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랍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랍비는 유대교에서 현인, 율법학자, 율법 선생을 지칭하는 칭호로, AD 1세기 제2성전 파괴 이후 바리새파가 주류가 되면서 유대교 공동체의 중요한 직책이 되었다. 랍비는 토라를 연구하고 가르치며, 유대교 율법과 전통을 후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대인 공동체의 분쟁을 조정하고, 삶의 행사(결혼식, 장례식 등)를 주관하며, 종교 의식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랍비의 권위는 학문적 자격과 공동체의 수용에 기반하며, 서품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 현대에는 정통, 보수, 개혁 유대교 등 각 종파별로 랍비 서품 제도가 존재하며, 여성 랍비의 역할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랍비 - 마이모니데스
    마이모니데스는 12세기 유대인 랍비이자 철학자, 의사로서, 유대교 법전을 집대성하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대교 신학을 조화시키려 했으며, 의학에도 정통하여 유대교, 철학, 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랍비 - 요하난 벤 자카이
    요하난 벤 자카이는 1세기 유대교 랍비이자 바리새파 학자로, 예루살렘 공방전 중 평화를 옹호하며 야브네에 학교를 세워 유대교 재건에 기여하고 랍비 유대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랍비
역할 소개
역할유대교의 토라 교사
호칭 및 어원
히브리어(라비)
로마자 표기Rabbi (라비)
추가 정보
설명유대교에서 토라를 가르치는 사람을 지칭한다.

2. 역사

랍비는 현인, 율법학자, 율법 선생을 가리키는 호칭으로 사용되었으나, AD 1세기에 제2성전이 파괴되고 사두개파 등 성전 중심의 기존 세력이 몰락하면서 바리새파가 유대교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랍비는 점차 유대교 공동체의 업무를 맡게 되었고, 이후 봉급도 받게 되었다. 이는 랍비와 율법(토라), 시나고그를 중심으로 한 랍비 유대교로 발전하여 현대까지 주류 종파로 이어지고 있다.

랍비는 히브리 성경에 나오는 직업은 아니며, 고대에는 바빌론 현자나 이스라엘의 현자를 묘사하기 위해 '라반', '랍비', '라브'와 같은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힐렐 1세와 샴마이(1세기 초의 종교 지도자)는 이름 앞에 랍비 칭호를 붙이지 않았다. "라반"과 "랍비"라는 칭호는 유대교 문헌에서 처음으로 미쉬나에 언급된다. '라반'은 라반 가말리엘 원로, 라반 그의 아들 시므온, 라반 요하난 벤 자카이 등 1세기의 산헤드린 총대주교 또는 의장에게 처음 사용되었다. 초기 '랍비' 칭호를 받은 사람으로는 랍비 자독과 랍비 엘리에제르 벤 야곱이 있으며, 이는 라반 요하난 벤 자카이의 제자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랍비"라는 칭호는 마태오, 마르코, 요한의 신약성경에서 그리스어 음역 ῥαββί '랍비'로 나타나며, "서기관과 바리새인"과 예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1][12]

일부 학자들은 "랍비" 또는 "라반"이라는 칭호가 서기 70년 이후 요하난 벤 자카이와 그의 제자들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으며, 1세기의 랍비에 대한 언급은 시대착오적이거나 소급 적용된 존칭이라고 주장한다.[13] 반면, 다른 학자들은 "랍비"라는 용어가 서기 1세기 초부터 잘 알려진 비공식 칭호였으며, 따라서 랍비에 대한 유대교 및 기독교의 언급은 실제로 이 시대에 사용된 칭호를 반영한다고 본다.[14]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정부는 유대 왕, 유대교 예언자, 예루살렘의 고등 법원인 대산헤드린의 법적 권위, 사제직의 의례적 권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다. 산헤드린의 구성원은 모세로부터 중단 없는 전승으로 서품을 받아야 했지만, 랍비라고 불리기보다는 에즈라처럼 사제나 서기관이라고 불렸다.[15] "랍비"는 히브리 성경에 칭호로 나타나지 않지만,[36] 이후 랍비 자료는 때때로 현명한 성경 인물에 대한 칭호로 사용한다.[16]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 유대 군주의 멸망, 예언자와 사제직이라는 이중 제도의 쇠퇴와 함께, 유대 민족 내 학문 및 영적 지도력의 초점은 대 회중의 사람들(Anshe Knesset HaGedolah)의 현자로 이동했다. 이 회중은 현대적 의미의 "랍비"의 초기 그룹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유대교의 "구전 율법"(Torah SheBe'al Peh)을 공식화하고 설명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는 미쉬나와 탈무드 및 이후의 랍비 학문에 기록되어 랍비 유대교로 발전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1세기에서 5세기까지 "랍비"라는 칭호는 이스라엘 땅에서 정식 서임을 받은 현자들에게 주어졌으며, "라브"라는 칭호는 바빌로니아 아카데미에서 가르쳤던 현자들에게 주어졌다.[36][17] 셰리라 가온은 "랍비는 라브보다 위대하고, 랍반은 랍비보다 위대하며, 개인의 이름은 랍반보다 위대하다"라고 칭호들의 관계를 요약했다.[18]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랍비"와 "라브"가 방언 차이로 다르게 발음되는 동일한 칭호라고 주장한다.[18]

425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한 총대주교와 산헤드린의 탄압 이후, 엄격한 의미의 정식 서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인정받는 학자는 바빌로니아의 현자들처럼 '라브' 또는 '하캄'이라고 불릴 수 있었다. 스승에서 제자로의 학문 전수는 여전히 중요했지만, 정식 랍비 자격은 없었다. 초기 중세 시대에 "랍비"는 공식적인 칭호가 아니었으며, 학식과 명성을 가진 유대인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사용되었다.[36] 카라이즘 등장 이후, 탈무드 전통을 따르는 유대인들은 "랍바니트"로 알려졌다.[36] 초기에는 공동체가 중앙 게오나테가 임명한 종교 재판관을 두었으며, 이들은 '피트카 데다야누타'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하베르(이스라엘에서 사용됨) 또는 '알루프'(바빌로니아에서 사용됨)라는 칭호를 가졌다.[36] 11세기경 게오나테가 약화되면서 유대인 공동체는 지역 영적 권위를 선출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36] 11-12세기에는 스페인의 일부 지역 랍비 당국이 '케타브 마스미흐' 또는 '케타브 미누이'라는 공식 자격증을 받았다.[36] 마이모니데스는 모든 회중이 공동체를 훈계하고 토라를 가르칠 설교자와 학자를 임명해야 한다고 판결했으며, 그가 묘사한 사회적 제도는 현대 회중 랍비직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흑사병 이전까지 아슈케나지 공동체는 단일 권위자가 아닌 위원회 학자들의 합의로 종교적 결정을 내렸다.[19] 14세기에 특정 지역의 종교적 권위자('마라 데아트라') 역할을 하는 단일 개인의 개념이 생겨났다.[36] 공식적인 서품은 메이르 벤 바루흐 하레비(14세기 후반)와 함께 아슈케나지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그는 학자들에게 '모레이누'(우리의 스승)라는 공식 칭호를 부여했지만, 그보다 다소 일찍 존재했을 수도 있다.[20] 15세기까지 이 공식 서품은 랍비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하게 되었다.[19] 처음에는 일부 스페라드 공동체가 공식 서품에 반대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시스템은 그들에게도 채택되었다.[36]

