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드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드호는 차드, 니제르, 나이지리아, 카메룬에 걸쳐 있는 얕은 호수로, 차드 분지에 위치한다. 차드 분지는 지형적으로 열곡 분지이며, 샤리강, 로곤강, 요베강에서 물이 유입된다. 과거에는 아프리카에서 여섯 번째로 큰 호수였으나, 기후 변화, 과도한 관개, 사헬 지역의 사막화 등으로 인해 1960년대 이후 면적이 95% 이상 감소했다. 이러한 축소는 생태계 파괴, 지역 주민의 생존 위협, 국가 간 분쟁 심화 등의 문제를 야기했으며, 차드호 유역 위원회를 중심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차드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2018년의 차드호
2018년의 차드호
다른 이름아랍어: (부ḥ아이라트 차드)
카누리어: (사더)
프랑스어: (라크 차드)
위치사헬 지대, 차드, 카메룬, 나이지리아, 니제르의 접경 지역
유입차리강, 요베강, 응가다강
유출바르 엘 가잘
유역 국가차드, 카메룬, 나이지리아, 니제르
람사르 습지람사르 협약 지정
Lac Tchad (2001년 6월 17일, 1072호)
Partie tchadienne du lac Tchad (2001년 8월 14일, 1134호)
Lake Chad Wetlands in Nigeria (2008년 4월 30일, 1749호)
Partie Camerounaise du Lac Tchad (2010년 2월 2일, 1903호)
물리적 특징
면적약 2,000 km²
최대 깊이약 2 m
보고메롬 군도
주요 도시

2. 지리

아프리카 중앙부, 사헬 지대의 남단에 위치한 내륙 호수이다. 호수는 동쪽으로 차드, 서쪽으로 니제르나이지리아, 남쪽 일부가 카메룬과 접하며, 4개국의 국경선이 호수 중앙에서 만난다.

차드호는 면적이 넓지만 평균 수심이 매우 얕고, 우기건기에 따라 수위와 면적이 크게 변하는 특징을 가진다. 호수의 주요 수원은 남쪽에서 흘러드는 샤리강이다. 이 호수는 주변 지역 약 2,000만 명 이상의 주민들에게 중요한 공급원이며,[47]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아프리카의 주요 습지 중 하나이다.

2. 1. 지형

차드호 주변 지도


차리강 유역을 보여주는 지도


호수 동부에는 차드가 접하고 서쪽에는 니제르나이지리아가 접한다. 남부 일부는 카메룬과 접하며, 호수 중앙부에서는 이 4개국의 국경선이 교차한다.

차드호가 속한 차드 분지는 차드, 나이지리아, 카메룬, 니제르, 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걸쳐 있다.[18] 이 분지는 지각이 확장되며 만들어진 단층 함몰형 열곡 분지로, 지질학적으로 남부 함몰, 북부 함몰, 중앙 융기, 동부 사면의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19] 특히 분지의 남부 함몰 지역은 동쪽 경계가 급하고 서쪽 경계는 완만한 비대칭적인 복합 열곡의 특징을 보이며, 북북서(NNW) 방향으로 길게 늘어서 있다. 분지 양쪽에는 큰 규모의 경계 정단층이 발달해 있고, 가운데에는 땅이 내려앉은 그라벤 구조와 함몰 지형이 나타난다. 분지 중앙 지역의 퇴적층 두께는 매우 두꺼워, 가장 깊은 곳은 10000m 이상에 달한다. 분지의 북쪽 부분은 단면상 서쪽이 가파르고 동쪽이 완만한 형태를 보이며, 분지 경계 단층과 평행한 다섯 개의 단층 구조대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발달해 있다.[19]

지난 7,000년 동안 차드호의 축소, 영국 제도의 윤곽선으로 크기 비교


호수 내부는 "대 장벽(Great Barrier)"이라고 불리는 얕은 턱에 의해 북부와 남부로 나뉜다.[31] 북부 분지의 바닥은 평균 해발 275.3m이고 남부 분지의 바닥은 평균 해발 278.2m이다.[31] 남쪽 분지의 수위가 해발 279m를 초과하면 물이 북쪽 분지로 흘러 들어간다.[31] 호수 남쪽에는 차리강이 흘러드는 입구 주변으로 항상 물이 차 있는 개방 수역이 있으며, 이 수역의 서쪽 부분은 넓은 갈대 늪으로 덮여 있다.[20] 동쪽 수역에는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은 모래 언덕들이 여러 섬을 이루며 군도를 형성한다.[23]

차드호는 면적은 넓지만 수심은 매우 얕아서 가장 깊은 곳도 7m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우기건기에 따라 호수의 면적과 수심 변화가 크다. 남부 호수 분지의 평균 깊이는 0.5m에서 2m 사이이고, 북부 호수 분지의 평균 깊이는 0에서 1.8m 사이이며, 동부 군도 지역의 평균 깊이는 0에서 2m 사이이다.[21]

역사적으로 차드호의 크기는 매우 큰 변화를 겪어왔다. 사하라 사막 주변 지역이 지금보다 훨씬 습윤했던 약 1만 년 전에는 호수 면적이 1e6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지난 1,000년 동안 최소 여섯 차례는 완전히 마르기도 하는 등[22] 극심한 확대와 축소를 반복해왔다.

2. 2. 수문학



차드 분지는 약 100000km2 면적을 차지하며, 차드, 나이지리아, 카메룬, 니제르, 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 걸쳐 있다.[18] 이 분지는 지질학적으로 확장 단층 함몰형 열곡 분지이며, 남부 함몰, 북부 함몰, 중앙 융기, 동부 사면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 특히 남부 함몰 지역은 퇴적층 두께가 10000m 이상에 달할 정도로 깊다.[19]

차드호는 "대 장벽"이라 불리는 얕은 턱에 의해 북부와 남부로 나뉜다. 북부 분지의 바닥은 해발 275.3m, 남부 분지의 바닥은 해발 278.2m이다. 남쪽 수위가 해발 279m를 넘으면 물이 북쪽으로 흘러 들어간다.[31] 남부 호수는 샤리강 하구 부근에 항상 물이 차 있으며, 서쪽은 갈대 늪으로 덮여 있고,[20] 동쪽에는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은 모래 언덕들이 군도를 형성한다.[23] 남부 호수 분지의 평균 깊이는 0.5m에서 2m 사이, 북부 호수 분지는 0에서 1.8m, 동부 군도 지역은 0에서 2m 사이이다.[21] 호수는 면적에 비해 매우 얕아 가장 깊은 곳도 7m에 불과하며, 이 때문에 우기건기에 따라 면적과 수심 변화가 매우 크다.

