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미야네치포딜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우크라이나 서부 흐멜니츠키주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공존해 온 곳이다. '돌'을 의미하는 고대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지명은, 1793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062년 키예프 루스의 도시로 처음 언급된 이 도시는 몽골 침략, 오스만 제국 통치, 폴란드와 러시아 제국,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경제, 문화, 교육, 관광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건축물과 연례 축제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고대 성, 성 베드로와 바오로 대성당, 성 삼위일체 교회 등이 있으며, 열기구 축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흐멜니츠키주의 도시 - 이자슬라우
이자슬라우는 우크라이나 흐멜니츠키주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 사건과 인구 변화를 겪었으며, 종교 및 건축 유적지와 저명한 인물들을 보유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이르핀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부차구에 위치한 이르핀은 1899년 철도 건설 중 형성되어 이르핀 강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현재는 산업, 농업, 휴양 시설과 대학교가 있는 도시이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하르키우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주요 도시이자 하르키우주의 중심지로서, 코사크 요새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지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산업, 과학, 문화 중심지이자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카미야네치포딜스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우크라이나 |
주 | 흐멜니츠키주 |
라이온 (지구)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라이온 |
흐로마다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도시 흐로마다 |
정치 | |
시장 | 미하일로 포시트코 |
역사 | |
최초 언급 | 1062년 |
도시 권리 획득 | 1432년 |
지리 | |
면적 | 27,871 km² |
좌표 | 48°41′00″N 26°35′00″E |
인구 | |
2022년 추정 | 96,896명 |
시간대 | |
시간대 | EET (UTC+2) |
하계 시간 | EEST (UTC+3)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32300—32318 |
지역 번호 | +380-3849 |
2. 명칭
원래 '''카미아네츠'''로 알려졌던 이 도시는, 폴란드 분할 이후 러시아 제국에 의해 1795년에 점령된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4] 도시 이름의 첫 번째 부분인 '카미야네츠'는 고대 동슬라브어 kaminorv (камiньuk) 또는 kamenorv에서 유래되었으며, '돌'을 의미한다. 이름의 두 번째 부분인 '포딜스키'는 카미야네츠포딜스키가 역사적 수도로 여겨지는 포돌리아 (Подíлляuk) 지역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시 이름은 문자 그대로 '포돌리아의 돌'을 의미한다.[3]
흐멜니츠키 봉기 (1648–58) 동안, 카미야네츠-포딜스키의 유대인 공동체는 한편으로는 흐멜니츠키의 코사크족에게, 다른 한편으로는 크림 타타르족의 공격(주된 목적은 몸값 강탈)으로 많은 고통을 겪었다.[57]
다른 언어로는 Kamieniec Podolskipl, Camenița Podolieiro, Cameneciumla, Kamaniçe/كامانىچهota, Kamenyeck-Podolszkhu, Komenets, Komenits/קאָמענעץ ,קאמיניץyi, Kamenets-Podolskiy/Каменец-Подольскийru 등으로 불린다.
일부 역사가들은 카미야네츠포딜스키가 다키아인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주장한다.[84] 이들은 건설자들이 정착지를 페트리다바(Petridava) 또는 클레피다바(Klepidava)라고 불렀다고 말하며, 이는 그리스어 페트라(Petra) 또는 라틴어 라피스(Lapis, '돌')와 다키아어 다바('도시')가 합쳐진 것이다.[84][85]
3. 역사
18세기 중반경,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당시 탈무드 유대인과 프랑크파 사이에서 격렬하게 벌어진 갈등의 중심지로 유명해졌다. 이 도시는 프랑크파의 편을 든 뎀보프스키 주교의 거주지였으며, 1757년에는 공공 장소에서 탈무드 소각을 명령했다.[57]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부유한 요제프 요젤 귄츠부르크의 거주지이기도 했다. 19세기 후반 동안, 많은 카미야네츠-포딜스키 유대인들이 미국으로, 특히 뉴욕시로 이주하여 여러 단체를 조직했다.[57]
나치 독일과 소련 간의 전쟁 초기 단계에서 자행된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홀로코스트 대량 학살 중 하나가 1941년 8월 27~28일 카미야네츠-포딜스키에서 발생했다. 이 학살은 질서 경찰의 경찰대대 320이 프리드리히 예켈른의 ''아인자츠그루펜'', 헝가리 군인, 그리고 우크라이나 보조 경찰과 함께 수행했다.[58][59] 나치 독일 보고서에 따르면, 이틀 동안 카미야네츠-포딜스키 게토에서 총 23,600명의 유대인이 살해되었으며, 여기에는 헝가리에서 추방된 16,000명이 포함되었다.[60] 홀로코스트 역사가들이 지적했듯이, 이 학살은 몇 달 후 반제 회의에서 나치에 의해 구상된 최종 해결의 서곡을 이루었다. 목격자들은 범인들이 지역 주민들에게 자신들의 행위를 숨기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61]
3. 1. 고대
일부 역사가들은 현재의 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에 살았던 고대 다키아인들이 이곳에 도시를 건설했다고 여기는데,[6] 건립자들이 이 정착지를 ''페트리다바''(Petridava) 또는 ''클레피다바''(Klepidava)라고 이름 지었다고 기록한다. 이는 그리스어 단어 ''페트라''(petra) 또는 라틴어 ''라피스''(lapis) '암석'과 다키아어 ''다바''(dava) '도시'에서 유래했다.[6][7]
현재의 카미야네츠포딜스키에 해당하는 취락은 1062년 키예프 루스의 취락으로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1241년, 이 일대는 몽골의 루스 침공으로 파괴되었다.
