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리시는 폴란드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의 교역로였던 호박길의 중간 기착지였다. 2세기에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칼리시아로 언급되었으며,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중세 시대에는 마그데부르크법에 따라 도시 특권을 부여받아 성장했고, 칼리시 법령을 통해 유대인들에게 광범위한 자유를 보장하여 유럽 유대인의 중심지가 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1차 세계 대전 중 도시가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의 점령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현재 칼리시는 비엘코폴스카 주의 행정 중심지이며, 다양한 산업과 교육 기관, 스포츠 팀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엘코폴스카주의 도시 - 코샬린
코샬린은 폴란드 서포메라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1266년 뤼벡 법을 부여받아 자치권을 획득하고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발트 해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서포메라니아 주의 일부이다. - 비엘코폴스카주의 도시 - 포즈난
포즈난은 폴란드 중서부 바르타 강을 중심으로 발달한 비엘코폴스카 주의 주도로, 폴란드 왕국의 첫 번째 수도이자 역사적인 상업 중심지이며, 현재는 문화, 학문, 기술, 상공업의 중심지로서 국제적인 행사 개최와 역사 유적, 관광 명소를 보유한 유럽 내 주요 도시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군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칼리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위치 | 폴란드 |
속한 지역 | 대폴란드 주 (Greater Poland Voivodeship) |
군 | 시-군 (city-county) |
정치 | |
시장 | Krystian Kinastowski (BS) |
시장 (한국어 번역) | 크리스티안 키나스토프스키 (무소속 지방 정부 활동가) |
역사 | |
설립 | 9세기 |
도시 권리 획득 | 1268년 이후 |
지리 | |
면적 | 70 km2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12월 31일 기준) | 97,905 명 (38위) |
인구 밀도 | 1472 명/km2 |
시간대 | |
시간대 | CET (+1) |
여름 시간대 | CEST (+2)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2-800 ~ 62-810 |
지역 번호 | (+48) 62 |
차량 번호판 | PK, PA |
기후 | Dfb (습윤 대륙성 기후) |
웹사이트 | www.kalisz.pl |
2. 역사
칼리시는 현재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로 여겨진다. 이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이 도시를 "칼리시아"(Calisia)라고 기록했기 때문이다.[3] 칼리시아는 호박길 도중에 위치해 있었으며, 발트해로 향하는 로마 제국의 상인들이 머물던 장소였음을 시사하는 로마 시대의 가공품이 많이 출토되었다. 다만, 일부 역사가들은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장소가 게르마니아의 디두니 영토에 위치했다고 주장하며 이 연결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9세기경 피아스트 왕조 시대에 지방 수도 카스텔라니이자 작은 요새로 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 1106년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가 칼리시를 점령하고 자신의 봉건 영토에 포함시켰다. 1253년에서 1260년 사이에는 마그데부르크법의 지역 변형인 Prawo średzkie|Środa Śląska 법pl에 따라 도시 특권을 부여받아 빠르게 성장했다. 폴란드의 봉건적 분열 시기에는 피아스트 왕조의 지역 분파가 통치하는 독립적인 공국의 수도 역할을 했다.
1264년, 볼레스와프 경건공이 칼리시 법령을 발표하여 유대인들에게 광범위한 자유와 보호를 보장했고, 이는 이후 폴란드가 유럽 유대인의 중심지가 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폴란드가 재통일된 후, 이 도시는 직물 및 목재 제품의 중심지이자 대폴란드의 문화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282년 프셰미스우 2세가 도시 특권을 재확인했고, 1314년 브와디스와프 1세에 의해 칼리시 보이보드십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폴란드 중앙에 위치한 칼리시는 당시 국경 기준으로 무역의 중심지였다. 1331년 튜턴 기사단의 Oblężenie Kalisza|칼리시 포위전pl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전략적 위치 때문에 카지미에시 3세 대왕은 1343년 그곳에서 튜턴 기사단과 칼리시 조약을 체결하여 영토 분쟁을 해결했다.
왕립 도시로서 많은 특권을 누렸으며, 1426년에는 새로운 시청이 건설되었다. 미에슈코 3세 늙은공이 칼리시에 묻혔다.[3] 14세기, 페스트 유행 시기에 유대인들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는 혐의로 폭도들에게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했다.[5]
1574년 예수회가 칼리시에 도착했고, 1584년에는 폴란드 교육의 중심지가 된 예수회 대학을 열었다.[3] 그러나 이 무렵 칼리시의 중요성은 다소 쇠퇴하기 시작했고, 그 자리를 인근 포즈난이 차지했다. 이 지역의 경제 발전은 1620년 보헤미아에서 추방된 후 칼리시와 그 주변에 정착한 많은 프로테스탄트 체코 형제단에 의해 지원되었다.
18세기에는 바르샤바와 드레스덴을 잇는 두 개의 주요 노선 중 하나가 이 도시를 통과했고, 아우구스투스 2세와 아우구스투스 3세가 종종 그 노선을 여행했다.[6] 1789년 칼리시에는 881명의 유대인이 살았으며, 이는 도시 인구의 29%를 차지했다.[7] 1792년에는 화재로 도시 중심부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에서 프로이센 왕국은 독일어로 '칼리쉬'(Kalisch)라고 불리는 도시를 병합했다. 그 해 유대인은 인구의 40%를 차지했다.[9] 1801년 보이치에흐 보구스와프스키는 칼리시에 최초의 상설 극단을 설립했다. 1806년 칼리시는 바르샤바 공국에 편입되었다. 1812년 러시아 원정 동안, 요한 루트비히 요르크 폰 바르텐부르크의 1812년 타우로겐 조약에 의해,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카를 폰 운트 주 춤 슈타인의 칼리시 조약 (1813년)이 1813년 러시아와 프로이센 사이에 체결되어, 프로이센이 러시아와의 동맹을 인증했다.