유대인 해방과 함께 랍비의 역할은 크게 변화했다. 유대인 법정을 주재하여 분쟁을 해결하는 등 랍비의 주요 업무는 덜 중요해졌고, 설교와 같은 부차적인 업무는 중요성이 커졌다. 19세기 독일과 미국에서 일부 랍비의 의무는 성직자인 개신교 기독교 목사와 유사해졌으며, "설교단 랍비"라는 칭호가 등장했다. 설교, 목회 상담, 외부 세계에 대한 공동체 대표 역할이 모두 중요해졌다.[36] 현대 비(非)정통 랍비는 유대교 율법과 철학에 대한 가르침이나 질문에 답하는 것보다 이러한 기능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현대 정통 유대교 공동체 내에서도 많은 랍비가 유대교 율법의 가르침과 질문을 다루지만, 목회적 기능을 점점 더 많이 다루고 있다.[21]

전통적으로 랍비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가 아니었으며, 이는 유대교 신학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여겨졌다. 다른 종교의 영적 지도자와 달리, 랍비는 특별한 힘이나 능력을 부여받은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2004년 어린이들을 가르치는 랍비

2. 1. 어원

미쉬나 히브리어의 연결 רְבִּי|rǝbbīhe에서 유래되었으며, "스승 [이름]"을 의미한다. 표준 히브리어 명사는 רב|ravhe "스승"이다. רב|ravhe는 랍비의 칭호로도 사용되며,[6] ''rabbeinu'' ("우리의 스승") 및 ''ha-rav'' ("그 스승")도 마찬가지이다. Rav와 Rebbe도 참조하라.

히브리어 어근은 다시 셈어족 어근 ר-ב-ב|R-B-Bhe에서 파생되었는데, 이는 성경 아람어에서 "위대한"을 다양한 의미로, 특히 "존경받는"을 의미하지만, 주로 연결 형태의 접두사로 나타난다.[7] 이 어근은 "주님"을 의미하는 아랍어 ربّ ''rabb''와 시리아어 단어 ܪܒܝ|rabisyr와 어원이 같다.

일부 공동체, 특히 스페인계 유대인과 예멘 유대인은 역사적으로 רִבִּי|rībbīhe라는 칭호를 발음했다. 이 발음은 현대까지 아슈케나즈 유대인에서 רְבִּי|rǝbbīhe 및 רַבִּי|rabbīhe와 경쟁했다.[10][11]

2. 2. 고대와 중세

AD 1세기에 제2성전이 파괴되어 사두개파 등 성전 중심의 기존 세력이 몰락하게 되자 바리새파가 주류가 되어 유대교의 랍비는 바리새파가 자리매김하였다. 점차 랍비가 유대교 공동체 업무을 맡게 되었고 이후에 봉급도 받게 되었다. 이것은 랍비와 율법(토라), 시나고그를 중심으로 한 랍비 유대교로 발전하여 현대까지 주류 종파로서 이어지고 있다.

랍비는 히브리 성경에 나오는 직업이 아니며, 고대 시대에는 바빌론 현자나 이스라엘의 현자를 묘사하기 위해 '라반', '랍비', 또는 '라브'와 같은 관련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힐렐 1세와 샴마이 (1세기 초의 종교 지도자)는 이름 앞에 랍비 칭호를 붙이지 않았다. "라반"과 "랍비"라는 칭호는 유대교 문헌에서 처음으로 미쉬나에 언급된다. '라반'은 처음에는 라반 가말리엘 원로, 라반 그의 아들 시므온, 라반 요하난 벤 자카이에게 사용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1세기의 산헤드린의 총대주교 또는 의장이었다. 초기 '랍비' 칭호를 받은 사람으로는 랍비 자독과 랍비 엘리에제르 벤 야곱이 있으며, 이는 라반 요하난 벤 자카이의 제자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랍비"라는 칭호는 마태오, 마르코, 요한의 신약성경에서 그리스어 음역 ῥαββί '랍비'로 나타나며, "서기관과 바리새인"과 예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1][12]

일부에 따르면 "랍비" 또는 "라반"이라는 칭호는 서기 70년 이후 요하난 벤 자카이와 그의 제자들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으며, 1세기의 랍비에 대한 랍비 텍스트와 신약성경의 언급은 시대착오적이거나 소급 적용된 존칭이다.[13] 다른 학자들은 "랍비"라는 용어가 서기 1세기 초부터 잘 알려진 비공식 칭호였으며, 따라서 랍비에 대한 유대교 및 기독교의 언급은 실제로 이 시대에 사용된 칭호를 반영한다고 믿는다.[14]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정부는 유대 왕, 유대교 예언자, 예루살렘의 고등 법원인 대산헤드린의 법적 권위, 그리고 사제직의 의례적 권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다. 산헤드린의 구성원은 모세로부터 중단 없는 전승으로 서품(''세미차'')을 받아야 했지만, 랍비라고 불리기보다는 성경에서 "제사장, 서기관, 하나님의 계명과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전하는 서기관"이라고 불리는 에즈라처럼 사제나 서기관이라고 불렸다.[15] "랍비"는 히브리 성경에 칭호로 나타나지 않지만,[36] 이후 랍비 자료는 때때로 현명한 성경 인물에 대한 칭호로 사용한다.[16]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 유대 군주의 멸망, 그리고 예언자와 사제직이라는 이중 제도의 쇠퇴와 함께, 유대 민족 내의 학문적 및 영적 지도력의 초점은 대 회중의 사람들(Anshe Knesset HaGedolah)의 현자로 이동했다. 이 회중은 더 현대적인 의미의 "랍비"의 초기 그룹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유대교의 "구전 율법"(Torah SheBe'al Peh)이라고 알려진 것을 공식화하고 설명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결국 미쉬나와 탈무드 및 이후의 랍비 학문에 인코딩되고 코드화되어 랍비 유대교로 알려지게 되었다.

전통적인 설명에 따르면, 1세기에서 5세기까지 "랍비"라는 칭호는 이스라엘 땅에서 정식 서임(스미차)을 받은 현자들에게 주어졌으며, "라브"라는 칭호는 바빌로니아 아카데미에서 가르쳤던 현자들에게 주어졌는데, 이스라엘 땅 밖에서는 서임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36][17] 셰리라 가온은 이 칭호들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랍비는 라브보다 위대하고, 랍반은 랍비보다 위대하며, 개인의 이름은 랍반보다 위대하다."[18] 하지만, 일부 현대 학자들은 "랍비"와 "라브"가 방언의 차이로 인해 다르게 발음되는 동일한 칭호라고 주장한다.[18]

425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한 총대주교와 산헤드린의 탄압 이후, 엄격한 의미에서의 정식 서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인정받는 학자는 바빌로니아의 현자들처럼 '라브' 또는 '하캄'이라고 불릴 수 있었다. 스승에서 제자로의 학문 전수는 여전히 매우 중요했지만, 정식적인 랍비 자격은 존재하지 않았다.

