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병은 기독교의 성찬례에서 사용되는 빵을 의미한다. 동방 교회는 발효된 빵을, 서방 교회는 무교병을 주로 사용한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밀가루와 물로 만든 무교병을 사용하며, 한국 가톨릭 교회는 우리밀로 만든 제병을 사용한다.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는 프로스포라라는 발효 빵을 제병으로 사용하며,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빵 종류에 대한 엄격한 규정 없이 다양한 빵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터교 전례 - 성작
성작은 기독교 성찬례에서 포도주를 담는 데 사용되는 잔을 의미하며,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에서는 예배의 상징으로, 위카와 신이교주의에서는 의식에 사용되는 잔으로,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욕설로 사용되기도 하고, 문장학 및 체코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루터교 전례 - 성수대
성수반은 기독교 신자들이 축성수를 담아 사용하는 용기로, 종교적 의례와 신성함을 상징하며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사용되어 중세 시대에 화려해졌고, 현대에는 실용성과 디자인을 통해 성당 분위기 개선 및 예술 작품으로도 가치를 지닌다. - 성공회 전례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성공회 전례 - 성작
성작은 기독교 성찬례에서 포도주를 담는 데 사용되는 잔을 의미하며,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에서는 예배의 상징으로, 위카와 신이교주의에서는 의식에 사용되는 잔으로,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욕설로 사용되기도 하고, 문장학 및 체코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성찬 - 성변화
성변화는 가톨릭교회에서 미사 중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하는 교리를 의미하며, 빵과 포도주의 실체는 변해도 외형은 유지된다고 설명되고, 종교 개혁 시기 논쟁의 중심이자 가톨릭과 개신교 간 신학적 차이를 보여주는 주제이다. - 성찬 - 성체
가톨릭교회에서 성체는 빵과 포도주가 성변화를 거쳐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된 실체로서, 세례를 받은 신자 중 자격 있는 사람이 미사 중 영성체 예식에서 모실 수 있으며, 남은 성체는 감실에 보관하여 성체조배의 대상으로 삼아 신자들은 성체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와 영적 일치를 이루고자 한다.
제병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성찬례 빵 성체 빵 제병 |
용도 | 성찬례 |
기독교 전통 | |
사용되는 기독교 교파 | 가톨릭교회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회 일부 다른 개신교 교파 |
종류 | 누룩이 없는 빵 (주로 가톨릭교회와 일부 다른 교파) 누룩이 있는 빵 (주로 정교회와 일부 다른 교파) |
상징 | 예수 그리스도의 몸 |
상세 정보 | |
재료 | 밀가루와 물 |
중요성 | 성찬례의 핵심 요소 |
관련된 용어 | 성찬례 성체성사 성변화 영성체 |
2. 역사
동방 교회는 전통적으로 발효된 빵을 사용해왔고, 서방 교회는 11세기부터 무교병을 사용해왔다. 서방 교회가 무교병을 사용하는 이유는 최후의 만찬에서 누룩 없는 빵이 사용된 전통을 따르기 위함이다.[1] 로마 가톨릭 교회 교회법은 제병이 순수한 밀로 만들어져야 하며, 부패 위험이 없도록 최근에 제조되어야 한다고 명시한다.[2]
로마 가톨릭 교회의 로마 미사 통상 지침 321항에서는 성찬례에 쓰이는 빵은 사제가 미사 중에 실제로 제병을 여러 조각으로 떼어 나눌 수 있고 나눈 조각들을 적어도 몇몇 신자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장한다. 그러나 영성체하는 사람의 수가 많거나 다른 사목적 이유가 있다면 작은 제병을 사용해도 좋다.[4]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제병은 대부분 관상수도회인 가르멜 수녀회에서 만들며, 우리밀을 사용한다. 우리밀살리기운동이 시작된 1990년 초부터 수입밀 대신 우리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 1. 동방 교회의 전통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는 프로스포라(누룩이 들어간 빵)를 제병으로 사용한다.[1] 아르메니아 사도교 정교회와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는 누룩이 죄를 상징한다고 여겨 무교병을 사용하며, 이는 그리스도의 무죄함을 상징한다.
마론파 교회는 전례 라틴화의 영향으로 무교병을 사용한다.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교회는 홀리 말카를 첨가한 발효 빵과 무교병을 모두 사용한다.
비잔틴 전례 동방 가톨릭 교회 (예: 동방 정교회)는 프로스포라 (성찬 빵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에 발효된 빵을 사용한다.[1]
그리스 정교회라고도 불리는 정교회와 비칼케돈파 정교회 등의 동방 기독교 교회(동방 전례 가톨릭 교회 포함)에서는 효모(이스트)를 사용하여, 전용으로 만들어진 발효 빵을 사용한다.[12] 성변화하기 전의 빵을 πρόσφορον|프로스포라el (성병(聖餠), 성빵)라고 부른다. 성변화한 이후의 것을 "성체"라고 부르는 것은 가톨릭 교회와 동일하다.
성찬 예식에서는 하나의 큰 빵을 작은 조각으로 잘라, 그것을 물로 희석한 포도주 잔(성작)에 담고, 사제 또는 주교가 잔 속에서 라고 불리는 스푼으로 빵 조각을 떠서, 신도는 그것을 입에 넣고 영성체한다.
성체성사에 사용하는 빵 외에도, "기억"의 기도나, 신도의 영성체 후에 제공되어 누구라도 먹을 수 있는 "안티도르" 등에도 성병이 사용된다.
정교회(그리스 정교회)에서는 성체와 성혈을 기본적으로 항상 함께 성찬례를 행하므로 특별한 용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정교회에서는 성변화된 포도주와 함께 "성체성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정교회에서는 유아나 중증 환자 등 고형물을 삼키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성체(빵)의 성찬례를 행하지 않고 성혈(포도주)만으로 성찬례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다.
