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르트키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르트키브는 1522년에 처음 언급된 우크라이나 테르노필주의 도시이다. 폴란드,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제국, 소비에트 연방 등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특히 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의 일부가 되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사일 공격을 받기도 했다. 초르트키브는 다양한 종교 시설과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2020년 행정 개혁으로 초르트키우 라이온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르노필주의 도시 - 테레보블랴
    테레보블랴는 서우크라이나에 위치한 유서 깊은 도시로, 붉은 루테니아 시대 테레보블랴 공국의 중심지였으며 폴란드 왕국 국경 요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 테르노필 라이온에 속한다.
  • 테르노필주의 도시 - 크레메네츠
    크레메네츠는 우크라이나 테르노필주에 위치한 도시로, 이르바 강과 접하며, 8세기 또는 9세기에 요새가 건설된 후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쳐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관광객 유치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홀로코스트의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초르트키브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성 스타니스라우스 교회
성 스타니스라우스 교회
초르트키우 깃발
깃발
초르트키우 문장
문장
공식 이름Чортків (초르트키우)
다른 이름Czortków (폴란드어)
טשארטקאוו (Tshortkov, 이디시어)
행정 구역
국가우크라이나
테르노필 주
라욘초르트키우 라욘
흐로마다초르트키우 도시 흐로마다
도시초르트키우
역사
마그데부르크 법1533년
시 지위 획득1939년
지리
면적30 km²
해발 고도218 m
인구
2022년 추정28,279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정치 및 행정
시장볼로디미르 슈마트코
지역번호+380 3552
우편 번호48500—48509
기타 정보
시간대EET (UTC+2)
EEST (UTC+3)
웹사이트초르트키우 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초르트키우는 1522년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1세가 예지 초르트코프스키에게 소유권을 부여하고 그의 이름을 따 도시 이름을 '초르트쿠프'(Czortków|초르트쿠프pol)로 정하면서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했다.[12][5][29] 이후 흐멜니츠키 봉기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17세기 후반에는 27년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3][7] 폴란드 분할 이후 1772년부터 1918년까지는 잠시 러시아 제국의 통치를 받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였다.

20세기에 들어서는 더욱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과 폴란드군 사이의 격전지(초르트키우 공세)[3]가 되기도 했으며, 결국 리가 조약에 따라 제2 폴란드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 시기 초르트키우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이 공존하는 도시였으며, 폴란드 군대의 중요 주둔지이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1939년 소련에 병합되었고, 이에 저항하는 초르트쿠프 봉기(1940)[8][31][32]가 있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는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 홀로코스트로 인해 도시의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는 비극을 겪었다. 1944년 붉은 군대에 의해 다시 점령된 후, 전쟁이 끝나고 살아남은 폴란드인 주민들은 폴란드-소련 간 인구 교환 협정에 따라 회수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전후에는 소비에트 연방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020년에는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초르트키우 라이온에 통합되었다.[15][16][36][37][38] 최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에는 러시아 군의 미사일 공격을 받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초르트키우 성


초르트키우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언급은 152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2] 당시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1세는 예지 초르트코프스키에게 이 도시의 소유권을 부여하고, 그의 이름을 따서 '초르트쿠프'(Czortków|초르트쿠프pol)라고 명명하도록 허가했다.[5] 1648년에서 1649년 사이 흐멜니츠키 봉기 동안 약 50가구 규모의 작은 공동체는 거의 전멸했다. 유대인 공동체 지도자들은 1705년까지 초르트키우에 유대인이 다시 정착하는 것을 반대했다.[6] 이 시기에 도시는 마그데부르크법에 따른 자치권을 부여받았다.[3]

그러나 초르트키우는 17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중앙 유럽 확장 과정에서 쇠퇴했다. 도시는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으며,[3] 27년간 통치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 초르트키우는 1672년부터 1699년까지 존속했던 단명한 포돌리아 에얄레트의 일부였으며, 야즐로베츠 산자크 내에서 '초르트쿠프'(Çortkuv|초르트쿠프tur)라는 이름의 나히야(행정 구역 단위) 중심지였다.[7]

폴란드 분할 이후, 초르트키우는 1772년부터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 초르트키우는 1809년부터 1815년까지 타르노폴 주의 일부로서 잠시 러시아 제국의 통치를 받았던 때를 제외하고는 초르트키우 현의 중심지였다. 1919년 6월 8일,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은 몇 달 동안 초르트키우에서 폴란드 전선을 돌파하며 초르트키우 공세를 시작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도시는 폴란드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폴란드, 소비에트 러시아,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간의 리가 조약에 따라 제2 폴란드 공화국에 양도되었으며, 1939년 9월 소련의 폴란드 침공 이전까지 제2 폴란드 공화국의 타르노폴 보이보드십 일부로 남았다.

