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심정맥관은 혈관에 삽입하여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혈액 채취 등을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이다. 1929년 베르너 포르스만에 의해 최초로 삽입되었으며, 말초 정맥 접근이 어렵거나 특정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 장기간 정맥주사 치료, 특수 치료 등에 사용된다. 기흉, 혈관 천공, 감염, 혈전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삽입 부위와 카테터 종류에 따라 경피적 중심정맥관, 말초삽입 중심정맥관, 피하 터널형 중심정맥관, 이식형 중심정맥관 등으로 구분된다. 중심정맥관 유량은 하겐-푸아죄유 방정식을 통해 관의 내부 반경이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테터 - 풍선 카테터
풍선 카테터는 혈관 성형술, 요관 협착 치료, 난관 성형술 등 다양한 의료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 기구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중심정맥관 | |
---|---|
개요 | |
![]() | |
임상 의학 | 약물 투여에 사용되는 큰 정맥에 삽입하는 관형 장치이다. |
영어 명칭 | Central venous catheter |
관련 메쉬 ID | D002405 |
동의어 | |
한국어 | 중심정맥 루트, 중심정맥 라인, 중심정맥 접근 |
시술 | |
목적 | 약물 투여 |
2. 역사
1929년, 독일의 외과수련의 베르너 포르스만이 최초로 자신의 팔 정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우심방까지 도달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는 플라스틱 요도 카테터를 자신의 왼쪽 팔의 basilic vein|척골 피정맥영어에 삽입하였다. 그러나 상사의 허가를 받지 않아 질책을 받고 병원에서 해고되었다. 이후 이 시술의 의학적 공헌이 평가되어 195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
3. 의학적 사용
중심정맥관 사용에 절대적인 금기는 없다.[106]
4. 합병증
중심정맥관 삽입은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사용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이러한 합병증의 위험보다 크다.
- '''기흉''': 폐의 상단과 해부학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쇄골하 정맥 카테터 삽입 시 발생률이 가장 높다. 속목정맥 카테터 삽입의 경우, 초음파 유도를 통해 기흉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숙련된 의사의 경우 기흉 발생률은 약 1.5~3.1%이다.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 등에서는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도록 권장한다.[108] 기흉이 의심되면, 똑바로 선 자세에서 흉부 X선 촬영을 해야 한다. 이때 자유 공기(free air)가 폐의 꼭대기로 이동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환자실의 중증 환자는 똑바로 선 자세로 촬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촬영한 X선 사진은 기흉의 25~50%를 놓칠 수 있다.[109]
- '''혈관 천공''': 중심정맥관 삽입 시 카테터로 인한 혈관 천공은 주의해야 할 합병증이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다행히 발생률은 매우 드물며, 초음파 유도 하에 카테터를 삽입하면 더욱 그렇다. 목동맥의 우발적인 천공은 속목정맥에 중심정맥관을 삽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합병증이다. 초음파 유도 시 약 1%의 비율로 발생하지만, 해부학적 접근법을 사용하면 0.5~11%의 발생률이 보고된다.[110] 실수로 목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한 경우, 제거하면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카테터를 그대로 두고 혈관외과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106]
-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 (CLABSI)''': 모든 카테터는 세균을 혈액 내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이는 최대 25%의 환자에게 치명적인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11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LABSI)은 최근 몇 년 동안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112] CLABSI는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이며, 의료 비용을 증가시킨다. 미생물은 여러 경로로 중심 카테터를 통해 혈류에 들어갈 수 있다. 드물게 오염된 주입액을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카테터의 허브 등을 통해 카테터 내강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미생물은 카테터를 따라 피하조직을 통과하여 정맥으로 진입한다. 또한 혈액 내 세균이 카테터 표면에 부착되어 감염의 중심이 될 수 있다.[106] 중심정맥관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카테터와 신체의 다른 정맥에서 혈액 배양 검사를 실시한다. 중심정맥관에서 채취한 배양액에서 다른 정맥 부위보다 2시간 이상 빠르게 세균이 증식하면 해당 카테터가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정량적 혈액 배양 검사가 더 정확하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113]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이 의심되면, 거의 항상 항생제를 즉시 투여한다. 그러나 항생제 투여는 혈액 배양 검사 후에 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원인균을 식별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유기체는 표피포도상구균과 같은 응고효소 음성 포도상구균이다.[106] 황색포도상구균 균혈증을 유발하는 카테터 감염은 카테터 제거 및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다.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 카테터를 제거하면 38%의 환자에서 심내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114] 암 환자에게 장기간 중심정맥관 삽입 전에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이점이 없을 수 있으며, 그람 양성균 카테터 관련 감염을 예방하지 못할 수 있다.[115] 그러나 화학요법 등으로 인해 호중구감소증 위험이 있는 암 환자와 같이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는 항생제와 헤파린이 포함된 용액으로 카테터를 세척하여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115]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중심정맥관 제거 시 일상적인 배양 검사를 권장하지 않는다.[116] CDC는 카테터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권장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119]
- 비터널형 카테터를 포함한 카테터 삽입 시 가장 선호되는 부위는 쇄골하정맥이며, 가능하면 넙다리정맥은 피해야 한다.
