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침보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침보테는 페루 안카시 주에 위치한 도시로, 태평양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레쿠아이, 모체, 와리, 치무르, 잉카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1774년 공식 문서에 처음 등장했다. 1835년 어촌 마을이었으나, 1940년대 페루 산타 공사의 설립과 철강 공장 건설, 1950년대 항구 활동 통합으로 급격히 성장했다. 1970년 안카시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이후 재건 과정을 거쳐 현재는 어업, 철강 산업, 관광, 상업이 발달한 도시로 성장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테니엔테 FAP 하이메 몬트레이 모랄레스 공항, 철도, 버스 터미널, 침보테 항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의 항구 도시 - 카야오
    카야오는 1537년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에 의해 건설된 페루의 항구 도시로, 태평양 무역의 주요 항구로 발전했으며, 1857년 헌법상 주(Provincia Constitucional)로 지정되었고,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으며, 페루에서 범죄율이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 페루의 항구 도시 - 탈라라
    페루 북서부의 탈라라는 석유 산업과 어업 중심 도시로, 20세기 석유 생산 기지이자 미국 공군 기지였으며 현재는 페트로페루 정유소와 오징어 어업이 활발하고 피우라 북쪽 200km 지점에 위치한다.
  • 페루의 도시 - 피우라
    페루 북서부에 위치한 피우라는 1532년 건설된 페루에서 가장 오래된 유럽식 도시이자 피우라 주의 주도로서, 다양한 문화적 영향이 혼합된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영원히 더운 도시"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페루의 도시 - 리마
    리마는 페루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 중요한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도시화로 인한 과제에 직면한 라틴 아메리카 대도시이다.
침보테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누에보침보테 마요르 광장과 대성당
누에보침보테 마요르 광장과 대성당
침보테의 깃발
침보테의 깃발
침보테의 문장
침보테의 문장
별칭어업과 철강의 수도
건설일1906년 12월 6일
좌표9°8′28.36″S 78°35′36.86″W
해발고도4m
행정 구역
국가페루
지방앙카슈 지방
산타 군
인구 정보
인구 (2015년 추정)371,012명
인구 밀도3,019명/km²
기타 정보
시장로베르토 브리세뇨 프랑코 (2019-2022)
지역 번호43
웹사이트www.munisanta.gob.pe
지도 정보

2. 역사

1930년대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건설로 리마와의 접근성이 좋아졌다.[2] 1958년에는 리오 산타(카년 델 파토)에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었고, 철강 공장도 들어섰다.[2]

1970년 5월 31일 안카시 지진이 발생하여 도시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이 지진으로 침보테와 인근 지역에서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세로 데 라 파스에서 바라본 침보테 시가지

2. 1. 콜럼버스 이전 시대

침보테가 현재 위치한 지역은 레쿠아이, 모체, 와리, 치무르, 잉카 문화에 의해 차례로 점유되었다. 와카 산 페드로, 엘 카스티요 등의 고고학적 중심지가 이를 증명한다. 동일한 민족 집단인 마야인이 이 땅에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메리카 대륙 정복이 발생하면서 원주민들은 흩어지고 쇠퇴했다.

2. 2. 식민지 시대

1774년 코스메 부에노가 저술한 책 《리마 대주교 관할 구역의 소개 및 묘사》에서 침보테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공식 문서에 등장한다. 이 책에서는 옛 산타 마리아 데 라 파릴라(Santa) 마을에 침보테라는 작은 어촌이 부속되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민족지학에서는 이 최초의 정착민들을 트루히요 서쪽에 있는 완차코 휴양지에서 온 어부들로 언급하며, 이 때문에 그들을 완차케로스라고 불렀다.[1]

2. 3. 공화국 시대

1871년, 헨리 메이그스와 내륙으로 향하는 철도 건설 협약이 체결되었다. 당시 침보테는 인구가 약 1,000명 정도였지만 항구로 분류되었다. 1930년대에는 팬아메리칸 하이웨이 개통으로 리마와의 접근성이 좋아졌다. 1881년, 페루는 침보테 만에 해군 기지를 미국에 양도하려 했으나, 이 거래를 알게 된 칠레가 해병대를 파견하여 침보테를 점령하면서 무산되었다.[2]