2. 2.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시기



17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중앙 유럽 확장 과정에서 초르트키우는 쇠퇴기를 맞았다.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에 점령당했으며,[3] 1672년부터 1699년까지 27년간 오스만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 초르트키우는 단명한 오스만 제국의 포돌리아 에얄레트 일부였으며, 야즐로베츠 산자크 내에서 "초르트쿠프"(Çortkuv|초르트쿠브tur)라는 이름의 나히야(행정 구역 단위) 중심지였다.[7]

폴란드 분할 이후, 초르트키우는 1772년부터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통치하에 놓였다. 이 시기 동안, 1809년과 1815년 사이 타르노폴 주의 일부로서 잠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때를 제외하고는, 초르트키우는 초르트키우 현(Bezirk Chortkiv|베치르크 초르트키프de)의 중심지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치 이후인 1919년 6월 8일,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은 초르트키우에서 폴란드 전선을 돌파하며 초르트키우 공세를 시작했다.[3]

2. 3. 20세기 초: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간의 갈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후, 1919년 6월 8일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은 초르트키우에서 폴란드 전선을 돌파하며 초르트키우 공세를 시작했다.[3] 이는 폴란드와 신생 우크라이나 세력 간의 영토 분쟁 과정에서 발생한 중요한 군사적 충돌이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도시는 폴란드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리가 조약에 따라 초르트키우는 제2 폴란드 공화국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으며, 1939년 9월 소련의 폴란드 침공이 있기 전까지 타르노폴 보이보드십의 일부로 남았다.

폴란드 통치 하의 1931년, 초르트키우의 인구는 19,037명이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31]

1931년 초르트키우 인구 구성 (총 19,037명 기준)
민족/종교인원 수비율 (원본 소스 표기 기준)
폴란드인 (로마 가톨릭교)10,504명46.4%
유대인 (우크라이나계 및 폴란드계)4,860명30%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3,633명22.8%



'''(참고: 원본 소스에 제시된 총 인구(19,037명)와 각 그룹별 인원수 합계(18,997명), 그리고 백분율 간에 약간의 불일치가 존재할 수 있음. 위 표는 원본 소스의 수치를 그대로 반영함.)'''

이 시기 초르트키우는 폴란드 국경 방위군 "포돌레" 여단의 중요한 주둔지였으며, 1935년부터 1938년까지는 훗날 폴란드 국내군 총사령관이 되는 스테판 로웨키 장군이 여단 사령관을 맡았다. 또한 제36 예비 보병 사단의 본거지이기도 했다.

1939년 9월 17일, 소비에트 연방은 나치 독일과 맺은 독소 불가침 조약의 비밀 의정서에 따라 폴란드를 침공했고, 초르트키우를 포함한 서우크라이나 지역을 병합했다(소련의 서우크라이나 병합 (1939–1940)). 소련의 점령은 1941년 6월까지 지속되었다. 소련 통치에 저항하여 1940년 1월, 지역 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폴란드인 주민들이 초르트쿠프 봉기[8][31]를 일으켰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인들이 일으킨 최초의 봉기로 기록된다.

1941년 6월, 나치 독일바르바로사 작전을 개시하며 소련을 침공하자, 후퇴하던 소련군은 초르트키우 감옥에 수감되어 있던 죄수 약 100명에서 200명을 처형했다. 살아남은 죄수들은 동쪽으로 강제 이송되는 과정(초르트키우 감옥 철수)에서 열악한 환경과 경비병들의 학대로 인해 수백 명이 추가로 목숨을 잃었다.[9]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초르트키우는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총독부 관할 지역이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도시의 유대인 주민들은 홀로코스트 정책에 따라 체계적인 박해와 학살을 당했으며, 강제 추방되었다. 당시 희생자 중에는 찰스 슈머 미국 상원 원내대표의 친척도 포함되어 있었다.