초기 중세 시대에 "랍비"는 공식적인 칭호가 아니었으며, 훌륭한 학식과 명성을 가진 유대인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사용되었다.[36] 카라이즘의 등장 이후, 여전히 탈무드 전통을 따르는 유대인들은 "랍바니트"로 알려지게 되었다.[36] 초기에는 공동체가 중앙 게오나테가 임명한 종교 재판관을 두었으며, 종종 '피트카 데다야누타'로 알려진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하베르(이스라엘에서 사용됨) (차베르 베산헤드린 하게돌라의 약자) 또는 '알루프'(바빌로니아에서 사용됨)라는 칭호를 가졌다.[36] 11세기 경, 게오나테가 약화되면서 유대인 공동체는 지역 영적 권위를 선출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36] 11-12세기에는 스페인의 일부 지역 랍비 당국이 지도자 역할을 준비하기 위해 '케타브 마스미흐' 또는 '케타브 미누이'로 알려진 공식적인 자격증을 받았다.[36] 마이모니데스는 모든 회중이 공동체를 훈계하고 토라를 가르칠 설교자와 학자를 임명해야 하며, 그가 묘사한 사회적 제도는 현대 회중 랍비직의 시초라고 판결했다.

흑사병 이전까지, 아슈케나지 공동체는 단일 권위자의 결정이 아닌, 위원회의 학자들의 합의에 의해 종교적 결정을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9] 14세기에 특정 지역의 종교적 권위자('마라 데아트라') 역할을 하는 단일 개인의 개념이 생겨났다.[36] 공식적인 서품은 메이르 벤 바루흐 하레비(14세기 후반)와 함께 아슈케나지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그는 학자들에게 공식적인 칭호 '모레이누'(우리의 스승)를 부여했지만, 아마도 그보다 다소 일찍 존재했을 것이다.[20] 15세기까지 이 공식 서품(세미차로 알려짐)은 랍비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하게 되었다.[19] 처음에는 일부 스페라드 공동체가 그러한 공식적인 서품에 반대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시스템은 그들에게도 채택되었다.[36]

2. 3. 근대

유대인 해방과 함께 랍비의 역할에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유대인 법정을 주재하여 분쟁을 해결하는 등 한때 랍비의 주요 업무였던 일들은 덜 두드러지게 되었고, 설교와 같이 부차적인 업무는 중요성이 커졌다.[36]

19세기 독일과 미국에서 일부 랍비의 의무는 성직자인 개신교 기독교 목사와 점점 더 유사해졌으며, 이러한 현상을 묘사하기 위해 "설교단 랍비"라는 칭호가 등장했다. 설교, 목회 상담, 외부 세계에 대한 공동체 대표의 역할이 모두 중요해졌다.[36] 현대 비(非)정통 랍비는 일상적인 업무에서 유대교 율법과 철학에 대한 가르침이나 질문에 답하는 것보다 이러한 기능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현대 정통 유대교 공동체 내에서 많은 랍비는 여전히 주로 유대교 율법의 가르침과 질문을 다루지만, 이와 동일한 목회적 기능을 점점 더 많이 다루고 있다.[21]

전통적으로 랍비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가 아니었다. 이 아이디어는 전통적으로 유대교 신학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여겨졌다. 다른 많은 종교의 영적 지도자와 달리, 그들은 특별한 힘이나 능력을 부여받은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3. 기능

랍비는 유대인 공동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역할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해 왔다. 랍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연구 및 가르침: 랍비는 토라 지식을 전달하고 가르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22] 랍비는 평생 동안 토라를 연구하며, 학교, 회당, 설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중에게 가르침을 전한다.[24] 또한, 랍비 문학을 통해 유대교 전통을 기록하고 발전시킨다.
  • 재판: 유대인 해방 이전에는 유대인 공동체 내 분쟁을 해결하는 재판장 역할을 수행했다.[26] 현대에는 랍비 법원이 종교적 문제와 당사자들이 합의한 민사 문제를 다룬다.[28]
  • 입법: 과거 유대인 자치 시대에는 랍비 회의(시노드)를 통해 공동체 규정을 제정했다.[29] 현대에는 주요 유대교 종파별로 자체 규정을 마련한다.
  • 종교적 감독: 유대인 공동체의 종교 기관들이 유대 율법에 따라 운영되도록 감독한다.[35]
  • 목회 상담: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며, 현대 랍비들은 목회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36] 랍비 신학교에서는 관련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36][37]
  • 기도 인도: 전통적으로는 주요 역할이 아니었으나, 현대 회당에서는 랍비가 예배를 인도하는 경우가 많다.
  • 삶의 행사 주관: 결혼, 성인식, 장례 등 유대인의 삶에서 중요한 행사에 참여하여 공동체를 이끈다.
  • 자선: 자선의 중요성을 가르치고 실천한다.[38]
  • 역할 모델: 랍비는 자신의 행동으로 회중에게 모범을 보인다.
  • 아웃리치 (kiruv): 유대교에 소홀한 이들에게 다가가는 활동을 한다.
  • 개종: 유대교 개종 절차를 돕는다.[43]
  • 중매: 정통파 유대교에서는 중매를 돕기도 한다.[45]
  • 회당 관리: 회당 운영 전반을 감독한다.
  • 군종 신부:
    유대교 군종 장교 휘장, 미국 공군
    군대 등에서 유대인 군종 장교로 복무한다.[47]
  • 공공 문제: 유대인의 이익과 관련된 사회 활동에 참여한다.
  • 신앙 옹호: 유대교 신앙을 변호하고 다른 종교의 선교에 대응한다.[53]
  • 종교 간 활동: 다른 종교와의 대화를 통해 상호 이해를 증진한다.[54]
  • 비실천 랍비: 랍비 자격은 있으나 다른 직업을 가진 랍비도 있으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랍비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랍비의 권위는 학문적 자격과 공동체의 인정에 기반한다.[71] 유대인들은 자신이 선택한 랍비, 즉 "지역의 주인" (''mara d'atra'')에게 충성을 바친다.[69] 하시딕 유대교에서는 랍비와 유사하지만 신과 특별한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는 레베가 있다.

3. 1. 교육과 상담

랍비는 유대인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으며,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기능이 다양하다. 랍비는 성서를 바탕으로 유대교 율법을 가르치고 후대에 전달하며, 종교 관련 상담을 하는 목회자 역할도 한다. 또한 유대인 자치단체의 법률을 규정하거나 분쟁 조정, 징계 등의 조정자 및 판단자 역할도 맡았으나, 18~19세기 유럽의 유대인 해방 이후 이 역할은 줄어들었다. 종교적 사항 준수 감독이나 예배 지도도 랍비의 역할 중 하나이다.[36]

유대인 해방으로 랍비의 역할은 크게 변화했다. 유대인 법정 주재, 분쟁 해결 등 주요 업무는 덜 중요해졌고, 설교와 같은 부차적 업무의 중요성이 커졌다. 19세기 독일과 미국에서는 일부 랍비의 의무가 개신교 기독교 목사와 유사해졌으며, '설교단 랍비'라는 칭호가 등장했다. 설교, 목회 상담, 외부 세계에 대한 공동체 대표 역할이 중요해졌다.[36] 현대 비(非)정통 랍비는 일상 업무에서 유대교 율법과 철학에 대한 가르침이나 질문에 답하는 것보다 이러한 기능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현대 정통 유대교 공동체 내에서 많은 랍비는 여전히 주로 유대교 율법의 가르침과 질문을 다루지만, 목회적 기능도 점점 더 많이 다루고 있다.[21]

전통적으로 랍비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가 아니었다. 이 아이디어는 전통적으로 유대교 신학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여겨졌다. 다른 많은 종교의 영적 지도자와 달리, 그들은 특별한 힘이나 능력을 부여받은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랍비는 유대인 공동체를 섬기며, 그 기능은 유대인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하다.

