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주 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 김씨는 김알지의 후예로 신라 왕실에서 분파된 성씨로, 시조는 김봉모 또는 김예로 알려져 있다. 고려 시대에 추밀원부사를 지낸 김봉모는 정평공으로 시호를 받았으며, 1887년 간행된 《김씨 분관록》과 이후 문헌 및 《조선씨족통보》에서 시조에 대한 기록이 다르게 나타난다. 주요 집성촌은 평안도, 함경도 등 이북 지역에 위치하며, 2004년 전주 김씨 대동보 편찬을 통해 항렬자가 수록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 김태서, 김약선 등이 있으며, 근현대에는 김동인, 김광섭 등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약 5만 7천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 김씨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전주 김씨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전주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주 김씨
한자 표기全州 金氏
로마자 표기Jeonju Gimssi
다른 이름Chŏnju Kim clan
유형씨족
국가북한 및 남한
민족한국인
지역전주, 대한민국
창시자김태서
관련 인물정순왕후
희철
김동인
김영철
김재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한국어 정보
한글 표기전주김씨
한자 표기全州金氏
로마자 표기Jeonju Gimssi
관향전라북도 전주시
시조김봉모(金鳳毛)
원시조김알지(金閼智)
중시조김약선(金若先)
김기손(金起孫)
김경손(金慶孫)
집성촌량강도 김형직군
자강도 초산군
평안북도 녕변군
평안남도 평원군
평양직할시
함경남도 금야군 · 고원군
강원도 문천시
경상북도 의성군
충청북도 괴산군
인물순경태후
김태서
김약선
김경손
김일성
김정일
김재순
김영수
김정은
김여정
김주애
년도2015
인구56,989명
왕가 정보
가명전주김씨
국가조선
영지전주시
가조김봉모
김예
김태서
저명한 인물김일성
김정일
김재순
김정은
김여정
김주애

2. 역사

전주 김씨의 시조는 '''김봉모'''(金鳳毛)이며, 김알지의 후손으로 신라 왕실 출신이라고 전해진다. 김봉모는 고려 시대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고, 사후 정평(靖平)이라는 시호를 받았다.[8]

1887년에 간행된 《김씨 분관록》에는 시조가 김봉모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후 문헌인 《증보문헌비고》와 《조선씨족통보》에는 '''김예'''(金芮)가 시조로 나타나기도 한다. 《조선씨족통보》에는 김예 외에 김봉모의 아들 '''김태서'''(金台瑞)를 시조로 언급하기도 한다.

2. 1. 시조

시조 '''김봉모'''(金鳳毛)는 김알지의 후예로 신라 왕실에서 나왔으며, 용모와 태도가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 여진女眞중국어어와 한어(漢語)에 통달하여 금(金) 사신이 올 때마다 그에게 접대하게 하였고, 항상 동각(東閣)에 거처하게 하였다. 고려 신종(神宗) 때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임명되었으며, 여러 번 벼슬이 올라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 그가 죽으니 사흘 간 조회(朝會)를 멈추었으며, 시호(諡號)를 정평(靖平)이라 하였다.[8]

1887년 간행된 《김씨 분관록》에는 시조가 시랑(侍郞) '''김봉모'''(金鳳毛)라 하는데, 이후 문헌인 《증보문헌비고》에는 시조가 규정(糾正) '''김예'''(金芮)라 한다. 또 《조선씨족통보》에도 시조를 규정(糾正) '''김예'''(金芮)라 하며, 일운(一云) 태자태보(太子太保) 정평공(靖平公) '''김봉모'''(金鳳毛)의 아들 평장태학사(平章太學士) 문장공(文莊公) '''김태서'''(金台瑞)라 한다.

2. 2. 가문의 발전

김알지의 후손으로 전해지는 시조 '''김봉모'''(金鳳毛)는 용모와 태도가 아름다웠다고 한다. 女眞語|여진어중국어와 漢語|한어중국어에 능통하여 금나라 사신이 올 때마다 접대를 맡아 동각(東閣)에 머물렀다. 고려 신종 때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임명되었고, 이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까지 올랐다. 김봉모가 사망하자 사흘 간 조회(朝會)가 중단되었으며, 정평(靖平)이라는 시호(諡號)가 내려졌다.[8]

3. 집성촌

전주 김씨의 주요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7]



주로 이북 지방에 많이 살고 있으며, 조선시대 때 평안도와 함경도로 많이 이주하였다.[7]

4. 항렬자

전주 김씨는 항렬자가 통일되지 않은 상태로 역사를 이어왔는데, 2004년에 전주 김씨 대동보를 편찬하면서 대동보에 항렬자를 수록하였다.[9] 향후 몇 세가 더 흘러야 비로소 통일된 항렬자를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 전주 김씨 대동보에 수록된 항렬자(시조를 1세로 봄)