1944년, 붉은 군대가 독일군을 몰아내고 도시를 다시 점령했다. 전쟁이 끝난 후, 살아남은 폴란드인 주민들은 대부분 폴란드 정부와 소련 간의 협정에 따라 회수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이후 초르트키우는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인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고,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019년에는 고고학자 볼로디미르 도브리안스키가 초르트키우의 성 스타니슬라우스 교회 타워에서 1919년 초르트키우 공세 당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포탄 파편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 발견은 당시 우크라이나 포병 부대가 슈만키우치 마을 인근 숲에 주둔하며 전투를 벌였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여겨진다.[14]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 통치

1931년 기준으로 초르트키우에는 19,000여 명의 주민이 거주했으며, 이 중 폴란드인 로마 가톨릭교 신자가 약 46.4%(10,504명), 유대인(우크라이나계 및 폴란드계)이 약 30%(4,860명),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신자가 약 22.8%(3,633명)를 차지했다. 또한 1935년부터 1938년까지 폴란드 국경 방위군 "포돌레" 여단의 중요 주둔지였으며, 당시 사령관은 스테판 로웨키 장군이었다. 폴란드 제36 보병 사단의 본거지이기도 했다.

1939년 9월 17일, 소련의 폴란드 침공 이후 소비에트 연방은 서우크라이나를 병합하였고, 초르트키우는 1941년 6월까지 소련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이에 저항하여 1940년 1월, 지역의 폴란드인 주민들, 특히 고등학교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초르트쿠프 봉기[8][31][32]를 일으켰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인들이 일으킨 최초의 봉기였다. 1941년 6월 말, 나치 독일바르바로사 작전을 개시하며 소련을 침공하자, 후퇴하던 소련군은 지역 감옥에 수감되어 있던 약 100명에서 200명에 달하는 죄수들을 처형했다. 살아남은 죄수들은 더 동쪽으로 이송되었으나, 열악한 이송 환경과 경비병들의 가혹 행위로 수백 명이 목숨을 잃었다.[9]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초르트키우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총독부의 일부가 되었다. 이 시기 유대인 주민들은 홀로코스트의 대상이 되어 박해받고 추방당했으며, 많은 지역 유대인이 학살되었다. 이들 중에는 현 미국 상원 원내대표인 찰스 슈머의 가족도 포함되어 있었다.

1944년, 붉은 군대가 나치 독일군을 몰아내면서 초르트키우는 다시 소련의 통제하에 들어갔다. 전쟁이 끝난 후 살아남은 폴란드인 주민들은 폴란드 인구 이동 정책에 따라 회수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같은 해, 주도였던 테르노필이 전쟁으로 심하게 파괴되자 초르트키우가 잠시 지역 행정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10][33]

소련 통치하에서 1989년 1월 기준 인구는 26,681명이었다.[11][12][34][25] 초르트키우는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할 때까지 소련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2. 5. 현대



1919년 6월 8일,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은 몇 달 동안 초르트키우에서 폴란드 전선을 돌파하는 초르트키우 공세를 시작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도시는 폴란드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폴란드, 소비에트 러시아,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간의 리가 조약에 따라 제2 폴란드 공화국에 양도되었으며, 1939년 9월 소련의 폴란드 침공까지 타르노폴 보이보드십의 일부로 남았다.

1931년 기준으로 도시 인구는 19,000명에서 19,037명 사이였으며, 민족 및 종교 구성은 자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한 자료에 따르면, 인구 19,037명 중 10,504명(약 55%)은 폴란드인 로마 가톨릭 신자, 4,860명(약 25.5%)은 유대계 우크라이나인 및 폴란드인, 3,633명(약 19%)은 우크라이나인이었다. 다른 자료에서는 인구 19,000명 중 46.4%가 로마 가톨릭 신자인 폴란드인, 30%가 유대계 우크라이나인 및 폴란드인, 22.8%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신자인 우크라이나인이었다.

초르트키우는 1935년부터 1938년까지 폴란드 국경 방위군 "포돌레" 여단의 중요 주둔지였으며, 당시 사령관은 스테판 로베츠키 장군이었다. 또한 제36 예비 보병 사단의 본거지이기도 했다.