흐멜니츠키 봉기 (1648–58) 동안, 카미야네츠-포딜스키의 유대인 공동체는 흐멜니츠키의 코사크족과 크림 타타르족의 공격으로 많은 고통을 겪었다.[57] 18세기 중반경,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프랑크파와 탈무드 유대인 사이의 갈등 중심지였다. 이 도시는 프랑크파를 지지한 뎀보프스키 주교의 거주지였으며, 1757년에는 탈무드 소각을 명령했다.[57] 19세기 후반, 많은 카미야네츠-포딜스키 유대인들이 미국 뉴욕시로 이주하여 여러 단체를 조직했다.[57]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1941년 8월 27~28일 카미야네츠-포딜스키에서 홀로코스트 대량 학살이 발생했다. 이 학살은 질서 경찰의 경찰대대 320이 프리드리히 예켈른의 ''아인자츠그루펜'', 헝가리 군인, 우크라이나 보조 경찰과 함께 수행했다.[58][59] 나치 독일 보고서에 따르면, 카미야네츠-포딜스키 게토에서 총 23,600명의 유대인이 살해되었으며, 여기에는 헝가리에서 추방된 16,000명이 포함되었다.[60]
3. 2. 중세
현대 카미야네츠-포돌스키는 1062년에 키예프 루스의 도시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테레보블리아, 할리치 공국[8],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에 속했다.[9] 1241년에는 몽골 침략자에 의해 파괴되었다.[10]
1352년,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3세에게 상속되어 폴란드에 병합되었다.[80] 1374년에 마그데부르크 법을 부여받았다. 1370년에는 도미니코회 수도회가, 곧이어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이 설립되었고, 이후 예수회 (1608), 맨발 가르멜회 (1623), 삼위일체회 (1699) 등 다른 수도회 수도사들이 이주해 왔다.[11] 1378년에는 로마 가톨릭 교구의 소재지가 되었다. 1432년 지그문트 1세는 카미에니에츠 포돌스키에 도시 권리를 부여했다. 이곳은 중요한 폴란드의 왕실 도시였다.
1430년에 이 지역은 폴란드 왕국의 영토로 최종 결정되었고, 1432년에 새롭게 설치된 포돌레주의 주도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로 명명되어 요새 도시화되었으며, 마그데부르크법이 적용되어 문민 및 군사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434년에는 포돌리아 보이보드십의 수도가 되었고 지방 민간 및 군사 행정의 소재지가 되었다.[10] 고대 성은 폴란드 왕들이 폴란드 왕관을 오스만 제국과 타타르족의 침략으로부터 남서쪽에서 방어하기 위해 재건 및 대폭 확장하여 "폴란드의 관문"이라고 불렸다.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투스 왕은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시 주민의 부역을 면제하고, 오로지 소 거래 시장 운영에 종사하는 것을 허가했다. 1510년에는 폴란드와 몰다비아 공국 간 평화 조약이 이 도시에서 체결되었다.
폴란드 자유 선거 기간 동안, 카미야네츠-포돌스키는 폴란드의 가장 영향력 있는 도시 중 하나로서 바르샤바, 크라쿠프, 포즈난, 그단스크, 르부프, 빌뉴스, 루블린, 토룬, 엘블롱크와 함께 투표권을 누렸다.
17세기 전반에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시의 인구는 3000명에서 1만 명으로 증가했다. 시에는 400명에 가까운 장인들에 의해 16개의 길드가 형성되었다. 매년 3개의 성대한 시장이 개최되어 매우 번성했다. 이 시대에는 강을 따라 요새의 방어선이 연장되어 여러 번 있었던 오스만 제국군의 공격을 모두 격퇴하고, 폴란드의 동부 변경 지역에서 무적의 방어력을 자랑했다. 1617년에는 새로운 성이 조금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지만, 이 성은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견디지 못했다.
흐멜니츠키 봉기 (1648–58) 동안, 카미야네츠-포딜스키의 유대인 공동체는 흐멜니츠키의 코사크족과 크림 타타르족의 공격으로 많은 고통을 겪었다.[57] 그러나 반란군은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 공격에 성공할 정도의 능력이 없었고, 여러 번 공격을 시도한 후 포기하고 시의 요새 선에는 접근하지 않았다. 흐멜니츠키는 러시아 차르국 군을 데리고 1655년에도 시를 공격할 계획이었으나, 3주 동안 9차례의 돌격을 시도했으나 모두 격퇴되었다.
1672년, 오스만 제국이 10만에서 30만으로 추정되는 대군으로 시를 공격하여, 프랑스제 대량의 화기를 사용하여 함락에 성공했다. 폴란드 군 사령관은 철수할 때 시의 화약고를 폭파했는데, 이 굉음은 너무 커서 공화국 전역에 울려 퍼졌다는 전설까지 생겼다. 1672년의 이후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는 사실상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한 지방인 포돌리아의 수도가 되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대한 터키의 위협에 맞서 반격하려 얀 3세 소비에스키는 근처의 (성 삼위일체 참호)에 요새를 건설했다.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는 아우구스트 2세 치하의 폴란드로 반환되었다. 요새는 계속 확장되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 최강의 요새로 간주되었다. 요새의 보존된 폐허에는 다양한 포위전에서 적에게서 날아온 철제 포탄이 지금도 남아 있다.