; 연구 및 가르침: 랍비는 토라 지식이 대대로 전해지는 사슬(masorah)의 주요 연결 고리였다.[22] 스승에게 배우고, 자신의 새로운 통찰력(hidushim)을 더하며, 대중을 가르치는 것은 항상 랍비 직의 주요 기능이었다. 토라를 공부하는 것은 랍비가 서품을 받은 것으로 끝나지 않는 평생의 과업이다. 랍비는 매일 공부할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끊임없이 토라 지식을 채우지 못하는 랍비는 다른 모든 랍비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유대 율법과 전통에 대한 지식, 영감, 숙달이 부족할 것이다.

: 토라 지식은 일단 습득되면 모든 이스라엘의 유산이므로 전해야 한다.[23] 랍비의 가르침은 학교(초등학교(heder), 중등 학교(yeshivah), 고등 학교(kollel)), 특히 고대 시대에는 포도원, 시장, 제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24] 많은 회당에서 랍비는 아침 또는 저녁 예배에 참석하는 사람들에게 짧은 일일 수업을 제공한다. 설교는 또 다른 형태의 대중 교육으로, 종종 성경 구절을 현대 윤리적 메시지와 통합하며,[25] 어떤 유대인의 식사나 축하 행사도 랍비의 "d'var Torah"(해당 사건과 관련된 성경 구절에 대한 짧은 설명) 없이는 완벽하지 않다.

: 랍비는 대면 지도를 제외하고, 저술을 좋아하는 랍비들은 유대교 전통의 모든 측면(성경 주석, 율법 규약, 응답, 신비주의 및 윤리적 논문, 설교 모음)을 다룬 방대한 랍비 문학을 저술해 왔다.

; 목회 상담: 회중 랍비는 유대 율법과 의식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는 것 외에도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조언을 구하는 경우도 많다. 현대 랍비의 많은 시간은 목회 활동(환자 방문, 생애 주기 행사 주관 등)에 할애된다.[36] 전근대 시대에는 랍비가 상담에 대한 특별한 훈련을 받지 않고 대신 공감과 배려라는 개인적인 자질에 의존했다. 이러한 요소는 현대 시대에도 랍비의 조언에 계속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대 랍비 신학교에서는 랍비 과정의 필수 부분으로 심리학 및 목회 상담 과정을 도입했으며, 랍비 학생들을 위한 상담 및 사회 서비스 인턴십을 제공한다.[36][37] 하시딕 유대인 사이에서는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조언을 얻기 위해 ''rebb''에게 의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2. 분쟁 조정 및 감독

유대인 해방 이후 랍비의 역할은 크게 변화하였다. 이전에는 유대인 법정에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이 랍비의 주요 업무였으나, 이러한 역할은 축소되고 설교와 같은 부차적인 업무의 중요성이 커졌다.[36]

19세기 독일미국에서는 일부 랍비의 역할이 개신교 성직자와 유사해졌으며, '설교단 랍비'라는 칭호가 등장하기도 했다. 이들은 설교, 목회 상담, 공동체 대표 등의 역할을 중시했다.[36] 현대 비(非)정통 랍비들은 유대교 율법과 철학에 대한 가르침보다는 이러한 기능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현대 정통 유대교 공동체에서도 많은 랍비들이 여전히 유대교 율법을 가르치지만, 목회적 기능 또한 점점 더 많이 다루고 있다.[21]

해방 이전, 통치자들은 유대인 공동체(kahal) 내의 규율과 분쟁 해결을 유대인 공동체 자체에 위임했다. 가정이나 상업적 분쟁, 불법 행위 등은 유대 율법에 따라 마을의 유대인 법원에서 해결되었다. 토라 율법(halakhah)에 대한 지식을 갖춘 마을 랍비가 재판장(av beth din)을 맡았고,[26] 평신도 평가자들이 판결에 참여하기도 했다. 판결은 벌금이나 공동체 파문 등으로 집행되었다.[27]

해방 이후 유대인들은 자국의 시민으로서 민사 법원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게 되었다. 오늘날 랍비 법원은 각 유대교 종파의 후원 아래 종교적 문제(개종, 이혼 등)에 대해 계속 활동하며,[28] 당사자들이 랍비 판사의 중재를 선택하는 경우 민사 문제에 대해서도 자발적으로 활동한다. 이스라엘에는 개인 지위 문제에 대한 랍비 법원이 있다.

3. 3. 종교 의식 주관

랍비는 유대인 사회에서 종교 의식을 주관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이들은 유대교 율법을 가르치고 종교 관련 상담을 제공하는 목회자 역할을 한다. 또한, 유대인 공동체의 분쟁을 조정하고 종교적 사항을 감독하며 예배를 지도한다.[36]

  • 연구 및 가르침: 랍비는 토라(성경) 지식을 전달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22] 랍비는 평생 토라를 공부하며, 매일 공부 시간을 할애한다. 학교, 회당, 설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중에게 토라를 가르치며,[24] 유대교 전통의 모든 측면을 다룬 방대한 랍비 문학을 저술하기도 한다.

  • 재판: 과거에는 유대인 공동체 내 분쟁을 해결하는 재판장 역할을 맡았으나, 유대인 해방 이후 이 역할은 축소되었다.[26] 오늘날 랍비 법원은 종교적 문제(개종, 이혼 등)와 당사자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민사 문제에 대해 활동한다.[28]

  • 입법: 과거 유대인 자치 시대에는 랍비 시노드가 소집되어 공동체를 위한 규정을 제정했다.[29] 현대에는 주요 유대교 운동(개혁, 보수, 재건 등)이 자체적인 규정을 제정한다.

  • 종교적 감독: 유대인 공동체는 유대 율법에 따라 운영되는 여러 종교 기관(유대인 도살, 유대인 식단 규정, 의례적 목욕 등)을 필요로 하며, 랍비는 이러한 기관을 감독한다.[35]

  • 목회 상담: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며, 현대 랍비는 목회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랍비 신학교에서는 심리학 및 목회 상담 과정을 제공한다.[36][37]

  • 기도 인도: 전통적으로 랍비는 기도 인도를 하지 않았으나, 현대 회당에서는 랍비가 기도 예배를 인도하는 데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 삶의 행사 축하: 결혼식, 성인식, 장례식 등 유대인의 삶의 행사에 참여하여 축하하고 애도하는 데 공동체를 이끈다.

