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주 (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철주(金哲柱, 1916년 ~ 1935년)는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가이다. 김형직과 강반석의 아들이자 김일성의 동생이며, 1926년 혁명 조직인 세날소년동맹에서 활동했다. 1930년대 초 항일유격대에 입대하여 동북항일연군에서 활동하다가 1935년 일본군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 사후 평양 대성산혁명렬사릉에 묘지가 조성되었으며, 김철주사범대학과 김철주포병종합군관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 김씨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전주 김씨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김정일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김정일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 가계도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가계도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김철주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철주 |
한자 표기 | 金哲柱 |
로마자 표기 | Kim Chol-ju |
출생일 | 1916년 6월 1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대동군 강서면 만경대(현 평양직할시) |
사망일 | 1935년 6월 14일 |
사망지 | 만주국 지린성 옌지 |
본관 | 전주 |
부모 | 김형직(부), 강반석(모) |
형제 | 3남 중 차남 김일성(형님) 김영주(아우) |
배우자 | 없음 |
자녀 | 없음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기타 이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주석 김일성의 동생, 국방위원장 김정일의 숙부 |
2. 생애
1916년 평안남도 대동군(현재의 평양)에서 김형직, 강반석 부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
전사 당시 유해는 수습하지 못했으나 이후 평양 대성산혁명렬사릉에 묘지가 마련되었다.[2] 따라서 대성산혁명렬사릉에는 그의 가묘가 안치되어 있다. 김철주사범대학과 김철주포병종합군관학교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金亨稷
1926년에 초등학교에 다닐 무렵, 혁명 조직인 세날소년동맹(조선소년단의 전신)의 일원이 되어, 신문 『세날』 발행에 참여했다.[1] 1930년대 초에 항일유격대에 입대했다.[1] 동북항일연군의 항일 연합전선 노선 관철을 위해 활동하다가[1] 1935년 일본군에 의해 포위, 연길시 석인구 부근에서 전투 중 전사하였다.[1] 유골은 수습되지 못했으나, 후에 대성산혁명열사릉에 묘지가 조성되었다.[1]
3. 사후
4. 가계
1894 - 1926 || || 강반석
康盤石
1892 - 1932
|-
| colspan="5" |
{| class="wikitable"
|-
| 김정숙
金正淑
1917 - 1949 || '''김일성'''
金日成
1912 - 1994 || 김성애
金聖愛
1924 - 2014 || '''김철주'''
金哲柱
1916 - 1935 || 김영주
金英柱
1920 - 2021
|-
| colspan="5" |
{| class="wikitable"
|-
| 성혜림
成蕙琳
1937 - 2002 || '''김정일'''
金正日
1941 - 2011 || 고용희
高容姬
1952 - 2004 || 김경희
金敬姬
1946 - || 장성택
張成澤
1946 - 2013 || 김평일
金平日
1954 -
|-
| colspan="6" |
{| class="wikitable"
|-
| 김정남
金正男
1971 - 2017 || 김정철
金正哲
1981 - || '''김정은'''
金正恩
1984 - || 리설주
李雪主
1989 - || 김여정
金與正
1988 -
|-
| colspan="6" |
|}
|}
|}
|}
4. 1. 김일성 가계도
金亨稷
1894 - 1926
|KBS=강반석
康盤石
1892 - 1932
}}
{{가계도 | | | |KJS|~|y|~|KIS|~|~|~|~|~|~|~|~|~|~|~|~|~|y|~|KSA| |KCJ| |KYJ
|KIS='''김일성'''
金日成
1912 - 1994
|KJS=김정숙
金正淑
1917 - 1949
|KSA=김성애
金聖愛
1924 - 2014
|KCJ = 김철주
金哲柱
1916 - 1935
|KYJ = 김영주
金英柱
1920 - 2021
}}
{{가계도 |SHR|~|y|~| KJI |~|y|~|KYH| |KKH|~|JST| |KPI
| KJI='''김정일'''
金正日
1941 - 2011
| SHR=성혜림
成蕙琳
1937 - 2002
| KYH=고용희
高容姬
1952 - 2004
|KKH=김경희
金敬姬
1946 -
|JST = 장성택
張成澤
1946 - 2013
|KPI=김평일
金平日
1954 -
}}
{{가계도 | | | |KJN| |KJC| |KJU|~|y|~|LSJ| |KYJ
| KJU='''김정은'''
金正恩
1984 -
| LSJ=리설주
李雪主
1989 -
| KJN=김정남
金正男
1971 - 2017
| KJC=김정철
金正哲
1981 -
| KYJ=김여정
金與正
1988 -
}}
{{가계도 | | | |KHS| | | | | | |KJJ| |KJA
| KJA = 김주애
金主愛
2013 -
| KJJ = 김정주
?
2010 -
| KHS = 김한솔
金漢率
1995 -
}}
5. 평가
6. 같이 보기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북한의 열사릉, 그 상징과 폭력: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
http://www.prometheu[...]
프로메테우스
2008-06-05
[2]
뉴스인용
북한의 열사릉, 그 상징과 폭력: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
http://www.prometheu[...]
프로메테우스
2008-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