- 터널형 카테터 삽입 부위에 대한 명확한 권장 사항은 없다.
- 카테터는 임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포트가 있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 중심정맥관 삽입 시 의사는 소독된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 중심정맥관 삽입 시 환자의 전신에 소독된 천을 덮고, 모자, 마스크, 장갑을 모두 착용해야 한다.
- 카테터 삽입 부위는 감염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항상 시각적으로, 그리고 (드레싱을 통한) 촉진을 통해 모니터링해야 한다.
- 혈관 내 카테터 드레싱 교체 시에는 살균되지 않은 청결한 장갑을 사용해도 된다.
- 클로르헥시딘과 포비돈-아이오딘 모두 피부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지만, 클로르헥시딘이 더 선호된다.
- 단기간 중심정맥관 삽입 시에는 투명 필름 드레싱의 경우 최소 7일에 한 번, 거즈 드레싱은 2일에 한 번 교체해야 한다.
- 장기간의 매립형이나 터널형 카테터 사용 시에는 드레싱이 더러워졌거나 헐거워지지 않았다면 1주일에 한 번만 교체한다.
- 중심정맥관의 정기적인 제거 및 교체는 권장되지 않는다. 중심정맥관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즉시 제거해야 하지만,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하거나 새로운 부위에 삽입하는 것은 감염 예방에 이득이 없다.
- '''카테터 폐쇄''': 카테터가 꼬이거나, 혈액이 역류하거나, 침전물을 형성하는 불용성 물질 투여 시 정맥 카테터가 막힐 수 있다. 그러나 중심정맥관이 막히는 가장 흔한 원인은 혈전증으로, 전체 카테터 삽입의 25%에서 발생한다.[106]

- '''잘못된 위치''':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가 정상과 다르거나, 외상 또는 과거의 수술로 인해 삽입이 어려운 경우 중심정맥관을 잘못된 위치에 삽입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26] 중심정맥관 삽입 중 목에서는 목동맥이나 척추동맥, 사타구니에서는 온넙다리동맥 등의 동맥에 잘못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실수는 카테터의 압력을 보여주는 특수한 관을 사용해 빠르게 확인해야 한다. 또한 혈액 표본의 산도(pH), 산소 농도 (pO2), 이산화탄소 농도 (pCO2)가 동맥의 특징(높은 pH와 pO2, 낮은 pCO2)을 보이는지, 아니면 정맥의 특징(낮은 pH와 pO2, 높은 pCO2)을 보이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104] 쇄골하정맥으로 중심정맥관을 삽입할 때, 실수로 위대정맥이 아닌 같은 쪽 속목정맥으로 카테터를 잘못 밀어넣을 수 있다. 이러한 사고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삽입 직후 흉부 X선을 촬영한다.[128]
- '''정맥 공기색전증''': 정맥 순환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발생할 수 있다. 드물지만 치명적이며, 공기의 부피와 유입 속도에 따라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결정된다. 몇 초 만에 최소 200~300mL의 공기가 들어오면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129] 급성 색전성 뇌졸중, 폐부종, 급성 우심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다.[106] 정맥 공기색전증의 증상은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증상이 있는 경우 가장 흔한 증상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기침이다. 증상이 심하면 저혈압 및 의식 수준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106]
- '''카테터 관련 혈전증 (CRT)''': 장기간 중심정맥관 사용 시 혈전이 생기는 것이다. 상지 말단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며, 폐색전증, 혈전후 증후군, 혈관 손상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통증, 압통, 부종, 국소적인 열감, 홍반 등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카테터 관련 혈전증은 무증상이며, 이전 카테터 감염력이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한다. 루틴한 카테터 세척이 카테터 관련 혈전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130]
5. 삽입 방법
중심정맥관 삽입에 앞서 환자의 관련 검사 결과와 적응증을 확인하여 시술로 인한 위험과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평가를 진행한다. 이후 삽입 부위의 피부를 소독하고, 필요한 경우 국소마취제를 사용한다. 정맥의 위치는 해부학적 지표를 이용하거나 초음파 기기로 확인한다. 바늘을 피가 나올 때까지 피부로 찔러 넣으며, 혈액의 색깔과 나오는 속도로 동맥혈과 정맥혈을 구분하여 실수로 동맥을 찌르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는 해부학적 지표를 이용하는 경우가 줄고 있으며, 중심정맥관 삽입에 초음파를 최적표준으로 삼고 있다.[134][135] 최근 연구에서는 빗장밑정맥 카테터 삽입 시 초음파 유도를 이용하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한다.[136][137][138]
셀딩에르 기법을 통해 중심정맥관을 삽입한다. 먼저 바늘을 통해 가이드와이어(안내선)를 넣은 후 바늘을 제거한다. 이때 통로를 넓히기 위해 조직 확장기를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중심정맥관을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삽입하고 가이드와이어는 제거한다. 중심정맥관의 모든 도관이 정맥 안에 올바르게 들어갔는지 확인하기 위해 식염수나 헤파린을 이용하여 혈류를 확인할 수 있다.[104] 삽입술 후에는 위대정맥 안에 중심정맥관이 잘 들어갔는지 확인하고, 기흉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흉부 X선을 촬영할 수 있다. 전후방(AP) X선에서 기관갈림 높이보다 29~55mm 아래에 위치하면 적절한 위치로 간주한다.[139] 삽입 후에는 감염을 막기 위해 해당 부위에 드레싱을 실시한다.
