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츠와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츠와나인은 남아프리카와 보츠와나 지역에 거주하는 반투어계 민족으로, 츠와나어를 사용하며 여러 왕국을 이루어 생활해 왔다. 19세기에 줄루 왕국의 확장과 보어인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영국 보호령을 거쳐 보츠와나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츠와나족은 목축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음악, 바구니 제작, 음식 등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보츠와나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중심으로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주요 인물들이 있으며,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제시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츠와나의 민족 - 산족 (아프리카)
    산족은 아프리카 남부의 수렵 채집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신들을 지칭하는 집단적인 단어는 없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근대화 정책 등으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하고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보츠와나의 민족 - 헤레로인
    헤레로인은 17~18세기 나미비아로 이주한 반투족으로, 독일 식민 통치에 저항했으나 진압되었고, 나미비아 독립 후 과거사 청산과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짐바브웨의 민족 - 산족 (아프리카)
    산족은 아프리카 남부의 수렵 채집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신들을 지칭하는 집단적인 단어는 없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근대화 정책 등으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하고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짐바브웨의 민족 - 짐바브웨의 인구
    짐바브웨의 인구는 20세기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 4월 1,510만 명에 달하며, 젊은 인구 구조를 가지고 쇼나족과 은데벨레족이 중심을 이루고 기독교가 주된 종교이다.
  • 나미비아의 민족 - 산족 (아프리카)
    산족은 아프리카 남부의 수렵 채집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자신들을 지칭하는 집단적인 단어는 없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근대화 정책 등으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하고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나미비아의 민족 - 독일계 나미비아인
    독일계 나미비아인은 나미비아에 거주하며 독일 혈통을 가진 사람들로, 독일 식민 통치 시기에 유입되어 독일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츠와나인
기본 정보
언어츠와나어
종교기독교, 모디모
관련 민족소토족, 페디족, 칼라가디족, 컬러드, 그리콰족, 코이산족, 산족
인구
총 인구7,108,467명
거주 지역: 약 2,000,000명
: 5,000,000명 (츠와나어 사용자)
: 10,967명 (2023년 인구 조사)
: 약 97,500명
명칭
어근츠와나
개인'모츠와나'
언어'세츠와나'
국가'보츠와나'
사람들'바츠와나'
문화 및 전통
어린 모츠와나 여성

2. 역사

츠와나족은 17세기에 북쪽에서 현재의 거주 지역으로 이주하여, 선주민인 산족을 몰아내고 이 지역을 지배했다.[1] 19세기에는 줄루 왕국의 확장으로 촉발된 민족 대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대이동으로 남하한 트란스발 공화국보어인에 대항하기 위해 현재의 보츠와나 지역에 거주하던 8개 부족이 영국에 보호를 요청하여 1885년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이 성립되었다.[1]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츠와나인은 남아공 북부 보츠와나 국경 근처에 보푸타츠와나라는 반투스탄을 가졌다. 1961년 보푸사나 영토 당국이 설립되었고, 1972년 6월 자치 정부로 선포되었으며, 1977년 12월 6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독립을 부여받았다.[1] 마바토를 수도로 한 보푸사나는 인구의 99%가 츠와나어를 사용했다.[1] 1994년 3월, 보푸사나는 두 명의 행정관 통제하에 있다가 같은 해 4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재통합되었다.[1]

2. 1. 초기 역사와 이주

바츠와나족은 남아프리카(현재 나미비아, 보츠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여러 왕국을 가진 반투어 사용 민족이며, 이 지역의 크웨어 사용 왕국과 함께 존재한다. 투츠웨는 현재 보츠와나 동부에 위치했으며, 츠와나 소 품종을 가축 우리에 두고 이를 부의 원천으로 삼았다.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된 츠와나어 사용 민족의 조상이 발 강에서 보츠와나로 이주한 시기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서기 600년이 대략적인 추정치이지만, 이 거대한 가축 사육 단지는 서기 1300년경까지 번성했다. 이들 다양한 민족은 림포포 강을 통해 인도양으로 이어지는 무역로와 연결되어 있었으며, 구슬과 같은 아시아에서 온 교역품이 바츠와나족에게 전달되었다. 이는 아마 상아, 금, 코뿔소 뿔과 교환되었을 것이다.

1824년에 현대 보츠와나와 관련된 최초의 기록이 나타났다. 이 기록들은 방와케체족이 이 지역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마카바 2세의 통치하에, 방와케체족은 잘 보호된 사막 지역에서 방대한 소 떼를 관리했으며, 군사적 역량을 이용하여 이웃을 약탈했다. 당시 이 지역의 다른 추장국들은 수도에 10,000명 정도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고 비교적 번영했다. 이 유명한 수도 중 하나는 카디츠웨네였으며, 주요 츠와나 부족 중 하나인 바후루츠체족의 문화적 수도이자 제조업과 무역의 중심지였다. 이곳은 1400년대 후반 철과 구리 광상 위에 건설되었다.