1940년, 침보테는 여전히 작은 어항이었으며, 80ha의 도시 지역에 2,400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 1943년, 정부는 코르포라시온 페루아나 델 산타(페루 산타 공사)를 설립하여 철도 소유권 인수, 항구 개선, 리오 산타(카년 델 파토)에 수력 발전소 건설을 시작했다. 1958년에 발전소의 첫 단계가 완공되었고, 같은 해에 철강 공장이 건설되었다.[2] 같은 해, 태평양 가다랑어의 간을 추출하는 회사들이 들어왔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해외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되었다.

1950년대에는 페루 산타 공사 설립, 카년 데 파토 수력 발전소 건설, 철강 사업 시작과 함께 항구 활동이 통합되었다. 당시 도시 외곽에는 이미 몇몇 어류 가공 공장이 있었다. 1960년대에는 루이스 반체로 로시의 주도로 대규모 개발이 시작되었고, 노동력 수요 증가로 무질서한 이주가 시작되었다. 이는 도시 성장 계획과 불균형을 이루는 서비스 문제를 야기했다.

1970년대에는 과도한 어획, 환경 오염, 엘니뇨 현상과 같은 기후 요인으로 인해 경제가 쇠퇴했다. 1970년에는 1970년 안카시 지진이 발생하여 도시의 많은 기반 시설과 부동산이 파괴되고, 침보테와 지역에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2. 4. 현재

1983년경, 어업 붕괴와 강력한 엘니뇨 현상 이후 침보테는 농업, 관광, 상업 분야에 관심을 쏟으며 재편성과 정비 과정을 거쳤다. 최근 몇 년 동안 만을 복구하고 여러 건물과 공공 장소를 개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침보테의 안데스 홍학


3. 지리

침보테는 열대 지역이자 사막에 위치해 있음에도 쾌적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아열대 기후로 분류되지만, 차가운 훔볼트 해류의 영향으로 열대 사막에서 예상되는 기온보다 훨씬 낮다. 연평균 기온은 약 20°C이며, 강수량은 매우 적다.[10]

3. 1. 기후

침보테의 기후는 열대 지역이자 사막에 위치해 있음에도 쾌적하다. 아열대 기후로 분류되지만, 차가운 훔볼트 해류에 가깝게 위치해 있어 열대 사막에서 예상되는 기온보다 훨씬 낮으며, 사막 기후로 분류된다. 평균적으로 가장 따뜻한 달은 2월로 기온이 26°C를 조금 넘는다. 9월은 평균적으로 가장 추운 달로, 약 13°C 정도이다. 연평균 기온은 약 20°C이다.

이 도시는 강수량이 거의 또는 전혀 없지만, 5월부터 11월까지 짙은 안개가 주로 밤새 낀다. 강우는 보통 2월에 발생한다.[11]

침보테의 기후 (1961–199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6.7°C27.8°C27.4°C25.5°C23.9°C22.8°C21.9°C21.5°C21.5°C22.4°C23.8°C25.3°C24.2°C
평균 최저 기온 (°C)17.4°C18.3°C18.3°C17°C15.7°C14.6°C13.9°C14°C13.7°C14.2°C14.8°C16.2°C15.7°C
평균 강수량 (mm)1.6mm3.7mm3.6mm1.6mm0.2mm0mm0.3mm0.2mm0mm0.2mm0.2mm0.3mm11.9mm


4. 인구

1970년대 초 침보테로 대규모 인구 이주가 있었다. 1960년에서 1970년 사이 침보테의 인구는 100배 이상 증가했는데, 1900년 항구의 인구는 1,400명이었으나 1970년 이후에는 170,000명이 되었다. 2005년 기준 인구는 324,398명이었다.[4]

주민 유입은 어업 산업의 시작 및 발전, 시데르페루 제철소 설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96년 초 페루의 국영 기업 민영화로 페루-브라질 회사인 아세르코(Acerco)가 시데르페루를 인수했다.