12세(火)13세(土)14세(金)15세(水)16세(木)17세(火)18세(土)19세(金)20세(水)21세(木)22세(火)23세(土)24세(金)25세(水)26세(木)27세(火)28세(土)29세(金)30세(水)
찬(燦)
충(忠)
성(性)
口재(在)
口원(遠)
口두(斗)
석(錫)
종(鍾)
진(鎭)
口태(泰)
口철(澈)
口형(瀅)
병(秉)
병(柄)
동(東)
口환(煥)
口희(熙)
口연(然)
균(均)
효(孝)
시(時)
口호(鎬)
口용(鎔)
口현(鉉)
한(漢)
윤(潤)
영(泳)
口낙(樂)
口근(根)
口모(模)
겸(謙)
형(炯)
현(炫)
口은(垠)
口요(堯)
口규(圭)
연(鍊)
예(銳)
경(鏡)
口홍(鴻)
口연(淵)
口식(湜)
주(柱)
춘(椿)
상(相)
口엽(燁)
口항(恒)
口창(昌)
진(珍)
기(基)
재(載)
口록(錄)
口일(鎰)
口전(銓)
홍(洪)
원(源)
제(濟)



31세(木)32세(火)33세(土)34세(金)35세(水)36세(木)37세(火)38세(土)39세(金)40세(水)
口화(和)
口동(棟)
口계(桂)
지(志)
경(炅)
병(炳)
口준(埈)
口곤(坤)
口기(起)
수(銹)
건(鍵)
용(鏞)
口호(浩)
口준(浚)
口환(渙)
수(秀)
근(槿)
정(楨)
口훈(勳)
口욱(旭)
口명(明)
치(致)
민(珉)
육(堉)
口선(鐥)
口균(鈞)
口철(鐵)
치(治)
광(洸)
길(洁)



○세손212223242526272829
행렬자[7]록(祿)
석(錫)
필(弼)
순(順)
용(龍)
선(善)
영(永)
현(鉉)
망(望)
두(斗)
극(極)
리(履)
병(丙)
태(泰)
연(淵)
성(成)
익(益)
주(柱)
원(元)
덕(德)
화(華)
대(大)
진(鎭)
삼(三)
상(商)
봉(奉)
익(益)
진(進)
창(昌)
인(仁)
홍(弘)
도(道)
건(建)
종(宗)
치(致)
달(達)
철(喆)
찬(贊)
걸(傑)
리(利)
석(錫)
정(鼎)
장(章)
종(鐘)
귀(貴)
성(成)
환(驩)
기(基)
용(龍)
일(日)
호(浩)
억(億)
태(泰)
상(尙)
인(仁)
원(源)
영(永)
기(璂)
려(麗)
약(若)
식(植)
규(奎)
극(極)
일(鎰)
희(喜)
준(俊)
현(鉉)
갑(甲)
응(應)
진(鎭)
호(鎬)
찬(燦)
○세손303132333435363738
행렬자[7]직(稷)
승(承)
봉(鳳)
익(益)
면(冕)
성(星)
한(漢)
규(圭)
순(淳)
병(炳)
곤(坤)
치(致)
영(榮)
덕(德)
재(在)
정(錠)
성(聖)
석(錫)
호(浩)
락(洛)
기(基)
득(得)
균(均)
도(道)
진(鎭)
정(晸)
욱(郁)
상(相)
익(益)
정(楨)
환(煥)
근(根)
렬(烈)
섭(燮)
정(貞)
용(容)
재(載)
순(淳)
대(大)
교(敎)
중(重)
하(河)
일(逸)
수(洙)
여(呂)
용(龍)
종(鐘)
용(鏞)
현(鉉)
태(泰)
준(俊)
영(榮)
락(洛)
윤(潤)
연(淵)
성(聖)
화(和)
수(秀)
기(基)


5. 인물

6. 인구

2015년 기준 전주 김씨 인구
지역인구
서울15,094명
부산3,376명
대구1,545명
인천4,171명
광주348명
대전1,543명
울산822명
세종191명
경기18,664명
강원3,408명
충북1,471명
충남1,538명
전북748명
전남421명
경북1,660명
경남1,685명
제주304명
총계56,989명


참조

[1] 웹사이트 전주김씨 https://www.doopedia[...] 2023-04-20
[2] 뉴스 김일성 시조 잠든 모악산···김정은 답방 때 참배할까 https://www.joongang[...] 2018-09-21
[3]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s://kostat.go.k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3-04-20
[4] 웹사이트 Will Kim visit ancestor’s grave? https://koreajoongan[...] 2018-09-26
[5] 논문 And now, Your Highness, we'll discuss the location of your hidden rebel base: Guerrillas, Rebels and Mongols in Medieval Korea https://www.jstor.or[...] 2023-04-21
[6]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7] 웹사이트 김씨(金氏) 본관(本貫) 전주(全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8] 서적
[9] 서적 전주김씨 대동보 2004
[1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