1939년 9월 17일 소련에 병합되어 1941년 6월까지 통치를 받았다. 이 시기인 1940년 1월, 지역 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폴란드인 주민들이 초르트쿠프 봉기[8][31]를 조직했으나 실패했다.[32]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최초의 폴란드인 봉기로 기록된다. 1941년 6월 말,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후 나치 독일이 침공하자, 후퇴하던 소련군은 지역 감옥에 수감되어 있던 약 100명에서 200명의 죄수를 처형했다. 남은 죄수들은 동쪽으로 이송되었으나, 열악한 환경과 경비병들의 학대로 수백 명이 사망했다.[9]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초르트키우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총독부에 편입되었다. 이 기간 동안 유대인 주민들은 홀로코스트의 일환으로 박해받고 추방당했으며, 찰스 슈머 미국 상원 원내대표의 가족을 포함한 많은 지역 유대인이 나치에 의해 처형되었다. 1944년 붉은 군대가 나치 독일을 몰아낸 후, 도시는 다시 소련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전쟁 후 살아남은 폴란드인 주민들은 폴란드인 이주 정책에 따라 수복 영토로 이주되었다.

주도 테르노필이 전쟁으로 심하게 파괴되자, 1944년 초르트키우는 잠시 지역 행정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10][33]

소련 통치 하에서 1989년 1월 인구는 26,681명으로 집계되었다.[11][12][34][25]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초르트키우는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되었다. 2013년 1월 인구는 29,640명으로 조사되었다.[13][35]

2019년, 고고학자이자 요새 연구자인 볼로디미르 도브리안스키는 초르트키우의 성 스타니슬라우스 교회 타워 40m 높이에서 파편 발사체의 기폭 장치를 발견했다. 그는 이 유물의 비행 궤적 분석을 통해, 1919년 초르트키우 공세 당시 아타만 키릴 카라스가 지휘하던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 포병 부대가 초르트키우 지구의 슈만키우치 마을 서쪽 숲에 주둔했음을 확인했다.[14]

2020년 7월 18일,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초르트키우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 지위를 잃고, 초르트키우 라이온에 통합되었다. 이전까지는 초르트키우 라이온의 행정 중심지였음에도 불구하고 라이온에 속하지 않는 독립된 행정 단위였다.[15][16][36][37][38]

과거 초르트키우 공군 기지가 인근에 위치해 있었다.

2. 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2월 24일부터 시작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초르트키브는 주요 전선이 형성된 우크라이나 중북부, 동부, 남동부 지역과는 거리가 떨어져 있었다. 하지만 6월 12일, 흑해에서 발사된 미사일 4발의 공격을 받아 군사 시설과 아파트가 파괴되었으며, 이로 인해 22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보도되었다.

3. 지리

(내용 없음 -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기후

초르트키브의 기후 (1981년~2010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최고 기온 평균 (°C)-0.7°C0.9°C6°C13.9°C20.1°C22.6°C24.7°C24.2°C18.9°C12.9°C5.3°C0.2°C12.4°C
일평균 기온 (°C)-3.5°C-2.5°C1.8°C8.5°C14.3°C17.1°C19°C18.3°C13.5°C8.2°C2.2°C-2.4°C7.9°C
최저 기온 평균 (°C)-6.1°C-5.3°C-1.6°C4°C9.2°C12.3°C14.1°C13.4°C9.1°C4.5°C-0.3°C-4.8°C4°C
강수량 (mm)31.3mm39.1mm35.7mm47.8mm80.7mm90.3mm92mm72.8mm59.9mm37.4mm37.8mm39mm663.8mm
강수일수 (≥ 1.0 mm)7.88.48.68.410.010.110.28.68.36.98.09.4104.7
상대 습도 (%)84.181.676.568.267.772.573.073.977.480.285.286.477.2
출처: 세계 기상 기구[17]


4. 종교

초르트키브는 다양한 종교 공동체가 공존하는 도시로,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유대교 등이 주요 종교를 이루고 있다. 도시 내에는 각 종교의 특색을 보여주는 교회, 성당, 수도원, 시나고그 등 여러 종교 시설이 분포해 있다. 이러한 시설 중에는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지닌 목조 건축물부터 현대적인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며, 일부는 역사 속에서 소실되기도 하였다.