4. 1. 행정 구역

침보테 시는 산타, 코이쉬코, 사만코, 네페냐, 마카테, 모로, 카세레스 델 페루, 누에보침보테의 7개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엘 바리오 데 아세로, 바리오 볼리바르, 엘 프로그레소, 라데라스 델 노르테 알토, 라데라스 델 노르테 바호, 미라플로레스 알토, 미라플로레스 바호 등의 지역은 침보테를 둘러싸고 있다.

5. 경제

1894년 안카시 지역 지도


SIDERPERU 공장


침보테만 연안의 어부들


침보테는 물고기 통조림 제조업 등 어류 가공업이 왕성하다. 1940년, 침보테는 80ha의 도시 지역에 2,400명의 주민만 살고 있는 작은 어항이었다. 1943년, 정부는 코르포라시온 페루아나 델 산타(페루 산타 공사)를 설립하여 철도 소유권을 인수하고, 항구를 개선했으며, 리오 산타에 수력 발전소 건설을 시작했다. 발전소의 첫 번째 단계는 1958년에 완공되었으며, 같은 해에 철강 공장이 건설되었다.[2]

침보테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항으로,[5] 30개 이상의 어류 가공 공장이 있다. 페루 최초의 철강 회사인 SIDERPERU가 있으며, 건설, 광업 및 산업 분야를 위한 고품질 철강 제품을 생산한다. SIDERPERU는 2006년부터 게르다우의 일부가 되었다.

침보테는 관광을 지원하는 해변도 가지고 있다.

5. 1. 페루 안초비 붐

1950년대에는 페루 산타 공사 설립, 카년 데 파토 수력 발전소 건설, 철강 사업 시작과 함께 항구 활동이 통합되었다. 당시에는 이미 도시 외곽에 몇몇 어류 가공 공장이 있었다. 그러나 대규모 개발은 주로 루이스 반체로 로시의 주도로 1960년대에 시작되었고, 노동력 수요 증가로 인해 무질서한 이주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성장은 도시의 성장 계획과 불균형을 이루는 서비스를 포함했다.[2]

1970년대에는 과도한 어획과 환경 오염(해안의 어군을 고갈시키는 산업의 결과), 그리고 엘니뇨 현상과 같은 기후 요인으로 인해 경제가 쇠퇴했다. 또한 1970년에는 끔찍한 1970년 안카시 지진이 발생하여, 침보테와 지역의 수많은 사망자를 제외하고 도시의 많은 기반 시설과 부동산이 파괴되었다. 침보테에는 이미 큰 문제가 다가오고 있었다.[2]

어업이 쇠퇴한 직후, 안초비 어업의 산업화가 절정에 달했다. 이는 당시 어업에서 높은 임금을 지급했기 때문에 페루 전역에서 사람들을 끌어들였고, 침보테의 교외 성장을 촉진했다. 1960년대, 특히 앙카쉬 주, 카하마르카 주, 라 리베르타드 주 북부 지역의 심각한 농촌 위기로 인해 도시로의 강력한 이주 물결이 증가했다. 개발의 중심축은 피마 면, 사탕수수, 농장에서 대도시로 이동했다. 또한 침보테는 산타 현의 수출을 위한 자연스러운 해협이었으며, 와일라스 골짜기로 들어가는 출발점이기도 했다.[2]

페루 안초비의 호황은 도시에 부를 가져다주었지만, 무분별한 어업으로 인해 생물량이 고갈되면서 곧 끝났다. 1970년 지진은 어업 시설을 파괴하여 실업빈곤을 야기했다. 이 기간 동안 침보테 교구는 유니세프와 협력하여 다양한 대중 식당을 조직하기 위해 사회 복지 위원회를 설립했다. 1960년대부터 피츠버그 로마 가톨릭 교구는 침보테 선교단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며 침보테 재단을 통해 기금을 모금해왔다.[6]

6. 교통

팬아메리칸 하이웨이(범아메리카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침보테에는 엘 침바도르 버스 터미널이 있어 지역 근로자, 여행자, 방문객을 연결하며, 하루 약 6,000명의 승객을 수송한다. 30개의 버스 운송업체가 국내외 여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침보테 항구는 페루 해안에서 가장 아름답고 안전한 항구 중 하나로 여겨지며, 북쪽의 칼레타 콜로라다만에서 남쪽의 안콘시요까지 12km 뻗어있다.

