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르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르발어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로,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과거에는 10개의 방언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르발어는 4개의 명사 등급 체계와 분열 얼가티브 체계를 특징으로 하며, 복잡한 금기 체계를 가지고 있어 특정 관계의 사람들과는 다른 언어 형태인 달ŋ우이를 사용해야 했다. 1970년대에는 언어 변화가 일어나 젊은 지르발어라는 새로운 형태가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마늉아어족 - 누왈라어
  • 파마늉아어족 - 칼라우라가우야어
    칼라우 라가우 야어는 호주 토레스 해협 제도의 서부 및 중부 섬에서 사용되는 파마-늉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이자 파푸아어족 및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특징을 공유하며, 명사 형태론이 발달했다.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지르발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지르발어
지역퀸즐랜드주 북동부
민족지르발 부족, 응아잔지, 마무 부족, 굴응아이, 지루 부족, 기라마이
사용자 수21 (2021년 인구 조사)
언어 계통파마늉아어족
방언지르발, 마무, 기라마이, 굴응아이, 지루, 응아잔, 왈말바라
ISO 639-3dbl
Glottologdyir1250
AIATSISY123
ELP 코드5712
ELP 이름기라마이
역사적 사용 지역
역사적 사용 지역
상태심각한 소멸 위기 (UNESCO)

2. 방언

지르발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연구자 로버트 딕슨은 지르발어가 전성기에 10개의 방언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5]

다음은 지르발어의 주요 방언들이다:[7][6]


  • 지르발 (지르발ŋ안 사용)
  • 마무 (와ɽ이바라, 둘구바라, 바기ɽ가바라, 디이ɽ이바라, 만두바라 사용, 와리바라 마무, 둘구바라 마무와 같이 개별 집단이 사용하는 다양한 유형도 존재)
  • 기라메이 (기라메이간 사용)
  • 굴ŋ아이 (말란바라 사용)
  • 디이루 (디이루바갈라 사용)
  • 응가디안 (응가디안디이 사용)
  • 왈말바라


이 방언 화자들은 대체로 자신들의 방언을 서로 다른 언어로 간주한다. 그러나 로버트 딕슨은 언어학적 기준과 유사성(일부 방언은 어휘의 90% 공유)을 바탕으로 이들을 방언으로 분류했다. 화자들이 방언을 서로 다른 언어로 여겼기 때문에 이 언어에는 공식적인 명칭이 없었고, 딕슨은 당시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진 방언이었던 지르발을 따서 이 언어를 지르발이라고 명명했다.[5]

2. 1. 인접 언어

응가이궁구, 음바바람, 물루리지, 이디니, 와룽구, 와르가마이, 냐와이기 등은 지르발어와 인접한 언어이다.[5]

3. 음운론

지르발어는 파열음비음조음 위치가 4개로, 일반적인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의 6개보다 적다. 지르발어에는 치경음, 치경구개음, 권설음과 같은 구분이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유성음(b, d, g영어 등)과 무성음(p, t, k영어 등)을 구별하지 않는다. 표준 지르발어 철자법은 병음과 같이 유성 자음을 사용하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언어 화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소리(종종 반유성음일 수 있음)가 기음화된 p, t, k영어보다 영어의 반유성 b, d, g영어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1]

지르발어의 모음 체계는 일반적인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와 같이 iund, aund, uund 3개의 모음으로 되어 있다. 강세는 단어의 첫 음절에 온다.[1]

3. 1. 자음

지르발어의 파열음·비음 조음 위치는 4개로, 일반적인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의 6개보다 적다. 지르발어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에 흔히 나타나는 치음·치경음·권설음 대립이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와 마찬가지로 유성음무성음의 대립이 없다. 지르발어 공식 표기법에서는 파열음을 표기할 때 b, d, g와 같은 유성음 글자를 사용한다.


3. 2. 모음

지르발어는 /i/, /a/, /u/의 3개 모음 체계를 가진다. /u/는 특정 환경에서 [o]로, /a/는 [e]로 실현될 수 있다. 강세는 항상 단어의 첫 음절에 오며, 마지막 음절을 제외하고 그 다음 홀수 번째 음절에 온다.

4. 문법

지르발어는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부동사(adverbal영어), 시간수식어, 불변화사, 감탄사 등의 품사를 가진다. 형용사는 명사와, 부동사는 동사와 똑같이 굴절한다.

지르발어 명사는 능격-절대격 체계인 데 반해, 대명사는 주격-대격 체계이다. 기라마이 방언의 단수 대명사에서는 삼분법 체계의 성격도 나타난다.