6. 종류
중심정맥관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카테터가 신체에 삽입되는 부위 및 사용되는 특정 카테터 유형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38] [95]
6. 1. 삽입 부위에 따른 분류
- 경피적 중심정맥관 (CVC): 피부를 통해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주로 내경정맥, 외경정맥, 쇄골하 정맥, 대퇴 정맥을 사용한다. 중증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며칠에서 몇 주 동안 사용할 수 있다. 환자는 병원에 입원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봉합사 또는 제조된 고정 장치로 카테터를 고정한다.[39] 퀸튼 카테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테터의 한 종류이다.
- 말초삽입 중심정맥관 (PICC): PICC 라인이라고도 하며, 팔의 정맥 (상완 정맥 또는 요골 정맥)을 통해 삽입하는 중심정맥관이다. 상완 정맥은 요골 정맥보다 크고 팔을 통해 더 곧게 뻗어 있어 삽관에 더 적합하다. 카테터의 끝은 상대정맥에 위치한다.[1] PICC 라인은 중심정맥관보다 직경이 작고 길이가 훨씬 길어 (50–70cm 대 15–30cm) 유체 흐름 속도가 느리므로, 빠르고 대량의 수액 소생술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쉽게 막힐 수 있으며 페니토인과 함께 사용할 수 없다.[39] 정맥 혈전증과 협착을 유발할 수 있어 만성 신장 질환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40][41]

그러나 PICC 라인은 최대 1년까지 정맥 접근을 제공하고, 환자가 집으로 가져갈 수 있으며, 중심정맥관 삽입의 합병증 (예: 기흉, 우발적인 동맥 삽관)을 피할 수 있고, 초음파 유도 하에 비교적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중심정맥관보다 불편함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3] 침상, 가정 또는 방사선 환경에서 삽입할 수 있으며, 봉합사 또는 제조된 고정 장치로 고정한다.[39]
- 피하 터널형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에서 별도의 출구 부위까지 피부 아래로 터널을 만들어 삽입하는 방식이다. 카테터와 부착물은 피부 아래에서 나오며, 출구 부위는 일반적으로 가슴에 위치하여 경부에서 직접 돌출되는 카테터보다 접근 포트가 덜 눈에 띈다. 피부 아래 터널은 감염을 예방하고 안정성을 제공한다. 외과적 절차를 통해 카테터가 상대정맥에 들어가기 전에 가슴 부위의 피부 아래에서 피하로 터널링된다. 히크만 카테터, 그로셕 카테터, Broviac 카테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터널 카테터는 몇 달에서 몇 년 동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삽입 부위 근처의 카테터를 둘러싸고 항균 용액으로 코팅된 Dacron 커프(항균 커프) 덕분에 감염률이 낮으며, 삽입 후 2~3주 후에 카테터를 제자리에 고정한다.[39]
- 이식형 중심정맥관 (ICVC, 포트): 포트라고도 하며, 터널형 카테터와 유사하지만 피부 아래에 완전히 이식된다. 포트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며, 일부 포트는 동일한 방식으로 재충전할 수 있는 작은 저장소를 포함한다. 저장소는 약물을 혈류로 서서히 방출한다. 외과적으로 쇄골 아래에 삽입되며, 카테터는 큰 정맥을 통해 심장 (우심방)으로 삽입된다. 삽입 후에는 "그리퍼" 비관통형 Huber-팁 바늘 (PowerLoc는 한 브랜드)을 사용하여 포트에 접근한다. 바늘 어셈블리에는 짧은 길이의 튜브와 캐뉼라가 포함되며, 피부를 통해 직접 삽입된다. 국소 마취제를 사용할 수 있다. 포트는 약물, 화학 요법 및 혈액 샘플 채취에 사용될 수 있으며, CVC 또는 PICC 카테터보다 유지 관리가 쉽고 감염 위험이 낮다.[1]



매립형 포트는 터널형 카테터나 PICC 라인보다 눈에 띄지 않고, 일상적인 관리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환자의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그러나 포트 접근에는 특수 장비와 교육이 필요하다. 장기간의 치료 과정 동안 정기적인 정맥 접근이 필요한 환자에게 주로 사용되며, 외과적으로 제거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세척한다. 단기간에 걸쳐 빈번한 정맥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부 접근이 가능한 카테터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
6. 2. 카테터 종류에 따른 분류
