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라남도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의회는 전라남도를 관할하는 지방 의회이다. 의장단,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무처로 구성되며, 역대 선거 결과를 통해 의원 구성 및 정당별 의석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1명의 의원이 선출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의회는 전라남도 각 시/군별 지역구에서 의원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에서도 당선자를 배출했으며,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이 의석을 할당받았다.
  • 전라남도의 정치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의회
    2014년 지방선거인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압승하고 새누리당, 통합진보당, 무소속 후보들이 의석을 얻었으며, 각 시/군별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 결과가 나타났다.
  • 무안군 소재의 관공서 - 목포교도소
    목포교도소는 일제강점기 광주감옥 목포분감으로 설립되어 목포감옥, 목포형무소로 개칭되었고, 강제 노역 동원, 제주 4·3 사건 및 여순사건 관련 수감자 수용, 대규모 탈옥 사건 등 격동의 역사를 거쳐 1961년 목포교도소로 명칭이 변경된 교정시설이다.
  • 무안군 소재의 관공서 - 전라남도청
    전라남도청은 전라남도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며 무안군 삼향읍에 본청, 순천시에 동부청사를 두고, 도지사 등을 포함한 조직으로 5개 시와 17개 군을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전라남도의회
기본 정보
지방의회 휘장
지방의회 휘장
의회 임기전라남도의회
의회 체제단원제
의원 정원61석
의원 임기4년
의사당 위치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웹사이트전라남도의회
의장단
의장김태균
의장 정당더불어민주당
부의장이광일
부의장 정당더불어민주당
부의장이철
부의장 정당더불어민주당
정당 구성
정당 구성더불어민주당 (57)
진보당 (2)
국민의힘 (1)
정의당 (1)
선거 정보
선거 제도보통선거평등선거직접 선거비밀 선거
선거구소선거구제 (55석)
비례대표제 (6석)
이전 선거2022년 6월 1일
그림
전남도의회 12대
전남도의회 12대

2. 조직

전라남도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 사무처로 구성되어 있다.

2. 1. 의장단

전라남도의회 의장은 전라남도의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정리하며 질서를 유지하고 의회 사무를 감독한다.[1] 부의장은 의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직무를 대리한다.[2]

2. 2. 위원회

전라남도의회에는 다음과 같은 상임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1]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보건복지환경위원회
  • 경제관광문화위원회
  • 농림해양수산위원회
  • 교육위원회


또한, 다음과 같은 특별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1]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 총무담당관실[2]
  • 의사담당관실[2]
  • 정책담당관실[2]
  • 전문위원[1]

3. 역대 전라남도의회 선거 결과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총 12번의 선거를 통해 전라남도의회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각 선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역대 전라남도의회 선거 결과

! 선거

! 정당별 의석수

! 비고

|-

! 제1대 (1952년)

| 자유당 49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2석, 대한청년단 2석, 민주국민당 1석, 대한노동총연맹 1석, 무소속 4석

|

|-

! 제2대 (1956년)

| 자유당 47석, 민주당 10석, 무소속 1석[1]

|

|-

! 제3대 (1960년)

| 신민당 19석, 민주당 18석, 기타정당 1석, 무소속 28석

|

|-

! 제4대 (1991년)

| 신민주연합당 67석, 민주자유당 1석, 무소속 5석[1]

|

|-

! 제5대 (1995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62466
민주자유당134
무소속5-5



| 비례대표: 민주당 55.3%, 민주자유당 18.6% 득표

|-

! 제6대 (1998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정치국민회의42345
한나라당022
자유민주연합101
무소속7-7



| 비례대표: 새정치국민회의 59.1%, 한나라당 5.3% 득표

|-

! 제7대 (2002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천년민주당44347
한나라당011
민주노동당011
무소속2-2



| 비례대표: 새천년민주당 67.38%, 민주노동당 14.99%, 한나라당 7.43% 득표

|-

! 제8대 (2006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43346
열린우리당213
민주노동당011
무소속1-1



| 비례대표: 민주당 58.79%, 열린우리당 22.85%, 민주노동당 12.70% 득표

|-

! 제9대 (2010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45449
민주노동당213
한나라당011
무소속4-4
교육의원--5