지르발 방언 대명사
rowspan="2" |1인칭2인칭
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
자동사 주어ŋaɟaŋaliɟiŋanaɟiŋindaɲubalaɟiɲuraɟi
타동사 주어
타동사 목적어ŋaygunaŋaliɟinaŋanaɟinaŋinunaɲubalaɟinaɲuraɟina
여격ŋaygunguŋaliɟinguŋanaɟinguŋinunguɲubalaɟinguɲuraɟingu
단순속격ŋayguŋaliɟinuŋanaɟinuŋinuɲubalaɟinuɲuraɟinu



기라마이 방언 대명사
rowspan="2" |1인칭2인칭
단수쌍수복수단수쌍수복수
자동사 주어ŋaybaŋaliŋanaŋinbaɲubila(ɟi)ɲura
타동사 주어ŋaɟaŋinda
타동사 목적어ŋaɲaŋaliɲaŋanaɲaŋinaɲubilaɟinaɲuraɲa
여격ŋaygunguŋaliɲanguŋanaɲanguŋinunguɲubilaɟinguɲuraɲangu
단순속격ŋayguŋaliŋuŋanaŋuŋinuɲubilaɟinuɲuraŋu



마무 방언에는 ‘자신과 배우자’를 가리키는 대명사가 추가로 존재한다.

자동사 주어타동사 주어타동사 목적어여격단순속격
자신과 배우자ŋanaymbaŋanaymbanaŋanaymbanguŋanaymbanu



3인칭 대명사나 일반속격, 처격, 향격, 탈격 대명사는 따로 없다.

지르발어는 총 4개의 명사 등급 체계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미에 따라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8]


  • I - 대부분의 살아있는 물체, 남자
  • II - 여자, , , 폭력, 그리고 예외적인 동물
  • III - 먹을 수 있는 과일채소
  • IV - 기타 (앞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을 포함)


일반적으로 "여성"으로 분류되는 등급(II)은 조지 레이코프의 저서 ''여성, 불, 그리고 위험한 것들(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의 제목에 영감을 주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분류 체계와, 예를 들어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발견되는 "여성", "남성" 및 (때로는) "중성" 범주로 항목을 나누는 문법적 성 구분을 구별한다.

지르발어는 분열 얼가티브 체계를 보인다. 1인칭 또는 2인칭 대명사가 있는 문장은 동사 논항에 대해 격이 지배-피지배 언어를 모방하는 패턴으로 표시된다. 즉, 1인칭 또는 2인칭 대명사는 주어일 때 가장 덜 표시된 격으로 나타나고(동사의 타동성에 관계없이), 직접 목적어일 때는 가장 많이 표시된 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르발어는 1인칭과 2인칭에서 형태론적으로 대격적이지만, 다른 경우에는 형태론적으로 얼가티브적이며, 여전히 항상 통사론적으로 얼가티브적이다.

4. 1. 명사류

명사구는 명사와 명사표지로 이루어지며 하나 이상의 형용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요소는 모두 생략 가능하다. 명사와 형용사는 똑같이 굴절하고 거의 똑같은 통사론적 환경에 나타난다.[16]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가 명사와 똑같이 굴절하듯이, 동사를 수식하는 부동사(부사)는 동사와 똑같이 굴절한다.

지르발어는 분열 얼가티브 체계를 보인다. 1인칭 또는 2인칭 대명사가 있는 문장은 동사 논항에 대해 격이 지배-피지배 언어를 모방하는 패턴으로 표시된다. 즉, 1인칭 또는 2인칭 대명사는 주어일 때 가장 덜 표시된 격으로 나타나고(동사의 타동성에 관계없이), 직접 목적어일 때는 가장 많이 표시된 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르발어는 1인칭과 2인칭에서 형태론적으로 대격적이지만, 다른 경우에는 형태론적으로 얼가티브적이며, 여전히 항상 통사론적으로 얼가티브적이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분류 체계와, 예를 들어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발견되는 "여성", "남성" 및 (때로는) "중성" 범주로 항목을 나누는 문법적 성 구분을 구별한다.

4. 1. 1. 명사 부류

지르발어에는 4개의 명사부류가 있으며, 주로 의미론적으로 정해진다.[17][8]

  • I 부류 - 대부분의 유정명사, 남자
  • II 부류 - 여자, , , 폭력, 특별한 동물
  • III 부류 - 식용 과일채소
  • IV 부류 - 기타 (위 세 부류에 포함되지 않는 명사들)


일반적으로 지르발어 명사는 ‘명사표지’와 함께 나타난다. 명사표지는 명사의 부류와 격에 일치하고 명사가 가리키는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 주는 단어이다. 위치에 따라 세 종류가 있다.

  • '''bala-''': 명사의 지시체가 눈에 보이고 멀리 있음. (지시체가 눈에 보이는지, 가까운지 여부를 나타내고 싶지 않을 때에도 사용하는 기본 명사표지)
  • '''yala-''': 명사의 지시체가 눈에 보이고 가까이 있음.
  • '''ŋala-''': 명사의 지시체가 눈에 보이지 않음.


