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통계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구통계학은 인구의 규모, 구조, 분포 및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기초인구학과 응용인구학으로 나뉜다. 기초인구학은 수량적 측면을 다루는 형식인구학과 사회경제적 맥락을 연구하는 사회인구학으로 구성되며, 응용인구학은 인구변동이 사회경제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인구는 출산율, 사망률, 이동의 세 가지 과정을 통해 변화하며, 인구학적 방정식은 이러한 변화를 수학적으로 표현한다. 인구학은 센서스, 동태통계, 표본조사 등의 자료를 활용하며, 최근에는 지리 정보 체계(GIS)를 활용한 공간 분석도 이루어진다. 주요 인구 지표로는 조출생률, 합계출산율, 기대수명 등이 있으며, 인구 구성과 인구 변동을 분석하여 노동 시장, 조직 생태학, 비즈니스 및 비영리 조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인구통계학은 고대부터 연구되었으며, 17세기 존 그란트의 연구를 시작으로 맬서스의 인구 과잉 이론, 19세기 벨기에 학자 아킬레 기야르의 정의를 거쳐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구통계학 - 고령화
고령화는 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유엔은 그 비율에 따라 고령화 사회, 고령 사회,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며, 출산율 저하와 평균 수명 증가의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나 사회,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인구통계학 - 밀레니얼 세대
밀레니얼 세대는 윌리엄 스트라우스와 닐 하우가 명명한 용어로 밀레니엄 전환기에 성인이 된, 일반적으로 198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지칭하며, 디지털 기술에 능숙하고 삶의 질과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 환경사회과학 - 환경 정책
환경 정책은 대기 및 수질 오염, 폐기물 관리,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호, 천연자원 관리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개인이 채택하는 행동 원칙으로, 사회적, 경제적 차원과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규제, 경제적, 정보적 수단을 활용하고 정책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지만, 정책 효과에 대한 논쟁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책 통합 및 국제적 협력이 과제로 남아있다. - 환경사회과학 - 환경 사회 과학
환경 사회과학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을 분석하고, 사회역학과의 협력을 통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 인문지리학 - 나라
국가는 주권, 영토, 정부, 외교적 능력을 갖춘 정치 실체이며, 몬테비데오 협약에 따라 국가의 요건을 갖추고 국기, 국가, 애국심 등의 상징을 통해 정체성을 나타낸다. - 인문지리학 - 구세계
구세계는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로 지칭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문화적 접촉을 맺었던 북위 45도선과 25도선 사이의 온대 지역, 특히 지중해 지역을 포함한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을 의미한다.
인구통계학 | |
---|---|
인구통계학 개요 | |
정의 | 인구와 그 구조를 통계적, 이론적으로 다루는 과학 |
어원 | 'δῆμος(dēmos, 사람, 사회)'와 '-γραφία(-graphia, 쓰기, 그리기, 설명)'에서 유래 |
학문 분야 | 사회학의 하위 분야 |
주요 연구 내용 | |
인구 구조 | 연령, 성별, 혼인 상태, 교육 수준, 인종, 민족, 직업 등 |
인구 변동 | 출생, 사망, 이민을 통해 인구 크기 및 구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 |
인구 과정 | 출산력, 사망력, 이동력 등 인구 변동을 야기하는 요인 연구 |
인구 예측 | 미래의 인구 규모, 구성 등을 예측하고 사회 정책 수립에 기여 |
핵심 개념 | |
출산율 | 인구 집단 내에서 특정 기간 동안 출생한 아기의 수 |
사망률 | 인구 집단 내에서 특정 기간 동안 사망한 사람의 수 |
이민 | 특정 지역으로 이동하여 거주지를 변경하는 것 |
인구 밀도 | 특정 지역의 단위 면적당 인구수 |
인구 분포 | 특정 지역에 인구가 어떻게 퍼져있는지 나타내는 것 |
인구 성장률 | 특정 기간 동안의 인구 증가율 |
연구 방법 | |
통계 분석 | 인구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패턴과 추세를 파악 |
인구 모델링 | 인구 변동을 예측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
설문 조사 | 인구 구성원의 의견이나 태도 등을 파악 |
인구 센서스 | 일정 기간마다 전체 인구를 조사하여 인구 규모와 구성에 대한 정보 수집 |
생애사 연구 | 개인의 생애 전반에 걸친 경험을 조사하여 인구 변동과 관련된 요인 분석 |
응용 분야 | |
공공 정책 | 인구 변동에 따른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 |
마케팅 | 특정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 수립 |
보건 | 질병 발생 패턴 및 건강 상태 분석에 활용 |
사회 복지 | 복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구 구조 분석 |
도시 계획 | 인구 변동 예측을 기반으로 도시 계획 수립 |
교육 | 미래의 학생 수를 예측하고 교육 정책 수립 |
경제 | 노동력 규모 및 변화 예측과 경제 정책 수립 |
환경 | 인구 증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관련 분야 | |
통계학 | 인구 데이터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 제공 |
사회학 | 인구 변동과 사회 구조 간의 관계 분석 |
경제학 | 인구 변동과 경제 성장 간의 관계 분석 |
지리학 | 인구 분포와 공간적 패턴 분석 |
공중 보건 | 질병 발생 및 건강 불평등 연구 |
환경 과학 | 인구 증가와 환경 변화 간의 관계 분석 |
2. 인구학의 분야
인구학은 크게 기초인구학과 응용인구학으로 나뉜다. 기초인구학은 다시 형식인구학과 사회인구학으로 구성된다.[41]
rowspan="2" | | 기초인구학 | 응용인구학 | |
---|---|---|---|
형식인구학 | 사회인구학 | ||
개념 | 인구 현상을 수량적인 측면에서 연구 | 인구 현상을 사회경제적 맥락에서 연구 | 인구 변동이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동 연구 |
연구 | 인구 지표 작성과 인구 지표 사이의 연관성 분석 | 인구 현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해석 | 인구 변동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동의 이해와 해석 |
방법론 | 수학, 통계학적 접근 | 사회학, 경제학, 인류학 등 사회과학적 접근 | 경영학, 정치인구학의 사회과학적 접근 |
동의어 | 인구분석, 순수인구학, 수리인구학 | 인구연구, 인구문제 연구 | 비즈니스 인구학 |
인구통계학(Demography)이라는 용어는 인구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의미하며, 'demo-'와 '-graphy'로 구성된다. 인구학은 통계학적 방법 유무와 관계없이 "인구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라는 넓은 범위를 포괄하며, 인구통계학은 인구학의 한 분야이다. 학문 분야로서는 인구학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구미에서도 인구학(demography나 population studies)이 일반적이다.