나폴레옹 1세가 패배한 후 칼리시는 칼리시 보이보데쉽 (1816–1837)의 지방 수도가 되었고, 그 후 러시아 제국의 칼리시 현의 수도가 되었다. 1820년대에는 유대인들이 거주하도록 요구된 특별 유대인 구역이 조성되었고, 이는 도시의 3분의 1을 차지했으며 1862년까지 존재했다.[9][7] 프레데리크 쇼팽은 1826년, 1828년, 1830년에 칼리시를 방문했다.[11] 프로이센과 러시아는 1835년에 도시 근처에서 칼리쉬 열병을 했다. 1863년 1월 봉기 중, 폴란드 반군은 도시 근처에서 러시아군과 두 차례의 승리를 거두었다.[12] 1881년 러시아 당국은 러시아 시민권을 갖지 않은 유대인 주민들을 추방했다.[9]
1902년 새로운 철도가 칼리시를 바르샤바와 우치와 연결했다. 19세기부터 칼리시는 피아노 제조의 주요 폴란드 중심지 중 하나였다. 20세기 초에는 바르샤바를 능가하며 선도적인 중심지가 되었다.[1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국경과 가까운 칼리시는 파괴된 첫 도시 중 하나였다. 1914년 8월 2일부터 22일까지, 헤르만 프로이스커 소령이 지휘하는 독일군에 의해 포격과 방화를 당했다. 러시아군은 방어 없이 도시에서 철수했고, 독일군은 처음에는 평화롭게 환영받았으나, 800명의 남자가 체포된 후 여러 명이 학살되었고 도시는 불탔으며, 나머지 주민들은 추방되었다. 1914년 약 68,000명의 시민 중 1년 후 칼리시에는 5,000명만 남았다. 대전 말, 도시 중심부의 대부분이 거의 재건되었고, 많은 전 거주자들이 귀환할 수 있었다.[14]
전쟁 후, 칼리시는 폴란드 제2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15] 재건은 계속되어 1925년에는 새로운 시청이 개관했다. 1939년 칼리시의 인구는 약 81,000명이었으며, 그 중 유대인은 27,000명이었다.[17]
1939년 9월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후, 국경과 가까운 칼리시는 다시 한번 큰 피해를 입었다. 칼리시는 폴란드 저항 이후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고,[18] 나치 독일에 병합되었다. 독일 국방군은 저항에 대한 보복으로 폴란드 방어군을 대량 학살했고, 수많은 폴란드인들이 체포되어 살해되었다. 독일군은 칼리시에 폴란드에서의 독일화 수용소를 설립하여 부모로부터 빼앗긴 폴란드 어린이들을 수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까지 약 30,000명의 지역 유대인이 살해되었고, 20,000명의 지역 가톨릭 신자가 살해되거나 추방되었다. 1945년 도시 인구는 43,000명으로, 전쟁 전 인구의 약 절반이었다. 1945년 칼리시는 폴란드로 복원되었지만, 소련이 설치한 공산 정권이 들어섰으며, 이 정권은 1980년대 공산주의 몰락까지 권력을 유지했다.
전쟁 후, 유대인 생존자들이 칼리시로 돌아왔으나, 1946년에는 그 수가 약 500명에 달했다.[23] 1940년대 후반에는 약 100명만이 남아 있었고, 이들은 폴란드 사회에 동화되었다.[23]
1975년, 에드워드 기에레크의 폴란드의 행정 구역 개편 이후, 칼리시는 칼리시 보이보드십의 주도가 되었으나, 1998년에 폐지되었다. 그 후 칼리시는 비엘코폴스카 보이보드십 내 별도의 포비아트의 군청 소재지가 되었다.
1980년대, 폴란드의 반공 저항 단체인 인권 및 시민권 방어 운동은 칼리시에서 독립적인 지하 언론을 발행했다.[25] 1980년 8월, 칼리시 지역 공장 노동자들은 전국적인 반공 파업에 참여했고,[26] 연대 조직을 결성하여 폴란드의 공산주의 통치 종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1년 6월 11일, 1282년 도시 통합을 기념하는 도시 축제가 처음 시작되었다. 1992년, 칼리시 교구가 설치되었다.[3] 1997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칼리시를 방문했다.[3]
2. 1. 고대
칼리시는 현재 폴란드의 가장 오래된 도시로 여겨진다. 이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이 도시를 "칼리시아"(Calisia)라고 기록했기 때문이다.[3] 칼리시아는 호박길 도중에 위치해 있었으며, 발트해로 향하는 로마 제국의 상인들이 머물던 장소였음을 시사하는 로마 시대의 가공품이 많이 출토되었다.프톨레마이오스는 서기 2세기에 ''칼리시아''(Calisia)를 언급했지만,[3]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언급한 장소가 게르마니아의 디두니 영토에 위치했다고 주장하며 이 연결에 의문을 제기한다.