격과 부류에 따른 명사표지: '''bala-'''
절대격능격/도구격여격단순속격
I 부류bayibaŋgulbagulbaŋul
II 부류balanbaŋgunbagunbaŋun
III 부류balambaŋgumbagum
IV 부류balabaŋgubagubaŋu



격과 부류에 따른 명사표지: '''yala-'''
절대격능격/도구격여격단순속격
I 부류giyiyaŋgulyagulyaŋul
II 부류giɲanyaŋgunyagunyaŋun
III 부류giɲamyaŋgumyagum
IV 부류giɲayaŋguyaguyaŋu



'''ŋala-'''의 굴절은 '''bala-'''에서 b를 ŋ으로 바꾼 것과 같다. 다음은 I 부류 명사인 yaɻa ‘남자’를 활용한 예문이다.


  • bayi yaɻa miyandaɲu. (저) 남자가 웃는다.
  • giyi yaɻa miyandaɲu. 이 남자가 웃는다.
  • ŋayi yaɻa miyandaɲu. (들리지만 보이지 않는) 남자가 웃는다.


향격, 처격, 탈격 명사는 명사표지와 함께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여성"으로 분류되는 등급(II)은 조지 레이코프의 저서 ''여성, 불, 그리고 위험한 것들(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의 제목에 영감을 주었다.

4. 1. 2. 격

명사와 형용사는 에 따라 굴절하며, 9개의 격이 존재한다. 격은 접미사로 표시되며 이 중 5개는 어간의 모양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16]

  • '''절대격''': 어간 자체
  • '''능격''':
  • -ŋgu: 어간이 2음절이고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 -gu: 어간이 3음절 이상이고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 같은 조음 위치의 파열음 + -u: 어간이 비음 또는 -j로 끝나는 경우
  • 어간말 자음 삭제 후 -ɻu: 어간이 -l, -r, -ɻ로 끝나는 경우
  • '''도구격''': 능격과 같음. (능격과 도구격은 통사론적으로 구별됨.)
  • '''단순속격''': 어간이 비음으로 끝나는 경우 -u, 그렇지 않으면 -ŋu
  • '''처격''': 능격과 같지만 모음 u 대신에 a를 사용
  • '''일반속격''': -mi
  • '''여격''': -gu
  • '''향격''': -gu (명사와 형용사의 여격과 향격은 형태가 같지만, 명사표지와 동사표지의 경우에는 둘이 다름. 여격과 향격은 통사론적으로도 구별됨.)
  • '''탈격''': -ŋunu


고유명사와 사람을 가리키는 몇몇 일반명사는 타동사의 목적어일 때 접미사 -ɲa를 받을 수 있다. 이런 명사들의 경우 여격과 처격에 -ɲa-가 붙을 수 있으며, -ɲa- 뒤의 여격과 처격 접미사는 각각 -ngu, -ŋga가 된다. 남자 이름인 burbula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절대격(자동사의 주어): burbula
  • 절대격(타동사의 목적어): burbula 또는 burbulaɲa
  • 여격: burbulagu 또는 burbulaɲangu
  • 처격: burbulaga 또는 burbulaɲaŋga

4. 2. 대명사

지르발어는 분열 얼가티브 체계를 보인다. 1인칭 또는 2인칭 대명사가 있는 문장은 동사 논항에 대해 격이 지배-피지배 언어를 모방하는 패턴으로 표시된다. 즉, 1인칭 또는 2인칭 대명사는 주어일 때 가장 덜 표시된 격으로 나타나고(동사의 타동성에 관계없이), 직접 목적어일 때는 가장 많이 표시된 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르발어는 1인칭과 2인칭에서 형태론적으로 대격적이지만, 다른 경우에는 형태론적으로 얼가티브적이며, 여전히 항상 통사론적으로 얼가티브적이다.[8]

4. 3. 동사류

지르발어의 동사 어근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뉘며, 어간 끝 모양에 따라 -l 형과 -y 형의 두 가지 굴절 부류로 나뉜다. 타동사는 -ŋay 형을 사용하여 주어를 능격에서 절대격으로, 목적어를 절대격에서 능격 또는 여격으로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타동사의 주어가 문장의 주제어임을 나타낸다.[1] -l 어간 동사는 어간에 -ŋay를 붙이고, -y 어간 동사는 -y를 삭제하고 -ŋay를 붙인다.[1] -ŋay 형 동사는 다른 -y 어간 동사와 동일하게 굴절하며, 접미사의 실제 모양은 마무 방언에서는 항상 -ŋay이고, 지르발 방언에서는 ŋ이 생략되기도 하며, 기라마이 방언에서는 보통 ŋ이 생략된다.[1]

4. 3. 1. 시제

지르발어에는 비(非)미래와 미래의 두 가지 시제가 있다.[1]

-l 어간-y 어간
어간balgal ‘치다’baniy ‘오다’
비미래balgan ‘친다, 쳤다’baniɲu ‘온다, 왔다’
미래balgaɲ ‘칠 것이다’baniɲ ‘올 것이다’

