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필리핀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필리핀어군은 필리핀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군으로, 타갈로그어, 비콜어군, 비사야어군, 만사카어군 등을 포함한다. 이 언어들은 방언 연속체를 이루어 언어 간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데이비드 조크는 중앙필리핀어군을 하위 분류했으며, 앤드루 갈먼은 만사칸어군과 마만와어를 비사야어군과 동등하게 분류하는 것에 반대하여 새로운 분류를 제시했다. 로버트 블러스트는 중앙필리핀어군을 확대하여 남부민도로어군 등을 포함하는 확대 중앙필리핀어군을 제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필리핀어군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중앙필리핀어군 - 비콜어군
비콜어군은 필리핀 비콜 지방의 언어 집합으로, 민족어, Ethnologue, McFarland (1974), Lobel (2000)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언어와 방언이 다양하게 구분되며 라틴 문자로 표기되고 독특한 음운 및 형태론적 특징을 갖는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중앙필리핀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중앙필리핀어군 |
사용 지역 | 필리핀 말레이시아 ( 사바주 동부 해안) 인도네시아 (북칼리만탄주 누누칸 북동부)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필리핀어군? |
하위 어군 |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
조어 | Proto-Central Philippine (원시 중앙필리핀어) |
하위 언어 | 카시구라닌어–타갈로그어 비콜어군 만사카어군 비사야어군 |
Glottolog | cent2246 |
Glottolog 참조 이름 | Central Philippine |
Ethnologue | Ethnologue |
2. 분류
중앙필리핀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은 보통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타갈로그어(루손섬 남부. 적어도 3개의 방언이 있다.)
- 비콜어군(비콜반도의 8개 언어)
- 비사야어군(비사야 제도, 루손섬 동남부, 민다나오섬 동북부, 술루주의 18개 언어)
- 만사카어군(다바오 지역의 11개 언어)
- 마니데어·이나그타 알라바트어(2개 언어)
여기에 더해 산악 지역에 사는 아에타족의 언어들도 있다. 이들의 분류는 불명확하다.
- 아타어, 소르소곤 아이타어, 타야바스 아이타어, 카롤라노스어, 마가하트어, 술로드어, 우미라이 두마게트어
중앙필리핀어군 언어 대부분은 사실 방언연속체를 이루며 언어 사이에 명확한 경계가 없다. 예를 들어 소르소곤주와 마스바테주 지역의 언어들이 비콜어군에서 비사야어군으로 매끄럽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들을 비사콜어군이라 한다. Blust (2009)에 따르면 비사야어군 언어 사이에 다양성이 낮은 것은 인구 팽창이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23]
2. 1. 주요 분기군
타갈로그어는 루손섬 남부에서 발견되며 최소 3개의 방언이 존재한다.[2] 비콜어군은 비콜 반도에 8개 언어가 분포한다.[2] 비사야어군은 비사야 제도 전역뿐만 아니라 루손섬 남동부, 민다나오섬 북동부, 술루에서 사용되는 18개 언어를 포함한다.[2] 만사칸어군은 다바오 지역의 11개 언어로 구성된다.[2]그 외 아에타 산악 부족 언어들에는 아타어, 소르소곤 아에타어, 타야바스 아에타어, 카롤라노스어 (북부 비누키드논), 마가하트어 (남부 비누키드논), 술로드어, 우미라이 두마겟어군이 있다.[2]
대부분의 중앙 필리핀 제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여 별개의 언어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2]
2. 2. Zorc (1977)
데이비드 조크(David Zorc)는 1977년 박사학위논문에서 중앙필리핀어군의 하위 분류를 제시하였다.[24] 비사야어군의 하위분류는 조크 본인의 연구성과이고, 비콜어군의 하위분류는 McFarland (1974)를 따랐다.[25]주요 분기군은 '''굵은 글씨'''로 나타냈다.