2. 2. 중세
300px 확산
생활 습관과 도시 구조에 관한 선호가 독특한 폴란드는 페스트 재앙을 면하여, 국가 전체가 마치 오아시스와 같다]]
9세기경 피아스트 왕조 시대에 지방 수도 카스텔라니이자 작은 요새로 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 1106년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가 칼리시를 점령하고 자신의 봉건 영토에 포함시켰다.
1253년에서 1260년 사이에 마그데부르크법의 지역 변형인 Prawo średzkie|Środa Śląska 법pl (Środa Śląska에서 유래)에 따라 도시 특권을 부여받아 빠르게 성장했다. 폴란드의 봉건적 분열 시기에는 피아스트 왕조의 지역 분파가 통치하는 독립적인 공국의 수도 역할을 했다.
1264년, 볼레스와프 경건공이 칼리시 법령을 발표하여 유대인들에게 광범위한 자유와 보호를 보장했고, 이는 이후 폴란드가 유럽 유대인의 중심지가 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폴란드가 재통일된 후, 이 도시는 직물 및 목재 제품의 중심지이자 대폴란드의 문화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282년 프셰미스우 2세가 도시 특권을 재확인했다. 1314년 브와디스와프 1세에 의해 칼리시 보이보드십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폴란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 칼리시는 (당시 국경 기준으로) 무역의 중심지였다. 1331년 튜턴 기사단의 Oblężenie Kalisza|칼리시 포위전pl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전략적 위치 때문에 카지미에시 3세 대왕은 1343년 그곳에서 튜턴 기사단과 칼리시 조약을 체결하여 영토 분쟁을 해결했다.
왕립 도시로서 많은 특권을 누렸으며, 1426년에는 새로운 시청이 건설되었다. 미에슈코 3세 늙은공이 칼리시에 묻혔다.[3] 14세기, 페스트 유행 시기에 유대인들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는 혐의로 폭도들에게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했다.[5]
2. 3. 근대 (1500년 ~ 1914년)
1574년 예수회가 칼리시에 도착했고, 1584년에는 폴란드 교육의 중심지가 된 예수회 대학을 열었다.[3] 그러나 이 무렵 칼리시의 중요성은 다소 쇠퇴하기 시작했고, 그 자리를 인근 포즈난이 차지했다.이 지역의 경제 발전은 1620년 보헤미아에서 추방된 후 칼리시와 그 주변에 정착한 많은 프로테스탄트 체코 형제단에 의해 지원되었다.
18세기에는 바르샤바와 드레스덴을 잇는 두 개의 주요 노선 중 하나가 이 도시를 통과했고, 국왕 아우구스투스 2세와 아우구스투스 3세가 종종 그 노선을 여행했다.[6] 1789년 칼리시에는 881명의 유대인이 살았으며, 이는 도시 인구의 29%를 차지했다.[7] 1792년에는 화재로 도시 중심부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에서 프로이센 왕국은 독일어로 '칼리쉬'(Kalisch)라고 불리는 도시를 병합했다. 그 해 유대인은 인구의 40%를 차지했다.[9] 1801년 보이치에흐 보구스와프스키는 칼리시에 최초의 상설 극단을 설립했다.
1806년 칼리시는 바르샤바 공국에 편입되었다. 1812년 러시아 원정 동안, 요한 루트비히 요르크 폰 바르텐부르크의 1812년 타우로겐 조약에 의해,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카를 폰 운트 주 춤 슈타인의 칼리시 조약 (1813년)이 1813년 러시아와 프로이센 사이에 체결되어, 프로이센이 러시아와의 동맹을 인증했다.
나폴레옹 1세가 패배한 후 칼리시는 칼리시 보이보데쉽 (1816–1837)의 지방 수도가 되었고, 그 후 러시아 제국의 칼리시 현의 수도가 되었다. 1820년대에는 유대인들이 거주하도록 요구된 특별 유대인 구역이 조성되었고, 이는 도시의 3분의 1을 차지했으며 1862년까지 존재했다.[9][7] 프레데리크 쇼팽은 1826년, 1828년, 1830년에 칼리시를 방문했다.[11] 프로이센과 러시아는 1835년에 도시 근처에서 칼리쉬 열병을 했다. 1863년 1월 봉기 중, 폴란드 반군은 도시 근처에서 러시아군과 두 차례의 승리를 거두었다.[12] 1881년 러시아 당국은 러시아 시민권을 갖지 않은 유대인 주민들을 추방했다.[9]
1902년 새로운 철도가 칼리시를 바르샤바와 우치와 연결했다. 19세기부터 칼리시는 피아노 제조의 주요 폴란드 중심지 중 하나였다. 20세기 초에는 바르샤바를 능가하며 선도적인 중심지가 되었다.[13]
2. 4. 현대 (1914년 ~ 현재)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국경과 가까웠던 칼리시는 전쟁으로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은 도시 중 하나였다. 1914년 8월 7일부터 8월 22일까지 독일 제국군의 격렬한 공격으로 도시는 거의 완벽하게 파괴되었다. 헤르만 프로이츠커가 이끄는 독일군이 칼리시에 진입했을 때, 러시아 제국군이 도시를 지키고 있었기 때문에 독일군은 보복에 나섰다. 800명의 남성이 체포되거나 학살되었고, 도시는 불탔으며, 살아남은 시민들은 추방되었다. 1914년에 약 68,000명이었던 주민은 같은 해 말 5,000명으로 줄었다. 대전이 끝나고 도시 중심부는 어느 정도 재건되었고, 이전 주민들의 귀환이 허용되었다.칼리시는 독립한 폴란드 제2 공화국에 합류하여 재건이 계속되었고, 1925년에는 새로운 시청이 개관했다. 1939년까지 도시 인구는 약 89,000명이었다. 같은 해 폴란드 침공으로 칼리시는 다시 한번 큰 피해를 입었다. 독일 국방군에 점령된 후 나치 독일에 병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까지 약 30,000명의 유대인이 살해되었고, 20,000명의 지역 가톨릭 신자들이 살해되거나 폴란드 총독부로 추방되거나 독일로 강제 노동에 끌려갔다. 1945년, 도시에는 겨우 43,000명의 주민만이 남아 전쟁 전 인구의 절반 수준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칼리시는 재건되기 시작했다. 1975년, 에드바르트 기에레크의 폴란드 지방 행정 개혁으로 칼리시는 칼리시 주의 주도가 되었으나, 1998년에 폐지되었다. 이후 칼리시는 비엘코폴스카 주 내 칼리시 군의 군도가 되었다. 1991년, 도시 특권 부여 700주년을 기념하여 6월 11일이 공휴일로 지정되었고, 같은 해 칼리시 주교좌가 설치되었다.