[1]

타동사의 -ŋay 형은 주어를 능격에서 절대격으로 바꾸고, 목적어를 절대격에서 능격 또는 여격으로 바꾼다. (대명사 주어는 변함이 없고, 대명사 목적어는 여격으로 바꾼다.) 이를 통해 타동사의 주어가 문장의 주제어임을 나타낸다.[1]


  • -l 어간 동사: 어간에 -ŋay를 붙임[1]
  • -y 어간 동사: -y를 삭제하고 -ŋay를 붙임[1]

  • ŋay 형 동사는 다른 -y 어간 동사와 똑같이 굴절한다. 접미사의 실제 모양은 마무 방언에서는 항상 -ŋay이고, 지르발 방언에서는 ŋ이 생략되기도 하며, 기라마이 방언에서는 보통 ŋ이 생략된다.[1]


; 일반적인 문장

balanɟugumbilbaŋgulyaɻangubalgan
cl2.abs영어woman.abs영어cl1.erg영어man.erg영어hit-nonfut영어
‘남자가 여자를 때린다.’



; -ŋay 형 문장 (능격 목적어)

bayiyaɻabaŋgunɟugumbiɻubalgaŋaɲu
cl1.abs영어man.abs영어cl2.erg영어woman.erg영어hit-ŋay-nonfut영어
‘남자가 여자를 때린다.’



; -ŋay 형 문장 (여격 목적어)

bayiyaɻabagunɟugumbilgubalgaŋaɲu
cl1.abs영어man.abs영어cl2.dat영어woman.dat영어hit-ŋay-nonfut영어
‘남자가 여자를 때린다.’

[1]

4. 4. 시간수식어

시간수식어는 문장이 나타내는 완료된 사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문장의 맨 처음에 오며, -gu('(시간)까지')와 -mu('(시간)부터')의 두 가지 굴절형이 있다.

5. 통사론

지르발어는 능격-절대격 언어로,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절대격으로,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으로 나타낸다.[1] 절대격 성분은 주제어 기능을 한다.

지르발어의 어순은 매우 자유롭다.[2] 안팎의 어순이 모두 자유로우며, 다음 두 가지 규칙만 존재한다.[2]

# 몇몇 불변화사는 반드시 동사 앞에 온다.

# 최선호구문에서 앞 절 동사에 지배되는 단어는 뒤따르는 절 동사보다 앞에 온다.

선호되는 어순은 다음과 같다.

# 시간수식어는 대체로 문장 맨 앞에 온다.

# 절대격 명사구는 능격·여격 명사구보다 앞에 오며, 능격 명사구는 동사 앞에, 여격 명사구는 동사 뒤에 온다.

# 명사표지와 소유자는 명사 앞에, 형용사와 관계절은 명사 뒤에 온다.

다음은 일반적인 어순과 다른 어순으로 표현된 동일한 지르발어 문장 예시이다.[3]

bayidjiwaŋaldjibaŋuldjiyaɻaŋudjibulganudjibaŋgundjiɟugumbiɻudjibuɻandji
cl1.absboomerang.abscl1.genman-genbig-gencl2.ergwoman-ergsee-nonfut
‘여자가 커다란 남자의 부메랑을 보았다.’
bayidjiyaɻaŋudjiɟugumbiɻudjibuɻandjiwaŋaldjibaŋgundjibaŋuldjibulganudji
cl1.absman-genwoman-ergsee-nonfutboomerang.absbig-gencl1.genbig-gen
‘여자가 커다란 남자의 부메랑을 보았다.’


5. 1. 문장 구조

지르발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다.[1] 즉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목적어는 절대격이라는 하나의 격으로 나타내고, 타동사의 주어는 능격이라는 별개의 격으로 나타낸다. 지르발어에서 절대격으로 나타낸 성분은 주제어의 기능을 한다.

{| class="wikitable"

|-

|

bayidjiyaɻadjibaniɲudji
cl1.absman.abscome-nonfut
‘남자가 온다.’



|

balandjiɟugumbildjibaniɲudji
cl2.abswoman.abscome.nonfut
‘여자가 온다.’



|-

|

bayidjiyaɻadjibaŋgumdjiɟugumbiɻudjibalgandji
cl1.absman.abscl2.ergwoman.erghit.nonfut
‘여자가 남자를 때린다.’



|

balandjiɟugumbildjibaŋguldjiyaɻangudjibalgandji
cl2.abswoman.abscl1.ergman.erghit.nonfut
‘남자가 여자를 때린다.’



|}

지르발어의 어순은 매우 자유롭다.[2] 안의 어순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서로 다른 구에 속한 단어끼리도 문장 안의 어순이 자유롭다. 지르발어의 어순 규칙은 두 가지뿐이다.[2]

# 몇몇 불변화사는 반드시 동사보다 앞에 온다.

# 연속되는 최선호구문에서, 앞선 절의 동사에 지배되는 단어들은 뒤따르는 절의 동사보다 앞에 온다.

반드시 지켜지지는 않지만 선호되는 어순의 예로는 다음이 있다.

