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질단백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질단백질은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을 운반하는 복합 입자로, 전기영동, 초원심분리 등의 방법을 통해 분류된다. 밀도에 따라 킬로미크론, VLDL, IDL, LDL, HDL의 다섯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지질단백질은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에 따라 알파와 베타로 분류되기도 하며, 구성 성분에 따라 VLDL, IDL, LDL, HDL 등으로 구분된다. 지질단백질은 동맥경화증, 심혈관 질환 등과 관련 있으며, 염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단백질 - 고밀도 지질단백질
    고밀도 지질단백질(HDL)은 세포 내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심혈관 질환 위험을 감소시키는 지질단백질의 일종으로,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리지만 항상 보호 작용을 하는 것은 아니며, 아포지단백질,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되어 간에서 합성되어 혈액을 순환하며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고 대사하며, 심혈관 질환 위험도 평가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지단백질 - 저밀도 지질단백질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은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을 세포에 운반하는 주요 지단백질의 한 종류로, 아포지단백질 B-100과 인지질 단분자층으로 구성되어 혈액 내 이동이 가능하며 세포의 콜레스테롤 항상성 유지 및 세균 감염 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산화 LDL은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지질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구성 성분이자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담즙산의 전구체인 지질로, 체내에서 합성되어 리포단백질을 통해 운반되며, 혈중 수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되어 "나쁜 콜레스테롤"과 "좋은 콜레스테롤"의 균형이 중요하다.
  • 지질 - 지방
    지방은 트리아실글리세롤을 주성분으로 하는 물질이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으로 나뉘고 에너지원 및 신체 조직 구성 성분으로 중요하지만, 특정 지방의 과다 섭취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어 균형 잡힌 섭취가 중요하다.
지질단백질

2. 분류

지질단백질은 크기와 밀도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 지방 대 단백질 비율이 높을수록 크기가 크고 밀도가 낮아진다. 지질단백질은 전기영동, 초원심분리, 핵자기공명 분광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11]

지질단백질은 소장 세포에서 합성되어 세포 외 수분으로 분비되는 아포지단백질을 포함한다. 이 입자들의 외부 껍질에는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도 포함되어 있다. 지질단백질 입자의 외부 껍질은 인지질,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질의 친수성 그룹이 바깥쪽을 향하고 있어 염수 기반 혈액에 잘 녹는다. 트라이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 에스터는 외부 껍질에 의해 물로부터 보호되어 내부로 운반된다. 외부 껍질에 포함된 아포지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지질단백질 입자의 기능이 결정된다.

지질단백질은 LDL과 HDL처럼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리된 아종으로 더 세분될 수 있다.[14][15] 이들은 밀도 또는 단백질 함량이나 운반하는 단백질에 따라 세분된다.[14] 서로 다른 아종은 서로 다른 생리적 역할을 하며, 종 사이에서 서로 다른 아포지단백질,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을 포함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14] 예를 들어, HDL 지질단백질 아종 내에는 일반적인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많은 단백질이 있다.[14] HDL 아종은 항상성, 피브리노겐, 응고 연쇄 반응, 염증 및 면역 반응 (예: 보체계), 단백질 분해 억제제, 급성기 반응 단백질, 리포다당류 결합 단백질, 및 철 대사, 혈소판 조절, 비타민 결합 및 일반적인 수송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4]

2. 1. 밀도에 따른 분류

지질단백질은 밀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밀도가 낮을수록 지방 함량이 높고, 밀도가 높을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다. 이러한 밀도 차이는 초원심분리나 전기영동과 같은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의 혈장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지질단백질들이 존재한다.[3]