2. 4. 1. 제1차 세계 대전과 양차 대전 시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국경과 가까운 칼리시는 파괴된 첫 도시 중 하나였다. 1914년 8월 2일부터 22일까지, 헤르만 프로이스커 소령이 지휘하는 독일군에 의해 포격과 방화를 당했다. 러시아군은 방어 없이 도시에서 철수했고, 독일군은 처음에는 평화롭게 환영받았으나, 800명의 남자가 체포된 후 여러 명이 학살되었고 도시는 불탔으며, 나머지 주민들은 추방되었다. 1914년 약 68,000명의 시민 중 1년 후 칼리시에는 5,000명만 남았다. 대전 말, 도시 중심부의 대부분이 거의 재건되었고, 많은 전 거주자들이 귀환할 수 있었다.[14]전쟁 후, 칼리시는 폴란드 제2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15] 1918년 12월 13일, 칼리시와 오스트루프 비엘코폴스키에서 온 지원병으로 구성된 제1 국경 대대가 칼리시에서 선서를 하고, 독일과의 대폴란드 봉기 (1918–19)에 합류했다.[15] 재건은 계속되어 1925년에는 새로운 시청이 개관했다. 1931년 폴란드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칼리시에는 15,300명의 유대인이 있었는데, 이는 도시 전체 인구의 거의 30%에 해당했다.[16] 1939년 칼리시의 인구는 약 81,000명이었으며, 그 중 유대인은 27,000명이었다.[17]
2. 4. 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9월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후, 국경과 가까운 칼리시는 다시 한번 큰 피해를 입었다. 칼리시는 폴란드 저항 이후 독일 국방군에 의해 점령되었고,[18] 나치 독일에 병합되었다.독일 국방군은 저항에 대한 보복으로 폴란드 방어군을 대량 학살했는데, 이들은 도시와 인근 정착지인 Winiary(현재 칼리시의 구역)에서 처형되었다.[18] 1,000명 이상이 인질로 체포되었다.[18] 폴란드 지식인을 말살하기 위한 ''지식인 학살 작전'' 동안 수많은 폴란드인들이 체포되어 살해되었다. 칼리시, 오스트로프 비엘코폴스키 및 기타 인근 정착지 출신의 약 750명의 폴란드인들이 1939년 9월부터 1940년 3월까지 칼리시 감옥에 수감되었고, 대부분은 Winiary 숲에서의 대규모 학살로 살해되었다.[19] 1939년 11월, 나치 준군사 살인 부대인 ''Einsatzgruppe VI''는 지역 유대인 묘지에서 41명의 폴란드인을 살해했는데, 희생자 중에는 전쟁 전 칼리시 시장이었던 이그나시 부이니츠키도 있었다.[20] 1940년 4월과 5월에는 이 지역에서 체포된 많은 폴란드인들, 특히 교사들이 지역 감옥에 수감된 후 마우트하우젠 강제 수용소와 다하우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어 살해되었다.[21]

독일군은 칼리시에 폴란드에서의 독일화 수용소를 설립하여 부모로부터 빼앗긴 폴란드 어린이들을 수용했다. 이 어린이들에게는 새로운 독일식 이름과 성이 주어졌고, 폴란드어 사용에 대해서는 심지어 죽음으로 처벌받았다. (예: 14세 소년 Zygmunt Światłowski|지그문트 시비아트워프스키pl가 살해되었다).[22] 수용소에서 지낸 후 아이들은 독일로 이송되었고, 전쟁 후 일부만 폴란드로 돌아왔으며, 많은 아이들의 운명은 오늘날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22]
제2차 세계 대전 말까지 약 30,000명의 지역 유대인이 살해되었고, 20,000명의 지역 가톨릭 신자가 살해되거나 독일 점령 폴란드의 동부 지역(총독부) 또는 독일로 강제 노역자로 추방되었다. 1945년 도시 인구는 43,000명으로, 전쟁 전 인구의 약 절반이었다. 1945년 칼리시는 폴란드로 복원되었지만, 소련이 설치한 공산 정권이 들어섰으며, 이 정권은 1980년대 공산주의 몰락까지 권력을 유지했다.
