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일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일라는 소말릴란드 아우달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아덴만 해안의 모래 사주에 자리 잡고 있다. 고대부터 무역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아달 술탄국의 수도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편입되었다. 1991년 소말리아 내전 이후 소말릴란드에 속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소말릴란드의 아우달 지역의 일부로, 소말리아인 디르 씨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의 도시 - 모가디슈
    모가디슈는 소말리아의 수도이자 남동부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인도양 무역 중심지였으며 아랍 상인 정착, 외세 지배, 독립, 내전을 거쳐 재건 중이나 여전히 무장 단체의 위협이 존재하는 다문화 도시다.
  • 소말리아의 도시 - 갈카요
    갈카요는 소말리아 북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호비오 술탄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씨족 간 분쟁과 내전을 겪으며 푼트랜드와 갈무두그로 분할되었고, 현재는 양측의 행정 구역이 공존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제일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일라, 소말릴란드
제일라, 소말릴란드
지리적 위치아우달
국가소말릴란드
지역아우달 주
제일라 구
좌표11° 21′ 14″ N 43° 28′ 23″ E
일반 통계
설립기원후 1세기경
시간대EAT
UTC 오프셋+3
기후BWh
인구 통계
총 인구18,600명 (2012년 기준)

2. 지리

제일라는 소말릴란드 아우달 지역에 위치해 있다. 지부티 국경 근처 아덴만 해안에 위치한 이 도시는 바다로 둘러싸인 모래 사주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소말리아 이파트 술탄국의 술탄 사아드 아드 딘 2세의 이름을 딴 사아드 아드 딘 제도를 포함하여 산호초, 맹그로브 및 인근 섬으로 유명하다. 육지 쪽으로는 약 약 80.47km 동안 끊임없는 사막 지형이 펼쳐져 있다. 보라마는 제일라에서 남동쪽으로 약 243.01km, 베르베라는 제일라에서 동쪽으로 약 273.59km 위치해 있으며, 에티오피아 하라르는 서쪽으로 약 321.87km 떨어져 있다. 이 항구 도시의 이름을 딴 제일라 지역은 중세 아프리카의 뿔의 전체 무슬림 거주 지역을 나타냈다.

3. 역사

제일라는 모가디슈를 비롯한 다른 소말리아 해안 도시들과 함께 내륙 무역을 포함하는 토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이는 아랍인들의 대규모 이주나 소말리아 해안과의 무역이 시작되기 훨씬 전부터 존재했다. 그 역사는 약 4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제일라는 셰이크 사이리치(Sh. Saylici)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소말리아 유목민과 무역 공동체가 번성하면서 발전한 많은 소규모 마을 중 하나였다. 이러한 무역은 헤이스, 마이드, 아바사 등 다른 해안 및 내륙 도시들의 탄생에 기여했다.[12]

고대 제일라는 코르-도비, 하파트 알-푸르다, 아쇼 바라, 하파트 알-수다, 사레이의 5개 주거 구역으로 나뉘었다.[13]

3. 1. 고대 ~ 중세

제일라는 고대 도시이며, 1세기경 그리스 문헌인 『홍해 항해기』에 아발리테스로 언급된 무역 거점으로 확인되었다.[14] 당시 북동 아프리카의 바르바라 지역에 위치해 있었으며, 근동 (페니키아,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그리스, 파르티아 페르시아, 사바, 나바테아, 로마 제국 등)과 인도 사이의 무역에 종사했던 도시 국가 중 하나였다. 상인들은 '베덴'이라고 알려진 고대 소말리아 해상 선박을 사용하여 화물을 운송했다.[14]

하빌라의 여러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제일라 지역도 포함


『홍해 항해기』에 따르면, 이 지역에 거주했던 '바르바로이'는 이집트 및 이슬람 이전의 아라비아와 상업적 교류를 했다. 이들은 아발리테스와 같은 항구 도시를 통해 유향을 비롯한 여러 상품을 거래했으며, 홍해아덴만을 항해하며 무역을 했다. 이 문서는 바르바로이의 통치 시스템이 분산된 자율적인 도시 국가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하며, "그곳에 사는 베르베르족은 매우 다루기 힘들다"[16]고 언급하여 그들의 독립적인 성격을 암시한다.[15]