- '''타갈로그어'''
- * 표준 필리핀어
- * 마린두케 방언
- * 루방 방언
- '''비콜어군'''
- * 판단 비콜어 (카탄두아네스주 북부)
- * 내륙비콜어군
- ** 링코나다 비콜어
- ** 알바이 비콜어
- * 해안비콜어군 (나가 방언 포함)
- ** 중부 비콜어
- ** 비락 비콜어 (카탄두아네스주 남부)
- '''비사야어군'''
- * 1. '''남부''' (민다나오섬 동해안)
- ** 부투아논·타우수그어군
타우수그어
부투아논어
- ** 수리가오어군
수리가오논어, 자운자운 방언[27], 칸틸란 방언[28], 나투랄리스 방언[29]
세부아노어, 보홀라노 방언, 레이테 방언
- *3. '''중부''' (비사야 제도 전역)
- ** 와라이어군
와라이·사마르어군
* 와라이어, 사마르레이테어
* 북부 사마르어
구바트어 (소르소곤주 남부)
- ** 주변부
(북)소르소곤어, 마스바테어
카모테스어
반타얀어
힐리가이논어 (일롱고어), 카피스논어, 카야완어
- ** 롬블론어군
롬블로마논어
- *4. '''아시''' (롬블론주 서북부)
- ** 아시어
반톤 방언, 오디옹안 방언[30], 시마라 방언, 칼라트라바 방언, 시발레 방언[31]
- *5. '''서부'''
- ** 아클란어군 (파나이섬 북부)
아클라논어
- ** 키나라이아어군 (파나이섬)
판단어[32], 키나라이아어, 기마라스어
- ** 중북부어군 (민도로섬 남쪽의 타블라스섬)
불랄라카우어[33], 디스포홀논어[34], 로오크논어[35], 알칸타란혼어
라타그논어[36], 산타 테레사어[37], 세미라라어[38]
쿠요논어[39][40]
- '''만사카어군'''
- * 북만사카어군
- ** 카마요어 북부 및 남부 방언
- * 다야우어군
- ** 다야웨뇨어
- * 동만사카어군
- ** 이사말어
- ** 카라가어
- ** 카바사가어, 보소어, 만사카어, 만다야어
- * 서만사카어군
- ** 칼라가어, 타가카올로어
- '''마만와어'''
2. 2. 1. 타갈로그어
2. 2. 2. 비콜어군
- '''비콜어군'''[24][25]
- * 판단 비콜어 (카탄두아네스주 북부)
- * 내륙비콜어군
- ** 링코나다 비콜어
- ** 알바이 비콜어
- * 해안비콜어군 (나가 방언 포함)
- ** 중부 비콜어
- ** 비락 비콜어 (카탄두아네스주 남부)
2. 2. 3. 비사야어군
'''비사야어군'''[24]- * 1. '''남부''' (민다나오섬 동해안)
- ** 부투아논·타우수그어군
타우수그어
부투아논어
- ** 수리가오어군
수리가오논어, 자운자운 방언[27], 칸틸란 방언[28], 나투랄리스 방언[29]
세부아노어, 보홀라노 방언, 레이테 방언
- *3. '''중부''' (비사야 제도 전역)
- ** 와라이어군
와라이·사마르어군
* 와라이어, 사마르레이테어
* 북부 사마르어
구바트어 (소르소곤주 남부)
- ** 주변부
(북)소르소곤어, 마스바테어
카모테스어
반타얀어
힐리가이논어 (일롱고어), 카피스논어, 카야완어
- ** 롬블론어군
롬블로마논어
- *4. '''아시''' (롬블론주 서북부)
- ** 아시어
반톤 방언, 오디옹안 방언[30], 시마라 방언, 칼라트라바 방언, 시발레 방언[31]
- *5. '''서부'''
- ** 아클란어군 (파나이섬 북부)
아클라논어
- ** 키나라이아어군 (파나이섬)
판단어[32], 키나라이아어, 기마라스어
- ** 중북부어군 (민도로섬 남쪽의 타블라스섬)
불랄라카우어[33], 디스포홀논어[34], 로오크논어[35], 알칸타란혼어
라타그논어[36], 산타 테레사어[37], 세미라라어[38]
쿠요논어[39][40]
2. 2. 4. 만사카어군
- '''만사카어군'''
- * 북만사카어군
- ** 카마요어 북부 및 남부 방언
- * 다야우어군
- ** 다야웨뇨어
- * 동만사카어군
- ** 이사말어
- ** 카라가어
- ** 카바사가어, 보소어, 만사카어, 만다야어
- * 서만사카어군
- ** 칼라가어, 타가카올로어
- '''마만와어'''
2. 3. Gallman (1997)
앤드루 갈먼(Andrew Gallman, 1997)은 졸크(Zorc)의 중앙 필리핀 제어(en, Central Philippine languages) 분류에서 만사칸(Mansakan) 제어와 마만와(Mamanwa) 제어를 비사야(Bisayan) 제어와 동등한 주요 가지로 분류한 것을 거부한다. 대신 그는 만사칸, 마만와, 남부 비사야 제어를 하나로 묶어 "동 민다나오(East Mindanao)" 아그룹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비사야 가지들과 연결하여 "남중앙 필리핀(South Central Philippine)" 아그룹을 형성한다.[20]2. 3. 1. 남중앙 필리핀어군
남중앙 필리핀어군은 존재하지 않는 분류군이다.3. 확대 중앙필리핀어군
로버트 블러스트는 중부 및 남부 필리핀의 언어적 다양성이 낮음을 지적하고, 공통된 어휘적 변화를 바탕으로 중앙필리핀어군을 남부민도로어군, 팔라완어군, 다나오어군, 마노보어군, 고론탈로·몽온도우어군과 함께 확대 중앙필리핀어군으로 분류했다.[41][21]
참조
[1]
웹사이트
Ethnologue
http://www.ethnologu[...]
