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 필리프 모리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필리프 모리츠는 1756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가, 미학 이론가, 심리학자이다. 그는 배우를 꿈꾸며 방황하다가 베를린 김나지움 교수를 거쳐 이탈리아 여행 중 괴테를 만나 교류했다. 이후 베를린 왕립 예술 아카데미 미학 이론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자전적 소설 《안톤 라이저》를 통해 심리적 사실주의를 보여주었다. 그는 미학 이론, 신화, 언어,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했으며, 특히 미학적으로는 예술의 자율성과 '내적 완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6년 출생 - 윌리엄 고드윈
    윌리엄 고드윈은 영국의 정치 철학자, 소설가, 저널리스트로서 무정부주의와 공리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대표작 『정치적 정의에 관한 탐구』를 통해 근대 무정부주의 사상의 초석을 놓았고, 이성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며 정부와 강제적 권력을 비판했으며, 소설 『캘럽 윌리엄스』로 사회 제도와 권력의 부조리를 고발했고, 작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남편이자 메리 셸리의 아버지이다.
  • 1756년 출생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 1793년 사망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1793년 사망 -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프랑스 왕 루이 16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사치스러운 생활과 정치적 관여로 프랑스 혁명 시기 비난을 받아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나, 최근에는 재평가되고 있다.
  •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평생 그곳에서 연구하며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등을 통해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카를 필리프 모리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칼 필리프 모리츠의 초상
칼 프란츠 야코프 하인리히 슈만(1763-1827)의 초상화
출생1756년 9월 15일
출생지함멜른
사망1793년 6월 26일 (36세)
사망지베를린
국적프로이센
직업작가, 편집자, 에세이스트
학문 분야
영향 받은 인물장자크 루소
카를 빌헬름 라말
영향을 준 인물루트비히 티크
빌헬름 하인리히 바켄로더
노발리스

2. 생애

카를 필리프 모리츠는 1756년 하멜른에서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군대 악사였으며, 가정은 경건주의신앙주의를 신봉했다. 변변찮은 교육을 받은 후 모자 제작자의 도제가 되었으나[2] 혹독한 노동을 견디지 못했다. 후원자의 도움으로 하노버의 김나지움에 입학했으나 중퇴했고, 배우가 되려 했으나 실패했다.[3]

이후 에르푸르트비텐베르크 등지에서 신학을 공부하고(1776-1777), 포츠담의 군인 고아원에서 가르치는 등 여러 곳을 거치며 방황했다.[3] 1778년 베를린에 정착하여 김나지움 교수가 되었고, 작가, 설교자, 시인으로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3] 그는 프리메이슨 활동을 통해 계몽주의 사상가들과 교류했으며, 1782년에는 잉글랜드를 여행하고 『1782년 독일인의 잉글랜드 여행기』를 출간했다. 1783년에는 독일 최초의 심리학 정기 간행물로 평가받는 『학도 및 비학도를 위한 실험 심리학』을 창간하기도 했다.

1786년, 그는 교수직을 그만두고 이탈리아로 떠나 로마에서 괴테를 만나 깊은 우정을 쌓았다.[3] 1788년 독일로 돌아와 바이마르에 머물렀고, 카를 아우구스트 공작의 도움으로 1789년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의 미학 이론 교수로 임명되었다.[3] 그의 제자로는 루트비히 티크, 빌헬름 하인리히 바켄로더, 알렉산더 폰 훔볼트 등이 있으며, 장 파울, 모세 멘델스존, 아스무스 야코프 카르스텐스 등과 교류했다. 1791년에는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초청받고 프로이센 궁정 고문관이 되었다.

