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화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화 함수는 유클리드 공간의 열린 집합에서 정의되는 2차 연속 미분 가능한 함수로, 라플라스 연산자가 0이 되도록 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조화 함수는 라플라스 연산자의 핵을 이루며, 조화 함수의 합, 차, 스칼라 배 또한 조화 함수가 된다. 조화 함수는 정칙 함수의 실해석적 대응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실해석적이고, 평균값 정리, 최대치 원리, 리우빌의 정리, 하르낙 부등식, 특이점 제거 등의 성질을 갖는다. 2차원에서는 등각 변환에 대해 불변이며, 해석 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조화 함수가 된다. 조화 함수는 열조화 함수, 조화 형식, 조화 사상 등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물리학과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텐셜 이론 - 푸아송 방정식
푸아송 방정식은 라플라스 연산자를 포함하는 2차 편미분 방정식으로, 전자기학 및 유체역학 등에서 계를 설명하고, 그린 함수나 수치적인 방법으로 해를 구할 수 있다. - 퍼텐셜 이론 - 쌍극자
쌍극자는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두 극이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물리계로, 점 쌍극자, 전기 쌍극자, 자기 쌍극자로 나뉘며, 쌍극자 모멘트는 전하 또는 전류 분포의 장을 근사하는 데 사용되고 전자기학, 분자 물리, 음향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조화 함수 - 라플라스 방정식
라플라스 방정식은 리만 다양체에서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의 2차 편미분 방정식이며, 조화 함수를 해로 갖고 유체 역학, 정전기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조화 함수 - 코시-리만 방정식
코시-리만 방정식은 복소해석학에서 함수가 미분 가능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며, 복소 평면에서 정의된 함수가 정칙 함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과 관련된다. - 푸리에 해석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푸리에 해석학 - 푸리에 변환
푸리에 변환은 복소 함수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는 적분 변환으로, 푸리에 급수의 확장 개념이며, 시간-주파수 영역 변환, 선형성, 컨볼루션 정리, 불확정성 원리 등의 성질을 가지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조화 함수 | |
|---|---|
| 일반 정보 | |
| 정의 | 어떤 영역 D에서 정의된 함수 f가 D 내부의 모든 점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면, f는 조화 함수다. 즉, f는 2번 미분 가능하고, 다음을 만족한다: . 여기서 는 라플라스 연산자다.  | 
| 좌표계에 따른 표현 | 의 데카르트 좌표계 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의 극좌표계 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의 구면 좌표계 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관련 개념 | 디리클레 문제 조화 급수 조화 진동자 그린 함수 포아송 방정식 열 방정식  | 
| 참고 문헌 | (영어) Weisstein, Eric W. "Harmonic Function". MathWorld. | 
| 복소해석학 | |
| 복소해석학과의 관계 | 복소 평면의 열린 부분 집합에서 정의된 모든 정칙 함수는 조화 함수다. 정칙 함수의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은 모두 조화 함수다.  | 
2. 정의
유클리드 공간 의 열린집합  위의 2차 연속 미분 가능 함수 
주어진 열린 집합 U에서 조화 함수들의 집합은 라플라스 연산자 Δ의 핵으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실수 위의 벡터 공간이다. 즉, 조화 함수들의 선형 결합 또한 조화 함수이다. 
임의의 차원에서, 상수 함수와 선형 함수는 항상 조화 함수이다.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조화 함수"라는 명칭에서 "조화(harmonic)"라는 형용사는 팽팽하게 당겨진 현의 한 점이 조화 운동을 할 때의 점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운동에 대한 미분 방정식의 해는 사인과 코사인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함수들은 따라서 "조화 함수(harmonics)"라고 불린다.[1] 푸리에 분석은 단위원 위의 함수를 이러한 조화 함수들의 급수로 전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위 ''n''-구면에서 조화 함수의 고차원 유사체를 고려하면 구면 조화 함수에 도달한다.[1] 이 함수들은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화(harmonic)"는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는 모든 함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1] 
[1] 
서적
 
Harmonic Function Theory
 
https://archive.org/[...] 
Springer
 
2001
 
 
                        
:
가 다음 편미분 방정식을 따른다면, 이를 '''조화 함수'''라고 한다.
:
여기서
:
는 라플라스 연산자이다. 함수 가 라플라스 연산자
:
에 대하여, 을 만족할 때, 함수 는 '''조화''' harmonic영어적이다, 또는 는 '''조화 함수'''이다라고 한다.
주어진 영역  위의 조화 함수 전체가 이루는 집합은 라플라스 연산자 의 핵이며, 따라서 실 벡터 공간이 된다. 즉, 조화 함수의 합, 차, 스칼라 배는 또한 조화 함수가 된다.
영역  위의 조화 함수 에 대하여, 의 임의의 편도함수는 또한  위의 조화 함수이다. 라플라스 연산자 와 편미분 연산자 는 조화 함수의 클래스 위에서는 교환 가능하다.