사람 혈장의 특성[3]
종류킬로미크론VLDLLDLHDL
전기영동 이동성원점프리-베타베타알파
밀도0.96 미만0.96-1.0061.006-1.0631.063-1.21
직경 (nm)100-100030-9020-2510-20
주요 아포지단백질B48, Al, AllB100, CI, CIIB100AI, AII, CI
총 함량 중 단백질 (%)2102040
총 함량 중 지질 (%)98908060
총 지질 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 (%)88551212
총 지질 중 콜레스테롤 에스터 (%)4245940
총 지질 중 인지질 (%)8202847
총 지질 중 유리 지방산 (%)-111



각 지질단백질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킬로미크론: 소장에서 흡수된 트라이글리세라이드(지방)를 간, 골격근, 지방 조직으로 운반한다.
  • VLDL: 간에서 합성된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지방 조직으로 운반한다.
  • IDL: VLDL과 LDL의 중간 단계이다. 금식 상태에서는 혈액에서 잘 검출되지 않는다.
  • LDL: 3,000~6,000개의 지방 분자 (인지질,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등)를 신체 각 조직의 세포로 운반한다. 농도가 높으면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어 "나쁜" 지질단백질이라고도 불린다. LDL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크고 부유한 LDL (lb LDL)
  • 작고 밀도가 높은 LDL (sd LDL)
  • 리포단백질(a) (LPA)
  • HDL: 세포나 조직에서 지방 분자를 수거하여 간으로 운반한다.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좋은" 지질단백질이라고도 불린다.


70kg의 건강한 성인의 경우, 지질단백질은 아래 표와 같은 비율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 데이터는 개인이나 특정 임상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2][13]

지질단백질 구성 비율 (70kg 건강한 성인 기준)
밀도 (g/mL)종류직경 (nm)단백질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터 (%)인지질 (%)트라이글리세라이드 (%)
>1.063HDL5–153330294-8
1.019–1.063LDL18–282546-5021-228-10
1.006–1.019IDL25–5018292231
0.95–1.006VLDL30–8010221850
<0.95킬로미크론75-12001-28783-84


2. 2. 전기영동에 따른 분류

지질단백질은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에서 단백질 분류에 따라 "알파"와 "베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무베타지단백혈증과 같은 지질 장애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

지질단백질은 전기영동법 또는 초원심법으로 분류된다.[1]

  • 전기영동법(아가로스 겔법)에서 음극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
  • # 카일로미크론 (원점 부근에서 β 리포 단백질 위치에 오는 지질단백질군으로, 브로드 형태를 띤다)[1]
  • # β 리포 단백질 (혈장 단백질 분획에서 β 위치에 오는 지질단백질군)[1]
  • # pre-β 리포 단백질 (혈장 단백질 분획에서 β 위치보다 양극 쪽에 오는 지질단백질군)[1]
  • # α 리포 단백질 (혈장 단백질 분획에서 α 위치에 오는 지질단백질군)[1]
  • 전기영동법(폴리아크릴아미드 겔 디스크법, PAG법)에서 음극에 가까운 쪽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
  • # 카일로미크론[1]
  • #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1]
  • # 중간밀도 지질단백질(IDL)[1]
  • # 저밀도 지질단백질(LDL)[1]
  • # sdLDL[1]
  • # 고밀도 지질단백질(HDL)[1]


아가로스 겔법은 PAGE법과 가장 큰 차이점은, 입자가 큰 VLDL이 먼저 전기영동되고, IDL, LDL 및 sdLDL이 검출되기 어렵다는 점이다.[1]

디스크 전기영동법에서는 IDL을 미드 밴드라고도 부른다.[1]

2. 3. 구성 성분에 따른 분류

지질단백질은 밀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밀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전기영동, 초원심분리, 핵자기공명 분광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11]

지질단백질의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사람 혈장의 특성[3]
킬로미크론VLDLLDLHDL
전기영동 이동성원점프리-베타베타알파
밀도0.96 미만0.96-1.0061.006-1.0631.063-1.21
직경 (nm)100-100030-9020-2510-20
아포지단백질B48, Al, AllB100, CI, CIIB100AI, AII, CI
구성
(총 내용량 %)
· 단백질2102040
· 지질98908060
지질 구성 성분
(총 지질 함량 %)
· 트라이글리세리드88551212
· 콜레스테롤 에스터4245940
· 인지질8202847
· 유리 지방산-111