또 다른 주요 츠와나 정착지인 크웨넹 유적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수이케르보스란트 자연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 이곳은 서기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점유되었으며,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에 츠와나어 사용자들이 거주했던 여러 상당한 규모의 정착지 중 가장 컸다. 여러 개의 둥근 돌담으로 둘러싸인 가족 거주지가 10km 길이, 2km 너비의 지역에 흩어져 있다.

17세기에 츠와나인들은 북쪽에서 현재 거주 지역으로 이주하여, 선주민인 산족을 몰아내고 이 지역을 지배했다. 19세기에는 줄루 왕국의 확대로 시작된 민족 대이동에 휘말렸고, 더 나아가 대이동으로 남쪽으로 온 트란스발 공화국보어인들에 대항하기 위해, 현재 보츠와나 지역에 거주하는 8개의 부족이 영국에 보호를 요청하여 1885년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이 성립되었다.[1]

2. 2. 19세기 격변기: 줄루 왕국, 보어인과의 갈등

1840년대와 1850년대에 케이프 식민지 기반 상인들과의 교역이 시작되면서 바츠와나 추장국들은 재건될 수 있었다. 바쿠에나, 방와케체, 방와토, 바타와나는 수익성이 좋은 상아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협력했고, 그 수익금으로 말과 총을 수입하여 현재 보츠와나를 장악할 수 있었다.[15] 이 과정은 1880년경에 대부분 완료되었으며, 이로 인해 부시맨, 바칼랑가, 바크갈라가디, 바츠와퐁과 기타 현재의 소수 민족들이 바츠와나에 굴복했다.

대이동 이후, 케이프 식민지 출신의 아프리카너들이 트란스발에 보츠와나 국경에 자리를 잡았다. 1852년, 세첼레 1세가 이끄는 츠와나 추장국들의 연합은 아프리카너의 침략에 저항했는데, 이는 포병, 장거리 소총, 머스킷 사격으로 치러진 디마웨 전투의 결정적인 대결로 절정에 달했다. 아프리카너의 진격을 이끄는 장교인 보어 사령관 피터 숄츠와 폴 크루거가 이끄는 보어 코만도가 공격을 시작했지만, 결국 후퇴한 것은 그들이었고, 그 뒤를 이어 바츠와나의 보복 공격이 당시 트란스발의 마리케 지역으로 이어져 보어 정착지, 마을, 농장이 초토화되었다. 약 8년간의 간헐적인 긴장과 적대 행위 끝에, 그들은 결국 1860년 포체프스트룸에서 평화 협정을 맺었다. 그 시점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보츠와나의 현대 국경이 합의되었고, 아프리카너와 바츠와나는 평화롭게 교역하고 함께 일했다.[15]

바타와나족은 1884년 침략한 은데벨레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아마은데벨레족이 토텡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마을이 비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들이 무혈 정복을 즐기기 위해 자리를 잡았을 때, 약 70명의 기마 바타와나족이 지도자 모레미의 지휘하에 등장했고, 모두 후장식 소총으로 무장했다. 전형적인 특공대 스타일로, 기병대는 훨씬 더 많은 적군을 치명적인 기습 공격으로 괴롭히기 시작했다. 그동안, 족장의 전통적인 무장을 한 다른 집단도 그들의 존재를 알렸다.[16]

이 시점에서, 아마은데벨레족 지휘관 로체는 미끼를 물어 그의 군대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한 무리는 모레미의 소규모 부대를 추격했고, 다른 무리는 바타와나족의 주력군이라고 믿는 곳을 따라잡으려 했지만 헛수고였다.[16] 침략자들이 일반적으로 총과 말의 부족했기 때문에, 모레미는 피해를 입히면서 계속 추격자들을 괴롭혔고, 자신은 상처 하나 없이 남아 있었다.[16] 그러나 모레미 부대의 주된 임무는 적에게 손실을 입히는 것보다 잘 설계된 함정에 그들을 가두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부대는 점차 북쪽으로 후퇴하여 쿠티야바사디로 향했고, 아마은데벨레족을 이미 방어 주력이 잘 자리 잡은 곳으로 유인했다.[16]

쿠티야바사디 남쪽의 늪지대에 접근하면서 로체는 그의 병사들을 재결합하려고 애썼고, 아마도 그들이 결전을 앞두고 있다는 것을 감지했을 것이다. 그러나 대신, 이제 쿵쿠냐네의 웨예이족과 합류한 모레미의 바타와나족은 아마은데벨레족을 더욱 깊은 늪으로 유인했다.[16]