  • 자선 사업: 자선은 핵심 유대 가치이며, 랍비는 설교, 가르침, 모범을 통해 자선을 가르친다.[38]

  • 역할 모델링: 랍비는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통해 회중의 역할 모델 역할을 한다.

  • 아웃리치(kiruv): 유대교와 관련이 없거나 준수에 소홀한 유대인에게 다가가는 활동을 한다.

  • 개종: 유대교 개종을 원하는 사람들을 돕고, 개종 절차를 주관한다.[43]

  • 중매: 정통파 유대인 사회에서는 중매를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45]

  • 회당 관리: 회당 운영을 감독하고, 직원을 관리하며, 회중과 교류한다.

  • 군종 신부: 군대, 대학교 등에서 유대인 군종 장교로 복무한다.[47]

  • 공공 문제: 유대인의 이해관계가 걸린 공공 영역 활동에 참여한다.

  • 신앙 옹호: 유대교 신앙을 옹호하고, 다른 종교의 선교 활동에 대응한다.[53]

  • 종교 간 활동: 다른 종교와의 대화를 통해 이해를 증진하고 오해를 줄이는 활동을 한다.[54]

  • 비실천 랍비: 랍비 서품을 받았지만 다른 직업을 가진 랍비들도 있으며, 이들은 임시적, 자발적으로 랍비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3. 4. 기타 기능

랍비는 유대인 사회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역할이 변화해 왔다.

  • 연구 및 가르침: 랍비는 토라의 지식을 대대로 전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22] 랍비는 스승에게 배우고, 자신의 새로운 통찰력을 더하며, 대중을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토라 공부는 랍비가 평생 동안 해야 하는 과업이며, 매일 공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랍비의 가르침은 학교, 포도원, 시장, 제자들 사이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이루어진다.[24] 많은 회당에서 랍비는 아침 또는 저녁 예배에 참석하는 사람들에게 짧은 수업을 제공하며, 설교를 통해 성경 구절을 현대 윤리적 메시지와 통합하기도 한다.[25] 랍비들은 랍비 문학을 저술하여 유대교 전통의 모든 측면을 다루기도 한다.
  • 재판: 유대인 해방 이전에는 유대인 공동체(kahal) 내의 규율과 분쟁 해결을 유대인 공동체 자체에 위임했다. 마을 랍비는 토라 율법(halakhah)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재판장(av beth din) 역할을 수행했다.[26] 해방 이후 유대인들은 민사 법원으로 향하게 되었지만, 오늘날에도 랍비 법원은 종교적 문제(개종, 이혼 등)와 당사자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경우 민사 문제에 대해 활동한다.[28]
  • 입법: 유대인 자치 시대에는 랍비 시노드가 소집되어 공동체를 위한 규정(takkanot)을 제정했다. 이 규정에는 다양한 문제가 포함되었으며,[29] 가장 유명한 것은 랍비누 게르솜에게 귀속되는 조례로, 서구 유대인들 사이의 일부다처제를 금지한다.[30] 현대 시대에도 랍비들은 이스라엘 주에서 takkanot을 제정하며,[31] 주요 유대교 운동도 구성원을 위한 takkanot을 제정한다.
  • 종교적 감독: 유대인 공동체는 여러 종교 기관을 필요로 하며, 랍비는 이러한 기관이 유대 율법에 따라 운영되도록 감독해야 한다. 여기에는 유대인 도살(shekhita), 유대인 식단 규정(kashrut), 의례적 목욕(mikveh), 초등학교(heder), 안식일 경계(eruvin), 장례 협회(hevra kadisha) 등이 포함된다. 현대 시대에는 이러한 감독을 전문으로 하는 랍비가 Mashgiach(의례 율법 감독)로 고용되기도 한다.[35]
  • 목회 상담: 회중 랍비는 유대 율법과 의식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는 것 외에도 개인적인 문제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현대 랍비들은 목회 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36] 랍비 신학교에서는 심리학 및 목회 상담 과정을 도입하고 있다.[36][37] 하시딕 유대교에서는 개인적인 문제에 대해 ''rebb''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기도 인도: 전통적으로 랍비는 현대적 의미의 기도 인도를 하지 않았지만, 현대 회당에서는 랍비가 기도 예배를 인도하는 데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랍비는 회중을 위한 구절을 선택하고, 간결성을 위해 일부 구절을 생략하며, 예배에 특별 기도를 추가할 수 있다. 안식일 및 휴일 예배에서는 랍비가 설교를 하기도 한다.
  • 삶의 행사 축하: 유대 율법은 결혼식, 바 또는 바트 미츠바, 할례, 장례식 등에 랍비의 참석을 요구하지 않지만, 랍비가 참석하여 축하하고 애도하는 데 공동체를 이끄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현대 시대에는 이러한 행사에 랍비가 참여하는 것이 사실상 의무가 되었으며, 회중에게 봉사하는 것이 현대 랍비 직의 주요 측면이 되었다. 유대인 이혼에는 항상 랍비가 참석한다.
  • 자선 사업: 랍비는 자선(tzedakah)이 핵심 유대 가치라는 것을 가르치는 임무를 수행한다. 랍비는 설교, 가르침, 모범을 통해 이를 수행하며, 마이모니데스는 8가지 자선 단계로 구성된 사다리를 만들었다.[39] 랍비 이스라엘 살란터(1809–1883)는 "다른 사람의 육체적 필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영적인 필요를 충족시킨다고 말했다.[40]
  • 역할 모델링: 랍비는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통해 회중의 역할 모델 역할을 한다. 랍비의 행동은 유대 율법의 선례가 될 수 있다.[41]
  • 아웃리치(kiruv): 일부 랍비는 유대교와 관련이 없거나 준수에 소홀한 유대인에게 다가가기 위한 활동을 한다. 차바드 아웃리치는 많은 랍비를 전 세계 차바드 하우스에 파견한다.
  • 개종: 랍비는 유대교 개종을 원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랍비는 잠재적 개종자의 의욕을 꺾거나 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으며,[43] 한 명 또는 세 명의 랍비가 개종을 수행하는 beth din에 참여한다. 유대교에는 다른 종교의 개종과는 유사점이 없다.[44]
  • 중매: 랍비는 중매에 참여하기도 했다.[45] 오늘날에도 정통파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계속되고 있으며, 모든 유대교 분파에서 랍비가 이 분야에서 도움을 줄 수 있다.[46]
  • 회당 관리: 현대 회당은 회원들이 선출한 이사회에서 운영하는 비영리 종교 법인이다. 랍비는 회당을 관리하고, 직원을 감독하며, 물리적 시설을 관리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군종 신부: 랍비는 군대와 대학교 캠퍼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대인 군종 장교로 복무한다. 미국 군대의 모든 부서에는 유대교 군종 장교가 있으며,[47] 랍비는 이스라엘 방위군에서 복무한다.
  • 공공 문제: 랍비는 공공 영역에서 유대인들의 이해관계가 걸린 활동에 참여한다.
  • 신앙 옹호: 랍비는 유대교 신앙을 옹호하라는 요청을 받는다. 중세 시대에는 랍비와 사제 사이의 공개적인 논쟁이 있었다.[51] 오늘날 랍비는 유대인을 다른 종교로 개종하려는 선교사의 활동에 대응한다.[53]
  • 종교 간 활동: 일부 랍비는 다른 종교의 성직자와 종교 간 대화를 나눈다.
  • 비실천 랍비: 랍비 중에는 매일 랍비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세속적인 사업, 교육 또는 전문 분야에서 다른 경력을 따르면서 임시적이고 자발적인 방식으로 랍비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랍비 권위의 기반은 랍비 개인과 그들의 학문적 자격에 대한 수용이다. 유대인 공동체와 개인은 자신이 선택한 랍비의 권위에 충성을 바친다. 이러한 랍비 지도자는 "지역의 주인" (''mara d'atra'')이라고 불린다.[69] 랍비는 실력주의 시스템 내에서 성과를 통해 권위를 얻으며, 랍비의 권위는 자격에 기반한다.[71]