인구학은 형식인구학(Formal Demography)과 실체인구학(Substantive Demography)으로 나눌 수 있다. 형식인구학은 인구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인구 변수"를 대상으로 수량적 분석을 하는 분야이다. 좁은 의미의 인구학은 형식인구학을 가리킨다. 실체인구학은 경제, 사회, 환경 등 비인구 변수 요소와 인구 변수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2. 1. 형식인구학
형식인구학은 인구 현상을 수량적인 측면에서 연구하는 분야이다. 인구 지표 작성, 인구 지표 간 연관성, 인구학적 변수의 기술 통계가 주요 연구 영역이다. 형식인구학은 인구 분석(demographic analysis), 순수 인구학(pure demography), 수리 인구학(mathematical demography)이라고도 불린다.[42]직접 자료는 인구 통계 등록부에서 얻는데, 여기에는 출생, 사망뿐만 아니라 결혼, 이혼, 이주(거주지 등록)와 같은 법적 지위 변화가 기록된다. 등록 시스템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등록부 통계가 출생 및 사망자 수를 추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인구 조사는 인구 통계 자료를 수집하는 또 다른 일반적인 직접 방법이다. 인구 조사는 보통 국가 정부가 실시하며, 한 국가의 모든 사람을 조사한다. 일반적으로 10년에 한 번 정도 실시되므로 출생 및 사망에 대한 데이터의 최고 출처는 아니다. 과다 또는 과소 계산을 추정하기 위해 인구 조사 후에 분석이 실시되는데, 인구 조사 데이터의 성비를 자연적 가치와 사망률 데이터에서 추정된 성비와 비교한다.
인구 조사는 단순한 인구수 계산 외에도 연령, 성별, 결혼 상태, 교육 수준, 고용 상태, 직업, 지리적 위치, 가족 또는 가구 정보, 이주, 언어, 종교, 국적, 시민권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인구 등록 시스템이 불완전한 국가에서는 출산율과 사망률에 대한 정보의 직접적인 출처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구 조사는 인구 조사 직전 18개월 동안 발생한 출생 및 사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완전한 자료를 구할 수 없는 국가와 시대에는 간접 자료 수집 방법이 필요하다. 현대 인구 통계학에서는 자매 방법(sisterhood method)을 통해 설문 조사 연구자들이 여성들에게 자매 중 몇 명이 사망했거나 자녀를 낳았는지, 그리고 어떤 나이에 그랬는지 질문하여 전체 인구의 출생률이나 사망률을 간접적으로 추정한다.
인구 과정을 모델링하는 다양한 인구 통계학적 방법이 있다. 여기에는 사망률 모델(수명표, 곰페르츠 모델, 위험 모델, 콕스 비례 위험 모델, 다중 감소 수명표, Brass 관계 로짓 포함), 출산율(Hermes 모델, 코울-트러셀 모델, 출산 순위 비율), 결혼(결혼 시 평균 독신 기간, Page 모델), 장애(설리반의 방법, 다중 상태 수명표), 인구 예측(리-카터 모델, 레슬리 행렬), 인구 모멘텀(키피츠)이 포함된다.