호수의 주요 수원은 남쪽 아다마와 고원의 강수로부터 발원하는 샤리강과 로곤강으로, 이 두 강이 전체 유입량의 95%를 차지한다. 요베강은 유입량의 2.5% 미만을 기여한다.[37][23][22] 호수의 물 공급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한다. 호숫물은 지하를 통해 북동쪽으로 약 480km 떨어진 차드 분지 최저점인 보델레 우울(해발 155m)로 스며든다. 이 과정에서 염분 대부분이 제거되어 차드호는 비교적 낮은 염도를 유지하며, 남서쪽 물은 담수, 북동쪽 물은 약간의 염분을 띤다.[24][37]

1972년부터 2007년까지 차드호의 변화


차드호 지역의 기후는 대륙성 및 해양성 기단의 영향을 받는다. 여름에는 해양성 기단의 북상으로 계절성 강수가 발생하고, 늦여름부터는 대륙성 기단이 우세해진다.[22] 연평균 강수량은 약 330mm이며, 남쪽 강둑은 560mm, 북쪽 강둑은 약 250mm이다. 우기 최고 기온은 30°C이며, 건기가 시작되는 10월과 11월에는 32°C 이상으로 오른다. 4월은 연중 가장 더운 달로 기온이 때때로 40°C에 이르며, 최저 수위는 6~7월, 최고 수위는 11~12월에 나타난다. 표면 수온은 19°C에서 32°C 사이에서 변동한다.[22][23]

차드호는 얕은 내륙호로서 기후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강수량과 증발량의 변화는 호수 수위와 면적에 큰 영향을 미친다.[25][28][26] 특히 사헬 지역의 강수량은 대서양 다중 진동과 엘니뇨-남방 진동 같은 기후 패턴의 영향을 받는다.[27] 1960년대 초부터 시작된 사헬 가뭄은 호수 수위를 급격히 감소시켰으며, 1980년대 중반까지 수위는 1900년~2010년 평균 대비 3m나 낮아졌다.[27] 또한, 주변 지역의 과도한 방목과 삼림 벌채로 인한 식생 파괴, 호수로 유입되는 강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대규모 관개 사업 등 인간 활동 역시 호수 축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29]

역사적으로 차드호의 면적은 크게 변동해왔다. 1만 년 전 습윤기에는 면적이 100만 km2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난 1,000년 동안 최소 6번은 완전히 마르는 등 극심한 변화를 겪었다. 비교적 최근의 면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시기면적 (km²)
1870년경28000km2 [22]
1966년 6월22772km2 [29]
1973년 1월15400km2 [29]
1975년4398km2 [31]
1994년 2월1756km2 [29]
1995년-1998년1200km2 ~ 4500km2 [31]
2000년5075km2 [31]
2013년-2016년 (평균)약 1876km2 [32]
2015년 7월 (최대)2231km2 [32]



차드호와 주변 습지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중요한 생태 지역으로,[48][49][50][51] 알락오리, 넓적부리도요, 검은부리갈매기, Reed cormorant|리드 가마우지eng, 목도리도요, 아프리카넓적부리황새, 흰뺨오리 등 수많은 구북구 철새와 100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한다. 또한 Kuri cattle|쿠리 소eng, 발톱없는수달, Red-fronted gazelle|붉은이마가젤eng, 아프리카코끼리, 하마, 나일악어 등 다양한 포유류와 파충류에게도 중요한 서식지이다. 호수는 주변 국가에 거주하는 약 2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을 공급하는 중요한 수원이며, 어업 활동의 기반이 된다. 특히 니제르에서는 국내 어획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어업이 활발하다.[47]

2. 3. 기후

차드호 지역의 기후는 대륙성 및 해양성 기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여름에는 해양성 기단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계절성 강수를 유발하며, 늦여름이 되면 다시 대륙성 기단이 우세해진다.[22]

차드호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330mm 정도이다. 호수 남쪽 강둑의 연평균 강수량은 560mm이며, 북쪽 강둑은 약 250mm이다. 우기의 최고 기온은 30°C 수준이며, 10월과 11월에 건기로 접어들면 최고 기온이 32°C 이상으로 상승한다. 건기에는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우기의 거의 두 배에 달하며, 12월과 1월에는 밤 최저 기온이 때때로 8°C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4월이 연중 가장 더운 달로, 기온이 40°C에 이르기도 한다. 호수의 수위는 6월에서 7월에 가장 낮아지고, 11월에서 12월에 가장 높아진다. 표면 수온은 19°C에서 32°C 사이에서 변동한다.[22][23]

3. 생태

줄어드는 차드호 (위 왼쪽에서부터 1973, 1987, 1997, 2001)


차드호는 과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될 만큼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는 아프리카의 중요한 습지였으나, 현재 심각한 생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산업혁명 이후 가속화된 지구 온난화, 사헬 지대의 급격한 사막화, 관개 용수 사용 증가, 그리고 주변 지역의 인구 급증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호수 면적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

1823년 유럽 탐사 당시 세계에서 6번째로 큰 호수였던 차드호는 2018년 기준으로 유량이 95%나 줄어들어 호수 존속 자체가 위협받는 재앙적인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과거 풍부했던 어류,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지를 잃고 개체 수가 급감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했다. 특히 악어, 하마, 코끼리와 같은 일부 대형 동물은 이미 이 지역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호수 주변의 환경 변화도 심각하여, 과거 지대와 갈대밭이었던 곳은 사막으로 변했으며, 호수에 생계를 의존하던 수많은 주민 역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차드호의 생태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차드 분지의 일부는 나이지리아의 차드 분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나이지리아와 카메룬은 총면적 8225km2에 달하는 차드호 람사르 습지를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35] 차드,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4개국에 걸친 차드호 유역은 각각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48][49][50][51]