독일 최초의 심리 소설로 평가받는 자전적 소설 『안톤 라이저』(1785-1790)를 집필했다. 1792년 크리스티아네 프리데리케 마츠도르프와 결혼했으나, 이듬해 지병인 결핵으로 인한 폐수종이 악화되어 1793년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불우한 유년 시절과 교육 (1756-1776)

모리츠는 1756년 하멜른에서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군대 악사였으며, 가정은 경건주의신앙주의를 깊이 신봉했다. 그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고, 12세에는 브라운슈바이크에서 모자 제작자의 도제가 되었다.[2] 하지만 혹독한 노동 환경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으며, 결국 집으로 돌아왔다.

이후 견신례 때 지역 목사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한 후원자의 도움으로 하노버에 있는 김나지움에 입학할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그는 학교를 중도에 그만두었다. 배우가 되려는 꿈을 안고 콘라트 에크호프가 이끄는 극단에 들어가 고타에서 활동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3] 여러 시도 끝에 1776년, 그는 에르푸르트에서 다시 학업을 시작했다.[3]

2. 2. 방황과 학문적 성취 (1776-1786)

에크호프 극단에서의 실패 후, 모리츠는 1776년 에르푸르트에서 다시 학업을 시작했다.[3] 그러나 그는 학업에 금방 싫증을 느끼고 바르비에 있는 모라비아 교회 공동체(''헤른후터'')에 합류했다.[3] 1777년에는 비텐베르크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3] 이후 포츠담에 있는 군인 고아원에서 잠시 교사로 일하기도 했으나, 이내 다시 방랑 생활을 시작했다.[3]

1778년, 모리츠는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쾰니셰 김나지움(Köllnisches Gymnasium)의 교원이 되었다.[3] 베를린에서 그는 가르치는 일 외에도 작가, 설교자, 시인으로서 점차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3] 1779년부터는 프리메이슨 활동을 통해 베를린의 계몽주의 사상가들과 교류했다. 또한 ''포시셰 차이퉁''(Vossische Zeitung)을 편집하며 프롤레타리아를 위한 활동을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3]

이 시기 모리츠는 학문적으로도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1782년 잉글랜드를 여행하고 돌아와 그 경험을 담은 『1782년 독일인의 잉글랜드 여행기』를 출간했다.[3] 1783년에는 독일 최초의 심리학 정기 간행물로 평가받는 『학도 및 비학도를 위한 실험 심리학』을 창간했다. 1785년부터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소설이자 독일 최초의 심리 소설로 평가받는 『안톤 라이저』의 집필을 시작했다.

그러나 안정적인 생활에 만족하지 못했던 모리츠는 1786년, 베를린 김나지움의 교원직을 무단으로 그만두고 이탈리아로 여행을 떠났다. 이 여행은 그의 삶에 또 다른 전환점이 되었다.

2. 3. 이탈리아 여행과 괴테와의 만남 (1786-1788)

1786년, 모리츠는 베를린의 김나지움(Köllnisches Gymnasiumde) 교수직을 그만두고 이탈리아로 여행을 떠났다.[3] 이 여행 중에 그는 로마에서 마찬가지로 이탈리아를 여행 중이던 괴테를 만나 친교를 맺게 되었다.[3] 1788년 독일로 돌아온 후에는 바이마르에 머물며 괴테의 손님으로 지냈다.[3]

2. 4. 베를린 정착과 학술 활동 (1788-1793)

1786년 이탈리아 여행 중 로마에서 괴테와 만나 친교를 맺었다. 1788년 독일로 돌아온 모리츠는 바이마르에 머물며 카를 아우구스트 공작의 도움을 받아 영어 강의를 할 기회를 얻었다. 카를 아우구스트 공작의 주선으로 1789년에는 베를린 왕립 예술 아카데미의 미학 이론 교수로 임명되었다.[3] 이 시기 그의 제자로는 루트비히 티크, 빌헬름 하인리히 바켄로더, 알렉산더 폰 훔볼트 등이 있었다. 또한 장 파울의 열렬한 팬이었으며, 모세 멘델스존, 아스무스 야코프 카르스텐스와 친분을 맺었다.