18세기에 들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급속히 쇠퇴했지만, 마지막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이 된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는 네덜란드에서 폴란드로 귀화한 건축가이자 폴란드 왕국 육군 중장인 얀 비테에게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의 요새를 전면 정비하도록 명령했다.
3. 3. 오스만 제국 통치 (1672-1699)
1672년 부차흐 조약 이후, 카미야네츠-포돌스키는 잠시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포돌리야 에얄레트의 수도가 되었다.[12] 이 에얄레트는 크로포토바, 사타니우, 이스칼라, 키타이호라드/Китайгород (Кам'янець-Подільський район)uk, 크리브체, 즈반/Жван (село)uk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이즈반"으로 알려짐) 및 미하일로브의 나히야를 포함했다.[1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대한 터키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는 인근에 요새 오코피 시비엔테이 트로이치(현재 오코피, 테르노필주; "성 삼위일체의 참호"라는 뜻)를 건설했다.[12] 1674년, 당시까지 폴란드 아르메니아인의 주요 아르메니아 공동체 중 하나를 이루던 현지 아르메니아인들이 오스만인에 의해 추방되었다.[13] 대부분은 약 3년 동안의 발칸 반도에서의 추방 생활 이후, 폴란드에 남겨진 영토, 주로 르비우와 스타니스와부프로 이동했다.[14]
1687년, 폴란드는 카미아네츠-포돌스키와 포돌리아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으려 시도했으며, 제임스 루이 소비에스키 공이 이끄는 폴란드군이 요새를 성공적으로 포위하지 못했다.
3. 4.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1699-1793)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카미야네치포딜스키는 아우구스투스 2세 국왕 치하의 폴란드에 반환되었다. 요새는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로 여겨졌다. 요새의 보존된 폐허에는 여러 차례의 포위 공격으로 박힌 철제 포탄이 여전히 남아 있다.
흐멜니츠키 봉기 (1648–58) 동안, 카미야네츠-포딜스키의 유대인 공동체는 흐멜니츠키의 코사크족과 크림 타타르족에게 많은 고통을 겪었다.[57] 18세기 중반,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탈무드 유대인과 프랑크파 사이의 갈등의 중심지였다.[57] 1757년, 미코와이 뎀보프스키 주교는 프랑크주의자의 사주를 받아 공개 토론회를 열고, 탈무드 사본을 압수하여 불태우도록 명령했다.[15]
19세기 후반, 많은 카미야네츠-포딜스키 유대인들이 미국, 특히 뉴욕시로 이주하여 여러 단체를 조직했다.[57]
3. 5. 러시아 제국 통치 (1793-1915)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 이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포돌리아 현의 주도가 되었다. 러시아 차르 표트르 1세는 요새를 두 번 방문하여 방어 시설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81] 탑 중 하나는 19세기 초 농민 반란 지도자 우스팀 카르멜류크가 감옥으로 사용되었으며, 그는 그곳에서 세 번이나 탈출했다.[81] 1798년, 폴란드 귀족 안토니 지미예프스키가 이 도시에 폴란드 극장을 설립했는데, 이는 가장 오래된 폴란드 극장 중 하나였다. 1867년 카미야네츠-포돌스키 로마 가톨릭 교구가 러시아 당국에 의해 폐지되었다가 1918년 교황 베네딕토 15세에 의해 재설립되었다.
1897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미야네츠-포돌스키는 인구 35,934명으로 포돌리아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 1906년에는 지역 사회 "프로스비타"가 도시에 설립되어 우크라이나어 연구가 초등학교와 교구 학교에 도입되었다.[17] 1910년 7월 1일, 도시 주민의 48% 이상이 유대인이었으며, 이 도시는 러시아 제국이 유대인을 위해 지정한 정착 구역에 위치해 있었다. 1914년, 직접적인 철도 노선이 이 도시와 프로스쿠로프를 연결했다.
19세기 후반, 많은 카미야네츠-포딜스키 유대인들이 미국, 특히 뉴욕시로 이주하여 여러 단체를 조직했다.[57]
3. 6. 제1차 세계 대전과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중, 카미야네치포딜스키는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81]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된 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국, 디렉토리야에 잠시 병합되었다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18]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시기에는 키이우가 러시아 공산군에 점령되자 사실상 우크라이나의 수도 역할을 수행했다.[19][18]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중에는 1919년 11월 16일부터 1920년 7월 12일까지 폴란드군에 점령되어 제2 폴란드 공화국 포돌리아 구의 수도 역할을 수행했다. 1920년 7월, 카미야네치포딜스키 인근 벨리키 조줄린치 마을과 주변 마을에서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군대 (UPR) 부대와 붉은 군대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20] 붉은 군대에 합류를 거부한 UPR 포로 군인들은 처형되었으며,[20] 벨리키 조줄린치에는 26명의 UPR 군인들의 집단 무덤이 있다.[20]
3. 7.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소련의 폴란드 침공 이후, 이 주의 행정 중심지는 카미야네츠포딜스키에서 흐멜니츠키로 옮겨졌다.[82]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바르바로사 작전 중이던 1941년 7월 11일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30] 1941년 8월 27일~28일 카미야네츠포딜스키 학살에서 독일, 우크라이나, 헝가리 경찰은 유대인 23,600명을 학살했다.[58][59][60] 이 학살은 나치의 최종 해결의 서곡이었다.[61]
1944년 3월 26일, 이 도시는 카미야네츠포딜스키 포위전에서 독일 점령 이후 붉은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31] 소련군 점령 직후, 징집된 많은 주민들이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에서 사망했는데, 이는 훈련 부족과 스탈린 정부에 대한 불충성에 대한 보복으로 여겨진다.[31]
OUN의 구조적 네트워크가 UPA-사우스에 속한 카미야네츠포딜스키 지역에서 기능했다.[32] 독일 점령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 민족 세력은 지방 자치 기구를 구성했고, 흐리호리 키베츠가 지방 행정부장으로 임명되었다.[33] 1942년 1월, 나치는 카미야네츠포딜스키에서 반데라 출신 사람들을 대량 체포하고 처형했으며, 150명 이상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이 총살당했다. 1944-45년, 카미야네치치나 지역에서는 UPA 부대가 활동했다.[34]
3. 8. 독립 우크라이나
1990년 7월 16일, 새로운 우크라이나 의회는 주권 선언을 채택했다.[36][37] 1991년 1월 16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소련 점령 하에 해산되었던 카미야네치-포딜스키 로마 가톨릭 교구를 재건했다.