여러 의미에서, 조화 함수는 정칙 함수의 실해석에서의 대응물로 생각할 수 있다. 임의의 조화 함수는 실 해석적이다 (즉, 국소적으로 멱급수로 표현된다). 이것은 타원형 연산자(라플라스 연산자는 그 예로 잘 알려져 있다)에 관한 일반적인 사실이다.
조화 함수의 균일 극한 함수는 또한 조화 함수이다. 이것은 중간값 성질을 갖는 임의의 연속 함수가 조화적이라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3. 성질
만약 f가 U에서 조화 함수라면, f의 모든 편미분 또한 U에서 조화 함수이다. 라플라스 연산자 Δ와 편미분 연산자는 이러한 함수 계열에서 서로 교환 가능하다.
여러 면에서 조화 함수는 정칙 함수의 실수 버전과 유사하다. 모든 조화 함수는 해석적이며, 즉 국소적으로 멱급수로 표현될 수 있다. 이것은 라플라스 연산자가 주요 예시인 타원형 연산자에 대한 일반적인 사실이다.
수렴하는 조화 함수들의 수열의 균등 극한 또한 조화 함수이다. 이는 평균값 성질을 만족하는 모든 연속 함수가 조화 함수이기 때문이다.  (-\infty,0) × ℝ에서  로 정의된 수열을 생각해보자. 이 수열은 조화 함수이며 영 함수로 균등 수렴한다. 그러나 편미분은 영 함수(영 함수의 도함수)로 균등 수렴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예시는 극한이 조화 함수임을 주장하기 위해 평균값 성질과 연속성에 의존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조화 함수의 몇 가지 중요한 성질은 라플라스 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 정칙성 ====
조화 함수는 2계 연속 미분 가능성만을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매끄러운 함수이자 해석 함수이다. 즉, 무한 번 미분 가능하고 실해석적이다. 이는 조화 함수에 구대칭인 평활화 함수를 작용시킨 것이 평균값의 성질에서 조화 함수 자체와 일치하는 것으로부터 보여진다. 이 성질은 보다 일반적인 조건 하에서 와일의 보조정리로 알려져 있다.
==== 최대치 원리 ====
열린집합 U⊆ℝn의 콤팩트 부분 집합 KsubsetneqU가 주어졌을 때, f|K는 (콤팩트 공간 위의 연속 함수이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이 경우, f가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게 되는 점은 (상수 함수가 아니라면) 항상 K의 경계 ∂K에 위치한다.
특히, 조화 함수는 상수 함수가 아니라면 최댓값이 아닌 극댓값을 가질 수 없다.
조화 함수는 ''최대치 원리''를 만족한다. 만약 K가 U의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부분집합이라면, K에 제한된 f는 K의 경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갖는다. U가 연결 공간이라면, 이는 f가 상수 함수인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소적 극대값이나 극소값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화 함수의 평균값 성질은 최대값(최소값)에 강한 제약을 부과하기 때문에, 조화 함수는 영역의 경계에서 최대값(최소값)을 취한다. 정확히는, U를 ℝn의 유계인 열린 집합이라 하고, φ가 U 위의 조화 함수이며, φ를 경계까지 연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면,
:
가 성립한다. 이 성질을 '''조화 함수의 최대치 원리'''라고 부른다. U가 연결 열린 집합인 경우에, 가 존재하면, φ는 상수 함수가 된다. 이 성질을 '''조화 함수의 강 최대치 원리'''라고 부른다.
최대치 원리의 직접적인 응용으로는 포아송 방정식의 경계값 문제에서 해의 유일성을 증명하는 것이 있다. ℝn의 유계인 열린 집합 U와 그 경계 ∂U에서, f ∈ C(U)와 g ∈ C(∂U)를 주고, 포아송 방정식의 경계값 문제를 생각한다. 이 경계값 문제의 두 해에 대해, 차를 취한 것은 조화 함수이며, 최대치 원리에 의해, 그 최대값, 최소값은 0이 된다. 즉, 두 해는 일치한다.
==== 평균값 정리 ====
조화 함수는 어떤 점에서의 값이 그 점을 중심으로 하는 구의 표면 또는 내부에서의 평균값과 같다는 평균값 정리를 만족한다.
중심이 x이고 반지름이 r인 구 B(x, r)가 열린 집합 \(\Omega \subset \R^n\)에 완전히 포함될 때, 조화 함수 \(u: \Omega \to \R\)의 중심에서의 값 u(x)는 구의 표면에서 u의 평균값으로 주어지며, 이 평균값은 구의 내부에서 u의 평균값과도 같다. 즉,
\(u(x) = \frac{1}{n\omega_n r^{n-1}}\int_{\partial B(x,r)} u\, d\sigma  = \frac{1}{\omega_n r^n}\int_{B(x,r)} u\, dV\)
여기서 \(ω_n\)은 n차원 단위 구의 부피이고, σ는 (n − 1)차원 표면 측도이다.