6. 1. 항공

테니엔테 FAP 하이메 몬트레이 모랄레스 공항이 이 도시를 운행하며, CORPAC S.A.에서 운영한다. 이 공항은 마누엘 프라도 우가르테체 대통령 정부 시절인 1957년에 설립되었다. LC 부스레에서 리마행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6. 2. 철도

우알랑카 철도 노선은 1922년에 건설되었으며, 내륙의 석탄 및 철광 광산을 위한 철도 역할을 한다. 또한 , 면화, 사탕수수, 바나나를 운송하여 강 계곡을 위한 철도 역할도 수행한다.

6. 3. 버스

엘 침바도르 버스 터미널은 침보테의 주요 육상 교통 시설이다. 버스 터미널은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다. 이 터미널은 지역의 근로자, 여행자 및 방문객에게 필수적인 연결 고리가 되었으며, 하루에 거의 6,000명의 승객을 수송한다. 현재 30개의 버스 운송업체가 국내 및 국제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6. 4. 항구

침보테 항구는 일부 사람들에게 페루 해안에서 가장 아름답고 안전한 항구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항구는 북쪽의 칼레타 콜로라다만(붉은 시내만)에서 현재 해양 시설이 있는 곳에서 남쪽의 안콘시요까지 12km 뻗어있다.

7. 관광

침보테는 침보테 만(또는 페롤 만)과 사만코 만, 두 개의 자연적인 만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두 곳 모두 훌륭한 항구 조건을 갖추고 있다. 침보테는 남쪽의 누에보 침보테 구와 연담 도시를 형성한다. 이 지역들 사이의 습지인 우메달레스 데 비야 마리아는 지역 백로 종과 다양한 종의 개구리와 물고기의 서식지이며, 라크라마르카 강에 의해 형성되었다.

도시 남쪽에는 베시케, 로스 치무스, 토르투가스, 칼레타 콜로라다, 엘 도라도 등 많은 해변이 있다. 침보테 근처에는 땅의 흰색에서 이름을 딴 이스라 블랑카(흰 섬)가 있는데, 길이는 약 약 975.36m, 너비는 약 280.42m, 해발 약 62.18m에 달한다.

도시 옆에는 세로 데 라 후벤투드(청소년 산, 세로 데 라 파스(평화 산)라고도 함)가 있다. 1985년부터 이 관광 명소는 매년 수백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으며, 방문객들은 산 정상에서 침보테 만의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관광객들은 아름다운 대리석 조각과 분수가 많은 이스라 블랑카 대로를 방문할 수도 있다.

세로 데 라 후벤투드(청소년 산) 또는 세로 데 라 파스(평화 산) 정상의 십자가


침보테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짧은 관광 코스는 다음과 같다.

  • 침보테 – 카스마 – 세친 – 야우탄
  • 침보테 – 네페냐 – 산 하신토 – 모로 – 짐베
  • 침보테 – 산타 – 우알랑카


이 도시는 흰 살 생선, 문어, 조개, 오징어, , 붉은 고추 등의 재료가 들어가는 인기 있는 페루 요리인 ''세비체''로 유명하다.