히즈라 직후 아라비아 반도에서 이슬람이 일찍 전래되었다. 제일라의 두 개의 미흐라브가 있는 마스지드 알-키블라타인은 7세기에 지어졌으며, 이 도시에 있는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다.[17] 9세기 후반, 알-야쿠비는 무슬림들이 소말리아 북부 해안을 따라 살고 있었으며, 아달 술탄국이 이 도시에 수도를 두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8][19] 이는 아달 술탄국이 제일라를 본부로 최소 9세기 또는 10세기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소말릴란드 제일라에 있는 이슬람 아달 술탄국의 유적


13세기~14세기, 이븐 사이드, 알-디마시키, 이븐 바투타 등의 기록에 따르면 제일라는 번성한 무역 도시였다. 1214년부터 1217년까지, 이븐 사이드는 제일라와 베르베라를 모두 언급했는데, 제일라가 상당한 규모의 부유한 도시였고 주민들은 완전히 무슬림이었다고 말한다. 알-디마시키는 이 도시의 이름을 소말리아 이름인 Awdal(Adal)로 언급했는데, 이는 지역 소말리아인들에게 여전히 알려져 있다. 14세기, 에티오피아 내륙으로 이어지는 무역로를 통해 '제일라의 나라'라는 용어가 널리 알려졌다.[20]

14세기 모로코 출신 역사가이자 여행가인 이븐 바투타는 도시가 소말리아인들이 거주하고 샤피 학파의 추종자들이며, 많은 수의 낙타, 양, 염소를 키운다고 묘사했다. 그는 또한 제일라를 큰 대도시이자 많은 부유한 상인들이 가득한 많은 큰 시장이라고 묘사한다.[22]

3. 2. 이파트 술탄국과 아달 술탄국

1332년 제일라에 기반을 둔 아달의 왕은 아비시니아 황제 암다 세이온의 도시 진군을 막기 위한 군사 작전에서 살해되었다.[26] 이파트 술탄국의 마지막 술탄 사아드 앗-딘 2세는 1410년 제일라에서 에티오피아의 다윗 1세에게 살해되었고, 그의 자녀들은 예멘으로 피신했다가 1415년에 돌아왔다.[27] 15세기 초, 아달 술탄국의 수도는 다카르를 거쳐 하라르로 이전되었다.[28][29] 이 새로운 수도에서 아달의 이맘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는 군대를 조직하여 아비시니아 제국을 침략했으며, 이 과정에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제일라를 통해 대포를 수입하여 활용했다.[24][29]

3. 3. 근세 ~ 현대

16세기, 포르투갈 탐험가 두아르테 바르보사는 제일라를 돌과 백색 시멘트로 지어진 좋은 집과 거리가 있는 인구 밀도가 높은 곳으로 묘사했다.[36] 1630년부터 제일라는 모카의 통치를 받았으며, 이후 에미르의 통치를 받았다.[37] 19세기 전반기에는 "계절에 따라 1,000명에서 3,000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낮은 진흙 벽으로 둘러싸인 큰 마을"로 축소되었다.[38]

1885년경 제일라


1877년 이탈리아 방문객이 찍은 제일라


모카의 샤리프들은 오스만 제국을 대신하여 제일라를 명목상 통치했다.[40] 하지 샤르마르케 알리 살레는 모카와 호데이다의 터키 총독에게 총독직을 넘겨받은 후 제일라를 통치하게 되었다.[41] 그는 하라르오가덴까지 가능한 한 많은 지역 무역을 독점하려 했다.[42]

1880년대 초 제일라 해안가


1874~75년에 이집트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도시를 확보하는 ''칙령''(firman)을 얻었다.[46] 그러나 실제로는 이집트는 내륙에 거의 권한이 없었고, 해안 통치 기간은 1870~84년으로 짧았다.



1885년 3월 25일, 프랑스는 가다부르시의 우가즈 누르 2세와 조약을 체결하여 가다부르시의 상당수 해안과 내륙 지역을 프랑스의 보호령으로 두었다고 주장했다.[48] 그러나 영국은 이 협정을 부인하려 시도했다.[50] I. M. 루이스에 따르면, 이 조약은 두 보호령 간의 경계 획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부티를 프랑스 식민지의 공식 수도로 확정했다.[51]

제일라의 경찰 부소장인 부랄레 로블과 영국령 소말릴란드 총독인 제너럴 고든, 제일라 (1921년).