3. 1. 식생



차드호 주변의 식생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남부의 습지에서는 주로 파피루스 등이 자라며, 염도가 높은 북쪽에서는 갈대가 주로 발견된다. 부유 식물인 물배추는 때때로 넓은 수역을 뒤덮기도 한다. 남부에서 장기간 홍수가 발생하는 호숫가에서는 Hyparrhenia rufa|히파레니아 루파lat와 같은 식물이 자란다.[35]

호수의 수위가 낮아지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영구적인 식생 면적은 2000년 약 3800km2에서 2020년 약 5200km2로 오히려 증가했다.[33] 한때 호수 주변을 둘러쌌던 울창한 숲은 아카시아, 바오밥, 야자, 인도 대추 등이 자라는 개방된 형태로 변화했다.[22]

차드호와 그 주변 습지람사르 협약에 등록될 만큼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중요한 서식지이다.[48][49][50][51] 알락오리, 넓적부리도요, 검은부리갈매기, Reed cormorant|아프리카코비토우eng, 목도리도요, 아프리카넓적부리황새, 흰뺨오리구북구에서 온 많은 철새들이 이곳을 찾는다. 또한 100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하며, Kuri cattle|쿠리 소eng, 발톱없는수달, Red-fronted gazelle|코린가젤eng, 아프리카코끼리, 하마, 나일악어 등 다양한 포유류와 파충류에게도 중요한 서식 환경을 제공한다.[48][49][50][51]

그러나 지구 온난화, 사헬 지대의 사막화, 주변 지역의 관개 용수 사용 증가 및 인구 증가 등으로 호수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생태계는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과거에는 85종의 어류와 23종의 고유 어종, 44종의 조류를 비롯해 악어, 하마, 코끼리, 목도리도요, 녹슨 종달새 등 다양한 고유종이 풍부했으나, 유량 감소로 인해 어종 상당수가 멸종했거나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이를 먹이로 삼던 새들의 개체 수도 급감했다. 악어, 하마, 코끼리는 이미 이 지역에서 자취를 감춘 지 오래되었다. 과거 늪지대와 갈대밭이었던 곳은 사막으로 변해가고 있다.

3. 2. 조류

차드호는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에 의해 중요 조류 구역(IBA)으로 지정될 만큼[34] 조류에게 중요한 서식지이다. 과거에는 44종의 조류가 서식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수와 연안의 습지는 북방부, 이집트 거위, 마라부 황새 등 수백 종의 조류가 영구적으로 또는 계절적으로 서식하는 곳이며,[22] 특히 유럽에서 오는 오리과 및 물새에게 중요한 월동 장소이다.

호숫가에서는 초원수리, 검은발수리와 같은 맹금류도 발견된다.[35] 또한, 한 번에 100만 마리 이상의 목도리도요가 관찰될 정도로[36] 많은 새들이 이곳을 찾는다. 이 외에도 알락오리, 넓적부리도요, 검은부리갈매기, Reed cormorant|아프리카코비토우영어, 아프리카넓적부리황새, 흰뺨오리 등 다양한 구북구철새들이 서식한다.[48][49][50][51]

그러나 지구 온난화와 사헬 지대의 사막화 등으로 호수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먹이가 되는 어종의 감소와 함께 새들의 개체 수 역시 크게 줄어들고 있어 생태계 보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3. 3. 포유류

차드호와 그 주변 지역은 과거 다양한 포유류의 서식지였다. 한때 흔했던 대형 포유류로는 붉은이마가젤, 다마가젤, 붉은털원숭이, 줄무늬하이에나, 치타, 카라칼 등이 있었다. 또한 호수 주변의 습지에는 아프리카코끼리, 수달, 하마, 시타퉁가, 코브 등이 분포했다.

그러나 현재는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이들 대형 포유류 대부분이 심각한 위협을 받아 개체 수가 급감하거나 지역적으로 멸종되었으며, 그 자리는 주로 가축인 소가 차지하게 되었다.[35]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드호와 연안의 습지는 여전히 Kuri cattle|쿠리소eng, 발톱없는수달, 붉은이마가젤, 아프리카코끼리, 하마 등 일부 포유류에게 중요한 서식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차드호 유역은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48][49][50][51]

3. 4. 어류

차드 분지 전체에는 179종의 어류가 서식하며, 이 중 127종은 나이저강 유역과, 85종은 나일강 유역과, 47종은 콩고강 유역과 동일한 종이다. 호수 자체에는 84종의 어류가 분포한다.[37] 과거 차드호는 85종의 어류와 23종의 고유 어종이 서식하는 풍요로운 곳이었으나, 현재는 호수 유량 감소로 인해 상당수 어종이 멸종했거나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드호와 연안 습지는 여전히 알락오리, 넓적부리도요, 검은부리갈매기, Reed cormorant|아프리카코비토우영어, 목도리도요, 아프리카넓적부리황새, 흰뺨오리 등 많은 구북구 철새 및 100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하는 중요한 장소이며, 차드,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4개국에 속하는 호수 부분이 각각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어 있다.[48][49][50][51]

호수의 어류 생태는 계절적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다. 계절에 따른 홍수 유입은 염도를 낮추고 탁도를 높이며 영양 단계를 증가시킨다. 이는 식물성 플랑크톤동물성 플랑크톤의 급증으로 이어져, 큰 물고기들이 홍수 시기에 비옥해진 범람원으로 이동하여 먹이를 먹고 번식하는 계절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20]

차드호의 풍부한 어족 자원은 나이지리아, 니제르, 차드, 카메룬 전역의 지역 사회에 중요한 어장을 제공한다.[37] 특히 니제르에서는 차드호 어업이 국가 전체 어획고의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가뭄으로 인해 어업이 큰 타격을 입기도 했으나, 1998년 이후 수위가 회복되면서 어업도 다시 활기를 띠어 2003년 이후에는 니제르 영내에서만 연간 4.5만ton 전후의 어획고를 기록하고 있다.[47]

4. 역사



차드호는 역사적으로 면적 변화가 매우 컸던 호수이다. 사하라 사막 주변 지역이 지금보다 훨씬 습윤했던 약 1만 년 전에는 그 면적이 1e6km2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3][22] 하지만 지난 1,000년 동안 최소 여섯 차례나 완전히 마르는 등, 확대와 축소를 반복해 왔다.

