퇴했고, 푸블리우스 스키피오는 반도 전체 남부를 장악했다. 이 승리 이후 일르게테스와 다른 이베리아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로마는 이 반란을 진압한 이후에야 스페인 남부의 나머지 카르타고 영토를 정복했다.
카르타고가 패배한 후, 이베리아 영토는 히스파니아 울테리어와 히스파니아 시테리어의 두 주요 주로 나뉘었다. 기원전 197년, 이베리아 부족들은 히스파니아 시테리어 주에서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이 지역을 확보한 후 로마는 루시타니아와 켈트이베리아를 침공하여 정복했다. 로마는 루시타니아 정복을 위해 길고 지루한 원정을 벌였다. 이베리아 반도 북부 지역에서의 전쟁과 원정은 기원전 16년 칸타브리아 전쟁의 마지막 반란이 진압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3. 문화
이베리아 사회는 왕 또는 족장(''(라틴어: "regulus")''), 귀족, 사제, 장인 및 노예 등 여러 계급으로 나뉘어 있었다.[12] 고대 기록에 따르면 이베리아 귀족은 종종 "원로원"이라고 불렸으며, 귀족 회의에서 만났다.[12] 왕 또는 족장은 로마인들이 "피데스(fides)"라고 칭한 의무나 봉건 관계를 통해 군대를 유지했다.[12]
이베리아인들은 그리스인들로부터 포도주와 올리브를 받아들였다. 말 사육은 이베리아인과 그들의 귀족에게 특히 중요했다. 광업 또한 그들의 경제에 매우 중요했으며, 특히 가데르와 카르타고 노바 인근의 은광, 에브로 계곡의 철광, 그리고 주석과 구리 매장량 개발이 중요했다. 그들은 팔카타와 같은 정교한 금속 세공품과 고품질의 철제 무기를 생산했다.
3. 1. 사회
3. 2. 경제
3. 3. 예술과 종교
이베리아인들은 돌과 청동으로 조각품을 제작했는데, 대부분 그리스인, 페니키아인, 그리고 아시리아, 히타이트, 이집트와 같은 다른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6] 이베리아 조각의 양식은 레반테, 중앙, 남부, 서부 그룹으로 지리적으로 나뉘며, 이 중 레반테 그룹은 가장 많은 그리스의 영향을 보여준다. 이베리아 도자기와 회화 또한 이 지역 전체에 걸쳐 독특하고 널리 퍼져 있었다. 문화의 뚜렷한 특징인 도자기는 주로 붉은색 기하학적 형태로 장식되었지만, 일부 지역(무르시아에서 카탈루냐 남부까지)에서는 구상 이미지도 포함되었다.[6]이베리아 다신교는 조각상에서 볼 수 있듯이 그리스와 페니키아의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 남자-황소 발라초테의 비차(아마도 다산 신)와 다양한 스핑크스와 사자의 묘사는 동 지중해 신화 속 생물과 유사하다. 엘체 여인과 과르다마르 여인은 명백한 헬레니즘의 영향을 보여준다. 타닛, 바알, 멜카르트, 아르테미스, 데메테르, 아스클레피오스와 같은 페니키아와 그리스 신들이 이 지역에서 알려졌고 숭배되었다.[13] 현재 알려진 토착 이베리아 신은 거의 없지만, 예언적 치유 신 "베타툰"은 푸에르테스 델 레이의 라틴어 비문에서 알려져 있다.[13] 바사 여인이 묘사하고 새, 꽃, 밀과 관련된 지구와 재생과 관련된 중요한 여성 신이 분명히 있었다.[13] 말 또한 중요한 종교적 인물이었으며, 말에게 헌정된 중요한 성소가 물라 (무르시아)에서 발견되었다. "말 조련 신" 또는 "말의 군주"(despotes hippon)에 대한 많은 묘사가 있다. 여성 여신 아타에기나도 비문에서 널리 언급된다.