1888년 2월 9일, 프랑스와 영국은 각자의 보호령 간 경계를 정의하는 협정을 체결했다.[52] 그 결과 제일라와 동쪽 이웃인 베르베라는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말 지부티에서 아디스아바바까지 철도가 건설되면서 제일라는 계속 소외되었다.[53] 20세기 초,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제일라에 대해 "아랍 항해선이 자주 이용하는 좋은 보호 닻 정박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깊은 흘수의 증기선은 해안에서 약 2.41km 떨어진 곳에 정박해야 한다"고 묘사했다.[53]

3. 4. 근현대사 (한국의 관점)

1888년 2월 9일, 프랑스와 영국은 각자의 보호령 간 경계를 정의하는 협정을 체결했다.[52] 그 결과 제일라와 동쪽 이웃인 베르베라는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말 지부티에서 아디스아바바까지 철도가 건설되면서 제일라는 계속 소외되었다.[53] 20세기 초,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제일라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아랍 항해선이 자주 이용하는 좋은 보호 닻 정박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깊은 흘수의 증기선은 해안에서 약 2.41km 떨어진 곳에 정박해야 한다. 작은 연안 보트는 부두에서 떨어져 있고,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데 어려움이 없다. 도시의 물 공급은 약 약 4.83km 떨어진 타코샤의 우물에서 가져오며, 매일 아침 늙은 소말리아 여성들이 낙타를 데리고 와 염소 가죽에 물을 채워 그림 같은 행렬을 이루며 마을로 들어온다. ... [제일라]의 수입품은 주로 아덴을 통해 제일라에 도달하며 주로 제품, , 조와리, 대추 및 실크이며, 수출품의 90%는 에티오피아에서 오며, 주로 커피, 가죽, 상아, 가축, (ghee) 및 진주조개이다."[53]

제일라 경찰 부소장인 부랄레 로블은 레인 소령에 의해 다른 두 명과 함께 제일라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묘사되었다. 그는 오른쪽 이미지에서 영국령 소말릴란드 총독인 제너럴 고든과 함께 등장한다.[54]

1940년 8월, 제일라는 진격하는 이탈리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도시는 6개월 넘게 이들의 점령하에 있었다.

1991년 2월 9일, 소말리아 민족 운동(SNM)은 지부티가 지원하는 USF군과 지부티 국경에서 충돌했다.[57][58] 옛 소말리아 정규군이 지원하는 이사 USF군은 제일라를 지부티에 합병할 목적으로 아우달 지역 서부를 점령했다.[58][59] SNM은 그들의 주장을 거부하고 USF 군인에 대한 군사 행동을 취했으며, USF 군인들은 신속하게 격파되고 폭력적으로 진압되었다.[60][59]

독립 이후 제일라는 소말릴란드의 공식적인 아우달 지역의 일부로 행정 처리되었다. 1990년대 초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한 후, 도시의 역사적인 기반 시설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고 많은 주민들이 이 지역을 떠났다. 그러나 해외에 있는 친척들이 보낸 송금 자금은 도시 재건뿐만 아니라 지역 무역 및 어업 산업에도 기여했다. 소말리아 내전으로 제일라는 자주 폭격을 받아 대부분의 건물이 전파되거나 반파되었다. 주민들은 인접국 지부티 등으로 피난했다. 1991년, 제일라를 포함한 이 지역은 소말릴란드로 독립했으며, 해외 송금 및 어업 제품 판매를 통해 부흥했다.

제일라는 인접국 지부티와 교류가 있다.[79]

4. 인구

제일라 주민은 주로 소말리아 민족으로 구성되며, 그 중에서도 디르 씨족의 가다부르시 하위 씨족이 다수를 차지한다.[61][62][63][64] 디르 씨족의 이사 하위 씨족 또한 제일라 구에 거주한다.[65]

팀 글라위온(Tim Glawion, 2020)은 제이라 마을과 주변 지역의 인구 구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66]


  • 제일라 마을: 행정 중심지로, 여러 정부 기관이 위치하며 주로 가다부르시 씨족이 거주한다. 이들은 무역이나 정부 서비스 관련 활동에 종사한다.
  • 토코시(Tokoshi): 제일라에서 서쪽으로 8km 떨어진 수공예 소금 채굴 지역으로, 이사 씨족과 가다부르시 씨족이 함께 거주하며, 씨족과 주 기관이 보안을 제공한다.
  • 남부 시골 지역: 대부분 이사 씨족이 거주하며, 오랫동안 자치적인 문화를 유지해 왔다.