영국에는 네 개의 전국 출생 코호트 연구가 있는데, 1946년 국가 건강 및 발달 조사, 1958년 국가 아동 발달 연구,[20] 1970년 영국 코호트 연구,[21] 그리고 2000년에 시작된 밀레니엄 코호트 연구가 있다. 이 연구들은 수년 동안 사람들의 표본(약 17,000명)의 삶을 추적해왔고,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네 가지 뚜렷한 세대의 영국인들의 건강, 교육, 태도, 출산 및 고용 패턴의 차이에 대한 추론을 도출할 수 있다.[22]
사건 수(출생, 사망 등)가 적을 만큼 인구가 작을 때는 간접 표준화가 사용된다. 이 경우 표준화된 사망률(SMR) 또는 표준화된 발생률(SIR)을 산출하기 위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23][24]
2. 2. 사회인구학
사회인구학은 인구의 크기, 구성, 분포 및 인구 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변수들을 탐구하는 분야로 사회과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구 현상은 문화와 사회경제적 변동의 산물이며, 사회인구학은 흔히 인구 연구(population studies) 또는 인구 문제(population problems) 연구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43]제3세계의 고출산과 같은 특정 인구 현상이 '문제' 또는 '사회적 쟁점'이라는 인식은 사회적으로 정의되며, 원인과 결과에 대한 믿음은 서구의 인구학 이론에 의존한다. 그러나 최근 인구 연구는 인과성 이해에 초점을 두는 사회과학적 연구에서, 서구에서 문제로 인식되는 특정 인구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 지향적 연구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43] 서구 이론에 근거하여 수립된 인구 정책은 비서구 사회에서 실시될 경우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44] 예를 들어, 세계에서 가장 단기간에 출산 변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던 대한민국의 가족계획 정책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고령화를 야기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전통 가족 문화를 통해 지녀왔던 한국인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상실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한국 혹은 비서구 사회에서의 인구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들의 경험과 역사에 근거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인구학 이론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45][42]
2. 3. 응용인구학
응용인구학은 정부, 기업, 비영리 조직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인구학 자료와 방법을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 관심을 두는 인구학의 하위 분야이다. 이러한 적용은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역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응용인구학은 지역인구학이라고 불린다.[47][42] 응용인구학은 비즈니스와 비영리 조직의 운영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서 비즈니스 인구학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응용인구학은 시간과 장소를 매우 중시하는데, 이는 응용인구학이 전형적으로 특정한 지리적 지역, 그리고 현재와 미래에 관심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응용인구학자들은 특정 지역에서 현재의 인구 추세를 분석하고 미래의 인구를 예측하는 일에 종사한다.[47][42]응용인구학에서 연구 주제는 전통 인구학 영역 밖의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현실적 질문이 되며, 독자들도 인구학 관련 전문가뿐만 아니라 사업가나 정부의 행정 공무원까지 확대된다. 그 결과 응용인구학에서 설명 대상(종속 변수)은 사업가나 정부 관료들이 관심을 가지는 현실적 문제가 되며, 인구 현상은 그러한 현실적 문제들의 의사 결정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가 된다. 최근 정치인구학은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초래하는 인구 변동과 더불어 그 변동(예: 인종 분포의 변동 혹은 인구 고령화)이 가져오는 정치적 결과(투표 결과 혹은 연금에 대한 세대 간 갈등)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응용인구학의 접근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46]
3. 인구학의 자료와 접근 방식
인구학(기초통계학)은 인구의 크기, 분포, 구성, 그리고 변동을 숫자로 기술하는 데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인구학 정보는 센서스(인구주택총조사), 동태통계, 표본조사 등의 인구자료 수집 체제를 통해 얻는다. 이 세 체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보완적이다.
인구통계학은 인구의 규모, 구성 및 공간적 분포와 이러한 특징들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통계적,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데이터는 인구조사와 출생, 사망, 이주, 결혼, 이혼, 질병 및 고용과 같은 사건 기록부(등록)에서 얻는다. 인구 변화, 인구 수의 표준화, 인구 회계 방정식 및 인구 구성과 같은 개념에 포함된 계산 방법과 그에 대한 답변을 이해해야 한다.
데이터 수집에는 직접적 방법과 간접적 방법 두 가지가 있다. 직접 자료는 인구 통계 등록부(출생, 사망, 결혼, 이혼, 이주 등)에서 얻으며, 등록 시스템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등록부 통계가 출생 및 사망자 수를 추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인구 조사는 또 다른 일반적인 직접 자료 수집 방법으로, 국가 정부가 실시하며 보통 10년에 한 번씩 시행된다. 간접 자료 수집 방법은 개발도상국이나 역사 인구 통계학처럼 완전한 자료를 구할 수 없는 경우에 필요하다.
인구학은 인구 과정(출산력, 사망력, 이주)의 결정 요인에 관심을 가지며, 양적 자료뿐만 아니라 질적 자료도 사용한다. 또한 현재 자료뿐만 아니라 과거의 역사적 자료에도 관심을 가지며, 역사인구학은 과거의 인구 자료를 분석하여 과거의 인구 현황을 추정한다.
인구통계학에서는 인구의 통계적 데이터인 '''인구통계'''를 다룬다. 인구통계에는 국가/지역 수준의 거시 데이터(세계은행, OECD 데이터베이스)와 개인 수준의 미시 데이터(일본의 국세조사, 인구동태조사)가 있다.
데모그래피와 비슷한 '''데모그래픽스''' 또는 '''데모그래픽'''은 성별, 연령, 주소, 소득, 직업, 학력, 세대 구성 등의 사회경제적 속성 데이터를 가리키며, 마케팅에서 인구통계와 결합하여 사용된다.[39]
3. 1. 센서스
인구 조사는 특정 시점의 조사 대상에 대하여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전수조사로, 인구 크기, 지리적 분포, 인구 구성, 그리고 인구 특성에 대한 정보들을 일차적으로 제공한다. 인구 조사는 어떤 특정 시점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인구 현상을 보여주는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구 조사의 인구학 정보는 과세, 병역 정책, 교육 정책, 교통 정책, 노동 복지 정책 등 다양한 정부 정책과 더불어 기업의 판매 전략 수립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 결과 센서스의 객관성과 정확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25년 ‘간이국세조사’라는 명칭으로 최초의 인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재는 5년 간격으로 실시하고 있다.[48]인구 조사는 일반적으로 국가 정부가 실시하며, 한 국가의 모든 사람을 열거하려고 시도한다. 일반적으로 지속적으로 수집되어 매년 요약되는 인구 통계 자료와 달리, 인구 조사는 10년에 한 번 정도만 실시되므로 출생 및 사망에 대한 데이터의 최고 출처는 아니다.