2. 2. 서방 교회의 전통
로마 가톨릭 교회는 호스티아라고 불리는 얇고 둥근 무교병을 사용한다.[2] 호스티아는 라틴어로 "희생(의 제물)"이라는 뜻이다. 12세기경부터 성찬식에 호스티아라고 불리는 빵을 사용하게 되었지만, 무교병의 사용은 9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무교병을 사용하는 것은 유월절에 무교병을 먹었던 것에서 유래한다.성공회에서는 성별 후의 빵과 포도주를 각각 "주 예수 그리스도의 몸", "주 예수 그리스도의 피"라고 부른다.[15] 가톨릭의 호스티아와 같은 효모를 사용하지 않는 무발효 빵을 사용하며, '''웨이퍼'''나 '''호스트'''라고 부른다.
루터교를 포함한 일부 개신교 교단에서는 교구 전통에 따라 누룩빵 또는 무교병을 사용하며, 개혁주의 기독교인은 신자들에게 나눠주는 빵을 사용한다.[9]
3. 가톨릭 교회의 성체 관련 의례
로마 가톨릭(동방 가톨릭 교회를 포함하지 않는, 좁은 의미의 가톨릭 교회)에서는 성체의 빵으로 효모를 사용하지 않는 일종의 웨이퍼를 사용하며, 이를 '''호스티아'''라고 부른다. 호스티아(hostia)는 라틴어로 "희생(의 제물)"이라는 뜻이다.[13]
세례를 받고 처음으로 성체 배령하는 것을 "'''첫 영성체'''"(初聖体, First Communion)라고 부르며, 가톨릭에서는 7개의 성사 중 하나로 여겨지는 중요한 의식이다.[13] 유아 세례의 경우에는 성체 배령의 의미를 알게 되는 아동기에, 이를 위한 준비를 한 후에 받게 된다. 나이는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유치원생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에 받는 경우가 많다.[14] (스스로의 의지에 따른 성인 세례의 경우에는 세례와 동시에 첫 영성체와 견진성사를 거행한다.)
일본의 가톨릭 교회에서는, 경의를 담아 "'''성체'''"(御聖体)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성변화된 성체(빵)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숭배의 대상이 되며, 미사 중에 영(영식)하는 것 외에도, 일부를 남겨 성당의 제대 부근의 상자나 벽에 설치한 "감실"에 항상 일정 수량 보관해두어, 성당을 방문한 신도가 "성체 방문"하여 숭배할 수 있다. 또한 성체 찬미식 등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을 나타내는 것으로 숭배된다.
4. 현대적 응용
뉴질랜드에서는 성 빈센트 드 폴 협회가 지적 장애인에게 제병 제조와 관련된 유급 고용을 제공한다.[3] 2000년대 이후, 미국 일부 지역에서는 저글루텐 성체가 제조되고 있다.[5] 셀리악병 환자는 글루텐 프리 식단을 따라야 하며, 저글루텐 성체는 이러한 환자들에게 중요하다.[6][7]
5.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성찬에 사용되는 빵의 종류에 대한 엄격한 규칙이 없다. 후기 성도 경전에는 "이는 보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성찬을 받을 때, 너희가 무엇을 먹든지 무엇을 마시든지 그것은 문제가 되지 아니하되, 다만 너희가 나의 영광만을 바라보며, 너희를 위하여 눕히신 나의 몸과 너희 죄 사함을 위하여 흘리신 나의 피를 아버지께 기억하면 되느니라."(교리와 성약 27:2)라고 나와있다. 다양한 회중들은 시판되는 빵이나 회중 회원들이 직접 만든 빵을 사용할 수 있다. 음식 알레르기가 있는 회원을 위해 쌀 과자나 기타 글루텐 프리 빵으로 대체하는 것도 허용된다.[11] 빵은 제사를 집행하는 사람 중 한 명이 축복하기 직전에 조각으로 부서진다.
참조
[1]
논문
Eastern Catholic Churches in Australia: Canonical Issues for Catholic Clergy and Pastoral Workers
https://search.ebsco[...]
2016-01-01
[2]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 Book IV - Function of the Church Liber (Cann. 879-958)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Altar Breads
http://vinnies-welli[...]
Society of St Vincent de Paul
2018-03-18
[4]
웹사이트
Roman Missal §321
https://www.vatican.[...]
[5]
웹사이트
Low-Gluten Diet Alternatives Have Reached A New Frontier: The Catholic Church
http://thinkprogress[...]
2015-01-03
[6]
논문
The gluten-free diet and its current application in coeliac disease and dermatitis herpetiformis
[7]
논문
Practical insights into gluten-free diets
2015-10
[8]
Youtube
"Day 359: John's Apocalypse — The Bible in a Year (with Fr. Mike Schmitz)"
https://www.YouTube.[...]
Ascension Press
2021-12-24
[9]
서적
Christ's Churches Purely Reformed
Yal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Matzah Communion
http://ajlmagazine.c[...]
2017-04-16
[11]
웹사이트
Accepting Allergies
https://www.churchof[...]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2011-11-10
[12]
웹사이트
聖体礼儀の解説
http://fnagaya.hp.in[...]
2004-08-17
[13]
웹사이트
うれしい初聖体
http://www.catholick[...]
カトリック金沢教会
2019-06-17
[14]
블로그
初聖体の時期について
https://ngstenrei.ex[...]
カトリック長崎大司教区典礼委員会 公式ブログ
2007-04-20
[15]
서적
日本聖公会祈祷書
日本聖公会管区事務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