# 시간수식어는 대체로 문장 맨 앞에 온다.

# 절대격 명사구는 능격·여격 명사구보다 앞에 온다. 능격 명사구는 동사보다 앞에 온다. 여격 명사구는 동사보다 뒤에 온다.

# 명사표지와 소유자는 명사 앞에 온다. 형용사와 관계절은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온다.

다음은 일반적인 어순으로 된 지르발어 문장과, 같은 문장을 다른 어순으로 말한 것이다.[3]

:

bayidjiwaŋaldjibaŋuldjiyaɻaŋudjibulganudjibaŋgundjiɟugumbiɻudjibuɻandji
cl1.absboomerang.abscl1.genman-genbig-gencl2.ergwoman-ergsee-nonfut
‘여자가 커다란 남자의 부메랑을 보았다.’
bayidjiyaɻaŋudjiɟugumbiɻudjibuɻandjiwaŋaldjibaŋgundjibaŋuldjibulganudji
cl1.absman-genwoman-ergsee-nonfutboomerang.absbig-gencl1.genbig-gen
‘여자가 커다란 남자의 부메랑을 보았다.’


5. 2. 연계 명사구

단문에 사건과 관계있는 ‘연계 명사구’(implicated NP영어)를 추가할 수 있다. 연계 명사구는 여격을 받으며 ‘…와 관련하여’의 뜻을 지닌다.[1]

  • balan ɟugumbil baŋgul yaɻangu mundan ‘남자가 여자를 데려갔다’
  • balan ɟugumbil baŋgul yaɻangu mundan bagum miraɲgu ‘남자가 여자를 콩으로 데려갔다’


향격이 단순히 방향을 뜻하는 것과 달리, 위 문장에서 여격어(‘콩’)은 곧 절대격어(‘여자’)와 관련된 어떤 사건에 연계될 것임을 나타낸다.[1]

5. 3. 동사의 목적형

절대격어, 즉 주제어를 공유하는 문장들의 연쇄에서(#담화 구조 참고) 두 번째 혹은 뒤따르는 문장의 동사복합체는 목적형으로 굴절함으로써 ‘연계 동사복합체’(implicated VC영어)로 표시될 수 있다. 목적형 접미사는 시제 접미사와 같은 위치에 나타난다. 즉 둘은 함께 쓰이지 않는다. 목적형 접미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1]

  • -l 어간 동사: -i
  • -y 어간 동사: -gu
  • -iy 어간 동사의 경우 음운규칙에 의해 어간말 -y가 삭제된다.


A 문장 뒤에 목적형 B 문장이 왔다고 할 때, B가 가리키는 사건은 A 사건이 일어났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B라는 ‘목적’을 위해 A 사건이 발생한 것이거나, A 사건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B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1]

  • bayi yaɻa walmaɲu ‘남자가 일어났다’
  • bayi yaɻa wayɲɟin ‘남자가 오르막을 올라갔다’
  • bayi yaɻa walmaɲu wayɲɟili ‘남자가 오르막을 올라가려고 일어났다’

5. 4. 담화 구조

지르발어에서는 절대격어(자동사의 주어 또는 타동사의 목적어)가 문장의 주제어가 된다. 주제어를 공유하는 문장들의 연쇄를 주제 연쇄(topic chain영어)라 하며, 지르발어 담화에서는 열 개 이상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주제 연쇄도 흔히 나타난다. 주제 연쇄 안에서 주제어는 첫 문장에만 나타나면 되고, 그 뒤에는 전부 혹은 일부 생략될 수 있다(명사표지만 남고 생략되는 경우가 흔하다).[1]

일반적인 문장에서 주제어는 생략되지 않지만, 그 외의 명사구는 모두 생략될 수 있다.[1]

  • balan ɟugumbil balgan ‘여자가 (누군가에게) 맞고 있다’ (행위자 여격어 생략)
  • bayi yaɻa balgaŋaɲu ‘남자가 (누군가를) 때린다’ (-ŋay 형, 피행위자 여격어 생략)


하위 섹션에서는 두 개의 단문을 결합하여 최선호구문을 만들거나, 연속된 두 문장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동사의 형태를 바꾸는 방법 등을 다룬다.