1991년,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함에 따라 카미야네츠-포돌스키는 우크라이나 영토가 되었다.[38][39][40] 이후, 카미야네치포딜스키는 독립 우크라이나의 중요한 경제, 문화, 교육 및 관광 중심지로 자리잡았다.
2004년, 이 도시의 주민들은 오렌지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르네상스 광장에서 집회를 열었다.[41]
2013년 12월 1일, 이반 오히옌코 국립 대학교, 포돌리아 주립 농업 기술 대학교 및 기타 교육 기관의 학생들이 도시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다. 그들은 거리를 행진하며 시의회 근처에 비체를 형성하여 당국의 자의성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42] 이후, 도시의 많은 주민들이 매일 시의회 아래에 모여 정권에 대한 항의를 표하고 유로마이단을 지지하며 밤샘 시위를 벌였다. 2014년 1월 26일에 가장 많은 인원이 모여 약 2,000명이 참여했다.[44][45][46]
2015년, 도시 중심부에 EU 국가들의 국기가 게양된 유럽 광장의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는 도시와 우크라이나의 유럽적 선택을 확인하는 것이 될 것이다.[47] 기준으로,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빈니차와 흐멜니츠키 다음으로 포돌리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였다.
2020년 7월 18일까지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편입되었으며, 카미야네츠-포딜스키 라욘에 속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카미야네츠-포딜스키 라욘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2020년 7월, 흐멜니츠키주의 라욘 수를 3개로 줄이는 우크라이나의 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카미야네츠-포딜스키시는 카미야네츠-포딜스키 라욘으로 병합되었다.[48][49][50]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2022년 2월 24일 아침 로켓 공격과 함께 시작되었다.
EU 프로그램인 경제 성장을 위한 시장(Mayors for Economic Growth)과 공공 단체인 에이도스: 정치 연구 및 분석 센터(Eidos: Centre for Political Studies and Analysis)와의 협력을 통해, 시는 중소기업 지원, 세미나 개최, 비즈니스 교육 및 제품 홍보를 위해 180만 흐리우냐의 보조금을 받았다.[51]
4. 인구
2001년 제1차 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도시의 인구는 99,610명이었다.[63]
'''민족 구성'''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미야네치포딜스키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69]
'''언어'''
카미야네치포딜스키는 서남부군에 속하는 볼린-포돌리아 방언 그룹의 포돌리아 방언 지역에 위치한다.[64][65][66] 드네스트르 우크라이나 방언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서포돌리아 방언과 포쿠티아-부코비나 방언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남포돌리아 방언이 흔히 사용된다. 카미야네치-포돌스키는 "우크라이나 언어 지도"에 포함되어 있다.[67]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른 모국어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68]
언어 | 비율 |
---|---|
우크라이나어 | 91.22% |
러시아어 | 7.08% |
폴란드어 | 0.1% |
이디시어 | 0.02% |
독일어 | 0.01% |
기타/미정 | 1.57% |
4. 1. 민족 구성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미야네치포딜스키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69]
4. 2. 언어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8ef560_387653a0.png|thumb|250px|'''우크라이나 방언'''과 하위 방언 지도 (2005년).]]
카미야네치포딜스키는 서남부군에 속하는 볼린-포돌리아 방언 그룹의 포돌리아 방언 지역에 위치한다.[64][65][66] 드네스트르 우크라이나 방언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서포돌리아 방언과 포쿠티아-부코비나 방언과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남포돌리아 방언이 흔히 사용된다. 카미야네치-포돌스키는 "우크라이나 언어 지도"에 포함되어 있다.[67]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른 모국어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68]
언어 | 비율 |
---|---|
우크라이나어 | 91.22% |
러시아어 | 7.08% |
폴란드어 | 0.1% |
이디시어 | 0.02% |
독일어 | 0.01% |
기타/미정 | 1.57% |
5. 지리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포돌리아 서부, 흐멜니츠키주 남부에 위치한다. 이 도시는 토브트리 (포딜스키 토브트리 국립 자연 공원 참조)로 알려진 고지대에 위치하며, 협곡과 같은 지형을 형성하는 포돌리아 고지대의 일부이다.
드네스트르강의 지류인 스모트리치강이 도시를 관통하여 흐른다. 도시의 총 면적은 27.84제곱킬로미터이다.[5]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주의 행정 중심지인 흐멜니츠키에서 약 101km 떨어져 있으며,[5] 드네스트르강 건너 남서쪽으로 인접한 체르니우치주의 행정 중심지인 체르니우치에서 88km 떨어져 있다.