1791년에는 프로이센 학술 아카데미 회원으로 초청받았고, 프로이센 궁정 고문관으로도 임명되었다. 1792년에는 당시 15세였던 크리스티아네 프리데리케 마츠도르프(Christiane Friederike Matzdorf)와 결혼했다. 그러나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지병인 결핵으로 인한 폐수종이 악화되어 1793년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5. 결혼과 죽음 (1792-1793)

1792년, 당시 15세였던 크리스티아네 프리데리케 마츠도르프와 결혼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지병인 결핵이 가져온 폐수종으로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주요 사상 및 업적

카를 필리프 모리츠는 계몽주의 시대의 주요 인물이지만, 그의 사상과 작품에는 낭만주의를 예고하는 독창적인 면모가 드러난다. 그의 업적은 미학, 심리학, 문학, 언어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나타난다.

모리츠는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이를 경험적 심리학과 연결 지었다. 그는 예술 작품이 외부 목적에서 벗어나 "그 자체 내에서 완성된 것"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생각은 괴테와의 교류를 통해 발전하여 고전주의 미학에 영향을 준 ''미의 조형적 모방에 관해서''(1788년)와 같은 저술에 잘 나타난다.

심리학 분야에서는 독일어권 최초의 심리학 저널 중 하나인 ''Magazin zur Erfahrungsseelenkunde|경험 심리학 잡지deu''(1783-1793)를 발행하여 경험적 연구를 시도했다. 이러한 심리학적 탐구는 그의 자전적 소설 ''안톤 라이저''(1785-1790)에서 심리적 사실주의를 구현하는 바탕이 되었다.

신화 연구에서는 ''Götterlehre oder mythologische Dichtungen der Alten|신들에 관한 이론 혹은 고대인들의 신화적 해석deu''(1791년)을 통해 그리스 신화를 역사나 우의가 아닌, 자율적 상상력의 산물인 '환상의 언어'로 해석하여 현대적 신화 이해의 기초를 마련했다.

언어학에서는 ''Versuch einer deutschen Prosodie|독일 음조론에 관한 시론deu''(1786년)을 통해 고대 그리스 시와 독일어 시의 운율 차이를 규명하고 독일어 고유의 운율 특성을 밝혀 괴테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모리츠는 미학, 심리학, 문학, 신화학, 언어학 등 다방면에 걸쳐 독창적인 업적을 남기며 계몽주의낭만주의 사이의 중요한 지점에 위치한다.

3. 1. 경험 심리학

모리츠는 Magazin zur Erfahrungsseelenkunde als ein Lesebuch für Gelehrte und Ungelehrte|경험 심리학 잡지, 학자와 일반인을 위한 읽을거리de를 1783년부터 1793년까지 발행했는데, 이는 독일어권에서 최초의 심리학 저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3. 2. 자전적 소설과 심리적 사실주의

카를 필리프 모리츠는 자전적 소설과 심리학적 탐구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4부작 자서전 소설인 ''안톤 라이저''와 두 편의 소설 ''안드레아스 하르트크노프''가 있다. 특히 ''안톤 라이저''는 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여 독일 문학사에서 심리 소설의 중요한 사례로 꼽힌다.

모리츠는 문학 작품 외에도 미학 이론과 심리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미학 저술 중 "Über die bildende Nachahmung des Schönen|미의 조형적 모방에 관하여de"는 괴테가 자신의 ''이탈리아 기행''에서 발췌하여 인용할 정도로 주목받았다.

