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려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단종 폐위에 반대하여 벼슬을 버리고 은거한 생육신 중 한 명이다. 1420년 함안에서 태어나 1453년 진사시에 합격했다.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실패하고, 단종 사후 3년간 상복을 입는 등 충절을 지켰다. 사후 이조 참판에 증직되었으며, 서산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어계집》이 전해지며,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육신 - 이맹전
이맹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계유정난 이후 벼슬을 버리고 학문에 전념했으며, 정조 때 이조판서와 양관 대제학에 추증되고 시호는 정간이다. - 생육신 - 남효온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남효온은 세조 찬탈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현덕왕후 소릉 복위를 상소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유랑했으며, 사후 부관참시되었으나 중종 때 신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김종직의 문인이자 김시습의 제자로서 《육신전》, 《추강집》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489년 사망 - 어유소
어유소는 1434년에 태어나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공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했으며, 건주위 정벌 중 유배되기도 했지만 이조판서 등을 지내고 성종을 호종하다 사망하여 정장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89년 사망 - 월산대군
월산대군은 조선 세조의 장손이자 덕종의 맏아들, 성종의 친형으로, 뛰어난 문장과 예술적 재능을 지녔으나 왕위 계승에서 밀려난 후 풍류로운 삶을 살며 시와 《풍월정집》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420년 출생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1420년 출생 - 서거정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서거정은 문과 급제 후 6조 판서와 좌찬성을 지내며 《경국대전》,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등 국가적인 편찬 사업에 참여하여 조선의 문물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동문선》, 《필원잡기》 등의 저술을 통해 조선 초기의 문학을 집대성하여 문충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그의 호는 사가정역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 조려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조려 |
| 출생 | 1420년 |
| 사망 | 1489년 |
| 본관 | 배천(白川) |
| 자 | 여공(汝恭) |
| 호 | 매죽헌(梅竹軒) |
| 시호 | 정절(貞節) |
| 생애 | |
| 주요 활동 | 생육신 |
| 관직 | 이조정랑 |
| 기타 | 단종복위운동 가담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조계생(趙繼生) |
| 어머니 | 정경부인 진주 강씨(貞敬夫人 晋州 姜氏) |
| 배우자 | 정부인 안동 권씨(貞夫人 安東 權氏) |
| 아들 | 조위(趙瑋) |
2. 생애
1455년 세조가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즉위하자, 조려는 단종에 대한 충의를 지키며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2] 1456년 단종이 영월로 유배되자 원호 등과 교류하며 단종의 안위를 걱정했고, 치악산에 올라 벼슬에 나가지 않겠다는 맹세를 했다. 1457년 단종이 사사되자 호랑이의 도움을 받아 영월로 건너가 문상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2]
이후 백이산 아래 은거하며 3년상을 치렀고, 세조의 거듭된 부름에도 응하지 않았다. 독서와 낚시로 소일하다 1489년 70세로 세상을 떠났다.[2]
2. 1. 출생과 수학
1420년 경상남도 함안에서 태어났다. 1453년 성균관 진사 시험에 합격하여 명망이 높았다. 그 뒤 국자감에 입학하여 학문 연구를 하던 중, 1455년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즉위하자, 불합리한 방법으로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을 임금으로 섬길 수 없다 하여, 폐위된 단종에 대한 충성과 의리로 망설임없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 함안 군북에 낙향하여 은거하였다.[2]2. 2. 세조 즉위와 은거
1455년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즉위하자, 조려는 불합리한 방법으로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을 임금으로 섬길 수 없다 하여, 폐위된 단종에 대한 충성과 의리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 함안 군북에 낙향하여 은거하였다.[2]1456년 단종이 영월로 유배되자 강원도 영월을 방문하여 수시로 단종의 안부를 원호의 관란정(觀瀾亭)에 유숙하며 원호, 이수형 등과 함께 국사를 논하면서 어린 임금의 안전을 기원하였고, 후에 원주 치악산에 올라 다시는 벼슬에 나가지 않을 것을 굳게 맹세하고 치악산 정상에 원호, 이수형과 함께 나란히 이름을 새겼다. 1457년 금성대군과 이보흠 등이 거듭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고 단종이 사사당하자 문상을 하러가던 그는 영월 청령포 앞에 이르러 배가 없어 통곡하였다. 이때 호랑이가 나타나서 그를 등에 업고 영월 동강을 도강했다 한다.[2]
그 뒤 단종의 넋을 공주 동학사(東鶴寺)에 모신 후 함안으로 돌아와 서산 아래에 은거하여 사람들은 그가 머무르던 서산을 백이산이라 불렀다. 단종 승하 후 3년간 상복을 입고 3년상을 치렀다.[2] 세조는 그를 여러 차례 관직에 불렀으나 끝까지 거절하고 나가지 않았다. 이후 독서와 낚시로 세월을 보냈다.