5. 1. 기후
카미야네치포딜스키는 여름이 따뜻한 온대 습윤 기후에 위치해 있다.[72] 1981년부터 2010년까지 관측된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0.3 | 1.4 | 7.0 | 14.9 | 21.2 | 23.7 | 25.7 | 25.2 | 19.9 | 13.7 | 6.0 | 0.6 | 13.3 |
평균 기온 (°C) | -3.3 | -2.2 | 2.4 | 9.2 | 15.1 | 17.9 | 19.8 | 19.0 | 14.1 | 8.6 | 2.7 | -2.1 | 8.4 |
평균 최저 기온 (°C) | -6.4 | -5.5 | -1.7 | 3.9 | 9.3 | 12.4 | 14.2 | 13.4 | 9.1 | 4.3 | -0.3 | -5.0 | 4.0 |
강수량 (mm) | 31.2 | 34.7 | 30.9 | 46.3 | 64.3 | 92.6 | 96.8 | 61.1 | 54.1 | 38.5 | 37.9 | 37.5 | 625.9 |
강수 일수 (≥ 1.0 mm) | 7.7 | 7.6 | 7.2 | 7.6 | 9.2 | 9.8 | 10.3 | 7.5 | 7.5 | 6.6 | 7.0 | 8.1 | 96.1 |
상대 습도 (%) | 85.3 | 82.9 | 76.6 | 68.0 | 67.5 | 72.7 | 73.5 | 73.6 | 77.3 | 80.7 | 85.3 | 86.4 | 77.5 |
월간 일조 시간 | 39.2 | 64.3 | 121.2 | 168.1 | 241.9 | 237.5 | 241.4 | 234.6 | 162.7 | 103.8 | 48.9 | 62.7 | 1,696.3 |
6. 문화
카미야네츠-포돌스키에는 우크라이나의 주요 종교 단체가 모두 있으며, 카미야네츠 주민 상당수는 가톨릭 신자이고 많은 수는 정교회 신자이다.[70] 역사적으로 다양한 가톨릭 수도회가 카미야네츠-포돌스키에서 활동해 왔다. 도미니코회, 프란체스코회, 예수회, 카푸친회, 맨발의 가르멜회, 성 요한 병원 수도회, 삼위일체회가 있었으며, 2023년 현재 이 도시에는 바오로회와 그리스도교 사회가 있다.[71]
6. 1. 주요 관광 명소
카미야네치포딜스키에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여 독특한 건축물들이 남아있다. 폴란드인, 루스인, 아르메니아인 시장 광장이 그 예시이다.[10] 성 베드로와 바오로 대성당, 성 삼위일체 교회, 폴란드 시청, 수많은 요새 등 도시 중심부의 건축물과 고대 성은 유명한 관광 명소이다.

스모트리치 강의 협곡에서 열리는 열기구 활동 또한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요소 중 하나이다. 5월과 10월에는 열기구 축제가 열린다.[73]
1990년대 후반부터 카미야네치포딜스키는 서부 우크라이나의 주요 관광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했다. 연례 코사크 게임(''Kozatski zabavy'')과 축제는 우크라이나 오픈 열기구 경주 챔피언십, 자동차 경주, 다양한 음악, 예술 및 드라마 활동을 포함하며, 약 14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킨다.[80]
7. 자매 도시
카미야네츠포딜스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74][75][76][77]
도시 | 국가 |
---|---|
돌니쿠빈 | 돌니 쿠빈/Dolný Kubínsk |
칼리시 | 칼리시/Kaliszpl |
잘러우 | 잘러우/Zalăuro |
브랜트포드 | 브랜트포드/Brantford영어 |
비스바덴 | 비스바덴/Wiesbadende |
에슬링겐암네카어 | 에슬링겐 암 네카어/Esslingen am Neckarde |
쿠트나호라 | 쿠트나 호라/Kutná Horacs |
마리에스타드 | 마리에스타드/Mariestadsv |
헤를융가 | 헤를융가/Herrljungasv |
타르고베크 | 타르구베크/Targówekpl |
크라쿠프 | 크라쿠프/Krakówpl |
그워구프 | 그워구프/Głogówpl |
프셰미실 | 프셰미실/Przemyślpl |
사노크 | 사노크/Sanokpl |
그니에프 | 그니에프/Gniewpl |
자비에르체 | 자비에르체/Zawierciepl |
루블린 | 루블린/Lublinpl |
에치미아진 | 에치미아진/Էջմիածինhy |
우크메르게 | 우크메르게/Ukmergėlt |
에디네츠 | 에디네츠/Edineţro |
폰테람브로 | 폰테 람브로/Ponte Lambroit |
쑤저우 | 쑤저우/苏州중국어 |
폴라츠크 | 폴라츠크/Полацкbe |
미추린스크 | 미추린스크/Мичу́ринскru |
8. 저명한 출신 인물
카미야네치포딜스키 출신 및 거주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미하일 알페린(1956–2018): 우크라이나 재즈 피아니스트.

- 마리아 베를린스카(1988년 출생): 우크라이나 군사 자원 봉사자이자 여성 권리 옹호자.

- 안드리 본다르(1974년 출생): 우크라이나 시인, 번역가 및 작가.
- 안드레이 본다렌코(1987년 출생): 우크라이나 오페라 바리톤.