이베리아인들은 야외에서 의식을 행했으며, 숲, 샘, 동굴과 같은 성지에서 성소를 유지했다.[14] 고고학적 증거는 사제 계급의 존재를 시사하며, 실리우스 이탈리쿠스는 타르테소스 지역의 멜카르트 사원에서 사제들을 언급한다. 도자기의 증거는 이베리아 신화와 의식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보여준다. 일반적인 주제는 스트라보가 묘사한 축제 의식 춤[c.f. 3.3.7.]과 "바스테타니아 춤"으로 알려진 푸에르테 델 레이의 부조에서 볼 수 있으며, 죽은 자와 늑대 형상의 대결이다.[15] 동물의 의례적 희생 또한 흔했다.
이베리아 종말론에서 "죽음은 바다, 땅, 심지어 하늘을 건너는 것으로 상징되는 여정의 시작점으로 여겨졌다. 스핑크스나 늑대와 같은 초자연적이고 신화적인 존재, 그리고 때로는 신성 그 자체가 이 여정에서 죽은 자를 동반하고 인도했다."[6] 이베리아인들은 죽은 자를 화장하고 그 재를 의례용 항아리에 넣은 다음 석관에 안치했다.
3. 4. 전쟁
이베리아 병사들은 용병과 보조 병력으로 카르타고와 로마에 널리 고용되었다. 포에니 전쟁 당시 카르타고 군대의 상당 부분은 이베리아인과 켈트이베리아인으로 구성되었다. 이베리아의 전쟁은 만성적이었으며 부족 간의 약탈과 노략질에 기반을 두었다. 정규 전투에서 이베리아인들은 완전한 접촉 전투를 하지 않고 창을 던지고 상대에게 소리를 지르며 정기적으로 돌격하고 후퇴하는 전술을 사용했는데, 로마인들은 이러한 종류의 전투를 ''concursare''라고 불렀다.[12] 이베리아인들은 특히 매복과 게릴라 전술을 선호했다.고대 자료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이베리아 보병, 즉 ''스쿠타티''와 ''카에트라티''를 언급한다. ''스쿠타티''는 중무장했고 이탈리아 스타일의 큰 스쿠툼 방패를 소지했다. ''카에트라티''는 작은 이베리아 버클러인 카에트라를 소지했다.[12] 이베리아 무기에는 유명한 글라디우스 히스파니엔시스, 팔카타라고 불리는 곡선 칼, 곧은 칼, 창, 투창, 그리고 솔리페룸이라고 불리는 전부 철로 된 창이 포함되었다. 이베리아 기병은 이베리아 군대뿐만 아니라 카르타고 군대의 핵심 요소였다. 스페인은 훌륭한 야생마가 풍부했고 이베리아 기병은 고대 지중해에서 최고 수준이었다.
4. 이베리아 부족
이베리아인들은 이베리아 반도의 동부 및 남부 해안 지역에 거주했으며, 이는 오늘날 지중해 북서부 해안에 해당한다. 이들은 여러 부족 또는 부족 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 로마인과 다른 지중해 사람들이 이베리아인과 처음 접촉했을 때, 이들은 민족적, 언어적 의미에서 이베리아인이었지만, 이베리아 반도의 북부, 중부 및 서부 지역(반도 면적의 대부분)에 거주했던 사람들은 민족적, 언어적 의미에서 이베리아인이 아니었다.
이베리아 부족 또는 부족 연합은 다음과 같다.
- 안도시니는 동부 피레네 산맥 남쪽 경사면의 산악 지대, 높은 세그레강 유역, 오늘날 안도라 지역에 거주했다.
- 아우세타니는 오소나 지역(옛 오소나 군)과 중간 테르강 유역에 거주했으며, 아우사(오늘날의 빅)가 주요 중심지였다.
- 바스테타니/바스티타니/바스툴리는 가장 큰 이베리아 부족 연합으로, 지중해 연안과 시에라 네바다의 넓은 지역을 포함하는 영토에 거주했으며, 바스티(오늘날의 바자)가 주요 중심지였다.
- 마스티에니는 마스티아 영토(카르타헤나)와 그 주변에 거주했다.
- 베르기스타니/베르구시이는 높은 요브레가트강 유역에 거주했으며, 베르가가 주요 중심지였다. 라체타니의 북쪽에 위치했다.