하시딕 공동체에는 랍비와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신과 특별한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는 레베가 있다. 레베의 권위는 신과의 영적인 관계에 기반하며 랍비와는 다른 방식으로 존경받는다.

4. 권위와 명예

탈무드에 따르면, 랍비와 토라 학자, 그리고 노인들을 존경하는 것은 계명('''미츠바''')이며, 레위기 19장 32절에 "노인 앞에서 일어나고, 노인을 존경하라"고 기록되어 있다.[72] 그들 앞에서 일어서고 존경심을 담아 말해야 한다.[73] 코하님(제사장)은 일반 대중과 마찬가지로 랍비와 토라 학자를 존경해야 한다. 그러나 만약 랍비나 학자보다 더 학식이 높다면 일어설 필요는 없다. 토라 학자의 배우자 또한 존경을 받아야 한다.[74] 또한 교사와 랍비가 자신의 학생을 존경하는 것도 계명이다.[75] 랍비와 토라 학자는 유대 공동체 내의 규율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을 모욕하는 사람에게 파문(추방)의 제재를 가할 권한을 가진다.[76]

5. 서품

랍비 서품의 기원은 모세여호수아[77]와 70명의 장로에게[78], 그리고 엘리야엘리사에게[79] 자신의 권위를 전수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피르케이 아보트에 따르면, 이 서품은 모세로부터 여호수아, 장로, 예언자, 대 회의 구성원, 주곳, 타나임으로 이어졌다.[80] 그러나 이 '세미카' 계보는 4세기 또는 5세기에 끊어졌고, 늦어도 12세기에는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마이모니데스(12세기)는 당대 최고의 현자들이 모이면 재구성된 법정을 통해 고전적인 세미카(서품)를 부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81] 이후 산헤드린을 부활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랍비들의 합의를 얻거나 1세기 이상 지속된 경우는 없었다.

5. 1. 현대의 서품

오늘날 랍비 학생은 예시바 또는 현대 랍비 신학교에서 학습 프로그램을 마치거나 개인 랍비의 지도하에 ''세미카''(랍비 서임)를 받는다.[82] 정확한 학습 과정은 종파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3~6년 정도이다.[82] 모든 프로그램에는 유대교 분파에 따라 탈무드, 유대 율법 규범 및 응답집 연구가 포함된다.[82] 현대 신학교는 랍비 문헌 외에도 상담, 교육, 비교 종교 및 설교와 같은 목회 과목을 제공한다.[82] 대부분의 랍비 학생들은 20대 중반에 학업을 마친다.[82] 랍비 교육을 감독하거나 서임을 기록하는 유대교의 계층 구조나 중앙 권위는 없다.[82] 각 유대교 분파는 그와 관련된 랍비의 서임을 규제한다.[82]

''세미카'' 증명서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공식은 ''요레 요레''("그는 가르칠 수 있다, 그는 가르칠 수 있다")이다.[82] 대부분의 랍비는 이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모레 호라아''("판결의 교사")라고 불린다.[82] 더 진보된 형태의 ''세미카''는 ''야딘 야딘''("그는 심판할 수 있다, 그는 심판할 수 있다")이다.[82] 이를 통해 수령자는 랍비 법정의 판사로 활동할 수 있다.[82] 이 서임을 받은 사람은 공식적으로 ''다얀''("판사")으로 불릴 수 있으며 랍비라는 칭호도 유지할 수 있다.[82] 랍비의 소수만이 ''야딘 야딘'' 서임을 받는다.[82] 엄격하게 필요하지는 않지만, 많은 정통파 랍비들은 베트 딘(유대 율법 법정)은 이 서임을 가진 ''다야님''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82]

20세기 후반 정통 유대교의 주요 랍비 권위자인 랍비 모세 파인스타인.


정통 ''세미카''는 유대 율법("''할라카''")과 오랜 전통에 따른 응답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완료를 요구한다.

정통 랍비는 일반적으로 예시바("대학교")에서 공부하며, 이곳은 일반적으로 토라 연구를 제공하고, 점점 더 콜렐림으로 알려진 전담 기관에서 공부한다. 두 경우 모두 프로그램은 실질적으로 대학원 과정이며, 평균 2년, 최소 4년의 예시바 공부를 마친 후이다.

''세미카''를 취득하면서 랍비 학생들은 특정하고 관련된 탈무드적 ''수기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리쇼님과 아하로님(초기 및 후기 중세 시대 주석가)에서 개발하여 ''할라카''에 적용하는 데 힘쓴다. 특히 ''투르''에 의해 추적된다. 이를 바탕으로, 술찬 아루크(코드화된 유대 율법)의 해당 부분(주요 주석과 함께)을 일상생활의 질문(예: 코셔 유지, 안식일, 가족의 순결에 관한 율법)과 관련하여 연구한다. ''시무시'' 또는 "견습"의 요소도 종종 필요하다.

종교적 시오니스트 및 모던 정통 랍비 학생들은 추가적으로 하슈카파를 공식적으로 연구하는데, 이는 신학과 철학의 주요 요소와 현대적인 질문에 대한 적용을 의미하며, 고전적인 랍비 저작을 통해 체계적으로 진행한다.

정통 예시바 입학 요건에는 유대 율법, 전례, 탈무드 연구 및 관련 언어(예: 히브리어, 아람어, 경우에 따라 이디시어)에 대한 강력한 배경이 포함된다. 특히, 학생들은 랍비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심층적인 분석 기술과 탈무드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랍비 연구는 일반적으로 다른 예시바 연구에서 파생되므로, 세미카를 원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대학교 교육을 완료할 필요가 없다. 예시바 대학교와 같은 예외가 있는데, 이곳은 모든 랍비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들어가기 전에 학부 학위를 취득해야 하며, 서품 전에 석사 학위 또는 이에 상응하는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여성은 정통 랍비가 될 수 없었다. 2009년부터 일부 모던 정통 기관은 "마하랏"이라는 칭호로 여성을 서품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랍바" 및 "랍비"와 같은 칭호를 사용했다.[83]

일부 하레디(하시디즘 포함) 예시바는 랍비가 되기를 원하는 많은 학생들에게 공식 서품을 부여하지만, 예시바 내 대부분의 학생들은 랍비가 되거나 어떤 공식적인 직책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고 토라 또는 탈무드를 공부한다.