츠와나 전투 연대에 주어진 졸업 단검


두껍고 키가 큰 갈대 때문에 가시성이 좋지 않은 이 지역에서, 바타와나족과 웨예이족은 침략자들을 궁극적인 파멸로 유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속임수를 사용할 수 있었다. 어느 시점에서, 송아지와 어미를 각각 다른 나무에 묶어 로체의 병사들이 마침내 그들의 주요 목표인 찾기 힘든 바타와나 소를 잡아가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들이 앞으로 나아가자, 아마은데벨레족은 바타와나족 저격병의 소규모 밴드의 추가적인 기습 공격과 저격으로 더욱 불안해졌다. 확실히, 그들은 익숙하지 않은 오카방고 환경에서 편안하지 않았을 것이다.[16]

쿠티야바사디에서 마침내 방어자들의 함정이 발동되었다. 당시, 그곳은 높은 갈대가 지배하고 서쪽으로는 깊은 물로 둘러싸인 섬이었다. 갈대 속에서, 잘 무장한 세 개의 바타와나 연대가 지역 웨예이족과 합류하여 인내심을 갖고 기다렸다. 그들은 작은 나무 플랫폼을 건설했는데, 그곳에서 여러 사람들이 채널 건너편에서 보였고, 은폐를 위한 터널과 참호도 있었다. 아마은데벨레족은 시야에 들어온 바타와나족 기병대가 채널을 건너 섬으로 향하는 모습에 이끌렸다. 또한, 소가 쿠티야바사디에 인접한 작은 섬에 배치되었고, 한 무리의 병사들이 나무 플랫폼 위에 서서 자신들의 모습을 드러냈다. 또한 그 위치에는 중요한 지점에서 의도적으로 약화된 파피루스 다리가 있었다. 상황을 살펴본 로체는 그의 병사들에게 그가 생각하기에 작은 시내에 불과한 다리를 건너 돌격하라고 명령했다. 계획대로, 아마은데벨레족으로 가득 찬 다리가 무너져 그들은 예상치 못하게 깊은 물길로 던져졌다. 수영하는 법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16]

아마은데벨레족의 추가 파도들은 강둑을 따라 돌격하는 동료들에 의해 꼼짝없이 갇혔는데, 그곳은 그들이 쉽게 건널 수 없을 정도로 깊었다. 적이 이렇게 혼란에 빠지자, 방어 주력군이 터널과 참호에서 나오라는 신호가 주어졌다. 세 방향에서 날아온 총알 세례는 로체의 대열을 꿰뚫었고, 빠르게 전투를 일방적인 학살로 만들었다. 주요 사격이 멈춘 후, 웨예이족은 그들의 메코로를 사용하여 강에 갇힌 생존자들을 추가로 공격하여 노로 머리를 때렸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익사했다. 전투가 끝났을 때, 피가 강을 따라 검게 물들었다고 전해진다. 쿠티야바사디의 총 사상자 수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당시 불라와요의 관찰자들은 2,500명 이상의 병사들이 로체의 원정에 참여했고 500명 미만이 돌아왔다고 확인했다. 아마은데벨레족의 대부분의 손실이 쿠티야바사디 자체와 그 주변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이지만, 전투 생존자들은 바타와나족 기병대에 의해 가차 없이 추격당하면서 죽임을 당했다. 모레미는 로벤굴라에게 그의 연대가 상대가 안 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기로 분명히 결심했다. 또한 다른 사람들은 초베 남쪽의 건조한 평원을 가로질러 집으로 돌아가다가 탈진과 굶주림으로 죽었다; 감망가토를 통한 약간 더 호의적인 경로는 카마에 의해 차단되었다. 쿠티야바사디 전투는 바타와나족에게는 큰 승리였고, 아마은데벨레족에게는 패배였지만, 이 지역의 웨예이족에게는 결과가 복합적인 축복이었다고 한다. 그들은 증오하는 아마은데벨레족에 대한 승리를 함께 나누었지만, 그 결과 중 하나는 모레미가 인근 노카넹에 일정 기간 정착하면서 그 지역에 대한 바타와나족의 권위가 강화된 것이었다.[16]

제1차 마타벨레 전쟁은 1893년에서 1894년 사이에 현재의 짐바브웨에서 벌어졌다.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British South Africa Company)는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 경찰에 750명 이하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불특정 수의 식민지 자원병과, 카마 3세, 가장 영향력 있는 바트스와나 족장 중 한 명이자 영국의 확고한 동맹이었던, 사령관이 이끄는 700명의 추가적인 츠와나(베추아나) 동맹군이 남쪽에서 불라와요로 진군했다. 샐즈베리와 포트 빅토리아 부대는 1893년 11월 4일 불라와요로 진격했다. 베추아날란드에서 온 제국 부대는 보이지 않았다. 그들은 10월 18일에 불라와요를 향해 북쪽으로 행군을 시작했고, 11월 2일 음포엥스 근처에서 마타벨레와 소규모 교전을 벌였다. 그들은 마침내 11월 15일에 불라와요에 도착했는데, 이는 당시 새롭게 점령된 회사의 영토가 제국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에 합병되는 것을 막았을 가능성이 있다.