중심 정맥 접근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카테터는 삼중 루멘 카테터이다.[3] 세 개의 주입 채널을 가지고 있어 여러 치료를 동시에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환자실에서) 선호된다.[3] 카테터 크기는 프렌치 눈금을 사용하며, 성인에게는 일반적으로 7 French 크기를 사용한다. 이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16 게이지 채널 1개와 18 게이지 채널 2개를 가지고 있다.[3] 프렌치 눈금과 반대로, 게이지 숫자가 클수록 카테터 직경은 작아진다. 여러 주입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42]혈액 투석 카테터는 혈액 투석의 높은 유속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200–300ml/min의 유속을 낼 수 있는 큰 직경(최대 16 프랑스 또는 5.3mm)의 카테터이다. 두 개의 채널이 있는데, 하나는 환자의 혈액을 투석 기계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혈액을 환자에게 다시 돌려보내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내경정맥에 삽입된다.[3]
도입기(introducer)는 일반적으로 폐동맥 카테터나 경정맥 인공 심박 조율기와 같은 임시 혈관 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되는 큰 카테터(8-9 French)이다. 도입기 덮개(sheath)를 먼저 삽입한 다음, 장치를 덮개를 통해 혈관으로 밀어 넣는다. 이 카테터는 큰 직경과 짧은 길이로 인해 빠른 주입을 위한 독립형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가압 주입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면 분당 850ml의 유속을 달성할 수 있다.[99]
7. 카테터 관리
카테터는 혈류에 세균을 침투시켜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최대 25%의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111]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LABSI)은 최근 더욱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112]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이며 의료 비용을 증가시킨다.[10]
미생물은 다양한 경로로 중심정맥관을 통해 혈류에 침투할 수 있다. 드물게 수액 오염으로 유입되기도 하고, 카테터 허브와 같은 연결 부위를 통해 카테터 내강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미생물은 카테터를 따라 피하조직을 통과하여 정맥으로 진입한다. 또한 혈액 내 세균이 카테터 표면에 부착되어 감염의 중심이 될 수 있다.[106]
중심정맥관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카테터와 신체의 다른 정맥에서 혈액 배양 검사를 실시한다. 중심정맥관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세균이 더 빨리 (2시간 이상) 성장하면 감염 가능성이 높다. 정량적 혈액 배양 검사가 더 정확하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113]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항생제를 투여한다. 단, 항생제 투여 전 혈액 배양 검사를 실시하여 원인균을 파악해야 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표피포도상구균과 같은 응고효소 음성 포도상구균이다.[106] 황색포도상구균 균혈증의 경우 카테터 제거와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며, 항생제 없이 카테터만 제거하면 38%의 환자에서 심내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114] 암 환자의 경우 장기간 중심정맥관 삽입 전 항생제 투여는 이득이 없을 수 있으며, 그람 양성균 감염을 예방하지 못할 수 있다.[115] 그러나 화학요법 등으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암 환자와 같이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는 항생제와 헤파린이 포함된 용액으로 카테터를 세척하여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115]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중심정맥관 제거 시 정기적인 배양 검사는 권장하지 않는다.[116] 대신 감염 예방을 위한 다양한 권장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116]
감염 예방을 위해 카테터 삽입 부위는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포비돈-아이오딘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클로르헥시딘이 두 배 정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17] 정기적인 카테터 교체는 감염 예방에 차이를 만들지 못한다.[118] CDC는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 다음과 같은 권장사항을 제시한다.[119]
- 비터널형 카테터 삽입 시 빗장밑정맥을 선호하며, 넙다리정맥은 피해야 한다.
- 터널형 카테터 삽입 부위에 대한 명확한 권장사항은 없다.
- 감염 예방을 위해 포트가 최소로 존재하는 카테터를 선택해야 한다.