또한, 모리츠가 편집하고 발행한 ''Magazin zur Erfahrungsseelenkunde als ein Lesebuch für Gelehrte und Ungelehrte|경험 심리학 잡지, 학자와 일반인을 위한 읽을거리de''는 독일어권 최초의 심리학 전문 저널 중 하나로, 경험적 사례 연구를 통해 인간 심리를 탐구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이는 그의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사실주의 경향과도 연결된다.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작품 제목
1780Beiträge zur Philosophie des Lebens aus dem Tagebuch eines Freimäurersde
1781Blunt oder der Gastde
1783–1793Magazin zur Erfahrungsseelenkunde als ein Lesebuch für Gelehrte und Ungelehrtede
1783Reisen eines Deutschen in England im Jahre 1782de (영어: 1782년 한 독일인의 영국 여행기)
1784http://www.fh-augsburg.de/~harsch/germanica/Chronologie/18Jh/Moritz/mor_zeit.html 완벽한 신문의 이상
1785안톤 라이저 (제1부)
1785Andreas Hartknopf, Eine Allegoriede
1786안톤 라이저 (제2부 및 제3부)
1786Denkwürdigkeiten, aufgezeichnet zur Beförderung des Edlen und Schönende
1786Versuch einer deutschen Prosodiede
1786Versuch einer kleinen praktischen Kinderlogikde
1787Fragmente aus dem Tagebuche eines Geistersehersde
1788de
1789Italien und Deutschlandde
1789Monats-Schrift der Akademie der Künste und Mechanischen Wissenschaften zu Berlinde
1789Über eine Schrift des Herrn Schulrath Campe, und über die Rechte des Schriftstellers und Buchhändlersde
1790Andreas Hartknopfs Predigerjahrede
1790안톤 라이저 (제4부)
1790http://www.fh-augsburg.de/~harsch/germanica/Chronologie/18Jh/Moritz/mor_ab00.html 새로운 ABC 책
1791Annalen der Akademie der Künste und Mechanischen Wissenschaftende
1791Anthusa oder Roms Alterthümerde
1791de
1791Grundlinien zu meinen Vorlesungen über den Stylde
1791Italienische Sprachlehre für die Deutschende
1791Über die Vereinfachung der menschlichen Kenntnissede
1792Lesebuch für Kinderde
1792Mythologischer Almanach für Damende
1792Reisen eines Deutschen in Italien in den Jahren 1786 bis 1788de
1792Vom richtigen deutschen Ausdruckde
1793Allgemeiner deutscher Briefstellerde
1793Die große Loge oder der 프리메이슨 mit Waage und Senkbleide
1793–1800Grammatisches Wörterbuchde (4권)
1793Mythologisches Wörterbuch zum Gebrauch für Schulende
1793Reisen eines Deutschen in Italien in den Jahren 1786 bis 1788de
1793Vorbegriffe zu einer Theorie der Ornamentede
1793Vorlesungen über den Stylde (제1부)
1793Die neue Ceciliade (단편)


3. 3. 미학 이론: 예술의 자율성과 '내적 완성'

모리츠 미학 이론의 중요한 특징은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이를 경험적 심리학과 결합시킨 점이다. 그의 핵심 미학 사상은 1788년 발표된 논문 미의 조형적 모방에 관해서에 잘 나타나 있다. 괴테에 따르면 이 글은 로마에서 두 사람이 나눈 대화에서 비롯되었으며, 괴테는 후에 이 글의 일부를 자신의 저서 이탈리아 기행에 수록하기도 했다.

'조형적 모방'이라는 개념은 예술 작품이 단순히 외부 대상을 모방하는 것을 넘어, 창조적인 추체험 속에서 감상될 때 비로소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리츠는 이미 1785년에 아름다운 것은 외부의 목적에서 해방되어 "그 자체 내에서 완성된 것"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예술 작품이 교훈이나 다른 어떤 외부 목적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위해 존재하고 느껴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는 "아름다운 것은 그 자체로 관찰되고 느껴지기를 원할 뿐만 아니라, 창조되기를 원한다"고 표현했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지배적이었던 취향 심리학이나 줄처(Sulzer) 등이 내세운 영향 미학, 즉 예술이 감상자에게 미치는 도덕적, 감정적 효과를 중시하던 경향에 반대되는 입장이었다. 또한 모리츠는 예술을 자연의 모방으로만 간주하는 미메시스 이론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했다. 그는 자연을 단순히 모방해야 할 대상('수동적 자연')으로 보지 않고, 끊임없이 무언가를 생산해내는 '능동적 자연'으로 파악했으며, 예술 역시 이러한 창조적 원리를 따른다고 보았다.