밀도 (g/mL)클래스직경 (nm)% 단백질%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터
% 인지질% 중성지방
>1.063HDL5–153330294-8
1.019–1.063LDL18–282546-5021-228-10
1.006–1.019IDL25–5018292231
0.95–1.006VLDL30–8010221850
<0.95킬로미크론75-12001-28783-84

[12][13]


  • 전기영동법 (아가로스 겔법): 음극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킬로미크론, β 리포단백질, pre-β 리포단백질, α 리포단백질 순으로 나타난다.
  • 전기영동법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디스크법, PAG법): 음극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킬로미크론, VLDL, IDL, LDL, sdLDL, HDL 순으로 나타난다.
  • 초원심분리법: 비중이 가벼운 순서대로 킬로미크론, VLDL, LDL, HDL 순으로 나타난다.


세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대응 관계를 가지지만,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 β 리포 단백질 - LDL
  • pre-β 리포 단백질 - VLDL
  • α 리포 단백질 - HDL


아가로스 겔법은 VLDL을 먼저 검출하고, IDL, LDL, sdLDL은 검출하기 어렵다. 초원심분리법은 킬로미크론이 쉽게 파괴되어 측정이 어렵다.

킬로미크론은 아포 B48, VLDL은 주로 아포 E, C, 아포 B100, LDL은 아포 B100, HDL은 주로 아포 A1, A2로 구성된다. VLDL이 트라이글리세리드를 잃고 작아진 것을 IDL, LDL 입자가 트라이글리세리드를 잃고 작아진 것을 small dense LDL (sdLDL)이라고 한다.

3. 구조

지질단백질은 주로 콜레스테롤 에스터와 트라이글리세리드와 같은 비극성 지질의 소수성 중심 코어를 가진 복합 입자이다. 이 소수성 코어는 인지질, 유리 콜레스테롤, 아포지질단백질로 구성된 친수성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2] 혈장에서 발견되는 혈장 지질단백질은 일반적으로 크기, 지질 조성 및 아포지질단백질 함량에 따라 HDL, LDL, IDL, VLDL, 유미입자의 다섯 가지 주요 등급으로 나뉜다.

지방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혈장과 같은 세포 외 수분에서 자체적으로 운반될 수 없다. 대신 운반체 역할을 하는 친수성 외부 껍질로 둘러싸여 있다. 지질단백질 입자의 역할은 신체의 세포 외 수분 내에서 트라이글리세리드, 인지질,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분자를 신체의 모든 세포와 조직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아포지단백질이라고 하는 이 입자의 외부 껍질에 포함된 단백질은 소장 세포 모두에서 합성되어 세포 외 수분으로 분비된다. 외부 껍질에는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도 포함되어 있다.

모든 세포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여 세포가 내부 수분 함량과 내부 수용성 원소를 제어하고 내부 구조 및 단백질 효소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여러 세포막을 만든다. 지질단백질 입자의 외부 껍질은 인지질,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질의 친수성 그룹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염수 기반 혈액 풀에 용해된다. 트라이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 에스터는 외부 껍질에 의해 물로부터 보호되어 내부적으로 운반된다. 외부 껍질에 포함된 아포지단백질의 종류는 지질단백질 입자의 기능적 정체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아포지단백질이 혈액 내 효소, 서로 또는 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면 트라이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이 지질단백질 운반 입자에 추가될지 또는 제거될지가 결정된다.