- 중심정맥관 삽입 시 소독된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 환자의 전신에 소독된 천을 덮고, 모자, 마스크,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 카테터 삽입 부위를 시각적, 촉진으로 항상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혈관내 카테터 드레싱 교체 시에는 살균되지 않은 청결한 장갑을 사용해도 된다.
- 클로르헥시딘과 포비돈-아이오딘 모두 피부 소독에 사용 가능하나, 클로르헥시딘이 더 선호된다.
- 단기간 중심정맥관 삽입 시 투명 필름 드레싱은 최소 7일, 거즈 드레싱은 2일에 한 번씩 교체해야 한다.
- 장기간 매립형/터널형 카테터는 드레싱이 더러워지거나 헐거워지지 않았다면 1주일에 한 번만 교체한다.
- 중심정맥관의 정기적인 제거 및 교체는 권장되지 않는다.
- 약제가 포함된 드레싱 제품은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120]
- 중심정맥관 드레싱 교체 주기가 길어질 때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21]
- 피부 소독제 사용 여부가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 발생률을 줄이는지는 불명확하다.[122]
카테터는 꼬임, 혈액 역류, 침전물 형성 등으로 폐쇄될 수 있다. 혈전증은 중심정맥관 폐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최대 25%의 카테터에서 발생한다.[3]
중심정맥관은 상지 심부 정맥 혈전증을 포함한 혈전 (정맥 혈전증) 형성의 위험 요인이다.[22][23] 이는 삽입 시 정맥 손상으로 혈액 내 응고 물질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24] 암 환자는 혈전 위험이 더 높으며, 중심정맥관을 사용하는 암 환자의 최대 2/3에서 카테터 관련 혈전증이 나타난다.[3] 그러나 대부분의 카테터 관련 혈전증(95% 이상)은 감지되지 않는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대퇴 정맥 카테터(3.4%)나 말초 삽입 중심 정맥 카테터(3%) 삽입 시 주로 관찰된다.[3] 헤파린, 폰다파리눅스와 같은 항응고제는 중심정맥관을 사용하는 암 환자의 혈전 발생률을 감소시킨다.[25] 또한 쇄골하 정맥에 단기간 중심정맥관을 사용하는 것이 비암 환자에서 대퇴 정맥 삽입보다 혈전 관련 가능성이 적다.[2]
비혈전성 폐쇄의 경우, 묽은 염산 용액(0.1N)을 사용하여 카테터 개방성을 회복할 수 있다.[3] 정맥 영양이나 프로포폴과 같이 지질 함량이 높은 주입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폐쇄되기 쉬우며, 이 경우 70% 에탄올을 소량 주입하여 개방성을 회복할 수 있다.[3]

카테터는 접착 드레싱, 봉합사, 스테이플 등으로 고정하고 밀봉 드레싱으로 덮는다. 정기적인 생리식염수 또는 헤파린 함유 용액 세척으로 개방성을 유지하고 혈전증을 예방한다. 혈전 예방에 헤파린이 생리식염수보다 낫다는 증거는 없다.[43]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항생제, 은 함유 물질(특히 설파디아진 은), 클로르헥시딘이 함침된 카테터도 사용된다.[44]
장기 중심정맥관 중 히크만 카테터는 밸브 개폐 확인을 위해 클램프가 필요하며, 그로숑 카테터는 유체를 빼거나 주입할 때 열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밸브가 있다. 히크만 카테터에는 박테리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커프"가 피부 아래에 있다.
8. 카테터 유량
하겐-푸아죄유 방정식에 따르면, 카테터의 내부 반경은 카테터의 길이나 유체의 점도보다 유량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빠른 주입을 위해서는 더 짧고 큰 구경의 카테터가 가장 큰 유량을 제공하므로 최적이다.[3][47]
8. 1. 하겐-푸아죄유 방정식
하겐-푸아죄유 방정식은 강성 관을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을 설명한다.[37]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 방정식은 강성 관을 통한 유량(Q)이 내부 반경(r), 관의 길이(L), 유체의 점도(μ)의 함수임을 보여준다. 유량은 관 내부 반경의 4제곱에 비례하고, 관의 길이와 유체의 점도에 반비례한다. 이 방정식은 정맥 카테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중요한 관찰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카테터의 내부 반경은 카테터의 길이 또는 유체의 점도보다 유량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며, 빠른 주입을 위해서는 더 짧고 큰 구경의 카테터가 가장 큰 유량을 제공하므로 최적이다.[3] 하겐-푸아죄유 식은 관경이 일정한 원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다.[94]
참조
[1]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hospital medicine
McGraw-Hill
2012
[2]
논문
Central venous access sites for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sis, stenosis and infection
2012-03
[3]
서적
Marino's, The ICU Book, 4th Ed
http://archive.org/d[...]