전쟁 후, 유대인 생존자들이 도시에 돌아왔는데, 1946년에는 약 500명에 달했다. 1940년대 후반에는 약 100명만이 남아 있었고, 그 소수의 사람들은 폴란드 사회에 동화되었다.[23]
2. 4. 3. 전후
전쟁 후, 유대인 생존자들이 칼리시로 돌아왔으나, 1946년에는 그 수가 약 500명에 달했다.[23] 1940년대 후반에는 약 100명만이 남아 있었고, 이들은 폴란드 사회에 동화되었다.[23]1975년, 에드워드 기에레크의 폴란드의 행정 구역 개편 이후, 칼리시는 칼리시 보이보드십의 주도가 되었으나, 1998년에 폐지되었다. 그 후 칼리시는 비엘코폴스카 보이보드십 내 별도의 포비아트의 군청 소재지가 되었다. 1976년, 마이쿠프, 노스쿠프, 피보니체, 슈치피오르노 등 주변 정착지가 칼리시에 편입되면서 도시 경계가 크게 확장되었다.[24]
1980년대, 폴란드의 반공 저항 단체인 인권 및 시민권 방어 운동은 칼리시에서 독립적인 지하 언론을 발행했다.[25] 1980년 8월, 칼리시 지역 공장 노동자들은 전국적인 반공 파업에 참여했고,[26] 연대 조직을 결성하여 폴란드의 공산주의 통치 종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1년 6월 11일, 1282년 도시 통합을 기념하는 도시 축제가 처음 시작되었다. 1992년, 칼리시 교구가 설치되었다.[3] 1997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칼리시를 방문했다.[3]
2019년, '칼리시아' 피아노 공장 건물이 칼리시아 원 호텔로 개조되어 개장했다.
3. 기후
칼리시는 -3°C 등온선을 사용하면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에, 0°C 등온선을 사용하면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fb'')에 해당한다.[27][28]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3.8°C | 18.1°C | 22.7°C | 29.8°C | 31.4°C | 36.6°C | 36.9°C | 38°C | 35.1°C | 27.2°C | 19.3°C | 15.8°C | 38°C |
평균 최고 기온 (°C) | 1.7°C | 3.4°C | 7.8°C | 14.6°C | 19.4°C | 22.8°C | 25.2°C | 25°C | 19.4°C | 13.3°C | 7.2°C | 2.9°C | 13.6°C |
평균 기온 (°C) | -0.8°C | 0.3°C | 3.7°C | 9.4°C | 14.1°C | 17.3°C | 19.5°C | 19.3°C | 14.4°C | 9.2°C | 4.4°C | 0.6°C | 9.3°C |
평균 최저 기온 (°C) | -3°C | -2.3°C | 0.3°C | 4.6°C | 9°C | 12.3°C | 14.2°C | 14.2°C | 10.1°C | 5.9°C | 2.1°C | -1.6°C | 5.5°C |
최저 기온 기록 (°C) | -28.5°C | -28.3°C | -21.1°C | -7.2°C | -3.8°C | 2.4°C | 4°C | 4.8°C | -1.7°C | -7.4°C | -16.6°C | -25.1°C | -28.5°C |
강수량 (mm) | 26.4mm | 24.3mm | 33.2mm | 26.9mm | 53mm | 54.8mm | 77.3mm | 54.3mm | 46mm | 36.8mm | 31mm | 29.7mm | 493.8mm |
적설량 (cm) | 5cm | 4.2cm | 2.4cm | 0.8cm | 0cm | 0cm | 0cm | 0cm | 0cm | 0.2cm | 1.5cm | 3.6cm | |
평균 강수일수 (≥ 0.1mm) | 15.17 | 13.33 | 13.00 | 10.47 | 12.50 | 13.00 | 13.40 | 11.70 | 10.87 | 12.43 | 13.13 | 15.13 | 154.13 |
평균 적설일수 (≥ 0cm) | 12.5 | 10.2 | 4.8 | 0.7 | 0.0 | 0.0 | 0.0 | 0.0 | 0.0 | 0.1 | 1.9 | 7.1 | 37.3 |
평균 상대 습도 (%) | 87.9 | 84.7 | 79.3 | 71.1 | 72.5 | 72.9 | 71.9 | 71.2 | 78.2 | 84.3 | 89.4 | 89.4 | 79.4 |
평균 일조 시간 | 49.3 | 69.6 | 120.8 | 195.2 | 248.1 | 253.4 | 253.3 | 242.9 | 160.5 | 110.7 | 52.0 | 41.0 | 1796.7 |
출처 1: 기상 및 수자원 관리 연구소[29][30][31][32][33][34][35][36]
출처 2: Meteomodel.pl (기록, 상대 습도 1991–2020)[37][38][39]
4. 지역
이름 | 인구 | 면적 (km2) | 면적 (mi2) |
---|---|---|---|
아스니카 | 5697 | 0.44km2 | 약 0.44km2 |
흐미엘니크 | 3612 | 3.28km2 | 약 3.28km2 |