인구 조사는 단순히 사람을 세는 것 이상으로, 연령, 성별, 결혼 상태, 읽고 쓰기 능력/교육 수준, 고용 상태, 직업 및 지리적 위치와 같은 개인 특성 외에도 가족 또는 가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이주(또는 출생지 또는 이전 거주지), 언어, 종교, 국적(또는 민족 또는 인종) 및 시민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인구 등록 시스템이 불완전할 수 있는 국가에서는 인구 조사가 출산율과 사망률에 대한 정보의 직접적인 출처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구 조사는 인구 조사 직전 18개월 동안 발생한 출생 및 사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3. 2. 동태통계
동태통계(vital statistics) 혹은 주민대장(civil register)은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개인들이 신고주의에 입각하여 자신의 인구동태 사건들을 계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주민등록이 이에 해당한다. 주민대장 체제는 법적 규정에 따라 인구동태 사건들의 발생과 특성들이 연속적, 영구적 그리고 강제적으로 등록되는 체제를 말한다. 이 체제에서 수집된 인구동태통계는 출생, 사망, 혼인, 이혼, 입양, 거주지 이동과 같은 유형의 사건들이 특정 지역에서 정해진 기간 동안에 일어난 발생률을 의미하므로, 인구동태 연구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로 사용된다.[48]직접 자료는 모든 출생과 사망뿐만 아니라 결혼, 이혼, 이주(거주지 등록)와 같은 특정한 법적 지위의 변화를 추적하는 인구 통계 등록부에서 나온다. 미국과 유럽의 많은 지역과 같이 등록 시스템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등록부 통계가 출생 및 사망자 수를 추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일본의 주요 데이터는 국세조사와 인구동태조사가 있다. 인구동태통계는 출생수, 사망수, 이동수 등을 포함하며, 출생신고나 사망신고 등 각각의 신고에서 인구동태통계 데이터가 매달 수집된다.
3. 3. 표본조사
인구표본조사는 전체 인구를 조사하는 인구센서스와 달리, 특정 인구 집단에서 일부만을 추출하여 조사하는 방식이다.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비용 문제로 인구센서스를 실시하기 어렵거나, 주민등록체계가 미비하여 출생 및 사망 관련 인구 자료 수집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세계출산력조사(World Fertility Survey)와 인구보건조사(Demographic Health Survey)가 있다. 인구표본조사는 인구센서스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8]3. 4. 기타 자료 및 방법론
인구학은 밀도에도 관심을 가지며, 최근에는 지리 정보 체계(GIS)를 활용하여 공간 정보를 전통적인 인구학 정보와 함께 분석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GIS는 지도와 데이터를 결합하는 컴퓨터 기반 체제로, 공간통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주제도나 다른 그래픽 형식으로 보여준다.[49][50]컴퓨터를 통해 지도를 지역, 선, 점으로 변형하고, 인구학적 데이터를 지리 관련 데이터(위도-경도 조합, 거리 번호, ZIP 코드 등)와 연결하여 정확한 위치에 연결할 수 있다. 인구학 자료는 항상 지리적 지역과 관련된다.[49][50]
인구학은 인구 과정(출산력, 사망력, 이주)의 결정 요인에도 관심을 가지며, 양적 자료뿐만 아니라 질적 자료도 사용한다. 특히 인류학적 인구학은 질적 자료를 선호하는데, 유럽 출산력조사와 세계출산력조사에서 출산력 변동이 경제적 요인보다 문화적 요인(언어, 지리적 지역, 종교)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화적 요인은 쉽게 수량화할 수 없고, 식별하거나 고정하기 어렵다.[51] 인류학적 인구학은 연구 대상 사회의 문화적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현장연구(질적 자료)를 선호한다.
인구학은 현재 자료뿐만 아니라 과거의 역사적 자료에도 관심을 가진다. 역사인구학은 과거의 인구 자료(한국과 중국의 호적 및 족보, 유럽의 교구대장 등)를 분석하여 과거의 인구 현황을 추정한다. 역사인구학은 자료 자체보다 분석 방법에 더 관심을 가지며, 앙리와 고티에가 최초로 사용한 가족 재구성법을 통해 가족관계를 복원한다.[48]
데이터 수집에는 직접적 방법과 간접적 방법이 있다. 직접 자료는 인구 통계 등록부(출생, 사망, 결혼, 이혼, 이주 등)에서 얻으며, 등록 시스템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등록부 통계가 출생 및 사망자 수를 추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인구 조사는 또 다른 일반적인 직접 자료 수집 방법으로, 국가 정부가 실시하며 보통 10년에 한 번씩 시행된다. 인구 조사는 인구 수 외에도 연령, 성별, 결혼 상태, 교육 수준, 고용 상태, 직업, 지리적 위치, 가족 정보, 이주, 언어, 종교, 국적, 시민권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다.
간접 자료 수집 방법은 개발도상국이나 역사 인구 통계학처럼 완전한 자료를 구할 수 없는 경우에 필요하다. 현대 인구 통계학에서는 자매 방법(여성들에게 자매의 사망, 출산, 연령 등에 대해 질문)을 통해 출생률이나 사망률을 간접적으로 추정한다.
인구 과정을 모델링하는 다양한 방법에는 사망률 모델( 수명표, 곰페르츠 모델, 위험 모델, 콕스 비례 위험 모델, 다중 감소 수명표, Brass 관계 로짓), 출산율(Hermes 모델, 코울-트러셀 모델, 출산 순위 비율), 결혼(결혼 시 평균 독신 기간, Page 모델), 장애(설리반의 방법, 다중 상태 수명표), 인구 예측(리-카터 모델, 레슬리 행렬), 인구 모멘텀(키피츠) 등이 있다.