모리츠는 호가트에게서 영향을 받은 '굴절된 선' 또는 '휘어진 선'의 모티프를 자신의 미학 이론과 형이상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했다. 이 곡선은 단순한 장식을 넘어, 유한한 현실 세계를 초월하여 원으로 상징되는 신적인 전체성과 완전성을 암시한다. 이는 예술의 자율성뿐만 아니라, 예술이 형이상학적 총체성을 담아낼 수 있다는 그의 대담한 주장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술은 세계를 인식하는 최고의 기관으로 격상된다. 즉, 자율적인 예술 작품은 외부와의 모든 관계가 중단된 상태에서도 자연 전체를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의 배경에는 라이프니츠단자론(모나드론)과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힘'(vis activa) 개념이 있으며, 이는 이후 고전주의 상징 미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모리츠는 예술을 감상하는 수용적 감수성과 예술을 창조하는 생산적 구성력 모두를 이 '역동적 힘'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그의 상징적 사고는 신들에 관한 이론 혹은 고대인들의 신화적 해석(1791년)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그리스 신화를 단순히 과거의 역사적 기록이나 이성적인 우의(알레고리)로 해석하는 대신, 세계를 표현하고 창조하는 자율적인 상상력의 산물, 즉 '환상의 언어'로 파악했다. 이는 신화에 대한 현대적인 이해 방식의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응용 미학 분야에서는 독일 음조론에 관한 시론(1786년)이 중요한 저작이다. 이 책에서 모리츠는 음절의 길고 짧음(장단)을 기준으로 하는 고대 그리스 시의 운율과, 강하고 약함(강약)의 규칙적 교차를 기반으로 하는 독일어 시의 운율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를 처음으로 명확하게 구분했다. 이를 통해 그는 독일어 시의 독자적인 특성을 강조했으며, 이 연구는 괴테가 자신의 희곡 이피게니아를 운문 형식으로 다시 쓰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3. 4. 신화 이론

모리츠의 상징 사고는 그의 저서 ''신들에 관한 이론 혹은 고대인들의 신화적 해석''(1791년)의 중심 사상을 이룬다. 그는 그리스 신화미학적으로, 다시 말해 세계를 표현하고, 세계를 만들어내는 자율적인 구상력의 산물로, 낡은 역사적 수단으로도 이성주의적 우의적 해석의 수단으로도 적절하게 파악될 수 없는 "환상의 언어"로 파악한다. 그것으로써 모리츠는 신화에 대한 현대적 견해를 선취한다.

3. 5. 언어 및 문체 이론

모리츠의 미학 이론은 괴테와의 교류 속에서 발전했으며, 특히 1788년 발표된 "미의 조형적 모방에 관해서"는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글은 괴테가 자신의 여행기인 ''이탈리아 기행''에 수록하기도 했다. 모리츠는 이 글에서 예술 작품은 창조적인 추체험을 통해서만 제대로 평가될 수 있으며, 아름다운 것은 외부의 목적에서 벗어나 "그 자체 내에서 완성된 것"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시 지배적이던 취향 심리학이나 영향 미학과는 구별되는 관점이었다.