- 미하일로 드라파티(1982년 출생): 우크라이나 육군 사령관으로 복무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군 장교.
- 볼로디미르 시친스키(1894–1962): 우크라이나 망명 건축가, 그래픽 아티스트, 미술 사학자.
- 유힘 시친스키(1859–1937): 우크라이나 역사학자, 고고학자, 포돌리아의 문화 및 공공 인물, 정교회 사제. 이곳에서 거주하며 활동했다.

- 이호르 마르추크(1969년 출생): 우크라이나 기업가이자 정치인.
- 세르히 하말리(1979년 출생): 우크라이나 정치가이자 기업가, 전 흐멜니츠키주 주지사.
- 빅토르 데이슨(1962년 출생): 우크라이나 추상 표현주의 화가.
- 미콜라 바잔(1904–1983): 우크라이나 작가, 시인, 정치 및 공공 인물.
- 니콜라이 체보타레프(1894–1947): 러시아 및 소련의 수학자. 체보타레프 밀도 정리로 유명하다.
- 우스팀 카르말리우크(1787–1835): 러시아 행정에 맞서 싸운 우크라이나의 무법자이자 우크라이나 서민들에게 민속 영웅. 카미아네츠-포딜스키에서 제정 러시아 군대에 징집되어 1812년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했으나 탈출, 반군을 조직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처벌받았다.
- 모이제이 가마르니크(1936년 출생): 소련 및 우크라이나 물리학자 및 발명가.
-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1866–1934): 우크라이나 학자, 정치인, 역사학자, 정치가. 20세기 초 우크라이나 민족 부흥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이곳에서 거주하며 대학에서 일했다.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1910–1988): 러시아 및 소련 해군 제독.
- 일라리온 오히엔코(1882–1972): 우크라이나 정교회 성직자, 언어학자, 교회 역사가, 우크라이나 문화사학자. 1919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UPR)의 교육부 장관이자 카미아네츠-포딜스키 국립 우크라이나 대학교의 초대 총장이었다.

- 블라디슬라프 바나트(2002년 출생): 디나모 키예프의 공격수로 뛰는 우크라이나 프로 축구 선수.
- 블라디슬라프 하멜류크(1998년 출생): 우크라이나 프로 축구 선수.
- 바실 마트비추크(1982년 출생): 우크라이나의 장거리 달리기 선수.
- 보리스 술코프스키(1881–?): UNR군의 우크라이나 대령.
- 바실 마주르-랴코프스키(1889–1949): UNR군의 군사 하사관.
- 마르코 마주렌코(1871–1929):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군대의 상병.
- 데이비드 귄즈버그(귄즈버그 남작, 1857–1910): 러시아 오리엔탈리스트이자 유대인 공동체 지도자.
- 이스라엘 J. 호흐만(1872–1940): 미국 클레즈머 바이올리니스트 및 음반 아티스트.
- 세르기우스 잉거만(1868–1943): 미국 의사이자 사회주의자.
- 요제프 칼렌바흐(1861–1929): 폴란드 문학 역사가.
- 유리 히미치(1928–2003): 우크라이나 화가.
- 옐리자베타 힐야제트디노바(1994년 출생): 우크라이나 핸드볼 선수.
- 안드리 클란차(1980년 출생): 심장 외과 의사, 과학자, 우크라이나 명예 의사, 공공 행정학 박사.
- 스타니스와프 코니에폴스키(1590 또는 1594–1646): 폴란드 군사 지휘관.
- 예브헨 페트루셰비치(1863–1940): 우크라이나 변호사, 정치인,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대통령. WUPR 정부가 카미아네츠-포딜스키에 정착했을 때 이곳에서 거주하며 활동했다.
- 미론 타르나우스키(1869–1938): 우크라이나 갈리시아 군대,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군대의 최고 사령관.
- 마르크 코피트만(1929–2011): 소련-이스라엘 작곡가, 음악학자 및 교육자.
- 머레이 코먼(1902–1961): 미국 홍보 사진 작가.
- 라이브 크비트코(1890–1952): 이디시 시인, 아동 시인, 유대 반파시스트 위원회 회원.
- 미콜라 레온토비치(1877–1921): 우크라이나 작곡가. 시립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졸업했다.

- 이리나 메를레니(1982년 출생): 여자 레슬러.
- 알렉산데르 미하오프스키(1851–1938): 폴란드 피아니스트.
- 미에치스와프 미츠키에비치(1879–1939년 이전): 우크라이나 및 폴란드 정치인.
- 비탈리 미하일로프스키(1974년 출생): 우크라이나 역사학자. 역사학 박사, 교수.
- 시몬 오콜스키(1580–1653): 폴란드 역사학자.
- 페르디난드 안토니 오센도프스키(1876–1945): 폴란드 작가, 탐험가, 교수, 반공주의자 및 정치 활동가.
- 모리스 섀프스(1907–2004): 미국 교육자, 작가, 급진적 정치 활동가, 역사학자, 잡지 편집자.
- 즈베 스쿨러(1899–1985): 배우이자 라디오 해설가. 지붕 위의 바이올린의 랍비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멘델레 모케르 스포림(1836–1917): 유대인 작가.
- 모세 빌헬름 샤피라(1830–1884): 유대인 학자, 골동품 수집가(위조 혐의).
- 레오 시로타(1885-1965): 유대인 피아니스트.
- 새뮤얼 스필버그: 스티븐 스필버그의 부계 조부.
- 미하일 스타렌키(1879–?): 베사라비아 정치인.