엘리세 레클루스(Elisée Reclus, 1886)는 하라르에서 제일라로 이어지는 두 개의 주요 고대 경로를 언급하며, 하나는 가다부르시 영토를, 다른 하나는 이사 영토를 통과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일라 마을과 그 주변은 가다부르시 씨족이, 더 넓은 제일라 구와 마을 남쪽 시골 지역은 전통적으로 이사 씨족의 영토라고 묘사했다.[67]

5. 문화

제일라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국제도시였다. 소말리아 전통 음악과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55]

1886년, 오스트리아 탐험가이자 지리학자인 P. V. 폴리치케는 영국 장군이자 제일라의 정치 부보좌관이었던 J. S. 킹이 제일라 출신의 유명한 소말리아 민요인 "''나의 사랑하는 이에게''"를 기록했다고 언급했다. 이 노래는 가다부르시 사람이 같은 부족의 소녀에게 쓴 노래였다. 이 노래는 다른 소말리아인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제일라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55]

필리프 폴리치케(1893)는 이 노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나의 사랑하는 이에게'': 아랍인, 소말리아인, 아비시니아인, 흑인의 혼합인 제일란(Ahl Zeila)의 고대 노래로, J. S. 킹 소령이 1886년에 백 살 된 남자에게 받아 적었다. 이 노래는 소말리아인에게는 이해할 수 없었다. 이 노래는 의심할 여지 없이 가다부르시인이 썼고 같은 부족의 소녀에게 보낸 것이다."[55]

아래는 소말리아어 노래 가사를 영어로 번역한 내용이다.[56]