하시디즘 세계 내에서 영적 지도자의 지위는 확립된 가문 내에서 왕조적으로 전승되며, 일반적으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진다.

예시바 차페츠 하임 및 예시바 네르 이스라엘과 같은 일부 예시바는 학생들에게 ''세미카''를 받도록 권장한다. 예시바 차임 베를린 또는 미르 예시바와 같은 다른 예시바는 랍비를 훈련시키는 공식적인 "세미카/랍비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선임 학생 중 한 명이 랍비 직을 제안받을 경우, 필요에 따라 세미카를 제공한다.

하레딤은 종종 ''라브''( "랍비"를 나타냄), ''하라브''("그 랍비"), ''모레이누 하라브''("우리 선생님 랍비") 등 오래된 전통을 바탕으로 랍비 칭호에 히브리어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레베친''( 아슈케나짐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는 이디시어 용법) 또는 ''라바닛''( 히브리어로, 세파르딤 사이에서 사용됨)은 모든 정통, 하레디 또는 하시디즘 랍비의 아내에게 사용되거나 사용되는 공식적인 "칭호"이다.

5. 2. 유대교 분파별 서품

고전적 서임이 끝난 이후, 유대교 율법에서 그 중요성이 덜한 다른 형태의 서임이 발전했다. 오늘날 랍비 학생은 예시바 또는 현대 랍비 신학교에서 학습 프로그램을 마치거나 개인 랍비의 지도하에 ''세미카''(랍비 서임)를 받는다. 랍비 교육을 감독하거나 서임을 기록하는 유대교의 계층 구조나 중앙 권위는 없다. 각 유대교 분파는 그와 관련된 랍비의 서임을 규제한다.

''세미카'' 증명서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공식은 ''요레 요레''("그는 가르칠 수 있다, 그는 가르칠 수 있다")이다. 대부분의 랍비는 이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모레 호라아''("판결의 교사")라고 불린다. 더 진보된 형태의 ''세미카''는 ''야딘 야딘''("그는 심판할 수 있다, 그는 심판할 수 있다")이다. 이를 통해 수령자는 랍비 법정의 판사로 활동할 수 있다. 이 서임을 받은 사람은 공식적으로 ''다얀''("판사")으로 불릴 수 있으며 랍비라는 칭호도 유지할 수 있다.

### 정통파

정통 ''세미카''는 유대 율법("''할라카''")과 응답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완료를 요구한다. 정통 랍비는 일반적으로 ''예시바''에서 공부하며, 콜렐림으로 알려진 전담 기관에서 공부하기도 한다. ''세미카''를 취득하면서 랍비 학생들은 탈무드적 ''수기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리쇼님과 아하로님에서 개발하여 ''할라카''에 적용하는 데 힘쓴다. 술찬 아루크의 해당 부분을 주요 주석과 함께 연구한다. ''시무시'' 또는 "견습"의 요소도 종종 필요하다.

종교적 시오니스트 및 모던 정통 랍비 학생들은 신학과 철학의 주요 요소와 현대적인 질문에 대한 적용을 의미하는 ''하슈카파''를 연구한다.

역사적으로 여성은 정통 랍비가 될 수 없었다. 2009년부터 일부 모던 정통 기관은 "마하랏"이라는 칭호로 여성을 서품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랍바" 및 "랍비"와 같은 칭호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것은 현재 많은 정통 기관들에게 논쟁의 대상이다.[82][83]

하시디즘 세계 내에서 영적 지도자의 지위는 확립된 가문 내에서 왕조적으로 전승되며, 일반적으로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진다. 소수의 학생들은 데이안("재판관") 또는 포스킴("유대 율법의 결정자")이 되기 위해 공식 서품을 받는다.

하레딤은 종종 ''라브''( "랍비"를 나타냄), ''모레이누 하라브''("우리 선생님 랍비") 등 오래된 전통을 바탕으로 랍비 칭호에 히브리어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 보수파

보수 유대교는 유대 전통에 따라 유대 율법 및 응답의 규정을 이수하면 스미카(세미카, 랍비 안수)를 수여한다. 보수 유대교의 ''스미카''는 탈무드할라카 연구 외에도 타나크, 미드라쉬, 카발라 및 하시두트, 유대 윤리, 유대 신학 및 철학 등에 대한 훈련을 요구한다.

### 개혁파

개혁 유대교에서 랍비 연구는 목회, 유대교의 역사적 발전, 학문적 성서 비평, 전통적인 랍비 텍스트 연구와 함께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모든 개혁 신학교는 여성과 공개적인 LGBT 사람들을 랍비 및 칸토어로 임명한다.

### 비교파

주요 유대교 종파가 운영하는 신학교 외에도 랍비 서임을 받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여기에는 유대교 아카데미, 캘리포니아의 AJR 등이 있다. 더 최근에 설립된 신학교로는 여러 비전통적이고, 비종파적인(또는 "초종파적" 또는 "탈종파적"이라고도 함) 신학교가 있다.

6. 여성 랍비

드문 예외를 제외하고, 유대교 여성은 역사적으로 랍비로 봉사하는 것이 배제되어 왔다. 이는 1970년대에 변화했는데, 제2의 여성주의와 관련된 미국 사회의 변화와 일치하여, 히브리 연합 대학-유대교 종교 연구소가 여성 랍비를 안수하기 시작했다.[84] 오늘날, 유대교 여성은 유대교의 모든 진보적 분파에서 랍비로 봉사하고 있으며, 정통 유대교에서는 여성 랍비가 논쟁의 대상이지만, 많은 공동체에서 여성에게 대안적인 성직자 역할을 허용한다.[82][83] 여성 랍비를 위해 다양한 현대적 칭호가 만들어졌는데, 랍바, 랍바닛, 마하라트 등이 있다.[85]

1930년대, 베를린개혁파 랍비 양성 학교가 한 여성에게 랍비 자격을 부여했지만, 나치에 의해 학살당했다.

1960년대, 페미니즘의 발전과 함께 재건파, 다음으로 개혁파에서 여성에게 랍비 자격을 수여하라는 요구가 일어났다.


  • 1972년 - 미국의 개혁파가 최초로 랍비 자격을 부여
  • 1975년 - 영국의 개혁파가 랍비 자격을 부여
  • 1985년 - 미국의 보수파가 랍비 자격을 부여


정통파에서도 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7. 치프 랍비

'''치프 랍비'''(Chief Rabbi, Landesrabbiner)는 어떤 지역(대부분 국가)의 종교적 대표자를 말한다.