- 레오니트 스타인(1934–1973): 소련 체스 그랜드마스터.

- 폴 부르만(1888–1932): 발트 독일계 에스토니아 화가이자 그래픽 아티스트.
- 모셰 스테켈리스(1898–1967): 러시아-이스라엘 고고학자.
- 아서 트레이시(1899–1997): 미국 가수.
- 안톤 바슈틴스키(1858–1935): 화가, 동전 및 메달 디자이너.
- 미하일 벨러(1948년 출생): 러시아-에스토니아 작가.

- 이온 비노쿠르(1930–2006): 우크라이나 고고학자, 역사학자. 이곳에서 거주하며 활동했다.
- 얀 데 비테(1709–1785): 폴란드 건축가이자 지역 요새의 지휘관.
- 예르지 볼로디요프스키: 폴란드 대령.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 등장인물 중 한 명인 미하우 볼로디요프스키의 원형.
- 올렉산드르 자렘바(1978년 출생): 우크라이나 역사학자, 군사 재연 배우, 축제 기획자 및 시민 운동가.
- 요제프 자옌체크(1752–1826): 폴란드 장군.
- 모리스 즈브리거(1896–1981): 캐나다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및 지휘자.
- 이시도르 주커만(1866–1946): 오스트리아 사업가.
- 얀 올잔스키(1919–2003):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카미아네츠-포딜스키 로마 가톨릭 교구의 초대 교구 주교였던 우크라이나 로마 가톨릭 고위 성직자.
- 다비트 긴츠부르크
- 세르게이 코미츠키: 벨라루스 국적의 프로 복서.
참조
[1]
웹사이트
Каменец-Подоль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2]
뉴스
The last capital of Ukrainian People's Republic (Остання столиця УНР)
https://day.kyiv.ua/[...]
Newspaper "Den"
2011-10-14
[3]
논문
Eastern Yiddish Toponyms of German Origin
https://docserv.uni-[...]
2023-12-26
[4]
웹사이트
Holocaust Museum, "Kamenets-Podolsk"
https://encyclopedia[...]
[5]
웹사이트
Geography
http://kp.rel.com.ua[...]
2007-10-25
[6]
웹사이트
The Museum City
http://tour.km.ua/ka[...]
Art/Ukrainian
2007-10-26
[7]
웹사이트
Perła Podola
http://www.niedziela[...]
2007-10-26
[8]
웹사이트
Kamianets-Podilskyi
https://www.encyclop[...]
[9]
웹사이트
Kyiv not Kiev: Why spelling matters in Ukraine’s quest for an independent identity
https://www.atlantic[...]
[10]
웹사이트
History
http://kp.rel.com.ua[...]
2007-10-25
[11]
웹사이트
An Urban History of Early Modem Karnianets-Podilsky, Origins to 1672
https://www.collecti[...]
[12]
이미지
The Eyalet of Kamaniçe
http://i.piccy.info/[...]
2021-01-07
[13]
간행물
Ormianie kamienieccy w ostatniej ćwierci XVII wieku – próba rekonstrukcji spisu imiennego
[14]
문서
Agopsowicz, pp. 6, 15
[15]
서적
The history of the Talmud from the time of its formation, about 200 B.C., up to the present time
The Talmud Society
[16]
서적
Printing the Talmud: Complete Editions, Tractates, and Other Works and the Associated Presses from the Mid-17th Century through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17]
서적
Нариси з історії України (кінець XVIII — початок XIX ст.)
Львів: Світ
[18]
뉴스
Kamianets-Podilskyi. How the Petliurists did what Sultan Osman II could not do
https://www.istpravd[...]
Ukrayinska Pravda|Historisna Pravda
2019-06-03
[19]
뉴스
"The Last Capital", or as Kamyanets returned to the past for three days
https://www.istpravd[...]
Ukrayinska Pravda|Historisna Pravda
2019-08-27
[20]
뉴스
A memorial to UPR soldiers was opened in Khmelnytsky region
https://www.istpravd[...]
Ukrayinska Pravda|Historisna Pravda
2021-08-23
[21]
웹사이트
Soviet Ukraine in a Nutshell
https://origins.osu.[...]
[22]
웹사이트
Ukrainian-Soviet War, 1917–21
https://www.encyclop[...]
[23]
뉴스
Disorder in the Ukraine?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27-12-12
[24]
웹사이트
Документи Держархіву Хмельницької області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Kamianets-Podilskyi, Ukraine
https://ermakvagus.c[...]
[26]
웹사이트
Holodomor History
https://holodomormus[...]
[27]
웹사이트
Голодомор 1932—1933 Років: «Червоні Мітли» Проти Українського Селянства
http://klyuch.com.ua[...]
[28]
웹사이트
Polish - Ukrainian Cooperation
https://ipn.gov.pl/e[...]
[29]
웹사이트
Great Terror
https://www.history.[...]
[30]
웹사이트
The Nazi Invasion of Kamenets
http://kehilalinks.j[...]
JewishGen
[31]
웹사이트
The “Black Infantry” is Going into Battle Again
https://www.ukrinfor[...]
[32]
웹사이트
Ukrainian Insurgent Army
https://www.encyclop[...]
[33]
웹사이트
ACTIVITY OF THE KAMIANETS-PODILSKYI NADRAYONNYI PROVID OF THE OUN (B) IN 1948–1952
https://ephd.cz/wp-c[...]