츠아슈키 | 7130 | 0.67km2 | 약 0.67km2 |
도브로 | 597 | 1.96km2 | 약 1.96km2 |
도브제츠 | 867 | 8.62km2 | 약 8.62km2 |
도브제츠 P | 8599 | 1.51km2 | 약 1.51km2 |
도브제츠 W | 5503 | 0.38km2 | 약 0.38km2 |
칼리니에츠 | 4685 | 0.36km2 | 약 0.36km2 |
코르착 | 4459 | 0.73km2 | 약 0.73km2 |
마이쿠프 | 3311 | 2.96km2 | 약 2.96km2 |
오고르디 | 2073 | 2.06km2 | 약 2.06km2 |
피스코제비에 | 1915 | 1.99km2 | 약 1.99km2 |
피보니체 | 2660 | 8.72km2 | 약 8.72km2 |
라이스쿠프 | 1884 | 3.43km2 | 약 3.43km2 |
로가트카 | 2720 | 0.27km2 | 약 0.27km2 |
리피넥 | 3708 | 4.48km2 | 약 4.48km2 |
술리슬라비체 | 835 | 4.68km2 | 약 4.68km2 |
술리슬라비체 콜로니아 | 164 | 1.19km2 | 약 1.19km2 |
시치피오르노 | 1529 | 5.87km2 | 약 5.87km2 |
시루드미에시체 | 17258 | 1.76km2 | 약 1.76km2 |
티니에츠 | 4189 | 3.02km2 | 약 3.02km2 |
비도크 | 6516 | 0.44km2 | 약 0.44km2 |
비니아리 | 2491 | 5.4km2 | 약 5.40km2 |
XXV-레치아 | 5094 | 1.02km2 | 약 1.02km2 |
자고지넥 | 2773 | 3.89km2 | 약 3.89km2 |
5. 종교
칼리시에는 가톨릭 교회 19곳, 개신교 5곳, 동방 정교회 1곳이 있다. 이 도시에는 성 니콜라스 대성당이 있다.[40] 1698년부터 칼리시에 회당이 건설되었고, 1879년에는 새로운 회당이 건설되었다.[40]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칼리시에 25,000명의 유대인이 있었지만, 대부분 폴란드 홀로코스트에서 독일군에 의해 살해되었고, 1942년 여름까지 칼리시의 유대인 공동체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1139년경부터 유대인이 칼리시에 정착했다. 1264년에는 유대인의 자유와 안전을 보장하는 "칼리시 칙령"이 발포되었다. 처음에는 칼리시를 포함한 비엘코폴스카 주의 법률이었지만, 곧 폴란드 왕국 전체의 법률로 승격되었다. 이로 인해 폴란드 왕국의 사회는 유대인에게 살기 좋은 곳이 되었고, 독일 등 당시 유럽 각 사회에서 페스트 재앙으로 심하게 박해받던 유대인들은 안식처를 찾아 대거 폴란드로 이주해 왔다. 또한, 폴란드는 타국과 생활 습관이 다르고 도시에서도 밀집 거주와 비위생적인 환경을 싫어했기 때문에 대규모 페스트 유행이 일어나지 않았고, 페스트를 둘러싼 반유대주의적 미신도 퍼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폴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많은 유대교 인구를 가진 국가가 되었다.
6. 교육
칼리시는 이 지역 교육의 중심지이다. 29개의 초등학교, 15개의 중학교, 5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7개의 단과대학과 10여 개의 직업 학교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또한 포즈난 대학교, 포즈난 경제 대학교, 포즈난 공과대학교의 분교와 기타 고등 교육 기관, 헨리크 멜체르 음악 학교도 있다.
7. 경제
칼리시 시내에는 중공업은 거의 없지만, 여러 대규모 기업이 있다. 네슬레 그룹의 일부인 비니아리(Winiary) 식품 가공 공장[13], 콜리안(Colian) 식품 가공 공장, 빅 스타(Big Star) 청바지 공장이 있다.[13] 또한 WSK-Kalisz와 프랫 & 휘트니 칼리시(프랫 & 휘트니 캐나다의 지사) 두 곳의 비행기 엔진 생산 공장이 있다.[13] 19세기부터 칼리시는 피아노 제조의 주요 폴란드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20세기 초에는 바르샤바를 능가하며 선도적인 중심지가 되었다.[13]
8. 요리
안드루티 칼리스키에 웨이퍼는 폴란드 칼리시의 대표적인 전통 음식이다.
칼리시 지역의 신선한 과일로 만든 수제 냉압착 주스도 폴란드 농림부에서 지정한 전통 특산품이다.[41] 여기에는 사과, 배, 체리, 블랙커런트, 레드커런트, 딸기, 라즈베리 주스가 포함된다.[41] 이 전통은 수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1]
9. 스포츠
폴란드 핸드볼의 선구적인 경기가 열린 쉬피오르노 지구는 이 스포츠의 폴란드어 이름인 '쉬피오르니악'의 어원이 되었다. 칼리시에서 인기 있는 다른 스포츠로는 축구와 배구가 있다. 주요 스포츠 팀은 다음과 같다.