참조

[1] Britannica rabbi | Definition, History, & Function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 웹사이트 Rabbi https://www.sourcesj[...] 2024-04-04
[3] 웹사이트 Orthodox Women To Be Trained As Clergy, If Not Yet as Rabbis http://www.forward.c[...] Forward.com 2009-05-21
[4] 웹사이트 Can Orthodox Jewish Women be Rabbis? https://web.archive.[...] 2015-11-09
[5] 웹사이트 https://hebrew-acade[...] 2021-06-03
[6] 웹사이트 Rav https://www.dictiona[...] 2022-04-21
[7] 간행물 Rab Heinz-Josef Fabry
[8] 간행물 Rab Heinz-Josef Fabry
[9] 웹사이트 What does rabbi mean? https://www.definiti[...]
[10] 서적 Siddur Azor Eliyahu
[11] 서적 Englishman's Greek Concordance of the New Testament Wigram, George V.
[12] 서적 The social structure of the rabbinic movement in Roman Palestine
[13] 서적 The Social Structure of the Rabbinic Movement in Roman Palestine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14] 논문 Is the Title "Rabbi" Anachronistic in the Gospels? https://www.jstor.or[...]
[15] 성경 Ezra
[16] 문서 Pirkei Avot
[17] 웹사이트 Understanding Honorifics in the Talmudic Era https://www.ezrabran[...] 2024-01-25
[18] 논문 "'Rabbi is Greater than Rav, Rabban is Greater than Rabbi, the Simple Name is Greater than Rabban' / 'גדול מרב רבי, גדול מרבי רבן, גדול מרבן שמו'" https://www.jstor.or[...]
[19] 논문 "The Emergence of the Professional Rabbi in Ashkenaxic Jewry" https://www.jstor.or[...]
[20] 웹사이트 Meir ben Baruch Ha-Levi https://www.encyclop[...]
[21] 서적 Modern Orthodox Judaism: A Documentary History
[22] 문서 Mishnah, Avot
[23] 성경 Deuteronomy
[24] 서적 Rabbinic Instruction In Sasanian Babylonia Brill
[25] 서적 Jewish Preaching Yale
[26] 서적 Concise History of the Rabbinate
[27] 웹사이트 Excommunication http://www.jewishenc[...]
[28] 간행물 Rabbinical Courts: Modern Day Solomons
[29] 웹사이트 TaḲḲanah http://www.jewishenc[...]
[30] 웹사이트 GERSHOM BEN JUDAH http://www.jewishenc[...] 2017-01-07
[31] 서적 A Living Tree SUNY
[32] 웹사이트 About Us https://ccarnet.org/[...] 2017-01-07
[33] 웹사이트 Rabbinical Council of America (RCA) – About Us http://www.rabbis.or[...] 2014-11-17
[34] 웹사이트 Rabbinical Assembly http://www.rabbinica[...] 2001-10-25
[35] 웹사이트 OU Kosher: Certification and Supervision by the Orthodox Union https://oukosher.org[...]
[36] 간행물 Rabbi, Rabbinate
[37] 웹사이트 RCA Semicha Guidelines http://www.rabbis.or[...]
[38] 웹사이트 CHARITY AND CHARITABLE INSTITUTIONS http://www.jewishenc[...] 2017-01-11
[39] 웹사이트 Eight Levels of Charitable Giving http://www.jewishvir[...]
[40] 웹사이트 Someone else's material needs are my spiritual responsibility http://www.rabbisack[...] 2017-01-11
[41] 웹사이트 Ma'aseh https://www.jewishvi[...] 2017-01-11
[42] 문서 Mishneh Torah
[43] 웹사이트 Conversion to Judaism http://www.myjewishl[...] 2017-01-13
[44]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Judaism: Converting to Judaism http://www.bbc.co.uk[...]
[45] 서적 Inheriting the Crown in Jewish Law Univ. of So. Carolina Press 2006
[46] 뉴스 Rabbi Plays Cupid in Bid to Keep Faith Among Jews : Matchmaking: His concern that many are marrying non-Jews prompts him to establish dating service so that singles may find others of same religious persuasion https://www.latimes.[...] 1992-02-16
[47] 뉴스 Become a Chaplain: Serving Jews Who Serve http://jcca.org/what[...]
[48] 웹사이트 Hillel International – The Foundation for Jewish Campus Life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http://hillel.org/
[49] 웹사이트 About http://www.chabad.ed[...]
[50] 서적 The Holocaust and Halakhah Ktav 1976
[51] 웹사이트 DISPUTATIONS http://www.jewishenc[...]
[52] 웹사이트 Burning of the Talmud http://www.jewishvir[...]
[53] 웹사이트 Jews-for-J: Messiah & Redemption Response on Ask the Rabbi http://www.aish.com/[...] 2011-09-20
[5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cholarship.l[...] 2017-01-07
[55] 서적 Inheriting the Crown in Jewish Law: The Struggle for Rabbinic Compensation, Tenure and Inheritance Rights Univ. of So. Carolina Press 2006
[56] 웹사이트 RABBI http://www.jewishenc[...] 2017-01-01
[57] 문서 Mishnah
[58] 문서 Bava Batra
[59] 문서 Ketubot
[60] 문서 Berakhot
[61] 문서 Talmud Yerushalmi, Nedarim
[62] 문서 Roth
[63] 문서 Mishnah Torah, Talmud Torah
[64] 문서 Roth
[65] 서적 LeKorot HaRabbanut Mosad HaRav Kook 5703
[66] 문서 Roth
[67] 문서 Roth
[68] 웹사이트 Different denominations, same pay http://www.jta.org/2[...] 2003-09-17
[69] 논문 MARA DE-ATRA: A Brief Sketch
[70] 논문 Halachic rabbinic authority in the modern open society 2004
[71] 서적 Jews, Christians, Muslims: A Comparative Introduction to Monotheistic Religions Routledge 2012
[72] 문서 See Talmud Kidushin daf 30–40, Bava Metziah 33a, Rambam's Mishneh Torah tractate Hilkhot Talmud Torah 5:7
[73] 문서 Maimonides, Hilchot Talmud Torah 5:7
[74] 웹사이트 YUTorah Online – The Obligation to Respect the Wife of a Torah Scholar or a Talmidat Chacham (Rabbi Hanan Balk) http://www.yutorah.o[...] Yutorah.org 2010-06-24
[75] 문서 Maimonides, Hilchot Talmud Torah 5:12
[76] 문서 Maimonides, Hilchot Talmud Torah 6:12
[77] Bibleverse Numbers 27:15–23, Deuteronomy 34:9
[78] Bibleverse Numbers 11:16–25
[79] Bibleverse 2 Kings 2:9-15
[80] 문서 Pirkei Avot chapter 1 (especially 1:1)
[81] 문서 Mishneh Torah, Hilchot Sanhedrin 4:11
[82] 간행물 Paving the Road to Women Rabbis. Gender and Religious Leadership: Women Rabbis, Pastors, and Ministers 2019
[83] 간행물 "Chapter Five: Orthodox Women Rabbis? It's Only a Matter of Time" Brill 2012
[84] 뉴스 1st Woman Rabbi in U.S. Ordained; She May Be Only the Second in History of Judaism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2-06-04
[85] 웹사이트 https://hebrew-acade[...] 2010-03-25
[86] 웹사이트 レジーナ・ヨーナス(ユダヤ女性アーカイブ)[Regina Jonas | Jewish Women's Archive] http://jwa.org/encyc[...] Jwa.org
[87] 웹사이트 Matthew 23:8 https://www.biblegat[...]
[88] 백과사전 랍비 https://www.doopedia[...] 두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