[34]
웹사이트
Ukrainian Liberation Movement in Central Eastern Podillya in the 40-50s of the 20th Century in Ukrainians Memory
https://www.eminak.n[...]
[35]
웹사이트
Kamyanec-Podilsky
http://resource.hist[...]
[36]
웹사이트
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Ukraine
http://gska2.rada.go[...]
1990-07-16
[37]
웹사이트
Independent Ukraine
https://www.britanni[...]
[38]
웹사이트
11 Independent Ukraine
https://academic.oup[...]
[39]
웹사이트
KAMIANETS PODILSKYI – AN UNDERRATED GEM OF UKRAINE
https://www.mywander[...]
[40]
웹사이트
Kamianets-Podilskyi. The living fortress
https://www.ukrainer[...]
[41]
웹사이트
How Ukraine’s Orange Revolution shaped twenty-first century geopolitics
https://www.atlantic[...]
[42]
웹사이트
K-PNU’s Anniversary
https://eng.kpnu.edu[...]
[43]
웹사이트
Fourteen Euromaidan and the echoes of the Orange Revolution: comparing social infrastructures and resistance practices of protest camps in Kiev (Ukraine)
https://academic.oup[...]
[44]
간행물
Ukraine's revolution of dignity: The dynamics of Euromaidan
http://journals.sage[...]
2016-01
[45]
웹사이트
Heroes Euromaidan royalty-free images
https://www.shutters[...]
[46]
웹사이트
Understanding Ukraine’s Euromaidan Protests
https://www.opensoci[...]
[47]
웹사이트
«У центрі Кам’янця з’явиться Європейський сквер із неоновою підсвіткою та геометричними клумбами»
https://kp.20minut.u[...]
[48]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07-18
[49]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50]
웹사이트
KAMIANETS-PODILSKYI
https://cities4citie[...]
[51]
웹사이트
Mayors for Economic Growth Interactive Map
https://eum4eg.com/w[...]
Mayors for Economic Growth
null
[52]
웹사이트
Rooting Out Russian Colonization From Ukraine
https://cepa.org/art[...]
[53]
뉴스
Moscow's Invasion Of Ukraine Triggers 'Soul-Searching' At Western Universities As Scholars Rethink Russian Studies
https://www.rferl.or[...]
2023-01-01
[54]
웹사이트
How the Field was Colonized: Russian History's Ukrainian Blind Spot
https://networks.h-n[...]
2022-12-14
[55]
웹사이트
Decommunization of urban toponymy in Ukraine: causes and consequences
https://czasopisma.b[...]
[56]
웹사이트
У Кам'янці-Подільському перейменували понад два десятки вулиць та скверів
https://suspilne.med[...]
[57]
웹사이트
Kamenetz-Podolsk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58]
서적
Bloodlands: Europe Between Hitler and Stalin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59]
간행물
Kamyanets-Podilskyy
http://www.blankgene[...]
[60]
서적
The Politics of Genocide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61]
서적
The Marmaros Book - In Memory of 160 Jewish Communities
http://www.jewishgen[...]
Beit Marmaros
[62]
웹사이트
Чисельність населення в місті Кам'янець-Подільський
https://index.minfin[...]
[63]
웹사이트
All-Ukrainian Population Census 2001 - IPUMS Subset
https://microdata.wo[...]
[64]
웹사이트
Ukrainian dialects: history, geography, and examples
https://www.ukrainia[...]
[65]
웹사이트
WESTERN UKRAINIAN DIALECTS
https://www.speakua.[...]
[66]
웹사이트
What is the Ukrainian language?
https://www.ukrainer[...]
[67]
문서
Атлас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в трьох томах. Т. 2. Волинь, Наддністрянщина, Закарпаття і суміжні землі
[68]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69]
웹사이트
Національний склад міст
https://datatowel.in[...]
[70]
웹사이트
КАМ'ЯНЕЦЬ-ПОДІЛЬСЬКА ДІЄЦЕЗІЯ
https://www.camenece[...]
[71]
간행물
CHURCH, SPIRITUALITY, NATION:THE UKRAINIAN GREEK-CATHOLIC CHURCH IN THE SOCIAL LIFE OF UKRAINE
https://dspace.uzhnu[...]
[72]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73]
웹사이트
Фестиваль повітряних куль 2020 у Камянці-Подільському!. Афіша Хмельницького - moemisto.ua.
https://moemisto.ua/[...]
2020-12-29
[74]
웹사이트
Kalisz Official Website – Twin Towns
https://web.archive.[...]
2008-11-29
[75]
웹사이트
Brantford signs twinning agreement with Ukrainian city
https://kitchener.ct[...]
2022-04-04
[76]
뉴스
Eine ukrainische Partnerstadt für Wiesbaden
https://www.faz.net/[...]
Oliver Bock
2023-09-12
[77]
웹사이트
Partner cities of Kamianets-Podilskyi
https://www.kam-pod.[...]
[78]
문서
ラテン文字表記の例
[79]
웹사이트
Geography
http://kp.rel.com.ua[...]
[80]
웹사이트
History
http://kp.rel.com.ua[...]
[81]
웹사이트
KAMENETZ-PODOLSK:
http://www.jewishenc[...]
[82]
뉴스
Disorder in the Ukraine?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27-12-12
[83]
웹사이트
http://www.jewishgen[...]
2008-01-06
[84]
웹사이트
The Museum City
http://tour.km.ua/ka[...]
Art
[85]
웹사이트
Perła Podola
http://www.niedziela[...]
[86]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