영국에는 네 개의 전국 출생 코호트 연구가 진행 중인데, 1946년, 1958년[20], 1970년[21], 2000년에 시작된 연구들이 사람들의 삶을 추적하며 건강, 교육, 태도, 출산, 고용 패턴 등의 차이를 연구하고 있다.[22]
인구가 작을 때는 간접 표준화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사망률(SMR) 또는 표준화된 발생률(SIR)을 산출한다.[23][24]
인구통계학에서는 인구의 통계적 데이터인 '''인구통계'''를 다룬다. 인구통계에는 국가/지역 수준의 거시 데이터(세계은행, OECD 데이터베이스)와 개인 수준의 미시 데이터(일본의 국세조사, 인구동태조사)가 있다.
데모그래피와 비슷한 '''데모그래픽스''' 또는 '''데모그래픽'''은 성별, 연령, 주소, 소득, 직업, 학력, 세대 구성 등의 사회경제적 속성 데이터를 가리키며, 마케팅에서 인구통계와 결합하여 사용된다.[39]
4. 인구 변동
인구 변동은 두 시점 간의 인구 규모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세계 인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인구 변동은 인구 통계학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25][26] 인구 변화는 한 시점의 인구에서 이전 인구 조사의 인구를 뺀 값으로 계산된다. 인구 변화를 측정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인구 조사 간 백분율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인구 조사 간 인구의 절대적 변화를 이전 인구 조사의 인구 규모로 나누고, 여기에 100을 곱해 백분율로 나타낸다. 이 통계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국가 간 인구 증가를 비교할 수 있다.[25][26]
인구 증감에는 출생, 사망, 이동의 세 가지 요인이 작용한다.
4. 1. 인구학적 방정식
특정 시점 ''t''의 국가(또는 다른 단위)의 인구를 ''Populationt''라고 할 때, 시점 ''t'' + 1의 인구 규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 Natural Increaset (자연 증가율) = Birthst (출생) - Deathst (사망)
- Net Migrationt (순이동) = Immigrationt (이민) - Emigrationt (이주)
이러한 기본 방정식은 하위 인구 집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회 또는 국가 내 민족 집단 또는 국적의 인구 규모는 동일한 변화 원인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민족 집단을 다룰 때는 "순이동"을 물리적 이동과 민족 재확인(동화)으로 세분해야 할 수 있다. 자신의 민족적 자기 정체성을 변경하거나 정부 통계에서 민족 분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되는 개인은 한 인구 하위 범주에서 다른 범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30]
보다 일반적으로, 기본 인구 통계 방정식은 정의상 참이지만, 실제로는 사건(출생, 사망, 이민, 이주)의 기록 및 계산과 총 인구 규모의 열거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구 규모 또는 변화를 계산할 때 기본 통계의 오류를 고려해야 한다.
어떤 지역의 인구 증감을 생각할 때, 출생, 사망, 이동의 세 가지가 인구 증감을 결정하는 기본적인 요인이 된다. 이것을 나타낸 다음 식은 '''인구학적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
여기서,
- ''P''''t''2 는 ''t''2 시점의 인구
- ''P''''t''1 는 ''t''1 시점의 인구
- ''B'' 는 ''t''1부터 ''t''2 기간의 출생자 수
- ''D'' 는 같은 기간의 사망자 수
- ''I'' 는 같은 기간의 유입자 수
- ''O'' 는 같은 기간의 유출자 수
출생자 수와 사망자 수의 차이(''B'' - ''D'')를 '''자연 증가'''라고 부른다. 또한, 유입자 수와 유출자 수의 차이(''I'' - ''O'')를 '''사회적 증가'''라고 부른다. 통계치가 결함 없이 완벽한 것이라면, 이 식이 엄밀하게 성립하게 된다.
4. 2. 인구 변화의 측정
인구 변화는 두 시점의 인구 규모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다. 세계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므로 인구 변화는 인구 통계학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는 한 시점의 인구 규모에서 이전 인구 조사의 인구 규모를 뺀 값으로 계산된다. 인구 변화를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인구 조사 간 백분율 변화를 사용하는 것이다. 인구 조사 간 백분율 변화는 인구 조사 간 인구의 절대적 변화를 이전 인구 조사의 인구 규모로 나눈 값이다. 그런 다음 이 값에 100을 곱하여 백분율을 얻는다. 이 통계치를 얻으면 크기가 다른 두 개 이상의 국가 간의 인구 증가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조사할 수 있다.[25][26]어떤 지역의 인구 증감을 생각할 때, 출생, 사망, 이동의 세 가지가 인구 증감을 결정하는 기본적인 요인이 된다. 이것을 나타낸 다음 식은 '''인구학적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P''''t''2 = ''P''''t''1 +(''B'' - ''D'') + (''I'' - ''O'')
여기서,
- ''P''''t''2 는 ''t''2 시점의 인구
- ''P''''t''1 는 ''t''1 시점의 인구
- ''B'' 는 ''t''1부터 ''t''2 기간의 출생자 수
- ''D'' 는 같은 기간의 사망자 수
- ''I'' 는 같은 기간의 유입자 수
- ''O'' 는 같은 기간의 유출자 수
출생자 수와 사망자 수의 차이, 즉 위 식에서 ''B'' - ''D''를 '''자연 증가'''라고 부른다. 또한, 유입자 수와 유출자 수의 차이, 위 식에서 ''I'' - ''O''를 '''사회적 증가'''라고 부른다. 통계치가 결함 없이 완벽한 것이라면, 이 식이 엄밀하게 성립하게 된다.
5. 인구 통계
인구통계학에서 인구 통계는 인구의 통계적 데이터를 의미한다.[39] 인구 통계에는 국가나 지역 수준의 데이터를 의미하는 거시 데이터와 개인 수준의 정보를 포함하는 미시 데이터가 있다.