2. 3. 영국 식민 통치와 베추아날란드 보호령

19세기, 줄루 왕국의 확대로 시작된 민족 대이동에 휘말렸고, 더 나아가 대이동으로 남쪽으로 온 트란스발 공화국보어인들에 대항하기 위해, 현재 보츠와나 지역에 거주하는 8개의 부족이 영국에 보호를 요청하여 1885년 베추아날란드 보호령이 성립되었다.[1] 이후, 1966년 보츠와나 공화국으로 독립했다.[1]

2. 4. 보푸사츠와나와 아파르트헤이트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의 츠와나인은 보푸타츠와나라는 반투스탄을 남아공 북부의 보츠와나 국경 근처에 가지고 있었다. 보푸사나 영토 당국은 1961년에 설립되었으며, 1972년 6월 보푸사나는 자치 정부로 선포되었다. 1977년 12월 6일, 이 '홈랜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독립을 부여받았다.[1] 보푸사나의 수도는 마바토였으며, 인구의 99%가 츠와나어를 사용했다.[1] 1994년 3월, 보푸사나는 티아르트 반 데르 왈트와 욥 모그로로 두 명의 행정관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1] 작고 분산된 토지 조각들은 1994년 4월 27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재통합되었다.[1] 보푸사나는 현재 노스웨스트 주, 프리 스테이트 주, 노던케이프 주, 그리고 하우텡 주의 일부를 형성한다.[1]

3. 부족과 왕조

츠와나인은 보츠와나에서 인구의 90%를 차지하는 다수 민족이며, 국명인 보츠와나도 '츠와나인의 땅'이라는 의미이다. 보츠와나의 츠와나인은 응와토, 바로롱, 트롤로크와, 쿠웨나, 쿠가투라, 말레테, 바훌체, 응와케체 등 8개의 부족으로 나뉘며, 각 부족은 코시라고 불리는 족장을 옹립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의 츠와나인은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보푸타츠와나라는 반투스탄을 가지고 있었다.

3. 1. 보츠와나의 부족

1946년 전통 복장을 한 츠와나인 남성들


보츠와나 공화국(과거 영국의 보호령이었던 베추아날란드)은 츠와나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보츠와나의 8개 주요 부족은 세츠와나어라고도 불리는 츠와나어를 사용한다.[18][19] 이들은 모두 전통적인 최고 추장인 ''Kgosikgolo''를 두고 있으며, 이들은 보츠와나 의회의 자문 기구인 Ntlo ya Dikgosi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 츠와나 왕조는 모두 혈연관계이다. 보츠와나에 사는 사람은 모츠와나이며, 복수형은 바츠와나이다. 17세기에 콰에나, 응와케체, 응와토의 세 형제는 아버지인 멜로페 추장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몰레폴로, 카녜, 세로웨에 각자의 부족을 세웠는데, 이는 아마도 가뭄과 목초지 및 경작지를 찾아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일 것이다.[20]

주요 츠와나 부족은 다음과 같다.[21]

  • 콰에나 부족
  • 망와토 부족
  • 방와케체
  • 롤롱 부족
  • 타웅 부족
  • 바틀라핑 부족
  • 틀로크와 부족
  • 로열 바포켕 국가

3. 2.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부족

보푸사츠와나는 1961년에 영토 당국으로 설립되었고, 1972년 6월에 자치 정부가 되었다. 1977년 12월 6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독립을 부여받았으며, 수도는 마바토였다. 1994년 3월에는 티아르트 반 데르 왈트와 욥 모그로로 두 명의 행정관이 통치했다. 1994년 4월 27일, 작고 분산된 여러 조각의 땅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다시 통합되었다. 보푸사츠와나는 현재 노스웨스트 주, 프리 스테이트 주, 노던케이프 주, 그리고 하우텡 주의 일부를 형성한다.

오늘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가장 많은 수의 츠와나족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 중 하나이며, 츠와나어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1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2012년에는 400만 명 이상의 츠와나어 사용자가 있었으며,[1] 노스웨스트주에 220만 명의 츠와나어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다.

1948년부터 1994년까지 남아프리카 츠와나족은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 의해 보푸사츠와나의 시민으로 규정되었다. 보푸사츠와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흑인 아프리카인의 시민권을 부인하는 정책을 옹호하기 위해 설치된 10개의 반투스탄 중 하나였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의 츠와나인은 보츠와나의 3배 가까이 되며,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는 보푸타츠와나라는 반투스탄을 남아공 북부의 보츠와나 국경 근처에 가지고 있었다.