4. 1. 현존하는 종교 시설

이름소속/교단건립/재건/복원 연도재질/특징
성모 승천 교회1584년 (건립), 1990년대 (복원)목조
승천 교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1630년 (건립), 1717년 (재건), 1997년 (복원)목조
복되신 동정 마리아 잉태 교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1854년 (건립)벽돌
중재 교회우크라이나 정교회1905년 (건립)벽돌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교회우크라이나 정교회벽돌
성 볼로디미르 대성당우크라이나 정교회1993년~ (건설 중)
변용 교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2007년 (건립)벽돌
성 미카엘 교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2008년 (건립)석조
성 베드로와 바오로 대성당부차치 교구2001년 (건립)
남자 수도원 (성가족 수녀원)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여자 수도원 (성가족 수녀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여자 수도원 (몰약 운반 수녀회)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교회
성 스타니슬라우스 교회1610년 (건립), 20세기 초 (재건), 1989년 (복원)
주요 유대교 회당유대교1680년대 (건립)
신 유대교 회당유대교1909년 (건립)건축가 한스 겔트크레머
루르드의 성모 경당1908년 (건립)
십자가의 성모 경당2013년 (건립)


4. 2. 소실된 종교 시설


  • 성 삼위일체 교회 (UGCC; 1607년 설립, 소실 시기 불명)
  • 바실 대제 수도원 (UGCC; 1607년–1792년)
  • 성 니콜라스 교회 (UGCC; 1714년–1801년)