비교적 최근인 1870년경 차드호의 면적은 약 28000km2였으며, 우기에는 물이 북동쪽의 바르엘가잘 지역으로 흘러넘치기도 했다. 20세기 초 잠시 면적이 줄어들기도 했으나, 20세기 중반에는 다시 수위가 높아져 바르엘가잘로 물이 흘러 들어갔다.[22]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사헬 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시작되면서 호수의 면적은 다시 크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 가뭄은 1972년과 1984년에 특히 심각했으며, 이후 차드호는 급격한 축소 단계에 접어들었다.[28] (상세한 축소 과정과 원인, 영향은 하위 섹션 '급격한 축소' 참조)

차드호와 그 주변 습지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동식물의 중요한 서식지였다. 알락오리, 넓적부리도요, 검은부리갈매기, Reed cormorant|아프리카코비토우영어, 목도리도요, 아프리카넓적부리황새, 흰뺨오리 등 수많은 철새와 100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했다. 또한 Kuri cattle|쿠리 소영어, 발톱없는수달, Red-fronted gazelle|코린가젤영어, 아프리카코끼리, 하마, 나일악어 등에게도 중요한 서식 환경을 제공했다.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 때문에 차드,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4개국에 걸친 호수 지역은 각각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었다.[48][49][50][51]

4. 1. 급격한 축소

이 호수는 관개나 지구 온난화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아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지구 기후 변화의 영향과 사헬 지대의 급격한 사막화, 1900년대 이후 아프리카의 인구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과거 1823년 유럽 탐사대가 방문했을 당시에는 세계에서 6번째로 큰 호수였으나, 2018년 기준으로 유량이 95%나 줄어들어 호수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한 재앙적인 상황이다.[28][26][29]

차드호는 한때 람사르 협약에 등록될 만큼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는 중요한 서식지였다. 과거에는 85종의 어류(이 중 23종은 고유종), 44종의 조류를 비롯해 악어, 하마, 코끼리, 그리고 목도리도요, 녹슨 종달새 같은 고유종들이 서식했다. 그러나 호수 물이 대부분 사라지면서 수많은 어종이 멸종했거나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이들을 먹이로 삼던 새들의 개체 수도 급격히 감소했다. 악어, 하마, 코끼리와 같은 대형 동물들은 이미 오래전에 이 지역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또한, 과거 넓게 펼쳐져 있던 늪지대와 갈대밭은 사막으로 변해버렸고, 호수에 기대어 살아가던 주변 지역 주민들 역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차드 분지는 약 1e6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주요 수원은 남쪽 아다마와 고원의 강수량이다. 이 물은 샤리강과 로곤강을 통해 호수로 흘러드는데, 이 두 강이 전체 유입량의 95%를 차지한다. 반면 요베강의 기여는 2.5% 미만이다.[23][22][37] 호수의 물은 지하를 통해 북동쪽으로 약 480km 떨어진 차드 분지의 가장 낮은 지점인 보델레 우울로 스며든다. 이 과정에서 염분이 제거되어 차드호는 비교적 낮은 염도를 유지하며, 남서쪽 물은 담수이고 북동쪽 물은 약간 짠맛이 난다.[24][37]

차드호와 같은 얕은 내륙호는 강수량과 증발량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이는 기온과 강수량이 호수의 물 균형을 조절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25] 특히 차드 분지의 강수량은 대기 순환의 작은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차드호의 면적은 기후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28][26] 호수 축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건조한 기후와 더불어 과도한 방목 및 삼림 벌채로 인한 식생 파괴, 그리고 호수로 유입되는 강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대규모 관개 사업이 지목된다.[29] 또한, 대서양 다중 진동과 엘니뇨-남방 진동 같은 기후 현상도 사헬 지역 강수량에 영향을 미쳐 호수 수위에 변화를 가져왔다. 실제로 1960년대 초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호수 수위는 1900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 수위보다 3m나 낮아졌다.[27]

역사적으로 차드호의 면적은 크게 변동해왔다. 1870년경 면적은 약 28000km2에 달했으며, 우기에는 물이 바르엘가잘로 흘러넘치기도 했다. 20세기 초 잠시 면적이 줄었다가 20세기 중반에는 다시 최고 수위에 도달하여 바르엘가잘로 범람하기도 했다.[22]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사헬 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시작되었고, 특히 1972년과 1984년에는 그 피해가 심각했다. 이 가뭄은 식생 파괴, 지구 온난화, 해수면 온도 변화 등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28] 이 시기를 거치며 차드호의 면적은 극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이후 2000km2에서 5000km2 사이를 오가며 변동했다.[31]

구체적인 면적 변화를 살펴보면, 1966년 6월 22772km2였던 면적은 1973년 1월 15400km2로 줄어들었고,[29] 1975년에는 4398km2까지 감소했다.[31] 1994년 2월에는 불과 1756km2에 그쳤다.[29] 이후 약간의 회복세를 보이며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에 접어들었지만,[30] 1995년부터 1998년 사이에는 1200km2에서 4500km2 사이를 오갔다. 2000년에는 한때 5075km2까지 회복하기도 했으나,[31]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평균 수면적은 약 1876km2 수준이었으며, 2015년 7월에 기록된 최대 면적은 2231km2였다.[32]

1908년1984년에는 호수가 완전히 말라붙었던 기록도 있으며, 현재 평균 수심은 1.5m에 불과하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21세기 중에는 호수가 완전히 소멸할 수도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5. 축소의 원인과 문제점