4. 문화

츠와나족은 정착 생활을 하며 목축을 주된 생업으로 삼았고, 부차적으로 옥수수수수 등을 재배했다. 츠와나인 사회에서 는 전통적으로 부를 상징했으며, 활발하게 매매가 이루어졌다.

츠와나 음악은 대부분 보컬 위주로 연주되며, 현악기를 많이 사용한다. 드럼 없이 공연되기도 한다. 보츠와나의 문화적 악기는 현악기나 드럼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손뼉을 치거나 파티시(송아지 부위에 감싼 염소 가죽 안쪽을 뒤집은 것, 남성만 사용)에 대고 쳐서 음악과 리듬을 만들기도 한다.[23]

바츠와나족은 모콜라 야자나무와 현지 염료로 바구니를 만드는 기술로 유명하다. 도예가들은 물, 전통 맥주를 저장하고 요리에 사용되는 찰흙 냄비를 만들었다. 수공예 제작자들은 나무 공예품(레소, 레흘레토와 같은 전통적인 조리 도구, 전통 나무 의자, 북 등)을 만들었다.[24]

보고베는 수수 가루로 만든 주요 음식으로, 종종 고기나 채소와 함께 먹는다. 세스와는 보츠와나의 국민 음식으로, 결혼식, 장례식 및 기타 축하 행사에서 자주 제공된다. 바츠와나족은 세츠와나어로 레테이시, 소토어로 슈웨슈웨라고 불리는 면직물을 착용한다. 이 직물은 종종 결혼식과 기타 전통 축제에 사용된다.

츠와나족은 눈을 사용하여 천체를 관찰하고, 언급하고, 이름을 지었다. 츠와나 문화에 따르면 오리온자리의 칼에 있는 별들은 "딘차 레 디콜로베"(오리온 벨트의 돼지 세 마리를 쫓는 개 세 마리)였다. 은하수는 츠와나족에게 번개가 쉬는 곳인 몰랄라틀라디로 여겨졌다. (응웨디)은 여성을 상징하며, 태양(레치아치)만큼 뜨겁지는 않지만 빛을 가져다주며, 그 빛은 행복과 관련이 있다. 금성은 엠파트라차나(빛나고 눈부신 자)와 코파딜라렐로(저녁 식사 추구자)로 불린다.

직경 263km의 수성에 있는 피크 링 충돌구인 라디틀라디 분지는 바츠와나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인인 리틸레 디상 라디틀라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1. 생활 방식

고대 도시 카디츠웨네의 가옥


츠와나인은 정착 생활을 하며 목축을 주된 생업으로 삼았고, 부차적으로 옥수수수수 등을 재배했다. 츠와나 소 품종은 츠와나인들이 가축 우리에 두고 부의 원천으로 삼았던 품종이다. 츠와나인 사회에서 는 전통적으로 부를 상징했으며, 활발하게 매매가 이루어졌다.

4. 2. 예술

츠와나 음악은 대부분 보컬 위주로 연주되며, 경우에 따라 드럼 없이 공연되기도 하고, 현악기를 많이 사용한다. 츠와나 민속 음악에는 다음과 같은 악기가 있다.[23]

  • 세틴케인: 미니어처 피아노의 보츠와나 버전
  • 세간쿠레/세가바: 중국 악기 얼후의 보츠와나 버전
  • 모로파(메로파 - 복수): 다양한 종류의 드럼의 보츠와나 버전
  • 팔라: 축제 기간에 주로 사용되는 호루라기의 보츠와나 버전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음


보츠와나의 문화적 악기는 현악기나 드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손뼉을 치거나 파티시(송아지 부위에 감싼 염소 가죽 안쪽을 뒤집은 것, 남성만 사용)에 대고 쳐서 음악과 리듬을 만들기도 한다.[23] 지난 수십 년 동안 기타는 세가바 악기가 가지고 있지 않은 다양한 현을 제공하기 때문에 츠와나 음악을 위한 다재다능한 악기로 널리 사용되었다. 다른 주목할 만한 현대 츠와나 음악은 모츠와코로 알려진 츠와나 랩이다.[23]

츠와나 바구니


바츠와나족은 모콜라 야자나무와 현지 염료로 바구니를 만드는 기술로 유명하다. 바구니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엮는다.[24]

  •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크고 뚜껑이 있는 바구니
  • 머리에 물건을 운반하거나 타작한 곡물을 키질하는 데 사용되는 크고 열린 바구니
  • 빻은 곡물을 키질하는 데 사용되는 작은 접시


도예가들은 물, 전통 맥주를 저장하고 요리에 사용되는 찰흙 냄비를 만들었으며 상업적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수공예 제작자들은 나무 공예품을 만들었고, 레소(leso)와 레흘레토(lehetlho)와 같은 전통적인 조리 도구, 전통 나무 의자, 북 등을 만들었다.[24]