인구를 구성하는 각 개인은 성별, 연령, 주소, 소득, 직업, 학력, 세대 구성 등의 사회경제적 속성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39] 이러한 속성 데이터를 데모그래픽스 또는 데모그래픽이라고 하며, 마케팅에서 인구 통계와 결합하여 활용된다.[39]
'''인구 구성'''은 연령, 인종, 성별, 결혼 상태 등 특징으로 정의된 인구에 대한 설명이다. 사회 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역사적, 비교 연구에 사용되며, 인구 피라미드를 통해 비교하기도 한다.
인구 구성은 역사 연구에서 중요하지만, 오래된 정보는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사용 가능 인원 수가 인구 규모 등 중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데이터 수집 절차 정보 부족으로 정확한 평가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5. 1. 거시 데이터와 미시 데이터
인구통계에는 거시 데이터와 미시 데이터가 있다. 거시 데이터는 국가 또는 지역 수준의 데이터를 가리키며, 예를 들어 국가 인구 수나 시도 인구 수를 알 수 있다. 세계은행이나 OECD가 데이터베이스를 공표하고 있다. 미시 데이터는 개인 수준의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가리킨다.[39] 일본의 주요 데이터로는 국세조사와 인구동태조사가 있다. 국세조사는 5년마다 실시하는 전수조사로 인구의 규모와 구조를 나타내는 통계이다. 인구동태통계는 출생수, 사망수, 이동수 등을 포함하며, 출생신고나 사망신고 등 각각의 신고에서 인구동태통계 데이터가 매달 수집된다. 또한, 각 기관이 실시하는 무작위 표본 추출 조사도 있는데, 예를 들어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가 5년마다 실시하는 출생동향기본조사가 있다.5. 2. 주요 인구 지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비교를 위해서는 연구 대상 인구 규모에 맞춰 수치를 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출산율은 출산 가능 연령 여성의 출생아 수를 해당 연령대 여성의 총 수로 나눈 비율로 계산한다. 이러한 조정을 하지 않으면 출생률이나 사망률이 높은 국가의 인구가 출산 가능 연령 여성이 더 많은지, 아니면 출산 가능 여성 1인당 출생아 수가 더 많은지 알 수 없다.표준화에는 직접 표준화와 간접 표준화의 두 가지 주요 방법이 있다.
- '''조출생률'''(crude birth rate): 1,000명당 연간 출생아 수
- '''합계출산율'''(general fertility rate): 1,000명의 가임 여성(보통 15~49세, 때로는 15~44세)당 연간 출생아 수
- '''연령별 출산율'''(age-specific fertility rates): 특정 연령대(보통 15~19세, 20~24세 등)의 여성 1,000명당 연간 출생아 수
- '''조사망률'''(crude death rate): 1,000명당 연간 사망자 수
- '''영아 사망률'''(infant mortality rate): 1,000명의 출생아당 연간 1세 미만 사망자 수
- '''기대수명'''(expectation of life 또는 life expectancy): 현재 사망률 수준에서 특정 연령의 개인이 살 것으로 예상되는 연수
- '''총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여성이 가임 기간 동안 현재 연령별 출산율을 반영하여 출산한다면 낳을 수 있는 평균 출생아 수
- '''대체출산율'''(replacement-level fertility): 다음 세대의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여성이 가져야 하는 평균 자녀 수. 예를 들어, 미국의 대체출산율은 2.11이다.[27]
- '''총생식률'''(gross reproduction rate): 여성이 가임 기간 동안 현재 연령별 출산율을 반영하여 낳을 수 있는 딸의 수
- '''순생식률'''(net reproduction ratio): 신생아 여성이 가임 연령에 도달하여 출산할 수 있는 딸의 예상 수
- '''안정 인구'''(stable population): 조출생률과 조사망률이 오랫동안 일정하여 모든 연령 계층의 인구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인구 피라미드의 구조가 변하지 않는 인구[27]
- '''정상 인구'''(stationary population): 안정적이며 규모가 변하지 않는 인구(조출생률과 조사망률의 차이가 0인 인구)[27]
- 중앙 집중화 측정은 지역 인구가 도시 중심지에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28][29]
안정 인구는 반드시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27]
위에서 정의하고 전체 인구에 적용된 조사망률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진국에서는 개발도상국보다 1,000명당 사망자 수가 더 높을 수 있는데, 이는 건강 수준이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선진국에 비례적으로 더 많은 고령 인구가 있으며, 고령 인구는 특정 연도에 사망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특정 연령대의 사망률이 낮더라도 전반적인 사망률이 더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망률에 대한 더 완전한 그림은 각 연령대별 사망률을 별도로 요약하는 생명표에 의해 제공된다. 기대수명을 잘 추정하려면 생명표가 필요하다.