| 비례대표: 민주당 62.01%, 민주노동당 16.65%, 한나라당 8.51% 득표

|-

! 제10대 (2014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정치민주연합48452
새누리당011
통합진보당011
무소속4-4



| 비례대표: 새정치민주연합 67.14%, 통합진보당 12.31%, 새누리당 10.36% 득표

|-

! 제11대 (2018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50454
민주평화당112
정의당112



| 비례대표: 더불어민주당 69.06%, 민주평화당 11.51%, 정의당 8.70% 득표

|-

! 제12대 (2022년)

|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52456
진보당202
국민의힘011
정의당011
무소속1-1



| 비례대표: 더불어민주당 73.71%, 국민의힘 11.83%, 정의당 7.41% 득표

|}

각 선거에서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이 여러 차례 적용되었다.

3. 1. 제1대 전라남도의회 (1952년)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된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59명의 제1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49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2석
대한청년단2석
민주국민당1석
대한노동총연맹1석
무소속4석


3. 2. 제2대 전라남도의회 (1956년)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58명의 제2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1]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47
민주당10
무소속1


3. 3. 제3대 전라남도의회 (1960년)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6명의 제3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신민당19
민주당18
기타정당1
무소속28


3. 4. 제4대 전라남도의회 (1991년)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73명의 제4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1]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신민주연합당67
민주자유당1
무소속5


3. 5. 제5대 전라남도의회 (1995년)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75명의 제5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68명과 비례대표 의원 7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62466
민주자유당134
무소속5-5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자유당183,20318.6%3
민주당543,62455.3%4
무소속256,23926.1%-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당에 4석, 민주자유당에 3석이 배분되었다.

3. 6. 제6대 전라남도의회 (1998년)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5명의 제6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0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정치국민회의42345
한나라당022
자유민주연합101
무소속7-7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46,2535.3%2
새정치국민회의515,25359.1%3
자유민주연합37,3184.3%0
무소속273,53331.4%-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정치국민회의에 3석, 한나라당에 2석이 배분되었다.

3. 7. 제7대 전라남도의회 (2002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1명의 제7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6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천년민주당44347
한나라당011
민주노동당011
무소속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천년민주당647,76067.38%3
민주노동당144,12414.99%1
한나라당71,4897.43%1
자유민주연합66,4246.91%0
사회당31,4703.27%0


3. 8. 제8대 전라남도의회 (2006년)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1명의 제8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6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43346
열린우리당213
민주노동당011
무소속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당553,33658.79%3
열린우리당215,12922.85%1
민주노동당119,61312.70%1
한나라당53,1165.64%0


3. 9. 제9대 전라남도의회 (2010년)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2명의 제9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1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45449
민주노동당213
한나라당011
무소속4-4
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당568,99262.01%4
민주노동당152,81916.65%1
한나라당78,1698.51%1
국민참여당54,3115.91%0
평화민주당31,3413.41%0
진보신당22,1232.41%0
사회당9,7381.06%0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당에 4석,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10. 제10대 전라남도의회 (2014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8명의 제10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정치민주연합48452
새누리당011
통합진보당011
무소속4-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정치민주연합646,55867.14%4
통합진보당118,57412.31%1
새누리당99,80910.36%1
정의당50,8385.27%0
노동당29,5523.06%0
녹색당17,5781.82%0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에 4석, 새누리당과 통합진보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11. 제11대 전라남도의회 (2018년)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8명의 제11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50454
민주평화당112
정의당11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더불어민주당723,05069.06%4
민주평화당120,53611.51%1
정의당91,1608.70%1
민중당37,3423.56%0
바른미래당36,6703.50%0
자유한국당26,4462.52%0
녹색당11,6441.11%0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에 4석, 민주평화당정의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12. 제12대 전라남도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1명의 제12대 전라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5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52456
진보당202
국민의힘011
정의당011
무소속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더불어민주당652,73873.71%4
국민의힘104,82211.83%1
정의당65,6347.41%1
진보당48,5855.48%0
기본소득당13,7551.55%0


4. 정당별 의석 수

정당별 의석 수
정당의석 수
진보당2석
정의당1석
더불어민주당57석
국민의힘1석



전라남도의회는 6석 이상 확보해야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4. 1. 교섭단체

전라남도의회는 6석 이상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6명의 의원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참조

[1]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2]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3] 웹인용 전라남도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