사람 혈장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3]

킬로미크론VLDLLDLHDL
전기영동 이동성원점프리-베타베타알파
밀도0.96 미만0.96-1.0061.006-1.0631.063-1.21
직경 (nm)100-100030-9020-2510-20
아포지단백질B48, Al, AllB100, CI, CIIB100AI, AII, CI
구성
(총 내용량 %)
· 단백질2102040
· 지질98908060
지질 구성 성분
(총 지질 함량 %)
· 트라이글리세리드88551212
· 콜레스테롤 에스터4245940
· 인지질8202847
· 유리 지방산-111


4. 기능

지방은 물에 녹지 않아 혈장과 같은 세포 외 수분에서 자체적으로 운반될 수 없다. 대신 운반체 역할을 하는 친수성 외부 껍질로 둘러싸여 운반된다. 지질단백질 입자는 신체의 세포 외 수분 내에서 트라이글리세리드, 인지질,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분자를 신체의 모든 세포와 조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3]

모든 세포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여 세포막을 만든다. 지질단백질 입자의 외부 껍질은 인지질,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질의 친수성 그룹이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염수 기반 혈액에 용해되도록 한다. 트라이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 에스터는 외부 껍질에 의해 물로부터 보호되어 내부적으로 운반된다. 외부 껍질에 포함된 아포지단백질의 종류는 지질단백질 입자의 기능적 정체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아포지단백질이 혈액 내 효소, 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면 트라이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이 지질단백질 운반 입자에 추가되거나 제거된다.[3]

혈장 지질단백질은 산소 기체를 운반할 수 있다.[6] 이러한 특성은 지질의 결정성 소수성 구조에 기인하며, 이는 수성 매체에 비해 O2 용해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7]

염증병원체 침투와 같은 자극에 대한 생물학적 시스템 반응이다. 지질단백질, 특히 HDL은 염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 HDL은 LTA, LPS와 결합하여 HDL-LPS 복합체를 생성하여 신체의 유해한 영향을 중화하고 LPS를 신체에서 제거한다.[9] HDL은 또한 면역계 세포와 상호 작용하여 콜레스테롤의 가용성을 조절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9]

감염 또는 패혈증과 같은 특정 비정상적인 생리적 조건에서는 HDL의 주요 구성 요소가 변경된다.[9][10] 급성기 염증 반응의 급성기 HDL은 LDL의 산화를 억제하는 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8]

5. 대사

콜레스테롤은 고등 척추동물의 뇌, 신경 조직, 부신, 혈액 등에 많이 들어 있는 대표적인 스테로이드이다. 핏속에서 콜레스테롤 양이 많아지면 동맥 경화증이 나타날 수 있다.

지질단백질 입자의 체내 처리는 '지질단백질 입자 대사'라고 불린다. 이는 지질단백질 입자가 주로 식이(외인성) 지질로 구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생체 내 지질 합성을 통해 간에서 기원했는지(내인성)에 따라 외인성 경로와 내인성 경로로 나뉜다.

간세포는 트리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롤 처리를 위한 주요 플랫폼이며, 간은 또한 특정 양의 글리코겐과 트리글리세리드를 저장할 수 있다. 지방세포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주요 저장 세포이지만, 어떠한 지질단백질도 생성하지 않는다.

지질단백질 대사의 필수 사항을 보여주는 단순화된 흐름도.

5. 1. 외인성 경로

담즙은 유미즙에 포함된 지방을 유화시키고, 췌장 리파아제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를 두 개의 지방산과 하나의 2-모노아실글리세롤로 분해한다. 장 세포는 유미즙에서 작은 분자를 쉽게 흡수한다. 장 세포 내부에서 지방산과 모노아실글리세리드는 다시 트리글리세리드로 변환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지질은 아포지단백질 B-48과 함께 ''신생 유미입자''로 조립된다. 이 입자는 아포지단백질 B-48에 크게 의존하는 과정을 통해 유미관으로 분비된다. 신생 유미입자는 림프관을 순환하면서 간 순환을 우회하고 흉관을 통해 혈류로 배출된다.