반대로, 평균값 성질을 만족하는 모든 국소적으로 적분 가능한 함수는 무한히 미분 가능하고 조화 함수이다.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r인 구의 특성 함수를 \(\chi_r := \frac{1}\chi_{B(0, r)} = \frac{n}{\omega_n r^n}\chi_{B(0, r)}\)로 정규화하면, 함수 u는 \(B(x,r) \subset \Omega\)일 때 \(u(x) = u*\chi_r(x)\)이면 Ω에서 조화 함수이다.
조화 함수의 평균값 성질과 그 역의 증명은 비균질 방정식 \(\Delta w = \chi_r  - \chi_s\)가 \(B(0, r)\)에서 컴팩트한 지지를 갖는 \(C^{1,1}\) 클래스의 해 \(w_{r,s}\)를 갖는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즉시 따르며, 이를 통해 u가 조화 함수일 때 \(0=\Delta u * w_{r,s} = u*\Delta w_{r,s}= u*\chi_r  - u*\chi_s\)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R^n\) 내의 영역 U에서 정의된 조화 함수 \(\phi(x)\)에 대해, 어떤 점 \(x \in U\)에서의 값 \(\phi(x)\)는 점 x를 중심으로 U에 포함되는 임의의 반지름 r을 갖는 (n-1)차원 구면 \(\partial B(x,r)\) 위에서의 \(\phi\)의 평균값과 같다. 즉,
\(\phi(x)=\frac{1}{\omega(n)r^{n-1}}\int_{\partial B(x,r)}\!\! \phi(y)dS(y)\)
가 성립하며, 여기서 \(\omega(n) = \frac{n \pi^{n/2}}{\Gamma(\frac{n}{2}+1)}\)는 (n-1)차원 단위 구면의 면적이다. 이를 가우스의 평균값 정리, 또는 조화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라고 한다.
이 결과로부터 조화 함수 \(\phi(x)\)는 점 x를 중심으로 U에 포함되는 임의의 반지름 r을 갖는 n차원 구체 \(B(x,r)\)에서의 평균과도 일치한다. 즉,
\(\phi(x)=\frac{1}{\alpha(n)r^{n}}\int_{B(x,r)}\!\! \phi(y)dy\)
가 성립하며, 여기서 \(\alpha(n)=\frac{\pi^{n/2}}{\Gamma(\frac{n}{2}+1)}\)는 n차원 단위 구의 부피이다.
반대로 \(\phi \in C^2(U)\)에서 \(\phi(x)\)가 U 내의 임의의 구면 \(\partial B(x,r)\) 위의 평균과 일치한다면, \(\phi\)는 조화 함수가 된다.
==== 등각 변환과의 관계 (2차원) ====
2차원에서, 조화 함수는 등각 변환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임의의 등각 변환을 적용해도 조화 함수는 여전히 조화 함수이다. 그러나 이는 다른 차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임의의 해석 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ℝ²에서 조화 함수를 생성하며, 이들은 조화 공액 함수 쌍이라고 불린다. 반대로, ℝ²의 열린 부분집합 Ω에서의 임의의 조화 함수 u는 국소적으로 해석 함수의 실수부이다. z = x + iy라고 쓰면 복소 함수 g(z) := ux - i uy는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Ω에서 해석적이다. 따라서 g는 국소적으로 원함수 f를 가지며, ux가 f' = g의 실수부이므로 u는 상수를 제외하고 f의 실수부이다.
복소수  ''z'' = ''x'' + ''iy'' (''x'', ''y'' ∈ '''R''' )를 변수로 하는 복소 1변수 복소함수 ''f''(''z'') 에 대해, 이를 실 2변수 함수로 다시 쓸 수 있다. 실 2변수 복소함수 ''w''(''x'', ''y'') = ''f''(''z'') 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해하면 ''w''(''x'', ''y'') = ''u''(''x'', ''y'')  + ''iv''(''x'', ''y'')  (''u'', ''v'' ∈ '''R''' )이고,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응하는 실 2변수 실함수로 ''u''(''x'', ''y'')와 ''v''(''x'', ''y'')를 얻는다. 이때, ''w''가 복소 미분 가능하다면 ''u''(''x'', ''y''), ''v''(''x'', ''y'')는 실 2변수 조화함수가 된다.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 두 함수 ''u''(''x'', ''y''), ''v''(''x'', ''y'')는 ∂''x''''u''(''x'',''y'') = ∂''y''''v''(''x'',''y'') , ∂''y''''u''(''x'',''y'') = -∂''x''''v''(''x'',''y'')를 만족한다. 이를 벡터 해석의 언어로 다시 쓰면 grad ''u''(''x'', ''y'') = (∂''y'', −∂''x'')T''v''(''x'', ''y'')가 되고, 이 발산 div grad ''u''(''x'', ''y'') = Δ ''u''(''x'', ''y'')는 0이므로, 함수 ''u''(''x'', ''y'')는 2차원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는 조화함수임을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v''(''x'', ''y'')도 조화함수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해석적인 복소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실 조화함수가 된다.