- 카스텔라니는 높은 테르강 유역, 동부 피레네 산맥 남쪽 경사면에 거주했으며, 아우세타니의 북쪽에 위치했다.
- 체세타니/코세타니는 타라코 지역(오늘날의 중부 및 동부 타라고나 지방)과 지중해 연안 지역에 거주했으며, 케세(타라코는 로마 시대, 이후 히스파니아 타라고넨시스의 수도가 됨)가 주요 중심지였다.
- 세레타니/체레타니는 세레타나(오늘날의 세르다냐/세르다냐)와 기타 동부 피레네 산맥의 남쪽 경사면, 높은 세그레와 노게라 강 유역(이베루스 - 에브로강의 지류)에 거주했으며, 리비카 또는 율리아 리비카(오늘날의 리비아)가 주요 중심지였다. 일레르게테스와 베르기스타니의 북쪽에 위치했다.
- 콘테스타니는 수크로(수케르)강 남쪽과 타데르(세구라)강 북쪽에 거주했으며, 중심지로는 사에타비(현대 사티바)와 라 바스티다 데 레스 알쿠세스가 있었다.
- 데이타니는 일리치 영토(오늘날의 엘체)와 그 주변에 거주했다.
- 에데타니는 수크로(수케르/후카르)강 북쪽과 미야르강 남쪽에 거주했으며, 에데타(로마 시대 라우로, 오늘날의 리리아)와 아르세(사군툼은 로마 시대, 오늘날의 사군토/사군트)가 주요 중심지였다.
- 엘리시세스/헬리시세스는 나르보(나르본) 지역과 현대 북부 루시용에 거주했으며, 이베리아인, 리구리아인 또는 리구리아-이베리아 부족일 수 있다.
- 일레르카보네스는 이베루스(에브로)강 하류 유역에서 미야르강까지 지중해 연안을 따라, 시에라 데 구다르를 향한 내륙으로 일레르카보니아에 위치했으며, 히베라(로마 시대 데르투사 또는 데르토사, 현대 토르토사)가 주요 중심지였다.
- 일레르게테스/일레르가타이는 중간 및 하류 세그레와 신카강 평원 지역에서 이베루스(에브로)강 유역으로 향했으며, 일트리다(로마 시대 일레르다, 오늘날의 레리다/예이다)가 주요 중심지였다.
- 인데게테스/인데게타이는 낮은 테르강 유역, 동부 피레네 산맥 남쪽 경사면, 엠포드래(엠푸리에스)와 로다(로스) 만의 히스파니아 타라고넨시스로 알려진 이베리아 반도의 최북동 지역을 점령했으며, 인디카/인다 또는 운디카(울라스트레 유적으로 확인됨)가 주요 중심지였다.

- 라체타니는 중간 요브레가트강 유역과 주변 언덕에 거주했으며, 라이에타니의 북서쪽에 위치했다.
- 라이에타니는 낮은 요브레가트강 유역, 지중해 연안 일부를 따라 거주했으며, 라이에타(로마 시대 바르시노, 현대 바르셀로나)가 주요 중심지였다.
- 오레타니는 높은 바에티스(과달키비르)강 계곡, 동부 마리아누스 몬스(시에라 모레나)와 오늘날 라 만차의 남부 지역에 거주했으며, 이베리아 부족, 켈트족 부족, 또는 혼합된 켈트족과 이베리아 부족 또는 부족 연합일 수 있다.
- 세데타니는 이베루스(에브로)강 남쪽과 과달로페강 서쪽, 대략 이베루스(에브로)의 중류 유역에 거주했으며, 살두이에(로마 시대 살두바 및 카이사라우구스타 및 현대 사라고사)가 그들의 영토에 속했다.
- 소르도네스는 루시용 영토(피레네오리앙탈 데파트망, 프랑스)에 거주했으며, 루시노(오늘날의 페르피냥 근처 샤토-루시용)가 주요 중심지였다.
- 베스케타니/오스켄세스는 오늘날 북부 아라곤, 갈레고강의 동쪽, 소브라르베, 볼스칸과 그 주변, 나중 오스카(우에스카) 및 높은 신카강 계곡, 스페인에 거주했으며, 바스코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아키타니와 관련이 있으며 아키타니아어를 사용한다.