혈류에서 ''신생 유미입자''는 HDL 입자와 상호 작용하여 아포지단백질 C-II와 아포지단백질 E를 받는다. 이 단계의 유미입자는 성숙한 것으로 간주된다. 아포지단백질 C-II를 통해 성숙한 유미입자는 혈관을 덮고 있는 내피 세포의 효소인 지단백질 리파아제(LPL)를 활성화한다. LPL은 트리글리세리드의 가수 분해를 촉매하여 유미입자에서 글리세롤과 지방산을 방출한다. 글리세롤과 지방산은 에너지와 저장을 위해 특히 지방 조직근육 조직과 같은 말초 조직에서 흡수될 수 있다.

가수 분해된 유미입자는 ''유미입자 잔여물''이라고 한다. 유미입자 잔여물은 아포지단백질 E를 통해 주로 간에서 발견되는 유미입자 잔여물 수용체와 상호 작용할 때까지 혈류를 계속 순환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유미입자 잔여물의 세포내 이입을 유발하며, 이는 이후 리소좀 내에서 가수 분해된다. 리소좀 가수 분해는 글리세롤과 지방산을 세포로 방출하여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카일로마이크론은 0.94g/mL 미만의 지질단백질로, 직경은 180 - 500nm 정도이다.[18] 카일로마이크론 안에는 약 1:10의 비율로 콜레스테롤과 트리아실글리세롤(TG)이 포함되어 있다. 장관에서 흡수된 지질이 장관 점막에서 지질단백질로 재구성되어, 림프관을 거쳐 간으로 운반된다. 그 역할을 하는 것이 카일로마이크론이다. 구성하는 아포지질단백질로 ApoB48 등이 있다.

지질단백질 리파아제(LPL) 결손증에서는 고카일로마이크론혈증을 나타낸다. 한편, 지질단백질을 합성하는데 필요한 MTP(마이크로솜 트리글리세리드 수송 단백질)을 결손하는 경우, 무베타지질단백혈증이 되어 지용성 비타민이 운반되지 않으므로, 비타민 A비타민 E의 결핍증과 유사한 야맹증이나 말초신경마비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5. 2. 내인성 경로

간은 지질 처리를 위한 중심적인 플랫폼이다. 간은 간세포 내에 글리세롤과 지방을 저장할 수 있다. 간세포는 또한 de novo 합성을 통해 트리글리세리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콜레스테롤로부터 담즙을 생성하기도 한다.[5]

간세포 내에서 트리글리세리드와 콜레스테릴 에스테르는 아포지단백 B-100과 함께 조립되어 ''미성숙 VLDL 입자''를 형성한다. 미성숙 VLDL 입자는 아포지단백 B-100에 의존하는 과정을 통해 혈류로 방출된다.[5]

혈류 내에서 ''미성숙 VLDL 입자''는 HDL 입자와 충돌하며, 그 결과 HDL 입자는 아포지단백 C-II와 아포지단백 E를 미성숙 VLDL 입자에 기증한다. 아포지단백 C-II와 E가 로딩되면 미성숙 VLDL 입자는 성숙한 것으로 간주된다. VLDL 입자는 순환하며 내피 세포에서 발현되는 LPL을 만난다. 아포지단백 C-II는 LPL을 활성화시켜 VLDL 입자를 가수분해하고 글리세롤과 지방산을 방출한다. 이러한 생성물은 주로 지방 조직과 근육과 같은 말초 조직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흡수될 수 있다. 가수분해된 VLDL 입자는 이제 VLDL 잔류물 또는 중간 밀도 지단백질(IDL)이라고 불린다. VLDL 잔류물은 순환할 수 있으며, 아포지단백 E와 잔류물 수용체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간에 흡수되거나 간 리파아제에 의해 추가로 가수분해될 수 있다.[5]