4. 3. 음식과 의복

보고베는 수수 가루로 만든 주요 음식으로, 종종 고기나 채소와 함께 먹는다. 가장 인기 있는 수수 죽은 팅이다.[22] 보고베 자 로갈라/센가나는 우유와 섞거나 함께 요리한 수수 죽으로 만든 전통 세츠와나 요리이다. 세스와는 보츠와나의 국민 음식으로, 결혼식, 장례식 및 기타 축하 행사에서 자주 제공된다. 세스와는 빻거나 찢은 고기로, 종종 보고베(죽)와 함께 제공된다. 마딜라는 소와 염소의 우유로 만들어진 시큼한 발효유로, 섭취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숙성된다.
마딜라 사워 배양유
전통적으로 마딜라는 마딜라를 가공하고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가죽 자루 또는 가방인 레쿠카를 사용하여 준비했다. 마딜라는 또한 전통적으로 파프와 함께 먹는 소스로 사용되며, 부드러운 죽에 시큼하고 우유 맛을 내기 위해 인기 있는 츠와나 아침 식사인 모토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바트스와나는 세츠와나어로 레테이시, 소토어로 슈웨슈웨라고 불리는 면직물을 착용한다. 이 직물은 종종 결혼식과 기타 전통 축제에 사용된다. 세츠와나 전통에서 어머니들은 전통적인 베이비 샤워 때, 기혼 여성들은 전통 결혼식 때, 그리고 다양한 입문 의식 동안 작은 체크 무늬 담요인 모가골라웨인을 착용한다. 장례식 때도 바트스와나 여성들은 모가골라웨인을 착용한다.

4. 4. 츠와나 천문학

천문학은 아프리카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다른 모든 문화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민족 집단은 태양계에 대한 자체적인 해석을 발전시켰다. 바츠와나족은 자연적인 도구인 눈을 사용하여 그들에게 관심 있는 천체를 관찰하고, 언급하고, 이름을 지었다. 별자리와 계절별 출현과 관련된 더 구체적인 이름이 있다. 예를 들어, 셀레멜라, 나카, 투틀와, 디콜로즈와네 등이 있다. 츠와나 문화에 따르면 오리온자리의 칼에 있는 별들은 "딘차 레 디콜로베"로, 오리온 벨트의 돼지 세 마리를 쫓는 개 세 마리였다. 은하수는 츠와나족에게 번개가 쉬는 곳인 몰랄라틀라디로 여겨졌다. 이 휴식처는 또한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막고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고 믿었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해가 뜨는 것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은하수가 태양을 동쪽으로 돌린다고 주장했다. 또한 은하수는 조상의 영혼이 걸어 다니는 하늘을 가로지르는 초자연적인 발자취라고 믿어졌다. (응웨디)은 여성을 상징한다고 하며, 태양(레치아치)만큼 뜨겁지는 않지만 빛을 가져다주며, 그 빛은 행복과 관련이 있다. 금성은 바츠와나족에게 엠파트라차나(빛나고 눈부신 자)와 코파딜라렐로(저녁 식사 추구자)로 불린다.

직경 263km의 수성에 있는 큰 피크 링 충돌구인 라디틀라디 분지는 바츠와나 출신의 극작가이자 시인인 리틸레 디상 라디틀라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주요 인물

츠와나족 출신 주요 인물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얀 마시애니와 렌 타우냐네는 올림픽에 참가한 최초의 아프리카 흑인 선수였다.