차드호는 주변 지역의 무분별한 관개 사업,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사헬 지대의 급격한 사막화, 그리고 20세기 이후 아프리카의 인구 폭등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심각하게 축소되고 있다. 과거 1823년 유럽 탐사 당시 세계에서 6번째로 큰 호수였으나, 2018년 기준으로는 면적이 과거의 5% 수준으로 줄어들어 호수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38][39]

호수 축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주변국들의 대규모 관개 사업이 지목된다. 나이지리아 등 주변국들이 차리강, 로고네강 등 호수로 유입되는 강의 물을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호수로 흘러드는 물의 양이 급격히 줄었다. 1960년대 이전 연간 400억 톤에 달했던 샤리강의 유입량은 최근 150억 톤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1970년대 이후 상류에 건설된 댐들은 물 흐름을 더욱 감소시켰다.[24]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와 사막화의 진행, 호수 주변의 과방목 역시 호수 축소를 가속하는 요인이다. 다만, 기후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 정도에 대해서는 다른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차드호의 축소는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첫째, 과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될 만큼 풍부했던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어 수많은 어종과 조류,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이미 자취를 감추었다. 둘째, 호수에 생계를 의존해 온 3천만 명 이상의 주민들은 어업, 농업, 목축업 등 경제 활동에 큰 타격을 입고 삶의 터전을 잃어가고 있으며, 이는 강제 이주와 지역 경제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41] 셋째, 줄어드는 물과 토지를 둘러싸고 국가 및 민족 집단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으며, 보코 하람과 같은 무장 단체의 활동으로 지역의 불안정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24][42]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1964년 차드호 유역 위원회(LCBC)가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으며,[43] 콩고강 유역의 물을 끌어오는 대규모 수자원 보충 프로젝트도 계획되고 있다.[44] 그러나 관련 국가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은 지연되고 있으며, 남은 수자원의 소유권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5. 1. 생태계 파괴

차드호는 주변 지역의 무분별한 관개 사업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심각한 수준으로 축소되고 있다.[38][39] 산업혁명 이후 급격한 기후 변화와 사헬 지대의 사막화, 20세기 이후 아프리카의 인구 급증 등이 겹치면서 호수의 수량이 급감했다. 1823년 유럽 탐사 당시 세계에서 6번째로 큰 호수였으나, 2018년 기준으로 과거 대비 95%의 유량이 줄어들어 호수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과거 차드호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될 만큼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는 생태계의 보고였다. 85종의 어류(이 중 23종은 고유종)와 44종의 조류가 서식했으며, 악어, 하마, 코끼리와 같은 대형 동물들과 목도리도요, 녹슨 종달새 등 고유 조류들의 터전이었다. 그러나 호수 수량이 극도로 줄어들면서 수많은 어종이 멸종했거나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이를 먹이로 삼던 새들의 개체 수도 급격히 감소했다. 악어, 하마, 코끼리는 이미 오래전에 이 지역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과거 넓게 펼쳐져 있던 늪지대와 갈대밭은 사막으로 변한 지 오래다.

호수 축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주변국들의 대규모 관개 사업이다. 특히 나이지리아는 이주를 장려하며 호수 주변 인구를 늘렸으나, 물 이용 효율은 매우 낮았다. 이러한 영향으로 호수의 주 수원인 차리강과 로고네강의 연평균 유입량은 1960년대 이전 연간 400억 톤에서 최근 150억 톤 수준으로 급감했다. 1970년 이후 유역 남부 5개국이 차리강, 로곤강, 요베강 상류에 건설한 여러 댐과 수자원 보존 프로젝트는 호수로 흘러드는 물의 양을 더욱 줄였다.[24] 1970년부터 1990년까지 차리강과 로곤강의 연평균 유입량은 1950-1970년 평균의 55%에 불과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상류에 위치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농업 관개 및 수력 발전을 위해 두 강의 물 3분의 1을 전환하여 사용하고 있다.[24] 댐 건설은 계절적 홍수의 시기와 범위를 변화시키고 어류의 이동 경로를 막아, 차드호의 주요 어종인 ''Alestes baremoze''와 나일 농어의 개체 수를 급감시키고 어획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36][37]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와 사막화 역시 호수 축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다만, 2001년 '지구물리학 연구 저널'(Th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에 대해 다른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호수 주변에 형성된 식생 지역에서의 과방목은 토양 침식을 유발하고 주변 지역의 사막화를 더욱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차드호 지역의 임시 주택 건설


차드호의 생태계 파괴는 호수 유역에 거주하는 3천만 명 이상의 주민들의 삶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호수 주변에는 70개 이상의 민족 집단이 살아가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인구 밀도가 100명/km²를 초과하는 남쪽 강둑에 분포해 있다. 이들은 관개, 목축, 어업, 식수 등 생활의 대부분을 차드호의 수자원에 의존해왔다.[24] 전통적으로 수수, 옥수수, , , 채소 등을 재배하고, 아라비아 고무, 꿀, 밀랍, 장작 등 임산물 채취도 중요한 생계 수단이었다. 를 비롯한 가금류, 염소, , 낙타, , 당나귀 등 축산업도 활발했으나,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극심한 가뭄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22]

어업은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으나, 가뭄으로 중단되었다가 1990년대 중반에야 일부 재개되었다. 호수 북동쪽에서 생산되는 소다회(탄산나트륨) 역시 중요한 경제적 자원이었으나 생산량이 줄었다.[22] 호수 수위가 낮아지면서 드러난 호수 바닥의 땅은 관개나 비료 없이도 농작물 재배가 가능해 옥수수, 카우피, , 수수 등을 심는 간척지로 활용되기도 했다.[40] 그러나 농부들이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재배로 전환하면서 토양 염분화와 물의 부영양화 문제가 심화되었다.[24] 결국 수자원 감소로 인한 어업, 농업, 목축업의 피해는 새로 생긴 경작지의 이점보다 훨씬 컸으며, 호수에 생계를 의존하던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강제로 이주해야 했고 지역 경제는 지속적으로 위축되었다.[41]