간 리파아제에 의한 가수분해는 글리세롤과 지방산을 방출하여 비교적 높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가진 ''IDL 잔류물''인 저밀도 지단백질(LDL)을 남긴다[5] LDL은 순환하며 간과 말초 세포에 흡수된다. LDL이 표적 조직에 결합하는 것은 LDL 수용체와 LDL 입자상의 아포지단백 B-100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한다. 흡수는 세포내이입을 통해 일어나며, 내부화된 LDL 입자는 리소좀 내에서 가수분해되어 주로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지질을 방출한다.[5]

6. 지질단백질과 질병

콜레스테롤은 고등 척추동물의 뇌, 신경 조직, 부신, 혈액 등에 많이 들어 있는 대표적인 스테로이드이다. 핏속에서 콜레스테롤 양이 많아지면 동맥경화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염증병원체의 침투와 같은 자극에 대한 생물학적 시스템 반응으로, 지질단백질, 특히 HDL은 염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

정상적인 생리적 조건에서 HDL은 LDL의 산화와 그 이후에 나타나는 염증 과정을 예방하는 등 여러 면에서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8] LDL은 아포지단백질 B(apoB)를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혈당 수치로 인해 글리코칼릭스가 손상된 경우 동맥벽과 같은 다양한 조직에 결합할 수 있다.[8] 산화된 LDL은 프로테오글리칸에 갇혀 HDL 콜레스테롤 유출에 의한 제거를 방해받을 수 있다.[8]

지질다당류(LPS)는 그람 음성 세균 세포벽의 주요 병원성 인자이며, 그람 양성 세균은 리포테이코산(LTA)이라는 유사한 성분을 가지고 있다. HDL은 LPS와 LTA에 결합하여 HDL-LPS 복합체를 생성, 신체의 유해한 영향을 중화하고 LPS를 신체에서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9] 또한 면역계 세포와 상호 작용하여 콜레스테롤의 가용성을 조절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9]

감염이나 패혈증과 같은 특정 비정상적인 생리적 조건에서는 HDL의 주요 구성 요소가 변경된다.[9][10] HDL 콜레스테롤(HDL-C), 인지질, apoA-I(유익한 항염증 특성을 가진 HDL의 주요 지질단백질)이 감소하고 혈청 아밀로이드 A가 증가한다. 이러한 HDL의 변화된 조성을 급성기 염증 반응의 급성기 HDL이라고 하며, 이 기간 동안 HDL은 LDL의 산화를 억제하는 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8] 이러한 HDL 조성 변화는 패혈증 환자의 사망률 증가 및 더 나쁜 임상 결과와 관련이 있다.[9]

LDL 수용체 결손증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FH)이라고 불리며, 특히 동형 결손증에서는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600mg 이상으로 증가하여 사춘기에도 허혈성 심장 질환 등 심각한 동맥경화증으로 이어진다.

6. 1.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혈증은 혈액 내 지질 농도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특정 지질단백질의 증가는 동맥경화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 카일로마이크론: 장에서 흡수된 지질을 운반하며, 콜레스테롤과 트리아실글리세롤을 포함한다.[18] 지질단백질 리파아제(LPL) 결손증은 고카일로마이크론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 에서 생성되어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말초 조직으로 운반한다.[18]
  • 중간밀도 지질단백질(IDL): VLDL과 카일로마이크론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며, '잔사'라고도 불린다.[18] 대사 증후군 환자나 특정 유전 질환자에게서 혈중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콜레스테롤 함량이 가장 높으며, 말초 조직에 콜레스테롤을 공급한다.[18] LDL 수용체 결손증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며, 산화 LDL은 동맥경화증 발병에 관여한다.
  •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말초 조직의 콜레스테롤으로 운반하여 동맥경화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18]

6. 2. 동맥경화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면 동맥경화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8] 염증병원체 침투 등에 대한 생물학적 반응으로, HDL은 이 염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