[4]
간행물
Central Line Placement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
[5]
웹사이트
Technology appraisal: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 effectiveness of ultrasonic locating devices for the placement of central venous lines
http://www.nice.nhs.[...]
2002-09
[6]
논문
A prospective comparison of supine chest radiography and bedside ultrasound for the diagnosis of traumatic pneumothorax
2005-09
[7]
논문
Does ultrasound imaging before puncture facilitate internal jugular vein cannulation?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with landmark-guided puncture in ventilated patients
2002-10
[8]
논문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1-05
[9]
논문
Taurolidine-citrate-heparin catheter lock solution reduces staphylococcal bacteraemia rates in haemodialysis patients
2014-12
[10]
논문
Prevention of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2023-09-21
[11]
논문
Meta-analysis: methods for diagnosing intravascular device-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2005-03
[12]
논문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and endocarditis associated with a removable infected intravenous device
1977-08
[13]
논문
Prophylactic antibiotics for preventing gram-positive infections associated with long-term central venous catheters in adults and children receiving treatment for cancer
2021-10-07
[14]
논문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
2002-08
[15]
논문
Chlorhexidine-based antiseptic solution vs alcohol-based povidone-iodine for central venous catheter care
2007-10
[16]
논문
A controlled trial of scheduled replacement of central venous and pulmonary-artery catheters
1992-10
[17]
문서
Barash. Clinical Anesthesia, 7th edition. Pages 1602-1603.
[18]
논문
Dressings and securement devices for central venous catheters (CVC)
2015-09
[19]
논문
Frequency of dressing changes for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on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6-02-01
[20]
논문
Skin antisepsis for reducing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6-07-13
[21]
논문
Management of occlusion and thrombosis associated with long-term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s
2009-07
[22]
논문
Genetics of venous thrombosis
2009-07
[23]
논문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of upper extremity deep vein thrombosis
http://www.escholars[...]
2012-02
[24]
논문
Central venous catheter use. Part 1: mechanical complications
2002-01
[25]
논문
Anticoagulation for people with cancer and central venous catheters
2018-06
[26]
논문
Aberrant locations and complications in initial placement of subclavian vein catheters
1984-03
[27]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scular air embolism
2007-01
[28]
논문
Management of occlusion and thrombosis associated with long-term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s
2009-07
[29]
논문
Heparin flush vs. normal saline flush to maintain the patency of central venous catheter among adult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9
[30]
논문
Normal saline (0.9% sodium chloride) versus heparin intermittent flushing for the prevention of occlusion in long-term central venous catheters in infants and children
2020-04
[31]
논문
Future directions for ultrasound-guided central venous access
2011-05
[32]
논문
Reducing major procedural complications from central venous catheterisation
2011-01
[33]
논문
Ultrasound-Guided Subclavian Vein Catheteriz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7
[34]
논문
Subclavian oblique-axis catheterization technique
2017-12
[35]
웹사이트
Why Using Ultrasound for Vascular Access ? - EDM Medical Solutions
https://www.edm-us.c[...]
2018-06-15
[36]
논문
Role of chest X-ray in citing central venous catheter tip: A few case report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07
[37]
서적
Chapter 1 – Fluid Mechanics and Biofluids Principle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03-18
[38]
웹사이트
Central Venous Catheters
http://www.webmd.com[...]
[39]
서적
Clinical Procedures for Safer Patient Care
https://opentextbc.c[...]
BCcampus
2015-11-23
[40]
웹사이트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Don't place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PICC) in stage III-V CKD patients without consulting nephrology
https://www.choosing[...]
Choosing Wisely
2022-10-20
[41]
논문
Critical and honest conversations: the evidence behind the "Choosing Wisely" campaign recommendations by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12-10
[42]
논문
Preventing complications of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2003-03
[43]
논문
Heparin versus 0.9% sodium chloride locking for prevention of occlusion in central venous catheters in adults
2022-07-18
[44]
논문
Central venous catheter care for the patient with cancer: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13-04
[45]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hospital medicine
McGraw-Hill
2012
[46]
논문
Central venous access sites for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sis, stenosis and infection
2012-03
[47]
서적
ICUブック
https://www.worldcat[...]
メディカルサイエン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15
[48]
논문
The history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Cardiac catheterization, angioplasty, and related interventions
https://www.scienced[...]
1995-01-01
[49]
웹사이트
耳寄りな心臓の話(第5話)『わが身にカテーテルを通す』 |はあと文庫|心日本心臓財団刊行物|公益財団法人 日本心臓財団
https://www.jhf.or.j[...]
2023-04-13
[50]
논문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https://pubmed.ncbi.[...]