반대로, 두 개의 실 조화함수가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할 때, 그것들은 공액이라고 하고, 공액인 실 조화함수의 쌍 ''u''(''x'', ''y'')}, ''v''(''x'', ''y'')가 주어지면, ''z'' = ''x'' + ''iy''를 변수로 하는 해석 함수 ''f''(''z'') = ''u''(''x'', ''y'')  + ''iv''(''x'', ''y'') 를 얻는다. 단순 연결 복소 영역 위의 실 조화함수는 조화 공액함수를 갖는다(즉, 해석 함수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이다).
==== 리우빌의 정리 ====
 위에 정의된 조화 함수 가운데 유계 함수인 것은 상수 함수 밖에 없다는 정리이다.
조화 함수는 상수 함수가 아니라면 최댓값이 아닌 극댓값을 가질 수 없다. 에드워드 넬슨은 유계 함수의 경우 이 정리에 대한 간결한 증명을 제시했다.[2] 평균값 성질을 사용한 증명에 따르면, 두 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같은 두 개의 구에서, 반지름이 충분히 크면 두 구는 부피의 임의로 작은 비율을 제외하고 일치한다. 유계인 의 평균값은 임의로 가까워지며, 따라서 는 어떤 두 점에서도 같은 값을 갖는다.
이 증명은 조화 함수 가 단순히 위로 유계이거나 아래로 유계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가 비음이라고 가정하고, 임의의 두 점 와 , 그리고 임의의 양수 에 대해, 라고 하자. 그러면 삼각 부등식에 의해 첫 번째 구가 두 번째 구에 포함되는 와 라는 구들을 고려할수 있다. 평균값 성질과 적분의 단조성에 의해,
를 얻는다. (는 에 무관) 마지막 식에서 로 곱하고 나누고 평균값 성질을 다시 사용하면,
를 얻고 일 때,
은 1에 수렴한다. 따라서 이며, 와 의 역할을 바꾼 동일한 논증은 를 보여주므로, 이다.
다른 증명은 에서 인 브라운 운동 가 주어지면, 모든 에 대해 임을 이용한다. 즉, 조화 함수는 브라운 운동에 대한 마틴게일을 정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확률적 결합 논증이 증명을 완성한다.[3]
전체 에서 정의된 유계인 조화 함수는 상수 함수이다. 이는 복소 함수에 대한 리우빌 정리와 유사하다.
==== 하르낙 부등식 ====
유계 영역 Ω에 포함된 연결 집합 V⊂V̄⊂Ω을 생각하자. 그러면 모든 비음의 조화 함수 u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하르낙 부등식이 성립한다.
supV u ≤ C infV u
여기서 상수 C는 V와 Ω에만 의존한다. 하르나크의 부등식을 참고하라.
==== 특이점 제거 ====
조화 함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이점 제거 원리가 성립한다. 만약 f영어가 \R^n영어의 점집합 에서 정의된 조화 함수이고, 기본 해(n > 2일 경우)보다 ''x''0영어에서 특이성이 덜하며, 즉
이면 Ω/f}}는 {{math영어에서 조화 함수로 확장된다(리만의 정리를 복소 변수 함수와 비교하라).
==== 약조화 함수 ====
함수(또는 더 일반적으로, 분포)는 약한 의미(또는 동등하게, 분포의 의미에서)로 라플라스 방정식 Δf = 0을 만족하면 약하게 조화적이다. 약하게 조화적인 함수는 거의 모든 곳에서 강하게 조화적인 함수와 일치하며, 특히 매끄럽다. 약하게 조화적인 분포는 바로 강하게 조화적인 함수와 관련된 분포이며, 따라서 매끄럽다. 이것이 바일의 보조정리이다.
라플라스 방정식의 다른 유용한 약한 공식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디리클레 원리로, 소볼레프 공간 ''H''1(Ω)에서 조화 함수를 디리클레 에너지 적분 J(u) := ∫Ω |∇u|2 dx 의 국소적 변분에 대한 최소화 함수로 나타낸다. 즉, 모든 u∈H1(Ω) 함수에 대해 J(u) ≤ J(u+v)가 모든 v∈C∞c(Ω), 또는 동등하게 모든 v∈H10(Ω)에 대해 성립한다.
3. 1. 정칙성
조화 함수는 2계 연속 미분 가능성만을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매끄러운 함수이자 해석 함수이다. 즉, 무한 번 미분 가능하고 실해석적이다. 이는 조화 함수에 구대칭인 평활화 함수를 작용시킨 것이 평균값의 성질에서 조화 함수 자체와 일치하는 것으로부터 보여진다. 이 성질은 보다 일반적인 조건 하에서 와일의 보조정리로 알려져 있다.
3. 2. 최대치 원리
열린집합 U⊆ℝn의 콤팩트 부분 집합 KsubsetneqU가 주어졌을 때, f|K는 (콤팩트 공간 위의 연속 함수이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이 경우, f가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게 되는 점은 (상수 함수가 아니라면) 항상 K의 경계 ∂K에 위치한다.