물과 토지를 둘러싼 국가 및 민족 집단 간의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호수를 공유하는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 4개국 모두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고 있으며,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일부 주민들은 마약 및 무기 거래 등 불법적인 활동에 연루되기도 한다.[24]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은 이슬람 극단주의 반군 단체인 보코 하람의 활동으로 더욱 악화되어, 수백만 명의 난민을 발생시키고 지역 개발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있다.[42]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는 1964년 차드호 유역 위원회(LCBC, Lake Chad Basin Commission)를 설립했으며,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996년)과 리비아(2008년)가 가입했다. 위원회 본부는 차드의 수도 은자메나에 있으며, 차드호와 수자원의 관리, 생태계 보호, 지역 통합 및 평화, 안보, 개발 증진 등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43] 주변국들은 콩고강 유역의 물을 차리강 유역으로 끌어오는 대규모 수자원 보충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연간 100e9m3의 물을 수송하고 전력 생산을 위한 댐 건설을 포함하는 2400km 길이의 운하 건설 프로젝트이다.[44] 그러나 관련 국가들의 어려운 경제 사정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은 지연되고 있으며, 남은 수자원의 소유권을 둘러싼 문제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5. 2. 주민들의 생존 위협

차드호는 관개나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계속 축소되고 있으며, 이는 호수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과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될 만큼 풍부한 생태계를 자랑했던 차드호는 수많은 동식물의 터전이었으나, 유량 감소로 인해 많은 어종이 멸종 위기에 처했고, 이를 먹이로 삼던 조류의 개체 수도 급감했다. 악어, 하마, 코끼리 등 대형 동물들은 이미 자취를 감춘 지 오래다.[22] 과거 늪지대와 갈대밭이었던 지역은 사막화가 진행되어 황폐해졌고, 호수에 생계를 의존하던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생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차드호 유역에는 3천만 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70개 이상의 다양한 민족 집단이 살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인구 밀도가 100명/km²를 초과하는 남쪽 강둑에 분포하며, 관개, 가축 사육, 축산업, 식수 등 생활 전반을 차드호의 수자원에 의존한다.[24] 주요 자급자족 작물로는 수수, 옥수수, , , 채소 등이 있으며, 조롱박은 그릇 제작에 널리 사용된다. 아라비아 고무, 꿀, 밀랍, 장작과 같은 산림 제품 수집도 지역 경제에 중요하지만, 산림 면적 감소와 사육 두수 급증으로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는 가장 중요한 가축이며, 가금류, 염소, , 낙타, , 당나귀 등도 사육된다.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극심한 가뭄은 축산업에 큰 피해를 주었다.[22]

어업은 전통적으로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으나, 가뭄으로 인해 거의 중단되었다가 1990년대 중반에야 재개되었다. 잡힌 물고기는 대부분 건조하거나 절임, 훈제하여 보존 및 판매된다. 호수 북동쪽 강둑에서 생산되는 소다회 역시 오랫동안 중요한 경제적 가치를 지녀왔으며, 전통적으로 블록 형태로 채취되어 호수를 건너 나이지리아 시장으로 운송되었다.[22]

1970년대 가뭄 이후 호수 바닥이 드러나면서 관개나 비료 없이도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새로운 땅이 생겨났다. 농부들은 이곳에 옥수수, 카우피, , 수수 등을 심었지만,[40] 점차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과 같은 작물로 전환하면서 토양 염분화와 물의 부영양화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24] 결국 수자원 감소가 어업, 농업, 목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물이 줄어들어 새로 생긴 땅의 이점보다 훨씬 컸다. 호수에 의존해 살아가던 주민들은 강제로 이주해야 했고, 이로 인해 호수 지역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위축되었다.[41]

1970년 이후, 차드호 유역 남부의 5개국은 차리강, 로곤강, 요베강 상류에 여러 댐과 같은 수자원 보존 프로젝트를 건설했다. 이로 인해 강물이 차단되어 호수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급격히 감소했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차리강과 로곤강의 연평균 유입량은 1950년대~1970년대의 55% 수준에 불과했다. 특히 1980년대 이후에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농업 관개 및 수력 발전을 위해 차리강과 로곤강 물의 3분의 1을 끌어다 쓰면서 유입량 감소는 더욱 심화되었다.[24] 상류 댐 건설은 계절적 홍수의 시기와 범위를 변화시키고 어류의 이동 경로를 막아, 차드호의 주요 어종인 ''Alestes baremoze''와 나일 농어의 개체 수를 급감시키고 어획량을 현저히 줄이는 결과를 낳았다.[36][37] 특히 나이지리아는 이주를 장려하여 주변 인구를 증가시켰지만, 물 이용 효율이 극히 낮아 수자원 고갈을 부추겼다는 비판도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샤리강의 연간 유입량은 1960년대 이전 평균 400억 톤에서 150억 톤으로 급감했다.

물과 토지를 둘러싼 국가 및 민족 집단 간의 갈등도 고조되고 있다. 호수 주변 4개국 모두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고 있으며,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일부 지역 주민들은 마약 및 무기 거래와 같은 불법 활동에 연루되기도 한다.[24] 이러한 상황은 수백만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키고 지역 개발을 방해하는 반란 단체 보코 하람의 활동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42]

차드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는 1964년 차드호 유역 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996년)과 리비아(2008년)가 가입했다. 위원회 본부는 차드 은자메나에 있으며, 차드호와 수자원 관리, 생태계 보호, 지역 통합 및 평화, 안보, 개발 증진을 목표로 한다.[43] 주변국들은 콩고강 유역의 물을 매년 약 100e9m3씩 차리강 유역으로 옮기는 대규모 운하 건설 계획( 2400km )을 추진하고 있으나,[44] 관련 국가들의 어려운 경제 사정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실질적인 대책 마련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또한, 얼마 남지 않은 물의 소유권을 둘러싼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호수 주변의 과방목으로 인한 사막화 역시 우려되는 문제 중 하나이다.