팀 | 종목 | 리그 | 비고 |
---|---|---|---|
MKS 칼리시 | 남자 핸드볼 | 폴란드 슈퍼리그 (최상위 리그) | |
SSK 칼리시아 칼리시 | 여자 배구 | 폴란드 여자 배구 리그 (최상위 리그) | 폴란드 챔피언 4회 (1997, 1998, 2005, 2007) |
KKS 칼리시 | 남자 축구 | 2 리가 (3부 리그) |
칼리시는 1894년에 설립된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조정 클럽 중 하나인 Kaliskie Towarzystwo Wioślarskie|칼리시에 토바지스트보 비오스와르스키에pl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10. 교통
칼리시 기차역은 1902년에 바르샤바-칼리시 철도의 종착역으로 건설되었다.[1] 프셰보지 레지오날네와 PKP 인터시티가 운행하고 있다.[1] 같은 해 칼리시와 바르샤바, 우치를 잇는 철도가 완성되었다.[1]
11. 어원
칼리시(Kalisz)라는 이름은 늪이나 갯벌을 의미하는 고어 ''kal''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1]
12. 유명 인물
- 아담 아스니크(1838–1897): 폴란드 실증주의 시인[4]
- 메이어 아우어바흐(1815–1878): 폴란드 출신 이스라엘인, 작가이자 아슈케나즈 최고 랍비 예루살렘의 초대 랍비
- 샤베타이 바스(1641–1718): 작가이자 유대교 서지학의 창시자
- 보이체흐 보구스와프스키(1757–1829): 배우, 극장 감독, 극작가
- 경건공 볼레스와프(1224/27–1279): 대폴란드 공작
- 크리스티나 보로비츠(1923–2009): 배우
- 율리우시 부르셰(1862–1942): 주교
- 마리아 동브로프스카(1889–1965): 작가
- 야니나 다비드(1930–2023): 작가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
- 솔로몬 에거(1785–1852): 랍비
- 아가톤 질러(1831–1887): 애국 운동가
- 스테판 질러(1833–1918): 시인, 폴란드 낭만주의의 추종자
- 키프리안 고데브스키(1765–1809): 자유 투사이자 시인
- 아브라함 곰비너(1635–1682): 유대교 랍비이자 학자[4]
- 아담 호프만(1980년 출생): 정치인
- 시몬 호론치크(1889–1939): 폴란드계 이디시 소설가이자 단편 작가
- 율리안 클렘친스키(1807–1851): 작곡가
- 아우구스틴 코르데츠키(1603–1673): 야스나 구라 수도원의 수사이며 대홍수의 영웅
- 알프레드 코발스키(1849–1915): 화가
- 예히엘 크리제(1908–1968): 폴란드 출신 이스라엘 화가
- 예지 크리샤크(1950년 출생): 배우
- 테오도르 메론(1930년 출생): 폴란드 출신 미국인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소장,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 판사[4]
- 보나벤투라 니에모요프스키(1787–1835): 언론인
- 빈센티 니에모요프스키(1784–1834): 언론인
- 라디슬라우스 필라르스 데 필라르(1874–1952): 시인
- 레오폴트 필리호프스키(1869–1933): 사실주의 화가
- 조피아 포즈난스카(1906–1942): 반 나치 저항 운동가
- 아돌프 모제스 라딘(1848–1909): 랍비
- 스타니스와프 삭스(1897–1942): 수학자, 폴란드 지하 국가의 일원, 게슈타포에 의해 살해됨
- 보이체흐 시에미온(1928–2010): 배우 겸 감독
- 즈지스와바 소시니츠카(1945년 출생): 가수
- 미샤 스폴리안스키(1898–1985): 작곡가
- 예지 시비르스키(1882–1959): 부제독
- 알리나 슈아포치니코프(1926–1973): 조각가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
- 스테판 숄츠-로고진스키(1861–1896): 여행가이자 탐험가
- 스타니스와프 시만스키(1862–1944): 공장 관리자, 기업가, 활동가
- 알리차 치오르즈(1992년 출생): 수영 선수
- 마르타 발치키에비츠(1987년 출생): 스프린트 카누 선수, 올림픽 메달리스트
- 하임 엘로조르 왁스(1822–1889): 하시디 랍비이자 자선가
- 스타니스와프 보이치에호프스키(1869–1953): 폴란드 대통령[4]
- 얀 프타쉰 브루블레프스키(1936년 출생): 음악가
- 이가 비르왈(1989년 출생): 글래머 모델
- 에브 자렘바(1930년 출생): 폴란드 출신 캐나다 작가
- 우르슐라 지부라(1952년 출생): 시인
13. 국제 관계
칼리시는 여러 도시와 국제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주로 자매 도시 형태로, 폴란드의 자매 도시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문화 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42]
13. 1. 자매 도시
칼리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42]도시 | 국가 | 체결 년도 | |
---|---|---|---|
에르푸르트 | Erfurt|에르푸르트de | 독일 | 1984년 |
함 | Hamm|함de | 독일 | 1991년 |
오몽 | Hautmont|오몽프랑스어 | 프랑스 | 1958년 |
헤르휘고바르트 | Heerhugowaard|헤르휘고바르트nl | 네덜란드 | 1992년 |
카미아네츠포딜스키 | Кам'янець-Подільський|카미아네츠포딜스키uk | 우크라이나 | 1993년 |
라루비에르 | La Louvière|라루비에르프랑스어 | 벨기에 | 1998년 |
마르틴 | Martin|마르틴sk | 슬로바키아 | 1996년 |
프레스턴 | Preston|프레스턴영어 | 영국 | 1989년 |
아드리아 | Adria|아드리아it | 이탈리아 | |
피게레스 | Figueres|피게레스es | 스페인 | |
로베치 | Ловеч|로베치bg | 불가리아 | |
민스크 | Мінск|민스크be | 벨라루스 | |
센텐드레 | Szentendre|센텐드레hu | 헝가리 | |
통에렌 | Tongeren|통에렌nl | 벨기에 |
참조
[1]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8-09
[2]
웹사이트
Kalisz. Add your story
https://www.kalisz.p[...]