특히, 조화 함수는 상수 함수가 아니라면 최댓값이 아닌 극댓값을 가질 수 없다.
조화 함수는 ''최대치 원리''를 만족한다. 만약 K가 U의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부분집합이라면, K에 제한된 f는 K의 경계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갖는다. U가 연결 공간이라면, 이는 f가 상수 함수인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소적 극대값이나 극소값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화 함수의 평균값 성질은 최대값(최소값)에 강한 제약을 부과하기 때문에, 조화 함수는 영역의 경계에서 최대값(최소값)을 취한다. 정확히는, U를 ℝn의 유계인 열린 집합이라 하고, φ가 U 위의 조화 함수이며, φ를 경계까지 연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면,
:
가 성립한다. 이 성질을 '''조화 함수의 최대치 원리'''라고 부른다. U가 연결 열린 집합인 경우에, 가 존재하면, φ는 상수 함수가 된다. 이 성질을 '''조화 함수의 강 최대치 원리'''라고 부른다.
최대치 원리의 직접적인 응용으로는 포아송 방정식의 경계값 문제에서 해의 유일성을 증명하는 것이 있다. ℝn의 유계인 열린 집합 U와 그 경계 ∂U에서, f ∈ C(U)와 g ∈ C(∂U)를 주고, 포아송 방정식의 경계값 문제를 생각한다. 이 경계값 문제의 두 해에 대해, 차를 취한 것은 조화 함수이며, 최대치 원리에 의해, 그 최대값, 최소값은 0이 된다. 즉, 두 해는 일치한다.
3. 3. 평균값 정리
조화 함수는 어떤 점에서의 값이 그 점을 중심으로 하는 구의 표면 또는 내부에서의 평균값과 같다는 평균값 정리를 만족한다.
중심이 x이고 반지름이 r인 구 B(x, r)가 열린 집합 \(\Omega \subset \R^n\)에 완전히 포함될 때, 조화 함수 \(u: \Omega \to \R\)의 중심에서의 값 u(x)는 구의 표면에서 u의 평균값으로 주어지며, 이 평균값은 구의 내부에서 u의 평균값과도 같다. 즉,
\(u(x) = \frac{1}{n\omega_n r^{n-1}}\int_{\partial B(x,r)} u\, d\sigma  = \frac{1}{\omega_n r^n}\int_{B(x,r)} u\, dV\)
여기서 \(ω_n\)은 n차원 단위 구의 부피이고, σ는 (n − 1)차원 표면 측도이다.
반대로, 평균값 성질을 만족하는 모든 국소적으로 적분 가능한 함수는 무한히 미분 가능하고 조화 함수이다.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r인 구의 특성 함수를 \(\chi_r := \frac{1}\chi_{B(0, r)} = \frac{n}{\omega_n r^n}\chi_{B(0, r)}\)로 정규화하면, 함수 u는 \(B(x,r) \subset \Omega\)일 때 \(u(x) = u*\chi_r(x)\)이면 Ω에서 조화 함수이다.
조화 함수의 평균값 성질과 그 역의 증명은 비균질 방정식 \(\Delta w = \chi_r  - \chi_s\)가 \(B(0, r)\)에서 컴팩트한 지지를 갖는 \(C^{1,1}\) 클래스의 해 \(w_{r,s}\)를 갖는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즉시 따르며, 이를 통해 u가 조화 함수일 때 \(0=\Delta u * w_{r,s} = u*\Delta w_{r,s}= u*\chi_r  - u*\chi_s\)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R^n\) 내의 영역 U에서 정의된 조화 함수 \(\phi(x)\)에 대해, 어떤 점 \(x \in U\)에서의 값 \(\phi(x)\)는 점 x를 중심으로 U에 포함되는 임의의 반지름 r을 갖는 (n-1)차원 구면 \(\partial B(x,r)\) 위에서의 \(\phi\)의 평균값과 같다. 즉,
\(\phi(x)=\frac{1}{\omega(n)r^{n-1}}\int_{\partial B(x,r)}\!\! \phi(y)dS(y)\)
가 성립하며, 여기서 \(\omega(n) = \frac{n \pi^{n/2}}{\Gamma(\frac{n}{2}+1)}\)는 (n-1)차원 단위 구면의 면적이다. 이를 가우스의 평균값 정리, 또는 조화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라고 한다.
이 결과로부터 조화 함수 \(\phi(x)\)는 점 x를 중심으로 U에 포함되는 임의의 반지름 r을 갖는 n차원 구체 \(B(x,r)\)에서의 평균과도 일치한다. 즉,
\(\phi(x)=\frac{1}{\alpha(n)r^{n}}\int_{B(x,r)}\!\! \phi(y)dy\)
가 성립하며, 여기서 \(\alpha(n)=\frac{\pi^{n/2}}{\Gamma(\frac{n}{2}+1)}\)는 n차원 단위 구의 부피이다.