6. 인구학과 사회
인구는 출산율, 사망률, 이동이라는 세 가지 과정을 통해 변화한다. 출산율은 여성이 낳는 자녀 수를 의미하며, 다산성(여성의 출산 가능성)과는 다르다.[32] 사망률은 인구 구성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원인, 결과 및 측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인구학자들은 생명표를 사용하여 사망률을 연구하는데, 이는 인구의 사망 조건(주로 기대 수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계적 도구이다.[33]
이동은 특정 정치적 경계를 넘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사람들이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동 연구자들은 이동이 어느 정도 영구적인 경우에만 '이동'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인구학자들은 관광객과 여행자를 이동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이동을 연구하는 인구학자들은 주로 거주지에 대한 인구 조사 데이터를 통해 연구하지만, 세금 양식 및 노동력 조사를 포함한 간접적인 데이터 출처도 중요하다.[34]
인구학은 오늘날 전 세계 많은 대학에서 널리 가르치고 있으며, 사회 과학, 통계 또는 보건 연구 분야에서 초기 훈련을 받은 학생들을 유치하고 있다. 사회학, 경제학, 역학, 지리학, 인류학 및 역사학 등 여러 학문의 교차점에 있는 인구학은 해당 학문의 핵심을 나타내는 보다 기술적인 정량적 접근 방식과 사회 과학 또는 기타 과학에서 차용한 많은 다른 방법을 결합하여 광범위한 인구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인구학 연구는 대학, 연구소, 통계 부서 및 여러 국제 기관에서 수행된다. 인구 기관은 CICRED(국제 인구학 연구 조정 위원회) 네트워크의 일부이며, 인구학 연구에 종사하는 대부분의 개별 과학자는 국제 인구 과학 연구 연합의 회원이거나,[35] 미국에서는 미국 인구 협회,[36] 캐나다의 캐나다 인구학자 연합의 회원이다.[37]
6. 1. 노동 시장
인구통계학적 분석은 느린 인구 증가, 고령화, 그리고 이민의 중요성 증대를 보여주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은 향후 100년 동안 미국이 극적인 인구통계학적 변화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한다. 인구는 그 어느 때보다 느리게 증가하고 더 빠르게 고령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은 이민자들의 나라가 될 것이다. 이러한 유입은 향후 100년 동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이민자와 그들의 자녀가 미국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이다. 이러한 인구통계학적 변화는 경제, 특히 노동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6. 2. 조직 생태학
조직 생태학은 개체군 생태학이 유기체의 분포와 풍부함을 연구하는 것과 유사하게, 조직의 지속적인 생존과 환경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조직은 생존을 위해 다양한 책임을 겪으며, 병원과 같이 크고 복잡한 조직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1] 예를 들어, 플로리다 주의 응급 치료 병원 폐쇄에 대한 연구에서는 병원의 효과 크기, 연령, 틈새 밀도를 조사했다.[1] 개체군 이론에 따르면 조직의 결과는 대부분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병원 폐쇄 사례에 적용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1]- 조직 운영 규모
- 조직 연령
- 틈새 밀도
- 조직 설립 시 틈새 밀도
6. 3. 비즈니스 및 비영리 조직
인구통계학자들은 기업 조직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다룰 수 있다.- 지점이나 서비스 매장의 최적 위치 선정
- 신제품 수요 예측
- 회사 인력의 특정 역학 분석
예를 들어, 은행 지점의 새로운 위치를 선정하거나, 새로운 슈퍼마켓을 개설할 지역을 선택하고, 특정 위치가 세차장을 시작하기에 유리한 곳임을 대출 담당자에게 자문하며, 대도시 지역에서 매입 및 재개발에 가장 적합한 상업 지역을 결정하는 데 인구통계학적 분석이 활용될 수 있다.
표준화는 기업 분석에 사용되는 유용한 인구통계학적 기법이다. 서로 다른 시장을 비교하기 위한 해석 및 분석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체들은 제품 판매 극대화, 영향력 전망, 또는 서비스, 이로운 사업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해 고객 수와 특징에 관심을 갖는다.
7. 인구학의 역사
인구통계학에 대한 생각은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중국, 인도 등 많은 문명과 문화에서 나타났다.[10] 고대 그리스에서는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히포크라테스, 에피쿠로스, 프로타고라스, 폴루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서 이를 찾아볼 수 있다.[10] 로마에서는 키케로, 세네카, 플리니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에픽테토스, 카토, 콜루멜라와 같은 작가와 철학자들도 이 분야에 대한 중요한 사상을 표명했다.[10]
중세에는 기독교 사상가들이 인구통계학에 대한 고전적 사상을 반박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이 분야에 중요한 공헌을 한 사람들로는 윌리엄 오브 콩슈,[11] 바르톨로메오 오브 루카,[11] 윌리엄 오브 오베르뉴,[11] 윌리엄 오브 파굴라,[11] 그리고 이븐 칼둔과 같은 무슬림 사회학자들이 있다.[12]
근대 초기의 가장 초기 인구통계학 연구 중 하나는 존 그란트의 "사망 원인에 대한 자연적 및 정치적 관찰"(1662)로, 원시적인 형태의 생명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런던의 어린이 3분의 1이 16세 생일 전에 사망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에드먼드 핼리와 같은 수학자들은 생명보험 수학의 기초로 생명표를 개발했다. 리처드 프라이스는 1771년에 출판된 최초의 생명 불확실성에 관한 교과서로 인정받았으며,[13] 이후 오거스터스 드 모건의 "생명 불확실성에 대한 확률 적용"(1838)이 뒤따랐다.[14]
1755년, 벤자민 프랭클린은 그의 에세이 "인류의 증가, 국가의 인구 증가 등에 관한 관찰"을 발표하여 영국 식민지의 지수 성장을 예측했다.[15] 그의 작품은 토마스 로버트 맬서스에게 영향을 주었는데,[16] 그는 18세기 말에 글을 쓰면서, 만약 억제되지 않는다면 인구 증가가 식량 생산 증가를 능가하여 끊임없이 증가하는 기아와 빈곤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맬서스 재앙 참조). 맬서스는 인구 과잉과 성장의 한계에 대한 사상의 지적 아버지로 여겨진다. 나중에 벤자민 곰페르츠와 피에르 프랑수아 베르훌스트가 더 정교하고 현실적인 모델을 제시했다.