8. 문화

침보테는 문학이 가장 발달한 도시로, 페루 내륙의 문화적 중심지로 여겨진다. 이 항구 도시는 상당한 출판물과 주요 상을 받은 뛰어난 작가들을 배출했다. 2008년 소설가 페르난도 쿠에토는 전국 정치 소설 상에서 2위를 차지했고, 시인 데니스 베가는 "페루 젊은 시인" 상을 받았다. 평론가 아우구스토 루비오 아코스타는 페루 언론 협회에서 수여하는 CVR + 5 전국 저널리즘 상을 수상했다. 2021년에는 소설가 존 윤카 크루즈가 페루 독립 200주년 기념 누에보 침보테 시 메달을 받았다.[7]

세비체

8. 1. 음식

침보테 문화의 첫 번째 기층은 북부 해안의 어촌이었으며, 과거에는 모체와 치무르의 영향을 받았고, 이후에는 스페인 문화를 통해 서양의 영향을 받았다. 철강 및 어업 붐 동안, 대규모 이주로 인해 이 나라의 해안과 산악 지역에서 다양한 문화적 양식이 유입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도시는 인기 있는 페루 요리인 ''세비체''로 유명하며, 이 요리의 재료에는 흰살생선, 문어, 조개, 오징어, , 붉은 고추 등이 있다. 태평양과 인접해 있고 어류가 풍부하여 이 도시에서 매우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해산물은 침보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식 종류이다. 또 다른 인기 요리는 매운 기니피그이며, 민속 춤인 마리네라는 와이노와 다른 예술만큼 인기가 있다.

8. 2. 축제

침보테는 연중 두 개의 중요한 축제를 개최한다. 산 페드리토 축제와 성주간이다.

산 페드리토 축제는 16세기에 침보테에 정착한 최초의 어부들이 완차코에서 온 것에서 유래되었다. 어부들의 수호성인인 성 베드로를 기리는 행사로, 6월 23일부터 30일까지 열린다. 주요 축제일은 6월 29일이며, 성인의 이미지를 꺼내 행렬을 벌이고, 배를 타고 만을 순회한다.[7]

8. 3. 스포츠

축구는 침보테에서 주로 행해지는 스포츠이다. 페루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침보테의 축구는 역사적인 호세 갈베스 FC와 라이벌 우니온 후벤투드가 대표하며, 이들은 페루 북부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팀 중 하나로 여겨지고, "침보타나" 팬들에게 가장 전통적이고 인기 있는 클럽이다. 침보테에서 가장 큰 경기장은 3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마누엘 리베라 산체스 경기장으로, 페루에서 가장 큰 경기장 중 하나이다. 2020년에 건설된 마누엘 고메스 아레야노 경기장도 있다.

9. 자매 도시

도시국가
아순시온Asunción|아순시온es (파라과이)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부에노스아이레스es (아르헨티나)
벨루오리존치Belo Horizonte|벨루오리존치pt (브라질)
우앙카요Huancayo|우앙카요es (페루)
요코하마横浜|요코하마일본어 (일본)
낭트Nantes|낭트프랑스어 (프랑스)
마드리드Madrid|마드리드es (스페인)
펜서콜라Pensacola|펜서콜라영어 (미국)
산호세San José|산호세es (코스타리카)
시애틀Seattle|시애틀영어 (미국)
피츠버그Pittsburgh|피츠버그영어 (미국)


참조

[1] 간행물 Perú: Población estimada al 30 de junio y tasa de crecimiento de las ciudades capitales, por departamento, 2011 y 2015 http://proyectos.ine[...]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e Informática 2012-03
[2] 문서
[3] 웹사이트 Chimbote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4-23
[4] 웹사이트 Peru – Chimbote Agglomeration http://www.citypopul[...] 2007-04-20
[5] 웹사이트 New Analysis Identifies World's Largest and Busiest Fishing Ports http://pew.org/22Hub[...] 2016-01-05
[6] 뉴스 Local school children provide help for counterparts in Peru http://www.pittsburg[...] The Tribune-Review Publishing Company 2004-05-05
[7] 웹사이트 Fiesta de San Pedrito http://www.munisanta[...]
[8] 웹사이트 The Chimbote Foundation of Catholic Diocese of Pittsburgh https://chimbotefoun[...]
[9] 간행물 Perú: Población estimada al 30 de junio y tasa de crecimiento de las ciudades capitales, por departamento, 2011 y 2015 http://proyectos.ine[...]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e Informática 2012-03
[10] 웹사이트 Chimbote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アメリカ海洋大気庁|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4-23
[11] 웹인용 Chimbote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