반대로 \(\phi \in C^2(U)\)에서 \(\phi(x)\)가 U 내의 임의의 구면 \(\partial B(x,r)\) 위의 평균과 일치한다면, \(\phi\)는 조화 함수가 된다.
3. 4. 등각 변환과의 관계 (2차원)
2차원에서, 조화 함수는 등각 변환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임의의 등각 변환을 적용해도 조화 함수는 여전히 조화 함수이다. 그러나 이는 다른 차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임의의 해석 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ℝ²에서 조화 함수를 생성하며, 이들은 조화 공액 함수 쌍이라고 불린다. 반대로, ℝ²의 열린 부분집합 Ω에서의 임의의 조화 함수 u는 국소적으로 해석 함수의 실수부이다. z = x + iy라고 쓰면 복소 함수 g(z) := ux - i uy는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Ω에서 해석적이다. 따라서 g는 국소적으로 원함수 f를 가지며, ux가 f' = g의 실수부이므로 u는 상수를 제외하고 f의 실수부이다.
복소수  ''z'' = ''x'' + ''iy'' (''x'', ''y'' ∈ '''R''' )를 변수로 하는 복소 1변수 복소함수 ''f''(''z'') 에 대해, 이를 실 2변수 함수로 다시 쓸 수 있다. 실 2변수 복소함수 ''w''(''x'', ''y'') = ''f''(''z'') 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분해하면 ''w''(''x'', ''y'') = ''u''(''x'', ''y'')  + ''iv''(''x'', ''y'')  (''u'', ''v'' ∈ '''R''' )이고,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응하는 실 2변수 실함수로 ''u''(''x'', ''y'')와 ''v''(''x'', ''y'')를 얻는다. 이때, ''w''가 복소 미분 가능하다면 ''u''(''x'', ''y''), ''v''(''x'', ''y'')는 실 2변수 조화함수가 된다.
코시-리만 방정식에 의해, 두 함수 ''u''(''x'', ''y''), ''v''(''x'', ''y'')는 ∂''x''''u''(''x'',''y'') = ∂''y''''v''(''x'',''y'') , ∂''y''''u''(''x'',''y'') = -∂''x''''v''(''x'',''y'')를 만족한다. 이를 벡터 해석의 언어로 다시 쓰면 grad ''u''(''x'', ''y'') = (∂''y'', −∂''x'')T''v''(''x'', ''y'')가 되고, 이 발산 div grad ''u''(''x'', ''y'') = Δ ''u''(''x'', ''y'')는 0이므로, 함수 ''u''(''x'', ''y'')는 2차원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는 조화함수임을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v''(''x'', ''y'')도 조화함수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해석적인 복소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실 조화함수가 된다.
반대로, 두 개의 실 조화함수가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할 때, 그것들은 공액이라고 하고, 공액인 실 조화함수의 쌍 ''u''(''x'', ''y'')}, ''v''(''x'', ''y'')가 주어지면, ''z'' = ''x'' + ''iy''를 변수로 하는 해석 함수 ''f''(''z'') = ''u''(''x'', ''y'')  + ''iv''(''x'', ''y'') 를 얻는다. 단순 연결 복소 영역 위의 실 조화함수는 조화 공액함수를 갖는다(즉, 해석 함수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이다).
3. 5. 리우빌의 정리
 위에 정의된 조화 함수 가운데 유계 함수인 것은 상수 함수 밖에 없다는 정리이다.
조화 함수는 상수 함수가 아니라면 최댓값이 아닌 극댓값을 가질 수 없다. 에드워드 넬슨은 유계 함수의 경우 이 정리에 대한 간결한 증명을 제시했다.[2] 평균값 성질을 사용한 증명에 따르면, 두 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같은 두 개의 구에서, 반지름이 충분히 크면 두 구는 부피의 임의로 작은 비율을 제외하고 일치한다. 유계인 의 평균값은 임의로 가까워지며, 따라서 는 어떤 두 점에서도 같은 값을 갖는다.
이 증명은 조화 함수 가 단순히 위로 유계이거나 아래로 유계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가 비음이라고 가정하고, 임의의 두 점 와 , 그리고 임의의 양수 에 대해, 라고 하자. 그러면 삼각 부등식에 의해 첫 번째 구가 두 번째 구에 포함되는 와 라는 구들을 고려할수 있다. 평균값 성질과 적분의 단조성에 의해,
를 얻는다. (는 에 무관) 마지막 식에서 로 곱하고 나누고 평균값 성질을 다시 사용하면,
를 얻고 일 때,
은 1에 수렴한다. 따라서 이며, 와 의 역할을 바꾼 동일한 논증은 를 보여주므로, 이다.
다른 증명은 에서 인 브라운 운동 가 주어지면, 모든 에 대해 임을 이용한다. 즉, 조화 함수는 브라운 운동에 대한 마틴게일을 정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확률적 결합 논증이 증명을 완성한다.[3]
전체 에서 정의된 유계인 조화 함수는 상수 함수이다. 이는 복소 함수에 대한 리우빌 정리와 유사하다.