5. 4. 1. 최선호구문

두 개의 단문을 결합하여 최선호구문(favourite construction영어)을 만들 수 있다. 최선호문장의 기저에는 두 개의 단문이 있다. 첫 문장의 절대격어와 둘째 문장의 능격어가 같고, 첫 문장의 여격어가 둘째 문장의 절대격어와 같을 때, 둘째 문장의 동사를 -ŋay 형으로 바꾸어 만들 수 있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balan ɟugumbil baŋgul yaɻangu mundan bagum miraɲgu ‘남자가 여자를 콩으로 데려갔다’
  • balam miraɲ baŋgun ɟugumbiɻu babin ‘여자가 콩을 깠다’


후자를 -ŋay 형으로 바꾸어 ‘콩’을 여격으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 balan ɟugumbil bagum miraɲgu babilŋaɲu ‘여자가 콩을 깠다’


첫 번째 문장과 세 번째 문장은 주제어(절대격어)가 balan ɟugumbil로, 연계 명사구(여격어)는 bagum miraɲgu로 같다. 이때 겹치는 성분을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balan ɟugumbil baŋgul yaɻangu mundan bagum miraɲgu babilŋaɲu ‘남자가 여자를 콩을 까라고 데려갔다’


자동문의 경우에도 최선호구문을 만들 수 있다.

  • balan ɟugumbil yanu bagum miraɲgu ‘여자가 콩으로 갔다’
  • (위의 예시와 같음)
  • balan ɟugumbil yanu bagum miraɲgu babilŋaɲu ‘여자가 콩을 까러 갔다’


두 번째 동사는 목적형으로 굴절할 수도 있다.

5. 4. 2. 동사의 -ŋura 형

연속된 두 문장 가운데 첫 문장의 능격 논항이 둘째 문장의 절대격 논항과 같은 경우, 둘째 문장의 동사는 시제 접미사가 올 자리에 대신 '-ŋura'가 온다. (시제 굴절을 할 때와 마찬가지로 어간말 '-y'나 '-l'은 탈락한다.) 예를 들어 다음 두 문장을 보자.

  • 'bala yugu baŋgul yaɻaŋgu madan' ‘남자가 막대기를 던졌다’
  • 'bayi yaɻa wayɲɟin' ‘남자가 언덕을 올랐다’


두 문장을 합쳐 다음처럼 말할 수 있다.

  • 'bala yugu baŋgul yaɻaŋgu madan bayi yaɻa wayɲɟiŋura' ‘남자가 막대기를 던지고 (곧바로) 언덕을 올랐다’


통사적 기능 외에도 '-ŋura'는 둘째 문장의 사건이 첫째 문장의 사건 직후에 일어남을 나타낸다. 둘째 문장의 절대격 논항은 삭제되는 경우가 많다. '-ŋura'는 첫째 문장에서 주제가 아닌 논항을 뒤따르는 문장(들)의 주제로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지르발어에 '-ŋay' 형과 '-ŋura' 형이 존재함으로써 얻는 효과는, 연속한 두 문장이 논항을 공유할 때, 공유된 논항이 각 문장에서 어떤 격을 받든 간에 이 사실을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1]

5. 5. 재귀태와 상호태

타동사 어근은 재귀형으로 바꿀 수 있는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l 어간 타동사는 어간말 -l을 지우고, 마무 방언과 기라마이 방언에서는 -ríy를 붙인다. 지르발 방언에서는 어간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 강세음절이면 -yiríy를, 그 외의 경우(어간 마지막 음절이 강세음절이거나, 마지막 두 음절이 비강세음절인 경우) -ríy를 붙인다.
  • -y 어간 타동사는 어간말 -y를 지우고, 어간이 두 음절이면 -máriy를, 세 음절 이상이면 -(m)báriy를 붙인다.


타동사 어근재귀형
마무, 기라마이지르발
búybal ‘숨기다’búybaríybúybayiríy
ŋúnbiɻal ‘시도하다’ŋúnbiɻaríyŋúnbiɻaríy
múnumádal ‘그만두다’múnumádaríymúnumádayiríy
gúniy ‘찾다’gúnimáriy
gúnigúniy ‘계속 찾다’gúnigúnibáriy



재귀형은 실제로 재귀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bayi yaɻa buybayriɲu"는 '남자가 스스로를 숨긴다'라는 뜻이다.

또한 재귀형은 재귀의 의미 없이 타동사 어근을 자동사로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balam wuɟu baŋgul yaɻaŋgu ɟaŋgaɲu"(남자가 과일을 먹는다)라는 문장에서 타동사 '먹다'를 자동사로 바꾼 "bayi yaɻa ɟaŋgaymariɲu bagum wuɟugu"(남자가 과일을 먹는다)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재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재귀형을 ‘가짜 재귀형’이라고 하는데, 가짜 재귀형은 -ŋay 형과 통사적으로 똑같고 다만 의미가 다르다. -ŋay 형은 실현된 사건을 나타내지만, 가짜 재귀형은 실현되지 않은 사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bayi yaɻa ɟabandu wagaymariɲu"는 '남자가 장어를 잡는다'(장어를 잡으러 나가 있지만, 실제로 장어를 잡거나 잡지 못했을 수 있음)를 의미하고, "bayi yaɻa ɟabandu wagaŋaɲu"는 '남자가 장어를 잡는다'(실제로 장어를 잡음)를 의미한다.