2. 3. 단종 복위 운동과 좌절
1455년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즉위하자, 불합리한 방법으로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을 임금으로 섬길 수 없다 하여, 폐위된 단종에 대한 충성과 의리로 망설임 없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 함안 군북에 낙향하여 은거하였다.[2]1456년 단종이 영월로 유배되자 강원도 영월을 방문하여 수시로 단종의 안부를 살폈다. 원호의 관란정(觀瀾亭)에 유숙하며 원호, 이수형 등과 함께 국사를 논하면서 어린 임금의 안전을 기원하였고, 후에 원주 치악산에 올라 다시는 벼슬에 나가지 않을 것을 굳게 맹세하고 치악산 정상에 원호, 이수형과 함께 나란히 이름을 새겼다. 1457년 금성대군과 이보흠 등이 거듭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고 단종이 사사당하자, 문상을 하러 가던 그는 영월 청령포 앞에 이르러 배가 없어 통곡하였다. 이때 호랑이가 나타나서 그를 등에 업고 영월 동강을 도강했다고 한다.[2]
그 뒤 단종의 넋을 공주 동학사(東鶴寺)에 모신 후 함안으로 돌아와 서산 아래에 은거하여, 사람들은 그가 머무르던 서산을 백이산이라 불렀다. 단종 승하 후 3년간 상복을 입고 3년상을 치렀다.[2]
2. 4. 죽음과 사후 추증
1457년 금성대군과 이보흠 등이 단종 복위를 꾀하다 실패하고 단종이 사사되자, 조려는 문상을 가던 중 영월 청령포 앞에 이르렀으나 배가 없어 통곡하였다. 이때 호랑이가 나타나 그를 등에 업고 영월 동강을 건네주었다고 한다.[2]그 뒤 단종의 넋을 공주 동학사에 모신 후 함안으로 돌아와 서산 아래에 은거하였는데, 사람들은 그가 머무르던 서산을 백이산이라 불렀다. 단종 승하 후 3년간 상복을 입고 3년상을 치렀으며 1489년 70세에 세상을 떠났다.[2] 세조는 여러 차례 조려를 불렀으나, 조려는 끝까지 벼슬을 거절하고 나가지 않았다. 이후 독서와 낚시로 세월을 보냈다.
1698년 단종이 왕으로 복위되자 이조 참판에 증직(贈職)되었고, 1703년 경상도 유생 곽억령 등이 상소를 올려 유응부, 성삼문, 박팽년 등 사육신의 예에 따라 생육신인 조려 등도 사당을 세워 제향하도록 조정에 건의하였다.[2] 1706년 조려가 생전에 기거하던 백이산 아래 함안군 원북동에 사당을 세워 김시습, 이맹전, 원호, 남효온, 성담수와 함께 제향하였다.[2] 사당은 후에 서산서원(西山書院)으로 이름지어졌다.
1781년 이조판서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가증(加贈)되고 시호는 정절(貞節)이 내려졌다. 저서로는 후손 증 이조참판 조영석이 정리한 어계집(漁溪集)이 전한다.[2]
3. 저서
- 어계집
4. 관련 문화재
함안 생육신 조려 유적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90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hamanchoysj.p[...]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hamanchoysj.p[...]
2008-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