3. 6. 하르낙 부등식
유계 영역 Ω에 포함된 연결 집합 V⊂V̄⊂Ω을 생각하자. 그러면 모든 비음의 조화 함수 u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하르낙 부등식이 성립한다.
supV u ≤ C infV u
여기서 상수 C는 V와 Ω에만 의존한다. 하르나크의 부등식을 참고하라.
3. 7. 특이점 제거
조화 함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이점 제거 원리가 성립한다. 만약 f영어가 \R^n영어의 점집합 에서 정의된 조화 함수이고, 기본 해(n > 2일 경우)보다 ''x''0영어에서 특이성이 덜하며, 즉
이면 Ω/f}}는 {{math영어에서 조화 함수로 확장된다(리만의 정리를 복소 변수 함수와 비교하라).
3. 8. 약조화 함수
함수(또는 더 일반적으로, 분포)는 약한 의미(또는 동등하게, 분포의 의미에서)로 라플라스 방정식 Δf = 0을 만족하면 약하게 조화적이다. 약하게 조화적인 함수는 거의 모든 곳에서 강하게 조화적인 함수와 일치하며, 특히 매끄럽다. 약하게 조화적인 분포는 바로 강하게 조화적인 함수와 관련된 분포이며, 따라서 매끄럽다. 이것이 바일의 보조정리이다.
라플라스 방정식의 다른 유용한 약한 공식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디리클레 원리로, 소볼레프 공간 ''H''1(Ω)에서 조화 함수를 디리클레 에너지 적분 J(u) := ∫Ω |∇u|2 dx 의 국소적 변분에 대한 최소화 함수로 나타낸다. 즉, 모든 u∈H1(Ω) 함수에 대해 J(u) ≤ J(u+v)가 모든 v∈C∞c(Ω), 또는 동등하게 모든 v∈H10(Ω)에 대해 성립한다.
4. 예
 위에서,
:
는 조화 함수이다.
해석 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조화 함수이다. 예를 들어 는 이고 는 해석 함수이므로 조화 함수이다.
에서 정의된 함수 는 조화 함수이며, 선전하에 의한 전위 또는 긴 원통형 질량에 의한 중력 전위를 설명할 수 있다.
세 변수 조화 함수의 예는 인 경우, 아래 표와 같다.함수 특이점 원점에 위치한 단위 점전하 원점에 위치한 x 방향 쌍극자 전체 z축에 있는 단위 전하 밀도의 선 음의 z축에 있는 단위 전하 밀도의 선 전체 z 축에 있는 x 방향 쌍극자의 선 음의 z 축에 있는 x 방향 쌍극자의 선 
물리학에서 조화 함수는 특이점과 경계 조건(디리클레 경계 조건 또는 노이만 경계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경계가 없는 영역에서 정칙 함수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를 더하면 동일한 특이점을 갖는 조화 함수가 생성된다. 이 경우 조화 함수는 그 특이점에 의해 결정되지 않지만, r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해가 0에 접근한다는 조건을 부과하면 물리적 상황에서 해를 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조화 함수의 특이점은 전하와 전하 밀도로 표현되며, 정전기학의 용어를 사용하며, 해당 조화 함수는 이러한 전하 분포에 의한 정전기 전위에 비례한다.
4. 1. 기본적인 예
임의의 차원에서, 상수 함수와 선형 함수는 항상 조화 함수이다.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위에서,
:
는 조화 함수이다.
해석 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조화 함수이다. 예를 들어 는 이고 는 해석 함수이므로 조화 함수이다.
에서 정의된 함수 는 조화 함수이며, 선전하에 의한 전위 또는 긴 원통형 질량에 의한 중력 전위를 설명할 수 있다.
세 변수 조화 함수의 예는 인 경우, 아래 표와 같다.함수 특이점 원점에 위치한 단위 점전하 원점에 위치한 x 방향 쌍극자 전체 z축에 있는 단위 전하 밀도의 선 음의 z축에 있는 단위 전하 밀도의 선 전체 z 축에 있는 x 방향 쌍극자의 선 음의 z 축에 있는 x 방향 쌍극자의 선 
물리학에서 조화 함수는 특이점과 경계 조건(디리클레 경계 조건 또는 노이만 경계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경계가 없는 영역에서 정칙 함수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를 더하면 동일한 특이점을 갖는 조화 함수가 생성된다. 이 경우 조화 함수는 그 특이점에 의해 결정되지 않지만, r이 무한대로 접근할 때 해가 0에 접근한다는 조건을 부과하면 물리적 상황에서 해를 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조화 함수의 특이점은 전하와 전하 밀도로 표현되며, 정전기학의 용어를 사용하며, 해당 조화 함수는 이러한 전하 분포에 의한 정전기 전위에 비례한다.