5. 3. 지역 분쟁 심화



차드호의 급격한 축소는 지역 주민들의 생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자원을 둘러싼 갈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호수 수위 감소는 전통적으로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던 어업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농업과 목축업 역시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호수 바닥이 드러나면서 새로운 경작지가 생겨났지만, 이는 물 부족으로 인한 전반적인 손실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다.[40][41] 많은 주민이 생계 수단을 잃고 강제로 이주해야 했으며, 이는 지역 경제의 지속적인 위축으로 이어졌다.[41]

1970년대 이후, 차드호 유역 남부 국가들이 차리강, 로곤강, 요베강 상류에 건설한 댐과 수자원 프로젝트는 호수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극적으로 감소시켰다.[24] 특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농업 관개와 수력 발전을 위해 차리강과 로곤강 수량의 상당 부분을 사용하고 있다.[24] 이러한 상류의 댐 건설은 계절적 홍수 패턴을 바꾸고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여 ''Alestes baremoze''와 나일 농어와 같은 주요 어종의 개체 수를 급감시켰다.[36][37] 나이지리아의 경우, 대규모 관개 사업을 추진하며 이주를 장려했지만, 낮은 물 이용 효율로 인해 호수 수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샤리강에서의 유입량은 1960년대 이전 평균 연간 400억 톤에서 150억 톤으로 감소했다.

물과 토지와 같은 필수 자원의 부족은 이를 둘러싼 국가와 민족 집단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호수 주변 4개국(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 모두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고 있으며,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일부 주민들은 마약 및 무기 거래와 같은 불법 활동에 연루되기도 한다.[24]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은 이슬람 극단주의 반군 단체인 보코 하람의 활동으로 더욱 악화되었다. 보코 하람은 수백만 명의 난민을 발생시키고 지역 개발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있다.[42]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는 1964년 5월 22일 차드호 유역 위원회(LCBC)를 설립했으며,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996년)과 리비아(2008년)가 가입했다. 위원회는 차드 은자메나에 본부를 두고 차드호와 수자원의 관리, 생태계 보호, 지역 통합 및 평화 증진을 목표로 활동한다.[43] 호수 수자원 보충을 위해 콩고강 유역의 물을 차리강 유역으로 옮기는 대규모 운하 건설 계획도 논의되고 있다. 이 계획에는 매년 1000억 입방미터의 물을 수송하고, 2400km 길이의 운하를 건설하는 내용이 포함된다.[44] 그러나 관련 국가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줄어든 호수의 물에 대한 소유권 문제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호수 주변의 사막화와 과방목 문제 역시 심각하며, 지구 온난화와 같은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한 논의도 있으나, 2001년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가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6. 차드호 유역 위원회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는 1964년 5월 22일 차드호 유역 위원회( Lake Chad Basin Commissioneng, LCBC)를 설립했다.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1996년에, 리비아가 2008년에 가입하여 회원국이 되었다. 위원회의 본부는 차드의 수도인 은자메나에 위치해 있다.

위원회의 주요 임무는 차드호와 그 수자원을 관리하고 생태계를 보호하며, 차드호 지역의 통합, 평화, 안보 및 개발을 증진하는 것이다.[43] 주변국들은 차드호의 수자원을 보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로 매년 100km3의 물을 콩고강 유역에서 차리강 유역으로 옮기는 계획이 있다. 이 계획에는 약 2400km 길이의 운하를 건설하고, 운하 노선을 따라 댐을 건설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안도 포함된다.[44]

7. 보존 노력

차드호의 심각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주변국들은 협력하고 있다. 1964년 5월 22일,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차드호 유역 위원회를 설립하여 호수와 수자원 관리, 생태계 보호, 지역 통합 및 개발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43]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996년)과 리비아(2008년)도 위원회에 가입하여 협력의 범위를 넓혔다.[43] 위원회의 본부는 차드의 수도인 은자메나에 있다.[43]

줄어드는 호수의 수량을 회복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콩고강 유역의 물을 차리강 유역으로 대규모로 옮기는 수자원 보충 프로젝트도 계획되고 있다. 이 계획에는 긴 운하 건설과 수력 발전을 위한 댐 건설 등이 포함된다.[44]

7. 1. 수자원 보충 프로젝트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 4개국은 1964년 5월 22일 차드호 유역 위원회(Lake Chad Basin Commission, LCBC)를 설립했다.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1996년에, 리비아가 2008년에 각각 가입했다. 위원회의 본부는 차드의 수도인 은자메나에 위치하고 있다.[43] 위원회는 차드호와 그 수자원을 관리하고, 유역의 생태계를 보호하며, 차드호 지역의 통합, 평화, 안보 및 개발을 증진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삼고 있다.[43]

차드호의 심각한 수자원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주변국들은 호수의 물을 보충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이 계획에는 매년 약 1000억 m3의 물을 콩고강 유역에서 차리강 유역으로 옮기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해 약 2400km에 달하는 운하를 건설하고, 운하 경로를 따라 여러 개의 댐을 건설하여 수력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계획도 함께 추진되고 있다.[44]

7. 2. 국제 사회의 지원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는 1964년 5월 22일 차드호 유역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1996년에, 리비아가 2008년에 각각 가입했다. 위원회의 본부는 차드의 수도인 은자메나에 있다.[43]

차드호 유역 위원회는 차드호와 관련된 수자원을 공동으로 관리하고, 유역 내 생태계를 보호하며, 나아가 차드호 지역의 통합과 평화, 안보 및 개발을 증진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삼고 있다.[43]

차드호의 심각한 수자원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주변국들은 대규모 수자원 보충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이 계획에는 콩고강 유역의 물을 차리강 유역으로 옮기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는데, 매년 약 100e9m3의 물을 수송하기 위해 2400km에 달하는 운하를 건설하고, 이 과정에서 수력 발전을 위한 댐 건설도 함께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4]

8. 치안

2018년 12월, 니제르군은 차드호 주변에 주둔하는 나이지리아의 반정부 무장 조직 보코 하람의 거점을 습격했다. 차드호 내의 여러 섬과 호수로 유입되는 코마두구 가나 강과 요베 강 일대에서 공습 및 지상전을 전개하고 있다.[52]