[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
논문
The Bisayan Dialects of the Philippines: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https://dx.doi.org/1[...]
Dep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
논문
The Dialects of the Bikol Area
Dept. of Liunguistics, Yale University
[5]
논문
A Reconstruction of Proto-Mansakan
Dept. of Liunguistics,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6]
웹사이트
Jaun-Jaun notes
http://sealang.net/a[...]
[7]
웹사이트
Kantilan notes
http://sealang.net/a[...]
[8]
웹사이트
Naturalis notes
http://sealang.net/a[...]
[9]
웹사이트
Odionganon notes
http://sealang.net/a[...]
[10]
웹사이트
Sibalenhon (Bantu-anon) notes
http://sealang.net/a[...]
[11]
웹사이트
Pandan notes
http://sealang.net/a[...]
[12]
웹사이트
Bulalakawnon notes
http://sealang.net/a[...]
[13]
웹사이트
Dispoholnon notes
http://sealang.net/a[...]
[14]
웹사이트
Loocnon notes
http://sealang.net/a[...]
[15]
웹사이트
Datagnon notes
http://sealang.net/a[...]
[16]
웹사이트
Santa Teresa notes
http://sealang.net/a[...]
[17]
웹사이트
Semirara notes
http://sealang.net/a[...]
[18]
웹사이트
Kuyonon notes
http://sealang.net/a[...]
[19]
웹사이트
Kuyonon (dialects) notes
http://sealang.net/a[...]
[20]
간행물
Proto East Mindanao and its internal relationships
Linguistic Society of the Philippines
[21]
학술지
The Greater Central Philippines hypothesis
[22]
웹사이트
Ethnologue
http://www.ethnologu[...]
[23]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4]
논문
The Bisayan Dialects of the Philippines: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https://dx.doi.org/1[...]
Dep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5]
논문
The Dialects of the Bikol Area
Dept. of Liunguistics, Yale University
[26]
논문
A Reconstruction of Proto-Mansakan
Dept. of Liunguistics,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27]
웹사이트
Jaun-Jaun notes
http://sealang.net/a[...]
[28]
웹사이트
Kantilan notes
http://sealang.net/a[...]
[29]
웹사이트
Naturalis notes
http://sealang.net/a[...]
[30]
웹사이트
Odionganon notes
http://sealang.net/a[...]
[31]
웹사이트
Sibalenhon (Bantu-anon) notes
http://sealang.net/a[...]
[32]
웹사이트
Pandan notes
http://sealang.net/a[...]
[33]
웹사이트
Bulalakawnon notes
http://sealang.net/a[...]
[34]
웹사이트
Dispoholnon notes
http://sealang.net/a[...]
[35]
웹사이트
Loocnon notes
http://sealang.net/a[...]
[36]
문서
Datagnon notes
http://sealang.net/a[...]
[37]
문서
Santa Teresa notes
http://sealang.net/a[...]
[38]
문서
Semirara notes
http://sealang.net/a[...]
[39]
문서
Kuyonon notes
http://sealang.net/a[...]
[40]
문서
Kuyonon (dialects) notes
http://sealang.net/a[...]
[41]
저널
The Greater Central Philippines hypothe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