4. 2. 1차원
1차원 공간 위의 조화 함수는 선형 함수이다. 특히, 원  위의 조화 함수는 상수 함수 밖에 없다.
4. 3. 2차원
리만 곡면 위의 정칙 함수의 실수부 및 허수부는 조화 함수이다. 이는 해석 함수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가 조화 함수를 이루는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 는 라는 해석 함수의 허수부()이며, ''x''에 대한 이계도함수는 , ''y''에 대한 이계도함수는 로 조화 함수이다.
복소수  ()를 변수로 하는 복소 1변수 복소함수 는 실수부 와 허수부 를 갖는 실 2변수 복소함수  ()로 표현할 수 있다. 만약 가 복소 미분 가능하다면, 와 는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하는 실 2변수 조화함수가 된다.
코시-리만 방정식에 따라, 와 는 다음을 만족한다.
:
이를 벡터 해석으로 표현하면 가 되고, 이 발산 는 0이므로, 는 2차원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는 조화함수이다. 같은 방식으로 도 조화함수임을 보일 수 있다. 즉, 해석적인 복소함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실 조화함수가 된다.
반대로, 두 실 조화함수가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하면 서로 공액이라 하며, 공액인 실 조화함수 쌍 , 가 주어지면, 를 변수로 하는 해석 함수 를 얻는다. 단순 연결 영역 위의 실 조화함수는 공액 조화함수를 갖는다(즉, 해석 함수의 실수부 또는 허수부이다).
에서 정의된 함수 는 선전하에 의한 전위 또는 긴 원통형 질량에 의한 중력 전위를 설명할 수 있는 조화 함수의 예시이다.
5. 응용
6. 일반화
6. 1. 다양체 위의 조화 함수
리만 다양체 위에서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를 사용하여 조화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함수 f가 조화 함수라는 것은 Δf = 0을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클리드 공간의 영역에서의 조화 함수의 많은 성질들이 이보다 더 일반적인 설정으로 확장되는데, 측지선 구면에서의 평균값 정리, 최대값 원리, 그리고 하르낙 부등식이 포함된다. 평균값 정리를 제외하고, 이들은 2계 일반 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에 대한 대응되는 결과들의 간단한 결과이다.
6. 2. 열조화 함수
라플라스 방정식 대신에, ''Δf'' ≥ 0을 만족하는 ''C''2-급 함수를 열조화 함수라고 한다. 이 조건 하에서도 최댓값 원리는 보장되지만, 조화 함수가 갖는 다른 성질은 만족한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더 일반적으로, 열조화 함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정의역 내의 임의의 구의 내부에서 그 함수의 그래프가 그 구의 경계값을 보간하는 조화 함수의 그래프 아래에 있다는 것이다.
6. 3. 조화 형식
리만 다양체 위의 조화 형식은 코호몰로지 연구와 관련하여 조화 함수를 일반화한 것이다. 일반화된 디리클레 에너지 함수의 임계점인 두 리만 다양체의 조화 벡터 값 함수 또는 조화 사상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는 디리클레 원리로 알려진 결과로 조화 함수를 특수한 경우로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조화 사상은 최소 곡면 이론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구간에서 실수}}로의 리만 다양체로의 사상인 곡선은 그것이 측지선일 경우에만 조화 사상이다.
매끄러운 계량을 갖는, 방향지정가능한 콤팩트 다양체 의 계량이 유도하는 내적에 관하여, 외미분 에 대한 형식적인 수반 작용소로서 여미분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미분 형식 위의 라플라스 작용소가 로 정의되고, 조화 형식의 공간이 정의된다. 자연스러운 사상에서 호지 정리의 첫 번째 부분은 벡터 공간의 동형이 된다는 것을 서술한다. 즉,  위의 각 드 람 코호몰로지류에 대해, 그 대표원으로서 조화 형식이 유일하게 취해진다.
비슷한 것은 콤팩트 다양체 위의 타원형 복체에 대해서도 서술된다. 즉, 타원형 복체의 코호몰로지는 조화 절단의 공간과 자연스럽게 동형이며, 각 코호몰로지류는 조화인 대표원을 유일하게 갖는다.
6. 4. 다양체 사이의 조화 사상
두 리만 다양체 M영어과 N영어 사이의 조화 사상 은 디리클레 에너지의 임계점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은 의 미분이며, 노름은 텐서 곱 다발 에 대한 M영어과 N영어의 메트릭에 의해 유도된다.
다양체 사이의 조화 사상의 중요한 특수한 경우로는 극소곡면이 있는데, 이는 정확히 3차원 유클리드 공간으로의 곡면의 조화 침입이다. 더 일반적으로, 극소 부다양체는 한 다양체의 다른 다양체로의 조화 침입이다. 조화 좌표는 다양체에서 같은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의 열린 부분집합으로의 조화 미분 동형사상이다.
7. 역사
참조
[2] 
논문
 
A proof of Liouville's theorem
 
[3] 
웹사이트
 
Probabilistic Coupling
 
https://blameitonthe[...] 
2022-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