모리츠는 예술이 단순히 자연을 모방하는 것(미메시스)이라는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 아름다움이 형성되는 과정 자체에 주목했다. 그는 자연을 만들어진 '수동적 자연'보다 창조하는 '능동적 자연'으로 보았으며, 예술 작품 역시 이러한 창조적 힘을 반영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은 라이프니츠의 단자론과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힘(vis activa|비스 악티바lat)' 개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후 고전주의 상징 미학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모리츠에게 예술 작품은 그 자체로 완결성을 가지면서도 자연 전체를 반영하는, 최고의 인식 기관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상징적 사고는 그의 저서 "신들에 관한 이론 혹은 고대인들의 신화적 해석"(1791년)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리츠는 그리스 신화를 역사적 사실이나 이성적 우의로 해석하는 대신, 세계를 표현하고 창조하는 자율적인 상상력의 산물, 즉 "환상의 언어"로 파악했다. 이는 신화에 대한 현대적인 관점을 앞서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언어와 문체에 대한 직접적인 탐구는 "독일 음조론에 관한 시론"(1786년)에서 두드러진다. 이 책에서 모리츠는 음절의 길고 짧음(장단)을 기준으로 하는 그리스 시의 운율과 강하고 약함(강약)을 기준으로 하는 독일어 시의 운율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를 밝혀냈다. 이를 통해 그는 독일어 고유의 운율적 특성을 강조했으며, 이 시론은 괴테가 ''이피게니아''를 운문으로 쓰는 데 영향을 주었다.

모리츠는 자전적 소설 ''안톤 라이저''와 ''안드레아스 하르트크노프'' 같은 문학 작품 외에도, 미학과 문체에 관한 다수의 이론적 저술을 남겼다.

4. 영향 및 평가

모리츠미학 이론, 신화, 그리고 문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여를 했으며, 이는 고전주의의 자율성과 낭만주의의 근본 미학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괴테, 쉴러, 슐레겔 형제, 장 파울 등 당대의 주요 문인들이 직간접적으로 그의 영향을 받았다.

생애 마지막 몇 년 동안 모리츠는 상당한 성공과 영향력을 누렸지만, 19세기에 들어서면서 그의 영향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이 시기 모리츠는 그의 저서 《신들에 관한 이론》을 제외하고는 소수의 전문가들에게만 알려진 인물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1887년, 철학자 딜타이가 모리츠의 문학적, 인문학적 가치를 재발견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이후 19세기 말 수십 년 동안 모리츠의 자전적 소설인 안톤 라이저가 다시 인기를 얻으면서, 그의 작품과 사상은 더 넓은 독자층에게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5. 저서 목록