5. 주요 인물


  • 안나 블라젠코 (1955년 출생), 우크라이나 언론인
  • 사샤 블론더 (1909–1949), 파리 미술 학교 화가
  • 야로미르 초르피타 (1944년 출생), 우크라이나 역사학자, 향토사학자, 교육자
  • 올렉시 후노우스키 (1882–1961),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사제, 작곡가, 공인, 교육자, 정치범,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초르트키브 지구 국가 위원회 의장
  • 할리나 흐리츠키우 (1937—2016), 우크라이나 공공 및 문화계 인물, 시인, 언론인, 부활절 달걀 제작자
  • 로크솔라나 로슬락 (1940년 출생), 우크라이나 소프라노 가수
  • 카테리나 루브차코바 (1881–1919), 우크라이나 배우이자 가수
  • 오레스트 리제치카 (1958년 출생), 우크라이나 사진 작가, 사진 저널리스트
  • 와츠와프 체르빈스키, 폴란드 엔지니어이자 조종사, 폴란드 글라이딩 개척자
  • 예르지 초르트코프스키, 초르트키브 설립자
  • 마리아 마치이우스카 (1918년 출생), 토론토 온타리오주 리즈 교회 최초의 소프라노 (1954-2008)
  • 베르나르트 하우즈너 (1874–1938), 렘베르크의 랍비, 팔레스타인 주재 폴란드 영사, 외교관, 세임 의원, 시오니스트. 아돌프 아이히만의 검사이자 이스라엘 법무 장관이었던 기데온 하우즈너의 아버지이다. 1927년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 핀차스 호로비츠 (1731–1805), 랍비이자 탈무드 학자
  • 예르지 야니키 (1928-2007), 폴란드 작가이자 기자
  • 에드바르트 크미에치크 (1928년 출생), 폴란드 화가
  • 이레네우슈 오파츠키 (1933-2005), 카토비체 실레지아 대학교 학자, 폴란드 문학 전문가
  • 올하 피드비소츠카 (1899–불명), 우크라이나 군인, 교사
  • 예르지 프시스타와 (1939년 출생), 폴란드 과학자, 물리학자
  • 알프레트 트라빈스키, 폴란드군 소령, 르비우 의학 아카데미 의사이자 교수
  • 타데우슈 바제프스키 (1896-1972), 폴란드 학자, 수학자, 야기엘론 대학교 교수
  • 니콜스부르크의 슈멜케 (1746–1778), 위대한 초기 하시디즘 랍비 중 한 명
  • 루드비크 노스 (1848—1913), 오스트리아 정부 관료, 자선가, 공공 및 교육계 인물; 초르트키브 시장
  • 카를 에밀 프란초스 (1848–1904), 오스트리아 소설가
  • 레오폴드 레비츠키 (1906–1973), 우크라이나 화가
  • 바실 마흐노 (1964년 출생), 우크라이나 시인, 에세이 작가, 번역가
  • 바실 마르무스 (1992—2022), 우크라이나 음악가, 배우, 군인
  • 페를라 (페니나) 리히터 펠츠슈 (1900-1943), 바르샤바 음악학자, 시오니스트 활동가 루벤 펠츠슈(벤 쉠)의 아내[18]
  • 볼로디미르 자볼로트니 (1960년 출생), 우크라이나 배우, 공공 및 종교계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Chortkiv (Ternopil Oblast, Chortkiv Raion) http://weather.in.ua[...] 2012-02-02
[2] 웹사이트 Чертков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3] 간행물 Chortkiv http://www.encyclope[...] 2012-02-03
[4] 웹사이트 CHORTKIV CASTLE, 1610 https://web.archiv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ersonal Pages 2012-02-03
[5] 웹사이트 Foundations of history http://www.chortkiv.[...] Unicom ISP 2012-02-03
[6] 웹사이트 Jewish History of Chortkiv https://dbs.bh.org.i[...]
[7] 문서 Map of Podolia Eyalet http://i.piccy.info/[...]
[8] 서적 Revolution from Abroad: The Soviet Conquest of Poland's Western Ukraine and Western Belorus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서적 Zbrodnicza ewakuacja więzień i aresztów NKWD na Kresach Wschodnich II Rzeczypospolitej w czerwcu – lipcu 1941 roku. Materiały z sesji naukowej w 55. rocznicę ewakuacji więźniów NKWD w głąb ZSRR, Łódź 10 czerwca 1996 r. Główna Komisja Badania Zbrodni przeciwko Narodowi Polskiemu – Instytut Pamięci Narodowej
[10] 뉴스 Five centuries of Ternopil. The city of Hetman Jan and mason Leontiy http://www.ukrinform[...] Ukrinform 2015-08-28
[11]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 Численность город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их 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единиц,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и городских районов по полу http://demoscope.ru/[...]
[12] 문서 Чортков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3] 웹사이트 Чисельність наявного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на 1 січня 2013 року. Державна служба статистики України. Київ, 2013. стор.96 https://web.archive.[...] 2019-07-22
[14] 문서 «Чортківська офензива» та домініканський костел святого Станіслава у Чорткові: дослідження свідчень 100-річної давнини https://uk.wikisourc[...]
[15]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10-03
[16]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17]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18] 웹사이트 '"Shaking the Dust Off". The Story of the Warsaw Ghetto’s Forgotten Chronicler, Ruben Feldschu (Ben Shem)' http://jcpa.org/arti[...] Jewish Political Studies Review
[19] 웹사이트 Chortkiv (Ternopil Oblast, Chortkiv Raion) http://weather.in.ua[...] 2012-02-02
[20] 웹사이트 Кодифікатор адміністративно-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одиниць та територій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 https://ukrstat.gov.[...] 2022-07-06
[21] 웹사이트 ロシア記念日、南部で国籍付与 西部ではミサイル攻撃―ウクライナ:時事ドットコム https://web.archive.[...] 2022-06-14
[22] 웹사이트 Чортків - Тернопільська область https://decentraliza[...] 2022-06-14
[23] 웹사이트 Чертков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24] 웹사이트 Чисельність наявного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на 1 січня http://database.ukrc[...] Державна служба статистики України 2022-06-14
[25] 문서 Чортков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26] 웹사이트 Chortkiv http://www.encyclope[...] 2012-02-03
[27] 웹사이트 ロシア、ウクライナ西部を空爆 東部要衝では橋破壊 https://www.afpbb.co[...] 2022-06-14
[28] 웹사이트 CHORTKIV CASTLE, 1610 http://www.personal.[...]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ersonal Pages 2012-02-03
[29] 웹사이트 Foundations of history http://www.chortkiv.[...] Unicom ISP 2012-02-03
[30] 문서 Jewish History of Chortkiv https://dbs.bh.org.i[...]
[31] 문서 蜂起の呼称はチョルトキウのポーランド語名の
[32] 서적 Revolution from Abroad: The Soviet Conquest of Poland's Western Ukraine and Western Belorus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뉴스 Five centuries of Ternopil. The city of Hetman Jan and mason Leontiy http://www.ukrinform[...] Ukrinform 2015-08-28
[34]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 Численность город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их 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единиц,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и городских районов по полу http://demoscope.ru/[...]
[35] 웹사이트 Чисельність наявного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на 1 січня 2013 року. Державна служба статистики України. Київ, 2013. стор.96 http://database.ukrc[...]
[36]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10-03
[37]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38] 웹사이트 чи залишаються міста обласного значення чи будуть також реорганізовані (ліквідовані) та створені нові райони https://decentraliza[...] 2022-06-20
[3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40]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