[3]
웹사이트
Historia miasta Kalisz (History of Kalisz)
https://web.archive.[...]
2013-10-30
[4]
서적
Kalisz
Sport i Turystyka
[5]
서적
The Jewish Encyclopedia: A Descriptive Record of the History, Religion, Literature, and Customs of the Jewish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Funk & Wagnalls
[6]
웹사이트
Informacja historyczna
http://www.dresden-w[...]
2020-07-12
[7]
웹사이트
YIVO | Kalisz
https://yivoencyclop[...]
[8]
서적
Rodowody pułków polskich i oddziałów równorzędnych od r. 1717 do r. 1831
Towarzystwo Wiedzy Wojskowej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Jewish Community in Kalisz: 12th Century to World War I
https://encyclopedia[...]
[10]
서적
Rodowody pułków polskich i oddziałów równorzędnych od r. 1717 do r. 1831
Towarzystwo Wiedzy Wojskowej
[11]
서적
Szlakiem Chopina po Polsce
Wydawnictwo JaR
[12]
서적
Bitwy i potyczki 1863-1864. Na podstawie materyałów drukowanych i rękopiśmiennych Muzeum Narodowego w Rapperswilu
Fundusz Wydawniczy Muzeum Narodowego w Rapperswilu
[13]
서적
Kolekcja Zabytkowych Fortepianów im. Andrzeja Szwalbego w Ostromecku
Miejskie Centrum Kultury w Bydgoszczy
[14]
웹사이트
Kto zniszczył Kalisz (Who destroyed Kalisz)
https://web.archive.[...]
2015-02-18
[15]
웹사이트
Odzyskanie niepodległości / powstanie wielkopolskie
http://www.kalisz.in[...]
Dawny Kalisz
2012-10-03
[16]
웹사이트
Jewish Community of Kalisz in the Interwar Years
https://encyclopedia[...]
[17]
웹사이트
History | Virtual Shtetl
https://sztetl.org.p[...]
[18]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PN
[19]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PN
[20]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PN
[21]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PN
[22]
웹사이트
"Dom wychowawczy" dla polskich dzieci w Kaliszu
http://www.kalisz.in[...]
2020-07-12
[23]
학술지
An Ordinary Polish Town: The Homecoming of Holocaust Survivors to Kalisz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War
2018-01-01
[24]
법률
Rozporządzenie Ministra Administracji, Gospodarki Terenowej i Ochrony Środowiska z dnia 24 czerwca 1976 r. w sprawie zmiany granic niektórych miast w województwach: bielskim, jeleniogórskim, kaliskim, płockim i toruńskim.
[25]
잡지
Opór społeczny i opozycja w epoce Gierka
IPN
[26]
잡지
Opór społeczny i opozycja w epoce Gierka
IPN
[27]
학술지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s://opus.bibliot[...]
2006
[28]
학술지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s://www.hydrol-e[...]
[29]
웹사이트
Średnia dobow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0]
웹사이트
Średnia mini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1]
웹사이트
Średnia maksy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2]
웹사이트
Miesięczna suma opadu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3]
웹사이트
Liczba dni z opadem >= 0,1 m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4]
웹사이트
Średnia grubość pokrywy śnieżnej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5]
웹사이트
Liczba dni z pokrywą śnieżna > 0 c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6]
웹사이트
Średnia suma usłonecznienia (h)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37]
웹사이트
Kalisz Absolutna temperatura maksy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05
[38]
웹사이트
Kalisz Absolutna temperatura mini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05
[39]
웹사이트
Kalisz Średnia wilgotność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05
[40]
서적
The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 An Authoritative and Popular Presentation of Jews and Judaism Since the Earliest Times
https://books.google[...]
Universal Jewish Encyclopedia, Incorporated
[41]
웹사이트
Domowe soki tłoczone na zimno ze świeżych owoców ziemi kaliskiej
https://www.gov.pl/w[...]
2022-04-15
[42]
웹사이트
Kontakty zagraniczne Miasta
https://bip.kalisz.p[...]
bip.kalisz.pl
2018-06-29
[43]
웹사이트
Średnia dobow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44]
웹사이트
Średnia mini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45]
웹사이트
Średnia maksy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46]
웹사이트
Miesięczna suma opadu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47]
웹사이트
Liczba dni z opadem >= 0,1 m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48]
웹사이트
Średnia grubość pokrywy śnieżnej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49]
웹사이트
Liczba dni z pokrywą śnieżna > 0 c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50]
웹사이트
Średnia suma usłonecznienia (h)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05
[51]
웹사이트
Kalisz Absolutna temperatura maksy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05
[52]
웹사이트
Kalisz Absolutna temperatura mini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05
[53]
웹사이트
Kalisz Średnia wilgotność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