상호태는 타동사 어간의 첫 두 음절을 중첩하고 어간 끝에 접미사 -(n)bariy를 붙여 만든다. 상호태 동사는 자동사가 된다. 예를 들어 "bayi yaɻa baŋgun ɟugumbiɻu baɻan"(여자가 남자를 때렸다)라는 문장에서 상호태는 "bayi yaɻagara balan ɟugumbilgara baɻalbaɻalnbariɲu"(여자와 남자가 서로 때렸다)이다.

5. 6. 동사의 도구태와 공동태

지르발어에서 도구태 구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동사에 접미사를 붙인다.
  • * 어간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 강세음절인 경우, '-mal'을 붙인다.
  • * 그 밖의 경우, '-mbal'을 붙인다.
  • 도구 명사구는 (도구격이 아니라) 절대격으로 표시한다.
  • 피행위자 명사구는 (절대격이 아니라) 여격으로 표시한다.


도구태 구문은 지르발어에서 자주 사용된다. 다음은 도구태를 사용해 두 단문을 하나로 합친 예문이다.[1]

  • ''bala bari baŋgul yaɻaŋgu maŋgan'' ‘남자가 도끼를 집어든다’
  • ''bala yugu baŋgul yaɻaŋgu baŋgu bariŋgu nudin'' ‘남자가 도끼로 나무를 자른다’
  • ''bala bari baŋgul yaɻaŋgu maŋgan nudilmali bagu yugugu'' ‘남자가 도끼를 집어들어 (도끼로) 나무를 자른다’


타동사에 붙어 도구태를 나타내는 접사 '-mal/mbal'은 자동사에 붙어 타동사를 만들 수 있다. 이는 공동태라 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동사에 접미사를 붙임(도구태와 같음)
  • 행위자 명사구는 (절대격이 아니라) 능격으로 표시
  • 새로운 논항을 절대격으로 표시


공동태에서 추가되는 논항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1]

  • ''bayi yaɻa ɟanaɲu'' ‘남자가 서 있다’
  • ''bala yugu baŋgul yaɻaŋgu ɟanayman'' ‘남자가 나무와 함께 서 있다’ (= 나무토막 위에 서 있다, 나무에 기대어 서 있다, 나무 아래에 서 있다, 나뭇가지를 들고 서 있다 등)

5. 7. 관계절

관계절의 동사와 부동사는 시제 접미사가 올 자리에 대신 관계화 접미사가 온다. (이때 어말 -l이나 -y는 탈락한다.) 그 형태는 관계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의 격에 따라 다르다.

관계화 접미사
절대격-ŋu
능격/도구격-ŋuru
여격-ŋugu
처격-ŋura



각 형태는 관계화 표지 -ŋu-에 격 접미사가 붙은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절대격과 여격은 일반적인 명사의 격 표시 규칙을 따르지만, 능격/도구격과 처격은 관계화 표지 뒤에만 나타나는 특수한 표지인 -ru와 -ra가 쓰였다. 향격이나 탈격으로 굴절한 명사는 관계절의 꾸밈을 받을 수 없다.







지르발어 관계절에서 관계화될 수 있는 성분은 절대격 논항뿐이다. 따라서 타동사의 주어를 관계화하려면 -ŋay 형을 사용해 격 표시를 바꾸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다음은 그러한 과정을 보여주는 예문이다.







지르발어에서 관계절은 피수식 명사 뒤에 오는 편이 선호된다.

6. 금기

지르발 문화에는 매우 복잡한 ''금기'' 체계가 존재했다. 화자는 시어머니, 며느리, 아버지의 자매의 자녀 또는 어머니의 남동생의 자녀와는 절대 대화할 수 없었고, 이들에게 직접 접근하거나 쳐다보는 것도 금지되었다.[9] 화자는 결혼해야 하는 상대인 반대 성별의 사촌과는 대화가 금지되었는데, 이들은 너무 가까운 친척이라 배우자로 선택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성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회피였을 수 있다.[9]

결혼은 일반적으로 한 세대 위나 아래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반대 성별의 사촌은 잠재적인 시어머니나 장인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10] 또한 금기 관계의 친척이 들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언어를 사용해야 했는데, 이 언어는 표준어와 음소문법은 사실상 동일하지만, 어머니와 아버지 측 조부모를 지칭하는 4개의 어휘 항목을 제외하고는 표준어와 어휘를 공유하지 않았다.[11]

금기 관계는 상호적이었다. 따라서 개인은 자신의 시어머니와 대화할 수 없었고,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말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금기였다.[9] 이러한 관계는 양성 모두에게 적용되어 며느리는 시아버지에게 직접 말하거나 접근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금기는 덜 강력하게 시행되었지만, 같은 성별의 구성원 사이에도 존재했다. 예를 들어, 남자는 장인 앞에서 존칭을 사용해야 했지만, 장인은 며느리 앞에서 일상적인 말투나 존칭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었다.[9]