참조

[1] 웹사이트 Somalia City & Town Population http://www.tageo.com[...] Tageo.com 2020-03-18
[2] 웹사이트 Somalia City & Town Population http://www.faoswalim[...] FAO 2015-10-20
[3] 논문 Desperately Seeking the Jewish Kingdom of Ethiopia: Benjamin of Tudela and the Horn of Africa (Twelfth Century) 2013
[4] 서적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by an Unknown Author: With Some Extracts from Agatharkhides ‘On the Erythraean Sea’ Ashgate 1980
[5] 서적 The Periplus Maris Erythraei: Text with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malia
[7] 문서 Futūḥ al-Ḥabasha Christian-Muslim Relations 1500 – 1900
[8] 서적 The Security Arena in Africa: Local Order-Making i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Somaliland, and South Sud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1-30
[9] 서적 The Earth and its Inhabitants The Universal Geography Vol. X. North-east Africa http://dwardmac.pitz[...] J.S. Virtue & Co, Limited, 294 City Road 1886
[10] 간행물 Somaliland: Update to SML26165.E of 14 February 1997 on the situation in Zeila, including who is controlling it, whether there is fighting in the area, and whether refugees are returning UN 1999
[11]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9-13
[12] 서적 Divine Fertility: The Continuity in Transformation of an Ideology of Sacred Kinship in Northeast Africa https://books.google[...]
[13] 학술지 Zeila: Beneath the Ruins of Ancient Civilization http://www.anaserve.[...] 1998
[14] 학술지 Journal of African History
[15]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Greenwood Press 2001
[16] 서적 The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travel and trade in the Indian Ocean Longmans, Green, and Co. 1912
[17] 서적 Somaliland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18]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25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oration
[19]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2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The Somali Calendar: An Ancient, Accurate Timekeeping System https://web.archive.[...]
[22] 서적 The Archaeology of Islam in Sub-Saharan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7-03
[23] 문서 Naṣb al-Rāya li-Aḥādīth al-Hidāya Dār Ibn Ḥazm, Beirut 2018
[24]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LIT Verlag Münster 1999
[25] 문서 Sun, sand and somals : leaves from the note-book of a district commissioner in British Somaliland https://archive.org/[...] Witherby, London 1921
[26]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7] 학술지 Somaliland http://www.mbali.inf[...] mbali 2012-04-27
[28] 서적 Bradt Somaliland: With Addis Ababa & Eastern Ethiopi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9]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30]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Atlas, Warfare: Renaissance to Revolution, 1492–17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01-01
[32] 웹사이트 The Galla in Northern Somaliland https://arcadia.sba.[...] 1959
[33]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Routledge 2005
[34] 문서 The Travels of Ludovico di Varthema in Egypt, Syria, Arabia Deserta and Arabia Felix, in Persia, India, and Ethiopia, A.D. 1503 to 1508 the Hakluyt Society, London 1863
[35]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Steiner
[36] 간행물 "The Book of Duarte Barbos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918
[37] 서적 Ethiopia: The Era of the Princes; The Challenge of Islam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Christian Empire (1769–1855) Longmans
[38] 서적 Era of the Princes
[39] 서적 Era of the Princes
[40] 문서 Making Sense of Somali History: Volume 1 - Page 63
[41] 서적 The scramble in the Horn of Africa: history of Somalia, 1827-1977 https://books.google[...] Somali Publications 2001
[42] 서적 Sun, Sand and Somals - Leaves from the Note-Book of a District Commissioner https://books.google[...] Read Books Ltd 1921
[43] 서적 Ethiopia: the era of the princes: the challenge of Islam and reunification of the Christian Empire, 1769–1855 https://books.google[...] Praeger
[44] 서적 A Modern History of the Somali James Currey, Oxford 2002
[45] 서적 Le tour du monde: nouveau journal des voyages, Volume 2; Volume 6 https://books.google[...] Libraires Hachette
[46] 뉴스 "The British Somaliland-Ethiopia Boundary" https://www.jstor.or[...] 1936
[47] 서적 Traité de protectorat de la France sur les territoires du pays des Gada-boursis https://recherche-an[...] Ministère des Colonies-Traités (1687-1911)
[48] 서적 Traité de protectorat de la France sur les territoires du pays des Gada-boursis https://recherche-an[...] Ministère des Colonies-Traités (1687–1911)
[49] 서적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thiopian Studies, Session B, April 13-16, 1978, Chicago, USA https://books.google[...] Office of Publications Servi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ircle
[50] 서적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thiopian Studies, Session B, April 13-16, 1978, Chicago, USA https://books.google[...] Office of Publications Servi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ircle
[51] 서적 A Modern History of Somalia https://arcadia.sba.[...] Westview Press
[52] 문서 Frontières et limites à Djibouti durant la période coloniale (1884–1977) Université de Provence, Aix-Marseille 2008
[53] 간행물 Zaila
[54] 서적 Sun, sand, and Somals; leaves from the note-book of a district commissioner in British Somaliland http://archive.org/d[...] London : Witherby 1921
[55] 웹사이트 Die geistige cultur der Danâkil, Galla und Somâl, nebst nachträgen zur materiellen cultur dieser völker https://books.google[...]
[56] 웹사이트 Die geistige cultur der Danâkil, Galla und Somâl, nebst nachträgen zur materiellen cultur dieser völker https://books.google[...]
[57] 서적 The Country that Does Not Exist: A History of Somaliland https://www.google.c[...]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58] 서적 The Ethnicity Reader: Nationalism, Multiculturalism and Migration https://www.google.c[...] Polity 2010-01-11
[59] 논문 The Horn of Africa https://www.cambridg[...] 1996
[60] 서적 Anatomy of Violence: Understanding the Systems of Conflict and Violence in Africa https://www.google.c[...] Routledge 2016-04-15
[61] 서적 The Security Arena in Africa: Local Order-Making i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Somaliland, and South Sud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1-30
[62] 서적 The Earth and its Inhabitants The Universal Geography Vol. X. North-east Africa http://dwardmac.pitz[...] J.S. Virtue & Co, Limited, 294 City Road 1886
[63] 논문 "Somali Reconstruction and Local Initiative: Amoud University" http://digitalcommon[...] 2001
[64] 서적 Shattering Tradition: Custom, Law and the Individual in the Muslim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I.B. Taurus 2010-03-18
[65] 서적 Negotiating Statehood: Dynamics of Power and Domination in Africa Wiley 2012-01-21
[66] 서적 The Security Arena in Africa: Local Order-Making in the Central African Republic, Somaliland, and South Sud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1-30
[67] 서적 The Earth and its Inhabitants The Universal Geography Vol. X. North-east Africa http://dwardmac.pitz[...] J.S. Virtue & Co, Limited, 294 City Road 1886
[68] 문서 Pankhurst
[69] 문서 Pankhurst
[70] 웹사이트 HIS 311 Lecture on East Africa, as seen by Ibn Battuta http://courses.wcupa[...]
[71] 문서 Pankhurst
[72] 웹사이트 悠久な東西交易の中継港ジェッタ http://saudinomad.ka[...]
[73] 서적 Era of the Princes
[74] 서적 Era of the Princes
[75] 서적 Era of the Princes
[76] 웹사이트 RICHARD FRANCIS BURTON http://www.howgego.c[...]
[77] 웹사이트 Awdal "Republic": Declaration of Independence, Somalia http://www.africa.up[...]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0-02-06
[78] 뉴스 Somaliland protests being called "Northern Dir clan" http://www.afrol.com[...] afrol news 2004-09-02
[79] 뉴스 Djiboutian Delegation Visits Zayla http://www.somalilan[...] the Somaliland Times 2010-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