1855년, 벨기에 학자 아킬레 기야르는 인구통계학을 인간 종의 자연사와 사회사 또는 인구, 그들의 일반적인 변화, 그리고 그들의 육체적, 시민적, 지적, 도덕적 상태에 대한 수학적 지식으로 정의했다.[17]
1860년에서 1910년까지의 기간은 인구통계학이 통계학에서 별도의 관심 분야로 등장한 과도기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 기간에는 아돌프 케틀레(1796~1874), 윌리엄 페어(1807~1883), 루이 아돌프 베르티용(1821~1883)과 그의 아들 자크 베르티용(1851~1922), 조셉 코로시(1844~1906), 안데르스 니콜라스 카이어(1838~1919), 리처드 뵈크(1824~1907), 에밀 뒤르켐(1858~1917), 빌헬름 렉시스(1837~1914), 루이지 보디오(1840~1920)와 같은 국제적인 '위대한 인구통계학자'들이 인구통계학의 발전과 인구통계학 분석의 방법 및 기법 도구에 기여했다.[18]
참조
[1]
사전
demography
Merriam-Webster
[2]
논문
Population: A Lively Introduction
https://www.prb.org/[...]
[3]
웹사이트
The Science of Population
https://web.archive.[...]
2015-08-04
[4]
웹사이트
UC Berkeley Demography department website
https://web.archive.[...]
2006-10-12
[5]
웹사이트
Demographic Analysis
https://govinfo.libr[...]
2023-10-03
[6]
웹사이트
How to Use Demographics for Business Advertising
https://web.archive.[...]
2016-03-26
[7]
웹사이트
Coverage Measurement
https://www.census.g[...]
2016-03-26
[8]
웹사이트
What Are Patient Demographics?
https://www.macadami[...]
2020-11-15
[9]
서적
Demographic Methods
[10]
서적
S.C.Srivastava, Studies in Demography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Pvt. Limited
2005-12
[11]
서적
The measure of multitude: Population in medieval thought
https://books.google[...]
[12]
서적
Introduction to Social Macrodynamics: Compact Macromodels of the World System Growth
https://web.archive.[...]
URSS
2006
[13]
서적
Our Yesterdays: the History of the Actuarial Profession in North America, 1809-1979
Society of Actuaries
1989
[14]
서적
The History of Insurance, Vol 3
Kinokuniya
2000
[15]
논문
"An Extravagant Assumption": The Demographic Numbers behind Benjamin Franklin's Twenty-Five-Year Doubling Period
https://web.archive.[...]
2011-06
[16]
논문
Natural Selection before the 'Origin of Species'
1941-04-25
[17]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8]
간행물
Contributions from the margins. Dutch statisticians, actuaries and medical doctors and the methods of demography in the time of Wilhelm Lexis
2000
[19]
논문
How long did it take for the world population to increase by one billion?
https://ourworldinda[...]
2013
[20]
논문
Cohort profile: 1958 British Cohort Study
[21]
논문
Cohort profile: 1970 British Birth Cohort (BCS70)
[22]
웹사이트
Centre for Longitudinal Studies
https://web.archive.[...]
2018-10-28
[23]
웹사이트
Direct and Indirect Standardization of Mortality Rates
https://web.archive.[...]
2016-03-26
[24]
웹사이트
examples of standardization
https://web.archive.[...]
2022-10-16
[25]
웹사이트
Global Population at a Glance: 2002 and Beyond
https://www.census.g[...]
2022-10-16
[26]
웹사이트
Global Population Profile: 2002
https://web.archive.[...]
2023-10-03
[27]
서적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science
Pearson Education
[28]
논문
Forces of Urban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https://www.jstor.or[...]
1941-05
[29]
뉴스
Tasmania forecast to have 79,000 more residents by 2033, with most living outside Greater Hobart
https://www.abc.net.[...]
ABC News
2023-01-05
[30]
논문
Estimating Russification of Ethnic Identity Among Non-Russians in the USSR
1983-11
[31]
논문
Doubling of world population unlikely
https://web.archive.[...]
1997-06-19
[32]
논문
The Fertility-Inhibiting Effects of the Intermediate Fertility Variables
1982-06-07
[33]
웹사이트
N C H S - Life Tables
https://www.cdc.gov/[...]
2017-09-09
[34]
서적
Demographic Methods and Concepts
[35]
웹사이트
International Union for the Scientific Study of Population
http://www.iussp.org[...]
2008-04-20
[36]
웹사이트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http://www.populatio[...]
2011-04-14
[37]
웹사이트
Fédération canadienne de démographie – Federation of Canadian Demographers
https://fcdweb.wordp[...]
2022-12-07
[38]
웹사이트
じんこうがく【人口学】の意味
https://dictionary.g[...]
NTT Resonant Inc
2016-01-10
[39]
웹사이트
デモグラフィックと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VOYAGE GROUP
2016-01-10
[40]
웹사이트
UC Berkeley Demography department website
http://demog.berkele[...]
2010-05-05
[41]
서적
The Methods and Materials of Demography
Elsevier Academic Press
2004
[42]
서적인용
인구대사전: "인구학"
통계청
[43]
논문
Demography as Social Science and Policy Science
1983
[44]
논문
서유럽 특유의 가구형성규칙과 맬서스주의자의 항상성 모형: 인구학 패러다임의 탈종속화
2013
[45]
논문
이론과 현실의 주객전도 바로잡기: 한국(비서구) 사회과학의 탈식민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이론화방법론
2015
[46]
서적
Population: An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Issues
Wadsworth/Thomas Learning
2011
[47]
서적
Applied Demography: Application to Business, Government, Law and Public Policy
Academic Press
2002
[48]
서적인용
인구대사전: "인구학"
통계청
[49]
논문
Spatial Demography
2005
[50]
서적
Population: An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Issues
Wadsworth/Thomas Learning
2011
[51]
논문
A Theory of Culture for Demography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