2007-05
[51]
간행물
Central Line Placement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03-11
[52]
웹사이트
Technology appraisal: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 effectiveness of ultrasonic locating devices for the placement of central venous lines
http://www.nice.nhs.[...]
2008-06-01
[53]
논문
A prospective comparison of supine chest radiography and bedside ultrasound for the diagnosis of traumatic pneumothorax
2005-09
[54]
논문
Factors related to the failure of radiographic recognition of occult posttraumatic pneumothoraces
https://pubmed.ncbi.[...]
2005-05
[55]
논문
Ultrasound localization of central vein catheter and detection of postprocedural pneumothorax: an alternative to chest radiography
https://pubmed.ncbi.[...]
2010-02
[56]
논문
Does ultrasound imaging before puncture facilitate internal jugular vein cannulation?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with landmark-guided puncture in ventilated patients
2002-10
[57]
논문
Arterial misplacement of large-caliber cannulas during jugular vein catheterization: case for surgical management
https://pubmed.ncbi.[...]
2004-06
[58]
논문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1-05
[59]
논문
Taurolidine-citrate-heparin catheter lock solution reduces staphylococcal bacteraemia rates in haemodialysis patients
2014-12
[60]
논문
Meta-analysis: methods for diagnosing intravascular device-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2005-03
[61]
논문
Nosocomial infection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https://pubmed.ncbi.[...]
1999-05
[62]
논문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and endocarditis associated with a removable infected intravenous device
1977-08
[63]
논문
Prophylactic antibiotics for preventing gram-positive infections associated with long-term central venous catheters in adults and children receiving treatment for cancer
2021-10-07
[64]
논문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
2002-08
[65]
논문
Chlorhexidine-based antiseptic solution vs alcohol-based povidone-iodine for central venous catheter care
2007-10
[66]
논문
A controlled trial of scheduled replacement of central venous and pulmonary-artery catheters
1992-10
[67]
서적
Handbook of clinical anesthesia
https://www.worldcat[...]
WOLTERS KLUWER
2013
[68]
논문
Dressings and securement devices for central venous catheters (CVC)
2015-09
[69]
논문
Frequency of dressing changes for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on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6-02-01
[70]
논문
Skin antisepsis for reducing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6-07-13
[71]
논문
Management of occlusion and thrombosis associated with long-term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s
2009-07
[72]
논문
Central venous catheter occlusion and thrombosis
https://pubmed.ncbi.[...]
2003-07
[73]
논문
Genetics of venous thrombosis
2009-07
[74]
논문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of upper extremity deep vein thrombosis
http://www.escholars[...]
2012-02
[75]
논문
Central venous catheter use. Part 1: mechanical complications
2002-01
[76]
논문
Venous thromboembolism associated with long-term use of central venous catheters in cancer patients
https://pubmed.ncbi.[...]
2003-10-01
[77]
논문
Deep Venous Thrombosis Caused by Femoral Venous Catheters in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https://journal.ches[...]
2000-01-01
[78]
논문
Risk of symptomatic DVT associated with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https://pubmed.ncbi.[...]
2010-10
[79]
논문
Anticoagulation for people with cancer and central venous catheters
2018-06
[80]
논문
Use of hydrochloric acid to clear obstructed central venous catheters
https://pubmed.ncbi.[...]
1988
[81]
논문
Aberrant locations and complications in initial placement of subclavian vein catheters
1984-03
[82]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scular air embolism
https://pubmed.ncbi.[...]
2007-01
[83]
서적
Clinical Procedures for Safer Patient Care
https://opentextbc.c[...]
[84]
논문
Management of occlusion and thrombosis associated with long-term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s
2009-07
[85]
논문
Heparin flush vs. normal saline flush to maintain the patency of central venous catheter among adult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9
[86]
논문
Normal saline (0.9% sodium chloride) versus heparin intermittent flushing for the prevention of occlusion in long-term central venous catheters in infants and children
2020-04
[87]
논문
Future directions for ultrasound-guided central venous access
2011-05
[88]
논문
Reducing major procedural complications from central venous catheterisation
2011-01
[89]
웹사이트
안전한 중심静脈カテーテル挿入・管理のためのプラクティカルガイド 2017
https://anesth.or.jp[...]
公益社団法人 日本麻酔科学会 安全委員会
2023-04-08
[90]
논문
Ultrasound-Guided Subclavian Vein Catheteriz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7
[91]
논문
Subclavian oblique-axis catheterization technique
2017-12
[92]
웹사이트
Why Using Ultrasound for Vascular Access ? - EDM Medical Solutions
https://www.edm-us.c[...]