달ŋ우이(Dyalŋuy)라는 특수하고 복잡한 형태의 언어는 금기 관계의 친척 앞에서 사용되었고,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구왈(Guwal)이라고 불리는 형태는 다른 모든 상황에서 사용되었다.[9] 달ŋ우이는 일상어보다 어휘 항목이 4분의 1 정도였으며, 이는 금기 관계의 친척 앞에서 실제 의사 소통의 의미 내용을 줄였다.[12] 예를 들어, 달ŋ우이에서 '묻다'라는 동사는 baŋarrmba-ldbl이다. 구왈에서 '묻다'는 ŋanba-ldbl, '초대하다'는 yumba-ldbl, '동행하도록 초대하다'는 bunma-ldbl이며, '이미 들은 후 계속 묻다'는 gunji-ydbl이다. 달ŋ우이에는 구왈의 다른 3개의 동사에 해당하는 것이 없다.[11]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지르발 화자들은 최소한의 어휘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많은 구문적, 의미론적 트릭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구왈은 bana-dbl 및 gaynyja-dbl 와 같은 어휘 사동을 사용한다. 이는 영어의 "He broke the glass"(타동사) vs "The glass broke."(자동사)와 유사하다. 지르발어는 어휘가 적기 때문에, 형태소 -rri-dbl가 자동사 파생 접미사로 사용된다. 따라서 위의 두 단어에 해당하는 달ŋ우이는 타동사 yuwadbl와 자동사 yuwa-rri-dbl였다.[13]

달ŋ우이에서 발견되는 어휘 항목은 주로 세 가지 출처에서 파생되었다. "인접한 방언이나 언어의 일상적인 어휘에서 빌려온 것, 언어 자체의 일상적인 어법에서 어형의 음운 변형을 통해 새로운 [달ŋ우이] 형태를 만든 것, 그리고 이미 인접한 언어 또는 방언의 [달ŋ우이] 스타일에 있던 용어를 빌려온 것".[14]

방언 간 차용의 예는 이딘(Yidin)과 응아댠(Ngadyan) 방언에서 태양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이딘에서 태양에 대한 구왈 스타일 단어는 [buŋan]이고, 이 단어는 응아댠 방언에서 태양에 대한 달ŋ우이 스타일 단어이기도 했다.[9] 지르발 부족의 아이들은 달ŋ우이의 말하기 스타일을 습득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일상적인 말하기 스타일을 습득한 몇 년 후에, 달ŋ우이로 말하는 사촌들 앞에서였다. 사춘기가 시작될 무렵, 아이는 아마도 달ŋ우이를 유창하게 말하고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10] 일반적으로 시어머니 언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 흔했다. 이는 약 1930년까지 존재했으며, 금기 체계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7. 젊은 지르발어

1970년대에, 지르발어와 기라메이 방언 화자들은 호주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아 머레이 어퍼 지역의 토지를 매입하여 공동체를 형성했다. 이 공동체 내에서 언어 변화가 시작되었고, 연구자 아넷 슈미트에 의해 "젊은 지르발어" 또는 "YD"로 명명된 새로운 형태의 지르발어가 나타났다. 이 언어는 "전통 지르발어" 또는 "TD"와 대조된다.[15]

젊은 지르발어는 문법적으로 전통 지르발어와 다르며, 어떤 경우에는 영어와 더 유사하다. 예를 들어, 전통 지르발어에서 나타나는 격변화(ergative inflection)가 점차 사라지고, 영어에서 발견되는 것과 더 유사한 형태의 굴절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인다.[15]

참조

[1] 웹사이트 Cultural diversity: Census https://www.abs.gov.[...] 2022-10-13
[2] 서적 Australian Languages: Their Nature and Development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4] 서적 Young People's Dyirbal: An Example of Language Death from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논문 A Changing Language Situation: The Decline of Dyirbal, 1963-1989 https://www.jstor.or[...] 1991
[6] 서적 Australian Languages: Their Nature and Development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7] 간행물 Dyirbal: The Language and ITS Speaker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09
[8] 서적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서적 The Dyirbal language of north Queens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논문 The Dyirbal kinship system
[11] 논문 The origin of "mother-in-law vocabulary" in two Australian languages
[12] 서적 Meaning in Anthropology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3] 서적 Changing Valency: Case Studies in Transi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논문 Context, culture, and structuration in the languages of Australia
[15] 논문 The Fate of Ergativity in Dying Dyirbal https://www.jstor.or[...] 1985
[16] 문서 단, ɟaɟa ‘아기’ 또는 bimu ‘아버지의 손위 형제’와 같이 사람을 가리키는 몇몇 명사는 지시체의 성별에 따라 I 부류 또는 II 부류에 속할 수 있다.
[17] 서적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