정상적인 생리적 조건에서 HDL은 LDL의 산화와 염증 과정을 예방하는 유익한 기능을 한다.[8] 그러나 감염이나 패혈증과 같은 비정상적인 조건에서는 HDL의 구성 요소가 변하여 LDL 산화 억제 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8] 이러한 HDL 조성 변화는 패혈증 환자의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9]

LDL은 아포지단백질 B(apoB)를 함유하여 동맥벽 등에 결합할 수 있으며,[8] 산화된 LDL은 HDL에 의한 제거를 방해받을 수 있다.[8] HDL은 그람 음성 세균의 지질다당류(LPS)나 그람 양성 세균의 리포테이코산(LTA)과 결합하여 유해한 영향을 중화하고 제거하는 능력을 갖는다.[9] 또한 면역계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9]

LDL 수용체 결손증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라고 불리며, 심각한 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산화, 변성, 당화된 LDL은 LDL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을 잃고 대식세포에 섭취되어 동맥경화증을 유발한다. 스몰 덴스(sd-LDL)는 LDL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낮고 혈관벽에 침투하기 쉬워 허혈성 심장 질환과 관련이 있다.

HDL은 말초 조직에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동맥경화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HDL은 단순히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역할의 차이만 있을 뿐, '착한 콜레스테롤'이라고 부르는 것은 부정확하다. HDL은 아포지질단백질 A-I(apo A-I)나 아포지단백 A-II(apo A-II) 등으로 구성되며, 콜레스테롤 역수송(CETP)을 통해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한다.

6. 3.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FH)

LDL 수용체 결손증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FH)이라고 불리며, 특히 동형 결손증에서는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600mg 이상으로 증가하여 사춘기에도 허혈성 심장 질환 등 심각한 동맥경화증으로 이어진다.[18]

7. 연구 동향

지질단백질(a)의 높은 수치는 동맥경화증,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위험 요소이며, 이는 염증혈전증과 관련된 메커니즘을 통해 나타난다.[16] 2022년 현재, 서로 다른 지질단백질 이소형 간의 메커니즘, 심혈관 질환의 위험, 지질단백질 합성, 조절 및 대사, 그리고 유전 질환과 관련된 위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16]

참조

[1] 논문 Blood lipids and human atherosclerosis 1950-08
[2] 웹사이트 Microbial Proteolipids and Lipopeptides - glycopeptidolipids, surfactin, iturnins, polymyxins, daptomycin http://www.lipidhome[...] 2019-07-21
[3] 서적 Biochemistry Books and Allied 2002
[4] 간행물 Introduction to Lipids and Lipoproteins http://www.ncbi.nlm.[...] MDText.com, Inc. 2020-12-10
[5] 논문 Three-dimensional cryoEM reconstruction of native LDL particles to 16Å resolution at physiological body temperature 2011-05
[6] 논문 Plasma oxygen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a comparison of blood oxygen levels with oxygen present in plasma lipid 1998
[7] 논문 Electron spin resonance imaging of tissues with lipid-rich areas 1988-10
[8] 논문 The dual nature of HDL: Anti-Inflammatory and pro-Inflammatory 2015-05
[9] 서적 High Density Lipoproteins Springer 2015
[10] 논문 Emerging role of high density lipoproteins as a player in the immune system 2012-01
[11] Youtube Vantera Clinical Analyzer - MDEA 2013 Finalist https://www.youtube.[...] LipoScience, Inc.
[12] 서적 Biochemistry 1995
[13]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1995
[14] 논문 Proteomic diversity of high density lipoproteins: our emerging understanding of its importance in lipid transport and beyond 2013-10
[15] 논문 LDL and HDL subfractions, dysfunctional HDL: treatment options 2014
[16] 논문 Lipoprotein(a): A Genetically Determined, Causal, and Prevalent Risk Factor for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2-01
[17] 웹사이트 IUPAC Gold Book - lipoproteins http://goldbook.iupa[...]
[18] 서적 스트라이어 생화학 東京化学同人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