5. 1. 정치, 왕족, 활동가, 경제

이름분야설명
프란시스 바르드정치, 노동아프리카 민족회의(ANC) 여성 연맹 조직자이자 노동조합 운동가였다.
바토엔 1세왕족응와케체의 키고시(최고 지도자)였다.
두마 보코정치, 법변호사이자 법학자, 정치인이다. 보츠와나 주요 야당인 민주변화 연합 대표이다.
만네 디피코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노던케이프 주 초대 주지사였다.
윙키 디레코정치, 교육전 프리 스테이트 주 주지사 및 전 프리 스테이트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유니티 도우정치, 법, 인권보츠와나 전 고등법원 판사이자 작가, 활동가, 장관이었다.
키고시 푸소 가보로네왕족보츠와나 트로크웽의 바트로콰 부족의 왕(키고시)이다.
존 타올로 가에체웨정치, 노동노동조합 운동가이자 ANC 회원, SACTU 사무총장, 로벤 아일랜드 수감자였다.
카마 3세왕족밤앙와토의 왕이었다.
이안 카마정치보츠와나 제4대 대통령이었다.
세레체 카마정치보츠와나 초대 대통령이었다.
모세스 코타네정치, 인권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자 활동가였다.
데이비드 마강정치, 경제, 법보츠와나 변호사이자 사업가, 정치인이다.
수프라 마후멜로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다.
므무시 마이마네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다.
토토 마골로크웨왕족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바탈라로 부족 최고 지도자(키고시)이다.
루카스 망고페정치전 보푸타츠와나 대통령이었다.
케트 마시레정치보츠와나 제2대 대통령이었다.
모크게체시 마시시정치보츠와나 대통령이다.
조 매튜스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다.
조 모디세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다.
탄디 모디세정치, 인권남아프리카 공화국 자유 투사였다.
페스투스 모가에정치보츠와나 제3대 대통령이었다.
모갈레 모갈레왕족바포 바 모갈레의 추장이었다.
모고엥 모고엥남아프리카 공화국 수석 재판관이었다.
잡 모크고로정치, 교육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자 학자였다.
이본 모크고로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 재판소 판사였다.
브라이언 몰레페경제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업가이다. 2011년 2월 트랜스넷 CEO로 임명되었고, 2015년 4월 에스콤 CEO를 역임했다.
포포 몰레페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노스웨스트 주 주지사였다.
에드나 몰레와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다.
레루오 몰로트레기왕족로열 바포켄 부족의 왕이다.
루스 욤파티정치, 인권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 활동가였다.
제임스 모로카정치ANC 대통령 (1949~1952)이었다.
딕강 모세네케남아프리카 공화국 판사이자 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부 수석 재판관이었다.
은타토 모틀라나경제, 인권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업가이자 의사, 반 아파르트헤이트 활동가였다.
브리지테 모세페경제남아프리카 공화국 여성 사업가이다.
패트리스 모세페경제남아프리카 공화국 억만장자 광산 사업가이다.
체포 모세페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시릴 라마포사의 아내이자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부인이다.
날레디 판도르(née 매튜스)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자 장관이다.
디푸오 피터스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다. 전 교통부 장관 및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세벨레 1세왕족퀘나의 전 추장(키고시)이었다.
몰레피 세풀라로정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다.
아브람 온크고포체 티로인권남아프리카 공화국 학생 운동가이자 흑인 의식 투사였다.


5. 2. 학술, 과학, 저술


  • 단 크고아디는 노스웨스트 대학교 부총장이다.
  • Z. K. 매튜스는 1955년 포트헤어 대학교에서 강의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학자이다.
  • 테베 메두페는 노스웨스트 대학교 물리학 교수이다.
  • 카틀레고 카이 콜라니야네-케수필레는 츠와나 출신 공연 예술가, 음악가, 작가, LGBT 활동가이다.
  • 케오라페체 크고시치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ANC 활동가이자 작가였다.
  • 실라스 몰레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사, 정치인, 작가, 활동가이다.
  • 솔 플레이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ANC 활동가이자 작가였다.
  • 마티시디소 모에티 박사는 세계 보건 기구 아프리카 지역 사무소 지역 국장이다.

5. 3. 예술 및 미디어


  • 쿨리 차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힙합 아티스트이다.
  • 코모토소 크리스토퍼,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 겸 보이스 오버 아티스트이다.
  • 프레슬리 추웨니가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이다. 그는 외국어 영화 부문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 《차치》에 출연했다.
  • 카틀레고 단케,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이다.
  • 코니 퍼거슨, 보츠와나 출신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이다.
  • 쇼나 퍼거슨, 보츠와나 출신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업가, 배우, 영화 제작자 겸 퍼거슨 필름 공동 설립자이다.
  • 차르마 갈, 가수이자 전 컬처 스피어스 멤버이다.
  • 고아펠, 세츠와나족 조상을 둔 미국 가수이다.
  • 음풀레 퀘라고베, 전 미스 유니버스이다.
  • 게일 은코아네 마발라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 모델, 미디어 사교계 명사, 사업가 겸 가수이다.
  • 모치 마부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독일 댄서이다.
  • 비 맘피지, 보츠와나 음악가이다.
  • 맵스 마포냐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텔레비전 진행자, 배우, 패션 디자이너, 연설가, 모델, 보이스 오버 아티스트, 자선가 겸 기업가이다.
  • 보낭 마테바,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디어 인물이다.
  • 팀 모디세, 남아프리카 공화국 저널리스트, TV 및 라디오 진행자이다.
  • 투미 모라케, 남아프리카 공화국 코미디언, 배우, TV 인물 겸 작가이다. 현재 Motsweding Fm에서 "Dirage"의 진행자이다.
  • 카스퍼 뇨베스트(일명 "레필로 마엘레 풀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힙합 아티스트이다.
  • 힙합 팬츠풀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티스트이다.
  • 마나카 라나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이다.
  • 돌리 라테베, 음악가 겸 배우이다.
  • A-리치, 남아프리카 공화국 음악가이다.
  • 라풀라나 세이페모,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이다.
  • 툭스 센강가(일명 "투멜로 케파디사"), 세츠와나 래퍼이다.
  • DJ 프레쉬, 보츠와나 출신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디오 인물이다.
  • DJ 스피드스타, DJ 겸 TV 인물이다.
  • 얼 스웨트셔츠, 케오라페체 코시칠레의 아들인 미국 래퍼이다.
  • 보이티 툴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배우, 힙합 아티스트이다.
  • 레디 칠라비, 저널리스트, 프로듀서, 작가 겸 라디오 진행자이다.
  • 엠마 와루스, 전 미스 월드 퍼스트 프린세스이다.