참조

[1] 웹사이트 Lac Tchad https://rsis.ramsar.[...] 2018-04-25
[2] 웹사이트 Partie tchadienne du lac Tchad https://rsis.ramsar.[...] 2018-04-25
[3] 웹사이트 Lake Chad Wetlands in Nigeria https://rsis.ramsar.[...] 2018-04-25
[4] 웹사이트 Partie Camerounaise du Lac Tchad https://rsis.ramsar.[...] 2018-04-25
[5] 서적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Niger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8-12
[6] 서적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5-11-30
[7] 논문 Reconstruction of Megalake Chad using Shuttle Radar Topographic Mission data https://www.research[...] 2023-06-13
[8] 논문 Holocene Lake Mega-Chad palaeoshorelines from space 2005
[9] 서적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Macmillan Education UK
[10] 논문 Four Millennia of Cultural History in Nigeria (ca. 2000 B.C.–A.D. 1900): Archaeological Perspectives
[11] 논문 The Exploitation of Wild and Domesticated Food Plants at Settlement Mounds in North-East Nigeria (1800 cal BC to Today) 1999
[12] 서적 West Africa During the Atlantic Slave Trade: Archaeolog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1
[13] 논문 Lake Chad 1910
[14] 서적 Encyclopa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5] 서적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Macmillan Education UK
[16] 서적 Colonialism ABC-CLIO 2003
[17] 뉴스 乍得湖:从"文明摇篮"到"死亡之心" http://www.chinawate[...] China Water Resources News 2021-04-08
[18] 웹사이트 about-map https://cblt.org/wp-[...] 2024-03-26
[19] 논문 乍得湖盆地构造特征与油气成藏规律初探 https://doi.org/10.1[...] 2008
[20] 논문 Fishing and farming at Lake Chad: Responses to lake-level fluctuations https://www.jstor.or[...] 2023-06-18
[21] 논문 Recent changes in Lake Chad: Observations, simulations and management options (1973–2011) 2012-01
[22] 간행물 Lake Chad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3-06-13
[23] 간행물 Lake Chad https://www.zgbk.com[...] Encyclopedia of China Publishing House 2023-06-11
[24] 논문 乍得湖的环境、安全及其脆弱性 https://worldscience[...] 2023-06-13
[25] 논문 Implications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for African lake ecosystems, fisheries productivity, and livelihoods
[26] 논문 Remote sensing for groundwater modelling in large semiarid areas:Lake Chad Basin, Africa https://www.research[...]
[27] 논문 Combined effect of El Niño southern oscillation and Atlantic multidecadal oscillation on Lake Chad level variability 2015-12-15
[28] 서적 Global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al production FAO / John Wiley & Sons
[29] 웹사이트 Lake Chad: almost gone http://www.unep.org/[...]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2015-12-05
[30] 논문 Monitoring Recent Fluctuations of the Southern Pool of Lake Chad Using Multiple Remote Sensing Data: Implications for Water Balance Analysis 2017
[31] 논문 基于多源遥感数据的非洲乍得湖水面变化监测
[32] 논문 Recent surface water extent of Lake Chad from multispectral sensors and GRACE 2018
[33] 논문 The Lake Chad hydrology under current climate change 2020
[34] 웹사이트 Lake Chad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10-30
[35] 웹사이트 Lake Chad Flooded Savanna https://www.oneearth[...] 2023-07-15
[36] 간행물 Considerations of Wildlife Resources and Land Use in Chad https://pdf.usaid.go[...] Off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frica Bureau, USAID 1997-03
[37] 서적 A Directory of African Wetlands https://portals.iucn[...] IUCN / UNEP / WCMC 2023-06-14
[38] 웹사이트 Plan B Updates - 47: Disappearing Lakes, Shrinking Seas - EPI http://www.earth-pol[...]
[39] 웹사이트 Shrinking African Lake Offers Lesson on Finite Resources http://news.national[...]
[40] 논문 Fluctuations in the Size of Lake Chad: Consequences on the Livelihoods of the Riverain Peoples in Eastern Niger https://www.research[...] 2023-06-13
[41] 웹사이트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in the Poorest Countries: Evidence from the Permanent Shrinking of Lake Chad https://openknowledg[...] 2024-04-08
[42] 논문 Water and Food Sustainability in the Riparian Countries of Lake Chad in Africa
[43] 웹사이트 About us https://cblt.org/abo[...] 2023-07-15
[44] 뉴스 Can the vanishing lake be saved? https://www.bbc.com/[...] BBC 2019-01-28
[45] 문서 チャド共和国 https://www.library.[...] 東京都立図書館 2019-11-12
[46] 뉴스 【終わらぬ恐怖 ナイジェリア報告】かすむ豊漁の記憶/湖枯渇 襲撃と二重苦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11-12
[47] 서적 ニジェール 独立50年の全体像 東京図書出版 2013-05-23
[48] 웹사이트 Lac Tchad https://rsis.ramsar.[...] 2023-04-07
[49] 웹사이트 Partie tchadienne du lac Tchad https://rsis.ramsar.[...] 2023-04-07
[50] 웹사이트 Lake Chad Wetlands in Nigeria https://rsis.ramsar.[...] 2023-04-07
[51] 웹사이트 Partie Camerounaise du Lac Tchad https://rsis.ramsar.[...] 2023-04-07
[52] 웹사이트 니제르군이 보코・하람 소탕 작전, 전투원280인 초 살해 https://www.afpbb.co[...] AFP 2019-01-05
[53] 문서 Questionnaire filled by Mr. Olusegun C. Irivboje, Water Resources Section, Lake Chad Basin Commission, N'Djamena http://www.ilec.or.j[...] 1983
[54] 문서 Questionnaire filled by Dr. M. Nakashima, International Development Centre of Japan, Tokyo http://www.ilec.or.j[...] 1983
[55] 문서 Collier's Encyclopedia Crowell-Collier Educational Corporation 1970
[56] 웹인용 Lake Chad: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in Brief http://www.worldlake[...] 2008-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