- 발레아레스 제도의 알려지지 않은 이름의 부족 또는 부족들(피티우사스 제도 및 짐네시아스 제도로 구성됨)은 이베리아인일 수 있다.
5. 이베리아어와 문자
5. 1. 이베리아어
이베리아어는 다른 고대 히스파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라틴어로 점차 대체되면서 서기 1~2세기 경 사어가 되었다.[16] 이베리아어는 분류되지 않은 비(非) 인도유럽어족 언어로 남아 있다. 1978년의 한 연구는 이베리아어와 메사피아어 사이의 많은 유사성을 주장했다.[16] 이베리아어는 또한 바스크어와도 일부 요소를 공유한다.[17] 에트루리아어와 미노아어 선 문자 A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었다.[18]이베리아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카탈루냐'' 이론에 따르면, 이베리아어는 북부 카탈루냐에서 기원하여 북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19]


5. 2. 이베리아 문자
이베리아인들은 이베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세 종류의 문자를 사용했다. 북동 이베리아 문자와 남동 이베리아 문자는 다른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에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는데, 파열음에는 음절 값을 가진 기호를 사용하고, 나머지 자음과 모음에는 단일 음소 값을 가진 기호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자 체계는 알파벳도 음절 문자도 아닌, 준음절 문자로 식별되는 혼합 문자이다. 이베리아 문자 체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간에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데, 페니키아 문자에만 관련이 있다는 주장과 그리스 문자의 영향도 받았다는 주장이 있다.참조
[1]
서적
Spain at the Dawn of History: Iberians, Phoenicians and Greeks
Thames & Hudson
1988
[2]
웹사이트
Iberians – MSN Encarta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Iberians – Encyclopedia.com
http://www.encyclope[...]
[4]
웹사이트
Spain: Historical Setting –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y – Iberia
https://web.archive.[...]
2008-02-29
[5]
서적
Hispaniae; Spain and the Development of Roman Imperialism, 218-82 BC
[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Iberians
http://blog.european[...]
Europeana
2018-11-30
[7]
웹사이트
Castellet de Banyoles (Tivissa)
http://www.mac.cat/e[...]
Museu d'Arqueologia de Catalunya
[8]
뉴스
Sicilian Peoples: The Sicanians
http://www.bestofsic[...]
Best of Sicily
2007-10-07
[9]
문서
The Anabasis of Alexander
[10]
서적
Hannibal: A History of the Art of War Among the Carthaginians and Romans Down to the Battle of Pydna, 168 B.C
https://books.google[...]
[11]
서적
Hannibal's Dynasty: Power and Politics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247-183 BC
2003
[12]
서적
Rome's Enemies (4) : Spanish Armies 218-19 BC (Men at Arms Series, 180)
[13]
서적
The Handbook of Religions in Ancient Europe
[14]
웹사이트
La religiosidad entre los iberos
http://www.artehisto[...]
[15]
서적
The Handbook of Religions in Ancient Europe
[16]
논문
On the decipherment of ancient Iberian
https://doi.org/10.1[...]
[17]
서적
Towards a History of the Basque Language
[18]
서적
Prehistoric Iberia: Genetics, Anthropology, and Linguistics
[19]
문서
Lengua vs. cultura material: el (viejo) problema de la lengua indígena de Cataluña
2006
[20]
웹사이트
イベリア・カフカス語族 - Yahoo!百科事典
http://100.yahoo.co.[...]
[21]
문서
International Society of Genetic Genealogy (ISOGG) - Y-DNA Haplogroup R and its Subclades
[22]
웹사이트
Volubilis
http://www.megalithi[...]
2007
[23]
웹인용
IBERIANS (Iberi, "I(3r... - Online Information article about IBERIANS (Iberi, "I
https://web.archive.[...]
2009-03-05
[24]
웹사이트
Iberians - Encyclopedia.com
http://www.encyclope[...]
[25]
웹인용
Spain: Historical Setting -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y - Iberia
http://historymedren[...]
2009-03-05
[26]
웹인용
THE GREAT COLONIZATIONS - THE NEOLITHIC
https://web.archive.[...]
2009-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