5. 4. 스포츠


  • 이투멜렝 쿠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르네일웨 레트숄로냐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기프트 링크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딕강 마발라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이노센트 마엘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마크스 마포냐네, 은퇴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테코 모디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스티븐 모코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장거리 육상 선수
  • 아만틀레 몬초, 전 세계 800m 챔피언
  • 피초 모시마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 현재 이집트 프리미어 리그의 알 아흘리 감독.
  • 빅터 음피창,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리켓 선수,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표로 활약한 빠른 볼 투수, 현재 크리켓 국가 대표 선발 위원장
  • 카기소 라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크리켓 선수. 2014년 11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데뷔했으며, 2018년 7월 22세의 나이로 ICC ODI 투수 랭킹과 ICC 테스트 투수 랭킹 모두 1위를 차지했다.
  • 지미 타우, 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퍼시 타우,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레칠레 테보고, 보츠와나 단거리 육상 선수
  • 바볼로키 테베, 코먼웰스 800m 은메달리스트. 코먼웰스 4x4 금메달리스트.
  • 앨리스터 워커, 보츠와나 프로 스쿼시 선수

5. 5. 종교

프레데릭 사무엘 모디세는 국제 오순절 성결교회의 창립자이고, 글레이턴 모디세는 국제 오순절 성결교회의 지도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in Brief http://www.statssa.g[...] Statssa.gov.za 2012-10-01
[2] 웹사이트 Namibia 202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Main Report https://census.nsana[...] Namibia Statistics Agency 2024-10-30
[3] 웹사이트 PEOPLE NAME: TSWANA OF ZIMBABWE(old time Rhodesia)publisher=peoplegroups.org https://www.peoplegr[...] 2019-09-01
[4]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10-01
[5] 웹사이트 Tswana | Culture & Tradition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6] 간행물 Kweneng: How to lose a precolonial city https://search.infor[...] 2019-06-01
[7] 간행물 Kweneng: A Newly Discovered Pre-Colonial Capital Near Johannesburg https://brill.com/vi[...] 2019-07-09
[8] 웹사이트 Laser technology shines light on South African 'lost city' of Kweneng http://www.theguardi[...] 2022-12-02
[9] 웹사이트 Botswana – History and Culture https://www.iexplore[...] 2018-11-08
[10] 웹사이트 Culture of Botswana – history, people, clothing, traditions, women, beliefs, food, customs, family http://www.everycult[...] 2018-11-08
[11] 간행물 Sebetwane and the Ma ''Kololo''
[12] 웹사이트 Mmegi Blogs :: The Vekuhane, Makololo And Malozi http://www.mmegi.bw/[...] 2018-11-19
[13] 웹사이트 To the Victoria Falls – The Makololo https://www.tothevic[...]
[14] 간행물 In Search of Kaditshwene https://www.research[...]
[15] 간행물 The Batswana-Boer War of 1852–53: how the Batswana achieved victory https://journals.co.[...] 1991-01-01
[16] 뉴스 Mmegi Blogs :: The Guns of Khutiyabasadi (II) http://www.mmegi.bw/[...] 2018-11-08
[17] 웹사이트 BSAP History: Campaigns http://www.bsap.org/[...] 2018-11-08
[18] 뉴스 We are Batswana; they call us Batswanan http://www.sundaysta[...] 2017-09-01
[19] 서적 The World Factbook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7-09-01
[20] 웹사이트 Botswana History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2-10-15
[21] 웹사이트 Moumo http://www.moumo.co.[...]
[22] 웹사이트 Ting ya Mabele – Arca del Gusto https://www.fondazio[...]
[23] 웹사이트 Heritage and choice collide in Setswana musical https://mg.co.za/art[...] 2017-10-27
[24] 뉴스 50 years of Botswana's visual arts http://www.mmegi.bw/[...]
[25] 웹사이트 2007AfrSk..11...17L Page 18 http://adsbit.harvar[...]
[26] 웹사이트 African ethnoastronomy https://assa.saao.ac[...]
[27] 서적 Big Men, Little People: The Leaders who Defined Africa Macmillan Publishers Ltd 200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