2018-06-15
[93]
논문
Role of chest X-ray in citing central venous catheter tip: A few case report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07
[94]
문서
Chapter 1 – Fluid Mechanics and Biofluids Principle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20-03-18
[95]
웹사이트
Central Venous Catheters
http://www.webmd.com[...]
[96]
웹사이트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Don't place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PICC) in stage III-V CKD patients without consulting nephrology
https://www.choosing[...]
Choosing Wisely
2022-10-20
[97]
논문
Critical and honest conversations: the evidence behind the "Choosing Wisely" campaign recommendations by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12-10
[98]
논문
Preventing complications of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2003-03
[99]
논문
A comparison of flow rates and warming capabilities of the Level 1 and Rapid Infusion System with various-size intravenous catheters
https://pubmed.ncbi.[...]
2003-08
[100]
논문
Heparin versus 0.9% sodium chloride locking for prevention of occlusion in central venous catheters in adults
2022-07-18
[101]
논문
Central venous catheter care for the patient with cancer: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13-04
[102]
웹사이트
ヒックマンカテーテルキット
https://www.info.pmd[...]
2023-04-09
[103]
웹사이트
9-2 : Broviacカテーテル,Hickmanカテーテル {{!}} ニュートリー株式会社
https://www.nutri.co[...]
2023-04-09
[104]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hospital medicine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12
[105]
논문
Central venous access sites for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sis, stenosis and infection
2012-03
[106]
서적
Marino's, The ICU Book, 4th Ed
http://archive.org/d[...]
[107]
간행물
Central Line Placement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
[108]
웹인용
Technology appraisal: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 effectiveness of ultrasonic locating devices for the placement of central venous lines
http://www.nice.nhs.[...]
2002-09
[109]
저널
A prospective comparison of supine chest radiography and bedside ultrasound for the diagnosis of traumatic pneumothorax
2005-09
[110]
저널
Does ultrasound imaging before puncture facilitate internal jugular vein cannulation?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with landmark-guided puncture in ventilated patients
2002-10
[111]
저널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1-05
[112]
저널
Taurolidine-citrate-heparin catheter lock solution reduces staphylococcal bacteraemia rates in haemodialysis patients
2014-12
[113]
저널
Meta-analysis: methods for diagnosing intravascular device-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2005-03
[114]
저널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and endocarditis associated with a removable infected intravenous device
1977-08
[115]
저널
Prophylactic antibiotics for preventing gram-positive infections associated with long-term central venous catheters in adults and children receiving treatment for cancer
null
2021-10-07
[116]
저널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related infection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
2002-08
[117]
저널
Chlorhexidine-based antiseptic solution vs alcohol-based povidone-iodine for central venous catheter care
2007-10
[118]
저널
A controlled trial of scheduled replacement of central venous and pulmonary-artery catheters
1992-10
[119]
문서
Barash. Clinical Anesthesia, 7th edition. Pages 1602-1603.
[120]
저널
Dressings and securement devices for central venous catheters (CVC)
2015-09
[121]
저널
Frequency of dressing changes for central venous access devices on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6-02-01
[122]
저널
Skin antisepsis for reducing central venous catheter-related infections
2016-07-13
[123]
저널
Management of occlusion and thrombosis associated with long-term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s
2009-07
[124]
저널
Genetics of venous thrombosis
2009-07
[125]
저널
The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of upper extremity deep vein thrombosis
http://www.escholars[...]
2012-02
[126]
저널
Central venous catheter use. Part 1: mechanical complications
2002-01
[127]
저널
Anticoagulation for people with cancer and central venous catheters
2018-06
[128]
저널
Aberrant locations and complications in initial placement of subclavian vein catheters
1984-03
[129]
저널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scular air embolism
2007-01
[130]
서적
Clinical Procedures for Safer Patient Care
https://opentextbc.c[...]
[131]
저널
Management of occlusion and thrombosis associated with long-term indwelling central venous catheters
null
2009-07
[132]
저널
Heparin flush vs. normal saline flush to maintain the patency of central venous catheter among adult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ll
2019-09
[133]
저널
Normal saline (0.9% sodium chloride) versus heparin intermittent flushing for the prevention of occlusion in long-term central venous catheters in infants and children
null
2020-04
[134]
저널
Future directions for ultrasound-guided central venous access
2011-05
[135]
저널
Reducing major procedural complications from central venous catheterisation
2011-01
[136]
저널
Ultrasound-Guided Subclavian Vein Catheteriz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7
[137]
저널
Subclavian oblique-axis catheterization technique
2017-12
[138]
웹인용
Why Using Ultrasound for Vascular Access ? - EDM Medical Solutions
https://www.edm-us.c[...]
2023-04-03
[139]
저널
Role of chest X-ray in citing central venous catheter tip: A few case report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