자서전 소설 4부작인 안톤 라이저(''Anton Reiser'')와 소설 ''안드레아스 하르트크노프''(''Andreas Hartknopf'') 외에도, 모리츠는 미학에 관한 여러 이론적 저술을 남겼다. 특히 괴테가 자신의 저서 이탈리아 기행에서 발췌하기도 한 "미의 조형적 모방에 관하여"(''Über die bildende Nachahmung des Schönen'', 1788)가 대표적이다. 또한 그가 발행한 ''경험 심리학 잡지, 학자와 일반인을 위한 읽을거리''(''Magazin zur Erfahrungsseelenkunde als ein Lesebuch für Gelehrte und Ungelehrte'', 1783–1793)는 독일어권 최초의 심리학 저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연도저서명 (원제)
1780Beiträge zur Philosophie des Lebens aus dem Tagebuch eines Freimäurers (어느 프리메이슨의 일기에서 발췌한 삶의 철학에 대한 기고)
1781Blunt oder der Gast (블런트 또는 손님)
1783–1793Magazin zur Erfahrungsseelenkunde als ein Lesebuch für Gelehrte und Ungelehrte (경험 심리학 잡지, 학자와 일반인을 위한 읽을거리)
1783Reisen eines Deutschen in England im Jahre 1782 (1782년 한 독일인의 영국 여행기)
1784[http://www.fh-augsburg.de/~harsch/germanica/Chronologie/18Jh/Moritz/mor_zeit.html Ideal einer vollkommnen Zeitung] (완벽한 신문의 이상)
1785안톤 라이저 (제1부) (Anton Reiser)
1785Andreas Hartknopf, Eine Allegorie (안드레아스 하르트크노프, 알레고리)
1786안톤 라이저 (제2부 및 제3부) (Anton Reiser)
1786Denkwürdigkeiten, aufgezeichnet zur Beförderung des Edlen und Schönen (고귀하고 아름다운 것을 장려하기 위해 기록된 기념할 만한 것들)
1786Versuch einer deutschen Prosodie (독일 운율론 시론)
1786Versuch einer kleinen praktischen Kinderlogik (어린이를 위한 작은 실천 논리학 시론)
1787Fragmente aus dem Tagebuche eines Geistersehers (어느 영매의 일기에서 발췌한 단편)
1788[https://web.archive.org/web/20071009075225/http://www.fh-augsburg.de/~harsch/germanica/Chronologie/18Jh/Moritz/mor_nac0.html Über die bildende Nachahmung des Schönen] (미의 조형적 모방에 관하여)
1789Italien und Deutschland (이탈리아와 독일)
1789Monats-Schrift der Akademie der Künste und Mechanischen Wissenschaften zu Berlin (베를린 예술 및 기계 과학 아카데미 월간지)
1789Über eine Schrift des Herrn Schulrath Campe, und über die Rechte des Schriftstellers und Buchhändlers (캄페 학교 고문의 저술에 관하여, 그리고 작가와 서적상의 권리에 관하여)
1790Andreas Hartknopfs Predigerjahre (안드레아스 하르트크노프의 설교자 시절)
1790안톤 라이저 (제4부) (Anton Reiser)
1790[http://www.fh-augsburg.de/~harsch/germanica/Chronologie/18Jh/Moritz/mor_ab00.html Neues ABC Buch] (새로운 ABC 책)
1791Annalen der Akademie der Künste und Mechanischen Wissenschaften (예술 및 기계 과학 아카데미 연보)
1791Anthusa oder Roms Alterthümer (안투사 또는 로마의 고대 유물)
1791[https://web.archive.org/web/20051223223800/http://gutenberg.spiegel.de/moritz/goetterl/goetterl.htm Götterlehre oder mythologische Dichtungen der Alten] (신화학 또는 고대 신화적 시)
1791Grundlinien zu meinen Vorlesungen über den Styl (스타일에 관한 나의 강의를 위한 기본 개요)
1791Italienische Sprachlehre für die Deutschen (독일인을 위한 이탈리아어 문법)
1791Über die Vereinfachung der menschlichen Kenntnisse (인간 지식의 단순화에 관하여)
1792Lesebuch für Kinder (어린이를 위한 독본)
1792Mythologischer Almanach für Damen (여성을 위한 신화 연감)
1792Reisen eines Deutschen in Italien in den Jahren 1786 bis 1788 (1786년부터 1788년까지 한 독일인의 이탈리아 여행기)
1792Vom richtigen deutschen Ausdruck (올바른 독일어 표현에 관하여)
1793Allgemeiner deutscher Briefsteller (일반 독일 서한 작성법)
1793Die große Loge oder der 프리메이슨 mit Waage und Senkblei (위대한 로지 또는 저울과 다림줄을 든 프리메이슨)
1793–1800Grammatisches Wörterbuch (문법 사전, 4권)
1793Mythologisches Wörterbuch zum Gebrauch für Schulen (학교용 신화 사전)
1793Reisen eines Deutschen in Italien in den Jahren 1786 bis 1788 (1786년부터 1788년까지 한 독일인의 이탈리아 여행기)
1793Vorbegriffe zu einer Theorie der Ornamente (장식 이론을 위한 예비 개념)
1793Vorlesungen über den Styl (스타일에 관한 강의, 제1부)
1793Die neue Cecilia (새로운 체칠리아, 단편)


5. 1. 한국어로 번역된 저서


  • 칼 필리프 모리츠, 장희권 옮김, 안톤 라이저,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3.

참조

[1] 간행물 Moritz, Karl Philipp
[2] 간행물 Moritz, Karl Philipp
[3] 간행물 Moritz, Karl Philip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